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무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3번째 줄: 23번째 줄:
 
==='''이미지'''===
 
==='''이미지'''===
 
<gallery>
 
<gallery>
이무기 한국민속대백과사전.jpg|이무기<ref>https://folkency.nfm.go.kr/topic/detail/5602?pageType=search&keyword=%EC%9D%B4%EB%AC%B4%EA%B8%B0</ref>
+
이무기 한국민속대백과사전.jpg|이무기<ref>https://folkency.nfm.go.kr/topic/detail/5602?pageType=search&keyword=%EC%9D%B4%EB%AC%B4%EA%B8%B0 한국민속대백과사전</ref>
 
</gallery>
 
</gallery>
  

2025년 6월 6일 (금) 17:44 판

정의

용이 되지 못하고 물속에 산다는 큰 구렁이 또는 뱀. 상상 속의 동물이다.[1]

내용

이무기는 물 속에 살기 때문에 비나 물과 관련성을 가지는데, 물을 지배하거나 관리하기보다는 담수에 사는 생물들의 왕으로 여겨진다.[2] 그러나 비슷한 특징을 가진 용과는 다르게 설화 속에서 대부분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진다.

이무기가 용이 되기 위해서는 사람의 도움을 받거나 최소한 사람의 방해를 받지 않아야 한다. 대부분의 설화에서 이무기는 용으로 승천하는 도중에 인간의 눈에 띄어 실패하는 특징을 가진다. 사람의 방해로 용으로 승천하지 못하면, 이무기는 다시 승천할 수 없기 때문에 보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것이 이무기가 최근 제작되는 콘텐츠 안에서도 부정적 존재로 묘사되는 이유이다. [3]

관련 속담으로는 '강철이 간 데는 가을도 봄'[4]이 있다.

콘텐츠 속 이무기

드라마 구미호뎐 : 태어나서는 안 될 사특한 존재로 등장. 작품의 메인 빌런. 주인공과의 사투 끝에 결국 삼도천에 빠져 인간 세상에서 소멸

드라마 귀궁 : 1회만에 죽음을 맞이한 남자 주인공의 몸에 빙의하는 이무기 강철이, 부패한 양반을 잡아먹는 이무기 비비

웹툰 합격시켜주세용 : 인물들의 이름에 여러 이무기의 이름 활용. 이무기들이 용이 되기 위한 승천 시험을 준비한다는 스토리

시맨틱 스토리텔링

구미호와 여우구슬, 그리고 이무기

멀티미디어

이미지

동영상

주석

  1. https://folkency.nfm.go.kr/main
  2.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AC%B4%EA%B8%B0
  3. https://folkency.nfm.go.kr/topic/detail/5602?pageType=search&keyword=%EC%9D%B4%EB%AC%B4%EA%B8%B0
  4. 강철이가 지나간 곳에는 아무것도 자라지 않은 초봄과 같이 된다는 뜻. 악한 방해자가 나타나거나 불운으로 인해 다 되어 가던 일을 망치는 경우를 일컫는다. [출처]네이버 국어사전
  5. https://folkency.nfm.go.kr/topic/detail/5602?pageType=search&keyword=%EC%9D%B4%EB%AC%B4%EA%B8%B0 한국민속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