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립영화 제작사 A24의 마케팅 전략?
목차
내용
◆ A24는 어떻게 신생 제작사에서 브랜드가 되었는가? ◆
"우리는 영화가 아니라, 감각을 팔고 있다. A24의 진짜 상품은 그들이 만들어낸 ‘경험’이다."
Ⅰ. 제작사에서 브랜드로
A24는 단순히 콘텐츠를 유통하는 제작사가 아니다. 그 자체가 '감각 있는 브랜드'로 소비된다.[1]
- 로고 하나만으로 관객의 신뢰를 이끄는 제작사
- 대중은 배우보다 브랜드를 먼저 기억한다
- 소비자는 A24의 ‘작품’이 아니라, A24의 ‘감성’을 소비한다
“A24는 하나의 로고가 힙스터들의 감성 그 자체가 된 드문 사례다.”
→ A24는 ‘브랜드’를 감정자산으로 전환해, 브랜드에 대한 충성심 및 영화를 매개로 다양한 상품까지도 사고 팔 수 있는 제작사가 되었다.
Ⅱ. 스타 대신 신인, 블록버스터 대신 리스크 감수
- 대부분의 제작사가 스타 캐스팅, 시리즈물로 수익 안정성을 확보하려 할 때, A24는 반대로 움직였다.
- 감독들에게 새로운 것을 찍는다는 이유만으로 과감하게 기회를 열어줬다. 예로 단편 영화만 찍어봤던 아리 에스터 감독에게 '미드소마'의 전권을 위임했고, '엑스 마키나'의 알렉스 가랜드 감독에게 데뷔작임에도 막대한 지원을 했다.
-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를 제작한 다니엘스의 장편 데뷔작인 '스위스 아미맨'은 선댄스 영화제에서 상영 후 난해한 주제로 평가가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A24는 과감하게 다가갔고, 그 결과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가 탄생한 것이다.
일반 제작사 | A24 |
---|---|
흥행 보장 배우 중심 | 감독 중심의 작가주의 전략 |
시리즈물 중심의 IP 반복 | 단발성 프로젝트, 장르 실험 |
제작비 1억 달러 이상 | 평균 제작비 1천만 달러 이하 |
→ ‘안정성’보다 ‘창의성’을 우선했고, 결과는 흥행과 비평 모두에서 인정받았다. 그러면서도 제작비를 분산투자함으로써 흥행실패에 대한 위험을 줄이는 전략을 선택하고 있다.
Ⅲ. SNS를 적극 활용한 마케팅 전략
- A24는 전통적인 마케팅 전략 대신 SNS와 커뮤니티를 활용한 전략으로,인플루언서·Z세대·밀레니얼에게 도달하는 방식의 혁신을 이루었다.
- 기존의 메이저 영화사였던 워너브라더스, 유니버셜, 파라마운트, 콜롬비아, 21세기폭스 등은 흥행가능성이 있는 영화를 제작하는 데에 신경쓰고, 배급에 초점을 맞췄다. 또한 마케팅은 대형 미디어에 노출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는데, A24는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을 10년전에 먼저 시도했다고 할 수 있다.
- A24는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2013년 페이스북을 통해 실험함
2013년 미국에서 개봉한 <Spring Breakers>가 매우 흥행했는데, 페이스북에 올린 '최후의 만찬' 패러디 이미지 하나로 당시 60만건의 좋아요와 1억 7,400만 건의 노출을 기록하며 1020세대에게 큰 환호를 받았다고 한다.[2]
- 인스타그램 → 감성 포스터 & 예고편 티저 - 유튜브 → 감독 인터뷰 및 단편, 팟캐스트 등 - TikTok → 밈(밈화된 공포/로맨스 클립) 중심 콘텐츠 확산
“소셜미디어는 A24가 직접 팬과 교감하고 브랜드를 확산하는 마케팅 플랫폼이다.” — Cine21, 김혜리 기자
→ 전통적인 광고가 아닌 소셜미디어 중심의 친근한 접근으로, 소비자를 팬으로 바꾸는 마케팅을 설계했다.
Ⅳ. 팬덤 마케팅
A24는 콘텐츠 자체에서 끝나지 않고, 굿즈와 출판물로 브랜드 경험을 확장했다. AAA24 멤버십 혜택[1]은 A24 영화 및 상품에 대한 조기 접근, 할인, 독점 상품 제공, 연간 잡지 발송 등 다양한 혜택을 포함합니다. 구체적으로 영화 티켓, 매달 상품 구매 크레딧, 생일 선물, 10% 할인, 연간 잡지 구독, 독점 상품, VIP 혜택 등이 있습니다. [3]
- 대표 굿즈:
* 각 영화의 스크린플레이 북 * 포스터 아트북, 캔들, 의류, 모자, 스티커,컵, 우산 등 * 팬이 직접 소비를 넘어 영화를 ‘소유’하고 싶게끔 설계
굿즈는 멤버쉽 회원일 경우 할인을 제공한다.
→ 팬덤을 정서적 자산으로 연결한 대표적 사례.
Ⅴ. 콘텐츠 전략의 다각화와 미래 확장성
A24는 OTT, 텔레비전, 라이선싱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며, 미래 확장에 대비했다.
- Apple TV+, Showtime 등과 공동 제작 (해녀콘텐츠 아래 첨부) - A24 Television 부문 설립 - 오프라인 상영전, 팬 커뮤니티 이메일 운영, 웹 기반 단편 상영관 운영
“우리는 극장 밖에서도 A24를 경험할 수 있게 한다.” — A24 마케팅 부문 인터뷰 중
→ A24는 ‘콘텐츠 중심의 제작사’가 아닌, ‘문화 브랜딩 기업’으로 변모 중이다.
◆. 관련 이미지 예시
◆. 관련 영상 자료
◆ A24 마케팅관련 네트워크 그래프 ◆
참고자료
각주
- ↑ 씨네21, “A24 전략 분석”, https://www.cine21.com/news/view/?mag_id=101413
- ↑ https://contently.com/2013/09/30/the-mystery-genius-behind-a24s-hilarious-content-reveals-how-to-break-all-the-rules-nd-get-away-with-it/
- ↑ https://shop.a24films.com/products/aaa24-membership
-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24_logo.svg
- ↑ https://shop.a24films.com/
- ↑ https://shop.a24films.com/products/aaa24-membership
- ↑ https://tv.apple.com/kr/movie/%E1%84%86%E1%85%A1%E1%84%8C%E1%85%B5%E1%84%86%E1%85%A1%E1%86%A8-%E1%84%92%E1%85%A2%E1%84%82%E1%85%A7%E1%84%83%E1%85%B3%E1%86%AF---the-last-of-the-sea-women/umc.cmc.2ifcc56qkxiso1w9k6qwv8a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