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Y25KU

DH 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위키명함
-
이름 김지용
한자명 金智勇
영문명 Kim Jiyong
소속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대학
전공 디자인조형학부
이메일 wldyddkssud@korea.ac.kr


인사말

안녕하세요
디자인조형학부 18학번 김지용입니다.

상세정보

현재는 디자인보다는 개발하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1. 인공지능툴
  2. 개발
  3. 웨이트

함께하는 분들

반갑습니다!
이름 관계 첫 만남
김지용 나자신 1999 봄
교수님 교수님 25-1 데이터인문학

나누고픈 순간

잊지 못할 구절

자주 가는 장소

네트워크 그래프


각주

연구 기획

연구 배경과 목적

1930년대 경성은 식민지 근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던 시기로, 외형적으로는 근대 도시의 면모를 갖춰가고 있었지만 그 이면에는 식민 지배의 불균형과 긴장이 깊이 자리하고 있었다. 이런 시대적 배경 속에서 스포츠는 단순한 신체 단련 활동을 넘어서, 근대 시민으로서의 몸을 길들이고, 제국의 질서에 편입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기능했다.

야구, 축구, 정구(테니스), 육상 같은 종목들이 학교, 군대, 회사, 지역 커뮤니티 단위로 보급되었고, 대규모 운동회나 경기 대회는 식민지 조선인과 일본인 모두에게 신체적 규율과 근대적 시민성을 각인시키는 주요한 장치였다. 신문 기사나 사진, 포스터 속에서 이러한 스포츠 대회는 자주 등장했고, 그 묘사 방식은 계층과 민족, 성별에 따라 구분되었다.

연구 대상과 자료

본 연구의 주요 대상은 1930년대 경성에서 개최된 주요 스포츠 대회들이다. 연구는 구체적인 경기 및 행사를 선정하는 작업에서 출발하며, 각 대회의 개최 주체, 참가자, 공간(운동장) 구성, 기사 표현 방식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분석할 예정이다.


📰 기본 정보 수집
1930년대는 인쇄매체가 활발히 활용되던 시기로, 신문에 스포츠 경기 결과, 선수 명단, 응원 방식 등이 상세히 보도되었다. 스포츠 키워드(‘경성야구’, ‘청년단체육대회’, ‘축구 경기’, ‘조선팀’, ‘운동장’)를 중심으로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서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고 각 대회의 기본 정보를 정리할 예정이다.

인문학.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