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yjw2999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퍼티 설계)
(대표명칭 정리)
185번째 줄: 185번째 줄:
  
 
=== 대표명칭 정리 ===
 
=== 대표명칭 정리 ===
 +
====인명 대표명칭 정리 원칙====
 +
 +
대표명칭은 봉작호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으로 구분합니다.<br>
 +
왕실 인물은 성명 이외에도 봉작호가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대표명칭을 정하였습니다.<br>
 +
왕실 인물은 다시 당대 이전과 이후로 구분합니다. 당대 이전에는 왕조명+시호+성명을 대표명칭으로 하고 당대 이후에는 왕조명+묘호+성명을 대표명칭으로 하였습니다.<br>
 +
당대 이후에는 시호가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시호로 부르면 이름이 너무 길어지기 때문입니다.<br>
 +
이러한 원칙으로 통감절요(5대10국) 시대 인물을 모두 마크업한 후 동일 인물 여부를 확인하였습니다.<br>
 +
각 인물은 위키피디아에 상세한 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연계를 위해 모두 rdfs:sameAs를 이용하여 연결을 해주었습니다.<br>
 +
이러한 정보는 LOD의 4원칙 중의 4번째 규칙, 즉 풍부한 개체와 연결할 수 있도록 다른 자원의 연결정보를 포함하라는 원칙에 부합합니다.<br>
 +
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
{| class=wikitable
 +
|-
 +
| 연번 || 인명 || 빈도
 +
|-
 +
| 1 || [https://zh.wikipedia.org/wiki/%E8%B4%BE%E9%80%B5 賈逵] || 1
 +
|-
 +
| 2 || [https://zh.wikipedia.org/wiki/%E5%8F%AF%E7%AA%81%E4%BA%8E 可突于] || 5
 +
|-
 +
| 3 || [https://zh.wikipedia.org/wiki/%E5%93%A5%E8%88%92%E7%BF%B0 哥舒翰] || 1
 +
|-
 +
| 4 || [https://zh.wikipedia.org/wiki/%E8%B4%BE%E9%A4%97 賈餗] || 1
 +
|-
 +
| 5 || [[曷魯]] || 1
 +
|-
 +
| 6 || [[葛烏兎]] || 1
 +
|-
 +
| 7 || [https://zh.wikipedia.org/wiki/%E5%BA%B7%E5%AD%A3%E8%8D%A3 康季榮] || 1
 +
|-
 +
| 8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7%85%9C 江南國主] || 1
 +
|-
 +
| 9 || [https://zh.wikipedia.org/wiki/%E5%BA%B7%E6%89%BF%E8%A8%93 康承訓] || 4
 +
|-
 +
| 10 || [https://zh.wikipedia.org/wiki/%E5%BA%B7%E5%BB%B6%E5%AD%9D 康延孝] || 5
 +
|-
 +
| 11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82%9F_(%E7%BB%9B%E7%8E%8B) 絳王李悟] || 5
 +
|-
 +
| 12 || [https://zh.wikipedia.org/wiki/%E5%BA%B7%E4%B9%89%E8%AF%9A 康義誠] || 3
 +
|-
 +
| 13 || [https://zh.wikipedia.org/wiki/%E5%BA%B7%E6%80%80%E8%8B%B1 康懷貞] || 2
 +
|-
 +
| 14 || [https://zh.wikipedia.org/wiki/%E6%A1%80 桀王] || 1
 +
|-
 +
| 15 || [https://zh.wikipedia.org/wiki/%E6%95%AC%E7%BF%94 敬翔] || 9
 +
|-
 +
| 16 || [[耿崇美]] || 1
 +
|-
 +
| 17 || [https://zh.wikipedia.org/wiki/%E6%99%AF%E5%BB%B6%E5%B9%BF 景延廣] || 16
 +
|-
 +
| 18 || [https://zh.wikipedia.org/wiki/%E9%AB%98%E5%8A%9B%E5%A3%AB 高力士] || 3
 +
|-
 +
| 19 || [[高騈]] || 10
 +
|-
 +
| 20 || [https://zh.wikipedia.org/wiki/%E9%AB%98%E5%BE%9E%E8%AA%A8 高從誨] || 1
 +
|-
 +
| 21 || [https://zh.wikipedia.org/wiki/%E9%AB%98%E8%A1%8C%E5%91%A8 高行周] || 1
 +
|-
 +
| 22 || [https://zh.wikipedia.org/wiki/%E5%AD%94%E8%B0%A6 孔謙] || 1
 +
|-
 +
| 23 || [[恭仁王楷落]] || 1
 +
|-
 +
| 24 || [https://zh.wikipedia.org/wiki/%E5%AD%94%E5%AD%90 孔子] || 5
 +
|-
 +
| 25 || [[公綽]] || 1
 +
|-
 +
| 26 || [[過折]] || 2
 +
|-
 +
| 27 || [https://zh.wikipedia.org/wiki/%E9%83%AD%E7%92%9F 郭璟] || 1
 +
|-
 +
| 28 || [https://zh.wikipedia.org/wiki/%E9%9C%8D%E4%BB%99%E9%B3%B4 霍仙鳴] || 1
 +
|-
 +
| 29 || [https://zh.wikipedia.org/wiki/%E9%83%AD%E5%B4%87%E9%9F%AC 郭崇韜] || 23
 +
|-
 +
| 30 || [[郭崇威]] || 4
 +
|-
 +
| 31 || [https://zh.wikipedia.org/wiki/%E9%83%AD%E5%AD%90%E4%BB%AA 郭子儀] || 4
 +
|-
 +
| 32 || [[郭廷誨]] || 2
 +
|-
 +
| 33 || [https://zh.wikipedia.org/wiki/%E9%83%AD%E4%BB%8E%E8%B0%A6 郭從謙] || 2
 +
|-
 +
| 34 || [https://zh.wikipedia.org/wiki/%E9%83%AD%E5%BE%9E%E7%BE%A9 郭從義] || 1
 +
|-
 +
| 35 || [https://zh.wikipedia.org/wiki/%E7%AE%A1%E5%8F%94%E9%AE%AE 管叔] || 1
 +
|-
 +
| 36 || [https://zh.wikipedia.org/wiki/%E8%A3%98%E7%94%AB 裘甫] || 1
 +
|-
 +
| 37 || [https://zh.wikipedia.org/wiki/%E4%BB%87%E5%A3%AB%E8%89%AF 仇士良] || 3
 +
|-
 +
| 38 || [https://zh.wikipedia.org/wiki/%E6%AC%A7%E9%98%B3%E4%BF%AE 歐陽脩] || 6
 +
|-
 +
| 39 || [https://zh.wikipedia.org/wiki/%E5%AF%87%E5%BD%A5%E5%8D%BF 寇彦卿] || 1
 +
|-
 +
| 40 || [https://zh.wikipedia.org/wiki/%E5%A4%A7%E8%B4%BA%E7%AA%9F%E5%93%A5 窟哥] || 3
 +
|-
 +
| 41 || [[屈列]] || 1
 +
|-
 +
| 42 || [https://zh.wikipedia.org/wiki/%E8%80%B6%E6%BE%9C%E5%8F%AF%E6%B1%97 屈戍巴剌可汗] || 1
 +
|-
 +
| 43 || [[勻德實]] || 2
 +
|-
 +
| 44 || [[奇首]] || 2
 +
|-
 +
| 45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8%8C%82%E8%B2%9E 岐王李茂貞] || 48
 +
|-
 +
| 46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BB%8B 夔王李滋] || 2
 +
|-
 +
| 47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98%AA 南唐烈祖李昪] || 30
 +
|-
 +
| 48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7%92%9F_(%E5%8D%97%E5%94%90) 南唐元宗李璟] || 33
 +
|-
 +
| 49 || [https://zh.wikipedia.org/wiki/%E5%BE%90%E6%BA%AB 南唐義祖徐溫] || 6
 +
|-
 +
| 50 || [https://zh.wikipedia.org/wiki/%E6%A5%8A%E9%9A%86%E6%BC%94 南吳高祖楊隆演] || 4
 +
|-
 +
| 51 || [https://zh.wikipedia.org/wiki/%E6%A5%8A%E6%BA%A5_(%E5%8D%81%E5%9C%8B) 南吳讓皇楊溥] || 8
 +
|-
 +
| 52 || [https://zh.wikipedia.org/wiki/%E6%A5%8A%E8%A1%8C%E5%AF%86 南吳太祖楊行密] || 21
 +
|-
 +
| 53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E%9E%E5%96%84 南楚國公李從善] || 2
 +
|-
 +
| 54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9%BE%91 南漢高祖劉龑] || 8
 +
|-
 +
| 55 || [https://zh.wikipedia.org/wiki/%E5%88%98%E9%9A%90 南漢烈宗劉隱] || 10
 +
|-
 +
| 56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7%8E%A2 南漢殤帝劉玢] || 7
 +
|-
 +
| 57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6%99%9F 南漢中宗劉晟] || 8
 +
|-
 +
| 58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9%8B%B9 南漢後主劉鋹] || 5
 +
|-
 +
| 59 || [[耨里思]] || 2
 +
|-
 +
| 60 || [[段文楚]] || 1
 +
|-
 +
| 61 || [https://zh.wikipedia.org/wiki/%E6%AE%B5%E5%87%9D 段凝] || 15
 +
|-
 +
| 62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97%A3%E5%91%A8 覃王李嗣周] || 4
 +
|-
 +
| 63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80%93_(%E5%94%90%E6%9C%9D) 唐建寧王李倓] || 2
 +
|-
 +
| 64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6%95%AC%E5%AE%97 唐敬宗李湛] || 6
 +
|-
 +
| 65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B8%8A 唐高祖李淵] || 4
 +
|-
 +
| 66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9%AB%98%E5%AE%97 唐高宗李治] || 1
 +
|-
 +
| 67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4%BB%A3%E5%AE%97 唐代宗李豫] || 10
 +
|-
 +
| 68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5%BE%B7%E5%AE%97 唐德宗李适] || 5
 +
|-
 +
| 69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7%A9%86%E5%AE%97 唐穆宗李恆] || 5
 +
|-
 +
| 70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6%AD%A6%E5%AE%97 唐武宗李炎] || 6
 +
|-
 +
| 71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6%96%87%E5%AE%97 唐文宗李昂] || 5
 +
|-
 +
| 72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5%AE%A3%E5%AE%97 唐宣宗李忱] || 15
 +
|-
 +
| 73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6%98%AD%E5%AE%97 唐昭宗李曄] || 30
 +
|-
 +
| 74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8%82%85%E5%AE%97 唐肅宗李亨] || 13
 +
|-
 +
| 75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9%A1%BA%E5%AE%97 唐順宗李誦] || 1
 +
|-
 +
| 76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5%93%80%E5%B8%9D 唐哀帝李柷] || 14
 +
|-
 +
| 77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7%9D%BF%E5%AE%97 唐睿宗李旦] || 3
 +
|-
 +
| 78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B%BA%E6%88%90 唐隱太子李建成] || 1
 +
|-
 +
| 79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6%87%BF%E5%AE%97 唐懿宗李漼] || 18
 +
|-
 +
| 80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4%B8%AD%E5%AE%97 唐中宗李顯] || 3
 +
|-
 +
| 81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5%A4%AA%E5%AE%97 唐太宗李世民] || 14
 +
|-
 +
| 82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5%AE%AA%E5%AE%97 唐憲宗李純] || 8
 +
|-
 +
| 83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7%8E%84%E5%AE%97 唐玄宗李隆基] || 7
 +
|-
 +
| 84 || [[唐弘夫]] || 2
 +
|-
 +
| 85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5%83%96%E5%AE%97 唐僖宗李儇] || 25
 +
|-
 +
| 86 || [https://zh.wikipedia.org/wiki/%E5%A4%A7%E8%B4%BA%E6%B0%8F 大賀氏] || 2
 +
|-
 +
| 87 || [https://zh.wikipedia.org/wiki/%E5%BC%A0%E5%BE%B7%E5%A6%83 德妃張氏] || 2
 +
|-
 +
| 88 || [https://zh.wikipedia.org/wiki/%E9%99%B6%E7%A9%80 陶穀] || 1
 +
|-
 +
| 89 || [[都亭驛]] || 1
 +
|-
 +
| 90 || [https://zh.wikipedia.org/wiki/%E7%9B%9C%E8%B7%96 盜跖] || 1
 +
|-
 +
| 91 || [https://zh.wikipedia.org/wiki/%E7%8D%A8%E5%AD%A4%E6%90%8D 獨孤損] || 1
 +
|-
 +
| 92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90%90%E4%BA%8E 咄于] || 2
 +
|-
 +
| 93 || [https://zh.wikipedia.org/wiki/%E8%91%A3%E6%98%8C 董昌] || 4
 +
|-
 +
| 94 || [https://zh.wikipedia.org/wiki/%E8%91%A3%E5%8D%93 董卓] || 1
 +
|-
 +
| 95 || [https://zh.wikipedia.org/wiki/%E6%B1%89%E7%81%B5%E5%B8%9D 東漢靈帝劉宏] || 4
 +
|-
 +
| 96 || [https://zh.wikipedia.org/wiki/%E6%B1%89%E5%92%8C%E5%B8%9D 東漢和帝劉肈] || 3
 +
|-
 +
| 97 || [https://zh.wikipedia.org/wiki/%E7%AA%A6%E5%BB%BA%E5%BE%B7 竇建德] || 1
 +
|-
 +
| 98 || [https://zh.wikipedia.org/wiki/%E7%AA%A6%E6%96%87%E5%9C%BA 竇文場] || 1
 +
|-
 +
| 99 || [https://zh.wikipedia.org/wiki/%E6%9D%9C%E8%AE%93%E8%83%BD 杜讓能] || 2
 +
|-
 +
| 100 || [https://zh.wikipedia.org/wiki/%E6%9D%9C%E5%A8%81 杜威] || 4
 +
|-
 +
| 101 || [https://zh.wikipedia.org/wiki/%E7%AA%A6%E4%BB%AA 竇儀] || 3
 +
|-
 +
| 102 || [https://zh.wikipedia.org/wiki/%E7%AB%87%E6%86%B2 竇憲] || 1
 +
|-
 +
| 103 || [https://zh.wikipedia.org/wiki/%E7%BD%97%E5%BC%98%E4%BF%A1 羅弘信] || 1
 +
|-
 +
| 104 || [https://zh.wikipedia.org/wiki/%E4%BE%86%E7%91%B1 來瑱] || 5
 +
|-
 +
| 105 || [https://zh.wikipedia.org/wiki/%E6%A2%81%E5%B4%87%E4%B9%89 梁崇義] || 2
 +
|-
 +
| 106 || [[呂彊]] || 2
 +
|-
 +
| 107 || [[呂琦]] || 3
 +
|-
 +
| 108 || [https://zh.wikipedia.org/wiki/%E5%91%82%E7%94%A8%E4%B9%8B 呂用之] || 8
 +
|-
 +
| 109 || [https://zh.wikipedia.org/wiki/%E5%90%95%E9%9B%89 呂雉] || 1
 +
|-
 +
| 110 || [https://zh.wikipedia.org/wiki/%E9%AA%8A%E5%A7%AC 驪姬] || 1
 +
|-
 +
| 111 || [https://zh.wikipedia.org/wiki/%E4%BB%A4%E7%8B%90%E5%A7%93 令狐] || 1
 +
|-
 +
| 112 || [https://zh.wikipedia.org/wiki/%E4%BB%A4%E7%8B%90%E7%BB%B9 令狐綯] || 11
 +
|-
 +
| 113 || [https://zh.wikipedia.org/wiki/%E5%8D%A2%E6%96%87%E7%BA%AA 盧文紀] || 2
 +
|-
 +
| 114 || [https://zh.wikipedia.org/wiki/%E8%B7%AF%E5%B2%A9 路巖] || 2
 +
|-
 +
| 115 || [https://zh.wikipedia.org/wiki/%E9%81%BC%E7%A9%86%E5%AE%97 遼穆宗耶律璟] || 1
 +
|-
 +
| 116 || [https://zh.wikipedia.org/wiki/%E8%BE%BD%E4%B8%96%E5%AE%97 遼世宗耶律阮] || 8
 +
|-
 +
| 117 || [https://zh.wikipedia.org/wiki/%E8%80%B6%E5%BE%8B%E5%80%8D 遼義宗耶律倍] || 11
 +
|-
 +
| 118 || [https://zh.wikipedia.org/wiki/%E8%80%B6%E5%BE%8B%E9%98%BF%E4%BF%9D%E6%9C%BA 遼太祖耶律億] || 39
 +
|-
 +
| 119 || [https://zh.wikipedia.org/wiki/%E8%BE%BD%E5%A4%AA%E5%AE%97 遼太宗耶律德光] || 32
 +
|-
 +
| 120 || [[劉景宣]] || 1
 +
|-
 +
| 121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5%AD%A3%E8%BF%B0 劉季述] || 13
 +
|-
 +
| 122 || [https://zh.wikipedia.org/wiki/%E6%9F%B3%E5%85%AC%E7%BB%B0 柳公綽] || 2
 +
|-
 +
| 123 || [https://zh.wikipedia.org/wiki/%E5%88%98%E5%85%8B%E6%98%8E 劉克明] || 4
 +
|-
 +
| 124 || [https://zh.wikipedia.org/wiki/%E5%88%98%E6%AD%A6%E5%91%A8 劉武周] || 1
 +
|-
 +
| 125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5%A4%AB%E4%BA%BA 劉夫人] || 1
 +
|-
 +
| 126 || [https://zh.wikipedia.org/wiki/%E6%9F%B3%E7%8E%AD 柳玭] || 4
 +
|-
 +
| 127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8%A9%9E 劉詞] || 1
 +
|-
 +
| 128 || [[劉崇諫]] || 1
 +
|-
 +
| 129 || [[劉承遇]] || 3
 +
|-
 +
| 130 || [[劉臣容]] || 1
 +
|-
 +
| 131 || [[劉彦貞]] || 4
 +
|-
 +
| 132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5%85%81%E7%AB%A0 劉允章] || 1
 +
|-
 +
| 133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4%BB%81%E6%81%AD 劉仁恭] || 3
 +
|-
 +
| 134 || [https://zh.wikipedia.org/wiki/%E5%88%98%E4%BB%81%E8%B5%A1 劉仁贍] || 11
 +
|-
 +
| 135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8%A1%8C%E6%B7%B1 劉行深] || 1
 +
|-
 +
| 136 || [https://zh.wikipedia.org/wiki/%E5%88%98%E5%90%91 劉向] || 1
 +
|-
 +
| 137 || [https://zh.wikipedia.org/wiki/%E5%88%98%E9%BB%91%E9%97%BC 劉黑闥] || 1
 +
|-
 +
| 138 || [[劉希度]] || 2
 +
|-
 +
| 139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9%84%A9 劉鄩] || 4
 +
|-
 +
| 140 || [https://zh.wikipedia.org/wiki/%E9%99%B8%E8%B4%84 陸贄] || 1
 +
|-
 +
| 141 || [https://zh.wikipedia.org/wiki/%E9%99%86%E6%89%86 陸扆] || 1
 +
|-
 +
| 142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7%A3%8E 李谿] || 2
 +
|-
 +
| 143 || [[李繼鵬]] || 2
 +
|-
 +
| 144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4%BB%8E%E6%9B%AE 李繼曮] || 1
 +
|-
 +
| 145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7%A9%80 李穀] || 10
 +
|-
 +
| 146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8C%A1%E5%A8%81 李匡威] || 3
 +
|-
 +
| 147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85%89%E5%BC%BC 李光弼] || 3
 +
|-
 +
| 148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9B%BD%E6%98%8C 李國昌] || 9
 +
|-
 +
| 149 || [[李君奭]] || 4
 +
|-
 +
| 150 || [[李訥]] || 1
 +
|-
 +
| 151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E%B7%E6%98%8E 李德明] || 8
 +
|-
 +
| 152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E%B7%E8%A3%95 李德裕] || 13
 +
|-
 +
| 153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9E%97%E7%94%AB 李林甫] || 1
 +
|-
 +
| 154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AF%86 李密] || 1
 +
|-
 +
| 155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8%BE%85%E5%9B%BD 李輔國] || 5
 +
|-
 +
| 156 || [[李玭]] || 1
 +
|-
 +
| 157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97%A3%E6%98%AD 李嗣昭] || 2
 +
|-
 +
| 158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8%88%E6%82%A6 李師悅] || 1
 +
|-
 +
| 159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99%9F 李晟] || 2
 +
|-
 +
| 160 || [https://zh.wikipedia.org/wiki/%E5%85%83%E8%A1%8C%E9%92%A6 李紹榮] || 8
 +
|-
 +
| 161 || [https://zh.wikipedia.org/wiki/%E6%AE%B5%E5%87%9D 李紹欽] || 1
 +
|-
 +
| 162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AE%88%E8%B4%9E 李守貞] || 3
 +
|-
 +
| 163 || [[李崧]] || 5
 +
|-
 +
| 164 || [[李氏]] || 8
 +
|-
 +
| 165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F0%A5%99%BF 李裕] || 1
 +
|-
 +
| 166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BB%8B 李滋] || 2
 +
|-
 +
| 167 || [[李自倫]] || 1
 +
|-
 +
| 168 || [[李從襲]] || 4
 +
|-
 +
| 169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E%9E%E6%A6%AE 李從榮] || 5
 +
|-
 +
| 170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E%9E%E7%9B%8A 李從益] || 2
 +
|-
 +
| 171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9%87%8D%E9%80%B2 李重進] || 2
 +
|-
 +
| 172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8C%AF 李振] || 13
 +
|-
 +
| 173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0%BD%E5%BF%A0 李盡忠] || 2
 +
|-
 +
| 174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7%92%A8 李璨] || 2
 +
|-
 +
| 175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98%8C%E7%AC%A6 李昌符] || 3
 +
|-
 +
| 176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98%8C%E8%A8%80 李昌言] || 1
 +
|-
 +
| 177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F%A0%E8%87%A3 李忠臣] || 1
 +
|-
 +
| 178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9%81%90 李遐] || 1
 +
|-
 +
| 179 || [[李行言]] || 3
 +
|-
 +
| 180 || [[李玄伯]] || 1
 +
|-
 +
| 181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C%98%E5%86%80 李弘冀] || 1
 +
|-
 +
| 182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7%92%B0 李環] || 1
 +
|-
 +
| 183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87%B7%E4%BB%99 李懷仙] || 1
 +
|-
 +
| 184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80%80%E7%A7%80 李懷秀] || 3
 +
|-
 +
| 185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AD%A3%E5%B7%B1 李懷玉] || 2
 +
|-
 +
| 186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8%A8%93 李訓] || 1
 +
|-
 +
| 187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8%8C%E7%83%88 李希烈] || 2
 +
|-
 +
| 188 || [[林言]] || 1
 +
|-
 +
| 189 || [[馬愼交]] || 1
 +
|-
 +
| 190 || [[馬彦珪]] || 6
 +
|-
 +
| 191 || [[馬彦超]] || 1
 +
|-
 +
| 192 || [[馬元贊]] || 1
 +
|-
 +
| 193 || [https://zh.wikipedia.org/wiki/%E9%A6%AC%E5%AD%98%E4%BA%AE 馬存亮] || 2
 +
|-
 +
| 194 || [[莫那]] || 1
 +
|-
 +
| 195 || [[莫弗賀勿于]] || 1
 +
|-
 +
| 196 || [https://zh.wikipedia.org/wiki/%E4%B8%87%E5%AE%89%E5%A4%A7%E9%95%BF%E5%85%AC%E4%B8%BB 萬安大長公主] || 1
 +
|-
 +
| 197 || [https://zh.wikipedia.org/wiki/%E5%AD%9F%E5%B0%9D%E5%90%9B 孟嘗君] || 1
 +
|-
 +
| 198 || [[孟業]] || 3
 +
|-
 +
| 199 || [https://zh.wikipedia.org/wiki/%E5%AD%9F%E5%AD%90 孟子] || 2
 +
|-
 +
| 200 || [https://zh.wikipedia.org/wiki/%E5%86%92%E9%A1%BF 冒頓單于] || 1
 +
|-
 +
| 201 || [https://zh.wikipedia.org/wiki/%E6%85%95%E5%AE%B9%E5%BD%A6%E8%B6%85 慕容彦超] || 3
 +
|-
 +
| 202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7%B9%BC%E9%B5%AC 閩康宗王繼鵬] || 1
 +
|-
 +
| 203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BB%B6%E6%9B%A6 閩景宗王延曦] || 7
 +
|-
 +
| 204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BB%B6%E7%BF%B0 閩嗣王王延翰] || 5
 +
|-
 +
| 205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BB%B6%E6%94%BF 閩殷帝王延政] || 6
 +
|-
 +
| 206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AF%A9%E7%9F%A5 閩太祖王審知] || 13
 +
|-
 +
| 207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BB%B6%E9%88%9E 閩惠宗王延鈞] || 6
 +
|-
 +
| 208 || [[潘約]] || 1
 +
|-
 +
| 209 || [https://zh.wikipedia.org/wiki/%E6%96%B9%E5%8F%94 方叔] || 1
 +
|-
 +
| 210 || [[龐從]] || 1
 +
|-
 +
| 211 || [https://zh.wikipedia.org/wiki/%E9%BE%90%E5%8B%9B 龐勛] || 1
 +
|-
 +
| 212 || [https://zh.wikipedia.org/wiki/%E8%A3%B4%E5%9D%87 裴均] || 1
 +
|-
 +
| 213 || [https://zh.wikipedia.org/wiki/%E8%A3%B4%E5%BA%A6 裴度] || 5
 +
|-
 +
| 214 || [https://zh.wikipedia.org/wiki/%E8%A3%B4%E6%A8%9E 裴樞] || 1
 +
|-
 +
| 215 || [https://zh.wikipedia.org/wiki/%E8%A3%B4%E4%BC%91 裴休] || 1
 +
|-
 +
| 216 || [https://zh.wikipedia.org/wiki/%E7%99%BD%E6%95%8F%E4%B8%AD 白敏中] || 3
 +
|-
 +
| 217 || [[白志遷]] || 1
 +
|-
 +
| 218 || [https://zh.wikipedia.org/wiki/%E6%A8%8A%E7%88%B1%E8%83%BD 樊愛能] || 7
 +
|-
 +
| 219 || [https://zh.wikipedia.org/wiki/%E8%8C%83%E7%A5%96%E7%A6%B9 范祖禹] || 8
 +
|-
 +
| 220 || [https://zh.wikipedia.org/wiki/%E8%8C%83%E4%BB%B2%E6%B7%B9 范仲淹] || 1
 +
|-
 +
| 221 || [https://zh.wikipedia.org/wiki/%E8%8C%83%E8%B4%A8 范質] || 7
 +
|-
 +
| 222 || [https://zh.wikipedia.org/wiki/%E8%BE%B9%E9%95%90 邊鎬] || 3
 +
|-
 +
| 223 || [[福建留後]] || 1
 +
|-
 +
| 224 || [https://zh.wikipedia.org/wiki/%E5%83%95%E5%9B%BA%E6%87%B7%E6%81%A9 僕固懷恩] || 4
 +
|-
 +
| 225 || [[濮王]] || 1
 +
|-
 +
| 226 || [[苻彦卿]] || 2
 +
|-
 +
| 227 || [[苻彦饒]] || 2
 +
|-
 +
| 228 || [[北平王過折]] || 1
 +
|-
 +
| 229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6%97%BB 北漢世祖劉旻] || 20
 +
|-
 +
| 230 || [https://zh.wikipedia.org/wiki/%E5%88%98%E9%92%A7_(%E5%8C%97%E6%B1%89) 北漢睿宗劉鈞] || 7
 +
|-
 +
| 231 || [https://zh.wikipedia.org/wiki/%E6%AF%94%E8%83%BD 比能] || 1
 +
|-
 +
| 232 || [[毗牒]] || 2
 +
|-
 +
| 233 || [https://zh.wikipedia.org/wiki/%E5%8F%B2%E6%95%AC%E6%80%9D 史敬思] || 1
 +
|-
 +
| 234 || [[沙固]] || 2
 +
|-
 +
| 235 || [https://zh.wikipedia.org/wiki/%E5%8F%B8%E9%A9%AC%E5%85%89 司馬光] || 5
 +
|-
 +
| 236 || [https://zh.wikipedia.org/wiki/%E5%8F%B2%E6%80%9D%E6%98%8E 史思明] || 1
 +
|-
 +
| 237 || [https://zh.wikipedia.org/wiki/%E5%8F%B2%E5%BC%98%E8%82%87 史弘肇] || 9
 +
|-
 +
| 238 || [[沙陁]] || 1
 +
|-
 +
| 239 || [[薩剌德]] || 2
 +
|-
 +
| 240 || [[撒剌的]] || 2
 +
|-
 +
| 241 || [https://zh.wikipedia.org/wiki/%E5%B0%9A%E8%AE%93 尙讓] || 7
 +
|-
 +
| 242 || [https://zh.wikipedia.org/wiki/%E6%A1%91%E7%B6%AD%E7%BF%B0 桑維翰] || 11
 +
|-
 +
| 243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8%B4%87 湘陰公劉贇] || 6
 +
|-
 +
| 244 || [https://zh.wikipedia.org/wiki/%E5%BE%90%E5%BB%A3 徐廣] || 1
 +
|-
 +
| 245 || [https://zh.wikipedia.org/wiki/%E8%88%92%E5%85%83%E8%88%86 舒元輿] || 1
 +
|-
 +
| 246 || [https://zh.wikipedia.org/wiki/%E7%9F%B3%E6%95%AC%E5%84%92 石敬儒] || 1
 +
|-
 +
| 247 || [[石君立]] || 1
 +
|-
 +
| 248 || [[釋氏]] || 1
 +
|-
 +
| 249 || [[石昂]] || 1
 +
|-
 +
| 250 || [https://zh.wikipedia.org/wiki/%E5%AE%A3%E7%8E%8B 宣王] || 1
 +
|-
 +
| 251 || [[薛文遇]] || 2
 +
|-
 +
| 252 || [[薛齊偓]] || 4
 +
|-
 +
| 253 || [https://zh.wikipedia.org/wiki/%E8%96%9B%E5%BF%97%E5%8B%A4 薛志勤] || 1
 +
|-
 +
| 254 || [https://zh.wikipedia.org/wiki/%E8%81%B6%E5%A4%B7%E4%B8%AD 聶夷中] || 1
 +
|-
 +
| 255 || [https://zh.wikipedia.org/wiki/%E8%81%96%E7%A9%86%E7%9A%87%E5%90%8E 聖穆皇后柴氏] || 2
 +
|-
 +
| 256 || [https://zh.wikipedia.org/wiki/%E5%95%86%E6%B1%A4 成湯] || 1
 +
|-
 +
| 257 || [[邵固]] || 2
 +
|-
 +
| 258 || [https://zh.wikipedia.org/wiki/%E5%8F%AC%E5%85%AC%E5%A5%AD 召公] || 1
 +
|-
 +
| 259 || [[小校]] || 2
 +
|-
 +
| 260 || [https://zh.wikipedia.org/wiki/%E8%98%87%E6%9E%97 蘇林] || 1
 +
|-
 +
| 261 || [https://zh.wikipedia.org/wiki/%E8%8B%8F%E9%80%A2%E5%90%89 蘇逢吉] || 2
 +
|-
 +
| 262 || [https://zh.wikipedia.org/wiki/%E8%90%A7%E9%93%A3 蕭銑] || 1
 +
|-
 +
| 263 || [[蘇元明]] || 2
 +
|-
 +
| 264 || [[蘇佐明]] || 2
 +
|-
 +
| 265 || [https://zh.wikipedia.org/wiki/%E8%95%AD%E7%BF%B0 蕭翰] || 4
 +
|-
 +
| 266 || [https://zh.wikipedia.org/wiki/%E8%90%A7%E8%BE%96%E5%89%8C 蕭轄剌] || 1
 +
|-
 +
| 267 || [https://zh.wikipedia.org/wiki/%E5%8F%AC%E7%A9%86%E5%85%AC 召虎] || 1
 +
|-
 +
| 268 || [https://zh.wikipedia.org/wiki/%E8%95%AD%E6%BA%AB 蕭皇后] || 2
 +
|-
 +
| 269 || [https://zh.wikipedia.org/wiki/%E5%AD%AB%E5%BE%B7%E6%98%AD 孫德昭] || 2
 +
|-
 +
| 270 || [[孫晟]] || 3
 +
|-
 +
| 271 || [[孫岳]] || 1
 +
|-
 +
| 272 || [https://zh.wikipedia.org/wiki/%E5%AD%99%E7%BE%BD 孫羽] || 1
 +
|-
 +
| 273 || [https://zh.wikipedia.org/wiki/%E5%AD%99%E5%84%92 孫儒] || 9
 +
|-
 +
| 274 || [[宋]] || 1
 +
|-
 +
| 275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7%92%9F 宋璟] || 1
 +
|-
 +
| 276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5%9D%87 宋均] || 1
 +
|-
 +
| 277 || [[宋令詢]] || 1
 +
|-
 +
| 278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8%8C%82%E8%B2%9E 宋文通] || 2
 +
|-
 +
| 279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7%94%B3%E9%8C%AB 宋申錫] || 2
 +
|-
 +
| 280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7%A5%9E%E5%AE%97 宋神宗趙頊] || 1
 +
|-
 +
| 281 || [[宋審虔]] || 2
 +
|-
 +
| 282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5%BD%A6%E7%AD%A0 宋彦筠] || 2
 +
|-
 +
| 283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8%8B%B1%E5%AE%97 宋英宗趙曙] || 2
 +
|-
 +
| 284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4%BB%81%E5%AE%97 宋仁宗趙禎] || 3
 +
|-
 +
| 285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9%BD%8A%E4%B8%98 宋齊丘] || 1
 +
|-
 +
| 286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7%9C%9F%E5%AE%97 宋眞宗趙恆] || 4
 +
|-
 +
| 287 || [https://zh.wikipedia.org/wiki/%E8%B5%B5%E5%8C%A1%E8%83%A4 宋太祖趙匡胤] || 37
 +
|-
 +
| 288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5%A4%AA%E5%AE%97 宋太宗趙光義] || 2
 +
|-
 +
| 289 || [https://zh.wikipedia.org/wiki/%E8%88%9C 舜] || 4
 +
|-
 +
| 290 || [[述瀾]] || 1
 +
|-
 +
| 291 || [[習爾]] || 2
 +
|-
 +
| 292 || [https://zh.wikipedia.org/wiki/%E6%9F%B4%E7%81%AB 柴] || 1
 +
|-
 +
| 293 || [https://zh.wikipedia.org/wiki/%E6%9F%B4%E5%AE%88%E7%A6%AE 柴守禮] || 3
 +
|-
 +
| 294 || [[失活]] || 2
 +
|-
 +
| 295 || [[審吉氏]] || 1
 +
|-
 +
| 296 || [[雅里]] || 5
 +
|-
 +
| 297 || [[阿主沙里]] || 1
 +
|-
 +
| 298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9%E7%A5%BF%E5%B1%B1 安祿山] || 3
 +
|-
 +
| 299 || [https://zh.wikipedia.org/wiki/%E9%A1%8F%E5%B8%AB%E5%8F%A4 顔師古] || 1
 +
|-
 +
| 300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9%E4%B9%90%E5%85%AC%E4%B8%BB 安樂公主李裹兒] || 1
 +
|-
 +
| 301 || [[安從益]] || 1
 +
|-
 +
| 302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9%E9%87%8D%E6%A6%AE 安重榮] || 1
 +
|-
 +
| 303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9%E9%87%8D%E8%AF%B2 安重誨] || 6
 +
|-
 +
| 304 || [https://zh.wikipedia.org/wiki/%E8%80%B6%E6%BE%9C%E5%8F%AF%E6%B1%97 耶瀾可汗] || 1
 +
|-
 +
| 305 || [https://zh.wikipedia.org/wiki/%E8%80%B6%E5%BE%8B%E6%B0%8F 耶律] || 1
 +
|-
 +
| 306 || [https://zh.wikipedia.org/wiki/%E8%80%B6%E5%BE%8B%E6%AC%A7%E9%87%8C%E6%80%9D 耶律歐里思] || 1
 +
|-
 +
| 307 || [[耶律剌葛]] || 1
 +
|-
 +
| 308 || [https://zh.wikipedia.org/wiki/%E8%80%B6%E5%BE%8B%E5%89%8C%E8%91%9B 耶律剌葛] || 5
 +
|-
 +
| 309 || [https://zh.wikipedia.org/wiki/%E8%80%B6%E5%BE%8B%E5%80%8D 耶律倍] || 1
 +
|-
 +
| 310 || [https://zh.wikipedia.org/wiki/%E8%80%B6%E5%BE%8B%E5%AE%89%E7%AB%AF 耶律安端] || 1
 +
|-
 +
| 311 || [https://zh.wikipedia.org/wiki/%E6%9D%A8%E5%9B%BD%E5%BF%A0 楊國忠] || 1
 +
|-
 +
| 312 || [https://zh.wikipedia.org/wiki/%E6%A5%8A%E9%9A%86%E6%BC%94 楊隆演] || 5
 +
|-
 +
| 313 || [https://zh.wikipedia.org/wiki/%E6%A5%8A%E5%BE%A9%E6%81%AD 楊復恭] || 12
 +
|-
 +
| 314 || [https://zh.wikipedia.org/wiki/%E6%A5%8A%E5%BE%A9%E5%85%89 楊復光] || 4
 +
|-
 +
| 315 || [https://zh.wikipedia.org/wiki/%E6%9D%A8%E9%82%A0 楊邠] || 8
 +
|-
 +
| 316 || [https://zh.wikipedia.org/wiki/%E6%9D%A8%E5%B8%88%E5%8E%9A 楊師厚] || 4
 +
|-
 +
| 317 || [https://zh.wikipedia.org/wiki/%E6%A5%8A%E5%AE%88%E4%BA%AE 楊守亮] || 3
 +
|-
 +
| 318 || [[楊彦洪]] || 1
 +
|-
 +
| 319 || [[楊兗]] || 1
 +
|-
 +
| 320 || [https://zh.wikipedia.org/wiki/%E8%A5%84%E7%8E%8B 襄王李熅] || 8
 +
|-
 +
| 321 || [https://zh.wikipedia.org/wiki/%E6%89%AC%E9%9B%84 揚雄] || 1
 +
|-
 +
| 322 || [[楊仁晸]] || 4
 +
|-
 +
| 323 || [https://zh.wikipedia.org/wiki/%E6%A5%8A%E8%A1%8C%E5%AF%86 楊行密] || 1
 +
|-
 +
| 324 || [https://zh.wikipedia.org/wiki/%E9%AD%9A%E6%9C%9D%E6%81%A9 魚朝恩] || 3
 +
|-
 +
| 325 || [https://zh.wikipedia.org/wiki/%E4%B8%A5%E5%8F%AF%E6%B1%82 嚴可求] || 1
 +
|-
 +
| 326 || [[嚴續]] || 5
 +
|-
 +
| 327 || [https://zh.wikipedia.org/wiki/%E4%B8%A5%E9%81%B5%E7%BE%8E 嚴遵美] || 2
 +
|-
 +
| 328 || [[如淳]] || 1
 +
|-
 +
| 329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5%AE%88%E5%85%89 燕王劉守光] || 8
 +
|-
 +
| 330 || [https://zh.wikipedia.org/wiki/%E7%82%8E%E5%B8%9D 炎帝] || 1
 +
|-
 +
| 331 || [https://zh.wikipedia.org/wiki/%E6%B0%B8%E5%AE%81%E5%85%AC%E4%B8%BB 永寧公主李氏] || 3
 +
|-
 +
| 332 || [https://zh.wikipedia.org/wiki/%E9%92%B1%E9%95%A0 吳越武肅王錢鏐] || 15
 +
|-
 +
| 333 || [https://zh.wikipedia.org/wiki/%E9%8C%A2%E5%85%83%E7%93%98 吳越文穆王錢元瓘] || 3
 +
|-
 +
| 334 || [https://zh.wikipedia.org/wiki/%E9%8C%A2%E5%BC%98%E5%80%A7 吳越忠遜王錢弘倧] || 3
 +
|-
 +
| 335 || [https://zh.wikipedia.org/wiki/%E9%8C%A2%E5%BC%98%E4%BD%90 吳越忠獻王錢弘佐] || 7
 +
|-
 +
| 336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6%99%AF 王景] || 1
 +
|-
 +
| 337 || [[王龜長]] || 2
 +
|-
 +
| 338 || [[王檀]] || 4
 +
|-
 +
| 339 || [[王巒]] || 1
 +
|-
 +
| 340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8%8E%BD 王莽] || 2
 +
|-
 +
| 341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6%9C%B4 王朴] || 2
 +
|-
 +
| 342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7%94%AB 王甫] || 1
 +
|-
 +
| 343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6%BA%A5 王溥] || 3
 +
|-
 +
| 344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6%80%9D%E5%90%8C 王思同] || 1
 +
|-
 +
| 345 || [[王緖]] || 2
 +
|-
 +
| 346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4%BB%99%E8%8A%9D 王仙芝] || 8
 +
|-
 +
| 347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4%B8%96%E5%85%85 王世充] || 1
 +
|-
 +
| 348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AD%99%E6%BB%A1 王孫滿] || 2
 +
|-
 +
| 349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AE%88%E6%BE%84 王守澄] || 4
 +
|-
 +
| 350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6%B7%91%E5%A6%83 王淑妃] || 3
 +
|-
 +
| 351 || [[王舜賢]] || 1
 +
|-
 +
| 352 || [[王承捷]] || 2
 +
|-
 +
| 353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BC%8F 王式] || 1
 +
|-
 +
| 354 || [[王偓]] || 1
 +
|-
 +
| 355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6%B6%AF 王涯] || 1
 +
|-
 +
| 356 || [[王彦範]] || 4
 +
|-
 +
| 357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BD%A6%E7%AB%A0 王彦章] || 11
 +
|-
 +
| 358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8%A1%8D 王衍] || 1
 +
|-
 +
| 359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9%83%A2 王郢] || 3
 +
|-
 +
| 360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9%95%95 王鎔] || 1
 +
|-
 +
| 361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9%9B%84 王雄] || 1
 +
|-
 +
| 362 || [https://zh.wikipedia.org/wiki/%E8%92%8B%E6%AE%B7 王殷] || 2
 +
|-
 +
| 363 || [https://zh.wikipedia.org/wiki/%E9%83%AD%E5%A8%81 王殷] || 4
 +
|-
 +
| 364 || [https://zh.wikipedia.org/wiki/%E9%94%BA%E8%B0%9F 王殷] || 1
 +
|-
 +
| 365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87%9D 王凝] || 2
 +
|-
 +
| 366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7%AB%A0 王章] || 7
 +
|-
 +
| 367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6%BD%AE 王潮] || 6
 +
|-
 +
| 368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AE%97%E5%AE%9E 王宗實] || 3
 +
|-
 +
| 369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B3%BB 王峻] || 11
 +
|-
 +
| 370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4%BB%B2%E5%85%88 王仲先] || 4
 +
|-
 +
| 371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9%87%8D%E6%A6%AE 王重榮] || 6
 +
|-
 +
| 372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8%B4%8A 王贊] || 1
 +
|-
 +
| 373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8%99%95%E5%AD%98 王處存] || 2
 +
|-
 +
| 374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BD%A6%E7%AB%A0 王鐵槍] || 1
 +
|-
 +
| 375 || [[王淸]] || 1
 +
|-
 +
| 376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9%90%B8 王鐸] || 4
 +
|-
 +
| 377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6%92%AD 王播] || 1
 +
|-
 +
| 378 || [[王緘]] || 1
 +
|-
 +
| 379 || [[王緘]] || 1
 +
|-
 +
| 380 || [[王行實]] || 1
 +
|-
 +
| 381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8%A1%8C%E7%91%9C 王行瑜] || 10
 +
|-
 +
| 382 || [[王弘贄]] || 1
 +
|-
 +
| 383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7%92%B0 王環] || 4
 +
|-
 +
| 384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BE%BD 王徽] || 1
 +
|-
 +
| 385 || [https://zh.wikipedia.org/wiki/%E5%B0%A7 堯] || 4
 +
|-
 +
| 386 || [https://zh.wikipedia.org/wiki/%E9%81%A5%E8%BE%87%E6%B0%8F 遙輦氏] || 2
 +
|-
 +
| 387 || [[姚鳳]] || 3
 +
|-
 +
| 388 || [https://zh.wikipedia.org/wiki/%E5%A7%9A%E5%B4%87 姚崇] || 1
 +
|-
 +
| 389 || [https://zh.wikipedia.org/wiki/%E5%A7%9A%E6%B4%AA 姚洪] || 1
 +
|-
 +
| 390 || [https://zh.wikipedia.org/wiki/%E7%89%9B%E5%83%A7%E5%AD%BA 牛僧孺] || 1
 +
|-
 +
| 391 || [[鬱于]] || 2
 +
|-
 +
| 392 || [[袁敬初]] || 1
 +
|-
 +
| 393 || [[元瓘]] || 1
 +
|-
 +
| 394 || [https://zh.wikipedia.org/wiki/%E8%A2%81%E8%B1%A1%E5%85%88 袁象先] || 4
 +
|-
 +
| 395 || [https://zh.wikipedia.org/wiki/%E8%A2%81%E7%BB%8D 袁紹] || 1
 +
|-
 +
| 396 || [[元宰]] || 1
 +
|-
 +
| 397 || [[袁詮]] || 1
 +
|-
 +
| 398 || [https://zh.wikipedia.org/wiki/%E5%85%83%E7%A8%B9 元稹] || 1
 +
|-
 +
| 399 || [https://zh.wikipedia.org/wiki/%E9%9F%A6%E4%BF%9D%E8%A1%A1 韋保衡] || 1
 +
|-
 +
| 400 || [https://zh.wikipedia.org/wiki/%E9%9F%8B%E6%98%AD%E5%BA%A6 韋昭度] || 5
 +
|-
 +
| 401 || [https://zh.wikipedia.org/wiki/%E9%9F%8B%E6%BE%B3 韋澳] || 2
 +
|-
 +
| 402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7%B9%BC%E5%B2%8C 魏王李繼岌] || 18
 +
|-
 +
| 403 || [https://zh.wikipedia.org/wiki/%E5%A8%81%E7%8E%8B 威王楊偓] || 8
 +
|-
 +
| 404 || [https://zh.wikipedia.org/wiki/%E9%9F%A6%E7%9A%87%E5%90%8E 韋皇后] || 2
 +
|-
 +
| 405 || [https://zh.wikipedia.org/wiki/%E9%AD%8F%E8%B0%9F 魏謩] || 1
 +
|-
 +
| 406 || [https://zh.wikipedia.org/wiki/%E6%9F%94%E7%84%B6 柔然] || 1
 +
|-
 +
| 407 || [https://zh.wikipedia.org/wiki/%E5%91%A8%E5%B9%BD%E7%8E%8B 幽王] || 1
 +
|-
 +
| 408 || [https://zh.wikipedia.org/wiki/%E5%B0%B9%E8%B5%B7%E8%8E%98 尹起莘] || 1
 +
|-
 +
| 409 || [https://zh.wikipedia.org/wiki/%E5%B8%9D%E8%BE%9B 殷紂王] || 1
 +
|-
 +
| 410 || [[夷離菫]] || 2
 +
|-
 +
| 411 || [https://zh.wikipedia.org/wiki/%E4%BB%BB%E5%9C%9C 任圜] || 1
 +
|-
 +
| 412 || [https://zh.wikipedia.org/wiki/%E5%AD%90%E8%B7%AF 子路] || 1
 +
|-
 +
| 413 || [https://zh.wikipedia.org/wiki/%E5%BC%A0%E6%95%AC%E8%BE%BE 張敬達] || 3
 +
|-
 +
| 414 || [https://zh.wikipedia.org/wiki/%E5%BC%A0%E4%B9%9D%E9%BE%84 張九齡] || 1
 +
|-
 +
| 415 || [[張君緖]] || 1
 +
|-
 +
| 416 || [[張歸霸]] || 1
 +
|-
 +
| 417 || [https://zh.wikipedia.org/wiki/%E5%BC%B5%E7%AD%A0 張筠] || 1
 +
|-
 +
| 418 || [https://zh.wikipedia.org/wiki/%E5%BC%B5%E7%BE%8E 張美] || 5
 +
|-
 +
| 419 || [https://zh.wikipedia.org/wiki/%E5%BC%B5%E9%9F%B6 張韶] || 3
 +
|-
 +
| 420 || [https://zh.wikipedia.org/wiki/%E5%BC%A0%E5%AE%88%E7%8F%AA 張守珪] || 1
 +
|-
 +
| 421 || [https://zh.wikipedia.org/wiki/%E5%BC%A0%E6%89%BF%E4%B8%9A 張承業] || 4
 +
|-
 +
| 422 || [https://zh.wikipedia.org/wiki/%E5%BC%B5%E5%A7%93 張氏] || 2
 +
|-
 +
| 423 || [https://zh.wikipedia.org/wiki/%E6%9C%B1%E5%8F%8B%E7%8F%AA 張氏(朱友珪)] || 1
 +
|-
 +
| 424 || [https://zh.wikipedia.org/wiki/%E9%95%B7%E6%A8%82%E5%85%AC%E4%B8%BB 長樂公主] || 1
 +
|-
 +
| 425 || [[長樂老]] || 1
 +
|-
 +
| 426 || [[張彦卿]] || 1
 +
|-
 +
| 427 || [[張彦澤]] || 2
 +
|-
 +
| 428 || [[張延朗]] || 1
 +
|-
 +
| 429 || [https://zh.wikipedia.org/wiki/%E5%BC%A0%E6%B0%B8%E5%BE%B7 張永德] || 2
 +
|-
 +
| 430 || [[張源德]] || 1
 +
|-
 +
| 431 || [https://zh.wikipedia.org/wiki/%E5%BC%B5%E5%85%A8%E7%BE%A9 張全義] || 6
 +
|-
 +
| 432 || [[張廷範]] || 2
 +
|-
 +
| 433 || [https://zh.wikipedia.org/wiki/%E5%BC%A0%E6%BF%AC 張濬] || 5
 +
|-
 +
| 434 || [[張薦明]] || 1
 +
|-
 +
| 435 || [[張破敗]] || 1
 +
|-
 +
| 436 || [[張漢傑]] || 5
 +
|-
 +
| 437 || [[張漢倫]] || 1
 +
|-
 +
| 438 || [[張漢融]] || 1
 +
|-
 +
| 439 || [[張漢鼎]] || 6
 +
|-
 +
| 440 || [https://zh.wikipedia.org/wiki/%E8%92%8B%E7%8E%84%E6%99%96 蔣玄暉] || 2
 +
|-
 +
| 441 || [https://zh.wikipedia.org/wiki/%E5%BC%A0%E9%A2%A2 張顥] || 4
 +
|-
 +
| 442 || [[張后]] || 1
 +
|-
 +
| 443 || [[迪輦組里]] || 1
 +
|-
 +
| 444 || [[翟進宗]] || 1
 +
|-
 +
| 445 || [https://zh.wikipedia.org/wiki/%E7%94%B0%E4%BB%A4%E5%AD%9C 田令孜] || 21
 +
|-
 +
| 446 || [https://zh.wikipedia.org/wiki/%E6%85%95%E5%AE%B9%E7%9A%9D 前燕文明帝慕容皝] || 1
 +
|-
 +
| 447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5%BB%BA_(%E5%89%8D%E8%9C%80) 前蜀高祖王建] || 17
 +
|-
 +
| 448 || [https://zh.wikipedia.org/wiki/%E7%8E%8B%E8%A1%8D_(%E5%89%8D%E8%9C%80) 前蜀後主王衍] || 2
 +
|-
 +
| 449 || [https://zh.wikipedia.org/wiki/%E9%83%91%E7%B6%AE 鄭綮] || 11
 +
|-
 +
| 450 || [[程福斌]] || 1
 +
|-
 +
| 451 || [[鄭昭業]] || 1
 +
|-
 +
| 452 || [https://zh.wikipedia.org/wiki/%E9%83%91%E4%BA%91%E5%8F%9F 鄭遨] || 2
 +
|-
 +
| 453 || [[鄭元規]] || 2
 +
|-
 +
| 454 || [https://zh.wikipedia.org/wiki/%E7%A8%8B%E5%85%83%E6%8C%AF 程元振] || 6
 +
|-
 +
| 455 || [https://zh.wikipedia.org/wiki/%E9%83%91%E7%95%8B 鄭畋] || 7
 +
|-
 +
| 456 || [https://zh.wikipedia.org/wiki/%E9%83%91%E6%B3%A8 鄭注] || 1
 +
|-
 +
| 457 || [https://zh.wikipedia.org/wiki/%E9%84%AD%E7%9C%BE 鄭衆] || 2
 +
|-
 +
| 458 || [https://zh.wikipedia.org/wiki/%E9%84%AD%E6%86%B2 鄭憲] || 1
 +
|-
 +
| 459 || [https://zh.wikipedia.org/wiki/%E7%AC%AC%E4%BA%94%E5%8F%AF%E7%AF%84 第五可範] || 1
 +
|-
 +
| 460 || [https://zh.wikipedia.org/wiki/%E9%BD%90%E7%8E%8B 齊王] || 1
 +
|-
 +
| 461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85%83%E5%90%89 齊王李元吉] || 2
 +
|-
 +
| 462 || [https://zh.wikipedia.org/wiki/%E5%B8%9D%E4%B9%99 帝乙] || 1
 +
|-
 +
| 463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99%AF%E8%BE%BE 齊主李景達] || 4
 +
|-
 +
| 464 || [[趙某]] || 1
 +
|-
 +
| 465 || [https://zh.wikipedia.org/wiki/%E8%B5%B5%E6%99%AE 趙普] || 3
 +
|-
 +
| 466 || [https://zh.wikipedia.org/wiki/%E8%B5%B5%E5%87%A4 趙鳳] || 1
 +
|-
 +
| 467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8%8B%B1%E5%AE%97 趙曙] || 1
 +
|-
 +
| 468 || [https://zh.wikipedia.org/wiki/%E8%B6%99%E5%B4%87 趙崇] || 1
 +
|-
 +
| 469 || [https://zh.wikipedia.org/wiki/%E8%B5%B5%E5%B2%A9 趙巖] || 17
 +
|-
 +
| 470 || [https://zh.wikipedia.org/wiki/%E8%B5%B5%E5%BB%B6%E5%AF%BF 趙延壽] || 6
 +
|-
 +
| 471 || [[阻午可汗]] || 3
 +
|-
 +
| 472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7%A5%9E%E5%AE%97 趙頊] || 1
 +
|-
 +
| 473 || [https://zh.wikipedia.org/wiki/%E6%B1%89%E9%9A%90%E5%B8%9D 曹威] || 2
 +
|-
 +
| 474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7%9F%A5%E9%81%A0 趙隱] || 1
 +
|-
 +
| 475 || [https://zh.wikipedia.org/wiki/%E6%9B%B9%E6%97%A5%E5%8D%87 曹日升] || 2
 +
|-
 +
| 476 || [https://zh.wikipedia.org/wiki/%E8%B5%B5%E5%9C%A8%E7%A4%BC 趙在禮] || 3
 +
|-
 +
| 477 || [https://zh.wikipedia.org/wiki/%E8%B6%99%E7%83%88%E4%BE%AF 趙籍] || 1
 +
|-
 +
| 478 || [https://zh.wikipedia.org/wiki/%E6%9B%B9%E7%AF%80 曹節] || 1
 +
|-
 +
| 479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4%BB%81%E5%AE%97 趙禎] || 1
 +
|-
 +
| 480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B%E7%9C%9F%E5%AE%97 趙恒] || 1
 +
|-
 +
| 481 || [[從馬直]] || 1
 +
|-
 +
| 482 || [https://zh.wikipedia.org/wiki/%E9%94%BA%E8%B0%9F 鍾謨] || 9
 +
|-
 +
| 483 || [[從榮]] || 1
 +
|-
 +
| 484 || [[從璨]] || 1
 +
|-
 +
| 485 || [https://zh.wikipedia.org/wiki/%E5%91%A8%E5%85%AC%E6%97%A6 周公] || 2
 +
|-
 +
| 486 || [https://zh.wikipedia.org/wiki/%E5%91%A8%E8%B5%A7%E7%8E%8B 周赧王延] || 3
 +
|-
 +
| 487 || [https://zh.wikipedia.org/wiki/%E5%91%A8%E5%BE%B7%E5%A8%81 周德威] || 2
 +
|-
 +
| 488 || [https://zh.wikipedia.org/wiki/%E6%9C%B1%E7%8E%AB 朱玫] || 7
 +
|-
 +
| 489 || [https://zh.wikipedia.org/wiki/%E5%91%A8%E6%96%87%E7%8E%8B 周文王] || 1
 +
|-
 +
| 490 || [https://zh.wikipedia.org/wiki/%E6%9C%B1%E6%96%87%E9%80%B2 朱文進] || 1
 +
|-
 +
| 491 || [[朱黼]] || 1
 +
|-
 +
| 492 || [[朱邪氏]] || 1
 +
|-
 +
| 493 || [https://zh.wikipedia.org/wiki/%E5%91%A8%E6%88%90%E7%8E%8B 周成王] || 1
 +
|-
 +
| 494 || [[朱叔明]] || 1
 +
|-
 +
| 495 || [[周承誨]] || 2
 +
|-
 +
| 496 || [https://zh.wikipedia.org/wiki/%E6%9C%B1%E5%8F%8B%E6%96%87 朱友文] || 2
 +
|-
 +
| 497 || [https://zh.wikipedia.org/wiki/%E6%9C%B1%E6%B3%9A 朱泚] || 3
 +
|-
 +
| 498 || [https://zh.wikipedia.org/wiki/%E6%9C%B1%E9%9B%80%E9%97%A8 朱雀門] || 1
 +
|-
 +
| 499 || [[周廷構]] || 1
 +
|-
 +
| 500 || [https://zh.wikipedia.org/wiki/%E5%91%A8%E5%AE%9A%E7%8E%8B 周定王] || 1
 +
|-
 +
| 501 || [https://zh.wikipedia.org/wiki/%E6%9C%B1%E5%BC%98%E6%98%AD 朱弘昭] || 3
 +
|-
 +
| 502 || [https://zh.wikipedia.org/wiki/%E6%9C%B1%E7%86%B9 朱熹] || 1
 +
|-
 +
| 503 || [https://zh.wikipedia.org/wiki/%E6%9C%B1%E5%B8%8C%E5%BD%A9 朱希彩] || 2
 +
|-
 +
| 504 || [https://zh.wikipedia.org/wiki/%E6%9B%BE%E5%85%83%E8%A3%95 曾元裕] || 1
 +
|-
 +
| 505 || [[地皇后]] || 1
 +
|-
 +
| 506 || [[陳覺]] || 5
 +
|-
 +
| 507 || [https://zh.wikipedia.org/wiki/%E9%99%B3%E6%95%AC%E7%91%84 陳敬瑄] || 1
 +
|-
 +
| 508 || [https://zh.wikipedia.org/wiki/%E6%99%8B%E6%96%87%E5%85%AC 晉文公] || 5
 +
|-
 +
| 509 || [[陳班]] || 2
 +
|-
 +
| 510 || [https://zh.wikipedia.org/wiki/%E7%A7%A6%E5%BD%A5 秦彦] || 9
 +
|-
 +
| 511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E%9E%E6%A6%AE 秦王李從榮] || 1
 +
|-
 +
| 512 || [[鎭定驛]] || 1
 +
|-
 +
| 513 || [https://zh.wikipedia.org/wiki/%E7%A7%A6%E5%AE%97%E6%AC%8A 秦宗權] || 15
 +
|-
 +
| 514 || [https://zh.wikipedia.org/wiki/%E9%99%88%E5%BC%98%E5%BF%97 陳弘志] || 3
 +
|-
 +
| 515 || [https://zh.wikipedia.org/wiki/%E8%94%A1%E5%8F%94%E5%BA%A6 蔡叔] || 1
 +
|-
 +
| 516 || [[天皇帝]] || 1
 +
|-
 +
| 517 || [[啜里只]] || 1
 +
|-
 +
| 518 || [https://zh.wikipedia.org/wiki/%E9%A6%AC%E5%B8%8C%E8%90%BC 楚恭孝王馬希萼] || 3
 +
|-
 +
| 519 || [https://zh.wikipedia.org/wiki/%E9%A9%AC%E6%AE%B7 楚武穆王馬殷] || 12
 +
|-
 +
| 520 || [https://zh.wikipedia.org/wiki/%E9%A6%AC%E5%B8%8C%E7%AF%84 楚文昭王馬希範] || 5
 +
|-
 +
| 521 || [[肖阿古只]] || 1
 +
|-
 +
| 522 || [https://zh.wikipedia.org/wiki/%E9%A6%AC%E5%B8%8C%E5%BB%A3 楚廢王馬希廣] || 4
 +
|-
 +
| 523 || [https://zh.wikipedia.org/wiki/%E9%A6%AC%E5%B8%8C%E8%81%B2 楚衡陽王馬希聲] || 4
 +
|-
 +
| 524 || [[蜀主]] || 1
 +
|-
 +
| 525 || [[崔居儉]] || 1
 +
|-
 +
| 526 || [[崔愼由]] || 1
 +
|-
 +
| 527 || [[崔遠]] || 1
 +
|-
 +
| 528 || [https://zh.wikipedia.org/wiki/%E5%B4%94%E8%83%A4 崔胤] || 19
 +
|-
 +
| 529 || [https://zh.wikipedia.org/wiki/%E4%BB%BB%E5%9C%9C 崔協] || 1
 +
|-
 +
| 530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E%9E%E7%8F%82 忠懿王錢弘淑] || 1
 +
|-
 +
| 531 || [https://zh.wikipedia.org/wiki/%E6%AD%A6%E5%88%99%E5%A4%A9 則天武后] || 3
 +
|-
 +
| 532 || [https://zh.wikipedia.org/wiki/%E6%B2%88%E6%96%8C 沈斌] || 1
 +
|-
 +
| 533 || [https://zh.wikipedia.org/wiki/%E5%A4%AA%E5%B9%B3%E5%85%AC%E4%B8%BB 太平公主李氏] || 1
 +
|-
 +
| 534 || [[太后]] || 2
 +
|-
 +
| 535 || [https://zh.wikipedia.org/wiki/%E5%A4%AA%E5%90%8E 太后] || 4
 +
|-
 +
| 536 || [https://zh.wikipedia.org/wiki/%E5%90%90%E7%AA%81%E6%89%BF%E7%92%80 吐突承璀] || 1
 +
|-
 +
| 537 || [https://zh.wikipedia.org/wiki/%E6%89%81%E9%B9%8A 扁鵲] || 1
 +
|-
 +
| 538 || [https://zh.wikipedia.org/wiki/%E9%A6%AE%E9%81%93 馮道] || 28
 +
|-
 +
| 539 || [https://zh.wikipedia.org/wiki/%E5%86%AF%E7%8E%89 馮玉] || 3
 +
|-
 +
| 540 || [https://zh.wikipedia.org/wiki/%E5%86%AF%E8%B5%9F 馮贇] || 2
 +
|-
 +
| 541 || [[馮廷諤]] || 4
 +
|-
 +
| 542 || [[披]] || 5
 +
|-
 +
| 543 || [https://zh.wikipedia.org/wiki/%E7%95%A2%E5%B8%AB%E9%90%B8 畢師鐸] || 13
 +
|-
 +
| 544 || [[賀德倫]] || 1
 +
|-
 +
| 545 || [https://zh.wikipedia.org/wiki/%E5%A4%8F%E9%B2%81%E5%A5%87 夏魯奇] || 1
 +
|-
 +
| 546 || [https://zh.wikipedia.org/wiki/%E4%BD%95%E5%BE%BD 何徽] || 5
 +
|-
 +
| 547 || [[韓建]] || 6
 +
|-
 +
| 548 || [https://zh.wikipedia.org/wiki/%E5%88%98%E9%82%A6 漢高祖劉邦] || 1
 +
|-
 +
| 549 || [https://zh.wikipedia.org/wiki/%E6%B1%89%E6%98%AD%E5%B8%9D 漢昭帝劉弗陵] || 1
 +
|-
 +
| 550 || [https://zh.wikipedia.org/wiki/%E9%9F%93%E5%85%A8%E8%AA%A8 韓全誨] || 11
 +
|-
 +
| 551 || [[韓悰]] || 1
 +
|-
 +
| 552 || [https://zh.wikipedia.org/wiki/%E6%B1%89%E7%8C%AE%E5%B8%9D 漢獻帝] || 3
 +
|-
 +
| 553 || [https://zh.wikipedia.org/wiki/%E9%9F%93%E4%BC%91 韓休] || 1
 +
|-
 +
| 554 || [[巷伯]] || 1
 +
|-
 +
| 555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6%9C%9D 恒山王李朝] || 4
 +
|-
 +
| 556 || [[楷落]] || 2
 +
|-
 +
| 557 || [[頦領]] || 2
 +
|-
 +
| 558 || [[向延嗣]] || 6
 +
|-
 +
| 559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E%9E%E7%9B%8A 許王李從益] || 6
 +
|-
 +
| 560 || [https://zh.wikipedia.org/wiki/%E7%8C%AE%E5%85%AC 獻公] || 3
 +
|-
 +
| 561 || [https://zh.wikipedia.org/wiki/%E8%B5%AB%E8%BF%9E%E9%93%8E 赫連鐸] || 1
 +
|-
 +
| 562 || [https://zh.wikipedia.org/wiki/%E9%AB%98%E5%AD%A3%E8%88%88 荊南武信王高季興] || 8
 +
|-
 +
| 563 || [https://zh.wikipedia.org/wiki/%E9%AB%98%E5%BE%9E%E8%AA%A8 荊南文獻王高從誨] || 2
 +
|-
 +
| 564 || [https://zh.wikipedia.org/wiki/%E9%AB%98%E4%BF%9D%E8%9E%8D 荊南貞懿王高保融] || 1
 +
|-
 +
| 565 || [https://zh.wikipedia.org/wiki/%E8%83%A1%E5%A7%93 胡氏] || 1
 +
|-
 +
| 566 || [https://zh.wikipedia.org/wiki/%E8%83%A1%E5%AF%85 胡寅] || 9
 +
|-
 +
| 567 || [https://zh.wikipedia.org/wiki/%E8%83%A1%E8%BF%9B%E6%80%9D 胡進思] || 1
 +
|-
 +
| 568 || [https://zh.wikipedia.org/wiki/%E6%B8%BE%E7%91%8A 渾瑊] || 2
 +
|-
 +
| 569 || [https://zh.wikipedia.org/wiki/%E6%B4%AA%E8%BF%88 洪容齋] || 1
 +
|-
 +
| 570 || [[皇甫麟]] || 9
 +
|-
 +
| 571 || [https://zh.wikipedia.org/wiki/%E7%9A%87%E7%94%AB%E6%9A%89 皇甫暉] || 6
 +
|-
 +
| 572 || [https://zh.wikipedia.org/wiki/%E9%BB%84%E5%B7%A2 黃巢] || 51
 +
|-
 +
| 573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BE%9E%E7%8F%82 後唐末帝李從珂] || 41
 +
|-
 +
| 574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6%98%8E%E5%AE%97 後唐明宗李嗣源] || 62
 +
|-
 +
| 575 || [https://zh.wikipedia.org/wiki/%E6%9D%8E%E5%85%8B%E7%94%A8 後唐武皇李克用] || 78
 +
|-
 +
| 576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9%96%94%E5%B8%9D 後唐閔帝李從厚] || 15
 +
|-
 +
| 577 || [https://zh.wikipedia.org/wiki/%E5%94%90%E5%BA%84%E5%AE%97 後唐莊宗李存勖] || 89
 +
|-
 +
| 578 || [https://zh.wikipedia.org/wiki/%E4%BE%AF%E8%A6%BD 侯覽] || 1
 +
|-
 +
| 579 || [https://zh.wikipedia.org/wiki/%E6%A2%81%E6%9C%AB%E5%B8%9D 後梁末帝朱友貞] || 30
 +
|-
 +
| 580 || [https://zh.wikipedia.org/wiki/%E6%9C%B1%E5%8F%8B%E7%8F%AA 後梁郢王朱友珪] || 11
 +
|-
 +
| 581 || [https://zh.wikipedia.org/wiki/%E6%9C%B1%E6%B8%A9 後梁太祖朱全忠] || 114
 +
|-
 +
| 582 || [https://zh.wikipedia.org/wiki/%E5%91%A8%E6%81%AD%E5%B8%9D 後周恭帝柴宗訓] || 13
 +
|-
 +
| 583 || [https://zh.wikipedia.org/wiki/%E5%91%A8%E4%B8%96%E5%AE%97 後周世宗郭榮] || 107
 +
|-
 +
| 584 || [https://zh.wikipedia.org/wiki/%E9%83%AD%E5%A8%81 後周太祖郭威] || 66
 +
|-
 +
| 585 || [https://zh.wikipedia.org/wiki/%E7%9F%B3%E6%95%AC%E7%91%AD 後晉高祖石敬瑭] || 66
 +
|-
 +
| 586 || [https://zh.wikipedia.org/wiki/%E6%99%8B%E5%87%BA%E5%B8%9D 後晉出帝石重貴] || 26
 +
|-
 +
| 587 || [https://zh.wikipedia.org/wiki/%E5%AD%9F%E7%9F%A5%E7%A5%A5 後蜀高祖孟知祥] || 13
 +
|-
 +
| 588 || [https://zh.wikipedia.org/wiki/%E5%AD%9F%E6%98%B6 後蜀後主孟昶] || 4
 +
|-
 +
| 589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7%9F%A5%E9%81%A0 後漢高祖劉知遠] || 46
 +
|-
 +
| 590 || [https://zh.wikipedia.org/wiki/%E6%B1%89%E9%9A%90%E5%B8%9D 後漢隱帝劉承祐] || 22
 +
|-
 +
| 591 || [https://zh.wikipedia.org/wiki/%E4%BE%AF%E5%B8%8C%E9%80%B8 侯希逸] || 1
 +
|-
 +
| 592 || [[欽德]] || 1
 +
|}
  
 
=== 시간정보 정리 ===
 
=== 시간정보 정리 ===

2017년 5월 26일 (금) 03:45 판

역사 자료 텍스트의 전자적 기술에 의한 지식 관계망 구현 연구

이곳에서 위키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역사 자료 텍스트의 전자적 기술에 의한 지식 관계망 구현 연구
- 通鑑節要를 중심으로


서론

그동안 우리나라는 정보화 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朝鮮王朝實錄』 등의 방대한 자료를 정보화하였으며 검색 기술의 발달은 그동안 알지 못했던 새로운 지식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자료가 축적될수록 정보를 찾는데 소비되는 시간 또한 점점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팀 버너스 리는 ‘시맨틱 웹’을 주장하였다. 시맨틱 웹은 HTML 문서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웹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간의 링크를 구성하여 인간이나 기계 모두 데이터의 웹을 탐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말한다.
한편 근래에는 데이터와 데이터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게 되었다. 데이터 간의 연계와 무한 확장, 데이터 활용 주체 간의 협력, 다양한 조합·분석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본 논문의 주제도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역사 자료를 어떻게 하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까 하는 논의에서 출발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역사 자료의 연계와 통합이다. 연계 및 통합은 기본적으로 LOD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LOD로 발행한다는 것은 의미 없이 죽어있는 지식을 식별하고 ‘연결하고, 구조화시키고, 맥락화 시키면서 의미 있는 것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말한다.
그런데 기존의 LOD 발행은 대부분은 정형화되고 규칙적인 정보에 집중되어 있었다. 즉 주소 정보라든지 문화재의 메타데이터 등 전형적인 RDB 구조로 구축된 데이터가 집중적으로 LOD로 전환이 되었으며, 역사서에 등장하는 사건과 그 사건을 구성하고 있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접근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역사적 지식을 표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관해서 연구하고 있다.
아울러 지식 관계망(Knowledge Network)을 제안한다. 지식관계망은 하나의 지식 노드와 관련된 다른 노드를 서로 연결해서 분절화된 지식을 의미적으로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를 역할을 한다. 지식 관계망은 지식의 개별 노드와 노드를 연결해서 새로운 지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소통의 교점을 마련해 준다. 정제된 지식의 寶庫인 辭典 등에서 수집한 어휘 간의 관계, 同義語, 反意語 등의 의미론적 연관 관계와 역사의 주체인 인물 간의 관계, 인물과 사건 등을 정밀하게 정제하여 RDF로 구축하는 것이다. 지식 관계망을 통해서 기존 LOD로 해결할 수 없는 훨씬 더 다양하고 복잡한 지식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새로운 정보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본론

통감절요 소개

본 연구에서 대상 자료로 삼은 『通鑑節要』가 조선 시대 지식인에게 끼진 영향은 적지 않다. 조선 시대에 사대부들은 한문 학습 과정에서 『通鑑節要』를 통해서 문리를 터득하였다. 『통감절요』에 나오는 고사는 문집에서도 숱하게 인용되고 있다. 특히 『通鑑節要』에 나오는 史評은 학자들에게 史觀을 정립하는 데 많을 도움을 주었다. 『통감절요』의 특징을 살펴보면 문장을 생략하거나 변형시켜서 문맥이 서로 이어지지 못하는 부분이 많으며, 심지어는 웬만한 사건이 통째로 빠져있기도 하다. 기타 연월의 착오와 사실의 와전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고 한다. 몇 일에 걸쳐서 발생한 사건도 한 줄로 요약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함에도 불구하고 『通鑑節要』는 조선 시대 전 기간에 걸쳐 중국 역사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여러 학문에 걸쳐 수많은 정보를 제공해 온 기본 교재로서 역할을 하였다. 이런 현실을 감안해서 『通鑑節要』를 번역한 전통문화연구회에서 간행한 『역주 통감절요』를 대상 자료로 선택하였다.

『通鑑節要』를 대상 자료로 선택한 이유는 『資治通鑑』에 비해 내용이 매우 압축적이기 때문에 『資治通鑑』이 번다한 것에 비해 핵심적인 내용이 담겨 있기 때문에 오히려 사건을 중심으로 기술할 때 더 유리한다. 또한 『通鑑節要』는 司馬光의 『資治通鑑』, 朱熹의 『思政殿訓義 資治通鑑綱目』 등 외부 데이터와 연계시킬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대상 자료로 선택하였다. 아래는 역주 통감절요의 번역 대상으로 삼은 판본이다.


통감절요 국도.png 통감절요 규장각.png

[國立中央圖書館 所藏本] [서울大學校 奎章閣 所藏本]

RDF 트리플

RDF 트리플이란?
온톨로지를 표현하는 언어로 사물과 사물의 관계를 주어-술어-목적어의 관계로 표현하는 것

Carl Spitzweg.png


간단한 RDF 트리플을 보면 다음과 같다. 정보를 주어-술어-목적어 구조로 기술하는 것이다. 아래 그림은 항우가 의제를 죽였다는 것을 표현한 RDF 그래프이다.

항우.png

그런데 문제는 모든 지식을 이러한 단순한 이항 구조로 표현한다는 것을 불가능하다. 간단하게 설명해서 위의 항우가 의제를 죽였다는 것에서 우리는 언제와 어디서가 생각할 수 있다. 과연 언제 이러한 일이 발생했으며, 의제가 어디서 죽었을까 하는 의문이 당연히 생겨날 수 있으며, 그 답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항우02.png

그러나 기존의 이항 구조의 RDF 트리플로는 이러한 내용을 표현할 수 없었다. 그래서 연구된 것이 공백노드와 미디에이터를 이용해서 표현하는 방법이다.

공백노드라면 특별한 의미를 지니지 않고 단순히 노드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래그름을 보자. 항우와 의제 사이에는 공백노드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공백노드와 의제가 죽은 위치나 시간을 장소, 대상, 발생시기라는 관계를 통해서 표현해 주었다.


항우03.png

아래 그림을 보면 역사서의 본문 내용을 RDF 트리플로 기술하려는 시도이며, 그 해결 방안으로 행위와 상태를 표현하는 서술어와 나머지 개체 간의 관계를 국어 통사론에서 사용하는 의미역을 도입하여 표현하였다. 의미역이란

항우04.png


문제의 제기

LOD는 링크드오픈데이터의 약자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연결하자는 의미이다. 기존의 LOD 발행은 주로 메타데이터와 같은 정형화된 데이터가 대부분이었다.
그 이유는 RDF 트리플이라는 주어-술어-목적어의 단순한 이항 관계로 지식을 표현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방식으로는 역사 자료의 본문을 표현할 수가 없었다.
예를들어 아래 그림1과 같이 ‘項羽가 義帝를 죽였다’에서 시간과 공간이 추가될 때 이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안으로 n-ary 방식과 공백 노드를 활용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공백 노드를 이용하는 방법은 그림2와 같이 중간에 연결해 주는 노드를 하나 인위적으로 만들고 그 노드와 시간, 공간 등의 자원과 관계를 맺어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도 역사적 지식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 이유는 첫째, 공백 노드를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行爲를 관계 속성으로 표현하기 어려우며, 둘째, 역사서에서 나오는 다양한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기준이 아직 없기 때문이다. 사람마다 서로 다른 기준을 만들고 서로 다른 관계를 적용한다면 역사 자료의 통합은 요원해질 것이다.


지식을 표현하는 것이 단순히 이항 관계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이 너무 많다. 정확하게 말하면 표현할 수 있는 것이 그렇게 많지 않다. 역사서에 나오는 주요한 사건이 언제 일어났는지 어디에서 일어났는지 원인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 사전에 프로퍼티로 지정해 놓은 범위 안에서 표현할 수 있다. 더블린코어의 온톨로지에서 보면 책의 저자는 누구이고 언제 간행되었고 등 사전에 정해진 것만 담을 수 있다.

역사서의 경우에 조선왕조실록이 몇 책이고, 국보 몇 호이고, 언제 간행되었는지 등등의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는 충분히 담을 수 있는데 만약 본문 내용을 대상으로 표현한다면 거의 표현할 수 있는 방안이 없다.


개체와 개체 사이에 발생하는 관계를 프로퍼티가 아닌 인스턴스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인스턴스로 표현한다는 것은 클래스로 분류한다는 의미이다. 행위를 클래스로 표현한다는 것은 클래스를 잘 분류만 해 놓으면 개체와 개체를 연결할 때 복잡한 관계라도 쉽게 표현할 수 있다.

온톨로지 설계

클래스 설계

프로퍼티 설계

논항

의미적 완결성을 문장을 구성하기 위하여 서술어 기능을 가지는 어휘가 자신의 자리값(valency)과 의미격 틀(θ-frame)에 따라 문장에 나타날 것을 요구하는 필수 성분이다


의미역

한 문장이 완성되기 위해 꼭 필요한 문장 성분과 그 문장 안에 있는 동사나 형용사 등의 술어가 맺고 있는 의미적 관계

본 논문에서 적용한 의미역

연번 프로퍼티 속성 내용
1 action AC 구체적인 행위를 표현함
2 agent AG 행위를 한 주체, 행동주
3 effector EF 영향주
4 companion CO 행위를 할 때 참여한 행위자
5 patient PA 피동주, 사건에서 영향을 입는 것, 상태의 변화를 겪는 것
6 theme TE 이동체, 대상
7 manner MA 방법
8 location LO 발생위치, 처소, 장소명사와 함께 처소를 나타낸다.
9 source SR 기점, 출발점
10 route RT 경로, 지나온 경로
11 goal GO 도착점, 처소의 변화, 상태나 자격의 변화
12 direction DR 이동의 방향
13 time TM 시간과 연계
14 instrument IN 도구
15 cause CA 원인
16 degree DE 정도의 표현
17 frequency FR 빈도의 표현
18 quantity QU 수량의 표현
19 role RO 자격, 역할의 표현
20 content CT 내용의 표현


틀:Clickable button

지식 관계망의 개념

역사서를 잘 구조화하여 LOD로 발행한다고 해서 어느 날 갑자기 새로운 지식이 발견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지식이 축적되어야 자연스럽게 그 사이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LOD를 구축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걸린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온톨로지 모델을 적용하여 역사적 지식을 LOD로 발행하면 상당수의 지식을 서로 연결할 수 있겠지만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정제된 심도 있는 지식의 수준까지 도달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사전 등의 잘 정리된 지식을 LOD로 발행할 필요가 있다. 지식 관계망은 역사 자료의 연계 및 통합을 위해 설계한 온톨로지를 확장 및 보완한 개념으로 어휘 간 관계에 있어 정제화와 구조화, 계층화라는 세 가지 요소가 추가 혹은 강화된 개념이다. 지식 관계망(Knowledge Network)은 하나의 지식 노드와 관련된 다른 노드를 서로 연결해서 분절화된 지식을 의미적으로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지식 관계망은 역사적 지식을 통합할 수 있는 모델을 제공하며, 어휘 간의 관계를 의미적으로, 내용적으로 엮을 수 있게 한다. 어휘 간의 관계를 의미적으로는 同義語, 類義語, 反意語 등 의미에 따른 관계를 엮어 주는 것이고, 내용적으로는 項羽의 字는 羽고 名은 籍이고, 愛妾은 虞姬이며, 누구와 천하를 놓고 다투었는지 등의 지식 간의 관계를 엮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는 의미에 따라서 관계가 형성된 것이 아닌 내용 속에서 관계가 만들어진 것이다. 즉 項羽와 項羽와 관련된 정보는 필연적이지 않고 역사서의 내용에 의해 만들어진 관계인 것이다. 이러한 관계는 지금까지 연구된 학술적 성과 혹은 정제된 지식을 바탕으로 구축된다.
예를들어 지식의 寶庫인 辭典 등에서 수집한 어휘 간의 관계, 同義語, 反意語 등의 의미론적 연관 관계와 역사의 주체인 인물 간의 관계, 인물과 사건 등을 정밀하게 정제하여 RDF 트리플로 구축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 역사서에서 얻을 수 없는 정제된 지식을 사전을 이용하여 보완하고 구조화(Structureing)한다는 의미이다.
계층화는 어휘 간의 텍사노미를 잘 형성하여 논리적 추론을 강화하고 대체 표현을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지식 관계망은 기존 지식을 관련 있는 지식끼리 잘 엮어서 정리하고, 분류하고, 구조화 시킨 지식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지식 관계망은 내부의 지식과 외부의 지식을 소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식 관계망을 통해서 관련된 외부 지식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외부 노드에서 지식 관계망을 매개로 하여 관련된 지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지식 관계망을 통해서 기존 LOD로 해결할 수 없는 훨씬 더 다양하고 복잡한 지식으로 접근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새로운 정보로 접근할 수 있는 소통의 교점이 된다. 지식은 점차 한 곳에 집중되고, 통합되는 경향이 있다. 그것은 정확한 정보를 쉽게 찾고 싶다는 필요성에 부응한 결과이다. 지식 관계망은 기구축된 어휘 정보를 의미 중심으로 연계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식 관계망에서는 같은 개념이 서로 다르게 사용되는 용어, 용어 간의 의미가 일치하지 않음으로서 발생하는 정보의 단절을 방지하고 특정 개념에 대해 더욱 다양하고 폭넓은 지식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 준다.


지식관계망.png

인스턴스 생성

문맥 요소 태깅

통감절요 본문 중에 있는 개체명을 파악하기 위해 직접 역주 통감절요에 태깅을 하였다.

  • 역주 통감절요의 자료량
구분 글자수 어절수
원문 872,179 122,733
번역문 1,716,971 401,715
각주 193,532 47,161
합계 2,782,682 571,609


대표명칭 정리

인명 대표명칭 정리 원칙

대표명칭은 봉작호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으로 구분합니다.
왕실 인물은 성명 이외에도 봉작호가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대표명칭을 정하였습니다.
왕실 인물은 다시 당대 이전과 이후로 구분합니다. 당대 이전에는 왕조명+시호+성명을 대표명칭으로 하고 당대 이후에는 왕조명+묘호+성명을 대표명칭으로 하였습니다.
당대 이후에는 시호가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시호로 부르면 이름이 너무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원칙으로 통감절요(5대10국) 시대 인물을 모두 마크업한 후 동일 인물 여부를 확인하였습니다.
각 인물은 위키피디아에 상세한 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연계를 위해 모두 rdfs:sameAs를 이용하여 연결을 해주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LOD의 4원칙 중의 4번째 규칙, 즉 풍부한 개체와 연결할 수 있도록 다른 자원의 연결정보를 포함하라는 원칙에 부합합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번 인명 빈도
1 賈逵 1
2 可突于 5
3 哥舒翰 1
4 賈餗 1
5 曷魯 1
6 葛烏兎 1
7 康季榮 1
8 江南國主 1
9 康承訓 4
10 康延孝 5
11 絳王李悟 5
12 康義誠 3
13 康懷貞 2
14 桀王 1
15 敬翔 9
16 耿崇美 1
17 景延廣 16
18 高力士 3
19 高騈 10
20 高從誨 1
21 高行周 1
22 孔謙 1
23 恭仁王楷落 1
24 孔子 5
25 公綽 1
26 過折 2
27 郭璟 1
28 霍仙鳴 1
29 郭崇韜 23
30 郭崇威 4
31 郭子儀 4
32 郭廷誨 2
33 郭從謙 2
34 郭從義 1
35 管叔 1
36 裘甫 1
37 仇士良 3
38 歐陽脩 6
39 寇彦卿 1
40 窟哥 3
41 屈列 1
42 屈戍巴剌可汗 1
43 勻德實 2
44 奇首 2
45 岐王李茂貞 48
46 夔王李滋 2
47 南唐烈祖李昪 30
48 南唐元宗李璟 33
49 南唐義祖徐溫 6
50 南吳高祖楊隆演 4
51 南吳讓皇楊溥 8
52 南吳太祖楊行密 21
53 南楚國公李從善 2
54 南漢高祖劉龑 8
55 南漢烈宗劉隱 10
56 南漢殤帝劉玢 7
57 南漢中宗劉晟 8
58 南漢後主劉鋹 5
59 耨里思 2
60 段文楚 1
61 段凝 15
62 覃王李嗣周 4
63 唐建寧王李倓 2
64 唐敬宗李湛 6
65 唐高祖李淵 4
66 唐高宗李治 1
67 唐代宗李豫 10
68 唐德宗李适 5
69 唐穆宗李恆 5
70 唐武宗李炎 6
71 唐文宗李昂 5
72 唐宣宗李忱 15
73 唐昭宗李曄 30
74 唐肅宗李亨 13
75 唐順宗李誦 1
76 唐哀帝李柷 14
77 唐睿宗李旦 3
78 唐隱太子李建成 1
79 唐懿宗李漼 18
80 唐中宗李顯 3
81 唐太宗李世民 14
82 唐憲宗李純 8
83 唐玄宗李隆基 7
84 唐弘夫 2
85 唐僖宗李儇 25
86 大賀氏 2
87 德妃張氏 2
88 陶穀 1
89 都亭驛 1
90 盜跖 1
91 獨孤損 1
92 咄于 2
93 董昌 4
94 董卓 1
95 東漢靈帝劉宏 4
96 東漢和帝劉肈 3
97 竇建德 1
98 竇文場 1
99 杜讓能 2
100 杜威 4
101 竇儀 3
102 竇憲 1
103 羅弘信 1
104 來瑱 5
105 梁崇義 2
106 呂彊 2
107 呂琦 3
108 呂用之 8
109 呂雉 1
110 驪姬 1
111 令狐 1
112 令狐綯 11
113 盧文紀 2
114 路巖 2
115 遼穆宗耶律璟 1
116 遼世宗耶律阮 8
117 遼義宗耶律倍 11
118 遼太祖耶律億 39
119 遼太宗耶律德光 32
120 劉景宣 1
121 劉季述 13
122 柳公綽 2
123 劉克明 4
124 劉武周 1
125 劉夫人 1
126 柳玭 4
127 劉詞 1
128 劉崇諫 1
129 劉承遇 3
130 劉臣容 1
131 劉彦貞 4
132 劉允章 1
133 劉仁恭 3
134 劉仁贍 11
135 劉行深 1
136 劉向 1
137 劉黑闥 1
138 劉希度 2
139 劉鄩 4
140 陸贄 1
141 陸扆 1
142 李谿 2
143 李繼鵬 2
144 李繼曮 1
145 李穀 10
146 李匡威 3
147 李光弼 3
148 李國昌 9
149 李君奭 4
150 李訥 1
151 李德明 8
152 李德裕 13
153 李林甫 1
154 李密 1
155 李輔國 5
156 李玭 1
157 李嗣昭 2
158 李師悅 1
159 李晟 2
160 李紹榮 8
161 李紹欽 1
162 李守貞 3
163 李崧 5
164 李氏 8
165 李裕 1
166 李滋 2
167 李自倫 1
168 李從襲 4
169 李從榮 5
170 李從益 2
171 李重進 2
172 李振 13
173 李盡忠 2
174 李璨 2
175 李昌符 3
176 李昌言 1
177 李忠臣 1
178 李遐 1
179 李行言 3
180 李玄伯 1
181 李弘冀 1
182 李環 1
183 李懷仙 1
184 李懷秀 3
185 李懷玉 2
186 李訓 1
187 李希烈 2
188 林言 1
189 馬愼交 1
190 馬彦珪 6
191 馬彦超 1
192 馬元贊 1
193 馬存亮 2
194 莫那 1
195 莫弗賀勿于 1
196 萬安大長公主 1
197 孟嘗君 1
198 孟業 3
199 孟子 2
200 冒頓單于 1
201 慕容彦超 3
202 閩康宗王繼鵬 1
203 閩景宗王延曦 7
204 閩嗣王王延翰 5
205 閩殷帝王延政 6
206 閩太祖王審知 13
207 閩惠宗王延鈞 6
208 潘約 1
209 方叔 1
210 龐從 1
211 龐勛 1
212 裴均 1
213 裴度 5
214 裴樞 1
215 裴休 1
216 白敏中 3
217 白志遷 1
218 樊愛能 7
219 范祖禹 8
220 范仲淹 1
221 范質 7
222 邊鎬 3
223 福建留後 1
224 僕固懷恩 4
225 濮王 1
226 苻彦卿 2
227 苻彦饒 2
228 北平王過折 1
229 北漢世祖劉旻 20
230 北漢睿宗劉鈞 7
231 比能 1
232 毗牒 2
233 史敬思 1
234 沙固 2
235 司馬光 5
236 史思明 1
237 史弘肇 9
238 沙陁 1
239 薩剌德 2
240 撒剌的 2
241 尙讓 7
242 桑維翰 11
243 湘陰公劉贇 6
244 徐廣 1
245 舒元輿 1
246 石敬儒 1
247 石君立 1
248 釋氏 1
249 石昂 1
250 宣王 1
251 薛文遇 2
252 薛齊偓 4
253 薛志勤 1
254 聶夷中 1
255 聖穆皇后柴氏 2
256 成湯 1
257 邵固 2
258 召公 1
259 小校 2
260 蘇林 1
261 蘇逢吉 2
262 蕭銑 1
263 蘇元明 2
264 蘇佐明 2
265 蕭翰 4
266 蕭轄剌 1
267 召虎 1
268 蕭皇后 2
269 孫德昭 2
270 孫晟 3
271 孫岳 1
272 孫羽 1
273 孫儒 9
274 1
275 宋璟 1
276 宋均 1
277 宋令詢 1
278 宋文通 2
279 宋申錫 2
280 宋神宗趙頊 1
281 宋審虔 2
282 宋彦筠 2
283 宋英宗趙曙 2
284 宋仁宗趙禎 3
285 宋齊丘 1
286 宋眞宗趙恆 4
287 宋太祖趙匡胤 37
288 宋太宗趙光義 2
289 4
290 述瀾 1
291 習爾 2
292 1
293 柴守禮 3
294 失活 2
295 審吉氏 1
296 雅里 5
297 阿主沙里 1
298 安祿山 3
299 顔師古 1
300 安樂公主李裹兒 1
301 安從益 1
302 安重榮 1
303 安重誨 6
304 耶瀾可汗 1
305 耶律 1
306 耶律歐里思 1
307 耶律剌葛 1
308 耶律剌葛 5
309 耶律倍 1
310 耶律安端 1
311 楊國忠 1
312 楊隆演 5
313 楊復恭 12
314 楊復光 4
315 楊邠 8
316 楊師厚 4
317 楊守亮 3
318 楊彦洪 1
319 楊兗 1
320 襄王李熅 8
321 揚雄 1
322 楊仁晸 4
323 楊行密 1
324 魚朝恩 3
325 嚴可求 1
326 嚴續 5
327 嚴遵美 2
328 如淳 1
329 燕王劉守光 8
330 炎帝 1
331 永寧公主李氏 3
332 吳越武肅王錢鏐 15
333 吳越文穆王錢元瓘 3
334 吳越忠遜王錢弘倧 3
335 吳越忠獻王錢弘佐 7
336 王景 1
337 王龜長 2
338 王檀 4
339 王巒 1
340 王莽 2
341 王朴 2
342 王甫 1
343 王溥 3
344 王思同 1
345 王緖 2
346 王仙芝 8
347 王世充 1
348 王孫滿 2
349 王守澄 4
350 王淑妃 3
351 王舜賢 1
352 王承捷 2
353 王式 1
354 王偓 1
355 王涯 1
356 王彦範 4
357 王彦章 11
358 王衍 1
359 王郢 3
360 王鎔 1
361 王雄 1
362 王殷 2
363 王殷 4
364 王殷 1
365 王凝 2
366 王章 7
367 王潮 6
368 王宗實 3
369 王峻 11
370 王仲先 4
371 王重榮 6
372 王贊 1
373 王處存 2
374 王鐵槍 1
375 王淸 1
376 王鐸 4
377 王播 1
378 王緘 1
379 王緘 1
380 王行實 1
381 王行瑜 10
382 王弘贄 1
383 王環 4
384 王徽 1
385 4
386 遙輦氏 2
387 姚鳳 3
388 姚崇 1
389 姚洪 1
390 牛僧孺 1
391 鬱于 2
392 袁敬初 1
393 元瓘 1
394 袁象先 4
395 袁紹 1
396 元宰 1
397 袁詮 1
398 元稹 1
399 韋保衡 1
400 韋昭度 5
401 韋澳 2
402 魏王李繼岌 18
403 威王楊偓 8
404 韋皇后 2
405 魏謩 1
406 柔然 1
407 幽王 1
408 尹起莘 1
409 殷紂王 1
410 夷離菫 2
411 任圜 1
412 子路 1
413 張敬達 3
414 張九齡 1
415 張君緖 1
416 張歸霸 1
417 張筠 1
418 張美 5
419 張韶 3
420 張守珪 1
421 張承業 4
422 張氏 2
423 張氏(朱友珪) 1
424 長樂公主 1
425 長樂老 1
426 張彦卿 1
427 張彦澤 2
428 張延朗 1
429 張永德 2
430 張源德 1
431 張全義 6
432 張廷範 2
433 張濬 5
434 張薦明 1
435 張破敗 1
436 張漢傑 5
437 張漢倫 1
438 張漢融 1
439 張漢鼎 6
440 蔣玄暉 2
441 張顥 4
442 張后 1
443 迪輦組里 1
444 翟進宗 1
445 田令孜 21
446 前燕文明帝慕容皝 1
447 前蜀高祖王建 17
448 前蜀後主王衍 2
449 鄭綮 11
450 程福斌 1
451 鄭昭業 1
452 鄭遨 2
453 鄭元規 2
454 程元振 6
455 鄭畋 7
456 鄭注 1
457 鄭衆 2
458 鄭憲 1
459 第五可範 1
460 齊王 1
461 齊王李元吉 2
462 帝乙 1
463 齊主李景達 4
464 趙某 1
465 趙普 3
466 趙鳳 1
467 趙曙 1
468 趙崇 1
469 趙巖 17
470 趙延壽 6
471 阻午可汗 3
472 趙頊 1
473 曹威 2
474 趙隱 1
475 曹日升 2
476 趙在禮 3
477 趙籍 1
478 曹節 1
479 趙禎 1
480 趙恒 1
481 從馬直 1
482 鍾謨 9
483 從榮 1
484 從璨 1
485 周公 2
486 周赧王延 3
487 周德威 2
488 朱玫 7
489 周文王 1
490 朱文進 1
491 朱黼 1
492 朱邪氏 1
493 周成王 1
494 朱叔明 1
495 周承誨 2
496 朱友文 2
497 朱泚 3
498 朱雀門 1
499 周廷構 1
500 周定王 1
501 朱弘昭 3
502 朱熹 1
503 朱希彩 2
504 曾元裕 1
505 地皇后 1
506 陳覺 5
507 陳敬瑄 1
508 晉文公 5
509 陳班 2
510 秦彦 9
511 秦王李從榮 1
512 鎭定驛 1
513 秦宗權 15
514 陳弘志 3
515 蔡叔 1
516 天皇帝 1
517 啜里只 1
518 楚恭孝王馬希萼 3
519 楚武穆王馬殷 12
520 楚文昭王馬希範 5
521 肖阿古只 1
522 楚廢王馬希廣 4
523 楚衡陽王馬希聲 4
524 蜀主 1
525 崔居儉 1
526 崔愼由 1
527 崔遠 1
528 崔胤 19
529 崔協 1
530 忠懿王錢弘淑 1
531 則天武后 3
532 沈斌 1
533 太平公主李氏 1
534 太后 2
535 太后 4
536 吐突承璀 1
537 扁鵲 1
538 馮道 28
539 馮玉 3
540 馮贇 2
541 馮廷諤 4
542 5
543 畢師鐸 13
544 賀德倫 1
545 夏魯奇 1
546 何徽 5
547 韓建 6
548 漢高祖劉邦 1
549 漢昭帝劉弗陵 1
550 韓全誨 11
551 韓悰 1
552 漢獻帝 3
553 韓休 1
554 巷伯 1
555 恒山王李朝 4
556 楷落 2
557 頦領 2
558 向延嗣 6
559 許王李從益 6
560 獻公 3
561 赫連鐸 1
562 荊南武信王高季興 8
563 荊南文獻王高從誨 2
564 荊南貞懿王高保融 1
565 胡氏 1
566 胡寅 9
567 胡進思 1
568 渾瑊 2
569 洪容齋 1
570 皇甫麟 9
571 皇甫暉 6
572 黃巢 51
573 後唐末帝李從珂 41
574 後唐明宗李嗣源 62
575 後唐武皇李克用 78
576 後唐閔帝李從厚 15
577 後唐莊宗李存勖 89
578 侯覽 1
579 後梁末帝朱友貞 30
580 後梁郢王朱友珪 11
581 後梁太祖朱全忠 114
582 後周恭帝柴宗訓 13
583 後周世宗郭榮 107
584 後周太祖郭威 66
585 後晉高祖石敬瑭 66
586 後晉出帝石重貴 26
587 後蜀高祖孟知祥 13
588 後蜀後主孟昶 4
589 後漢高祖劉知遠 46
590 後漢隱帝劉承祐 22
591 侯希逸 1
592 欽德 1

시간정보 정리

통감절요는 편년체 사서로 역사를 시간 흐름의 순서에 따라 기술하였다. 시간은 크게 연, 월, 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대부분 년을 기본 단위로 하여 기술하였으며, 간혹 월일까지 기술하는 경우도 있다.
시간과 관련하여 문제가 되는 것은 통감절요가 자치통감을 극단적으로 축약을 하다보니 여러 날 혹은 여러 달에 걸쳐서 발생한 일도 한줄의 기사로 줄여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엄밀한 고증이 필요한 사서로써의 자격은 그리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通鑑節要』에는 시간과 관련하여 새로운 문제를 안고 있다. 『通鑑節要』는 『資治通鑑』을 축약하면서 서로 다른 날짜의 기사를 하나로 묶어서 여러 날에 거쳐서 일어난 사건이 마치 동일한 시점에 발생한 것으로 혼동할 수 있게 하였다.
예를들어
『通鑑節要』 卷之四十九 五代紀 後梁紀 太祖皇帝 [丁卯]唐天祐四年 기사에
“봄 3월에 唐나라 昭宣帝가 御札을 내려 梁나라에 황제의 지위를 禪讓하자, 梁王이 이름을 晃으로 고치고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梁이라 하고 昭宣帝를 받들어 濟陰王으로 삼았다.”
고 되어 있는데 이 한 줄은 『資治通鑑』에서
唐나라 昭宣帝가 어찰을 내려 後梁에 皇帝의 자리를 禪讓한 것은 907년 1월 27일의 일이고,
朱全忠이 이름을 朱晃으로 고친 것은 907년 4월 16일의 일이다.
황제에 즉위한 것은 907년 4월 18일이며, 국호를 梁이라고 하고 昭宣帝를 濟陰王으로 삼은 것은 907년 4월 22일이다.
그런데 『通鑑節要』에는 907년 봄 3월 기사에 이 4일의 기록을 묶어서 마치 하나의 기사처럼 기술하였다.
禪讓한 것과 濟陰王으로 삼은 내용 사이의 시간은 거의 3개월이나 떨어져 있다. 또 다른 기사로 『通鑑節要』 卷之四十九 五代紀 後唐紀 莊宗 [癸未]의 기사를 살펴보면
“겨울 10월에 唐主가 大軍을 거느리고 黃河를 건너 鄆州에 이르러서 梁나라 군대를 만나 一戰에 패퇴시키고, 추격하여 中都에 이르러서 그 성을 포위하니, 성에 수비가 없었다. 잠시 후에 梁나라 군대가 포위를 뚫고 나오자, 王彦章을 사로잡아 목을 베었다.”
로 되어 있다. 이 내용을 『資治通鑑』을 확인하면
後唐의 李存勖이 黃河를 건넌 것은 923년 10월 2일의 일이며,
鄆州에 도착한 것은 10월 3일의 일이다.
梁나라의 군대를 一戰에 패퇴시키고 王彦章을 사로잡은 것은 10월 4일의 일이며,
王彦章의 목을 벤 것은 10월 5일의 일이다. 4일 간의 사건이 하나의 문장으로 요약된 것이다.

동사의 어깨번호 확인

본 논문의 특징 중의 하나가 개체와 개체의 관계를 프로퍼티가 아닌 인스턴스로 표현하였다는 점이다. 여기서 관계는 대부분 행위나 상태를 의미한다. 즉 서술어에 의해서 표현하는 관계이다. 탄핵하다, 미워하다, 공격하다 등의 행위와 아름답다 등의 상태를 의미한다. 결국 이러한 서술어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은 문장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원과 자원의 관계를 인스턴스로 표현한다는 것은 관계의 설정이 프로퍼티에 비해서 훨씬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CIDOC-CRM 같은 표준에서 문화재를 기술하기 위해서 엔티티와 관계 프로퍼티를 미리 지정해 놓은 표준이 존재한다. 이 표준에 따라 문화재와 관련된 사항을 정리한다. 그런데 만약 표준에 정의되지 않은 새로운 관계가 발견될 수 있다. 이럴 경우에 프로퍼티를 새로 추가해야 한다. 실제로 CIDOC-CRM에서 표준이 변경될 때마다 새로운 관계가 추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관계를 인스턴스로 표현한다면 새로운 관계가 발견되더라고 기존의 클래스를 변경하거나 추가하지 않고도 클래스의 인스턴스값을 추가함으로써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즉 설계의 변경없이도 새로운 관계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관계를 인스턴스로 표현한다는 것은 동사와 형용사를 인스턴스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말 동사와 형용사는 동형이의어가 존재한다. 즉 형태는 같으나 그 의미가 다른 어휘가 많다는 의미이다. 이를 구분해 주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의 어깨번호를 적용한다. 아래 문장에서 이르다는

ㄱ. 項王이 스스로 탈출할 수 없음을 헤아리고는 그 기병들에게 이르기를 --이르다02
ㄴ. 吳起가 이르자 그에게 정사를 맡겨 정승으로 삼았다 --이르다01

ㄱ.은 말하다는 의미이고 ㄴ.은 도착하다는 의미이다. 같은 형태이면서 의미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구분해 주어야 한다.

의미역 부착의 예시

역사서의 본문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본문 중 출현하는 서술어와 나머지 개체의 관계를 의미역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RDF 트리플로 만들기 위해서는 복잡하지만 데이터 내에 직접 태깅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아래 데이터를 보면 내용 중에 event라는 엘리먼트가 있으며 이 엘리먼트 내에는 VV, EF, PA, TE 등의 속성이 있다. 이 속성은 행위나 상태를 나타내는 서술어와의 관계를 표현하는 것으로 온톨로지에서 eventRole라는 오브젝트 프로퍼티로 변환이 된다. 이 방법은 관계의 검증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만약 관계를 표현하는데 데이터를 보면서 엑셀에서 정리한다면 한번 추출된 데이터는 원 데이터와 격리된 별개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 자료를 활용하여 무엇인가를 할 수가 없다. 또한 검증하는 것도 쉽지 않다. 원래 위치를 찾는 것 자체가 난해한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하면 데이터 내에 모든 정보가 다 들어 있기 때문에 검증이 쉬우며, 누구든지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가져다가 새롭게 수정하거나 활용할 수 있다.


<place id="" name="浙東">浙東</place> 지방이 <event VV="소란하다" EF="浙東">소란하였는데</event> <position id=" 安南都護">安南都護</position> <person type="" name="王式" S="王式" P="position" O="安南都護">王式</person>이 <event VV="토벌하다" AG="王式" PA="裘甫">토벌하여</event> <event VV="평정하다" AG="王式" TE=" 浙東 ">평정하였다</event>

XML_데이터

  • 연구논문 다운로드(HWP) : [1]


이벤트의 검증

XML 문서 내에 여러가지 속성으로 이벤트를 표현했는데 이러한 복잡한 구조로 태그가 제대로 부착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쉽게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논 연구에서는 XSL을 적용하여 관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XML 문서 내에 있는 태그 요소를 색상과 부호를 이용하여 가독성이 있게 구분해 주고, event는 관계를 표현하여 구체적인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이 방법으로 전체 데이터의 관계와 이벤트를 확인하였다.

LOD 발행

팀 버너즈 리의 LOD 발행 원칙

1. URI를 이용하여 자원을 식별하라.
2. HTTP(프로토콜)를 이용하라.
3. RDF 또는 SPARQL 등의 표준화
3. 다른 자원으로의 연결(link)한다.

LOD 발행

LOD 발행 절차
Model 단계
Generate 단계
URI 부여
Store 단계
Publish 단계

활용 방안

[테스트]

  • 데이터셋 통계 :
제목 내용
Last Update 2017-05-26
Number of Statements 1,312,187
이벤트 1866

지식 관계망 구축

  • 데이터셋 다운로드
제목 내용
OWL 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통감절요 RDF 마크업 데이터 다운로드


통감절요의 시각화

일반적인 자료를 RDF 트리플로 만들 경우에 RDF 트리플은 자원과 자원의 주어-술어-목적어의 단순한 구조로 표현했기 때문에 시각적 표현도 어렵지 않게 가능하다. 그러나 역사자료의 경우 시간이라는 요소 때문에 여러가지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제한이 될 수 밖에 없다. 그 이유는 역사 자료의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계가 변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한꺼번에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역사 자료에서도 정적인 관계와 일부 동적인 관계의 표현을 시도해 보았다.

역사적 배경 황소의 난이 발생하면서 세력이 대단했었는데 황소의 부장 중에 주온이라는 사람이 당나라에 항복하면서 황소의 난은 진압이 되게 된다. 당나라 소종 때 주온에게 전충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는데 이 주전충이 소종을 죽이고 당 애제를 세운다. 애제는 결국 주전충에게 선양을 하게 되고 주전충은 後梁을 건국한다. 주전충을 얼마 안있어 애제를 독살한다. 주전충의 양자가 주우문이 있었는데 주전충이 이 양자를 좋아하여 제위를 주우문에게 물려주려고 하였으나 서자인 朱友珪가 馮廷諤을 시켜 주전충을 시해하고 황제에 오른다. 이것을 본 3남 朱友貞이 위박군을 포섭하여 결국 朱友珪를 죽이고 대신 황제에 오른다. 그러나 朱友貞더 얼마 안 있다가 後唐 莊宗 李存勖의 침입으로 결국 자살하면서 後梁은 끝이 난다. 李存勖의 아버지는 李克用인데 李克用은 새로운 나라를 세우지 않았으나 결국 李存勖은 後唐을 건국한다. 李克用에게는 양자인 李嗣源이 있었는데 뒤에 李嗣源이 반란을 일이키면서 쫒기던 李存勖은 유시에 맞아 죽는다. 그래서 李嗣源이 황제에 오른다. 李嗣源이 죽자 3男인 李從厚가 황제가 되었는데 얼마 후 양자인 李從珂가 반란을 일으켜 황제가 된다. 李從珂는 李從厚를 살해한다. 李從珂는 원래 石敬瑭하고 경쟁하는 관계였는데 李從珂는 石敬瑭이 두려워 권력을 뺏으려고 했다. 石敬瑭은 부장인 劉知遠이 반역을 권하자 결국 石敬瑭은 거란의 도움을 받아 군사를 일이킨다. 石敬瑭에게 패한 李從珂는 불 속에 뛰어 들어 자살하고 만다. 이렇게 하여 後唐이 멸망하고 後晉이 건국된다. 石敬瑭이 죽자 조카인 石重貴이 황제가 되었는데 어린 石重貴은 劉知遠을 의심한다. 劉知遠이 걱정하자 부장인 郭威가 자립을 권하자 결국 劉知遠는 자립하여 後漢을 건국하다. 石重貴는 거란을 잘 섬기지 못하여 결국 거란의 침입으로 황제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된다. 劉知遠이 죽자 아들인 劉承祐가 황제가 되었는데 황제에 오르자 고명대신을 죽이게 된다. 이에 외방에 있던 郭威는 반란을 일으켜서 劉承祐은 전쟁 도중에 난군에 시해당한다. 郭威는 조카인 劉贇을 황제로 세웠으나 얼마 안있어 郭威은 劉贇을 폐하고 後周를 세운다.



Neo4j01.jpg


SPARQL

Linked Data를 외부로 공개하고 HTTP를 통해 유통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응용 서비스나 데이터와의 접점 제공을 위한 SPARQL Endpoint가 필요하다.

본 데이터는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CC BY-SA 4.0)의 조건을 따르고 있다.


데이터 모델의 상세 스펙은 OWL DOC, 모델 시각화는 VOWL, 연구논문은 Google Docs 등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SPARQL

역사 자료 텍스트의 전자적 기술에 의한 지식 관계망 구현 연구 SPARQL Endpoint: 바로가기

LOD는 데이터를 각각 연계하고(Linked Data), 이를 오픈된 RDF 형식으로 웹상에 개방 및 연계해서(Outlink) 상호 공유함으로써(Linked Open Data) 새로운 가치를 창출

역사와 관련된 정보를 LOD로 발행함으로써 자료간 연계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다. 기존에 정형황된 데이터나 메타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LOD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역사적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행위와 상태를 중심으로한 LOD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국어 문법에서 사용하는 의미역 개념을 RDF 트리플 구축에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LOD를 통해 관련된 정보에 접근할 수는 있으나 그 정보에 대한 의미와 깊이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제된 지식의 보고인 사전 등에서 수집한 어휘 간의 관계 즉 同義語, 反意語 등의 의미론적 연관 관계와 역사의 주체인 인물 간의 관계, 인물과 사건 등을 정밀하게 정제하여 RDF로 구축하는 것이다. 관련된 정보의 연결은 가능하나 하나의 지식으로써 연계는 요원함


SPARQL 활용 예시


// 五代十國 시대에 황제를 시해한 사람은?

PREFIX kno: <http://dh.aks.ac.kr/ontologies/historicevent/kno#>
PREFIX owl: <http://www.w3.org/2002/07/owl#>
PREFIX rdf: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PREFIX xsd: <http://www.w3.org/2001/XMLSchema#>
PREFIX xml: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PREFIX rdfs: <http://www.w3.org/2000/01/rdf-schema#>

select distinct ?dynasty ?agent ?personStatus  ?person ?action ?patient ?event2
where {
?period rdf:type kno:Period .
?period kno:hasComponent ?dynasty .
FILTER regex( str(?period),"五代十國")
?person kno:nationality ?dynasty .
?event2 kno:agent ?person .
?person  kno:hasStatus ?personStatus .
?event2 kno:action ?action .
?event2 kno:patient ?patient .
?event1 kno:theme ?event2 .
?event1 kno:agent ?agent
}

결과보기



// 馮廷諤이 어떤 行爲를 했는지 찾는 쿼리?

PREFIX kno: <http://dh.aks.ac.kr/ontologies/historicevent/kno#>
PREFIX owl: <http://www.w3.org/2002/07/owl#>
PREFIX rdf: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PREFIX xsd: <http://www.w3.org/2001/XMLSchema#>
PREFIX xml: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PREFIX rdfs: <http://www.w3.org/2000/01/rdf-schema#>

select * 
where {
?event kno:agent ?agent .
?event kno:action ?action .
?event kno:patient ?patient .
FILTER regex( str(?agent ),'馮廷諤' )
}

결과보기


// 朱全忠이 蔣玄暉를 시켜 唐昭宗을 시해했음을 조회하는 쿼리

PREFIX kno: <http://dh.aks.ac.kr/ontologies/historicevent/kno#>
PREFIX owl: <http://www.w3.org/2002/07/owl#>
PREFIX rdf: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PREFIX xsd: <http://www.w3.org/2001/XMLSchema#>
PREFIX xml: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PREFIX rdfs: <http://www.w3.org/2000/01/rdf-schema#>

select distinct ?agent ?action1 ?agent2 ?action2 ?patient 
where {
?event1 kno:agent ?agent .
?event1 kno:action ?action1 .
?event1 kno:theme ?event2 .
?event2 kno:agent ?agent2.
?event2 kno:action ?action2 .
?event2 kno:patient ?patient .
FILTER regex( str(?action2),"시해하다" ).
FILTER regex( str(?patient),"昭宗" )
}

결과보기


// 912년에 발생한 사건을 조회하는 쿼리

PREFIX kno: <http://dh.aks.ac.kr/ontologies/historicevent/kno#>
PREFIX owl: <http://www.w3.org/2002/07/owl#>
PREFIX rdf: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PREFIX xsd: <http://www.w3.org/2001/XMLSchema#>
PREFIX xml: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PREFIX rdfs: <http://www.w3.org/2000/01/rdf-schema#>

select ?agent ?action ?patient
where {
?event kno:agent ?agent.
?event kno:time kno:912.
?event kno:action ?action.
?event kno:patient ?patient
}

결과보기



// 朱友貞과 朱友珪의 관계를 조회하는 쿼리

PREFIX kno: <http://dh.aks.ac.kr/ontologies/historicevent/kno#>
PREFIX owl: <http://www.w3.org/2002/07/owl#>
PREFIX rdf: <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PREFIX xsd: <http://www.w3.org/2001/XMLSchema#>
PREFIX xml: <http://www.w3.org/XML/1998/namespace>
PREFIX rdfs: <http://www.w3.org/2000/01/rdf-schema#>

select *
where {
{kno:後梁郢王朱友珪 ?x kno:後梁末帝朱友貞.}
}

결과보기



지식의 활용

결론

본 연구는 여러 기관에 분산되어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역사 자료를 연계 및 통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역사 자료를 연계 및 통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行爲와 狀態를 중심으로 LOD로 발행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그에 필요한 구체적인 온톨로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譯註 通鑑節要󰡕의 본문 내용을 意味役을 적용하여 직접 LOD로 발행함으로써 역사적 지식을 표현하는 데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LOD 서비스를 메타데이터를 중심으로 LOD로 변환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역사적 지식 자체를 RDF 트리플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둘째, 역사적 지식을 LOD로 발행하는 구체적인 방법론과 절차를 세부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실제로 데이터를 어떻게 가공하고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정밀하게 검토하고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역사서에서 사용되는 개체명을 파악하기 위해 󰡔譯註 通鑑節要󰡕를 대상으로 본문에 개체명을 마크업하였으며, 역사서에 사용된 개체명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클래스 설계에 반영하였다. 정확한 온톨로지 설계를 위해 설계와 적용, 보완 등의 순환 반복 과정을 걸쳐서 온톨로지 모델을 정교하게 가다듬었다. 셋째, LOD 발행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지능화된 연계를 위해서 지식 관계망(Knowledge Network)을 제안하고 그 온톨로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히 二項 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어떤 특정한 영역이나 내용에 대해서만 온톨로지로 표현할 수밖에 없었던 한계를 벗어나, 형식과 내용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문장을 RDF 트리플로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지식 관계망 모델을 통해서 지식을 확대 재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예를들어 󰡔漢韓大辭典󰡕과 󰡔漢語大詞典󰡕을 정교하게 가공한다고 해서 이들 자료 간의 통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는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공하는 온톨로지 통합 모델을 적용할 경우 지식의 확장은 크게 증가할 것이다.

참고자료

通鑑節要 데이터를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通鑑節要

資治通鑑

통감절요 출현 인물

중국왕조 정리

중국 역대 왕조

중국 역사 참고 자료

中国君主列表

中國君王諸子女列表

中國皇后及妃嬪列表

중국 왕조 연표

중국 왕조 연표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