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박서은
KHS DH wiki
목차
연구 목적
백제의 시기 구분은 도읍을 기준으로 한다. 한성기(서울), 웅진기(공주), 사비기(부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기에 따라 관련한 인물이나 유물, 관련 문화유산들이 각기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이미 2015년 백제왕도를 대상으로 한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나, 이들의 관계성을 한 눈에 보기 위해 정리한 자료나 시각화 된 내용은 그리 많지 않다. 이에 백제왕도를 중심으로 한 문화유산들에 대해 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제작하여 관람객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연구 내용
- 고분 및 왕성 출토 유물에 대한 메타데이터 or 위키문서를 작성해 정보 전달
 - 백제왕도 지역 내 진행되는 관련 행사나 축제 등 문화 콘텐츠에 대한 관계망 제작
 - 작성된 관계망을 바탕으로 AI스토리텔링 제작
 
연구 방법
기존에 존재하는 백제의 도읍별 대표 문화유산 현황 혹은 현대에 이루어지는 행사에 대해 조사하고 그래프로 나타낸다.
연구 추진 공정표
| 내용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획 및 주제 선택 | ||||||||
| 개체 탐색, 온톨로지 설계 | ||||||||
| 데이터 수집 및 핵심항목, 문맥항목 선정 | ||||||||
| 데이터베이스 구축 | ||||||||
|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 | ||||||||
연구 결과
온톨로지
Class
| Class | Sub Class | Description | 
|---|---|---|
| Actor | 인물 | 역사적으로 관련 있는 인물 등이 해당한다. | 
| Concept | 국보, 사적, 시도문화유산자료, 시도기념물 | 현대에 유물, 유구를 나누는 기준 등이 해당한다. | 
| Event | 행사 | 역사적 내용을 기반으로 현대에 이루어지는 축제, 전시 등이 해당한다. | 
| Nation | 국가 | 과거 경제, 사회적 지위를 갖추고 어떠한 권역을 다스린 사회체제가 해당한다. | 
| Object | 유구, 유물 | 석탑, 비석 등 이동이 불가능하나 유적보다 작은 개념을 유구에 해당하고, 유적에서 출토된 이동이 가능한 것들은 유물에 해당한다. | 
| Place | 박물관, 유적, 도읍 | 과거 도읍의 역할을 한 지역이나 유물을 소장한 전시관이나 박물관, 유적 등이 해당한다. | 
| Time | 시대 | 키워드와 관련한 시점이나 시대명에 해당한다. | 
Relation
| Relation | Domain | Range | Description | sample | 
|---|---|---|---|---|
| A는_B로_지정되었다 | 유적, 유구, 유물 | 국보, 사적, 시도문화유산자료, 시도기념물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
| A는_B를_다스린다 | 국가 | 인물 | 백제 동성왕은 백제를 다스린다 | |
| A는_B에_위치한다 | 유적, 유구, 유물, 박물관 | 국가, 지역 | 공주 공산성은 공주에 위치한다 | |
| A는_B에_해당한다 | 국가 | 시대 | 백제는 삼국시대에 해당한다 | |
| A는_B에서_개최된다 | 행사 | 지역, 박물관 | 공주 국가유산 미디어아트는 공주에서 개최된다 | |
|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 유물, 유구 | 유적 | 무령왕릉 석수는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에서 출토되었다 | |
| A는_B의_도읍이다 | 지역 | 국가 | 공주는 백제의 도읍이다 | |
| A는_B의_아들이다 | 인물 | 인물 | 백제 문주왕은 백제 개로왕의 아들이다 | |
| A는_B의_딸이다 | 인물 | 인물 | 신라 선화공주는 신라 진평왕의 딸이다 | |
| A는_B의_아버지다 | 인물 | 인물 | 백제 개로왕은 백제 문주왕의 아버지다 | |
| A는_B의_왕이다 | 인물 | 국가 | 백제 무령왕은 백제의 왕이다 | |
| A에서_B로_천도하다 | 지역 | 지역 | 공주에서 부여로 천도하다 | 
연구 데이터
Nodes
| class | count | 
|---|---|
| Actor | 10 | 
| Concept | 23 | 
| Event | 17 | 
| Nation | 1 | 
| Object | 16 | 
| Place | 39 | 
| Time | 1 | 
| Total | 107 | 
| id | class | label | infoUrl | iconUrl | 
|---|---|---|---|---|
| 공주 | Place | 공주 | ||
| 공주_공산성 | Place | 공주 공산성 | ||
| 공주_국가유산_미디어아트 | Event | 공주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 https://ggm-art.kr/ | |
|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 Place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
| 공주_문화유산_야행 | Event | 공주 문화유산 야행 | https://gongju-culturenight.com/ | |
| 공주_백제문화유산주간 | Event | 공주 백제문화유산주간 | https://www.baekjejugan.com/html/week/intro/intro_0101.html | |
| 공주_백제문화제 | Event | 공주 백제문화제 | https://gongju.baekje.org/ | |
| 공주_정지산_유적 | Place | 공주 정지산 유적 | ||
| 공주대학교_박물관 | Place | 공주대학교 박물관 | ||
| 국립공주박물관 | Place | 국립공주박물관 | ||
| 국립부여박물관 | Place | 국립부여박물관 | ||
| 국립익산박물관 | Place | 국립익산박물관 | ||
| 국보 | Concept | 국보 | ||
| 대백제전 | Event | 대백제전 | https://www.baekje.org/kor/ | |
| 마한박물관 | Place | 마한박물관 | ||
| 무령왕릉_석수 | Object | 무령왕릉 석수 | ||
| 무령왕릉_지석 | Object | 무령왕릉 지석 | ||
| 무령왕릉_청동거울_일괄 | Object |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
| 미륵사지석등하대석 | Object | 미륵사지석등하대석 | ||
| 백제 | Nation | 백제 | ||
| 백제_개로왕 | Actor | 백제 개로왕(蓋鹵王, ?~475) | ||
| 백제_근초고왕 | Actor | 백제 근초고왕 | ||
| 백제_동성왕 | Actor | 백제 동성왕(東城王, ?~501) | ||
| 백제_무령왕 | Actor | 백제 무령왕(武寧王, 462~563) | ||
| 백제_무왕 | Actor | 백제 무왕 | ||
| 백제_문주왕 | Actor | 백제 문주왕(文周王, ?~477) | ||
| 백제_성왕 | Actor | 백제 성왕(聖王, 504?~554) | ||
| 백제_창왕 | Actor | 백제 창왕 | ||
| 백제역사문화관 | Place | 백제역사문화관 | ||
| 백제왕궁박물관 | Place | 백제왕궁박물관 | ||
| 부여 | Place | 부여 | ||
| 부여_가림성 | Place | 부여 가림성 | ||
| 부여_관북리_유적 | Place | 부여 관북리 유적 | ||
| 부여_국가유산_미디어아트 | Event | 부여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 https://mediaartbuyeo.com/ | |
| 부여_군수리_사지 | Place | 부여 군수리 사지 | ||
| 부여_궁남지 | Place | 부여 궁남지 | ||
| 부여_나성 | Place | 부여 나성 | ||
| 부여_능산리_사지 | Place | 부여 능산리 사지 | ||
| 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 Object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 ||
| 부여_문화유산_야행 | Event | 부여 문화유산 야행 | https://www.buyeo.go.kr/yahaeng/ | |
| 부여_백제고도부여국화축제 | Event | 부여 백제고도부여국화축제 | https://www.buyeo.go.kr/html/bcfestival/ | |
| 부여_백제문화유산주간 | Event | 부여 백제문화유산주간 | https://www.baekjejugan.com/html/week/intro/intro_0101.html | |
| 부여_백제문화제 | Event | 부여 백제문화제 | https://www.baekjeculturalfestival.kr/ | |
| 부여_부소산성 | Place | 부여 부소산성 | ||
| 부여_사택지적비 | Object | 부여 사택지적비 | ||
| 부여_서동연꽃축제 | Event | 부여 서동연꽃축제 | https://xn--js0bz0g15jvvd8vh0a700bh8n.kr/ | |
| 부여_왕릉원 | Place | 부여 왕릉원 | ||
| 부여_왕흥사지 | Place | 부여 왕흥사지 | ||
|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 Object |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 ||
| 부여_정림사지 | Place | 부여 정림사지 | ||
| 부여_정림사지_오층석탑 | Object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
| 부여_청마산성 | Place | 부여 청마산성 | ||
| 부여_청산성 | Place | 부여 청산성 | ||
| 사적 | Concept | 사적 | ||
| 삼국시대 | Time | 삼국시대 | ||
| 서울 | Place | 서울 | ||
| 서울_몽촌토성 | Place | 서울 몽촌토성 | ||
| 서울_방이동_고분군 | Place | 서울 방이동 고분군 | ||
| 서울_석촌동고분군 | Place | 서울 석촌동고분군 | ||
| 서울_풍납동_토성 | Place | 서울 풍납동 토성 | ||
| 서울_한성백제문화제 | Event | 서울 한성백제문화제 | https://www.songpa.go.kr/hanseong/ | |
| 시도문화유산자료 | Concept | 시도문화유산자료 | ||
| 신라_선화공주 | Actor | 신라 선화공주 | ||
| 신라_진평왕 | Actor | 신라 진평왕 | ||
| 웅진백제역사관 | Place | 웅진백제역사관 | ||
| 익산 | Place | 익산 | ||
| 익산_고도리_석조여래입상 | Object |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 ||
| 익산_국가유산_미디어아트 | Event | 익산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 https://iksanlightfesta.kr/ | |
| 익산_마한문화대전 | Event | 익산 마한문화대전 | https://www.iksan-mahan.com/ | |
| 익산_문화유산_야행 | Event | 익산 문화유산 야행 | http://www.iksan-night.kr/2018/inner.php?sMenu=main | |
| 익산 미륵사지 | Place | 익산 미륵사지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익산_미륵사지 | |
| 익산_미륵사지_금동향로 | Object | 익산 미륵사지 금동향로 | ||
| 익산_미륵사지_당간지주 | Object |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 ||
| 익산_미륵사지_서탑_출토_사리장엄구 | Object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 ||
| 익산_미륵사지_석탑 | Object | 익산 미륵사지 석탑 | ||
| 익산_백제문화유산주간 | Event | 익산 백제문화유산주간 | https://www.baekjejugan.com/html/week/intro/intro_0101.html | |
| 익산_서동축제 | Event | 익산 서동축제 | https://seodong.iksan.go.kr/main/inner.php?sMenu=main&pre_url=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ssc=tab.nx.all&query=%EC%9D%B5%EC%82%B0+%EC%84%9C%EB%8F%99%EC%B6%95%EC%A0%9C&oquery=%EC%9D%B5%EC%82%B0+%EB%AC%B8%ED%99%94%EC%9C%A0%EC%82%B0+%EC%95%BC%ED%96%89&tqi=i2b2Xlqo15wssehHQJ0ssssss9N-395216 | |
| 익산_쌍릉 | Place | 익산 쌍릉 | ||
| 익산_연동리_석조여래좌상 | Object |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 ||
|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 | Object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 ||
| 익산_왕궁리_오층석탑_사리장엄구 | Object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 ||
| 익산_왕궁리_유적 | Place | 익산 왕궁리 유적 | ||
| 익산_입점리_고분 | Place | 익산 입점리 고분 | ||
| 익산_제석사지 | Place | 익산 제석사지 | ||
| 입점리고분전시관 | Place | 입점리고분전시관 | ||
| 정림사지박물관 | Place | 정림사지박물관 | ||
| 충청남도역사박물관 | Place | 충청남도역사박물관 | ||
| 국보_무령왕릉_석수 | Concept | 국보 무령왕릉 석수 | ||
| 국보_무령왕릉_지석 | Concept | 국보 무령왕릉 지석 | ||
| 국보_무령왕릉_청동거울_일괄 | Concept | 국보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
| 국보_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 Concept | 국보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 ||
| 국보_익산_미륵사지_서탑_출토_사리장엄구 | Concept | 국보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 ||
| 국보_익산_미륵사지_석탑 | Concept | 국보 익산 미륵사지 석탑 | ||
| 사적_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 Concept | 사적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
| 사적_부여_군수리_사지 | Concept | 사적 부여 군수리 사지 | ||
| 사적_부여_궁남지 | Concept | 사적 부여 궁남지 | ||
| 사적_부여_나성 | Concept | 사적 부여 나성 | ||
| 사적_부여_왕흥사지 | Concept | 사적 부여 왕흥사지 | ||
| 사적_익산_미륵사지 | Concept | 사적 익산 미륵사지 | ||
| 사적_익산_입점리_고분 | Concept | 사적 익산 입점리 고분 | ||
| 사적_익산_제석사지 | Concept | 사적 익산 제석사지 | ||
| 보물_부여_사택지적비 | Concept | 보물 부여 사택지적비 | ||
| 보물_익산_고도리_석조여래입상 | Concept | 보물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 ||
| 보물_익산_미륵사지_금동향로 | Concept | 보물 익산 미륵사지 금동향로 | ||
| 보물_익산_미륵사지_당간지주 | Concept | 보물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 ||
| 보물_익산_연동리_석조여래좌상 | Concept | 보물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 ||
|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미륵사지석등하대석 | Concept |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미륵사지석등하대석 | 
Links
| Relation | count | 
|---|---|
| A는 B의 도읍이다 | 4 | 
| A는 B에 위치한다 | 54 | 
| A는 B에서 개최된다 | 15 | 
| A는 B로 지정되었다 | 20 | 
| A는 B에서 출토되었다 | 12 | 
| A는 B에 해당한다 | 1 | 
| A는 B의 아들이다 | 4 | 
| A는 B의 아버지다 | 3 | 
| A는 B의 왕이다 | 7 | 
| A는 B를 다스린다 | 2 | 
| A는 B의 딸이다 | 1 | 
| Total | 123 | 
Semantic Network Graph
 
 
Digital Curation
 
Timeline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문화유산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도 증가
 - 한 지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각 왕도별 특성에 대한 흥미 돋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