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고대 중국에는 성을 수호한다는 성지(城池) 신앙이 있었는데 이것이 남북조 시대 이래로 '성황'으로 변하여 일반화되었고 송나라 때에 크게 유행하였다. 이후 성황신앙이 중국으로부터 한국에 유입되었다. 성황님(서낭신)은 이때 함께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관련 지역
강원도 강릉에 서낭신을 보시는 진또배기 서낭당이 있으며, 전남 순천에 서낭신 김총 영정이 모셔져 있다.
관련 문헌
문헌 기록에 등장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려사》(高麗史)에, 고려 문종(文宗) 때에 선덕진(宣德鎭)에 쌓은 새로운 성 안에 성황사를 지어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내게 했다는 기록인데, 고려 때에는 국가에서 공적으로 제사를 올리던 사당으로서 고려 고종(高宗)이 몽골의 침공을 막은 공을 서낭신에게 돌려, 서낭신에게 신호(神號)를 더하기도 하였다.
서낭당은 주로 국가에서 설립하고 운영하였으나 지방의 유력한 호족들이 독자적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 경우에는 호족 집안의 시조 및 그 땅에 연고가 있는 위인들이 서낭신(城隍神)으로 모셔졌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기록된 것을 보면 곡성성황신 신숭겸(申崇謙), 순천부성황신 김총(金摠), 의성부성황신 김홍술(金洪術) 등이 있다. 또한 유금필(庾黔弼)을 가림성황신으로 모신 사례도 있다. 조선 시대에 이르러서는 산천이니 성황이니, 풍운 등 여러 명칭으로 불리던 단들을 하나의 성황당으로 통합하여 재배치하고, 군현마다 사직단과 여단(厲檀)을 일괄적으로 설치하여 봄과 가을로 국가가 주도하여 정기적으로 수령이 제사를 지내게 하는 한편, 국난이나 가뭄이 닥쳤을 때 임시로 서낭제를 지내기도 했다.
조선 중기에 이르러 서낭당의 성격은 크게 변화하였는데 이는 지방 유력자들, 특히 성리학만을 정도로 받들며 그 외의 가르침을 사도(邪道)로 몰았던 사림(士林) 세력이 장악하게 되면서 서낭당에 대해서도 음사(淫祀)로 보았기 때문이다. 조정에서 서낭당에서의 관 차원에서의 제사를 금지하게 되면서 서낭제의 성격도 관헌적인 것에서 민간적인 것으로 바뀌었음을 《영가지》(永嘉誌)나 《임영지》(臨瀛誌)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펼치기]
Class
클래스 |
노드
|
도깨비 |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
공간 |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
작품 |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
문헌 |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
문콘 |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
캐릭터 |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
시대 |
현대, 에도시대
|
Relation
관계어 |
노드
|
은 -의 등장인물이다 |
가오나시 →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쿠 → 갓파쿠와여름방학, 여우비 → 천년여우여우비
|
은 -의 캐릭터다 |
가오나시 → 오니, 가오나시 → 땅거미, 가오나시 -> 놋페라보, 쿠 → 갓파, 여우비 → 구미호, 손오공 → 《서유기》
|
은 -지역의 요괴이다 |
갓파 → 도노, 덴구→ 일본(2017), 여우 →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구로보즈 → 도쿄, 우마왕 → 중국, 나찰녀 → 중국,
|
는 -를 만들었다. |
여와 → 인간
|
는 - 관련 설화이다. |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 한국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 한국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 한국의 도깨비, 구미호 → 한국의 도깨비,도노 모노가타리→덴구 , 도노 모노가타리→여우, 도노 모노가타리→갓파 , 금석 이야기→오니 , 비형랑설화 → 도깨비, 신과 함께(2017) → 한국의 도깨비,금방망이 은방망이 →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금석 이야기 → 헤이안 시대,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 꼬비꼬비
|
는 -와 관련된 공간이다. |
도깨비 다리 → 한국의 도깨비, 김공 선정지비 → 한국의 도깨비, 김성수 생가 → 한국의 도깨비,
교토 → 금석 이야기 , 교토→하세오조시, 안동하회마을 → 별신마을각시,곡성 → 곡성, 한강둔치 → 괴물, 삼매리 → 차우, 한국 → 도깨비,한국 → 곡성, 한국 → 괴물, 한국 → 차우,금석 이야기 → 교토, 금강설화 → 일본, 덴구 → 일본
|
는 -에 등장한다. |
오니 → 하세오조시. 일본의 요괴 → 하세오조시, 저승사자 → 신과 함께(2017),저승사자 → 요괴. 구미호→ 전설의고향, 삼신할매→전설의고향 ,염라대왕(2) → 전설의고향 , 걸귀 → 전설의고향,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땅거미 → 에도시대, 오니 → 에도시대, 여우 → 에도시대, 오니 → 금강설화, 갓파→ 현대, 입이찢어진여자 → 현대, 도깨비 → 꼬비꼬비
|
는 -에 속한다. |
구미호 → 여우, 여우 → 일본의 요괴, 덴구 → 일본의 요괴, 구미호 이야기→삼국유사, 구미호 → 일본의 요괴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 방이설화, 도깨비 → 드라마, 요괴인간벰 → 드라마, 전설의고향 → 드라마, 신의 이미지가 부여된 뱀 → 뱀, 인간에게 해를 주는 뱀 → 뱀, 인간의 배우자로서의 뱀 → 뱀, 덴구 다오시 → 덴구, 덴구 와라이 → 덴구,덴구 쓰부테 → 덴구, 덴구 유스리 → 덴구, 덴구 다이코 → 덴구, 덴구 가쿠시 → 덴구, 덴구 마쓰 → 덴구, 덴구 노히 → 덴구, 입이찢어진여자 → 야마우바, 입이찢어진여자 → 일본의 요괴, 유키 온나 → 일본의 요괴
|
은 -를 소재로 했다 |
곡성 → 오니, 곡성 → 덴구, 괴물 → 오니, 괴물 → 갓파, 차우 → 오니, 차우 → 덴구, 천년여우여우비 → 여우,천년여우여우비 → 구미호,꼬비꼬비 → 한국의 도깨비,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오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땅거미,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놋페라보,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구로보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야마우바,금석 이야기 → 일본의 요괴, 요괴인간벰→ 오니, 도노 모노가타리 → 일본의 요괴, 이누야샤 → 일본의 요괴, 이누야샤 → 야차, 조롱박형제 → 요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