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Y25KU
DH Edu
위키명함 | |
- | |
이름 | 김나영 |
---|---|
한자명 | 金娜永 |
영문명 | Nayeong Kim |
소속 | 고려대학교 |
전공 | 지구환경과학과 |
이메일 | 0.0nayang0.0@gmail.com |
목차
인사말
안녕하세요!
저는 지구환경과학과 23학번 김나영 입니다.
초록색을 좋아해요
잘 부탁드립니다 *v*
상세정보
덕질하는 것들
- 밴드
- 한국
- 한로로
- DRAGONPONY
- 일본
- 한국
- 영화
- 헝거게임
- 캐릭터
- 케로케로케로피
- 쿠리만쥬
함께하는 분들
이름 | 관계 | 첫 만남 |
---|---|---|
김나영 | 본인 | 2004년 5월 13일 |
교수님 | 교수님 | 25-1 데이터인문학 |
나누고픈 순간
잊지못할 구절
![]() |
파란 하늘보다 두려웠던 |
![]() |
출처: 한로로 - 금붕어[1] |
- ↑ 힘을 주는 가사
좋아하는 영상
자주가는 장소
지도를 불러오는 중...
네트워크 그래프
각주
연구 기획
연구 배경과 목적
연구 주제: 1930년대 경성시대의 공원(公園)
공원은 도시의 사회적, 문화적 시대상을 반영하는 중요한 공간으로, 시민들의 휴식처일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특히,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존재한 경성시대의 공원들은 근대 여가문화의 도입, 위생 및 치안 관리, 시민의식 형성 등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경성시대 공원에 대한 자료들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어서 공간적 분포나 이용 양상 등에 대한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고 느꼈다.
본 연구에서는 1930년대에 존재했던 공원에 대하여 이름, 발생한 사건, 평가 등의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공간적 분포를 한 눈에 보기 쉽도록 지도에 위치를 표시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경성시대의 공원과 사회적/문화적 맥락을 조직적인 형태로, 보다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대상과 자료
연구 대상
- 본 연구의 대상은 1930년대 경성시대에 존재했던 공원(公園)이다. 완공 시점(1930년 이전/이후)와 현재의 운영 여부는 무관하게 1930년대에 실제로 운영되었던 모든 공원을 포함한다.
연구 자료
- 기본 정보: 이름, 위치, 사진
- 기사 자료: 신문사 이름, 기사 발행일, 제목, 본문 내용
- 상세 정보: 조성 시작 및 완공 시기, 준공 목적, 시민들의 이용 양상 및 평가, 해당 공원에서 발생한 사건, 현재 운영 여부, 현재 운영 중일 경우 과거와의 차이점, 현재 운영 중이 아닐 경우 운영 기간
수집 방법
- 조선 뉴스 라이브러리 100, 동아디지털아카이브 - “공원(公園)” 키워드 검색
- 신문사, 기사 제목, 발매일, 내용, 원문 사진 제공
- 기사자료, 사진, 해당 공원에서 발생한 사건 또는 시민들의 평가 자료 수집 가능
- 조선사진 그림엽서 데이터베이스 - "公園" 검색
- 공원의 실제 모습 사진 자료 수집 가능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근대지리정보
- 지도 이미지 제공
- 이름, 위치 정보 수집 가능
- 위치 정보는 사회/문화적 맥락 파악에 특히 중요한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