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Knuch 2024-2 디지털유산프로젝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새 문서: ==강좌 개요== * 강좌명 : '''디지털유산프로젝트''' * 강의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C동 통합전산실습실...)
 
(실습 도구)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1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강좌 개요==
 
==강좌 개요==
 
* 강좌명 : '''디지털유산프로젝트'''
 
* 강좌명 : '''디지털유산프로젝트'''
 
* 강의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C동 통합전산실습실1
 
* 강의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C동 통합전산실습실1
 
* 강의 시간 : 수요일 10:00-13:00
 
* 강의 시간 : 수요일 10:00-13:00
* 담당 강사 : 김현승 (koreandressdhedu@gmail.com)
+
* 담당 강사 : [[김현승]] (koreandressdhedu@gmail.com)
 
<br/>
 
<br/>
  
 
==교육 목표==
 
==교육 목표==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width:100%"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width:100%"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인문지식을 탐구하고, 이를 디지털 세상에서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함께 협업하며 탐구할 수 있는 위키 플랫폼을 통해 각 분야의 인문학 지식 정보 속에서 그 의미적 연관 관계를 추적하여 인문융합 성격의 디지털 콘텐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전통 인문지식을 탐구하고, 이를 디지털 환경에서 적용 및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위키 플랫폼에서 협업을 통해 각 분야의 인문학 지식 의미적 연관성을 추적하여 인문융합형 디지털 콘텐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
<br/>
 +
 
 +
==일정==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
! 차수 || 날짜 || 교육내용 || 교재/참고자료
 +
|-
 +
| 1 || 2024/09/04 || OT ||
 +
|-
 +
| 2 || 2024/09/11 || [https://www.heritage-korea.com/main.php 경주 산업전 답사] ||
 +
|-
 +
| 3 || 2024/09/18 || 휴강(추석 연휴)<br/> <font color="orange">'''☞ 보강''' : 12월 12일 목요일 저녁시간(정확한 시간대는 추후 공지) Zoom 온라인 강의실</font> ||
 +
|-
 +
| 4 || 2024/09/25 || 위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공동 연구 수행 관리 사례 분석 ||
 +
|-
 +
| 5 || 2024/10/02 || '''[특강]''' 《연구·개발(R&D) 프로젝트의 이해 (1)》 <br/>([https://dh.aks.ac.kr/Edu/wiki/index.php/김바로 김바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과 교수) ||
 +
|-
 +
| 6 || 2024/10/09 || 휴강(한글날)<br/> <font color="orange">'''☞ 보강''' : 12월 13일 금요일 저녁시간(정확한 시간대는 추후 공지) Zoom 온라인 강의실</font> ||
 +
|-
 +
| 7 || 2024/10/16 || 콘텐츠 서비스 Platform, 콘텐츠 제작 Framework ||
 +
|-
 +
| 8 || 2024/10/23 || '''[특강]''' 《연구·개발(R&D) 프로젝트의 이해 (2)》 <br/>([https://dh.aks.ac.kr/Edu/wiki/index.php/강혜원 강혜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원) ||
 +
|-
 +
| 9 || 2024/10/30 || 프로젝트 주제 선정 및 대상 자원 탐색, 콘텐츠 제작 기술 ||
 +
|-
 +
| 10 || 2024/11/06 ||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실습 (1): 기획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RDProject02.pdf Protege™ 실습 (PDF)]
 +
|-
 +
| 11 || 2024/11/13 ||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실습 (2): 온톨로지 설계 || [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DigitalArchive07.pdf 온톨로지(Ontology) (PDF)]
 +
|-
 +
| 12 || 2024/11/20 ||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실습 (3):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
|-
 +
| 13 || 2024/11/27 ||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실습 (4): 데이터 구조화 및 가공 ||
 +
|-
 +
| 14 || 2024/12/04 ||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실습 (5): 데이터 통합 || [https://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emantic_Network_Data_Management_Studio:_Online_Manual 시맨틱 데이터 관리기 사용 방법]
 +
|-
 +
| 15 || 2024/12/11 ||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실습 (6): 관계망 시각화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Class2024_디지털_큐레이션_도구 디지털 큐레이션 도구]
 +
|-
 +
| 16 || 2024/12/18 || 기말 발표회 || [[샘플:2024디지털유산프로젝트 기말양식 | 기말 발표 양식]]
 +
|-
 
|}
 
|}
 
<br/>
 
<br/>
  
==평가기준==
+
==수강생==
* '''총점''' : 100점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
! 순번 || 학과 || 성명 || 연구 기획안 || 연구 발표문
 +
|-
 +
| 1 || 보존과학과 || [[Knuch:이동주]] || [[Knuch 이동주 연구 기획]] || [[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이동주 | 무령왕릉 유물로 백제 문화 살펴보기]]
 +
|-
 +
| 2 || 융합고고학과 || [[Knuch:박서은]] || [[Knuch 박서은 연구 기획]] || [[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박서은 | 시기로 보는 백제의 이야기]]
 +
|-
 +
| 3 || 무형유산학과 || [[Knuch:박혜주]] || [[Knuch 박혜주 연구 기획]] || [[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박혜주 | 부여의 무형유산]]
 +
|-
 +
| 4 || 무형유산학과 || [[Knuch:이수현]] || [[Knuch 이수현 연구 기획]] || [[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이수현 | 백제시대 공예품과 무형유산]]
 +
|-
 +
| 5 || 융합고고학과 || [[Knuch:이아현]] || [[Knuch 이아현 연구 기획]] || [[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이아현 | 백제세계유산 아카이브]]
 +
|-
 +
| 6 || 융합고고학과 || [[Knuch:최연지]] || [[Knuch 최연지 연구 기획]] || [[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최연지 | 부여 시도유형문화유산의 발견]]
 +
|-
 +
| 7 || 보존과학과 || [[Knuch:송태림]] || [[Knuch 송태림 연구 기획]] || [[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송태림 | 청송심씨 묘 출토 복식 유물 보존처리 과정]]
 +
|-
 +
|}
  
* '''출결''' : 10점
 
** 지각은 -1점. 결석 -2점.
 
** 수업 시작 후 5분 까지는 제시간으로 출석 인정.
 
** 질병 또는 개인 사유로 인한 출결은 학교 규정에 의거하여 처리할 예정. 자세한 내용은 조교 선생님에게 문의.
 
  
 +
[[Knuch 2024-2 디지털유산프로젝트 수강생.lst|{{button|lst 문서|color=blue}}]]</br>
 +
{{NetworkGraph | title=Knuch_2024-2_디지털유산프로젝트_수강생.lst}}
  
* '''실습''' : 30점
+
==평가기준==
** 실습은 수업 참여도를 의미함.
+
<div class="row">
** 내용을 완벽하게 수행하지는 않아도 그 과정을 통해 참여도를 파악할 예정.
+
  <div class="large-6 column">
** 결석자는 해당일의 실습 점수 -1점.
+
<h4 class="subheader"><strong>총점 : 100점</strong></h4>
 +
  </div>
 +
</div>
  
  
* '''기말''' : 30점
+
<div class="row">
** 자세한 내용은 추후 공지
+
  <div class="large-4 columns">
 +
<h4 class="subheader">출결 : 10점</h4>
 +
<p>▪️ 지각은 -1점. 결석 -2점.</p>
 +
<p>▪️ 수업 시작 후 5분 까지는 제시간으로 출석 인정.</p>
 +
<p>▪️ 질병 또는 개인 사유로 인한 출결은 학교 규정에 의거하여 처리할 예정. 자세한 내용은 조교 선생님에게 문의.</p>
 +
  </div>
 +
  <div class="large-4 columns" style="background:#fbfcfc">
 +
<h4 class="subheader">실습 : 30점</h4>
 +
<p>▪️ 실습은 수업 참여도를 의미함.</p>
 +
<p>▪️ 내용을 완벽하게 수행하지는 않아도 그 과정을 통해 참여도를 파악할 예정.</p>
 +
<p>▪️ 결석자는 해당일의 실습 점수 -1점.</p>
 +
<br/>
 +
<br/>
 +
  </div>
 +
  <div class="large-4 columns">
 +
<h4 class="subheader">기말과제 : 30점</h4>
 +
<p>▪️ 자세한 내용은 추후 공지</p>
 +
  </div>
 +
</div>
  
  
* '''과제''' : 30점
+
<div class="row">
** 자세한 평가기준은 과제 출제시 공지 예정 (ex: 양식 엄수, 정보의 양적 or 질적 평가)
+
  <div class="large-4 columns" style="background:#fbfcfc">
 +
<h4 class="subheader">과제 : 30점</h4>
 +
<p>▪️ 자세한 평가기준은 과제 출제시 공지 예정</p>
 +
<p>▪️ ex: 양식 엄수, 정보의 양적 or 질적 평가</p>
 +
<br/>
 +
<br/>
 +
<br/>
 +
<br/>
 +
<br/>
 +
  </div>
 +
  <div class="large-4 columns">
 +
<h4 class="subheader">토론 : 10점</h4>
 +
<p>▪️ 특별점수. 보너스 점수.</p>
 +
<p>▪️ 수업시간에 1회 발언을 할 때마다 1점씩 보너스 점수 부여.</p>
 +
<p>▪️ 매 수업시간마다 1인당 최대 2회, 총 10회 가능.</p>
 +
<p>▪️ 발언 내용은 수업 관련하여 궁금한 점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p>
 +
  </div>
 +
  <div class="large-4 columns" style="background:#fbfcfc">
 +
<h4 class="subheader">대체과제</h4>
 +
<p>▪️ 대체과제는 패스/논패스로 처리.</p>
 +
<p>▪️ 제출기한을 넘기면 수업과 마찬가지로 지각 또는 결석으로 처리함.</p>
 +
<p>▪️ 답사(9/11) 미참여자는 1차 대체과제 제출.</p>
 +
<p>▪️ 휴강(9/18, 10/9) 대체과제는 해당일에 공지 예정.</p>
 +
<p>▪️ 대체과제 미제출자는 <font color="orange">'''보강'''</font>에 참석시 출석으로 인정. 그러나 실습점수는 인정되지 않음.</p>
 +
  </div>
 +
</div>
  
  
* '''토론''' : 10점
+
<html>
** 특별점수. 보너스 점수.
+
<ul class="tabs" data-tab>
** 수업시간에 1회 발언을 할 때마다 1점씩 보너스 점수 부여.  
+
  <li class="tab-title"><a href="#panel1"><b>1차 대체과제 안내</b></a></li>
** 매 수업시간마다 1인당 최대 2회, 총 10회 가능.
+
  <li class="tab-title"><a href="#panel2"><b>2차 대체과제 안내</b></a></li>
** 발언 내용은 수업 관련하여 궁금한 점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
+
  <li class="tab-title active"><a href="#panel3"><b>3차 대체과제 안내</b></a></li>
 +
</ul>
 +
<div class="tabs-content">
 +
  <div class="content" style="background:#fbfcfc; padding-left:10px" id="panel1">
 +
    <p>▪️ 아래의 글을 모두 읽고 소감문을 양식에 맞게 작성하여 기한 내에 제출.</p>
 +
    <p>▪️ 김현·임영상·김바로, 『디지털 인문학 입문』, HUEBooks, 2016.📖</p>
 +
    <p>&nbsp;&nbsp;&nbsp;▫️ <a href="http://digerati.aks.ac.kr/paper/I2DH/I2DH0101.pdf">제1편-I.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a> (1~18쪽)</p>
 +
    <p>&nbsp;&nbsp;&nbsp;▫️ <a href="http://digerati.aks.ac.kr/paper/I2DH/I2DH0201.pdf">제2편-I. 인문정보학이란 무엇인가?</a> (1~7쪽)</p>
 +
    <p>&nbsp;&nbsp;&nbsp;▫️ <a href="http://digerati.aks.ac.kr/paper/I2DH/I2DH0302.pdf">제3편-Ⅱ. 디지털 인문학의 한국적 전개 - Ⅱ-1. 한국 디지털 인문학의 성장 배경</a> (1~25쪽)</p>
 +
    <p>▪️ 제출기한</p>
 +
    <p>&nbsp;&nbsp;&nbsp;▫️ 9월 17일 23:55 까지 제출해야 패스 및 출석으로 인정.</p>
 +
    <p>&nbsp;&nbsp;&nbsp;▫️ 9월 18일 09:00 까지 제출하면 지각으로 1점 감점.</p>
 +
    <p>&nbsp;&nbsp;&nbsp;▫️ 이후는 결석으로 2점 감점.</p>
 +
    <p>▪️ 제출 : 김현승 이메일(koreandressdhedu@gmail.com)로 제출.</p>
 +
    <p>▪️ 분량 : A4 1장 이내</p>
 +
    <p>▪️ 양식 : <a href="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knuch_대체과제_양식.hwp">hwp</a> 또는 <a href="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knuch_대체과제_양식.docx">docx</a> 다운로드</p>
 +
  </div>
 +
  <div class="content" style="background:#fbfcfc; padding-left:10px" id="panel2">
 +
    <p>▪️ 아래의 글을 모두 읽고 소감문을 양식에 맞게 작성하여 기한 내에 제출.</p>
 +
    <p>▪️ <a href="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92963">김지선·장문석·류인태, 「공유와 협업의 글쓰기 플랫폼, 위키」, 『한국학연구』6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a>📖</p>
 +
    <p>▪️ 제출기한</p>
 +
    <p>&nbsp;&nbsp;&nbsp;▫️ 9월 24일 23:55 까지 제출해야 패스 및 출석으로 인정.</p>
 +
    <p>&nbsp;&nbsp;&nbsp;▫️ 9월 25일 09:00 까지 제출하면 지각으로 1점 감점.</p>
 +
    <p>&nbsp;&nbsp;&nbsp;▫️ 이후는 결석으로 2점 감점.</p>
 +
    <p>▪️ 제출 : 김현승 이메일(koreandressdhedu@gmail.com)로 제출.</p>
 +
    <p>▪️ 분량 : A4 1장 이내</p>
 +
    <p>▪️ 양식 : <a href="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knuch_대체과제_양식.hwp">hwp</a> 또는 <a href="https://dh.aks.ac.kr/~hyunseung/document/2024knuch_대체과제_양식.docx">docx</a> 다운로드</p>
 +
  </div>
 +
  <div class="content active" style="background:#fbfcfc; padding-left:10px" id="panel3">
 +
    <p>▪️ <a href="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Knuch_김인문_연구_기획">Knuch 김인문 연구 기획</a><font color="purple"><sup>sample</sup></font></p>
 +
    <p>▪️ 위의 샘플을 따라서 각자 본인의 위키 문서 만들기.</p>
 +
    <p>▪️ 제출기한 : 10월 9일 23:59 까지 문서가 작성되어 있어야 출석으로 인정</p>
 +
  </div>
 +
</div>
 +
</html>
  
  
* '''대체과제'''
+
==과제==
** 대체과제는 패스/논패스로 처리.
+
🔶 데이터 탐색
** 제출기한을 넘기면 수업과 마찬가지로 지각 또는 결석으로 처리함.
+
:🔸연구 기획서 내에 표로 정리 ([[샘플:20241113:항목탐색]])
** 답사(9/11) 미참여자는 1차 대체과제 제출.
+
:🔸데이터.lst 로 시각화
** 휴강(9/18, 10/9) 대체과제는 해당일에 공지 예정.
+
:🔸기존 데이터 수정 보완
  
 +
* [[Knuch20241120 데이터 피드백A]]
 +
* [[Knuch20241127 데이터 피드백A]]
  
* '''1차 대체과제 안내'''
 
**제출기한
 
***9월 17일 23:55 까지 제출해야 패스 및 출석으로 인정.
 
***9월 18일 09:00 까지 제출하면 지각으로 1점 감점.
 
***이후는 결석으로 2점 감점.
 
** 분량 : A4 1장 내외
 
** 양식 :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대체과제_양식.hwp hwp] 또는 [https://dh.aks.ac.kr/~hyunseung/edu/2024knuch_대체과제_양식.docx docx] 다운로드
 
** 아래의 글을 모두 읽고 소감문을 양식에 맞게 작성하여 기한 내에 제출.
 
#김현·임영상·김바로, 『디지털 인문학 입문』, HUEBooks, 2016.
 
##[http://digerati.aks.ac.kr/paper/I2DH/I2DH0101.pdf 제1편-I.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1~18쪽)
 
##[http://digerati.aks.ac.kr/paper/I2DH/I2DH0201.pdf 제2편-I. 인문정보학이란 무엇인가?] (1~7쪽)
 
##[http://digerati.aks.ac.kr/paper/I2DH/I2DH0302.pdf 제3편-Ⅱ. 디지털 인문학의 한국적 전개 / Ⅱ-1. 한국 디지털 인문학의 성장 배경] (1~25쪽)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92963 김지선·장문석·류인태, 「공유와 협업의 글쓰기 플랫폼, 위키」, 『한국학연구』6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
🔶 핵심항목 위키문서 만들기 4건 이상
 +
:🔸[[예시:창경궁 통명전]]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분류:명함 명함 틀 모음]
  
* '''2차/3차 대체과제 안내'''
 
** 소개하는 영상 2건 + 개인이 뽑은 영상 1건 이상 시청 or 읽고 싶은 논문/단행본 리딩.
 
** 간략한 소감문과 개인이 뽑은 영상 or 논문/단행본 출처 적어서 제출.
 
  
 +
🔶 네트워크 그래프에 사용할 아이콘으로 넣고 싶은 이미지가 있다면 파일을 정리하여 김현승 메일로 제출 (koreandressdhedu@gmail.com)
 +
:🔸 노드 id 와 이미지 파일명 동일하게 하기
 +
<br/>
 +
<br/>
  
==일정==
+
==실습==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98%; word-break:break-all;"
+
===Network Graph===
! 차수 || 날짜 || 교육내용 || 교재/참고자료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
! 성명 || 1차-튜토리얼 || 1차-개인 데이터 || 2차-온톨로지
 
|-
 
|-
| 1 || 2024/09/04 || OT ||  
+
| [[Knuch:이동주]] || [[실습:20241106:이동주.lst]] || [[Knuch이동주 데이터.lst]] || [[Knuch이동주 온톨로지.lst]]
 
|-
 
|-
| 2 || 2024/09/11 || 경주 답사 ||  
+
| [[Knuch:박서은]] || [[실습:20241106:박서은.lst]] || [[Knuch박서은_데이터]] || [[Knuch 박서은 온톨로지.lst]]
 
|-
 
|-
| 3 || 2024/09/18 || 휴강(추석 연휴) ||  
+
| [[Knuch:박혜주]] || [[실습:20241106:박혜주.lst]] || [[Knuch박혜주 데이터.lst]] || [[Knuch 박혜주 온톨로지.lst]]
 
|-
 
|-
| 4 || 2024/09/25 || 콘텐츠 서비스 Platform, 콘텐츠 제작 Framework ||  
+
| [[Knuch:이수현]] || [[실습:20221113:이수현.lst]] || [[Knuch이수현 데이터.lst]] || [[Knuch이수현 온톨로지.lst]]
 
|-
 
|-
| 5 || 2024/10/02 || 프로젝트 주제 선정 및 대상 자원 탐색 ||  
+
| [[Knuch:이아현]] || || [[Knuch이아현 데이터.lst]] || [[Knuch이아현 온톨로지.lst]]
 
|-
 
|-
| 6 || 2024/10/09 || 휴강(한글날) ||  
+
| [[Knuch:최연지]] || || [[Knuch:최연지 데이터.lst]] || [[Knuch최연지 온톨로지.lst]]
 
|-
 
|-
| 7 || 2024/10/16 || 대상 자원 목록 및 관계성 조사 ||  
+
| [[Knuch:송태림]] || [[실습:20241106:송태림.lst]] || [[Knuch송태림 데이터.lst]] || [[Knuch송태림 온톨로지.lst]]
 
|-
 
|-
| 8 || 2024/10/23 || 아이디어 맵 작성, 검증, 보완 ||  
+
|}
 +
 
 +
* 1차시 실습 [[샘플:20241106:온톨로지 설계.lst]] <font color="purple"><sup><b>Sample</b></sup></font>
 +
* 2차시 실습 [[샘플:20241113:온톨로지 설계.lst]] <font color="purple"><sup><b>Sample</b></sup></font>
 +
<br/>
 +
<br/>
 +
 
 +
===Story Network Graph===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
! style="width:20%"|Digital Curation Wiki List || style="width:40%"|Episode || Storyline || Story
 
|-
 
|-
| 9 || 2024/10/30 || 클래스, 관계성 및 속성 정의 ||  
+
| [http://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분류:이동주Story2024 이동주의 디지털 큐레이션] || [[이동주ep1]], [[이동주ep2]], [[이동주ep3]], [[이동주ep4]]. [[이동주ep5]], [[이동주ep6]], [[이동주ep7]] || [[이동주Story]] || [[이동주Story2024-2 | Story: 무령왕릉 유물을 통해 살펴 본 백제 문화]]
 
|-
 
|-
| 10 || 2024/11/06 || 개체 등록 및 관계성 부여 ||  
+
| [http://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분류:박서은Story2024 박서은의 디지털 큐레이션] || [[박서은epA]], [[박서은epB]], [[박서은epC]], [[박서은epD]] || [[박서은Story]] || [[박서은Story2024-2 | Story: 시기로 보는 백제의 이야기]]
 
|-
 
|-
| 11 || 2024/11/13 || 온톨로지 설계 기술 응용 ||  
+
| [http://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분류:박혜주Story2024 박혜주의 디지털 큐레이션] || [[박혜주ep1]], [[박혜주ep2]], [[박혜주ep3]], [[박혜주ep4]]. [[박혜주ep5]]. [[박혜주ep6]]  || [[박혜주Story]] || [[박혜주Story2024-2 | Story: 부여의 무형유산]]
 
|-
 
|-
| 12 || 2024/11/20 || 코어 요소 및 문맥 요소 조사 및 제작 ||  
+
| [http://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분류:이수현Story2024 이수현의 디지털 큐레이션] || [[이수현ep1]], [[이수현ep2]], [[이수현ep3]], [[이수현ep4]], [[이수현ep5]], [[이수현ep6]] || [[이수현Story]] || [[이수현Story2024-2 | Story: 백제시대 공예품과 무형유산]]
 
|-
 
|-
| 13 || 2024/11/27 || 웹 자원의 활용과 공유 ||  
+
| [http://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분류:이아현Story2024 이아현의 디지털 큐레이션] || [[이아현ep1 | 부여의 백제유산]], [[이아현ep2 | 공주의 백제유산]], [[이아현ep3 | 익산의 백제유산]] || [[이아현Story]] || [[이아현Story2024-2 | Story: 백제세계유산 아카이브]]
 
|-
 
|-
| 14 || 2024/12/04 || 인문지식 데이터베이스 구축 ||  
+
| [http://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분류:최연지Story 최연지의 디지털 큐레이션] || [[최연지ep1]], [[최연지ep2]], [[최연지ep3]], [[최연지ep4]] || [[최연지Story]] || [[최연지Story2024-2 | Story: 부여 시도유형문화유산의 발견 ]]
 
|-
 
|-
| 15 || 2024/12/11 || 데이터베이스 적재 데이터의 추출 및 관계망 시각화 ||  
+
| [http://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분류:송태림Story2024 송태림의 디지털 큐레이션] || [[송태림epA]], [[송태림epB]], [[송태림epC]], [[송태림epD]], [[송태림epE]] || [[송태림Story]] || [[송태림Story2024-2 | Story: 청송심씨 묘 출토 복식 유물 보존처리]]
|-
 
| 16 || 2024/12/18 || 기말 발표회 ||  
 
 
|-
 
|-
 
|}
 
|}
  
 +
*[[샘플:20241106:덕온공주 당의]] <font color="purple"><sup><b>Sample</b></sup></font>
 +
*샘플 : [[Hanbok2024Story]] <font color="purple"><sup><b>Sample</b></sup></font>
 +
*샘플 : [[Story:2024-1]] <font color="purple"><sup><b>Sample</b></sup></font>
 +
<br/>
 +
<br/>
 +
 +
==실습 도구==
 +
* [https://dh.aks.ac.kr/~hyunseung/tool/Protege-5.6.4-win.zip  Protege v5.6.4 for Windows 다운로드]
 +
* [https://dh.aks.ac.kr/~hyunseung/tool/npp.8.7.Installer.x64.exe Notepad++ v8.7 for Windows 다운로드]
 +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mages/9/9c/FileZilla_3.67.0_win64-setup.zip  FileZilla Client v3.67 for Windows 다운로드]
 +
* [https://dh.aks.ac.kr/Edu/wiki/index.php/튜토리얼/ftp FileZilla 사용법]
 +
* [https://tableconvert.com/ 테이블 컨버터]
 +
* [https://timeline.knightlab.com/ Timeline.js]
 +
* [https://dh.aks.ac.kr/~workshop/tutorial/DHW_2019_07-4.pdf Timeline 제작 방법]
 +
<br/>
 +
<br/>
 +
 +
==참고==
 +
* https://dh.aks.ac.kr/hanyang2/wiki/index.php/Ontology:EKC_2022
 +
* https://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한양도성_지식_관계망.lst
 +
* https://dh.aks.ac.kr/Encyves/wiki/index.php/EKC_Data_Model-Draft_1.1
 +
* https://dh.aks.ac.kr/~gwangju/wiki/index.php/Ontology:EKC_광주
 +
* https://dh.aks.ac.kr/workshop/index.php/KMCI-지식관계망.lst
 +
* 전통문화산업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 샘플 ① [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3.py?db=Class2024&project=kmci&key=KMCI-사각유리등 KMCI-사각유리등]
 +
* 전통문화산업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 샘플 ② [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3.py?db=Class2024&project=kmci&key=KMCI-기관과_인증제도 KMCI-기관과_인증제도]
 +
 +
----
 +
<big>'''※ 본인이 작성한 문서 중 삭제하고 싶은 문서에는 <font color="red"><nowiki>[[분류:삭제]]</nowiki></font> 라고 적어주세요.'''</big>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
__NOTOC__
 +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김현승]]

2024년 12월 28일 (토) 11:31 기준 최신판

강좌 개요

  • 강좌명 : 디지털유산프로젝트
  • 강의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C동 통합전산실습실1
  • 강의 시간 : 수요일 10:00-13:00
  • 담당 강사 : 김현승 (koreandressdhedu@gmail.com)


교육 목표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전통 인문지식을 탐구하고, 이를 디지털 환경에서 적용 및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위키 플랫폼에서 협업을 통해 각 분야의 인문학 지식 간 의미적 연관성을 추적하여 인문융합형 디지털 콘텐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정

차수 날짜 교육내용 교재/참고자료
1 2024/09/04 OT
2 2024/09/11 경주 산업전 답사
3 2024/09/18 휴강(추석 연휴)
☞ 보강 : 12월 12일 목요일 저녁시간(정확한 시간대는 추후 공지) Zoom 온라인 강의실
4 2024/09/25 위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공동 연구 수행 관리 사례 분석
5 2024/10/02 [특강] 《연구·개발(R&D) 프로젝트의 이해 (1)》
(김바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과 교수)
6 2024/10/09 휴강(한글날)
☞ 보강 : 12월 13일 금요일 저녁시간(정확한 시간대는 추후 공지) Zoom 온라인 강의실
7 2024/10/16 콘텐츠 서비스 Platform, 콘텐츠 제작 Framework
8 2024/10/23 [특강] 《연구·개발(R&D) 프로젝트의 이해 (2)》
(강혜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원)
9 2024/10/30 프로젝트 주제 선정 및 대상 자원 탐색, 콘텐츠 제작 기술
10 2024/11/06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실습 (1): 기획 Protege™ 실습 (PDF)
11 2024/11/13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실습 (2): 온톨로지 설계 온톨로지(Ontology) (PDF)
12 2024/11/20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실습 (3): 데이터 수집 및 분석
13 2024/11/27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실습 (4): 데이터 구조화 및 가공
14 2024/12/04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실습 (5): 데이터 통합 시맨틱 데이터 관리기 사용 방법
15 2024/12/11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실습 (6): 관계망 시각화 디지털 큐레이션 도구
16 2024/12/18 기말 발표회 기말 발표 양식


수강생

순번 학과 성명 연구 기획안 연구 발표문
1 보존과학과 Knuch:이동주 Knuch 이동주 연구 기획 무령왕릉 유물로 백제 문화 살펴보기
2 융합고고학과 Knuch:박서은 Knuch 박서은 연구 기획 시기로 보는 백제의 이야기
3 무형유산학과 Knuch:박혜주 Knuch 박혜주 연구 기획 부여의 무형유산
4 무형유산학과 Knuch:이수현 Knuch 이수현 연구 기획 백제시대 공예품과 무형유산
5 융합고고학과 Knuch:이아현 Knuch 이아현 연구 기획 백제세계유산 아카이브
6 융합고고학과 Knuch:최연지 Knuch 최연지 연구 기획 부여 시도유형문화유산의 발견
7 보존과학과 Knuch:송태림 Knuch 송태림 연구 기획 청송심씨 묘 출토 복식 유물 보존처리 과정


lst 문서


평가기준

총점 : 100점


출결 : 10점

▪️ 지각은 -1점. 결석 -2점.

▪️ 수업 시작 후 5분 까지는 제시간으로 출석 인정.

▪️ 질병 또는 개인 사유로 인한 출결은 학교 규정에 의거하여 처리할 예정. 자세한 내용은 조교 선생님에게 문의.

실습 : 30점

▪️ 실습은 수업 참여도를 의미함.

▪️ 내용을 완벽하게 수행하지는 않아도 그 과정을 통해 참여도를 파악할 예정.

▪️ 결석자는 해당일의 실습 점수 -1점.



기말과제 : 30점

▪️ 자세한 내용은 추후 공지


과제 : 30점

▪️ 자세한 평가기준은 과제 출제시 공지 예정

▪️ ex: 양식 엄수, 정보의 양적 or 질적 평가






토론 : 10점

▪️ 특별점수. 보너스 점수.

▪️ 수업시간에 1회 발언을 할 때마다 1점씩 보너스 점수 부여.

▪️ 매 수업시간마다 1인당 최대 2회, 총 10회 가능.

▪️ 발언 내용은 수업 관련하여 궁금한 점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

대체과제

▪️ 대체과제는 패스/논패스로 처리.

▪️ 제출기한을 넘기면 수업과 마찬가지로 지각 또는 결석으로 처리함.

▪️ 답사(9/11) 미참여자는 1차 대체과제 제출.

▪️ 휴강(9/18, 10/9) 대체과제는 해당일에 공지 예정.

▪️ 대체과제 미제출자는 보강에 참석시 출석으로 인정. 그러나 실습점수는 인정되지 않음.


▪️ 아래의 글을 모두 읽고 소감문을 양식에 맞게 작성하여 기한 내에 제출.

▪️ 김현·임영상·김바로, 『디지털 인문학 입문』, HUEBooks, 2016.📖

   ▫️ 제1편-I.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1~18쪽)

   ▫️ 제2편-I. 인문정보학이란 무엇인가? (1~7쪽)

   ▫️ 제3편-Ⅱ. 디지털 인문학의 한국적 전개 - Ⅱ-1. 한국 디지털 인문학의 성장 배경 (1~25쪽)

▪️ 제출기한

   ▫️ 9월 17일 23:55 까지 제출해야 패스 및 출석으로 인정.

   ▫️ 9월 18일 09:00 까지 제출하면 지각으로 1점 감점.

   ▫️ 이후는 결석으로 2점 감점.

▪️ 제출 : 김현승 이메일(koreandressdhedu@gmail.com)로 제출.

▪️ 분량 : A4 1장 이내

▪️ 양식 : hwp 또는 docx 다운로드

▪️ 아래의 글을 모두 읽고 소감문을 양식에 맞게 작성하여 기한 내에 제출.

▪️ 김지선·장문석·류인태, 「공유와 협업의 글쓰기 플랫폼, 위키」, 『한국학연구』6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 제출기한

   ▫️ 9월 24일 23:55 까지 제출해야 패스 및 출석으로 인정.

   ▫️ 9월 25일 09:00 까지 제출하면 지각으로 1점 감점.

   ▫️ 이후는 결석으로 2점 감점.

▪️ 제출 : 김현승 이메일(koreandressdhedu@gmail.com)로 제출.

▪️ 분량 : A4 1장 이내

▪️ 양식 : hwp 또는 docx 다운로드

▪️ Knuch 김인문 연구 기획sample

▪️ 위의 샘플을 따라서 각자 본인의 위키 문서 만들기.

▪️ 제출기한 : 10월 9일 23:59 까지 문서가 작성되어 있어야 출석으로 인정


과제

🔶 데이터 탐색

🔸연구 기획서 내에 표로 정리 (샘플:20241113:항목탐색)
🔸데이터.lst 로 시각화
🔸기존 데이터 수정 보완


🔶 핵심항목 위키문서 만들기 4건 이상

🔸예시:창경궁 통명전
🔸명함 틀 모음


🔶 네트워크 그래프에 사용할 아이콘으로 넣고 싶은 이미지가 있다면 파일을 정리하여 김현승 메일로 제출 (koreandressdhedu@gmail.com)

🔸 노드 id 와 이미지 파일명 동일하게 하기



실습

Network Graph

성명 1차-튜토리얼 1차-개인 데이터 2차-온톨로지
Knuch:이동주 실습:20241106:이동주.lst Knuch이동주 데이터.lst Knuch이동주 온톨로지.lst
Knuch:박서은 실습:20241106:박서은.lst Knuch박서은_데이터 Knuch 박서은 온톨로지.lst
Knuch:박혜주 실습:20241106:박혜주.lst Knuch박혜주 데이터.lst Knuch 박혜주 온톨로지.lst
Knuch:이수현 실습:20221113:이수현.lst Knuch이수현 데이터.lst Knuch이수현 온톨로지.lst
Knuch:이아현 Knuch이아현 데이터.lst Knuch이아현 온톨로지.lst
Knuch:최연지 Knuch:최연지 데이터.lst Knuch최연지 온톨로지.lst
Knuch:송태림 실습:20241106:송태림.lst Knuch송태림 데이터.lst Knuch송태림 온톨로지.lst



Story Network Graph

Digital Curation Wiki List Episode Storyline Story
이동주의 디지털 큐레이션 이동주ep1, 이동주ep2, 이동주ep3, 이동주ep4. 이동주ep5, 이동주ep6, 이동주ep7 이동주Story Story: 무령왕릉 유물을 통해 살펴 본 백제 문화
박서은의 디지털 큐레이션 박서은epA, 박서은epB, 박서은epC, 박서은epD 박서은Story Story: 시기로 보는 백제의 이야기
박혜주의 디지털 큐레이션 박혜주ep1, 박혜주ep2, 박혜주ep3, 박혜주ep4. 박혜주ep5. 박혜주ep6 박혜주Story Story: 부여의 무형유산
이수현의 디지털 큐레이션 이수현ep1, 이수현ep2, 이수현ep3, 이수현ep4, 이수현ep5, 이수현ep6 이수현Story Story: 백제시대 공예품과 무형유산
이아현의 디지털 큐레이션 부여의 백제유산, 공주의 백제유산, 익산의 백제유산 이아현Story Story: 백제세계유산 아카이브
최연지의 디지털 큐레이션 최연지ep1, 최연지ep2, 최연지ep3, 최연지ep4 최연지Story Story: 부여 시도유형문화유산의 발견
송태림의 디지털 큐레이션 송태림epA, 송태림epB, 송태림epC, 송태림epD, 송태림epE 송태림Story Story: 청송심씨 묘 출토 복식 유물 보존처리



실습 도구



참고


※ 본인이 작성한 문서 중 삭제하고 싶은 문서에는 [[분류:삭제]] 라고 적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