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현진/레전드
류현진 | |
![]() 류현진, 나무위키. |
|
이름 | 류현진 |
---|---|
출생 | 1987.03.25 / 인천직할시 동구 |
학력 | 창영초 - 동산중 - 동산고 - (대전대학교) |
신체 | 190cm |
투타 | 좌투우타 |
프로 입단 | 2006년 2차 1라운드 (전체 2번, 한화) |
연봉 | 2025 / 20억원 |
등장곡 | 제드 - <코리안 몬스터> |
응원가 | 블레이디 - <미친날> (2011~2012) |
개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현재 한화 이글스에서 좌완 투수로 활약하고 있다.
선수 경력
2006년–2012년: 한화 이글스에서의 데뷔와 전성기
류현진은 2006년 한화 이글스에 2차 1라운드 2순위로 입단하여 KBO 리그에 데뷔하였다.
첫 시즌부터 놀라운 성적을 기록하며 18승 6패, 평균자책점 2.23, 205탈삼진으로 투수 3관왕(다승·평균자책점·탈삼진)을 달성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신인왕과 정규시즌 MVP를 동시에 수상했는데, 이는 KBO 역사상 최초의 기록이다.
그는 이후 2012년까지 한화 이글스의 절대적인 에이스로 활약하며, 매 시즌 두 자릿수 승수와 리그 상위권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다.
특히 경기당 삼진 능력과 위기관리 능력에서 독보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약체로 분류되던 팀 내에서 거의 유일한 확실한 전력으로 꼽혔다.
이 시기 그는 KBO 올스타에 7차례 선정되었으며, 국가대표로도 꾸준히 발탁되어 국제대회에서 활약하였다.
2013년–2019년: LA 다저스에서의 메이저리그 도전과 전성기
2012년 시즌 종료 후, 포스팅 시스템을 통해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류현진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6년 3,600만 달러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는 한국 프로야구 투수 최초의 메이저리그 직행 계약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2013년 다저스 데뷔 시즌에서 14승 8패, 평균자책점 3.00의 준수한 성적을 기록하며 곧바로 선발 로테이션에 안착하였다.
이후 2014년까지 2년 연속 14승을 거두며 팀의 2~3선발급 자원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2015년과 2016년에는 어깨 수술과 팔꿈치 재활 등으로 인해 긴 공백기를 겪게 된다.
완전히 복귀한 2018년부터 그는 다시 안정적인 피칭을 선보이며 팀의 신뢰를 회복하였고,
2019년에는 평균자책점 2.32로 메이저리그 전체 ERA 1위를 기록하였다. 이 해 그는 내셔널리그 사이영상 투표에서 2위를 차지하고,
커리어 첫 올스타 선발 및 MLB 올스타전 선발 투수로 등판하는 등 개인 커리어의 정점을 찍었다.
2020년–2023년: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새로운 도전
2019년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얻은 류현진은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4년 8,000만 달러에 계약, 한국 선수 역대 최고액 FA 계약을 체결하며 아메리칸리그로 이적했다.
2020년 첫 시즌부터 팀의 에이스 역할을 맡아 5승 2패, 평균자책점 2.69를 기록하며 AL 사이영상 후보 3위에 올랐고,
아시아 선수로는 드물게 팀 내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2021년부터는 체력 문제와 구위 저하, 그리고 2022년 중반 수술로 인해 시즌을 일찍 마감하는 등 점차 부침을 겪었다.
2023년에는 복귀해 부분적으로 선발로 나섰지만, 과거와 같은 위력적인 모습은 제한적이었다.
2024년–현재: KBO 리그 복귀와 한화 이글스 재합류
2024년 2월, 류현진은 한화 이글스와 8년 총액 170억 원의 계약을 체결하고 12년 만에 KBO 리그로 복귀하였다.
이는 KBO 역대 FA 최고액 계약으로, 그의 상징성과 기대치를 반영한 이적이었다.
한화 구단은 류현진의 복귀를 계기로 팀의 상징성과 경쟁력을 동시에 회복하고자 하였으며, 새로 개장한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와 맞물려
류현진은 구단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얼굴’로 다시 자리잡았다. 복귀 첫 시즌부터 그는 마운드에서 베테랑다운 위용을 보여주며,
젊은 투수들의 멘토이자 한화 팬들에게 오랜 기다림에 대한 보답을 선사하고 있다.
수상 경력
연도 | 상세 |
---|---|
2006 | MVP / 신인왕 / 골든글러브 / 다승 1위 / ERA 1위 / 탈삼진 1위 |
2007 | 탈삼진 1위 |
2009 | 탈삼진 1위 |
2010 | 골든글러브 / ERA 1위 / 탈삼진 1위 |
2012 | 탈삼진 1위 |
연도 | 상세 |
---|---|
2019 | NL ERA 1위 / NL 올스타 / NL 사이영상 2위 / All-MLB 세컨드팀 |
2020 | 워렌 스판 상 / AL 사이영상 3위 / All-MLB 세컨드팀 |
연도 | 상세 |
---|---|
2006 | 도하 아시안 게임 동메달 |
2008 |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
2009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우승 |
2010 | 광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
류현진 아카이브
영상 자료
코리안 몬스터-그를 만든 시간:류현진 다큐멘터리
어메이징 류-류현진 2019 다큐멘터리
류현진 최고의 경기 COL vs LAD 2013.05.01 (6이닝 12K 2실점, 시즌 3승)
2006년 류현진 '신인왕이자 MV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