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를 기록한 화원 이명기의 삶과 유산
DH 교육용 위키
기획의도
조선시대 회화는 주로 작품의 주제나 초상화의 주인공 인물에 초점을 맞추어 감상되고 평가되어왔다. 화가 개인의 삶과 예술 세계는 상대적으로 크게 조명받지 못했으며, 화가에 대한 정보도 잘 알려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이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원 이명기(李命基, 1756~?)를 중심으로 그의 가계, 작품 활동, 사회적 관계망을 구조화하여, 한 화가의 삶과 조선 사회 속 예술 문화의 맥락을 입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기획되었다.
특히 단순한 인물 연대기나 작품 목록 나열을 넘어, 이명기와 그의 작품 세계를 중심으로 화원 집단의 전통, 사대부 초상화 문화, 왕실과 사대부를 연결하는 예술 네트워크를 시맨틱 데이터 기반으로 구축하였다. 각 인물, 사건, 작품, 기록을 독립된 노드로 설정하고, 그들 간의 의미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조선 후기 예술과 사회 구조의 상호작용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맨틱 데이터 기반 스토리텔링
온톨로지
클래스
Class | Definition | Remarks |
---|---|---|
Actor | 인물 | 역사인물 및 단체 |
Painting | 회화작품 | 어진, 초상화, 불화 등을 포함한 회화작품 |
Record | 문헌 | 역사인물이 남긴 문헌 및 문서 |
Concept | 개념 | 관직을 나타내는 개념어 |
Heritage | 문화유산 | 문화유산 지정 및 등록 정보 |
릴레이션
Relation | Domain | Range | Definition |
---|---|---|---|
creator | Painting | Actor | 작품 A의 화가는 B이다 |
contributor | Painting | Actor | 작품 A의 제작에 기여한 사람은 B이다 |
depicts | Painting | Actor | 작품 A는 인물 B를 그렸다 |
documents | Record | Painting | 문헌 A는 작품 A에 대해 기록하였다 |
hasPart | Painting / Record | Record | 작품/문헌 A는 문헌 B를 포함한다 |
servesAs | Actor | Concept | 인물 A는 관직 B를 지냈다 |
isInfluencedBy | Painting | Painting / Actor | 작품 A는 작품/인물 B의 영향을 받았다 |
isDesignatedAs | Painting / Record | Heritage | 작품/문헌 A는 문화유산 B로 지정되어 있다 |
hasWife | Actor | Actor | 인물 A의 아내는 인물 B이다 |
hasSon | Actor | Actor | 인물 A의 아들은 인물 B이다 |
hasDaughter | Actor | Actor | 인물 A의 딸은 인물 B이다 |
hasAdoptedHeir | Actor | Actor | 인물 A의 양자는 인물 B이다 |
hasDescendant | Actor | Actor | 인물 A의 후손은 인물 B이다 |
hasDisciple | Actor | Actor | 인물 A의 제자는 인물 B이다 |
네트워크 그래프
참고문헌
- 이명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선후기 최고의 초상화가. 화산관 이명기와 『채제공 초상』, 국가유산사랑, 국가유산청, 2008.05.28.
- 박정혜, 황정연, 윤진영, 강민기, 『왕실문화총서 06 - 조선시대 궁중회화 3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