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입덕 가이드
기획의도
대한민국의 프로야구 리그인 KBO는 1982년 리그 출범 이후 40년하고도 2년이 조금 더 지난 2024년 9월 15일, 한국 프로 스포츠 역사상 최초로 1000만 관중 동원에 성공하며 인기 면에서 최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올 2025년은 과연 그 성과가 일시적인 것일지, 아니면 KBO가 또 한 번 도약할 수 있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가늠해보는 시즌이 될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면에선 KBO는 진입 장벽이 높은 세계이기도 하다. 팀은 많고, 룰은 복잡하며, KBO 특유의 응원 문화는 자랑거리이기도 함과 동시에 어쩌면 그들만의 리그라고 느껴질 여지 또한 있다.
우리는 그러한 벽을 허물어주기 위해, KBO를 처음 접하는 이들이 부담 없이 다가올 수 있도록 하는 입덕 가이드를 기획했다.
참여자 4인이 각자 한 팀씩 맡아 총 4개의 팀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며, 팀의 상징적인 순간들과 그 순간을 만들어낸 선수들을 함께 조명할 예정이다.
마치 하나의 갤러리를 둘러보는 듯한 구성 속에서 그 관계를 파헤치며 최종적으로 KBO라는 리그가 가진 고유한 정서까지 담아내고자 한다.
복잡한 룰이나 수치보다는, 무엇이 이 리그를 사랑하게 만드는가에 초점을 맞춘 입문서이자 초대장이다.
내용: KBO 갤러리
“10개의 팀, 10개의 도시, 그리고 셀 수 없는 이야기들. 1982년 단 6개의 팀으로 시작한 KBO는, 이제는 한국의 일상을 채우는 거대한 서사가 되었다.”
한국 프로야구의 시작은 단순한 스포츠 리그의 탄생이 아니었다. 1982년, 동대문야구장에서 열린 첫 경기는 ‘국민 스포츠’로 가는 첫 문이었고, 그 이후 수많은 팬들의 함성, 비, 눈물 속에서 KBO는 지금의 10개 구단 체제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마침내, 2023년. KBO는 연간 1,000만 관중을 넘어서며, 오랜 시간 쌓아온 야구의 힘과 팬의 사랑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었다.
이 입덕 가이드는 그중에서도 당신이 주목할 만한 네 팀, kt wiz, LG 트윈스, 롯데 자이언츠, 한화 이글스의 이야기로 한국 프로야구 리그 KBO의 세계를 ‘처음 보는 사람’의 눈으로 풀어낸 안내서이다.
시맨틱 스토리텔링
'졸렬택' 사건을 통해 알아본 롯데 자이언츠와 LG 트윈스의 관계
롯데 자이언츠와 LG 트윈스의 독특한 라이벌 구도를 설명하는 시멘틱 스토리텔링.
시즌 성적과 무관하게 매번 화제성과 긴장감을 몰고 오는 두 팀의 맞대결은 엘 꼴라시코로 불리며 KBO의 대표적인 흥행 카드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두 팀의 라이벌 관계가 생기기까지 어떤 역사적 과정이 있었는지,
2009년 시즌 말미에 발생한 타격왕 경쟁과 LG 트윈스 박용택 선수의 '졸렬택' 논란, 그리고 엘 꼴라시코라는 용어의 탄생 과정 등을 통해 설명한다.
자세한 내용은 '졸렬택' 사건을 통해 알아본 롯데 자이언츠와 LG 트윈스의 관계 문서 참조
마법같은 기적을 만들자! 'KBO'의 막내, kt wiz 성장기
kt wiz의 창단과 성장 과정을 설명하는 시멘틱 스토리텔링.
2013년 수원을 연고지로 창단된 kt wiz가 이후 KBO 리그 10구단 체제의 일원으로서 겪은 적응기와 반등의 역사를 다룬다.
초창기 열악한 환경 속 최하위권에 머물던 꼴찌 팀에서, 2021년 창단 첫 우승을 달성하고 KBO 리그의 새로운 강팀으로 자리매김하기까지,
kt wiz가 ‘마법 같은 반등’의 상징이 될 수 있었던 과정을 되돌아본다.
자세한 내용은 마법같은 기적을 만들자! 'KBO'의 막내, kt wiz 성장기 문서 참조
온톨로지
주요 CLASS 목록
CLASS | 설명 | 예시 | 모양 |
---|---|---|---|
팀 (Team) |
가이드에서 다룰 4개의 팀과 리그 전체를 다룬다 | LG 트윈스, kt wiz | blue circle |
선수 (Player) |
팀 별 주요 선수 (영구결번/프랜차이즈/레전드/라이징) | 이대호, 류현진 | green circle |
포지션 (Position) |
팀 별 주요 선수들의 포지션 | 투수, 야수 | pink ellipse |
시즌 (Event) |
4팀과 관련되어 있는 역사적인 년도들 | 2023 시즌, 1999 시즌 | brown ellipse |
미디어 (Media) |
박용택 스토리텔링에 경기 외적으로 영향을 준 뉴스, 커뮤니티 등 | 인터넷 커뮤니티, 뉴스, LG 팬덤, 롯데 팬덤 | pink ellipse |
밈 (Meme) |
박용택 스토리텔링으로 인해 생겨난 밈 | 졸렬택, 엘꼴라시코 | brown ellipse |
인물 (Person) |
kt 스토리텔링과 관련된 인물들 |
심재민, 박세웅, 조범현 |
green circle
|
기간 (Period) |
kt 스토리텔링의 역사적 기간들 |
2016년, 2020년 |
pink ellipse
|
Team: 팀 노드
설명: KBO에 소속되어 있는 4팀의 노드이다.
리그:
- KBO
국내 팀 노드:
Player: 선수 노드
설명: KBO의 선수들을 영구결번, 프랜차이즈, 레전드, 라이징 총 4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LG 트윈스 노드:
롯데 자이언츠 노드:
한화 이글스 노드:
kt wiz 노드:
Position: 포지션 노드
설명: 선수들의 포지션을 설명하며 그 사이 관계를 파헤치게 해주는 노드이다. 목표는 어디까지나 관계를 파헤치는 것이기에 세부적인 포지션보다는 투수와 야수의 두 분류로 나눈다. 그 안에 세부 분류로 추가적인 관계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 팔의 방향 역시 고려한다.
Event: 시즌 노드
설명: 선택된 4팀의 우승 시즌을 다루는 노드이다. 우승 시즌의 상대가 같은 4팀 중 하나일 경우 양쪽을 다룬다.
- 1984 시즌 - 우승: 롯데 자이언츠
- 1990 시즌 - 우승: LG 트윈스
- 1992 시즌 - 우승: 롯데 자이언츠, 준우승: 한화 이글스
- 1994 시즌 - 우승: LG 트윈스
- 1999 시즌 - 우승: 한화 이글스, 준우승: 롯데 자이언츠
- 2021 시즌 - 우승: kt wiz
- 2023 시즌 - 우승: LG 트윈스, 준우승: kt wiz
Media: 미디어 노드
설명: 박용택으로 보는 LG와 롯데의 관계 스토리텔링에 영향을 주는 타 미디어들을 다루는 노드이다.
Meme: 밈 노드
설명: 박용택으로 보는 LG와 롯데의 관계 스토리텔링의 설명을 위해 사용된 밈들을 다룬 노드이다.
Person: 인물 노드
설명: kt wiz의 창단 과정, 박용택으로 보는 LG와 롯데의 관계 스토리텔링의 설명을 위해 사용된 관련 인물 노드이다.
Period: 기간 노드
설명: kt wiz의 창단 과정 스토리텔링의 설명을 위해 사용된 기간 노드이다.
릴레이션
설명: 선정된 각 노드들이 서로를 만나며 만나는 관계를 정리하는 릴레이션을 통해, 결합으로 완성되는 스포츠의 매력을 강조한다.
Relation | Domain | Range | Definition | Example |
---|---|---|---|---|
isRepresentativeTeamOf | Team | Team | A는 B의 대표 팀이다 | 롯데자이언츠 - [isRepresentativeTeamOf] → KBO리그 |
isPeakSeasonOf | Event | Team | A는 B의 전성기 시즌이다 | 한화이글스1999시즌 - [isPeakSeasonOf] → 한화이글스 |
isFranchisePlayerOf | Player | Team | A는 B의 프랜차이즈 선수이다 | 윤학길 - [isFranchisePlayerOf] → 롯데자이언츠 |
isRetiredNumberOf | Player | Team | A는 B의 영구결번이다 | 최동원 - [isRetiredNumberOf] → 롯데자이언츠 |
isRisingStarOf | Player | Team | A는 B의 라이징 스타이다 | 문동주 - [isRisingStarOf] → 한화이글스 |
isLegendaryPlayerOf | Player | Team | A는 B의 전설적인 선수이다 | 류현진 - [isLegendaryPlayerOf] → 한화이글스 |
isRivalOf | Team | Team | A는 B의 라이벌이다 | LG트윈스 - [isRivalOf] → 롯데자이언츠 |
hitFirstHomeRunAgainst | Player | Team | A는 B를 상대로 첫 홈런을 쳤다 | 윤동희 - [hitFirstHomeRunAgainst] → 한화이글스 |
hitFirstHitAgainst | Player | Team | A는 B를 상대로 첫 안타를 쳤다 | 전준우 - [hitFirstHitAgainst] → LG트윈스 |
debutedAgainst | Player | Team | A는 B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다 | 전준우 - [debutedAgainst] → LG트윈스 |
isNotOriginalTeamOf | Team | Team | A는 B의 원년구단이 아니다 | 한화이글스 - [isNotOriginalTeamOf] → KBO리그 |
isOriginalTeamOf | Team | Team | A는 B의 원년구단이다 | LG트윈스 - [isOriginalTeamOf] → KBO리그 |
wasFinalOpponentOf | Team | Event | A는 B시즌의 결승전에 진출했다 | 한화이글스 - [wasFinalOpponentOf] → 1992시즌 |
leadtoPeakSeasonOf | Player | Event | A는 B시즌 우승에 기여했다 | 문보경 - [eadtoPeakSeasonOf] → 2023시즌 |
wasMVP | Player | Event | A는 B시즌 우승의 MVP였다 | 김용수 - [wasMVP] → 1990시즌 |
isLeftHandedPitcher | Player | Position | A는 왼손으로 던지는 B이다 | 송진우 - [isLeftHandedPitcher] → 투수 |
isRightHandedPitcher | Player | Position | A는 오른손으로 던지는 B이다 | 박경수 - [isRightHandedPitcher] → 투수 |
isLeftHandedBatter | Player | Position | A는 왼손으로 휘두르는 B이다 | 송진우 - [isLeftHandedBatter] → 타자 |
isRightHandedBatter | Player | Position | A는 오른손으로 휘두르는 B이다 | 박경수 - [isRightHandedBatter] → 타자 |
isRivalOf | Team | Team | A는 B의 라이벌이다 | 롯데자이언츠 - [isRivalOf] → LG트윈스 |
isPlayerOf | Person | Team | A는 B의 선수이다(였다) | 박용택 - [isPlayerOf] → LG트윈스 |
isCoachOf | Person | Team | A는 B의 감독이다(였다) | 김재박 - [isCoachOf] → LG트윈스 |
FoughtForBat | Person | Person | A는 B와 타격왕 경쟁을 했다 | 박용택 - [FoughtForBat] → 홍성흔 |
PlayedTheGame | Person | Person | A는 B와의 타격왕 결정전에 출전했다 | 홍성흔 - [PlayedTheGame] → 박용택 |
NotPlayedTheGame | Person | Person | A는 B와의 타격왕 결정전에 출전하지 않았다 | 박용택 - [NotPlayedTheGame] → 홍성흔 |
Supported | Team | Person | A는 B가 타격왕을 받는 것을 지지했다 | LG트윈스 - [Supported] → 박용택 |
Commanded | Person | Team | A는 B에게 작전을 지시했다 | 김재박 - [Commanded] → LG트윈스 |
Criticized | Media | Person | A는 B를 비판했다 | 뉴스 - [Criticized] → 박용택 |
Protected | Media | Person | A는 B를 보호했다 | LG팬덤 - [Protected] → 박용택 |
IsActiveIn | Media | Media | A는 B에서 활동한다 | LG팬덤 - [IsActiveIn] → 인터넷 커뮤니티 |
Praised | Media | Person | A는 B를 칭찬했다 | 뉴스 - [Praised] → 홍성흔 |
Created | Media | Meme | A는 B라는 밈을 만들었다 | 인터넷 커뮤니티 - [Created] → 졸렬택 |
IsCalledAs | Meme | Person | A는 B의 별명이다 | 졸렬택 - [IsCalledAs] → 박용택 |
IsPartOf | Team | Meme | A는 B라는 밈의 한 축이다 | 롯데자이언츠 - [IsPartOf] → 엘꼴라시코 |
ShoutMaTo | Team | Team | A는 B에게 마!라고 외친다 | 롯데자이언츠 - [ShoutMaTo] → LG트윈스 |
RespondWeTo | Team | Team | A는 B에게 왜!라고 대답한다 | LG트윈스 - [RespondWeTo] → 롯데자이언츠 |
JoinedIn | Person | Period | A는 B시기에 입단했다 | 심재민 - [JoinedIn] → 2013년 |
rejoinedin | Person | Period | A는 B시기에 재계약했다 | 데스파이네 - [rejoinedin] → 2021년 |
hasChanged | Person | Period | A는 B시기에 교체됐다 | 김진욱 - [hasChanged] → 2019년 |
ReachedPostseason | Team | Period | A는 B시기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 kt wiz - [ReachedPostseason] → 2020년 |
FailedPostseason | Team | Period | A는 B시기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했다 | kt wiz - [FailedPostseason] → 2019년 |
WonTitle | Team | Period | A는 B시즌에 우승했다 | kt wiz - [WonTitle] →2021년 |
Showperformance | Person | Period | A는 B시즌에 활약했다 | 쿠에바스 - [Showperformance] → 2021년 |
FoundedIn | Team | Period | A는 B시즌에 창단됐다 | kt wiz - [FoundedIn] → 2013년 |
recordGoodgrade | Team | Period | A는 B시즌에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 kt wiz - [recordGoodgrade] → 2022년 |
recordBadgrade | Team | Period | A는 B시즌에 나쁜 성적을 기록했다 | kt wiz - [recordBadgrade] → 2015년 |
Leadinseason | Person | Period | A는 B시즌에 감독이었다 | 조범현 - [Leadinseason] → 2013년 |
RankedLastIn | Team | Period | A는 B시즌에 꼴지를 했다 | kt wiz - [RankedLastIn] → 2015년 |
debutIn | Person | Team | A는 B팀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 고영표 - [debutIn] → kt wiz |
RetiredIn | Person | Team | A는 B팀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 이대형 - [RetiredIn] → kt wiz |
네트워크 그래프
KBO 전체 가이드
'졸렬택' 사건을 통해 알아본 롯데 자이언츠와 LG 트윈스의 관계
마법같은 기적을 만들자! 'KBO'의 막내, kt wiz 성장기
네트워크 그래프 스크립트
참고자료
- KBO 공식 사이트
- LG 트윈스 공식 사이트
- kt wiz 공식 사이트
- 롯데 자이언츠 공식 사이트
- 한화 이글스 공식 사이트
- 기록 자료 사이트
- KBO 레전드 40
- KBO 선수 수상 현황
- 다음 스포츠 국내야구
- 해외 KBO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