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제작사=[[HQ팀]]    | |제작사=[[HQ팀]]    | ||
|플랫폼=PC  | |플랫폼=PC  | ||
| − | |사업모델=  | + | |사업모델=유료판매(패키지)  | 
}}  | }}  | ||
2017년 6월 19일 (월) 21:15 판
| 게임 소개 | |
|---|---|
  
 | |
| 타이틀 | 임진록(영웅전쟁), 임진록2 | 
| 장르 | RTS | 
| 제작사 | HQ팀 | 
| 출시일 | 1998년 1월 | 
| 플랫폼 | PC | 
| 사업모델 | 유료판매(패키지) | 
게임 소개
임진록 (영웅전쟁)
출시 당시 많은 호평을 받은 작품이다. 블리자드의 스타크래프트라는 어마무시한 RTS게임이 한국 시장을 휘어잡고있을 때, 바람같이 등장하여 활약을 한 국내산 RTS게임이다.
임진록이 나올 시기에는 컴퓨터가 좋아야 스타크래프트를 할 수 있었는데, 스타크래프트를 즐길 수 있는 사람들도 임진록 CD를 가진 사람에게 빌려달라고 졸랐을 정도로 꽤 유명했다.
임진왜란의 역사를 담고 있으며 조선과 왜(일본)으로 플레이가 가능하다. 크게 가상시나리오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해 만들어진 사실시나리오가 있다.
임진록 2
임진왜란의 역사를 담고 있으며 조선과 왜(일본) 그리고 명으로 플레이가 가능하다. 자연적인 것들이 추가되어 전작보다 재미 요소가 더해지고, 게임그래픽이 향상되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장수 시스템으로, 권율, 이순신 등 영웅을 유닛처럼 움직이며 전투에 참가시킬 수 있었다.
임진록 2는 각 국가별 8장의 시나리오(명은 7장의 시나리오)로 총 23개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있다. 임진왜란의 발발부터 노량해전까지 역사적사실에 근거해 만들어졋다
영상
기여
- 정우림: 처음작성
 
게임 장르별 세계관 및 그 속의 클리셰
Class
| 클래스 | 노드 | 
|---|---|
| 장르 | FPS, RPG, MMORPG, MOBA, 전략게임, RTS, TBS, 밀리터리 FPS, 하이퍼 FPS | 
| 게임 타이틀명 | 오버워치, 퀘이크 시리즈, 콜 오브 듀티 시리즈, 배틀필드 시리즈, 마비노기, WOW, 블레이드 & 소울, 파이널 판타지14,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리그 오브 레전드, 사이퍼즈, 스타크래프트, 임진록,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시드 마이어의 문명, 하이퍼유니버스 | 
| 제작사 | 블리자드, 스퀘어 에닉스, 넥슨, NC 소프트, 네오플, 라이엇 게임즈, HQ팀, 뉴 월드 컴퓨팅, 파이락시스 게임즈, 이드 소프트웨어, 액티비전, EA | 
| 클리셰 요소 | 세계관, 시스템, 인터페이스, 주인공, 직업군, 등장인물, 게임의 진행, 유닛 밸런스 | 
Relation
| 관계어 | 노드 | 
|---|---|
| 은 -을 하위장르로 가진다. | 전략게임 → RTS | 
| 은 -을 하위장르로 가진다. | 전략게임 → TBS | 
| 은 ~을 하위장르로 가진다. | FPS → 밀리터리 FPS | 
| 은 ~을 하위장르로 가진다. | FPS → 하이퍼 FPS | 
| 은 ~을 하위장르로 가진다. | RPG → MMORPG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RTS → 스타크래프트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RTS → 임진록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TBS →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TBS → 시드 마이어의 문명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밀리터리 FPS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밀리터리 FPS → 배틀필드 시리즈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하이퍼 FPS → 오버워치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하이퍼 FPS → 퀘이크 시리즈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MMORPG → 마비노기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MMORPG → WOW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MMORPG → 블레이드 & 소울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MMORPG → 파이널 판타지14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AOS → 리그 오브 레전드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AOS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AOS → 사이퍼즈 | 
| 의 대표 게임은 -이다. | AOS → 하이퍼유니버스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액티비전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배틀필드 시리즈 → EA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퀘이크 시리즈 → 이드 소프트웨어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오버워치 → 블리자드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스타크래프트 → 블리자드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임진록 → HQ팀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 뉴 월드 컴퓨팅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시드 마이어의 문명 → 파이락시스 게임즈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마비노기 → 넥슨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WOW → 블리자드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블레이드 & 소울 → NC소프트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파이널 판타지14 → 스퀘어 에닉스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 라이엇 게임즈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블리자드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사이퍼즈 → 네오플 | 
| 은 -제작사에서 만들었다. | 하이퍼유니버스 → 넥슨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FPS → 세계관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FPS → 인터페이스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FPS → 시스템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FPS → 주인공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FPS → 직업군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RPG → 세계관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RPG → 시스템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RPG → 인터페이스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RPG → 주인공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RPG → 직업군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전략게임 → 세계관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전략게임 → 시스템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전략게임 → 인터페이스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전략게임 → 게임의 진행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전략게임 → 유닛 밸런스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AOS → 세계관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AOS → 인터페이스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AOS → 시스템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AOS → 등장인물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AOS → 게임의 진행 | 
| 은 -의 클리셰를 가진다. | AOS → 직업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