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9년 5월 20일 (월) 00:50 (비교 | 역사) . . (+369) . . 새글 162. 구하동(鳩下洞) (새 문서: 162. 구하동(鳩下洞381)) 鳩下村前導五川 구하촌 앞에는 다섯 시냇물이 흐르고, 趙金相接一村烟 조씨와 김 씨네가 한 마을을 이루었네. 春光...)
- 2019년 5월 20일 (월) 00:49 (비교 | 역사) . . (+939) . . 새글 161. 구주동(鳩洲洞) (새 문서: 161. 구주동(鳩州洞379)) 鷗洲洞在鳳山前봉산의 앞에 있는 구주동 다다라서, 來攪南宮石枕眠돌베개 베고 자던 남궁씨를 깨웠네. 憑問李基何...)
- 2019년 5월 20일 (월) 00:48 (비교 | 역사) . . (+887) . . 새글 160. 고산동(孤山洞) (새 문서: 160. 고산동(孤山洞377)) 孤山林麓近西湖고산골 산록은 서쪽 호수에 가까운데, 籠鶴誰家報客乎어떤 집의 우리 속 학(鶴)이 손님 왔음을 알리...)
- 2019년 5월 20일 (월) 00:48 (비교 | 역사) . . (+1,605) . . 새글 159. 산곶동(山串洞) (새 문서: 내가면(內可面) 159. 산곶동(山串洞372)) 山串村開一樂窩산곶동 마을은 낙원을 열었으니, 春風最是此中多봄바람 여기에 가장 많이 불어오네...)
- 2019년 5월 20일 (월) 00:38 (비교 | 역사) . . (+600) . . 새글 158. 망월동(望月洞) (새 문서: 158. 망월동(望月洞371)) 望月洞開大野中망월동은 넓은 들판 가운데에 펼쳐있고, 烏橋春水鵲橋通까마귀다리 봄물은 까치다리로 통하네. 水...)
- 2019년 5월 20일 (월) 00:37 (비교 | 역사) . . (+614) . . 새글 157. 삼거동(三巨洞) (새 문서: 외가면(外可面369)) 157. 삼거동(三巨洞) 多雲里是外三街삼거리 바깥쪽에 다운리370)가 있는데, 安李分居碧樹崖안씨와 이씨가 푸른 숲 언덕...)
- 2019년 5월 20일 (월) 00:37 (비교 | 역사) . . (+3,569) . . 새글 156. 신성동(新成洞) (새 문서: 156. 신성동(新成洞362)) 新成洞有古人風신성동엔 옛 사람의 풍습이 있으니, 兩李門前一逕同두 분 이씨 정려문이 한길로 연결되네. 竊想當...)
- 2019년 5월 20일 (월) 00:36 (비교 | 역사) . . (+1,203) . . 새글 155. 삼거동(三巨洞) (새 문서: 155. 삼거동(三巨洞359)) 三巨洞中訪沈兄삼거리에 들어와서 심씨 형님 찾았는데, 從前文學大家聲종전엔 문학으로 대가 명성 있었다네. 靑衫...)
- 2019년 5월 20일 (월) 00:35 (비교 | 역사) . . (+850) . . 새글 154. 이현동 덕수이씨 (새 문서: 154. 이현동 덕수이씨(德水李氏*) 柿林來訪李兄居감나무 숲 이씨 형이 사는 곳을 찾아가니, 三疊淸琴一架書삼첩의 거문고와 서가 가득 책...)
- 2019년 5월 20일 (월) 00:33 (비교 | 역사) . . (+1,606) . . 새글 153. 이현동(梨峴洞) (새 문서: 153. 이현동(梨峴洞355)) 梨峴來尋表弟家이현마을 이르러 외가 아우 찾아가서, 終霄情話海無涯밤새도록 정다운 얘기 끝이 없이 이어졌네....)
- 2019년 5월 20일 (월) 00:22 (비교 | 역사) . . (+759) . . 새글 152. 강후동(江後洞) (새 문서: 152. 강후동(江後洞353)) 別立山前江後基별립산 앞쪽의 강후마을이 있는데, 隱居韓友老於斯숨어 사는 한씨 친구 여기서 늙어 가네. 侍堂侍...)
- 2019년 5월 20일 (월) 00:21 (비교 | 역사) . . (+802) . . 새글 151. 창교동(倉橋洞) (새 문서: 151. 창교동(倉橋洞352)) 倉橋洞在海西濱창교동은 서쪽 편 바닷가에 있는데, 李具書樓共是春이씨 구씨 서당엔 봄빛이 가득하다. 因說閑中還...)
- 2019년 5월 20일 (월) 00:21 (비교 | 역사) . . (+417) . . 새글 150. 별립산(別立山) (새 문서: 간점면(艮岾面351)) 150. 별립산(別立山) 別立山高石萬層별립산 높이 솟아 돌계단도 많구나, 盤龍蹲虎勢騰騰서린 용과 웅크린 호랑이가 뛰...)
- 2019년 5월 20일 (월) 00:19 (비교 | 역사) . . (+2,529) . . 새글 149. 인화동(寅火洞) (새 문서: 149. 인화동(寅火洞346)) 寅火中流石虎雄석호의 웅장한 기운 인화리서 흘러서, 西通延海與喬桐서쪽의 연안 해주와 교동까지 통하네. 渚雲野...)
- 2019년 5월 20일 (월) 00:17 (비교 | 역사) . . (+532) . . 새글 148. 송산동(松山洞) (새 문서: 148. 송산동(松山洞345)) 松林深處是松山소나무 숲 우거진 곳이 송산 마을이거늘, 曲曲回龍曲曲灣굽이굽이 용이 돌고 굽이굽이 물이 도네....)
- 2019년 5월 20일 (월) 00:15 (비교 | 역사) . . (+676) . . 새글 147. 교항동(橋項洞) (새 문서: 147. 교항동(橋項洞344)) 橋項洞人識古風교항동 사람들은 옛 풍습을 잘 알아서, 金生昔日著心紅예전의 김 선생은 깊은 충정 드러냈네. 東西...)
- 2019년 5월 20일 (월) 00:14 (비교 | 역사) . . (+828) . . 새글 146. 증산동(甑山洞) (새 문서: 서사면(西寺面342)) 146. 증산동(甑山洞343)) 甑山之上碧生烟증산 마을 위에서 푸른 연기 일어나고, 南繞松林北繞川남쪽은 솔숲이 두르고 북...)
- 2019년 5월 20일 (월) 00:13 (비교 | 역사) . . (+838) . . 새글 145. 냉정동(冷井洞) (새 문서: 145. 냉정동(冷井洞) 長江一曲抱村流긴 강이 한 번 굽어 마을 안고 흐르는데, 韓友居之瑤谷幽요곡의 그윽한 곳에 한씨 친구 살고 있네. 認...)
- 2019년 5월 20일 (월) 00:12 (비교 | 역사) . . (+537) . . 새글 144. 군하동(羣下洞) (새 문서: 144. 군하동(羣下洞339)) 花綠絮業去無窮꽃 피고 잎새 나는 일 끝없이 이어지니, 江北山川三月風강화 북쪽 산천에도 3월 바람 불어온다. 狻...)
- 2019년 5월 20일 (월) 00:11 (비교 | 역사) . . (+617) . . 새글 143. 삼성동(三省洞) (새 문서: 143. 삼성동(三省洞338)) 三省村名錫以嘉삼성촌 이름은 기리기 위해 붙였으니, 曾門傳業是誰家일찍이 업을 이은 가문 누구의 집안인가. 萬...)
- 2019년 5월 20일 (월) 00:03 (비교 | 역사) . . (+494) . . 새글 142. 덕현동(德峴洞) (새 문서: 142. 덕현동(德峴洞337)) 德峴洞前客馬停덕고개 마을 앞에 나그네 발길 멈추노니, 白波縈裡碧山屛흰 물결 둘러친 안쪽에 푸른 산이 병풍 쳤...)
- 2019년 5월 20일 (월) 00:02 (비교 | 역사) . . (+1,199) . . 새글 141. 철곶동(鐵串洞) (새 문서: 141. 철곶동(鐵串洞333)) 鐵串當年設鎭關그 당시 철곶에는 진관(鎭關)이 있었으나, 祗今唯指一拳山지금은 하나의 작은 봉우리뿐이구나. 居...)
- 2019년 5월 20일 (월) 00:01 (비교 | 역사) . . (+860) . . 새글 140. 산이포동(山里浦洞) (새 문서: 북사면(北寺面331)) 140. 산이포동(山里浦洞332)) 山里浦前水色連산이포 앞쪽은 바닷물에 닿아 있어, 漁歌一曲去來船오고가는 배에서 고기잡...)
- 2019년 5월 20일 (월) 00:00 (비교 | 역사) . . (+901) . . 새글 139. 양오리(陽五里) (새 문서: 139. 양오리(陽五里329)*) 陽五里村水石奇 양오리 마을에는 수석이 기이한데, 三家相接短松籬 세 성씨 모여 살며 소나무로 울타리 쳤네. 乃...)
- 2019년 5월 19일 (일) 23:59 (비교 | 역사) . . (+479) . . 새글 138. 장정동(長井洞) (새 문서: 138. 장정동(長井洞328)) 西上雲山二里餘서쪽으로 2리 떨어진 구름 낀 산 올라가니, 聽鷄忽覺有人居닭소리에 문득 깨닫네 사람 사는 마을임...)
- 2019년 5월 19일 (일) 23:59 (비교 | 역사) . . (+558) . . 새글 137. 부근동(富近洞) (새 문서: 137. 부근동(富近洞327)) 麗山峯壑赴河陰고려산 봉우리와 골짝은 하음에 다다르고, 富近村閭碧繞林부근리 마을이 푸른 숲에 둘려있네. 坐讀...)
- 2019년 5월 19일 (일) 23:58 (비교 | 역사) . . (+865) . . 새글 136. 봉가지(奉哥池) (새 문서: 136. 봉가지(奉哥池326)) 雲龍直上奉哥池구름 탄 용 봉가지에서 수직으로 올라갔고, 中有浮函出有兒떠오른 상자 속에 아이가 있었다네. 年...)
- 2019년 5월 19일 (일) 23:57 (비교 | 역사) . . (+658) . . 새글 135. 신촌동(新村洞) (새 문서: 135. 신촌동(新村洞324)) 新村洞口樹多陰신촌동 입구에는 숲이 많이 우거졌고, 金老恒遊道德林김씨 노인 언제나 도덕의 세계에서 노닐었네....)
- 2019년 5월 19일 (일) 23:50 (비교 | 역사) . . (-20) . . 134. 하음면(河陰面)
- 2019년 5월 19일 (일) 23:48 (비교 | 역사) . . (+4,955) . . 새글 133. 하도동(下道洞) (새 문서: 133. 하도동(下道洞318)) 石洲卜宅五流川석주선생 오류천319)에 자리 잡고 살았는데, 陂上櫻桃幾百年언덕 위의 앵두나무 몇 백 년이 되었는...)
- 2019년 5월 19일 (일) 23:47 (비교 | 역사) . . (+765) . . 새글 132. 상도동(上道洞) (새 문서: 132. 상도동(上道洞315)) 上道村前春水生상도촌 앞에는 봄물이 불어나고, 洪崖琥谷近郊程홍애부락 호박골이 가까이 자리했네. 李金各倚東...)
- 2019년 5월 19일 (일) 23:46 (비교 | 역사) . . (+772) . . 새글 131. 긍곡(矜谷) (새 문서: 131. 긍곡(矜谷313)) 矜谷來留客馬覊긍곡에 다다라서 나그네 발길을 멈추니, 依然春色舊遊時봄기운 의연하네 옛적에 놀던대로. 薔薇花下金...)
- 2019년 5월 19일 (일) 23:45 (비교 | 역사) . . (+1,804) . . 새글 130. 승천포(昇天浦) (새 문서: 130. 승천포(昇天浦312)) 昇天浦口問歸船승천포 나루에서 돌아가는 배 물어보니, 或指開城或漢川어떤 것은 개성이요 어떤 것은 한강을 가리...)
- 2019년 5월 19일 (일) 23:43 (비교 | 역사) . . (-8,314) . . 129. 당산동(堂山洞)
- 2019년 5월 19일 (일) 23:42 (비교 | 역사) . . (+1,354) . . 새글 134. 하음면(河陰面) (새 문서: 하음면(河陰面) 134. 하음면(河陰面322)) 冬音奈縣卽河陰옛적의 동음나현 오늘의 하음이니, 麗代傳名尙到今고구려 때 전한 이름 오늘에 이...)
- 2019년 5월 19일 (일) 23:41 (비교 | 역사) . . (+9,616) . . 새글 129. 당산동(堂山洞) (새 문서: 삼해면(三海面309)) 129. 당산동(堂山洞310)) 須到堂山披晩霞당산리에 이르니 저녁노을 퍼져있고, 李安許朴櫛比家이씨 안씨 허씨 박씨네 집...)
- 2019년 5월 19일 (일) 23:30 (비교 | 역사) . . (+904) . . 새글 128. 포촌동(浦村洞) (새 문서: 128. 포촌동(浦村洞308)) 在昔壬辰一劫當그 옛적 임진년에 왜적의 침입 받아, 腥塵八路共凄凉사방팔방 피비린내로 모두가 처참했네. 最奇此...)
- 2019년 5월 19일 (일) 23:30 (비교 | 역사) . . (+669) . . 새글 127. 숭릉동(崇陵洞) (새 문서: 127. 숭릉동(崇陵洞306)) 宿龍橋下雨來村숙룡교 아래쪽에 우래촌이 있는데, 列柳枝枝拂短垣늘어선 버들가지 낮을 담을 쓸고 있네. 曾有年兄...)
- 2019년 5월 19일 (일) 23:29 (비교 | 역사) . . (+759) . . 새글 126. 뇌곶동(雷串洞) (새 문서: 126. 뇌곶동(雷串洞305)) 御來峴上渚雲垂어래현 위쪽의 물안개가 드리운 곳은, 三百年前殿坐基삼백 년 이전에 임금 머문 터였네. 雷串洞人...)
- 2019년 5월 19일 (일) 23:29 (비교 | 역사) . . (+715) . . 새글 125. 숙룡교(宿龍橋) (새 문서: 125. 숙룡교(宿龍橋304)) 麗山水出向東流고려산 계곡물이 동쪽 향해 흐르고, 亘一橋龍駕浦頭ʻ용ʼ다리 걸쳤으니 포구의 어가로다. 北望崇陵...)
- 2019년 5월 19일 (일) 23:28 (비교 | 역사) . . (+1,575) . . 새글 124. 솔정동(率亭洞) (새 문서: 124. 솔정동(率亭洞300)) 率亭洞裡士多居솔정동 마을에는 선비가 많이 살아, 鋤罷西疇坐讀書호미질 끝내고 밭두렁에 앉아서 책을 읽네. 床...)
- 2019년 5월 19일 (일) 23:25 (비교 | 역사) . . (+814) . . 새글 123. 낙성동(樂城洞) (새 문서: 송정면(松亭面) 123. 낙성동(樂城洞299)) 神城洞口聽農歌신성동 입구에 권농가가 들리는데, 頭着黃冠背着簑머리에 황관 쓰고 도롱이를 등에...)
- 2019년 5월 19일 (일) 23:14 (비교 | 역사) . . (+742) . . 새글 122. 소산리동(小山里洞) (새 문서: 122. 소산리동(小山里洞298)) 小山叢桂管何人소산리 계수나무 숲은 그 누가 돌보는가, 招隱歌中客意新초은의 노래 소리에 나그네 뜻 새롭구...)
- 2019년 5월 19일 (일) 23:14 (비교 | 역사) . . (+1,751) . . 새글 121. 선학곡(仙鶴谷) (새 문서: 121. 선학곡(仙鶴谷295)) 谷鳥翩翩仙鶴村골짝 새들 날아 오른 선학촌 골짜기엔, 曾是金公卜居爰일찍이 김공이 자리 잡고 살던 곳. 府留瓊韻...)
- 2019년 5월 19일 (일) 23:13 (비교 | 역사) . . (+3,891) . . 새글 120. 양양곡(襄陽谷) (새 문서: 120. 양양곡(襄陽谷290)) 姜公舊第地襄陽강공의 옛 집은 양양골에 있는데, 楣上紅旌玉署香문 이마의 붉은 정려 귀한 글씨 향기 나네. 荷國寵...)
- 2019년 5월 19일 (일) 23:12 (비교 | 역사) . . (+1,123) . . 새글 119. 고성당동(高聖堂洞) (새 문서: 119. 고성당동(高聖堂洞286)) 高聖堂前近海門고성당 앞 쪽은 해문에 가까운데, 黃翁白髮坐松軒백발의 황옹이 松軒에 앉아 있네. 閑言此土其...)
- 2019년 5월 19일 (일) 23:10 (비교 | 역사) . . (+2,005) . . 새글 118. 대묘동(大廟洞) (새 문서: 118. 대묘동(大廟洞280)) 莊武祠傳大廟村장무사는 대묘촌에 전하여 오는데, 在前列屋摠雲孫앞에 있는 열 지은 집에 후손이 모여 사네. 枝枝...)
- 2019년 5월 19일 (일) 23:09 (비교 | 역사) . . (+602) . . 새글 117. 연미조범(燕尾漕帆) (새 문서: 117. 연미조범(鷰尾漕帆) 鷰尾亭高二水中연미정 높이 섰네 두 강물 사이에, 三南漕路檻前通삼남지방 조운 길이 난간 앞에 통했었네. 浮浮...)
- 2019년 5월 19일 (일) 23:09 (비교 | 역사) . . (+1,693) . . 새글 116. 월곶동(月串洞) (새 문서: 116. 월곶동(月串洞278)) 鷰尾亭前鎭月移연미정 앞에는 둥근 달이 기울어 가는데, 黃公舊屋別成規황공의 옛집이 규모 있게 서있네. 一苞奇...)
- 2019년 5월 19일 (일) 23:08 (비교 | 역사) . . (+563) . . 새글 115. 범위리(範圍里) (새 문서: 115. 범위리(範圍里) 範圍里內是安居범위리 마을에는 안씨들이 사는데, 柿葉桑枝左右廬감나무와 뽕나무가 집주위에 늘어섰네. 老翁當晩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