과제그만조: 최나훈, 김지용, 임서준, 진민재, 조용진
연구 목적
2025년 현재에도 스포츠는 사회 전반에서 활발히 소비되는 중요한 문화 콘텐츠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약 100년 전인 1930년대 경성에서 이루어진 스포츠 활동을 데이터 기반으로 수집하고 편찬하는 일은, 과거의 스포츠 문화를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30년대 조선에서 이루어진 스포츠 활동의 흐름과 성격을 파악하는 데 있다. 특히 축구, 럭비, 농구와 같은 구기 종목을 중심으로, 보성전문학교가 참여한 주요 대회와 경기 결과, 선수 구성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보성전문학교의 체육 활동이 단순한 경기 참여를 넘어, 민족적 자긍심 고취와 청년 교육, 사회적 결속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당시 신문 기사에 보도된 자료를 바탕으로 경기 결과, 선수 명단, 대회 구조, 장소 등의 정보를 정리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 혹은 온톨로지 형태로 체계화함으로써 디지털 인문학적 기반 자료로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
- 자료원:
-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자료내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는 1930년대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의 당시 신문 기사를 열람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이다. 기사 원문을 통해 보성전문학교가 참가한 체육대회, 경기 결과, 선수 명단, 경기 운영 방식 등 다양한 1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자료 활용: 본 연구에서는 1930년과 1931년, 보성전문학교가 참가한 단체 구기종목(축구, 럭비, 농구, 정구)의 경기 결과, 상대 팀과의 대결 구도, 관중 반응, 표현 양상 등을 기사 원문 중심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신문 보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표현과 사회적 맥락을 통해 체육 활동의 상징성과 사회적 의미를 함께 고찰하였다.
- 출간물: "대한민국 체육 90년사 Vol. 1 - 제3장 수난기(1930년~1945년)"
- 자료 내용: 이 자료는 1930년대부터 1945년까지의 조선 체육 역사에 대한 주요 사건과 활동을 다루며, 특히 경성에서 열린 주요 체육대회의 제도적 배경과 운영 규칙, 참가 규모 및 흐름을 정리한다.
- 자료 활용: 기사 원문에서 수집한 정보와의 비교·대조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특히 경기 규칙과 대회 형식, 조선체육회 주도의 대회 운영 맥락을 이해하는 데 참고하였다.
- 인터넷 사이트: 위키백과
- 자료 내용: 위키백과는 대회 명칭, 연도, 장소, 형식 등의 기본 정보를 요약 제공하는 온라인 백과사전이다.
- 자료 활용: 신문 기사에서 확인한 대회와 팀 정보가 실제 존재했던 기록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사실 확인 및 비교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 기사: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1930년부터 1931년까지 보성전문학교가 참가한 단체 구기 종목(축구, 럭비, 농구 등) 중심의 스포츠 활동이다. 이를 통해 보성전문학교가 당시 주요 체육 대회에서 어떤 위상을 가졌는지를 살펴본다. 자료는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의 기사 원문에서 경기 결과, 대회 명칭, 상대 구도, 선수단 구성, 관중 반응 등 객관적 사실만을 수집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체육 90년사』, 위키백과 등의 자료를 병행하여 기사 내용의 정확성 검토와 보완적 맥락 비교를 수행하였다. 본 분석은 1930년대 초반 보성전문학교의 체육 활동을 정리하고, 향후 근대 체육 연구의 기초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둔다.
- 1930 - 1931으로 한정한 이유 : 분석 시기는 1930년과 1931년으로 한정하였다. 이 시기는 보성전문학교의 근대 체육 활동이 언론을 통해 본격적으로 기록되기 시작한 시점이며, 주요 대회에서의 참여와 성과가 명확히 드러나는 초기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기간을 설정함으로써 1930년대 체육 활동 분석의 기초 토대를 마련하고, 향후 시기(1932년 이후)로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 정합성과 기준점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단체구기 종목으로 제한한 이유 : 본 연구는 축구, 럭비, 농구 등 단체 구기 종목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는 개별 경기 결과뿐만 아니라 팀 전체의 구성, 운영 방식 등을 함께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체 종목이 학교 체육 활동의 조직성과 사회적 의미를 파악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보성전문학교의 팀 단위 참여 양상을 통해 당시 학교 체육이 집단 정체성 형성과 어떻게 연결되었는지도 살펴볼 수 있다.
연구 방법
문제의식 정립 및 범위 설정
- 스포츠의 사회문화적 기능에 대한 문제의식 도출
- 분석 시기: 1930~1931년
- 분석 종목: 단체 구기 종목(축구, 농구, 럭비 등)
온톨로지 설계
- 총 8개 클래스 정의:
- Institution
- Team
- Player
- Match
- Competition
- Place
- Sport
- Article
- 클래스 간 주요 관계(Relation) 정의:
- belongsTo
- participatesIn
- includes
- isHeldAt
- isEventOf
- isReportedIn
- 총 8개 클래스 정의:
자료 수집
- 신문 기사 수집
- 출처: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대상 신문: 조선일보, 동아일보
- 검색 키워드: 보성전문, 축구, 농구, 럭비
- 보조 자료 활용
- 『대한민국 체육 90년사 Vol.1』
- 위키백과
- 신문 기사 수집
자료 정제 및 표준화
- 기사에서 추출한 항목:
- 경기명, 날짜, 장소
- 팀명, 점수, 선수명
- 기사 제목, 발행일, 언론사
- 데이터 정제 방식:
- 표기 불일치 통일 (예: 보성전문 vs 보성專門)
- 중복·누락 보완
- 클래스별 속성 기준 정립
- 기사에서 추출한 항목:
데이터 구축 및 분석
- 데이터 구축 방식:
- 정제된 정보를 엑셀 시트화
- Neo4j 기반 그래프 DB 구축
- 주요 분석 항목:
- 연도별 경기 횟수 및 승률
- 선수 출전 빈도
- 경기장별 경기 분포
- 기사 서사 분석 (민족주의적 표현 등)
- 시각화 결과를 통한 종합 해석 수행
- 데이터 구축 방식:
온톨로지(Ontology)
온톨로지 그래프(OntoGraph)
클래스(Class)
클래스(Class)
클래스명 | 한글명 | 설명 |
---|---|---|
Institution | 기관 | 팀이 소속된 기관 (예: 보성전문학교, 총독부) |
Team | 팀 | 경기에 출전하는 단체 (예: 보성 축구부) |
Competition | 대회 | 여러 경기가 포함된 공식 체육 행사 (예: 전국체육대회) |
Match | 경기 | 특정 종목에서 팀 간 또는 선수 간 승부를 겨루는 단위 |
Place | 경기장 | 경기가 실제로 열리는 장소 (예: 경성운동장) |
Sport | 종목 | 대회 또는 경기의 종목 유형 (예: 축구, 야구 등) |
Player | 선수 | 경기에 참가하는 개인 단위 인물 |
Article | 기사 | 경기를 보도하는 신문 |
릴레이션(Relation)
영문명 | 한글명 | 정의역 | 치역 | 설명 |
---|---|---|---|---|
belongsTo | 소속되다 | Player | Team | 선수가 팀에 소속되어 있음을 나타냄 |
belongsTo | 소속되다 | Team | Institution | 팀이 기관에 소속되어 있음을 나타냄 |
participatesIn | 참가하다 | Team | Competition | 팀이 특정 대회에 참가함 |
includes | 포함하다 | Competition | Match | 대회가 여러 경기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냄 |
isEventOf | 종목이다 | Match | Sport | 경기가 특정 스포츠 종목에 해당함 |
isHeldAt | 열리다 | Match | Place | 경기가 특정 장소에서 개최됨 |
isReportedIn | 보도되다 | Match | Article | 해당 객체가 기사에 보도됨 |
속성(Attribute)
속성명 | 한글명 | 설명 |
---|---|---|
gid | 식별자 | 개별 노드의 식별자 |
class | 클래스 | 개별 노드가 속하는 클래스 |
name | 대표명 | 개별 노드의 대표명 |
refurl | 참고 웹 자원 | 개별 노드의 정보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웹 자원 |
region | 지역 | 해당 노드가 국내인지 국외인지 표시 |
foreign_name | 현지 명칭 | 해당 노드가 국외 지역일 경우 현지 명칭 |
now | 현존 여부 | 해당 노드가 현재도 기능을 유지하는지 표시(present, gone) |
recent_name | 최근 명칭 | 기능을 상실했거나 명칭이 바뀐 경우 최근의 명칭 |
syear | 설립 연도 | 해당 노드가 설립된 연도 |
eyear | 설립 연도 | 해당 노드가 스포츠 유치의 기능을 상실한 연도 |
modaddress | 당시 주소 | 해당 노드의 당시 주소 |
address | 현재 주소 | 해당 노드의 현재 주소 |
category | 유형 | 해당 노드의 유형(ground, court, stadium, ring, pool) |
latitude | 위도 | 해당 노드의 위도 |
longitude | 경도 | 해당 노드의 경도 |
속성명 | 한글명 | 설명 |
---|---|---|
gid | 식별자 | 개별 노드의 식별자 |
class | 클래스 | 개별 노드가 속하는 클래스 |
name | 대표명 | 개별 노드의 대표명 |
refurl | 참고 웹 자원 | 개별 노드의 정보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웹 자원 |
originalTitle | 한글 이름 | 해당 노드의 한글 표기 |
chinaname | 한자 이름 | 해당 노드의 한자 표기 |
year | 연도 | 해당 대회가 열린 연도 |
host | 주최 | 해당 대회를 주최한 기관 |
속성명 | 한글명 | 설명 |
---|---|---|
gid | 식별자 | 개별 노드의 식별자 |
class | 클래스 | 개별 노드가 속하는 클래스 |
name | 대표명 | 개별 노드의 대표명 |
refurl | 참고 웹 자원 | 개별 노드의 정보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웹 자원 |
korname | 한국 이름 | 해당 노드의 한글 표기 |
chinaname | 한자 이름 | 해당 노드의 한자 표기 |
year | 연도 | 해당 경기가 열린 연도 |
month | 월 | 해당 경기가 열린 월 |
day | 일 | 해당 경기가 열린 일 |
stage | 단계 | 해당 경기의 단계 |
team1 | 팀1 | 해당 경기에 참여한 팀1 |
team2 | 팀2 | 해당 경기에 참여한 팀2 |
team1Score | 팀1 점수 | 해당 경기의 팀1의 점수 |
team2Score | 팀2 점수 | 해당 경기의 팀2의 점수 |
속성명 | 한글명 | 설명 |
---|---|---|
gid | 식별자 | 개별 노드의 식별자 |
class | 클래스 | 개별 노드가 속하는 클래스 |
name | 대표명 | 개별 노드의 대표명 |
refurl | 참고 웹 자원 | 개별 노드의 정보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웹 자원 |
recentTitle | 기사 현대어 제목 | 해당 노드의 현대어 제목 |
day | 날짜 | 해당 노드가 작성된 시간 |
category | 분류 | 노드의 유형 또는 성격 (예: 신문 등) |
press | 언론 | 해당 기사의 발행 신문사 또는 기관 |
속성명 | 한글명 | 설명 |
---|---|---|
gid | 식별자 | 개별 노드의 식별자 |
class | 클래스 | 개별 노드가 속하는 클래스 |
name | 대표명 | 개별 노드의 대표명 |
refurl | 참고 웹 자원 | 개별 노드의 정보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웹 자원 |
korname | 한글 이름 | 해당 노드의 정확한 한글 표기 |
chinname | 한자 이름 | 해당 노드의 전통적/공식 한자 표기 |
속성명 | 한글명 | 설명 |
---|---|---|
gid | 식별자 | 개별 노드의 식별자 |
class | 클래스 | 개별 노드가 속하는 클래스 |
name | 대표명 | 개별 노드의 대표명 |
refurl | 참고 웹 자원 | 개별 노드의 정보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웹 자원 |
속성명 | 한글명 | 설명 |
---|---|---|
gid | 식별자 | 개별 노드의 식별자 |
class | 클래스 | 개별 노드가 속하는 클래스 |
name | 대표명 | 개별 노드의 대표명 |
refurl | 참고 웹 자원 | 개별 노드의 정보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웹 자원 |
korname | 한글 이름 | 해당 노드의 정확한 한글 표기. 즉, 기사에서 사용한 한국어 표기 또는 한자 표기의 음 |
chinname | 한자 이름 | 해당 노드의 전통적/공식 한자 표기. 즉 기사에서 사용한 표기 |
origin | 지역 | 해당 기관이 설립된 지역 (예: 경성, 평양) |
successor | 후신 | 해당 기관의 현재 이름 또는 후신 (예: 보성전문학교의 successor는 고려대학교) |
originkor | 국내/국외 | 해당 기관이 한국(조선)에 기반을 둔 기관인가? (맞다면 1, 아니면 0) |
속성명 | 한글명 | 설명 |
---|---|---|
gid | 식별자 | 개별 노드의 식별자 |
class | 클래스 | 개별 노드가 속하는 클래스 |
name | 대표명 | 개별 노드의 대표명 |
refurl | 참고 웹 자원 | 개별 노드의 정보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웹 자원 |
affiliation | 소속 | 해당 팀의 소속 (예: 보성전문학교 농구단31의 affiliation은 보성전문학교 농구단) |
year | 연도 | 해당 팀이 활동한 연도 |
field | 종목 | 해당 팀이 참가한 종목 (예: 축구, 야구, 농구, 럭비 등) |
데이터 샘플링
연구 데이터
노드 데이터(총 650건)
- Institution 39건
- Team 69건
- Sport 6건
- Competition 35건
- Place 29건
- Player 189건
- Match 64건
- Article 219건
링크 데이터(총 625건)
- includes 64건
- belongsTo (Player-Team) 170건
- belongsTo (Team-Institution) 66건
- participatesIn 100건
- isReportedIn 97건
- isHeldAt 64건
- isEventOf 64건
Time Mapper
연구 결과
(★필수: 문제의식에 맞춰 작성한 Cypher Query와 분석 결과에 대해 서술/ Neo4j Desktop or bloom or dash 화면 캡쳐본 삽입할 것)
보전의 스포츠 활동이 사회에 미친 영향은 무엇일까?
1931.12.22 동아일보 朝鮮學校(조선학교)틤最初(최초)의 럭비—日本進出(일본진출)
1931년 12월, 보성전문학교 럭비부는 조선 학교 최초로 일본 원정에 나섰다. 이는 단순한 경기 출전을 넘어, 체육 활동이 민족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당시 동아일보는 이 소식을 “조선학교팀 최초의 일본 진출”이라는 제목으로 보도했고, 출발 전날 용산역에는 보성전문학교 재학생과 졸업생, 관계자, 시민들이 대거 모여 뜨거운 환송을 보냈다.
“패하면 조선의 체면이 깎인다. 반드시 승리하라.”
“우리 민족의 명예를 걸고 간다는 결심을 가지라.”
이러한 격려는, 보전 럭비부가 단지 학교 대표가 아니라 조선을 대표하는 존재로 인식되었음을 잘 보여준다.
또한 학교는 감독, 매니저, 대표교사 등 총 17명의 인원을 공식 파견함으로써, 이 원정이 단순한 체육활동이 아니라 청년 교육과 민족적 사명감 형성의 일환이었음을 분명히 했다.
결국, 이 원정은 경기 이상의 의미를 지녔다. 민족적 자긍심을 드러내고, 공동체 결속을 다지며, 청년들에게 책임과 소속감을 부여하는 상징적 행위였다. 이는 1930년대 초반, 보성전문학교 체육 활동이 사회적 기여의 출발점이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 사례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과연 누가 슈퍼스타일까?
- 보성전문학교(Institution)에 속한 선수(Player)와 해당 선수가 참가한 대회(Competition)의 경기(Match) 중 기사(Article)에 노출된 횟수를 내림차순으로 출력하여라.
- 맥락: 1930년대 보성전문학교의 슈퍼스타가 누구인지 알아보기 위한 질의어이다. 단 기사는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 복원되어있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 한정된다.
- 질의어:
MATCH (i:Institution {name: "보성전문학교"})<-[:belongsTo]-(t:Team) MATCH (p:Player)-[:belongsTo]->(t) MATCH (t)-[:participatesIn]->(c:Competition) MATCH (c)-[:includes]->(m:Match) MATCH (m)-[:isReportedIn]->(a:Article) RETURN p.name AS 선수명, t.name AS 소속팀, COUNT(a) AS 기사노출횟수 ORDER BY 기사노출횟수 DESC
어느 팀과 가장 많이 싸우고, 승리했을까?
- 보성전문학교(Match properties)와 상대한 팀(Match properties)과의 경기(Match)수와 승률을 내림차순으로 출력하라.
- 맥락: 보성전문학교가 당시 어느 팀과 많이 상대했는지와 승률을 알아보기 위한 질의어이다.
- 질의어:
MATCH (match:Match) WHERE match.team1 = '보전' OR match.team2 = '보전' WITH match, CASE WHEN match.team1 = '보전' THEN match.team2 ELSE match.team1 END AS opponentName, CASE WHEN (match.team1 = '보전' AND match.team1Score > match.team2Score) OR (match.team2 = '보전' AND match.team2Score > match.team1Score) THEN 1 ELSE 0 END AS isWin RETURN opponentName AS 상대팀, COUNT(match) AS 총경기수, SUM(isWin) AS 승리횟수, ROUND(SUM(isWin)*100.0/COUNT(match), 2) AS 승률 ORDER BY 총경기수 DESC, 승률 DESC
어느 장소에서 가장 많이 경기가 이루어졌을까?
- 특정 장소(Place)에서 보성전문학교(Institution)의 경기가 열린 횟수를 종목과 함께 내림차순으로 출력하라.
- 맥락: 당시 보성전문의 스포츠 활동이 주로 어디에서 이루어졌는지 확인해 보기 위함이다.
- 질의어:
MATCH (p:Place)<-[:isHeldAt]-(m:Match)<-[:includes]-(c:Competition), (m)-[:isEventOf]->(s:Sport), (t:Team)-[:participatesIn]->(c), (t)-[:belongsTo]->(i:Institution) WHERE i.name = '보성전문학교' WITH p.name AS 장소명, s.name AS 종목명, COUNT(m) AS 경기수 RETURN 장소명, SUM(CASE WHEN 종목명 = '축구' THEN 경기수 ELSE 0 END) AS 축구, SUM(CASE WHEN 종목명 = '야구' THEN 경기수 ELSE 0 END) AS 야구, SUM(CASE WHEN 종목명 = '농구' THEN 경기수 ELSE 0 END) AS 농구, SUM(CASE WHEN 종목명 = '정구' THEN 경기수 ELSE 0 END) AS 정구, SUM(CASE WHEN 종목명 = '럭비' THEN 경기수 ELSE 0 END) AS 럭비, SUM(경기수) AS 총경기수 ORDER BY 총경기수 DESC
누가 행운의 선수일까?
- 보성전문학교의 선수(Player)와 해당 선수가 속한 팀이 참가한 대회(Competition)의 경기(Match) 중 각 선수(Player) 참여횟수 대비 승률을 출력하여라.
- 맥락: 1930년대 보성전문학교의 승리를 이끈 행운의 선수가 누구인지 알아보기 위한 질의어이다. 단 언론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 결과가 표기되어있는 기사들 )에 한정되며, 스포츠 종목또한 단체종목(야구,축구,농구,럭비)로 제한한다.
- 질의어:
MATCH (i:Institution {name:'보성전문학교'})<-[:belongsTo]- (t:Team)<-[:belongsTo]-(p:Player) OPTIONAL MATCH (t)-[:participatesIn]->(:Competition)-[:includes]->(m:Match) WHERE m.team1Score IS NOT NULL OR m.team2Score IS NOT NULL OR m.result IS NOT NULL WITH p, m, CASE WHEN m.team1Score > m.team2Score AND m.team1 CONTAINS '보전' THEN 1 WHEN m.team2Score > m.team1Score AND m.team2 CONTAINS '보전' THEN 1 WHEN m.result CONTAINS '보전' THEN 1 ELSE 0 END AS win RETURN p.gid AS player_id, p.name AS player_name, COUNT(m) AS matches, SUM(win) AS wins, round(1.0*SUM(win)/COUNT(m),3) AS win_rate ORDER BY win_rate DESC, matches DESC
연구 후기
JMJ25KU | 🍻 | 개인적으로 스포츠에 너무나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고, 고려대 학우 모두에게도 뜻깊은 고연전에 관련된 주제여서 아무것도 모르는 처음에는 마냥 재밌을 것 같았는데, 막상 작업을 시작하니 생각보다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특히 시간의 제약으로 한정적인 내용의 기사만 커버한 것 같아서, 그 부분이 조금 아쉽습니다. 그럼에도 열심히 이끌어주신 조장님과 각자 맡은 일을 완벽하게 끝내주신 조원분들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
KJY25KU | 🍻 | 연구 후기를 작성해 주세요 |
LSJ25KU | 😺 | 데이터를 이렇게 많이 다루어 본 프로젝트는 이번이 처음이라, 대학 생활 내내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방대한 데이터를 각자 책임감 있게 맡아주신 팀원분들께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혼자 데이터를 정리할 때에는 이게 과연 쓸만한 데이터로 구현이 될까 의심이 들었지만, 팀원분들의 데이터를 모두 합치고 나니 정말 의미 있는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어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이렇게 훌륭한 팀원들 그리고 조장님과 함께 시간이 더 주어졌다면 세밀하고 정교한 부분까지 다뤄볼 수 있었을 것 같은데, 그렇지 못해 참 아쉬운 것 같습니다. |
JYJ25KU | 😄 | 상당히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다보니 부족한 부분도 많았고 어려운 부분도 많았습니다. 특히나 과거의 자료를 조사하다보니 교차검증의 난이도도 상당히 있었습니다. 또한 시간이 부족해 범위를 줄일 수 밖에 없었던 점이 아쉽습니다만 그래도 마지막에 쿼리를 구현하여 원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많은 데이터를 다루느라 고생하셨던 팀원들 덕에 잘 끝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
CNH25KU | 🦖 | 이번 프로젝트는 1930년대 보성전문학교의 스포츠 활동을 주제로 한 데이터 편찬 및 분석 작업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우리 조원들 모두가 동일한 무게의 책임감을 가지고 신문 기사를 수집하고 정리했으며, Neo4j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와 질의 분석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었습니다. 각자 맡은 시기별 기사 데이터를 정성스럽게 정리하고, class 간의 관계를 정제해나가는 과정에서 서로 협력하고 끊임없이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프로젝트를 함께 이끌어갔습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시간의 제약으로 인해 경기 결과를 중심으로 클래스 관계를 설계하게 되었던 부분입니다. 기사를 읽는 과정에서 경기 규칙, 경기 운영 비용, 후원자, 응원, 외부 기사 등 경기 외적인 요소들도 많이 등장했고, 보성전문학교 럭비부와 관련된 특별 기사처럼 상징적인 자료들도 있었지만, 이들과의 관계까지는 구조화하지 못해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만약 이 프로젝트를 발전시킨다면, 경기 외적 요소들까지 포괄하는 더 풍부한 주제와 분석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해봅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저는 1930년대 스포츠가 단지 경기 결과의 나열이 아니라, 당대 사회, 민족 정체성과도 긴밀히 얽혀 있었다는 사실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보성전문학교 럭비팀의 일본 원정 기사처럼 한 줄의 기록이 지닌 상징성과 무게를 새삼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방식의 데이터 기반 역사 분석이 더 확장될 수 있기를 바라며, 우리 조가 그 의미 있는 시작을 함께 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습니다. 모두 정말 수고 많으셨고, 감사합니다. |
코멘트
경성헤르조
KYC25KU | 🐰 | 고려대학교의 운동부에 대해서 발표한다는 점이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데이터를 모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수치적으로 어떤 선수들이 많이나왔고 등을 분석한 점이 굉장히 인상 깊었습니다.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
PSE25KU | 🐯 | 우선 저는 발표 시간에 과제그만조의 발표를 들으면서 팀원들이 연구에 진심으로 임했다는 것이 느껴져서 감명깊게 들었습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께서 코멘트 달아주신 것처럼 저도 발표 당시 Time Mapper에 관심을 빼앗겼었는데요, 시각화 툴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신 점이 좋았습니다! 또한 연구 결과에서 제시하신 5개의 질문이 청중으로서 관심을 가질 만한 흥미로운 내용 또는 현대에서 유의미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지점이라고 생각하여 박수를 드리고 싶습니다. 과제그만조 역시 활용할 수 있는 자료에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는데, 추후 다양한 자료로부터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면 더욱 풍부한 연구가 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또, 발표에서 설명해 주셨던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을 연구 페이지에서도 다뤄주시면 연구 내용이 더 와닿을 것 같습니다. 한 학기 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 |
KTE25KU | 🐣 | 스포츠와 관련해서 과거 선수들의 활약, 정보, 경기 등을 기준으로 연구하고 또 결과를 구성하신 게 인상깊었습니다. 만약 저였다면 결과와 관련해서 '음~ 많은 선수들이 있었네' 이정도에서 끝나서 아이디어 부족으로 당황했을 것 같은데 창의적인 방식으로 결과를 도출해내신 게 인상 깊었습니다. 마찬가지로 Time Mapper 형식으로 시각화시켜 자료를 보여주신데에서 큰 흥미를 느꼈습니다. 처음 보는 형식이었지만 연도표와 지도가 함께 포함되어 있어서 이해가 쉬웠고 발표를 성공적으로 마치는데 있어 필요한 좋은 자료 활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발표도 재밌어서 집중하기 좋아서 기억에 많이 남았던 발표였습니다. 다만 자료의 다양성과 한계 때문에 언급 빈도로 인기의 척도를 가늠한 점이 조금은 아쉬웠습니다. 당연히 자료의 한계 때문이고 저희 조도 이 때문에 많이 힘들었는데요 좀 더 확실한 역사적 자료가 추후에 보강이 된다면 신뢰성 높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
KHR25KU | 👍🏻 | 스포츠라는 주제는 온톨로지에서의 데이터 구현으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가기 어려워보이는 주제였지만, '보문'이라는 키워드 속에서 체계적인 연구를 완성하셨다는 점에서 많은 고민을 하신 흔적이 보였습니다! 연구목적도 흥미로웠고, 데이터 편찬에서도 정성을 쏟으셨다는 점이 느껴진 좋은 연구였습니다. 다들 한학기동안 고생하셨습니다! |
LYJ25KU | 🐹 | 보성전문학교라는 특수한 주제를 대상으로 조사해도 이렇게나 유의미한 정보를 뽑아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운것 같습니다. 연구도 너무 재미있습니다. |
기생하조
CHS25KU | 🐰 | 연구 주제만 보았을 때는 사실 큰 흥미가 생기지 않았는데, 연구 결과 부분에서 실제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과거의 스포츠 스타들, 그리고 라이벌 구도를 현대와 연결해 살펴본 점이 상당히 흥미로웠습니다. 또한, Time Mapper를 통해 현재 장소와 비교해 과거 스포츠 경기가 열렸던 구장, 원정 장소 등을 제시한 점도 추가적인 질문 (위치가 왜 그곳이었을지, 현재 존재하는 곳은 언제 리모델링되었을지, 구장 소유주는 누구였을지)을 유도했습니다. 다만, 당시에 경기가 어떻게 운용되었는지, 현재와 당시의 룰은 어떻게 다른지, 관중의 관심도는 현재와 어떻게 다른지, 티켓 금액은 어땠는지 등 추가적으로 흥미로운 질문이 많이 떠올랐는데 다수 정보가 리스트화된 일반적인 정보 (위치, 선수명)로만 도출된 점은 조금 아쉬웠습니다.
전반적으로 깔끔한 데이터가 수집되어 여기서 더 구체적으로 발전시킨다면 상당히 의미 있는 스포츠 데이터가 될 것 같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NJW25KU | 🐯 | 제가 워낙 스포츠를 좋아하다 보니, 이번 조의 연구는 진행 초기부터 자연스럽게 관심이 갔습니다. 특히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의 스포츠 활동에 주목하신 점이 매우 흥미로웠고, 1930년부터 1931년까지 2년간의 단체 구기 종목 관련 기사에서 추출한 약 1,300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온톨로지를 탄탄하게 구축하신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특히 스포츠를 단순한 경기 기록이 아닌 근대 대학 문화와 정체성 형성의 일환으로 해석하고, 선수 개개인에 주목하며 학교 간 경쟁 구도까지 정교하게 분석하신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이 연구는 향후 보성전문학교를 넘어, 1930년대 경성 스포츠 전반에 대한 연구로 확장될 수 있는 좋은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훌륭한 연구 잘 봤습니다.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
JSB25KU | 🐣 | 해당 팀 연구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해 주세요 |
LJA25KU | 👍🏻 | 2년치의 경기 데이터만으로 이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게 느껴졌네요. 경기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기 있는 선수는 누구인가?', '승리 요정은 누구인가?' 선수에 초점을 맞춘 분석이 아쉽게 느껴졌다는 의견에 공감하지만 스포츠에 대해 잘 모르는 제게도 해당 연구과정과 결과가 흥미롭게 와닿았습니다. 특히 time mapper 로 '경기 흐름' 과 경기장 위치등을 데이터 시각화한게 인상 깊게 다가왔습니다. 이번 한 학기 수고하셨습니다! |
CKH25KU | 🐹 | 스포츠를 주제로 이렇게 연구를 풀어내신 것도 재밌었고, 특히 '행운의 선수'라는 부분이 재밌었습니다. 마치 야구의 세이버메트릭스와도 닿는 것 같은 해석이네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
산책하조
2SJ25KU | 🐰 | 데이터를 통해 연구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행운의 선수를 찾는 시도가 참신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BJS25KU | 🐯 | '고연전'의 개념이 과거의 보성전문학교와 연전일 적부터 이어져 왔다는 사실이 흥미로웠습니다. 자주 겨루던 해당 학교들이 여전히 경쟁관계와 함께 그 명성을 이어나가고 있다는 사실에 자부심도 들고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셨듯이 과제그만조의 과제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 차원에서 선배님들의 다양한 정보들을 정리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당시에 프로 운동선수의 개념이 현대와 같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보성전문학교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이던 선배들이 졸업 후에는 평범하게 생계를 이어나가신 분들도 많았을 것 같은데 그 후손분들에게도 의미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
SJH25KU | 🐣 | 그당시 고려대를 이끌었던 스포츠 스타들을 알 수 있게 되어서 좋았어요! |
KNY25KU | 🐸 | time mapper로 사건 개요, timeline, 지도를 동시에,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좋았고, 결과를 어떻게 표현할 지 고민하셨던 것이 잘 느껴져 더욱 좋았습니다. 다만 조금 아쉬운 것은, 결과(해석)이 단편적이라고 느껴진다는 것입니다. '스포츠 활동의 흐름과 성격을 파악'한다는 목적에 비해 결과는 '경기' 자체보다 선수나 팀 각각에만 초점이 맞춰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과연 누가 슈퍼스타일까?'에서 엄동원 선수를 제외하면 상위권이 모두 농구단이고, 그다음이 모두 축구단인데, 이는 선수 한 명의 인기보다는 '농구'와 '축구' 종목 자체의 인기가 다른 종목에 비해 더 많았다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어 이 점에 대해 더 자세히 다뤄주셨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저도 사실 야구팬이라 스포츠에 관심이 아주 많은데, 재미있는 주제로 좋은 연구 진행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 |
LWG25KU | 🐹 | 저도 스포츠를 좋아하다 보니 스포츠 관련 통계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이게 과연 의미가 있을까?' 싶은 통계들도 많았지만, 막상 분석해보면 나름의 의미가 드러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런 점에서 ‘행운의 선수’ 통계도 매우 흥미롭게 느껴졌습니다. |
아파트사조
PSH25KU | 🐰 | 고려대 120주년을 맞아 고려대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의 스포츠 활동에 대해 알아본다는 것이 정말 뜻깊은 일인 것 같아요. 주제 자체도 상당히 흥미로웠는데 보전의 스포츠 활동이 사회에 미친 영향은 무엇일까? 부분에서 지금의 한일전보다도 뜨거웠을 그 당시의 열기가 느껴져 정말 인상깊었습니다. 또, 누가 행운의 선수일까?하는 물음은 한번도 생각은 못해봤는데 듣자마자 어 그러게 누구지? 하는 궁금증을 유발하는 질문이어서 너무 재밌게 연구 결과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
KMC25KU | 🐯 | 주제부터 연구 내용까지 너무 흥미로웠습니다! 선수 개인에 대한 정보가 많이 없었음에도 참신한 질문들을 통해 재밌는 결과를 많이 찾아내신 것 같아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
KZO25KU | 🐣 | 고려대학교 120주년에 잘 어울리는 주제인 것 같습니다. 문제의식에 따라 연구 대상 범위를 단체 종목(구기 종목)으로 한정한 점이 좋았고 발표 때 몇몇 선수들의 이야기를 집중해서 들려주셔서 흥미로웠습니다. |
LMC25KU | 👍🏻 | 1930년대 경성이라는 주제 자체가 자칫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 스포츠를 접목하니 한층 더 다채로운 조사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보성전문이라는 이름에 대해 더 친근감을 느낄 수 있었고 어쩌면 당시 경성의 사회가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을 수 있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
JTR25KU | 🐹 | 스포츠에 관해서는 아는 것도 별로 없고 관심도 그리 크지 않은 저에게도 발표가 너무나 흥미로워 저절로 집중해서 듣게 되는 내용이었습니다. 상세한 데이터를 통해 그 당시에 열렬히 필드를 뛰었으며 신문 기사에까지 이름을 날렸을 우리의 100년 전 전설적인 선배님들의 잊혀질뻔한 이야기들이 데이터로 살아움직여 생생하게 다가와 너무나 재밌게 본 연구입니다. |
참고 자료
(참고 자료 및 주석은 출처 표기 규칙 페이지를 참고할 것!)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