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24의 렌즈는 시대를 어떻게 담아내는가

DH 교육용 위키
KU강보민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5년 6월 20일 (금) 13:5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 KU2025 콘텐츠 큐레이션 프로젝트 ✶

"A24의 렌즈는 시대를 어떻게 담아내는가?"

"A24, 감정과 정체성의 이미지로 시대를 담아내다."

A24.jpeg

A24다양한 정체성과 감정을 예술적으로 풀어내는 독립영화 제작사로, 기존 메이저 스튜디오의 공식을 벗어난 실험적 서사를 통해 전 세계 관객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감독에게 자유로운 창작권을 부여하며, 개인성과 사회성이 교차하는 이야기를 창조해내는 방식은 오늘날 ‘동시대 영화의 감정 구조’를 이해하는 하나의 기준점이 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이러한 A24의 작품들 중에서도 주요 수상작을 중심으로, 작품 속 인물・주제・감정・수상 내역 등을 시맨틱 네트워크로 구조화하고, 그를 통해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감정과 정체성의 흐름을 추적함으로써, 현대 사회의 내면을 영화가 어떻게 철학적으로 탐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수상은 결과가 아니라 시작이다.”

이 문장은 A24의 존재 방식에 대한 함축적 정의이자, 본 큐레이션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단순히 어떤 작품이 주목받았는지가 아닌, 그 영화가 어떤 감정을 사회와 공유했는가, 어떤 정체성을 드러냈는가, 어떤 시대를 기억하게 했는가를 묻는 것이다.


내용: 시대를 포착하는 시맨틱 큐레이션의 출발


1. A24와 그 작품들에 대하여


✶ 어떤 영화들이 수상을 받았을까?

A24는 단순한 인디 레이블을 넘어, 아카데미골든글로브 같은 세계적인 시상식에서 꾸준히 인정받으며 독자적인 입지를 굳혀왔다. 다음은 그 대표적인 수상작과 수상 내역이다.

A24 수상작 목록
영화 수상 부문 수상자 수상식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각본상, 편집상 Michelle Yeoh, Ke Huy Quan, Jamie Lee Curtis, Daniels 아카데미시상식2023
Moonlight 작품상, 남우조연상, 각색상 Barry Jenkins, Mahershala Ali 아카데미시상식2017
The Whale 남우주연상, 분장상 Brendan Fraser 아카데미시상식2023
Minari 여우조연상 Youn Yuh-jung 아카데미시상식2021
If Beale Street Could Talk 여우조연상 Regina King 아카데미시상식2019
Room 여우주연상 Brie Larson 아카데미시상식2016
Lady Bird 작품상(코미디), 여우주연상(코미디) Saoirse Ronan 골든글로브시상식2018
Ex Machina 시각효과상 제작진 아카데미시상식2016
Swiss Army Man 관객상, 심사위원상 Daniel Kwan & Daniel Scheinert 선댄스영화제2016
Midsommar 여우주연상(영국/아일랜드 부문) Florence Pugh 오디세이상시상식2019
  • 주목할 점: A24는 2016년 이후 매해 꾸준히 아카데미 수상작을 배출하고 있으며, 특히 감정과 정체성 중심의 서사가 두드러지는 영화들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어떠한 정체성과 주제를 많이 활용했을까?

A24의 수상작들은 소외된 정체성, 자기 탐색, 세대 갈등 같은 심리적・사회적 주제를 반복적으로 활용해왔다. 다음 표는 그 주제-정체성-캐릭터 구조의 주요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A24 수상작의 주제 및 정체성 테마 정리
영화 주요 주제 정체성 테마 대표 캐릭터
Moonlight 성장, 사회적 소외 성정체성, 흑인청소년 Chiron
The Whale 가족갈등, 신체 이미지 자기혐오 Charlie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성장, 다중자아, 세대갈등 자아탐색, 이민자정체성 Evelyn
Lady Bird 성장, 가족갈등, 모녀갈등 자아탐색 Christine
Minari 가족갈등 이민자정체성, 문화충돌 Jacob, Monica
Hereditary 가족갈등, 트라우마 불안정한 가족 Annie
Room 가족, 고립 여성의 생존 정체성 Joy (Ma)
Ex Machina 인간성, 기술윤리 존재론적 자아, 인공지능 정체성 Ava

✶ 어떤 감정으로 이어졌을까?

A24의 영화는 관객에게 강한 정서적 울림을 남긴다. 감정은 영화가 시대와 소통하는 비언어적 코드이며, 본 프로젝트는 그 감정의 패턴을 분석하여 정체성과 서사의 교차 지점을 감각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감정별 해당 작품
감정 대표 영화
멜랑콜리 Moonlight
고립 The Whale, Hereditary, Room
해방감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Lady Bird
불안 Lady Bird, Hereditary, Room
향수 Minari, Room
공포 Hereditary
희망 Minari, Room
씁쓸한 여운 Lady Bird,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긴장감 Ex Machina,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존재적 불안 Ex Machina


2. 인문학적 고찰


『 이 시맨틱 네트워크는 단순히 영화 정보를 연결하는 것이 아닌, A24의 작품이 시대와 개인을 감정과 정체성으로 어떻게 연결짓는지를 구조적으로 보여주는 인문학적 툴이다. 』

• 어떤 영화들이 동일한 정체성이 드러나는 캐릭터를 공유하는가?

• 주제는 특정 감정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 어떠한 제작사와 많이 협업하였는가?

• 하나의 인물이 다수의 작품에서 어떻게 기능하는가?

• 제작사는 어떤 정체성/주제와 자주 연결되는가?

✶ 위 질문들은 곧, "A24의 렌즈는 시대를 어떻게 담아내는가?"라는 이 프로젝트의 본질적 질문으로 이어진다.


3. 시맨틱 스토리텔링


A24의 영화는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다. 감정, 정체성, 그리고 시대라는 거울을 통해 구성된 시맨틱한 서사 설계이자, 사회를 관찰하는 정서적 기술이다.


♦ 독립영화 제작사 A24의 마케팅 전략?
→ A24는 예고편, 포스터, 온라인 인터뷰마저도 정체성 서사의 일부로 만든다. 콘텐츠 외부까지 서사화하여, 감정적 연결을 마케팅 전략으로 확장한다.



♦ 신생 제작사에게 수상이 의미하는 바?
→ 수상은 단지 결과가 아니라, 특정 감정과 정체성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신호이다. A24에게 ‘수상’은 시대와 공명한 정체성의 순간이다.


4. 온톨로지

✶ 클래스

클래스 사용 이유: 아래 클래스들은 A24 시맨틱 그래프의 구조를 구성하는 핵심 범주로, 모든 노드와 릴레이션의 기반이 됩니다. 시각화 그래프 안에서도 색상과 모양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의미적 직관성과 구조적 설득력을 함께 확보합니다.

Class 정의 및 시각적 분류
Class (클래스) 색상 모양 설명 예시
Work (작품) pink ellipse A24에서 제작된 영화. 모든 연결의 중심 허브. Moonlight, Minari
Character (캐릭터) gold box 영화 속 등장인물. 감정과 정체성의 중계자. Chiron, Evelyn
Person (인물) orange triangle 배우 및 감독 등 실제 인물. 창작자 연결고리. Greta Gerwig, Michelle Yeoh
Organization (제작사) purple circle 제작/배급 등 창작 주체. 브랜드 및 협업 의미 구조. A24, Plan B
Award (수상) gray box 영화가 받은 구체적 상. 사회적 인정 지표. 아카데미작품상2023
AwardEvent (수상행사) dark gray circle 수상식 명칭 (연도 포함). 아카데미시상식2023
Theme (주제) green box 서사의 중심 갈등 및 주제. 가족갈등, 문화충돌
Identity (정체성) brown ellipse 자아 및 사회적 위치. 반복적으로 등장. 성정체성, 이민자정체성
Emotion (감정) red diamond 작품이 유발하는 정서. 시대 감수성과 연결됨. 멜랑콜리, 고립
Concept (개념) teal box 메타 키워드. 브랜드/사회철학/윤리 등. 자기혐오, 감정기반_브랜딩
Place (장소) blue hexagon 작품의 배경 공간 혹은 인물의 유래지. Arkansas, Florida State University
Platform (플랫폼) gray ellipse SNS 및 콘텐츠 유통 경로. Instagram, TikTok
Product (상품) orange box 포스터북, 굿즈 등 부가 콘텐츠. ScreenplayBook
Program (프로그램) light blue ellipse A24의 브랜드 프로그램. AAA24

✶ 노드 설명

✶ Work: 작품 노드
설명: 시맨틱 네트워크의 중심. 감정, 정체성, 수상, 인물 등 다양한 클래스와의 연결축이 됩니다.
사용된 노드: Moonlight, If_Beale_Street_Could_Talk, The_Whale, Stranger_Things, Everything_Everywhere_All_At_Once, Swiss_Army_Man, Lady_Bird, Hereditary, Midsommar, Minari

✶ Character: 캐릭터 노드
설명: 감정과 정체성을 직접적으로 체현하는 내러티브 주체입니다.
사용된 노드: Chiron, Charlie, Evelyn_Wang, Waymond_Wang, Christine_Lady_Bird, Annie_Graham, Jacob_Yi, Monica_Yi, David_Yi

✶ Person: 실제 인물 노드
설명: 배우, 감독 등 현실의 창작자로, 주제적 연속성과 연출 철학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사용된 노드: Barry_Jenkins, Alex_R_Hibbert, Mahershala_Ali, Naomie_Harris, Janelle_Monae, Darren_Aronofsky, Brendan_Fraser, Sadie_Sink, Daniel_Kwan_And_Daniel_Scheinert, Michelle_Yeoh, Ke_Huy_Quan, Jamie_Lee_Curtis, Greta_Gerwig, Saoirse_Ronan, Laurie_Metcalf, Ari_Aster, Toni_Collette, Alex_Wolff, Lee_Isaac_Chung, Steven_Yeun, Han_Ye-ri, Youn_Yuh-jung

✶ Organization: 제작사/배급사 노드
설명: A24를 비롯한 파트너 스튜디오들이 포함되어, 제작 네트워크를 나타냅니다.
사용된 노드: A24, Plan_B_Entertainment, A24_Television, Apple_TV_Plus

✶ Theme: 주제 노드
설명: 이야기 구조와 서사의 중심 갈등을 나타냅니다.
사용된 노드: 성장, 가족, 가족_갈등, 모녀_갈등, 불안정한_가족, 트라우마, 악마주의, 문화_충돌, 꿈과_현실, 우주_혼란, 자기혐오, 창의성우선전략, SNS마케팅, 문화적확장성

✶ Identity: 정체성 노드
설명: 인물과 서사를 통해 드러나는 사회적/심리적 자아의 위치입니다.
사용된 노드: 성_정체성, 이민자_정체성, 흑인_청소년, 다중_자아, 자아_탐색, 신체_이미지, 사회적_소외, 세대_갈등

✶ Emotion: 감정 노드
설명: 영화가 전달하는 감정 구조를 표현하며, 주제와 정체성을 연결하는 감각적 매개입니다.
사용된 노드: 멜랑콜리, 슬픔, 고립, 용서, 해방감, 불안, 공포, 갈등, 씁쓸한_여운, 향수, 불안정, 희망

✶ Concept: 개념 노드
설명: 감정/정체성을 넘어선 철학적 개념, 혹은 브랜드/문화 전략을 요약한 노드입니다.
사용된 노드: 감정기반_브랜딩, 팬덤중심_마케팅, 감성소비, 브랜드충성도

✶ Award / AwardEvent: 수상 노드
설명: 외부 제도권의 인정을 나타냅니다. 작품의 사회적 파급력과 제도적 가치 부여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사용된 노드: 아카데미_작품상_2017, 아카데미_남우조연상_2017, 아카데미_여우조연상_2021, 아카데미_작품상_2023, 아카데미_남우주연상_2023, 아카데미_여우주연상_2023, 아카데미_시상식_2017, 아카데미_시상식_2021, 아카데미_시상식_2023

✶ Place: 장소 노드
설명: 작품 내 배경 또는 인물의 출신지를 나타냅니다.
사용된 노드: Florida_State_University, Arkansas

✶ Platform: 플랫폼 노드
설명: 디지털 유통 및 홍보 채널을 나타냅니다.
사용된 노드: Instagram, YouTube, TikTok, A24_공식웹사이트

✶ Product: 상품 노드
설명: A24 브랜드의 문화 확장 물품입니다.
사용된 노드: A24_스크립트북, A24_포스터북, A24_굿즈세트, 팬멤버십키트

✶ Program: 프로그램 노드
설명: A24가 운영하는 장기적 팬덤 운영 전략 또는 커뮤니티 중심 활동입니다.
사용된 노드: AAA24



✶ 릴레이션 구조와 연결 방식

"A24의 시맨틱 네트워크에서 ‘릴레이션’은 단순한 연결이 아니라, 감정이 캐릭터를 통해 주제로 흘러가는 내러티브의 경로."

• 노드를 통해 작품 내 감정과 주제를 탐색하는 흐름
→ 예: Brendan Fraser는 The Whale에서 ‘자기혐오’와 ‘고립’을 경험하며 ‘가족갈등’이라는 주제를 탐색한다.


Relation 종류 및 예시
관계어 대상 예시
등장한다 등장인물 – 작품 Chiron Moonlight 등장한다
출연했다 인물 – 작품 MichelleYeoh EverythingEverywhere 출연했다
감독이다 인물 – 작품 GretaGerwig LadyBird 감독이다
제작했다 제작사 – 작품 A24 Moonlight 제작했다
공동제작했다 제작사 – 작품 PlanB Minari 공동제작했다
수상했다 작품 – 상 Moonlight 아카데미작품상2017 수상했다
수상행사이다 작품 – 수상행사 TheWhale 아카데미시상식2023 수상행사이다
주제를_포함한다 작품 – 주제 Moonlight 성장 주제를_포함한다
주제를_탐색한다 등장인물 – 정체성/주제 Chiron 성정체성 주제를_탐색한다
감정을_불러일으킨다 작품 – 감정 LadyBird 해방감 감정을_불러일으킨다


5. 네트워크 그래프

✶ 시맨틱 네트워크 설명

아래 그래프는 A24 수상작들을 중심으로 구성한 정체성 기반 시맨틱 네트워크이다. 이 구조는 단순한 영화 정보망이 아니라, A24 세계관의 내러티브와 감정, 창작자들의 연계성을 시각적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 연결 전략 요약

  1. 중심 노드: Work → 각 영화는 시맨틱 네트워크의 허브로, 등장인물・감정・주제・감독 등 다양한 노드를 유기적으로 연결.

  2. Theme & Identity 클러스터 → ‘이민자 정체성’, ‘성장’, ‘문화충돌’과 같은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작품 간 내러티브 유사성 시각화.

  3. Emotion 노드 → ‘불안’, ‘향수’, ‘고립’, ‘희망’ 등의 감정을 중심으로 감정 서사를 확장하고, 작품들이 유발하는 정서의 흐름을 정제된 노드로 표현.

  4. 협업 및 경력 경로 → 감독 – 작품 – 수상 – 제작사 – 출신학교 등 창작자의 커리어 트래킹 가능하도록 관계형 구조 설계.

캐릭터 – 감정 – 주제 – 수상 – 감독 – 제작사 등 모든 노드는 작품을 둘러싼 다층적이고 교차적인 의미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