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중국 신화 중 창세신화에 등장하는 신. 최초의 거인이며 하늘을 떠받들다 죽어서 세상으로 다시 태어난다.
세계가 커다란 알 속에 혼돈의 형태로 자리하고 있을 때 그 안에 잉태되었다. 자람에 따라 알을 도끼로 깨고 나왔는데 그때 알 속에 있던 것들이 세상에 흩어지며 하늘과 땅이 되었다. 하지만 이때 세상은 매우 불안정해서 반고는 하늘이 자기한테 무너져 내릴 것 같은 불안에 시달렸다. 그래서 하늘을 바치고 서 있게 되었는데 반고의 몸이 계속 자람에 따라 하늘도 따라 올라갔고 그렇게 해서 하늘과 땅이 서로 떨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1만 8천 년후 힘에 부친 반고가 쓰러져 죽고 마는데, 이때 흘린 체액은 강과 바다를 이루고 뼈와 살은 산과 들과 언덕이 되었다.
전설
당초 하늘과 땅은 달걀처럼 생긴 혼돈(渾沌)이었다. 반고는 그 속에서 태어났고, 1만 7~8천 년이 지난 다음에 천지개벽이 있었는데 양청(陽淸, 알의 밝은 부분)은 하늘이 되고 음탁(陰濁, 알의 누런 부분)은 땅이 되었다.
하늘은 높아지고 땅은 점점 두꺼워졌고 반고도 하루하루 몸이 길어지고 커졌다. 그의 머리와 팔다리는 오악(五岳)으로 변했고, 피와 눈물은 강과 하천이 되었으며, 눈은 해와 달이 되었고, 털은 풀과 나무로 변했다. 그의 입김은 비바람으로 변했고, 음성은 천둥이 되었다. 눈빛은 번개와 벼락이 되었다. 눈을 뜨고 있으면 낮이었고, 눈을 감으면 밤이 되었다. 입을 열면 봄, 여름이 되었고, 입을 다물면 가을, 겨울이었다. 기분이 좋으면 날이 맑았고, 화를 내면 날이 흐렸다.
오악은 중국인이 전통적으로 숭상하는 다섯 개의 산으로, 동악 태산, 서악 화산, 남악 형산, 북악 항산, 중악 숭산을 가리킨다. 반고의 머리는 동악인 태산(泰山)이 되었고, 배 부분은 중악인 숭산(嵩山)이 되었고, 왼팔은 남악 형산(衡山)이 되었다.
오른팔은 북악 항산(恒山)이 되고, 두 발은 서악 화산(華山)이 되었다. 『술이기』에는 반고와 관련된 전설이 아주 오래 전부터 전해오는 설에서 비롯되기도 했고, 진 · 한 시대에 만들어졌거나 남방 오 · 월 지역에서 성행하기도 했으며, 옛날 유가의 설이기도 했다는 기록이 있다.
옛날 사람들은 반고를 기념하기 위하여 남해에 반고 무덤을 세웠으며 계림(桂林)에는 사당까지 세웠다고 한다.(현재 남아 있는 관련 유적은 없다.)
참고 자료
나무위키
기여
- 최초작성: 호영
- 페이지 편집, 오류수정: 박혜연
[펼치기]
Class
클래스 |
노드
|
신화 |
켈트신화, 북유럽 신화, 일본 신화, 중국 신화, 그리스 로마신화
|
신화에 등장하는 신 |
투아하 데 다난, 루, 누아다, 디안케트, 미아하, 바이브 카흐, 레르, 마나난, 게브네, 오딘, 토르, 로키, 프리그, 발두르, 이자나기, 이자나미, 아마테라스 오미카미,손오공, 보리, 옥황상제, 서왕모, 츠쿠요미 노미코토, 스사노오 노미코토, 아라하바키, 사루타히코, 페르세우스, 제우스,헤라, 아테나, 헤르메스, 하데스, 포세이돈 ,반고,홍균도인,복희,여와,예,항아,축융,신농,황제,누조,치우,창힐,서왕모,옥황상제, 니니기노 미코토
|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
밴시, 레프러칸,요툰, 드워프, 아우둠라, 요르문간드, 펜리르,구미호, 메두사, 고르곤 자매, 그라이아이 자매, 페가소스, 크리사오르, 케토, 정위조,도철,궁기,붕,야차,기린,백호,주작,현무,달기,정령 신앙, 원령 신앙, 요괴
|
신화에 등장하는 사물 |
엑스칼리버, 클라우 솔라스, 운드리, 브루냐크, 리아파르, 궁니르, 드라우프니르, 묠니르, 안드바라나우트, 방패 아이기스, 투구 퀴네에, 주머니, 신발, 황금 사과,불사약
|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 |
아더왕, 원탁의 기사, 랜슬롯, 멀린, 모드레드, 모건 르 페이, 귀네비어, 보티건, 드루이드 사제, 리프와 리프트라시르, 시구르드, 아크리시오스, 다나에, 안드로메다 , 카시오페이아, 케페우스, 딕티스, 폴리덱테스, 히포다메이아, 아틀라스, 네레이데스 자매, 피네우스, 페르세스, 고르고포네, 스테넬로스 , 알카이오스, 엘렉트리온, 메스토르
|
영화 |
해리포터시리즈, 킹아서 : 제왕의 검, 반지의 제왕, 토르 시리즈, 봉신 전기, 나타요해, lash Of The Titans 2010, Immortals, Hercules
, 나니아 연대기, 음양사,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원령공주, 이웃집 토토로
|
Relation
관계어 |
노드
|
은 -가 만들었다 |
메두사 → 페가수스, 메두사 → 크리사오르. 혼슈→ 이자나기, 시코쿠→ 이자나기, 규슈→ 이자나기, 안드바라나우트 → 드워프
|
은 -을 포함한다 |
고르곤 자매 → 메두사, 원탁의 기사 →랜슬롯, 드루이드 사제 →멀린
|
은 -의 혈통이다 |
페르세우스 → 다나에, 다나에 → 아크리시오스, 페르세우스 → 제우스 , 아테나 → 제우스 , 헤르메스 → 제우스 → 페르세스 → 페르세우스, 고르고포네 → 페르세우스, 스테넬로스 → 페르세우스, 알카이오스 → 페르세우스, 엘렉트리온 → 페르세우스, 메스토르 → 페르세우스, 안드로메다 → 케페우스 , 안드로메다 → 카시오페이아 , 마나난→ 레르, 아더왕→ 우서 펜드레곤, 모드레드→ 모건 르 페이, 미아하→ 디안케트, 루 →디안케트, 발두르 → 오딘, 시구르드 → 오딘, 발두르 → 프리그, 요르문간드 → 로키, 펜리르 → 로키,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 이자나기, 츠쿠요미 노미코토 → 이자나기,
스사노오 노미코토 → 이자나기,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 이자나미, 츠쿠요미 노미코토 → 이자나미, 스사노오 노미코토 → 이자나미, 니니기노 미코토 →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
은 -의 동생이다 |
포세이돈 → 제우스, 하데스 → 제우스, 딕티스 → 폴리덱테스, 피네우스 → 케페우스, 아더왕 → 모건 르 페이,여와 → 복희 이자나미 → 이자나기
|
은 -의 배우자이다 |
제우스 → 헤라, 케페우스 → 카시오페이아, 페르세우스 → 안드로메다, 아더왕 →귀네비어, 누아다 →바이브 카흐, 오딘 → 프리그, 이자나기 → 이자나미, 여와 → 복희, 누조 → 신농, 항아 → 예
|
은 - 을 죽였다 |
페르세우스 → 메두사, 페르세우스 → 케토, 페르세우스 → 아틀라스, 페르세우스 → 피네우스, 페르세우스 → 아크리시오스, 페르세우스 → 케페우스, 페르세우스 → 카시오페이아, 디안케트 →미아하,치우 → 황제, 로키 → 발두르
|
은 - 의 사물이다 |
방패 아이기스 → 페르세우스, 투구 퀴네에 → 페르세우스, 주머니 → 페르세우스, 신발 → 페르세우스, 황금 사과 → 아틀라스, 클라우 솔라스 →누아다, 브루냐크 →루, 클라우 솔라스 → 투아하 데 다난, 브루냐크 → 투아하 데 다난, 운드리 → 투아하 데 다난, 리아파르 → 투아하 데 다난, 궁니르 → 오딘, 묠니르 → 토르, 드라우프니르 → 오딘
|
은 - 을 구한다 |
딕티스 → 페르세우스, 딕티스 → 다나에, 페르세우스 → 안드로메다, 미아하 →누아다, 디안케트 →누아다
|
은 - 이 관장한다 |
포세이돈 → 케토, 포세이돈 → 네레이데스 자매,홍균도인 → 서왕모,홍균도인 → 옥황상제
|
은 -의 신이다 |
루 → 투아하 데 다난, 누아다 → 투아하 데 다난, 디안케트 → 투아하 데 다난, 바이브 카흐 → 투아하 데 다난, 브레스 → 투아하 데 다난, 레르 → 투아하 데 다난, 게브네 → 투아하 데 다난
|
은 -에 모티프로 사용되었다 |
엑스칼리버→킹아서 : 제왕의 검, 레프러칸→ 해리포터, 밴시→해리포터, 아더왕→킹아서 : 제왕의 검,멀린→킹아서 : 제왕의 검, 보티건→킹아서 : 제왕의 검, 우서 펜드레곤→킹아서 : 제왕의 검, 원탁의 기사→킹아서 : 제왕의 검, 운드리→나니아 연대기, 티르 나 노이→나니아 연대기,요툰→반지의 제왕, 드워프→반지의 제왕, 요툰 → 해리포터, 오딘 → 토르 시리즈, 토르 → 토르 시리즈, 로키 → 토르 시리즈, 궁니르 → 토르 시리즈, 묠니르 → 토르 시리즈, 안드바라나우트 → 반지의 제왕, 정령 신앙 → 이웃집 토토로, 원령 신앙 → 원령공주,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요괴 → 음양사
|
은 -의 왕이다 |
누아다 →투아하 데 다난, 루→투아하 데 다난, 브레스→투아하 데 다난
|
은 -와 사랑에 빠진다 |
귀네비어 → 랜슬롯, 항아 → 예
|
은 -의 부하이다 |
원탁의 기사 →아더왕, 멀린 →아더왕,홍균도인 → 서왕모,홍균도인 → 옥황상제
|
은 -을 증오한다 |
모건 르 페이 →아더왕, 모드레드 →아더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