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나잇 인 파리, 그 밤을 물들인 예술가들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목차

기획의도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에는 1920년대와 1890년대(벨 에포크) 프랑스 파리를 무대로 활동했던 세계적 예술가들이 대거 등장한다. 이들의 정체와 예술적 발자취는 개별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나, 이들을 통합적으로 조망하는 콘텐츠는 부재하다. 본 프로젝트는 영화에 등장하는 예술가들의 면면과 그들이 속한 예술 세계, 나아가 인물 간 접점까지 한눈에 조망함으로써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의 이해를 넓히는 동시에, 예술에 대한 상식도 자연스럽게 쌓을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Introduction: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

개요

2011년에 개봉한 판타지 로맨스 코미디 영화로, 프랑스 파리로 여행을 간 주인공 길 펜더가 밤 12시마다, 과거로 시간 여행을 가게 되면서 프랑스 파리 예술계와 관련된 근현대 서양문학예술가들을 만나는 이야기.

시놉시스

낭만과 예술이 가득한 파리에서 펼쳐지는 마법 같은 로맨스! 약혼자 ‘이네스’를 두고 홀로 파리의 밤거리를 걷던 ‘길’은 자정을 알리는 종소리와 함께 나타난 의문의 차를 타고 1920년대 파리에 도착하고, 그곳에서 시대를 대표하는 예술가들과 만나 꿈 같은 시간을 보내게 된다. 그날 이후 매일 밤 12시, 1920년대 파리로 시간여행을 떠나게 된 ‘길’은 헤밍웨이와 피카소의 연인이자 뮤즈인 ‘아드리아나’를 만나고, 그녀에게 매력을 느끼게 되는데…[1]

주요 등장인물

  • 길 펜더 (오웬 윌슨)

영화의 주인공. 1920년대 파리에 대한 깊은 동경을 품고 있는 할리우드 시나리오 작가이다. 약혼녀 이네즈와 여행 온 프랑스 파리에서 우연히 시간 여행을 하게 되고, 자신의 우상들과 교류하며 인생을 돌아보게 된다.

  • 이네즈 (레이첼 맥아담스)

길의 약혼녀로, 현실적이고 물질적인 성향을 지녔다. 길의 과거에 대한 동경을 이해하지 못해 갈등을 빚는다.

  • 아드리아나 (마리옹 코티야르)

1920년대에 살고 있는 매력적인 여성으로, 피카소와의 연인이었던 인물.길이 꿈꾸던 예술적인 삶과 낭만을 대변하는 존재로, 그에게 이상적인 뮤즈 같은 역할을 한다. 하지만 정작 그녀는 1890년대 벨 에포크 시대를 동경하며, 자신의 시대를 완벽하지 않다고 느끼는 모습을 보인다.

<미드나잇 인 파리>에 등장하는 예술가들

1) 1920년대

길이 동경하던 시대이자, 첫 시간 여행을 떠나게 되는 시대.

[문학]

  • 거트루드 스타인 (Gertrude Stein)

거트루드 스타인.jpeg

1874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에서 태어나 1946년 프랑스 파리에서 사망.

소설가, 시인, 극작가이자 아방가르드 미술의 수집가이다.

1903년부터 파리에 거주하며 큐비즘의 초기 지지자로 활동하였고,

27 rue de Fleurus에 위치한 살롱을 통해 피카소, 마티스, 헤밍웨이 등과 교류[2]하며 현대 미술과 문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 레오 스타인 (Leo Stein)

Leo Stein.jpg

1872년 미국에서 태어나 1947년 이탈리아에서 사망.

문학 후원자이자 예술 평론가이다.

거트루드 스타인의 오빠로, 피카소, 마티스 등과 교류하며 파리의 미술계에 영향을 주었다.

  • 앨리스 B. 토클라스 (Alice B. Toklas)

Alice B. Toklas.jpg

1877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나 1967년 파리에서 사망.

작가이자 거트루드 스타인의 오랜 동반자이다.

스타인 사후에는 회고록을 집필하며 그녀의 예술 세계를 보존하고 확산하는 데 기여하였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 (Ernest Hemingway)

ErnestHemingway.jpg

1899년 미국 일리노이에서 태어나 1961년 사망.

헤밍웨이는 미국을 대표하는 현대문학 작가이다.

1920년대 파리에서 ‘잃어버린 세대’ 작가로 활동하며,

『The Sun Also Rises』, 『A Farewell to Arms』 등을 통해 간결한 문체와 남성적 주제를 강조하는 스타일로 문학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 F. 스콧 피츠제럴드 (F. Scott Fitzgerald)

F. Scott Fitzgerald.jpg

1896년 미국에서 태어나 1940년 사망.

1920년대 미국을 대표하는 소설가이다.

대표작 『The Great Gatsby』를 통해 재즈 시대의 허무와 사치, 인간의 열망을 섬세하게 묘사하였다.

  • 젤다 피츠제럴드 (Zelda Fitzgerald)

Zelda Fitzgerald.jpg

1900년 미국에서 태어나 1948년 사망.

작가이자 화가이며 피츠제럴드의 아내이다.

당대의 예술계에서 뮤즈이자 창작자였으며, 자전적 요소를 담은 소설 『Save Me the Waltz』를 남겼다.

  • 주나 반스 (Djuna Barnes)

Djunabarnes.jpg

1892년 미국에서 태어나 1982년 사망.

실험적인 구조와 이미지 중심의 문체로 유명한 모더니즘 작가이다.

대표작은 『Nightwood』이다.

  •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T. S. Eliot)

T.S.Eliot.jpg

1888년 미국에서 태어나, 영국으로 귀화한 미국계 영국인으로 1965년 사망.

모더니즘 문학의 핵심 시인이다.

대표작 『The Waste Land』는 전후 문명의 붕괴와 인간 실존의 위기를 시적으로 형상화하였다.

  • 장 콕토 (Jean Cocteau)

Jean Cocteau.jpg

1889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1963년 사망.

시인이자 극작가, 영화감독으로, 초현실주의 및 아방가르드 예술 전반에 기여한 인물이다.

[미술]

  • 파블로 피카소 (Pablo Picasso)

Pablo picasso.jpg

1881년 스페인 말라가에서 태어나 1973년 프랑스에서 사망.

입체파의 창시자이자 20세기 현대미술의 대표적 거장이다.

대표작은 『Les Demoiselles d'Avignon』이다.

  • 앙리 마티스 (Henri Matisse)

Henri Matisse.jpg

1869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1954년 사망.

야수파의 선구자이다.

강렬한 색채와 단순한 형태를 통해 예술적 자유를 추구하였다.

  • 살바도르 달리 (Salvador Dalí)

Salvador Dalí.jpg

1904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1989년 사망.

초현실주의 화가이다.

기괴하고 환상적인 이미지로 무의식을 시각화하였다.

대표작은 『The Persistence of Memory』이다.

  • 만 레이 (Man Ray)

Man Ray.jpg

1890년 미국에서 태어나 1976년 사망.

사진작가이자 시각 예술가이다.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운동에 참여하였다.

실험적인 사진 기법과 오브제 작업으로 유명하다.

[영화]

  • 루이스 부뉴엘 (Luis Buñuel)

LuisBuñuel.jpg

1900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1983년 사망.

초현실주의 영화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살바도르 달리와 함께 제작한 『Un Chien Andalou』로 세계 영화계에 충격을 주었다.

[음악 및 공연]

  • 후안 벨몬테 (Juan Belmonte)

Juan-belmonte.jpeg

1892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1962년 사망.

혁신적인 투우 방식으로 유명한 투우사이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와 친구였으며, 헤밍웨이의 소설,『Death in the Afternoon』에서 그의 투우 철학이 언급된다.

  • 콜 포터 (Cole Porter)

Coleporter.jpg

1891년 미국에서 태어나 1964년 사망.

브로드웨이 뮤지컬 작곡가로, 재치 있고 세련된 가사와 멜로디로 사랑받았다.

  • 조세핀 베이커 (Josephine Baker)

Baker Harcourt.jpg

1906년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태어난 미국계 프랑스인으로 1975년 사망.

가수이자 무용가이며, 1920년대 파리에서 흑인 예술가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낸 인물이다.

인종 차별 반대 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2)1890년대,벨 에포크(Belle Époque, "아름다운 시대")

1920년대에 속한 아드리아나가 동경하던 시대로, 길이 그녀를 따라 2차 시간 여행을 하게 된 시대.

프랑스어로 '좋은 시대'라는 의미이다. 프랑스의 정치적 격동기가 끝난 후부터 1914년 1차 세계대전 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19세기 말~20세기 초의 기간을 이르는 말로, 이 시기는 산업혁명을 거쳐 프랑스 파리에 풍요가 깃들고 예술과 문화가 번창하면서 평화를 구가한 시기이다[3]

  •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렉 (Henri de Toulouse-Lautrec)

Henri de Toulouse-Lautrec.jpg

1864년 프랑스 알비에서 태어나 1901년 사망.

포스터 아트의 선구자이자 탈인상주의 화가이다.

풍자적이고 대담한 표현을 통해 상업 미술과 고급 예술의 경계를 허물었고,

몽마르트르의 밤문화와 카바레를 주제로 한 작품들을 통해 파리 대중문화의 생생한 현장을 포착하였다.

대표작으로는 《Moulin Rouge: La Goulue》가 있다.

  • 에드가 드가 (Edgar Degas)

Edgar-degas.jpg

1834년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나 1917년 사망.

인상주의 화가이자 조각가이다.

주로 발레리나, 연극 무대, 일상 속 여성의 모습을 섬세하게 묘사하였으며, 빛과 구도를 실험적으로 활용한 구성이 특징이다.

회화뿐 아니라 청동 조각과 파스텔화를 남겼고, 대표작으로는 《L'Étoile》, 《The Ballet Class》 등이 있다.

그는 스스로 인상주의자라 불리는 것을 꺼려했으나, 인상주의 운동의 중심 인물로 평가된다.

  • 폴 고갱 (Paul Gauguin)

Paul-gauguin.jpg

1848년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나 1903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아투아에서 사망.

탈인상주의의 대표 화가이다.

원시성과 상징주의에 심취하여 타히티로 이주한 뒤 강렬한 색채와 단순화된 형태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며, 표현주의와 상징주의 예술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대표작으로는 《Where Do We Come From? What Are We? Where Are We Going?》 등이 있다.

예술가들과 관련된 예술사조

1) 인상주의 (Impressionism, 1860s~1890s)

인상주의는 19세기 중후반 프랑스에서 등장한 예술 운동으로, 당시의 아카데미 미술의 엄격한 규칙과 역사적·종교적 주제를 내포하는 전통적인 회화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다. '인상주의'라는 말은, 대표적인 인상파 화가인 클로드 모네의 대표작,《인상, 해돋이》(Impression, Sunrise)에서 유래되었다. 인상주의 예술가들은 산업혁명과 도시화로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자연 혹은 일상의 순간적인 인상을 포착하려 하였다.

표현 특징

  • 주로, 야외에서 직접 대상을 관찰하며 그리는 '앙 플레네르(En Plein Air)' 기법 활용
  • 전통적인 원근법이나 뚜렷한 세부 묘사보다는 빛과 밝은 색채의 조화 중시
  • 자연광의 변화와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빠른 붓질 사용

에드가 드가: 《The Ballet Class (발레 수업)》

La Classe de danse.jpg

드가는 인상주의에 속했지만, 다른 인상파 화가들처럼 야외 풍경보다 실내의 인물 묘사(ex.발레리나)에 집중하였다.

이 작품은 발레 수업 중인 무용수들의 모습을 담고 있으며, 드가는 이들을 다양한 자세와 각도에서 역동적으로 구성하였다.

자연광의 효과와 순간적인 움직임의 포착은 인상주의의 핵심적인 특징을 잘 보여준다.

2) 탈인상주의 (Post-Impressionism, 1880s~1910s)

탈인상주의는 인상주의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구조적이고 주관적인 표현을 강조하는 화가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들은 인상주의에 비해 작가 개인의 감정, 상징, 정신세계를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표현주의, 원시주의, 상징주의 등 다양한 예술 사조와 연결 다리가 되어주는 작품이 다수 존재한다.

표현 특징

  • 형태와 색채의 해체적 사용
  • 인상주의에 비해 뚜렷한 윤곽선

폴 고갱:《Where Do We Come From? What Are We? Where Are We Going?(우리는 어디서 왔고, 우리는 무엇이며,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WhereDoWeComeFrom.jpg

이 작품은, 유년기에서 노년기로 이어지는 인물의 배치를 통해 인류의 삶과 존재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담고 있다. 우측의 아기는 삶의 시작을, 중앙의 위치한 여성은 청년기를, 좌측의 여성은 마치 죽음을 두려워하는 듯 웅크린 채 앉은 노인의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작품의 배경에는 타히티의 신화를 상징하는 초월적인 존재(파란색의 몸) 이 등장하여, 인간 존재의 신비와 초월성을 암시한다. 고갱은 이 작품에서 전통적인 원근법을 무시하고, 평면적인 구성과 강렬한 색채를 사용하는 등 탈인상주의의 특징인 상징성과 주관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냈다.

3) 입체주의 (Cubism, 1907~1910s)

입체주의는 자연을 재구성할 것을 목표로 한 폴 세잔을 원류로 하여 파블로 피카소와 조르주 브라크 등에 의해 본격적으로 창시된 예술 운동이다. 전통적인 원근법과 단일 시점을 탈피하여 사물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고 재구성하였으며, 형태를 단순화하고 기하학적인 도형으로 분해하여 새로운 시각적 표현을 시도하였다. 입체주의는 회화에서 복수시점을 통한 동시성, 지속성, 변형성이 추구된 '초기 입체파(1907~1909)' , 복수 시점을 극단적으로 활용하여 사물을 적극적으로 파편화한 '분석적 입체파(Analytical Cubism, 1909~1911)' ', 이후에는 과도한 해체에서 벗어나 추상성과 현실성을 어느정도 절충한 '종합적 입체파(Synthetic Cubism, 1912~14)' 로 발전하였다.

표현 특징

  • 대상을 다양한 시점에서 분석하여 기하학적인 형태로 재구성
  • 전통적인 원근법을 배제하고, 평면적인 공간 구성을 강조

파블로 피카소: 《Les Demoiselles d'Avignon (아비뇽의 처녀들)》

Les Demoiselles d'Avignon.jpg

이 작품은 입체파의 출발점(1907년 작)으로 평가된다. 다섯 명의 누드 여성을 기하학적으로 분절된 형태로 표현하며, 아프리카 원시 미술의 영향을 받은 각진 얼굴과 날카로운 윤곽선을 특징으로 한다. 전통적인 인체 묘사를 해체하고, 하나의 시점이 아닌 복합적인 시각을 도입해 당시 미술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는 사실적인 재현을 해체하고 시지각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는 점에서 입체파의 미학을 명확히 드러낸다.

4) 다다이즘 (Dadaism, 1916~1920s)

다다이즘은 제1차 세계대전(1914~1918)이라는 인류사적 참상을 계기로 탄생한 반예술적 예술 운동이다. 전통적 이성과 합리성를 기반으로 한 서구 문명이 전쟁을 초래했다는 인식 하에, 기존 가치 체계와 문화에 대한 전면적인 거부를 선언하였다. 1916년 스위스 취리히의 ‘카바레 볼테르(Cabaret Voltaire)’에서 망명 예술가들에 의해 시작된 이 운동은 무의미와 우연성, 조롱과 파괴를 통해 ‘비이성’을 예술의 핵심 원리로 내세웠다.[4] 이후 초현실주의, 행위예술, 해체주의적 문화 비평 등으로 이어지는 전위 예술의 기초가 되었다.

표현 특징

  • 전통적인 예술 개념과 표현 양식을 부정하고, 우연성과 비논리를 강조함
  • 기성품(레디메이드), 콜라주, 해체된 언어 등을 활용하여 기존 질서에 저항함

만 레이: 《Cadeau (선물)》

만 레이, 선물(1921).jpeg

이 작품은 만 레이가 1921년 파리의 미술관에서 열린 개인전에서 관객을 위한 '선물'로서 만든 작품이다. 일상적인 가정용품인 다리미에 14개의 못을 부착하여 실용성을 파괴한 이 작품은 다다이즘의 정신을 담아 '비이성적인 폭력'과 '무의미의 미학'을 잘 드러낸다. 작가가 직접 제작한 것이 아니라 기성품(ready-made object)을 재구성한 작품으로 만 레이와 교류하며 그에게 영향을 주었던 다다이즘의 대표 작가인 마르셸 뒤샹(Marcel Duchamp)의 레디메이드 작품 세계와 맞닿아 있다. 'Cadeau(선물)'에 담긴 만 레이의 다다이즘적 예술적 성향은 이후 초현실주의로 확장되었으며, 'Cadeau(선물)'는 만 레이의 대표적인 다다이즘 작품임과 동시에 초현실주의 오브제의 선구적인 작품으로서도 평가된다.[5]

5) 초현실주의 (Surrealism, 1920s~1940s)

초현실주의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다다이즘의 반이성적 태도를 계승하면서도, 단순한 해체를 넘어 인간 무의식의 세계를 탐구하고자 한 예술 운동이다. 1924년 안드레 브르통(André Breton)이 발표한 《초현실주의 선언》을 기점으로 명확한 정체성을 갖추었으며,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이론, 특히 꿈과 무의식에 대한 개념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초현실주의자들은 합리적 이성과 논리를 억압적 질서로 간주하고, 무의식, 꿈, 자동기술법(Automatism)[6], 우연성과 같은 개념을 통해 현실 너머의 ‘초현실’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표현 특징

  • 무의식과 꿈의 세계를 시각화하며, 비논리적이고 환상적인 이미지를 즐겨 사용함
  • 자동기술법, 꿈, 우연적 조합 등의 기법을 통해 내면 심리와 욕망을 표현함
  • 현실의 재현보다 상징, 왜곡 등에 집중함

살바도르 달리: 《The Persistence of Memory (기억의 지속)》

The Persistence of Memory.jpg

이 작품은 마치 카망베르 치즈처럼 녹아내리는 시계를 통해 시간의 비물질성과 죽음, 달리의 내면까지 복합적으로 표현한 초현실주의 대표작이다. 배경은 달리의 고향 근처에 위치한 카탈루냐 해안을 반영하면서도 황량하고 척박한 분위기를 드러내어 꿈속 공간처럼 현실성과 비현실성을 모호하게 결합시켰다. 왼쪽 하단에 놓인 시계 위를 지나가는 개미 떼는 부패와 죽음, 두려움의 의미를 내포하고, 가운데 위치한 괴상한 물체와, 곳곳에 등장하는 비현실적인 시계는 달리 내면에 잠재된 욕망과, 무의식 세계의 유동성을 상징한다. 이러한 특징은 편집광 환자가 현실의 이미지를 볼때, 환각을 거쳐 전혀 다른 이미지로 인식하는 것처럼, 현실과 비현실의 이미지를 중첩시켜 본인의 무의식을 표현한다는, 달리의 ‘편집광적인 비판 방법(Paranoiac-Critical Method)’[7]을 잘 보여준다.

루이스 부뉴엘: 《Un Chien Andalou (안달루시아의 개)》

Unchienandalouposter.jpg

부뉴엘이 감독하고, 달리와 함께 각본을 작업한 초현실주의 단편 영화로, 논리적 줄거리나 인과 관계 없이 비연속적인 이미지와 상당히 기괴한 장면들을 나열하는 방식을 택한다. 특히 여성의 눈을 면도날로 가르는 초반 장면은 초현실주의와 같은 맥락에서, 기존의 낡은 관습을 버리고 새로운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볼 것을 독려하는 의미를 내포한다. 초현실주의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인 '무의식' 속에 잠재된 인간의 (성적) 욕망과 시간 감각의 탈피 등을 파격적으로 표현하여 당대 영화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6) 모더니즘 문학 (Modernism in Literature, 1910s~1940s)

모더니즘은 '기존의 리얼리즘과 합리적인 기성 도덕, 전통적인 신념 등을 일체 부정하고, 극단적인 개인주의, 도시 문명이 가져다 준 인간성 상실에 대한 문제의식 등에 기반을 둔 다양한 문예사조.[8]'를 의미하며, 모더니즘 문학은 이러한 모더니즘적 성격을 반영한 문학 작품을 일컫는다. 모더니즘 작가들은 산업화, 도시화, 전쟁의 참상 등으로 인한 인간 소외와 정체성의 위기를 문학적으로 탐구하고, 기존의 전통적인 서사 구조와 문체를 탈피하였으며 실험적인 형식과 복잡한 내면 심리를 표현하는 데 집중하였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The Sun Also Rises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The Sun Also Rises.jpg

이 작품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 거주하는 미국인들과 영국인들의 방황과 허무를 그린다.

주인공 제이크 반스는 전쟁으로 인한 부상으로 성적 능력을 상실하였으며, 이는 그와 브렛 애슐리와의 비극적인 사랑을 상징한다.

소설은 파리와 스페인을 배경으로, 투우와 축제를 통해 인물들의 내면적 공허와 삶의 의미를 탐색한다.

헤밍웨이의 절제된 문체는 인물들의 감정을 더욱 강렬하게 전달하며, 모더니즘의 특징인 인간 존재의 불안과 소외를 잘 드러낸다.

F. 스콧 피츠제럴드: 《The Great Gatsby (위대한 개츠비)》

The Great Gatsby(Book).jpg

이 소설은 미네소타 출신의 닉 캐러웨이가 롱아일랜드의 웨스트 에그로 이주하면서 시작된다.

그는 신비로운 부자 제이 개츠비와 친구가 되며, 개츠비가 과거의 연인 데이지 부캐넌을 되찾기 위해 부와 지위를 쌓았음을 알게 된다.

그러나 데이지는 결국 개츠비를 외면하고, 개츠비는 비극적인 죽음을 맞는다.

이 작품은 아메리칸 드림의 허상을 비판하며, 화려한 외면 뒤에 숨겨진 공허함과 도덕적 붕괴를 묘사한다.

주나 반스: 《Nightwood (나이트우드)》

NightWood.jpg

이 소설은 유럽을 배경으로, 로빈 보트와 노라 플러드의 복잡한 동성애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로빈은 자유롭고 방황하는 인물로, 그녀와의 관계에서 노라는 깊은 고통을 겪는다.

작품은 전통적인 서사 구조를 탈피하고, 시적이고 상징적인 언어로 인물들의 내면을 탐색한다.

모더니즘의 특징인 인간 존재의 불안과 정체성의 위기를 잘 드러낸다.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The Waste Land (황무지)》

The waste land(1922).jpg

이 시는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의 내면 세계와 함께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황폐하고 혼란스러운 사회를 '황무지'로 묘사하며, 인간 존재의 불안과 영적 공허를 표현한다.

다양한 문화와 문학적 인용을 통해 복잡한 구조를 형성하며, 독자에게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이 작품은 모더니즘의 특징인 파편화된 구조와 다중 시점을 활용하여, 전통과 현대의 충돌, 인간 존재의 위기를 시적으로 드러내며 모더니즘 문학의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시맨틱 스토리텔링

거트루드 스타인 - 피카소, 헤밍웨이, 마티스의 은인

달리, 부뉴엘 - 초현실주의 동업자에서 절연까지

온톨로지

클래스

Class Remarks
시대 예술가들이 활동한 시대:1920s & 1890s
예술가 영화에 등장한 예술가들
예술분야 예술가들이 활동한 예술 분야
출신국가 예술가들이 태어난 나라 혹은 국적
예술사조 예술가들과 속해 있는 예술 사조
작품 예술가들이 만든 작품
기관 예술가가 활동한 기관
장소 예술가들이 거주하거나 모인 장소
이념 예술가와 관련된 사회적 사상
개념 예술가가 만들어낸 개념

릴레이션

Relation Domain Range Definition
활동한_시대이다 예술가 시대 예술가 A가 활동한 시대는 B다.
예술_분야이다 예술가 예술분야 예술가 A가 활동한 예술 분야는 B다.
출신국가이다 예술가 출신국가 예술가 A는 출신국가 B에서 태어났다./ 출신국가 B의 국적을 보유했다.
예술사조에_속한다 예술가/작품 예술사조 예술가/작품 A는 예술사조 B의 대표 예술가/작품이다.
형제관계이다 예술가 예술가 예술가 A의 형제는 예술가 B다
연인이다 예술가 예술가 예술가 A의 연인은 예술가 B다
동료(친구)이다 예술가 예술가 예술가 A는 예술가 B와 친구이다/작품 작업을 같이 했다.
~을/를_만들었다 예술가 작품 예술가 A는 작품 B를 만들었다.
서로_절연했다 예술가 예술가 예술가 A와 B는 절연했다.
각본_담당했다 예술가 작품 예술가 A는 작품 B의 각본을 썼다.
연출했다 예술가 작품 예술가 A는 작품 B를 연출했다.
강조했다 예술가 이념 예술가 A는 이념 B를 강조했다.
관련있다 이념 예술가 이념 A는 예술가 B와 관련있다.
일했다 예술가 기관 예술가 A는 기관 B에서 일했다.
비난했다 작품 예술가 작품 A는 예술가 B를 비난하는 내용을 담았다.
갈등_유발했다 작품/이념 인물/이념 작품/이념 A는 인물 B가 갈등을 겪게 만들었다. /이념 B와 갈등을 빚었다.
사임시켰다 기관 예술가 기관 A는 예술가 B를 사임시켰다.
포함한다 작품 이념/예술사조 작품 A는 이념/예술사조 B를 포함한다.
영향을_주었다 인물/기관/작품/예술사조 인물/기관/작품/예술사조 인물/기관/작품/예술사 A는 인물/기관/작품/예술사조 B에 영향을 주었다
거주했다 예술가 장소 예술가 A는 장소 B에 거주했다
모임_참석했다 예술가 장소 예술가 A는 장소 B의 모임에 참석했다
후원했다 예술가 예술가 예술가 A는 예술가 B를 후원했다
~의_멘토이다 예술가 예술가 예술가 A는 예술가 B의 멘토이다
~의_멘티이다 예술가 예술가 예술가 A는 예술가 B의 멘티이다
라이벌이다 예술가 예술가 예술가 A와 B는 라이벌이다
등장한다 예술가/개념 작품 예술가/개념 A는 작품 B 속에 등장한다
창시했다 예술가 예술사조/개념 예술가 A는 예술사조/개념 B를 창시했다

네트워크 그래프

전체

거트루드 스타인 - 피카소, 헤밍웨이, 마티스의 은인

달리, 부뉴엘 - 초현실주의 동업자에서 절연까지

네트워크 그래프 스크립트

시맨틱 네트워크 탐색



참고자료

사진출처

정보출처

주석

  1. 네이버 영화,'미드나잇 인 파리'
  2. 문학과 지성사, '거트루드 스타인'
  3. 네이버 지식백과,벨 에포크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4. '다다(dada)'란 용어 또한 특별한 의미없이 우연히 만들어진 것이다. 덴탈뉴스, Ⅳ."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미술", 홍창호 교수
  5. Humanities LibreTexts, 'Cadeau(Gift)'Although made in the spirit of Dada, Man Ray’s Gift prefigured by several years a key artistic practice that would develop within the Surrealist movement: the “Surrealist object,”
  6. 자동기술법은 모든 습관적 기법이나 고정관념 등의 이성적 의식들이 배제된 상태에서 손에서 자발적으로 흘러나오는 움직임으로 그림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쉽게 말하자면 작가의 머릿속에서 무의식적으로 떠오른 이미지를 있는 그대로 표현한 것으로, '의식의 흐름' 또한 자동기술법의 일종이다.덴탈 뉴스, "초현실주의 미술의 주요특징과 기법", 홍창호 교수
  7. 월간 미술, '편집광적 비판' 정의
  8. 네이버 지식백과,모더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