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특징
치우는 염제 신농씨의 자손으로, 구리로 된 머리, 쇠로 된 이마, 사람의 몸과 소의 발굽을 하고 있고, 네 개의 눈과 여섯 개의 손(여덟 개의 팔과 여덟 개의 다리가 달렸다는 설도 있음)을 갖고 있었다. 소의 머리에 뿔이 달린 신농씨의 자손이니 머리는 소와 흡사했을 것이다. 치우는 일반 사람들과 달리 모래나 돌을 음식으로 먹었다고 한다. 치우에게는 72명 또는 81명이라는 그와 똑같은 모습을 한 형제들이 있었는데, 그들 역시 모래와 돌을 음식으로 먹었다.
치우는 전쟁에 능해 싸우면 반드시 승리했으므로 군신(軍神)으로 알려져 있다. 또 그는 무기의 발명자로도 유명하다. 치우가 발명한 것으로 전해지는 무기는 검(劍), 갑옷[鎧], 자루가 긴 창[矛], 쌍날창[戟], 창[戈], 석궁[弩]이 있다.
전쟁 이야기
치우는 궐기에 즈음하여 자신과 동일한 모습을 하고 있는 형제들을 핵심으로, 이매망량(魑魅魍魎)으로 총칭되는 요괴들을 불러 군대를 결성했다. 또 치우의 군대에는 바람의 신 풍백(風伯)과 비의 신 우사(雨師)가 은밀히 합류하여 치우군의 비장의 무기가 되었다.
치우의 첫 번째 목표는 자신의 친척인 염제의 후손이었다. 압도적인 전력으로 진격한 치우군은 염제의 자손을 간단히 격파하여 내쫓은 후 염제의 후계자라며 스스로를 염제라 칭했다. 이렇듯 치우는 이 전쟁에 대해, 염제의 천하를 강탈한 황제에 대한 복수라는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이어서 치우는 군대를 탁록의 들판으로 내보내 포진시켜 황제의 군대를 기다리게 했다.
급보를 들은 황제는 곧장 운사를 동원하고 사방의 귀신을 소집하여 치우가 포진하고 있는 탁록으로 보냈는데, 그리하여 양군은 그곳에서 격돌하게 되었다.
치우군의 우세
안개를 일으키는 능력을 갖고 있는 치우는 첫 전투에서 그 능력을 사용하여 전장을 짙은 안개로 뒤덮이게 했다. 황제군은 짙은 안개 속에서 전후좌우를 제대로 구분할 수 없게 되었고, 어둠 속에서 더 큰 실력을 발휘하는 요괴들을 주력으로 하는 치우군은 이를 틈타 공격한 결과 황제군을 크게 이겼다.
그러자 황제는 물을 모아 비를 내릴 수 있는 응룡(應龍, '용' 편 참조)을 불러 치우에 대항하게 했으나, 치우는 비장의 무기인 바람의 신 풍백과 비의 신 우사를 출전시켰다. 응룡이 비록 비를 내리는 능력을 갖고 있었지만, 비의 신 우사의 능력에는 미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거기에 풍백의 능력까지 가세되었기 때문에 그들이 일으키는 폭풍우 앞에서 응룡은 속수무책으로 당해 사라지고 말았다.
대세가 바뀌다
풍백과 우사가 일으킨 폭풍우가 응룡을 격퇴시키는 것을 본 황제는 폭풍우를 진압하기 위해 자신의 딸인 발(妭)을 전장에 투입했다. 그녀가 발하는 열과 빛은 순식간에 폭풍우를 날려버렸다. 그후로 황제군은 두 번 다시 폭풍우로 인해 고생하는 일은 없었다.
그러나 적은 싸움마다 반드시 승리를 거뒀으므로 사기가 충천해 있었다. 그래서 황제는 적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자신의 군대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군고(軍鼓)를 만들었다. 그리고 기(虁)라는 짐승을 죽여 그 가죽을 북에 붙이고, 뇌수(雷獸, 상상의 동물)의 다리뼈를 북채로 삼았다. 군고의 북소리는 전방 200㎞까지 울려퍼졌고, 그 굉음은 치우군에게 경악과 공포를 심어주었다.
안개와 폭풍우가 발에 의해 사라지고 개인적인 전투 능력 면에서 황제측에는 치우보다 우수한 응룡이 있었지만, 치우군에는 아직 우세한 점이 남아 있었다. 그것은 치우의 군대를 지휘하는 능력이었다. 치우의 작전 지휘 능력은 황제보다 뛰어났으며, 전장에서 그 기묘한 지휘로 황제군을 여전히 괴롭히고 있었다. 황제군의 원군은 서쪽으로부터 왔다. 곤륜(崑崙)의 서왕모(西王母)는 천현낭랑(天玄娘娘)을 사자로 보내어 병법서인 『음부경(陰符經)』을 주었다. 이 책을 본 황제의 지휘 능력은 치우보다 우수해졌다.
치우의 최후
천둥소리와 같은 굉음을 발하여 요괴들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군고를 계속 울리며 황제의 지휘가 시작되었다. 발의 능력이 풍백과 우사의 능력을 완전히 봉쇄하자 하늘은 맑고 구름 한 점 없었다. 황제군은 응룡을 선봉에 세우고, 맹수의 무리로써 빈틈없는 전투 대형을 짜고 치우군을 몰아부쳤다. 이날 황제의 지휘 능력은 치우의 지휘 능력보다 우수했으므로, 지휘 능력이라는 유일한 장점마저 잃은 치우군은 싸움에서 완패했다. 운이 좋은 자를 빼고는 철저히 섬멸당하고 말았다. 치우는 하늘로 날아올라 전장을 탈출하려 했으나, 응룡의 추격을 받아 청구산(靑丘山)2)에서 붙잡히고 말았다. 다시는 치우가 부활하지 못하도록 그의 몸은 조각조각으로 나뉘어 두 곳에 매장되었다. 치우의 무덤은 동평(東平)의 수장현(壽張縣, 산동성 양곡현 동남)과 그곳에서 80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거야현(鉅野縣, 산동성 거야현)에 있다고 한다. 수장현의 무덤에는 머리와 몸체가, 거야현의 무덤에는 팔과 다리가 매장되어 있다고 하는데, 치우가 죽었을 당시 그의 피가 흘러간 곳이 해주(解州, 산서성)의 소금못이 되었다고 한다. 이 못은 소금이 많이 나는 곳으로 유명하다.
치우가 사망한 후, 천하가 다시 어지러워지자 황제는 치우의 상을 그려 천하에 내보였다. 천하의 사람들은 그가 아직 죽지 않고 황제의 신하가 된 줄 알고 그의 힘이 두려워 복종했다. 이것이 치우가 군신이 된 기원이다.
치우가 매장되었다고 전해지는 지역에서는 그를 우러러 모시고, 그의 한을 달래기 위해 제를 올렸다. 이윽고 치우는 무기의 발명자로서, 또한 무예와 용맹으로서 군신으로 숭배받게 되었다. 능력이 있음에도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원통하게 죽었다는 점에서 군신의 조건에 적합했던 것이다. 이것이 차츰 발전되어, 이매망량 등 요괴들을 이끌고 천하에 도전했던 마신(魔神) 치우는 사악을 벌하는 신으로도 숭배받게 되었다.
노드관계 표
노드 |
관계 |
노드
|
치우 |
~을 ~하고 있고. |
염제 신농씨의 자손으로, 구리로 된 머리, 쇠로 된 이마, 사람의 몸과 소의 발굽
|
치우 |
~으로 ~ 알려져 있다. |
군신(軍神)
|
치우 |
~받게 되었다. |
숭배
|
[펼치기]
Class
클래스 |
노드
|
도깨비 |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
공간 |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
작품 |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
문헌 |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
문콘 |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
캐릭터 |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
시대 |
현대, 에도시대
|
Relation
관계어 |
노드
|
은 -의 등장인물이다 |
가오나시 →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쿠 → 갓파쿠와여름방학, 여우비 → 천년여우여우비
|
은 -의 캐릭터다 |
가오나시 → 오니, 가오나시 → 땅거미, 가오나시 -> 놋페라보, 쿠 → 갓파, 여우비 → 구미호, 손오공 → 《서유기》
|
은 -지역의 요괴이다 |
갓파 → 도노, 덴구→ 일본(2017), 여우 →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구로보즈 → 도쿄, 우마왕 → 중국, 나찰녀 → 중국,
|
는 -를 만들었다. |
여와 → 인간
|
는 - 관련 설화이다. |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 한국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 한국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 한국의 도깨비, 구미호 → 한국의 도깨비,도노 모노가타리→덴구 , 도노 모노가타리→여우, 도노 모노가타리→갓파 , 금석 이야기→오니 , 비형랑설화 → 도깨비, 신과 함께(2017) → 한국의 도깨비,금방망이 은방망이 →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금석 이야기 → 헤이안 시대,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 꼬비꼬비
|
는 -와 관련된 공간이다. |
도깨비 다리 → 한국의 도깨비, 김공 선정지비 → 한국의 도깨비, 김성수 생가 → 한국의 도깨비,
교토 → 금석 이야기 , 교토→하세오조시, 안동하회마을 → 별신마을각시,곡성 → 곡성, 한강둔치 → 괴물, 삼매리 → 차우, 한국 → 도깨비,한국 → 곡성, 한국 → 괴물, 한국 → 차우,금석 이야기 → 교토, 금강설화 → 일본, 덴구 → 일본
|
는 -에 등장한다. |
오니 → 하세오조시. 일본의 요괴 → 하세오조시, 저승사자 → 신과 함께(2017),저승사자 → 요괴. 구미호→ 전설의고향, 삼신할매→전설의고향 ,염라대왕(2) → 전설의고향 , 걸귀 → 전설의고향,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땅거미 → 에도시대, 오니 → 에도시대, 여우 → 에도시대, 오니 → 금강설화, 갓파→ 현대, 입이찢어진여자 → 현대, 도깨비 → 꼬비꼬비
|
는 -에 속한다. |
구미호 → 여우, 여우 → 일본의 요괴, 덴구 → 일본의 요괴, 구미호 이야기→삼국유사, 구미호 → 일본의 요괴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 방이설화, 도깨비 → 드라마, 요괴인간벰 → 드라마, 전설의고향 → 드라마, 신의 이미지가 부여된 뱀 → 뱀, 인간에게 해를 주는 뱀 → 뱀, 인간의 배우자로서의 뱀 → 뱀, 덴구 다오시 → 덴구, 덴구 와라이 → 덴구,덴구 쓰부테 → 덴구, 덴구 유스리 → 덴구, 덴구 다이코 → 덴구, 덴구 가쿠시 → 덴구, 덴구 마쓰 → 덴구, 덴구 노히 → 덴구, 입이찢어진여자 → 야마우바, 입이찢어진여자 → 일본의 요괴, 유키 온나 → 일본의 요괴
|
은 -를 소재로 했다 |
곡성 → 오니, 곡성 → 덴구, 괴물 → 오니, 괴물 → 갓파, 차우 → 오니, 차우 → 덴구, 천년여우여우비 → 여우,천년여우여우비 → 구미호,꼬비꼬비 → 한국의 도깨비,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오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땅거미,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놋페라보,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구로보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야마우바,금석 이야기 → 일본의 요괴, 요괴인간벰→ 오니, 도노 모노가타리 → 일본의 요괴, 이누야샤 → 일본의 요괴, 이누야샤 → 야차, 조롱박형제 → 요괴
|
참고 자료
NAVER지식백과
NAVER CAFE
기여
[펼치기]
Class
클래스 |
노드
|
신화 |
켈트신화, 북유럽 신화, 일본 신화, 중국 신화, 그리스 로마신화
|
신화에 등장하는 신 |
투아하 데 다난, 루, 누아다, 디안케트, 미아하, 바이브 카흐, 레르, 마나난, 게브네, 오딘, 토르, 로키, 프리그, 발두르, 이자나기, 이자나미, 아마테라스 오미카미,손오공, 보리, 옥황상제, 서왕모, 츠쿠요미 노미코토, 스사노오 노미코토, 아라하바키, 사루타히코, 페르세우스, 제우스,헤라, 아테나, 헤르메스, 하데스, 포세이돈 ,반고,홍균도인,복희,여와,예,항아,축융,신농,황제,누조,치우,창힐,서왕모,옥황상제, 니니기노 미코토
|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
밴시, 레프러칸,요툰, 드워프, 아우둠라, 요르문간드, 펜리르,구미호, 메두사, 고르곤 자매, 그라이아이 자매, 페가소스, 크리사오르, 케토, 정위조,도철,궁기,붕,야차,기린,백호,주작,현무,달기,정령 신앙, 원령 신앙, 요괴
|
신화에 등장하는 사물 |
엑스칼리버, 클라우 솔라스, 운드리, 브루냐크, 리아파르, 궁니르, 드라우프니르, 묠니르, 안드바라나우트, 방패 아이기스, 투구 퀴네에, 주머니, 신발, 황금 사과,불사약
|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 |
아더왕, 원탁의 기사, 랜슬롯, 멀린, 모드레드, 모건 르 페이, 귀네비어, 보티건, 드루이드 사제, 리프와 리프트라시르, 시구르드, 아크리시오스, 다나에, 안드로메다 , 카시오페이아, 케페우스, 딕티스, 폴리덱테스, 히포다메이아, 아틀라스, 네레이데스 자매, 피네우스, 페르세스, 고르고포네, 스테넬로스 , 알카이오스, 엘렉트리온, 메스토르
|
영화 |
해리포터시리즈, 킹아서 : 제왕의 검, 반지의 제왕, 토르 시리즈, 봉신 전기, 나타요해, lash Of The Titans 2010, Immortals, Hercules
, 나니아 연대기, 음양사,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원령공주, 이웃집 토토로
|
Relation
관계어 |
노드
|
은 -가 만들었다 |
메두사 → 페가수스, 메두사 → 크리사오르. 혼슈→ 이자나기, 시코쿠→ 이자나기, 규슈→ 이자나기, 안드바라나우트 → 드워프
|
은 -을 포함한다 |
고르곤 자매 → 메두사, 원탁의 기사 →랜슬롯, 드루이드 사제 →멀린
|
은 -의 혈통이다 |
페르세우스 → 다나에, 다나에 → 아크리시오스, 페르세우스 → 제우스 , 아테나 → 제우스 , 헤르메스 → 제우스 → 페르세스 → 페르세우스, 고르고포네 → 페르세우스, 스테넬로스 → 페르세우스, 알카이오스 → 페르세우스, 엘렉트리온 → 페르세우스, 메스토르 → 페르세우스, 안드로메다 → 케페우스 , 안드로메다 → 카시오페이아 , 마나난→ 레르, 아더왕→ 우서 펜드레곤, 모드레드→ 모건 르 페이, 미아하→ 디안케트, 루 →디안케트, 발두르 → 오딘, 시구르드 → 오딘, 발두르 → 프리그, 요르문간드 → 로키, 펜리르 → 로키,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 이자나기, 츠쿠요미 노미코토 → 이자나기,
스사노오 노미코토 → 이자나기,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 이자나미, 츠쿠요미 노미코토 → 이자나미, 스사노오 노미코토 → 이자나미, 니니기노 미코토 →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
은 -의 동생이다 |
포세이돈 → 제우스, 하데스 → 제우스, 딕티스 → 폴리덱테스, 피네우스 → 케페우스, 아더왕 → 모건 르 페이,여와 → 복희 이자나미 → 이자나기
|
은 -의 배우자이다 |
제우스 → 헤라, 케페우스 → 카시오페이아, 페르세우스 → 안드로메다, 아더왕 →귀네비어, 누아다 →바이브 카흐, 오딘 → 프리그, 이자나기 → 이자나미, 여와 → 복희, 누조 → 신농, 항아 → 예
|
은 - 을 죽였다 |
페르세우스 → 메두사, 페르세우스 → 케토, 페르세우스 → 아틀라스, 페르세우스 → 피네우스, 페르세우스 → 아크리시오스, 페르세우스 → 케페우스, 페르세우스 → 카시오페이아, 디안케트 →미아하,치우 → 황제, 로키 → 발두르
|
은 - 의 사물이다 |
방패 아이기스 → 페르세우스, 투구 퀴네에 → 페르세우스, 주머니 → 페르세우스, 신발 → 페르세우스, 황금 사과 → 아틀라스, 클라우 솔라스 →누아다, 브루냐크 →루, 클라우 솔라스 → 투아하 데 다난, 브루냐크 → 투아하 데 다난, 운드리 → 투아하 데 다난, 리아파르 → 투아하 데 다난, 궁니르 → 오딘, 묠니르 → 토르, 드라우프니르 → 오딘
|
은 - 을 구한다 |
딕티스 → 페르세우스, 딕티스 → 다나에, 페르세우스 → 안드로메다, 미아하 →누아다, 디안케트 →누아다
|
은 - 이 관장한다 |
포세이돈 → 케토, 포세이돈 → 네레이데스 자매,홍균도인 → 서왕모,홍균도인 → 옥황상제
|
은 -의 신이다 |
루 → 투아하 데 다난, 누아다 → 투아하 데 다난, 디안케트 → 투아하 데 다난, 바이브 카흐 → 투아하 데 다난, 브레스 → 투아하 데 다난, 레르 → 투아하 데 다난, 게브네 → 투아하 데 다난
|
은 -에 모티프로 사용되었다 |
엑스칼리버→킹아서 : 제왕의 검, 레프러칸→ 해리포터, 밴시→해리포터, 아더왕→킹아서 : 제왕의 검,멀린→킹아서 : 제왕의 검, 보티건→킹아서 : 제왕의 검, 우서 펜드레곤→킹아서 : 제왕의 검, 원탁의 기사→킹아서 : 제왕의 검, 운드리→나니아 연대기, 티르 나 노이→나니아 연대기,요툰→반지의 제왕, 드워프→반지의 제왕, 요툰 → 해리포터, 오딘 → 토르 시리즈, 토르 → 토르 시리즈, 로키 → 토르 시리즈, 궁니르 → 토르 시리즈, 묠니르 → 토르 시리즈, 안드바라나우트 → 반지의 제왕, 정령 신앙 → 이웃집 토토로, 원령 신앙 → 원령공주,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요괴 → 음양사
|
은 -의 왕이다 |
누아다 →투아하 데 다난, 루→투아하 데 다난, 브레스→투아하 데 다난
|
은 -와 사랑에 빠진다 |
귀네비어 → 랜슬롯, 항아 → 예
|
은 -의 부하이다 |
원탁의 기사 →아더왕, 멀린 →아더왕,홍균도인 → 서왕모,홍균도인 → 옥황상제
|
은 -을 증오한다 |
모건 르 페이 →아더왕, 모드레드 →아더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