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晉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yjw2999
이동: 둘러보기, 검색
(28)
 
1번째 줄: 1번째 줄:
 
<div class="clsB">
 
<div class="clsB">
==通鑑節要 卷之二十九==
+
==通鑑節要 卷之二十八==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晉紀===
 
===晉紀===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烈宗孝武皇帝====
+
====康皇帝====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烈宗孝武皇帝 名曜요 字昌明이니 簡文帝第三子라 在位二十四年이요 壽三十五라=====
+
=====康皇帝 名岳이요 字世同이니 成帝母弟也라=====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13번째 줄: 1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烈宗孝武皇帝]] 名[[]]字[[昌明]]이니 簡文帝第三子라 在位二十四年이요 壽三十五라
+
[[康皇帝]]<font color="#0054FF" size="2">【溫柔好樂曰康】</font> 名[[]]이요 字[[世同]]이니 [[成帝]]母弟也라 在位二年이요 壽二十二라
 
</div>
 
</div>
 
</div>
 
</div>
21번째 줄: 21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烈宗]][[孝武皇帝]]는 이름이 [[司馬曜]]이고 자가 [[昌明]]이니, [[簡文帝]]의 셋째 아들이다. 재위가 24년이요, 壽가 35세이다.
+
康皇帝<font color="#0054FF" size="2">【온화하고 유순하여 좋아하고 즐거워할 만한 것을 康이라 한다.】</font>는 이름이 [[]]이요 字가 [[世同]]이니, [[成帝]]의 同母弟이다. 재위가 2년이고 壽가 22세이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癸酉]寧康元年=====
+
=====[癸卯]建元元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32번째 줄: 32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癸酉]寧康元年이라 〈秦建元九年이라〉
+
[癸卯]建元元年이라 〈趙建武九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二月에 大司馬大司馬[[]]이 來朝어늘 詔吏部尙書謝安과 侍中王坦之하야 迎于新亭하다 是時에 都下人情이 恟恟<font color="#0054FF" size="2">【恟은 音胸이니 懼也라】</font>하야 或云欲誅王, 謝하고 因移晉室이라하니 坦之는 甚懼호되 安은 神色不變하고 晉祚存亡이 決於此行이라하니라 [[]]이 旣至에 百官이 拜於道側이어늘 [[]]이 大陳兵衛하고 延見朝士하니 有位望者 皆戰慴<font color="#0054FF" size="2">【慴은 與懾同하니 懼也라】</font>失色이라 坦之는 流汗沾衣하고 倒執手版<font color="#0054FF" size="2">【手版은 笏也라】</font>호되 安은 從容就席하야 笑語移日이러라 郗超常爲溫謀主라 安이 與坦之見溫할새 [[]]이 使超臥帳中<font color="#0054FF" size="2">【安謂溫曰 安聞諸侯有道면 守在四隣이라하니 明公은 何須壁後置人耶아하니 溫笑曰 不能不爾라하고 命撤之하니라】</font>하야 聽其言이러니 風動帳開어늘 安笑曰 [[郗生]]은 可謂入幕之賓矣로다 時에 天子幼弱하고 外有彊臣호되 安與坦之 盡忠輔衛하야 卒安晉室하니라
+
[[庾翼]]<font color="#0054FF" size="2">【亮之弟니 亮卒에 翼代之라】</font>이 薦[[桓溫]]於[[成帝]]曰 [[桓溫]]이 有英雄之才하니 願陛下勿以常人遇之, 常壻畜之<font color="#0054FF" size="2">【桓彛之子也니 尙明帝女南康公主하니라】</font>하시고 宜委以方面<font color="#0054FF" size="2">【本文則方邵(召)하니 方叔, 召虎라 [[周宣王]]이 用之하야 以中興也라】</font>之任이면 必有弘濟艱難之勳하리이다 時에 [[杜乂]], [[殷浩]] 才名冠世호되 翼獨弗之重也하고 此輩는 宜束之高閣하야 俟天下太平然後에 徐議其任耳라하니라 浩累辭徵辟하고 屛居墓所하야 幾將十年하니 時人이 擬之管, 葛<font color="#0054FF" size="2">【管은 謂夷吾요 葛은 謂孔明이라】</font>이라 江夏相謝尙<font color="#0054FF" size="2">【相은 漢志에 每國置相一人하니 主治民하야 如令, 長하고 不臣也라하니라 謝尙은 鯤之子라】</font>과 [[長山令]][[王濛]]이 常伺其出處하야 以卜江左興亡하고 常(嘗)相與省之러니 知浩有確然<font color="#0054FF" size="2">【守志堅固하야 不移也라】</font>之志하고 旣返에 相謂曰 深源<font color="#0054FF" size="2">【殷浩字也라】</font>不起하니 當如蒼生何오 [[翼]]이 請[[浩]]爲司馬司馬<font color="#0054FF" size="2">【請於國하니 詔除爲侍中, 安平軍司馬也라】</font>한대 [[浩]]不應이어늘 [[]]이 遺浩書曰 [[王夷甫]]立名非眞<font color="#0054FF" size="2">【非眞은 不實也니 翼意言浩不可如王衍이라 夷甫는 衍字라】</font>하니 雖云談道나 實長華競이라 明德君子 遇會處際<font color="#0054FF" size="2">【遇風雲之會하고 處功名之際라】</font>에 寧可然乎아호되 [[]]猶不起러라
 
</div>
 
</div>
 
</div>
 
</div>
43번째 줄: 4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寧康 元年(계유 373) - 秦나라 建元 9년이다. -
+
建元 元年(계묘 343) - 趙나라(後趙) 建武 9년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2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이 조회 오자, 황제가 吏部尙書吏部尙書[[謝安]]과 侍中侍中[[王坦之]]에게 명하여 新亭에서 맞이하게 하였다. 이때 都城의 민심이 흉흉<font color="#0054FF" size="2">【恟은 音이 흉이니, 두려워하는 것이다.】</font>해서 혹자가 말하기를 “[[桓溫]]이 [[王坦之]][[謝安]]을 죽이고 인하여 晉나라 황실을 차지하고자 한다.”고 하니, [[王坦之]]는 매우 두려워하였으나 [[謝安]]은 안색을 바꾸지 않고 말하기를 “晉나라 운명의 존망이 이번 걸음에 달려 있다.” 하였다.
+
[[庾翼]]<font color="#0054FF" size="2">【[[庾翼]]은 [[庾亮]]의 아우이니, [[庾亮]]이 죽자 [[庾翼]]이 대신하였다.】</font>이 [[桓溫]]을 [[成帝]]에게 천거하기를 “[[桓溫]]은 영웅의 재주가 있으니,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그를 보통 사람으로 대우하시거나 보통의 사위로 기르지 마시고<font color="#0054FF" size="2">【桓溫은 桓彛의 아들이니, 明帝의 딸인 南康公主에게 장가들었다.】</font> 方面<font color="#0054FF" size="2">【≪資治通鑑≫ 本文에는 ‘方面’이 ‘方邵’로 되어 있으니, 方邵는 方叔과 召虎이다. 周나라 宣王이 이들을 등용하여 中興하였다.】</font>의 임무를 맡긴다면 반드시 어려움을 크게 구제하는 功이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이때 [[杜乂]]와 [[殷浩]]가 재주 있다는 명성이 세상에 으뜸이었으나 [[庾翼]]만은 홀로 이들을 중시하지 않고 말하기를 “이런 무리들은 〈亂世에는 쓸데가 없으니〉 높은 다락에 묶어 두었다가 천하가 태평해지기를 기다린 뒤에 천천히 그 임무를 의논해야 한다.” 하였다. [[殷浩]]가 여러 번 나라의 부름을 사양하고 물러나 묘소에 은거하여 거의 10년에 이르니, 당시 사람들이 [[管仲]]과 [[諸葛孔明]]<font color="#0054FF" size="2">【管은 管夷吾(管仲)를 이르고, 葛은 諸葛孔明을 이른다.】</font>에게 견주었다. 江夏相江夏相[[謝尙]]<font color="#0054FF" size="2">【相은 ≪後漢書≫ 〈百官志〉에 “각 諸侯國마다 相 한 명을 두니, 백성들을 다스리는 것을 주관하여 縣令이나 縣長과 같고, 제후왕에게 신하 노릇 하지 않는다.” 하였다. 謝尙은 謝鯤의 아들이다.】</font>과 長山令長山令[[王濛]]은 항상 그의 出處를 살펴 江左(江東)의 흥망을 점쳤다. 한번은 함께 [[殷浩]]를 문안하였는데, [[殷浩]]에게 확고한<font color="#0054FF" size="2">【確然은 뜻을 지킴이 견고하여 변치 않는 것이다.】</font> 뜻이 있음을 알고서 돌아온 뒤에 서로 말하기를 “[[深源]]<font color="#0054FF" size="2">【深源은 殷浩의 字이다.】</font>이 나오지 않으니, 이 蒼生들을 어찌한단 말인가?” 하였다. [[庾翼]]이 [[殷浩]][[司馬]]로 삼을 것을 청하자,<font color="#0054FF" size="2">【庾翼이 殷浩를 司馬로 삼을 것을 국가에 청하자, 황제가 명하여 殷浩에게 侍中‧安平軍司馬를 제수한 것이다.】</font> 〈황제가 명하여 [[司馬]]로 삼았는데〉 [[殷浩]]가 응하지 않으니, [[庾翼]]이 [[殷浩]]에게 편지를 보내기를 “[[王夷甫(王衍)]]가 명성을 세운 것은 진짜가 아니니,<font color="#0054FF" size="2">【진짜가 아니라는 것은 진실하지 못한 것이니, 庾翼의 뜻은 殷浩가 王衍과 같아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 夷甫는 王衍의 字이다.】</font> 비록 道를 말했다고 하나 실로 浮華함을 다투는 氣風을 助長하였다. 재주와 德을 겸비한 君子가 좋은 때를 당하여 만남<font color="#0054FF" size="2">【風雲의 기회를 만나고, 功名의 즈음에 처한 것이다.】</font>에 어찌 그렇게 할 수 있겠는가?하였으나 [[殷浩]]는 여전히 나오지 않았다.
 
</div>
 
</div>
 +
</div>
 +
|}</div><div class="clsB">
 +
=====[甲辰]二年=====
 +
</div><div class="contData">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桓溫]]이 이르자 백관들이 길가에서 절하였는데, [[桓溫]]이 호위하는 병사들을 대단히 많이 진열하고 조정의 관원들을 만나니, 지위와 명망 있는 자들이 모두들 두려워 벌벌 떨며<font color="#0054FF" size="2">【慴은 懾과 같으니, 두려워하는 것이다.】</font> 사색이 되었다. 이에 [[王坦之]]는 땀이 흘러 옷을 적셨으며 手版(笏)을 거꾸로 쥐었는데,<font color="#0054FF" size="2">【手版은 笏이다.】</font>[[謝安]]은 조용히 자리에 나아가서 [[桓溫]]과 한참 동안 웃으며 말하였다.
+
[甲辰]二年이라 〈趙建武十年이요 [[漢主]][[李勢]]太和元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郗超]]가 항상 [[桓溫]]의 主要 參謀 노릇을 하였다. [[謝安]]이 [[王坦之]]와 함께 [[桓溫]]을 만날 때에 [[桓溫]]이 [[郗超]]를 시켜 장막 안에 누워서<font color="#0054FF" size="2">【謝安이 桓溫에게 이르기를 “제가 들으니 ‘諸侯에게 道가 있으면 지키는 것이 사방의 이웃 나라에 있다.’고 하였는데, 明公은 어찌 굳이 벽 뒤에 사람을 두어 지키게 한단 말입니까?” 하니, 桓溫이 웃으며 말하기를 “이렇게 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고, 벽 뒤의 郗超를 물러가도록 명하였다.】</font> 그의 말을 엿듣게 하였는데, 바람에 날려 장막이 걷히는 바람에 탄로가 나자 [[謝安]]이 웃으며 말하기를 “[[郗生]]이야말로 入幕賓이라고 이를 만하다.” 하였다. 이때 天子는 幼弱하고 밖에는 강대한 신하가 있었으나 [[謝安]]이 [[王坦之]]와 함께 충성을 다해 보필하고 호위해서 끝내 晉나라 황실을 편안하게 하였다.
+
九月에 帝崩하고 太子卽位하니 時方二歲라 太后太后[[褚氏]]<font color="#0054FF" size="2">【裒女라】</font>臨朝稱制하고 [[何充]]을 加侍中侍中, 錄尙書事錄尙書事하다
 
</div>
 
</div>
 
</div>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建元 2년(갑진 344) - 趙나라 建武 10년이고, [[漢主]][[李勢]]의 太和 元年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9월에 황제가 崩하고태자가 즉위하니, 이때 막 2세였다. [[太后]] 褚氏<font color="#0054FF" size="2">【褚氏는 褚裒의 딸이다.】</font>가 조정에 臨御하여 制를 칭하고 [[何充]]에게 侍中侍中‧錄尙書事錄尙書事를 가하였다.
 +
</div>
 +
</div>
 +
|}</div><div class="clsB">
 +
====孝宗穆皇帝====
 +
</div><div class="clsB">
 +
=====孝宗穆皇帝 名聃이 字彭祖니 康帝太子也라 在位十七年이요 壽十九라=====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61번째 줄: 84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三月에 [[]]이 有疾하야 還姑孰하다 [[]]이 以世子熙才弱이라하야 使弟沖으로 領其衆하고 俄頃에 薨하다 沖이 稱溫遺命하고 以少子玄爲嗣하니 時에 方五歲라 襲封南郡公하다 [[]]이 旣代溫居任하야 盡忠王室이라 或이 勸沖誅除時望하고 專執時權이로되 [[]]이 不從하다
+
[[孝宗穆皇帝]]<font color="#0054FF" size="2">【布德執義曰穆이라】</font> 名[[]]이요 字[[彭祖]][[康帝太子]]也라 在位十七年이요 壽十九라
 
</div>
 
</div>
 
</div>
 
</div>
69번째 줄: 92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3월에 [[桓溫]]이 병이 나서姑孰으로 돌아갔다. [[桓溫]]이 세자세자[[桓熙]]가 재주가 부족하다 해서 자신의 아우인 [[桓沖]]으로 하여금 자신의 무리를 거느리게 하고 얼마 후에 [[桓溫]]이 죽었다. [[桓沖]]이 [[桓溫]]의 遺命이라 칭하고 [[桓溫]]의 어린 아들인 [[桓玄]]을 후계자로 삼으니, 이때 [[桓玄]]의 나이가 5세였는데 [[南郡公]]의 봉작을 계승하였다. [[桓沖]]이 이미 [[桓溫]]을 대신하여 임무를 맡게 되자, 왕실에 충성을 다하였다. 혹자가 [[桓沖]]에게 당시의 명망 있는 사람들을 제거하고 혼자서 당시의 大權을 장악하라고 권하였으나 [[桓沖]]이 따르지 않았다.
+
[[孝宗]] 穆皇帝<font color="#0054FF" size="2">【德을 베풀고 義를 지키는 것을 穆이라 한다.】</font>는 이름이 [[]]이고 字가 [[彭祖]]이니, 康帝康帝의 太子太子이다. 재위가 17년이고 壽가 19세이다.
 +
</div>
 +
</div>
 +
|}</div><div class="clsB">
 +
=====[乙巳]永和元年=====
 +
</div><div class="contData">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乙巳]永和元年이라 〈趙建武十一年이라 ○ [[燕王]][[慕容皝]]十二年이라 ○ 舊大國一이요 漢, 涼, 代小國三이요 新小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
</div>
 +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永和 元年(을사 345) - 趙나라 建武 11년이다. ○ [[燕王]][[慕容皝]] 12년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漢‧涼‧代 등 小國이 셋이며 새로운 小國이 하나이니, 모두 僭國이 다섯이다.-
 
</div>
 
</div>
 
</div>
 
</div>
78번째 줄: 120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秦兵이 入寇梁, 益하고 遂取成都하다
+
以[[會稽王]][[昱]]<font color="#0054FF" size="2">【昱은 音育이라 [[晉元帝]]少子니 是爲[[簡文帝]]라】</font>으로 爲撫軍大將軍撫軍大將軍, 錄尙書事錄尙書事하고 以徐州刺史徐州刺史[[桓溫]]으로 爲安西將軍安西將軍, 荊州刺史荊州刺史하다
 
</div>
 
</div>
 
</div>
 
</div>
86번째 줄: 128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秦나라 군대가 梁州와 益州로 쳐들어와 침략하고 마침내 成都를 점령하였다.
+
[[會稽王]] 司馬昱<font color="#0054FF" size="2">【昱은 音이 육(욱)이다. 司馬昱은 晉 元帝의 少子이니, 이가 바로 簡文帝이다.】</font>을 撫軍大將軍‧錄尙書事撫軍大將軍‧錄尙書事로 삼고, 徐州刺史徐州刺史[[桓溫]]을 安西將軍‧荊州刺史安西將軍‧荊州刺史로 삼았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甲戌]二年=====
+
=====[丙午]二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97번째 줄: 13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甲戌]二年이라 〈秦建元十年이라〉
+
[丙午]二年이라 〈趙建武十二年이요 漢嘉寧元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二月에 詔[[謝安]]하야 摠中書하다 安이 好聲律하야 朞功之慘<font color="#0054FF" size="2">【謂有周朞, 大功, 小功之服이라】</font>에 不廢絲竹하니 士大夫效之하야 遂以成俗이라 王坦之 屢以書苦諫之曰 天下之寶<font color="#0054FF" size="2">【禮法爲天下之寶라】</font>를 當爲天下惜之라호되 安이 不能從이러라
+
[[殷浩]]로 爲揚州刺史揚州刺史하니 [[浩]]固辭어늘 [[會稽王]][[昱]]이 遺[[浩]]書曰 足下去就 卽時之廢興이니 若深存挹退하야 苟遂本懷면 吾恐天下之事去矣라한대 [[浩]]乃就職하다
 
</div>
 
</div>
 
</div>
 
</div>
108번째 줄: 150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寧康 2년(갑술 374) - 秦나라 建元 10년이다 -
+
永和 2년(병오 346) - 趙나라 建武12년이고, 漢나라 嘉寧 元年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2월에 [[謝安]]에게 명하여 中書省中書省의 일을 총괄하게 하였다. [[謝安]]이 聲律를 좋아하여 朞年服과 大功‧小功의 喪<font color="#0054FF" size="2">【朞功之慘은 朞年과 大功 9월, 小功 5월의 服이 있음을 이른다.】</font>에도 관현악을 폐하지 않으니, 士大夫들이 이것을 본받아서 마침내 풍속을 이루었다. [[王坦之]]가 자주 편지로 간절히 간하기를 “〈禮法은 천하의 보물이니〉 천하의 보물<font color="#0054FF" size="2">【禮法이 천하의 보물이다.】</font>을 마땅히 천하를 위해 아껴야 한다.” 하였으나 [[謝安]]이 따르지 못하였다.
+
[[殷浩]]를 揚州刺史揚州刺史로 삼으니, [[殷浩]]가 한사코 사양하였는데, [[會稽王]][[司馬昱]]이 [[殷浩]]에게 편지를 보내어 이르기를 “足下의 거취에 바로 時運이 폐하느냐 흥하느냐가 달려 있으니, 만약 겸양하는 마음을 깊이 보존하여 〈세속의 일을 돌아보지 않고〉 다만 본래의 마음을 이루려 한다면 나는 천하의 일이 글러 버릴까 두렵다.” 하자, [[殷浩]]가 마침내 부임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
|}
=====[乙亥]三年=====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122번째 줄: 162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乙亥]三年이라 〈秦建元十一年이라〉
+
○ 五月에 [[西平公]][[張駿]]<font color="#0054FF" size="2">【[[張軌]]及二子[[寔]], [[茂]] 保據河右러니 及[[駿]]勤修庶政하야 民富兵强하니 遠近稱爲賢君이라하다】</font>이 薨커늘 世子[[重華]] 自稱涼州牧涼州牧, 西平公西平公, 假涼王假涼王이라하다
 +
</div>
 +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 5월에 前涼의 [[西平公]][[張駿]]<font color="#0054FF" size="2">【張軌와 두 아들인 張寔‧張茂가 河右(河西)를 점거하였는데, 張駿이 庶政을 부지런히 닦아서 백성들이 풍족하고 군대가 강해지자, 遠近에서 칭송하여 賢君이라 하였다.】</font>이 薨하자, 世子世子[[張重華]]가 [[涼州牧]]‧[[西平公]]‧[[假涼王]]이라 자칭하였다.
 +
</div>
 
</div>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六月에 秦淸河武侯[[王猛]]이 寢疾<font color="#0054FF" size="2">【寢은 浸也, 臥也라】</font>하야 上疏曰 伏惟陛下는 威烈震乎八荒하고 聲敎<font color="#0054FF" size="2">【風聲敎化也니 振聲於此而遠者聞焉故로 謂之聲이요 軌範于此而遠者效焉故로 謂之敎라】</font>光乎六合하야 九州百郡에 十居其七이라 平燕定蜀<font color="#0054FF" size="2">【平燕은 在庚午年이요 定蜀은 在癸酉年이라】</font>을 有如拾芥<font color="#0054FF" size="2">【草芥之橫在地上者를 俯而拾之니 言易而必得也라】</font>하니이다 夫善作者 不必善成하고 善始者 不必善終이라 是以로 古先哲王이 知功業之不易하고 戰戰兢兢<font color="#0054FF" size="2">【戰戰은 恐懼貌요 兢兢은 音京이니 戒愼貌라】</font>하야 如臨深谷하니 伏惟陛下 追蹤前聖하시면 天下幸甚이리이다 [[堅]]이 覽之悲慟이러라
+
○ 安西將軍安西將軍[[桓溫]]이 伐漢<font color="#0054FF" size="2">【李氏據蜀稱漢하니라[頭註]戊戌年에 成[[李壽]]弑其君[[期]]하고 自立하야 改國號漢이라하다 [[李壽]]는 [[特]]弟[[驤]]之子也라】</font>할새 拜表卽行<font color="#0054FF" size="2">【謂拜上表하고 而不及聞詔命而輒行也라】</font>하다
 
</div>
 
</div>
 
</div>
 
</div>
133번째 줄: 18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寧康 3년(을해 375) - 秦나라 建元 11년이다 -
+
○ 安西將軍安西將軍[[桓溫]]이 漢나라를 정벌<font color="#0054FF" size="2">【[原註]李氏가 蜀을 점거하고 漢이라고 칭하였다.[頭註]무술년(338)에 成나라 李壽가 그 군주 李期를 죽이고 자신이 왕위에 서서 國號를 成에서 漢으로 고쳤다. 李壽는 李特의 아우인 李驤의 아들이다.】</font>할 때에 表文을 올리고는 즉시 출발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表文을 올리고는 미처 詔命을 듣기도 전에 곧바로 길을 떠남을 이른다.】</font>
 +
</div>
 
</div>
 
</div>
 +
|}</div><div class="clsB">
 +
=====[丁未]三年=====
 +
</div><div class="contData">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6월에 秦나라 [[淸河武侯]][[王猛]]이 병이 중해지자,<font color="#0054FF" size="2">【寢은 점점 더해지는 것이요, 눕는 것이다.】</font>상소하기를 “엎드려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위엄과 공렬이 八方의 먼 곳에까지 떨쳐지고 聲威와 敎化<font color="#0054FF" size="2">【聲敎는 風聲과 敎化이니, 여기에서 소리를 울리면 먼 곳에 있는 자가 들으므로 이를 일러 聲이라 하고, 여기에서 본보기가 되면 먼 곳에 있는 자가 본받으므로 이를 일러 敎라 한다.】</font>가 천지와 사방에 빛나서 九州九州의 백 개 郡 가운데 10분의 7을 차지하였으며, 燕나라를 평정하고 蜀 지방을 평정하기<font color="#0054FF" size="2">【燕나라를 평정한 것은 庚午年條(370)에 있고, 蜀 지방을 평정한 것은 癸酉年條(373)에 있다.】</font>를 땅 위의 지푸라기를 줍듯이 쉽게 하셨습니다.<font color="#0054FF" size="2">【拾芥는 땅 위에 제멋대로 흩어져 있는 지푸라기를 허리를 굽혀 줍는 것이니, 쉬워서 반드시 얻을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font> 創業을 잘한 자가 반드시 守成을 잘하지는 못하고, 시작을 잘한 자가 반드시 끝을 잘하지는 못합니다. 이 때문에 옛날 명철한 王들은 功業을 세움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고 깊은 골짝에 임하듯이 전전긍긍<font color="#0054FF" size="2">【戰戰은 두려워하는 모양이고 兢兢은 音이 경()이니, 경계하고 삼가는 모양이다.】</font>한 것이니, 엎드려 생각하건대 폐하께서 예전의 聖明한 王을 뒤따르신다면 천하가 매우 다행일 것입니다.” 하니, [[苻堅]]이 이것을 보고 비통해하였다.
+
[丁未]三年이라 〈趙建武十三年이라 ○ 是歲에 漢亡하니 大一, 小三이니 凡四僭國이라〉
 +
</div>
 +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永和 3년(정미 347) - 趙나라 建武13년이다. ○ 이해에 漢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하나이고 小國이 셋이니, 僭國이 모두 넷이다.-
 
</div>
 
</div>
 
</div>
 
</div>
145번째 줄: 215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七月에 [[]]이 親至猛第하야 視疾하고 訪以後事한대 [[]]曰 晉雖僻處江南이나 然正朔相承<font color="#0054FF" size="2">【正者는 歲之首也요 朔者는 說文에 月一日也라】</font>하고 上下安和하니 臣沒之後에 願勿以晉爲圖하시고 鮮卑, 西羌<font color="#0054FF" size="2">【西羌은 謂姚萇也니 其後에 秦地果爲二族所據하니라】</font>은 我之仇敵이라 終爲人患하리니 宜漸除之하소서 言終而卒하니 [[]]이 謂太子宏曰 天不欲使吾平壹六合耶아 何奪吾景略<font color="#0054FF" size="2">【王猛字라】</font>之速也오하니라
+
二月에 [[]]이 自將步卒하고 直指成都한대 [[漢主]][[勢]]<font color="#0054FF" size="2">【壽長子라】</font> 悉衆出戰이어늘 [[溫]]이 乘勝長驅하야 至成都하야 縱火燒其城門하니 漢人이 惶懼하야 無復鬪志라 勢送降文於[[溫]]하고 尋輿櫬面縛하고 詣軍門이어늘 [[]]이 解縛焚櫬하고 送勢及宗室十餘人於建康하고 擧賢旌善하니 蜀人이 悅之러라
 
</div>
 
</div>
 
</div>
 
</div>
153번째 줄: 22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7월에 [[苻堅]]이 친히 [[王猛]]의 집에 이르러서 병을 살펴보고 차후의 일을 물었는데, [[王猛]]이 답하기를 “晉나라가 비록 궁벽하게 江南에 있으나 正朔(正統)이 서로 이어지고<font color="#0054FF" size="2">【正은 한 해의 처음이요, 朔은 ≪說文解字≫에 “매월 1일이다.” 하였다.】</font> 상하가 편안하고 화목하니 바라건대 신이 죽은 뒤에 晉나라를 도모하지 마시고, 鮮卑와 西羌<font color="#0054FF" size="2">【西羌은 姚萇을 이르니, 그 뒤에 秦나라 지역이 과연 鮮卑族과 羌族 종족에게 점거당하였다.】</font>은 우리의 원수이고 적이어서 끝내 우리의 폐해가 될 것이니 마땅히 점차 제거하소서.” 하고는 말을 마치자 죽었다. [[苻堅]]이 太子太子[[苻宏]]에게 이르기를 “하늘이 나로 하여금 六合(천하)을 통일하게 하고자 하지 않는가. 어찌하여 우리 景略(王猛)<font color="#0054FF" size="2">【景略은 王猛의 字이다.】</font>을 이렇게 빨리 빼앗아 가는가.” 하였다.
+
2월에 [[桓溫]]이 직접 보병을 거느리고 곧바로 成都로 향하자, [[漢主]][[李勢]]<font color="#0054FF" size="2">【永和 漢主 李勢는 李壽의 長子이다.】</font>가 병력을 총동원하여 나와서 싸웠다. [[桓溫]]이 승승장구하여 成都에 이르러서 불을 놓아 城門을 태우니, 漢나라 사람들이 두려워하여 다시는 싸울 마음이 없었다. [[李勢]]가 항복문을 [[桓溫]]에게 보내고 얼마 뒤에 관을 수레에 싣고 손을 등 뒤로 돌려 묶고 얼굴을 사람들에게 보이도록 앞으로 쳐들고 軍門軍門에 나오자, [[桓溫]]이 포박을 풀어 주고 관을 불태웠으며 [[李勢]]와 宗室 10여 명을 建康으로 보내고 어진 사람을 천거하고 선한 사람을 표창하니, 蜀 지방 사람들이 기뻐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丙子]太元元年=====
+
=====[戊申]四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164번째 줄: 234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丙子]太元元年이라 〈秦建元十二年이라 ○ 是歲에 涼, 代皆亡하니 僭國一이라〉
+
[戊申]四年이라 〈趙建武十四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五月에 涼公張天錫<font color="#0054FF" size="2">【玄靚叔父也라 涼州弑其君祚하고 立玄靚爲涼王이러니 天錫이 弑其君玄靚而自立이라 玄靚은 曜靈弟也라】</font>荒於酒色<font color="#0054FF" size="2">【荒은 無厭也라】</font>하야 不親庶務하니 人情이 憤怨이라 [[秦王]][[堅]]이 遣苟萇, 姚萇하야 將兵滅之하니 涼州郡縣이 悉降하다
+
四月에 朝廷이 論平蜀之功하야 乃加[[溫]]征西大將軍征西大將軍하고 封臨賀郡公臨賀郡公하다 [[溫]]旣滅蜀에 威名大振하니 朝廷이 憚之러라 [[會稽王]][[昱]]以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有盛名하야 朝野推服이라하야 乃引爲心膂하야 與參綜<font color="#0054FF" size="2">【謂參錯綜核也라】</font>朝權하야 欲以抗溫하니 由是로 與[[]]浸相疑貳러라
 
</div>
 
</div>
 
</div>
 
</div>
175번째 줄: 245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元年(병자 376) - 秦나라 建元 12년이다. ○ 이해에 涼과 代가 모두 망하니, 僭國이 하나이다.-
+
永和 4년(무신 348) - 趙나라 建武14년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5월에 [[涼公]] 張天錫<font color="#0054FF" size="2">【張天錫은 張玄靚의 叔父이다. 涼州 사람이 군주 張祚를 시해하고 張玄靚을 세워 涼王으로 삼았는데, 張天錫이 그 군주 張玄靚을 시해하고 자신이 즉위하였다. 張玄靚은 張曜靈의 아우이다.】</font>酒色에 빠져<font color="#0054FF" size="2">【荒은 만족함이 없는 것이다.】</font> 여러 가지 사무를 직접 처리하지 않으니, 세상 사람들이 분해 하고 원망하였다. [[秦王]][[苻堅]]이 [[苟萇]]과 [[姚萇]]을 보내어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멸하게 하니, 涼州의 군현이 모두 항복하였다.
+
4월에 조정에서 蜀의 漢나라를 평정한 공을 논하여 마침내 [[桓溫]]에게 征西大將軍征西大將軍을 가하고[[臨賀郡公]]에 봉하였다. [[桓溫]]이 蜀을 멸망시킨 뒤로 위엄과 명망이 크게 떨쳐지니, 조정이 두려워하였다. [[會稽王]][[司馬昱]]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가 훌륭한 명성이 있어 朝野가 추대하고 복종한다 하여, 마침내 그를 나오게 하여 심복으로 삼아서 함께 조정의 권력에 참여하고 총괄<font color="#0054FF" size="2">【參綜은 參錯하고 綜核(政事에 하나하나 참여하여 자세하게 밝힘)함을 이른다.】</font>하게 함으로써 [[桓溫]]에게 대항하고자 하니, 이로 말미암아 [[桓溫]]과 점점 서로 의심하게 되었다.
 
</div>
 
</div>
 
</div>
 
</div>
187번째 줄: 25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十月에 [[秦王]][[]]이 遣唐公洛<font color="#0054FF" size="2">【綱目作行唐公洛이니 行唐은 縣名이라】</font>하야 將兵十萬하야 擊代한대 代王什翼犍이 奔陰山之北하니 部衆이 逃潰하야 國中이 大亂이라 其孫珪<font color="#0054FF" size="2">【珪는 [[拓跋珪]]니 是爲元魏의 道武라】</font>尙幼러니 珪母賀氏<font color="#0054FF" size="2">【東部大人賀野干之女라】</font> 以珪走依賀訥<font color="#0054FF" size="2">【野干子라】</font>이어늘 [[堅]]이 分代民하야 爲二部하고 使劉庫仁<font color="#0054FF" size="2">【衛辰之族이니 什翼犍之甥也라】</font>, 劉衛辰으로 統之하다
+
十一月에 [[燕王]][[]]이 卒하고 世子[[]]이 卽位하다
 
</div>
 
</div>
 
</div>
 
</div>
195번째 줄: 265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10월에 [[秦王]][[苻堅]]이 [[唐公]] 苻洛<font color="#0054FF" size="2">【‘唐公洛’은 ≪資治通鑑綱目≫에 ‘行唐公洛’으로 되어 있으니, 行唐은 縣 이름이다.】</font>을 보내 10만의 군대를 거느리고 代를 공격하게 하니, [[代王]][[拓跋什翼犍]]이 陰山 북쪽으로 달아났다. 이에 部衆이 도망하고 궤멸되어 나라 안이 크게 혼란하였다. 그의 손자 [[拓跋珪]]<font color="#0054FF" size="2">【珪는 拓跋珪이니, 이가 바로 元魏(北魏)의 道武帝이다.】</font>는 아직 어렸는데, [[拓跋珪]]의 어머니 賀氏<font color="#0054FF" size="2">【賀氏는 東部大人 賀野干의 딸이다.】</font>가 [[拓跋珪]]를 데리고 도망하여 賀訥<font color="#0054FF" size="2">【賀訥은 賀野干의 아들이다.】</font>에게 의지하였다. [[苻堅]]이 代나라의 백성을 나누어 두 部로 만들고 劉庫仁<font color="#0054FF" size="2">【劉庫仁은 匈奴인 劉衛辰의 일족이니, 拓跋什翼犍의 조카이다.】</font>과 [[劉衛辰]]으로 하여금 통솔하게 하였다.
+
11월에 [[燕王]][[慕容皝]]이 죽고, 世子世子[[慕容雋]]이 즉위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丁丑]二年=====
+
=====[己酉]五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206번째 줄: 27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丁丑]二年이라 〈秦建元十三年이라〉
+
[己酉]五年이라 〈趙太寧元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是時에 朝廷이 方以秦寇爲憂하야 詔求文武良將可以鎭禦北方者어늘 [[謝安]]이 以兄子玄으로 應詔하니 [[郗超]]聞之<font color="#0054FF" size="2">【初에 中書郞郗超 自以其父愔位遇 應在謝安之右어늘 而優遊散地하야 常憤悒하야 形於辭色하야 由是로 與謝氏有隙이라 雖是有隙之間이나 以其明故로 如是而稱也라】</font>하고 歎曰 安之明으로 乃能違衆擧親하니 玄之才 足以不負所擧라하더라
+
正月에 [[趙王]][[虎]]卽皇帝位<font color="#0054FF" size="2">【虎荒耽酒色하고 喜怒無常이라 窮奢極侈하야 聚斂無極하고 悉發前代陵墓하야 取其金寶라 作大武宮於襄國하고 東西宮於鄴都할새 皆甃以文石하고 以漆灌瓦하며 金(鐺)[璫]銀楹하고 珠簾玉壁하야 窮極工巧라 選士民之女하야 服珠玉하고 被綺縠이 萬餘人이요 以女騎千人으로 爲鹵簿하야 皆著紫綸巾, 熟錦袴하고 執羽鳴鼓吹以游宴이라 投石於河하야 以作飛橋하니 功費數千萬億이요 又作臺觀四十餘所하고 又營長安, 洛陽(一)[二]宮하니 作者四十餘萬人이라 又發男女十六萬하야 築華林苑及長墻于鄴北할새 燃燭夜作하니 死者太半이라 濟南平陵城北에 石虎一夕에 自移城東南하니 狼狐千餘隨之成蹊어늘 虎喜曰 石虎者는 朕也니 天欲使朕平蕩江南也라하고 於是에 制征士五人에 出車一乘, 牛二頭, 米十斛, 絹十匹호되 不辦者斬하니 民鬻子以供이로되 猶不能給하야 自經於道者相望이라 命太子遊獵하니 太子宣이 乘大輅하고 羽葆華蓋하고 建天子旌旗하고 戍卒十八萬이라 虎望之하고 笑曰 我家父子如是하니 自非天崩地陷이면 復何愁리오하다 復命秦公韜繼遊한대 亦如是하니 宣이 怒其與己敵하야 使刺客殺韜하고 又謀不軌라가 事覺伏誅하다】</font>라가 旣而病卒하니 太子世卽位하다 彭城[[王遵]]이 廢世爲[[譙王]]이라가 尋殺之하고 遵卽位<font color="#0054FF" size="2">【虎之子也라 遵이 與丞相燕王斌과 大將軍張豺로 竝受遺詔輔政이러니 劉后恐斌不利於太子하야 矯詔免歸第한대 張豺矯詔殺斌하다 虎卒에 世卽位하고 劉氏臨朝한대 征虜將軍石閔이 說遵曰 殿下長且賢하시니 先帝亦意以爲嗣러니 末年에 爲張豺所誤라 今若聲豺之惡하야 鼓而討之면 其誰不從이리오 遵從之하야 遂趣鄴하니 耆舊士民이 皆迎之하다 豺惶怖하야 亦出迎이어늘 遵命執豺하야 斬于市하다 假劉氏令하야 以遵嗣位하니 封世爲譙王하고 廢劉氏라가 皆殺之하다 於是에 鄴中暴風拔樹하고 震雷雨雹하야 大如盂斗요 太武暉華殿災하고 及諸門觀閣이 蕩然無餘하고 金石皆盡이라 火月餘乃滅하니라】</font>하야 以[[武興公]][[閔]]<font color="#0054FF" size="2">【虎之養子라】</font>으로 爲都督中外諸軍事하다 [[閔]]言於[[遵]]曰 [[蒲洪]]<font color="#0054FF" size="2">【苻堅之祖니 略陽臨渭氐人이라】</font>은 人傑也라 今以洪鎭關中이면 臣恐秦, 雍之地가 非復國家之有라한대 遵從之하야 罷[[洪都督]]하니 [[洪]]이 怒하야 歸枋頭<font color="#0054FF" size="2">【曹操於淇水(江)[口]에 下大枋木以成堰하야 遏其水하야 東入白溝하야 以通漕運하고 因號其處曰枋頭라하니라】</font>하야 遣使來降<font color="#0054FF" size="2">【秦雍流民이 立洪爲主라】</font>하다
 
</div>
 
</div>
 
</div>
 
</div>
217번째 줄: 28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2년(정축 377) - 秦나라 建元 13년이다. -
+
永和 5년(기유 349) - 趙나라 太寧 元年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이때에 막 조정이 秦나라의 침략을 우려하여 황제가 詔命을 내려 북방을 진무하고 방어할 만한 文武 겸비한 훌륭한 장수를 구하게 하였다. [[謝安]]이 형의 아들[[謝玄]]으로 詔命에 응하니, [[郗超]]말을 듣고<font color="#0054FF" size="2">【처음에 中書郞 郗超가 스스로 생각하기를 그의 아버지 郗愔의 지위와 대우가 마땅히 謝安의 위에 있어야 하는데도 부친이 閑散職에 정체되어 있다 하여 항상 분해 하고 원망하여 말과 안색에 드러나서 이로 인해 謝氏와 틈이 있었다. 비록 틈이 있는 사이였으나 謝安이 현명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칭찬한 것이다.】</font> 감탄하기를 “[[謝安]]의 현명함으로 마침내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어기고 친척을 등용하였으니, [[謝玄]]의 재주가 자신을 천거한 [[謝安]]을 저버리지 않기에 충분하다.하였다.
+
정월에 [[趙王]][[石虎]]가 황제에 즉위하였다가<font color="#0054FF" size="2">【石虎는 酒色에 빠지고 기뻐하고 노여워함이 일정함이 없었다. 극도로 사치하여 세금을 거둠이 끝이 없었으며, 前代 帝王의 陵墓를 모두 발굴하여 금은보화를 취하였다. 襄國에 太武宮을 짓고 鄴都에 東宮과 西宮을 지을 적에 모두 무늬 있는 돌로 섬돌을 만들고 기와 틈에 옻칠을 부었으며, 金으로 서까래를 만들고 銀으로 기둥을 장식하며, 진주 주렴에 玉으로 벽을 만들어서 공교함을 지극히 하였다. 士民의 딸을 뽑아 珠玉으로 꾸미고 얇은 비단옷을 입힌 것이 만여 명이요, 여자 騎兵 천 명을 鹵簿(儀仗隊)로 삼았는데, 모두 자주색 綸巾을 씌우고 精製한 비단으로 만든 바지를 입힌 다음, 깃털로 장식한 깃발을 잡고 북을 울리고 나팔을 불며 뒤따르게 하여 놀고 잔치하였다. 돌을 黃河에 쏟아 부어서 飛橋를 만드니, 공력과 비용이 수천만억이었다. 또 樓觀을 40여 곳에 만들고 長安과 洛陽에 두 궁궐을 만드니 일하는 자가 40여만 명이었다. 또 남녀 16만 명을 징발하여 華林苑과 長墻을 鄴都 북쪽에 쌓을 적에 횃불을 밝히고 밤에도 일하니, 죽은 자가 태반이었다. 濟南의 平陵城 북쪽에 돌로 만든 호랑이[石虎]가 하룻밤 사이에 저절로 城의 동남쪽으로 옮겨 가니, 이리와 여우 천여 마리가 뒤를 따라가서 길이 이루어지자, 石虎가 기뻐하며 말하기를 “돌로 만든 호랑이는 바로 朕이다. 하늘이 아마도 나로 하여금 江南 지방을 평정하게 하려는가 보다.” 하였다. 이에 명을 내려 출정하는 군사 5명마다 兵車 1대와 소 2頭, 쌀 10斛, 비단 10필을 내게 하되 마련하지 못하는 자는 목을 베니, 백성들이 자식을 팔아 비용을 대었으나 오히려 충분하지 못하여 길에서 스스로 목을 매어 죽는 자가 서로 이어졌다. 太子에게 명하여 나가서 사냥하게 하니, 太子 石宣이 황제가 타는 大輅를 타고 華蓋를 새의 깃털로 장식하며 天子의 깃발을 꽂았으며, 병졸이 18만 명이었다. 石虎가 이것을 바라보고 웃으며 말하기를 “우리 집 父子가 이와 같으니, 만일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지 않는다면 다시 무엇을 근심하겠는가.” 하였다. 다시 秦公 石韜에게 명하여 자신이 놀러 나갈 때 뒤를 따르도록 하였는데 그가 또한 이와 똑같이 하니, 石宣은 그가 자신과 대등하게 맞선 것에 노하여 자객을 시켜 石韜를 죽이고 또 반역을 도모하다가 일이 발각되어 죽었다.】</font> 얼마 후 병들어죽으니, 太子太子[[石世]]가 즉위하였다. [[彭城王]][[石遵]]이 [[石世]]를 폐위하여[[譙王]]으로 삼았다가 얼마 뒤 시해하고 자신이 즉위하여<font color="#0054FF" size="2">【石遵은 石虎의 아들이다. 石遵이 丞相인 燕王 石斌, 大將軍 張豺와 함께 石虎의 遺詔를 받아 정사를 보필하였는데, 劉后는 石斌이 정사를 보필하면 太子에게 불리할까 염려해서 조서를 위조하여 면직하고 집으로 돌아가게 하니, 張豺가 조서를 위조하여 石斌을 죽였다. 石虎가 죽자 石世가 즉위하고 劉氏가 조정에 임어하였는데, 征虜將軍 石閔이 石遵을 설득하기를 “전하가 나이가 많고 또 어지시니, 先帝께서 또한 意中에 후사를 삼으려 하였는데, 말년에 張豺 때문에 잘못되었습니다. 이제 만약 張豺의 惡行을 성토하여 북을 울리고 진군하여 토벌한다면 그 누가 따르지 않겠습니까.” 하였다. 石遵이 그의 말을 따라 마침내 鄴都로 달려가니, 耆老들과 士民들이 모두 환영하였다. 張豺가 두려워하여 또한 나와서 맞이하자, 石遵이 명하여 張豺를 잡아서 시장에서 목 베게 하였다. 劉氏의 명령을 가탁하여 石遵으로 황제의 지위를 잇게 하니, 石遵이 石世를 봉하여 譙王을 삼고 劉氏를 폐위하였다가 모두 죽였다. 이때 鄴中에 폭풍이 불어 나무가 뽑히고 천둥 벼락이 치며 크기가 사발과 말[斗]만한 우박이 내렸다. 太武暉華殿에 불이 나고 여러 문과 觀閣이 다 불타 버려 남은 것이 없었으며 금은보화도 모두 없어졌다. 화재가 한 달이 넘어서야 비로소 꺼졌다.】</font>[[武興公]] 石閔<font color="#0054FF" size="2">【武興公 石閔은 石虎의 養子이다.】</font>을 都督中外諸軍事都督中外諸軍事로 삼았다. [[石閔]]이 [[石遵]]에게 말하기를 “蒲洪(前秦을 세움)<font color="#0054FF" size="2">【蒲洪은 苻堅의 조부이니, 略陽郡 臨渭縣 사람으로 氐族이다.】</font>은 인걸입니다. 이제 [[蒲洪]]으로 하여금 關中을 鎭撫鎭撫하게 하면 신은 秦州와 雍州 지역이 다시는 우리나라의 소유가 못 될까 두렵습니다.” 하자, [[石遵]]이 그의 말을 따라 [[蒲洪]]을 都督都督에서 파면하였다. [[蒲洪]]이 노하여 枋頭로 돌아가<font color="#0054FF" size="2">【曹操가 淇水 어귀에서 큰 통나무를 내려 보내어 제방을 만들어 물길을 막아서 동쪽으로 白溝로 들어가게 하여 漕運을 통하게 하고 인하여 그곳을 이름하기를 枋頭라고 하였다.】</font>使者使者를 보내어 晉나라에 와서 항복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秦州와 雍州 지역의 流民들이 蒲洪을 세워 군주로 삼았다.】</font>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
|}
=====[己卯]太元四年=====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231번째 줄: 29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己卯]太元四年이라 〈秦建元十五年이라〉
+
○ 六月에 [[桓溫]]이 聞趙亂하고 出屯安陸하고 遣諸將하야 經營北方할새 趙揚州刺史揚州刺史[[王浹]]이 擧壽春降이어늘 征北大將軍褚裒 上表請伐趙하고 卽日戒嚴하야 直指泗口하다 徑赴彭城하니 北方士民降附者 日以千計러라 朝野皆以爲中原을 指期可復이라호되 蔡謨獨謂所親曰 胡滅이 誠爲大慶이나 然恐更貽朝廷之憂로라 其人曰 何謂也오 謨曰 夫能順天乘時하야 濟群生於艱難者는 非上聖與英雄이면 不能爲也니 自餘則莫若度德量力이라 觀今日之事컨대 殆非時賢所及이라 必將經營分表<font color="#0054FF" size="2">【分은 劑요 表는 外라[頭註]分은 量也요 表는 外也니 言經營過於分量之外라】</font>하야 疲民以逞하리니 旣而材略疎短하야 不能副心하고 財殫力竭하야 智勇俱困이면 安得不憂及朝廷乎아 魯郡民五百餘家 相與起兵附晉하고 求援於褚裒라 裒遣(步)[部]將王龕, 李邁하야 將銳卒三千迎之하니 趙李農이 帥騎二萬하고 與龕等으로 戰於代陂러니 龕等이 大敗하야 皆沒於趙하다 八月에 裒退屯廣陵이러니 詔命裒하야 還鎭京口하다 時에 河北大亂하야 遺民二十餘萬口가 渡河〈欲〉來歸러니 會에 裒已還하니 威勢不接하야 不能自拔하고 死亡略盡하니라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謝安이 爲宰相에 秦人이 屢入寇하니 邊兵失利하야 衆心危懼라 [[]]이 每鎭之以和靜하고 其爲政에 務擧大綱하고 不爲小察하니 時人이 比安於王導而謂其文雅<font color="#0054FF" size="2">【儒雅閒雅라】</font>過之라하더라
 
 
</div>
 
</div>
 
</div>
 
</div>
242번째 줄: 30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4年(기묘 379) - 秦나라 建元 15년이다. -
+
○ 6월에 [[桓溫]]이 趙나라가 혼란하다는 말을 듣고 나가서 安陸에 주둔하고 諸將을 보내어 北方을 경영하였다. 이때 趙나라 揚州刺史揚州刺史[[王浹]]이 壽春을 가지고 항복하자, 征北大將軍征北大將軍[[褚裒]]가 表文을 올려 趙나라를 칠 것을 청하고 그날로 삼엄하게 경계하여 곧바로 泗口로 향하였다. 지름길을 따라 彭城으로 달려가니, 北方의 士民 중에 항복하고 따르는 자가 하루에 천 명으로 헤아려졌다. 朝野에서 모두 머지않아 中原을 회복할 수 있다고 말하였으나 [[蔡謨]]만은 홀로 친한 사람에게 이르기를 “오랑캐가 멸망하는 것은 진실로 크게 경하할 일이나 다시 조정에 근심을 끼칠까 두렵노라.” 하였다. 그 사람이 말하기를 “무슨 말인가?” 하니, [[蔡謨]]가 말하기를 “하늘에 순응하고 기회를 타서 生民들을 어려움에서 구제하는 것은 至聖과 英雄豪傑이 아니면 하지 못하니, 그 밖의 사람은 德을 헤아리고 힘을 헤아리는 것만 못하다. 일을 살펴보건대 자못 지금의 현자들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틀림없이 제 분수 이상으로<font color="#0054FF" size="2">【[釋義]分은 劑(분량)요, 表는 벗어남이다.[頭註]分은 분량이고 表는 벗어남이니, 經營함이 分量의 밖에 넘침을 이른다.】</font> 경영해서 백성들을 피곤하게 하여 욕심을 부릴 것이니, 이윽고 재주와 지략이 엉성하고 부족하여 마음에 부응하지 못하고 재물이 다하고 힘이 고갈되어 지혜와 용맹이 모두 궁해지면 어찌 우환이 조정에 미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하였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謝安]]이 재상으로 있을 때에 秦나라 사람들이 자주 쳐들어와서 침략하였는데, 변방의 병사들이 승리하지 못하여 사람들의 마음이 위태롭게 여기고 두려워하였다. 이에 [[謝安]]이 매번 화평함과 고요함으로 사람들을 진정시켰으며 정사를 할 적에 큰 綱領을 행하기를 힘쓰고 작은 일을 살피지 않으니, 당시 사람들이 [[謝安]][[王導]]에게 견주되 그 文雅<font color="#0054FF" size="2">【우아하고 단아한 것이다.】</font>는 [[王導]]보다 낫다고 하였다.
+
魯郡의 백성 5백여 가호가 서로 군대를 일으켜 晉나라에 붙고 [[褚裒]]에게 구원을 청하였다. [[褚裒]]가 部將部將[[王龕]]과 [[李邁]]를 보내어 정예병 3천 명을 거느리고 맞이하게 하니, 趙나라 [[李農]]이 騎兵 2만 명을 거느리고 [[王龕]] 등과 代陂에서 싸웠는데, [[王龕]] 등이 대패하여 모두 趙나라에서 죽었다. 8월에 [[褚裒]]가 후퇴하여 廣陵에 주둔하였는데, 조서를 내려 [[褚裒]]에게 명해서 돌아와 京口에 鎭駐하게 하였다. 이때 河北 지방이 크게 혼란하여 遺民 20여만 명이 黃河를 건너와 歸附하고자 하였는데, 마침 [[褚裒]]가 돌아오자 위엄과 기세가 이어지지 못해서 遺民들이 스스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거의 다 죽었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
|}
=====[壬午]七年=====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256번째 줄: 31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壬午]七年이라 〈秦建元十八年이라〉
+
○ 十一月에 趙武興公閔이 執趙主遵하야 殺之하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秦王]][[堅]]이 會群臣于太極殿하고 議曰 自吾承業으로 垂三十載<font color="#0054FF" size="2">【垂는 幾也라】</font>에 四方略定호되 唯東南一隅 未霑王化하니 今略計吾士卒컨대 可得九十七萬이라 吾欲自將以討之하노니 何如오 [[權翼]]<font color="#0054FF" size="2">【尙書左僕射라 昔에 紂爲無道나 三仁在朝일새 武王猶爲之旋師하니 今晉雖微弱云云也라】</font>曰 晉雖微弱이나 未有大惡하고 [[謝安]], [[桓沖]]은 皆江表偉人으로 君臣輯睦하니 未可圖也니이다 石越曰 今福德이 在吳<font color="#0054FF" size="2">【漢天文志曰 歲星所在之國은 不可伐이요 可以伐人이니라 索隱曰 歲星所在엔 其國有福이라 故曰福德이라[頭註]石越曰 今者에 歲鎭守斗라하니 歲는 木星이요 鎭은 土星이요 斗는 南斗라 斗, 牛, 女는 吳, 越, 揚州分이라 [通鑑要解]石越은 時太子左衛率也라】</font>하니 伐之면 必有天殃이요 且彼據長江之險하고 民爲之用하니 殆未可伐也니이다 [[堅]]曰 今以吾之衆으로 投鞭於江이라도 足斷其流어든 又何險之足恃乎아 且築室道旁이면 無時可成이니 吾當內斷於心爾로라 陽平公融曰 今伐晉이 有三難하니 天道不順이 一也요 晉國無釁이 二也요 我數戰兵疲하야 民有畏敵之心이 三也라 晉未可滅이 昭然甚明하니 今勞師大擧면 恐無萬全之功일까하노이다 且臣之所憂는 不止於此라 陛下寵育鮮卑, 羌, 羯<font color="#0054FF" size="2">【羯은 胡戎別號也라】</font>하야 布滿畿甸<font color="#0054FF" size="2">【畿는 天子環內地方千里요 甸은 夏書의 五百里註에 曰甸之言은 治也라】</font>하니 此屬은 皆我之深仇어늘 太子獨與弱卒數萬으로 留守京師하시니 臣은 懼有不虞之變<font color="#0054FF" size="2">【不虞는 猶不測也라】</font>이 生於腹心肘腋<font color="#0054FF" size="2">【肘는 臂節也요 腋은 胳也니 在肘後라】</font>이면 不可悔也니이다 王景略<font color="#0054FF" size="2">【景略은 猛字라】</font>은 一時英傑이라 陛下常比之[[諸葛武侯]]하시니 獨不記其臨沒之言乎잇가 堅不聽이어늘 融又諫曰 國家는 本戎狄<font color="#0054FF" size="2">【苻氏는 氐也니 西南夷種이라】</font>也라 正朔朝會不歸하고 江東은 雖微弱僅存이나 然中華正統이니 天意必不絶之리이다 堅曰 帝王曆數<font color="#0054FF" size="2">【帝王相繼之次第가 猶歲時氣節之先後라】</font> 豈有常耶아 汝不達變通爾로다
 
 
</div>
 
</div>
 
</div>
 
</div>
267번째 줄: 32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7년(임오 382) - 秦나라 建元 18년이다. -
+
○ 11월에 趙나라 [[武興公]][[石閔]]이 [[趙主]][[石遵]]을 잡아서죽였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秦王]][[苻堅]]이 여러 신하들을 太極殿에 모이게 하고 의논하기를 “내가 基業을 받든 뒤로 거의 30년 만에<font color="#0054FF" size="2">【垂는 거의이다.】</font> 사방이 대략 평정되었으나 오직 동남쪽 한 귀퉁이가 아직도 帝王의 敎化를 입지 못하였다. 지금 우리 士卒들을 대략 계산해 보건대 97만 명을 얻을 수 있다. 내가 직접 거느리고 가서 토벌하고자 하니, 어떠한가?” 하였다.
 
 
</div>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權翼<font color="#0054FF" size="2">【權翼은 尙書左僕射이다. 權翼이 말하기를 “옛날에 紂가 無道하였으나 三仁이 조정에 있었기 때문에 武王이 오히려 그 때문에 군대를 되돌려 돌아왔으니, 지금 晉나라가 비록 미약하나 ……”라고 하였다.】</font>은 아뢰기를 “晉나라가 비록 미약하나 큰 죄악이 있지 않고, [[謝安]]과 [[桓沖]]은 모두 江南 지방의 偉人으로 군주와 신하가 화목하니, 도모할 수 없습니다.” 하고, [[石越]]은 아뢰기를 “지금 福德星(歲星)吳지방에 있으니<font color="#0054FF" size="2">【[釋義]≪漢書≫ 〈天文志〉에 이르기를 “歲星이 있는 나라는 정벌할 수 없고, 그 나라에서 다른 나라를 정벌할 수는 있다.” 하였다. ≪史記索隱≫에 이르기를 “歲星이 있는 곳은 그 나라에 福이 있으므로 福德星이라 한다.” 하였다.[頭註]石越이 말하기를 “지금 歲(木星)와 鎭(土星)이 斗를 지킨다.” 하였으니, 歲는 木星이고 鎭은 土星이고 斗는 南斗이다. 斗‧牛‧女는 吳‧越과 揚州의 分野이다. [通鑑要解]石越은 이때 太子左衛率이었다.】</font> 그곳을 치면 반드시 하늘의 재앙이 있을 것이요, 또 저들은 長江의 험고한 지형을 점거하였고 백성들이 잘 쓰여지고 있으니, 아마도 정벌해서는 안 될 듯합니다.” 하니, [[苻堅]]이 말하기를 “지금 우리 군대로 볼 때 채찍만 강에 던져 넣어도 충분히 흐르는 강물을 차단시킬 수가 있는데, 또 어찌 험고함을 믿을 수 있단 말인가. 뿐만 아니라 길가에 집을 지으면 異說이 많아 완성될 날이 없을 것이니, 내 마음속에 결단하겠다.” 하였다.
+
○ 秦, 雍流民이 相率西歸<font color="#0054FF" size="2">【秦, 雍流民은 卽石虎所從者니 今因趙亂故로 西歸라】</font>할새 路由枋頭하야 共推[[蒲洪]]爲主하니 衆이 十餘萬이라 洪子[[]]이 在鄴斬關하고 出奔枋頭하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陽平公]][[苻融]]이 말하기를 “지금 晉나라를 정벌함에 세 가지 어려움이 있습니다. 天道가 따라주지 않음이 첫 번째요, 晉나라에 잘못이 없음이 두 번째요, 우리가 자주 싸워 군사들이 피로해서 백성들이 적을 두려워하는 마음이 있는 것이 세 번째입니다. 晉나라를 멸할 수 없음이 昭然하여 매우 분명하니, 이제 군대를 수고롭게 하여 크게 동원한다면 萬全의 공이 없을까 두렵습니다. 신이 우려하는 것은 이에 그치지 않습니다. 폐하께서 鮮卑族과 羌族, 羯族<font color="#0054FF" size="2">【羯은 胡戎의 別號이다.】</font>을 총애하고 기르셔서 畿甸(都城)<font color="#0054FF" size="2">【畿는 天子가 직접 다스리는 영토 안의 땅이 사방 千里인 것이요, 甸은 ≪書經≫ 〈夏書〉의 五百里 註에 “甸이란 말은 다스린다는 뜻이다.” 하였다.】</font>에 두루 가득합니다. 이들은 모두 우리에게 깊은 원한이 있는데 太子가 홀로 약한 군졸 수만 명을 데리고 남아서 都城을 지킬 것이니, 신은 예상하지 못한 변란<font color="#0054FF" size="2">【不虞는 不測과 같다.】</font>이 腹心(긴요한 곳)과 팔꿈치와 겨드랑이(매우 가까운 곳)<font color="#0054FF" size="2">【肘는 팔 관절이고, 腋은 겨드랑이이니 팔뚝의 뒤에 있다.】</font>에서 생기면 후회해도 소용없을까 두렵습니다. 王景略<font color="#0054FF" size="2">【景略은 王猛의 字이다.】</font>은 한때의 영웅호걸입니다. 폐하께서 항상 그를 [[諸葛武侯]]에게 비견하곤 하셨으니, 어찌하여 그가 죽을 때 했던 말을 기억하지 못하십니까.” 하였으나 [[苻堅]]이 듣지 않았다.
 
 
</div>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苻融]]이 또 간언하기를 “우리나라는 본래 戎狄<font color="#0054FF" size="2">【苻氏는 氐族이니, 서남지방 오랑캐 종족이다.】</font>이 건립한 나라로서 正朔과 朝會가 돌아오지 않았고, 江東은 비록 미약하여 겨우 보존되었으나 中華의 정통이니, 하늘의 뜻이 반드시 끊지 않으실 것입니다.” 하니, [[苻堅]]이 말하기를 “帝王의 운수<font color="#0054FF" size="2">【曆數는 帝王이 서로 계승하는 차례가 歲時의 節氣의 先後와 같은 것이다.】</font>가 어찌 일정함이 있겠는가. 너는 변통할 줄을 모른다.” 하였다.
+
○ 秦州와 雍州 지역의 流民들이 서로 이끌고 서쪽으로 돌아갈 적에<font color="#0054FF" size="2">【秦州와 雍州 지역의 流民들은 곧 石虎를 따르던 자들이니, 지금 趙나라가 어지럽기 때문에 서쪽으로 돌아간 것이다.】</font> 길이 枋頭를 경유하므로 함께 [[蒲洪]]을 추대하여 군주로 삼으니, 무리가 10여만 명이었다. [[蒲洪]]의 아들[[蒲健]]이 鄴에 있다가 관문을 지키는 장수를 베고 나와 枋頭로 달아났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癸未]八年=====
+
=====[庚戌]六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290번째 줄: 355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癸未]八年이라 〈秦建元十九年이라〉
+
[庚戌]六年이라 〈趙主石祗永寧元年이라 ○ 魏主冉閔永興元年이라 ○ 舊大國一이요 涼, 代, 燕小國三이요 新大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七月에 [[秦王]][[堅]]이 下詔하야 大擧<font color="#0054FF" size="2">【群臣이 皆不可라호되 獨冠軍將軍慕容垂勸故로 大擧也라】</font>入寇하다
+
正月에 趙大將軍大將軍[[]]이 卽皇帝位하고 改國號魏라하고 復姓冉氏<font color="#0054FF" size="2">【閔은 本姓冉氏이니 魏郡內黃人이라 石勒이 獲之하고 命石虎하야 養以爲子라】</font><font color="#0054FF" size="2">【八年에 爲燕所滅하니라】</font>하다
 
</div>
 
</div>
 
</div>
 
</div>
301번째 줄: 36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8년(계미 383) - 秦나라 建元 19년이다. -
+
永和 6년(경술 350) - [[趙主]][[石祗]]의 永寧 元年이다. ○ [[魏主]][[冉閔]]의 永興 元年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涼‧代‧燕 등 小國이 셋이며 새로운 大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다섯이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7월에 [[秦王]][[苻堅]]이 詔命을 내려서 군대를 크게 일으켜<font color="#0054FF" size="2">【여러 신하들이 모두 불가하다고 하였지만 冠軍將軍 慕容垂만이 권하였기 때문에 군대를 크게 동원한 것이다.】</font> 쳐들어왔다.
+
정월에 趙나라 大將軍大將軍[[石閔]]이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魏라고 고치고 冉氏姓을 회복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石閔은 본래 姓이 冉氏이니, 魏郡 內黃 사람이다. 石勒이 〈石閔의 아버지 石瞻을〉 사로잡고 石虎에게 명하여 石閔을 길러서 養子로 삼게 하였다.】</font><font color="#0054FF" size="2">【魏나라는 永和 8년(352)에 燕나라에게 멸망당하였다.】</font>
 
</div>
 
</div>
 
</div>
 
</div>
313번째 줄: 378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八月에 [[]]이 遣[[陽平公]][[融]]하야 督後將軍督後將軍張蚝<font color="#0054FF" size="2">【有前將軍, 後將軍이라 蚝는 七志切이라】</font>와 冠軍將軍冠軍將軍[[慕容垂]]等의 步騎二十五萬하야 爲前鋒하고 以兗州刺史兗州刺史[[姚萇]]으로 爲龍驤將軍龍驤將軍하다 [[慕容楷]]<font color="#0054FF" size="2">【楷는 音皆라】</font>, [[慕容紹]] 言於[[慕容垂]]曰 主上이 驕矜已甚하니 叔父建中興之業이 在此行也니이다 [[垂]]曰 然하다 非汝면 誰與成之리오 甲子에 [[堅]]이 發長安戎卒六十餘萬과 騎二十七萬하니 旗鼓相望하야 前後千里러라 詔以[[謝石]], [[謝玄]]으로 帥衆八萬하야 拒之할새 秦兵이 至潁口하니 兵旣盛하야 都下震恐이라 [[玄]]이 入問計於[[謝安]]한대 [[安]]이 夷然<font color="#0054FF" size="2">【夷는 坦也, 平也니 言坦然無異平日也라】</font>答曰 已別有旨라하고 旣而寂然이라 [[]]이 不敢復言하고 乃令[[張玄]]重請한대 [[安]]遂命駕하야 出遊山墅<font color="#0054FF" size="2">【墅는 田廬也라】</font>하니 親朋이 畢集이라 與[[玄]]으로 圍碁賭墅할새 安碁常劣於[[玄]]이러니 是日에 [[玄]]懼하야 便爲敵手而又不勝<font color="#0054FF" size="2">【敵手는 謂下子爭行劫하야 智算相敵也라 玄意不在碁故로 不能勝安이라】</font>하다 [[安]]이 遂遊陟<font color="#0054FF" size="2">【陟은 登也니 遊山登高也라】</font>이라가 至夜乃還하다
+
○ [[姚弋仲]]<font color="#0054FF" size="2">【石虎時에 累遷하야 至冠軍大將軍이라】</font>, 蒲洪이 各有據關右之志라 弋仲이 遣其子襄하야 帥衆五萬擊洪이어늘 洪이 迎擊破之하다 洪이 自稱大都督, 三秦王이라하고 改姓[[苻氏]]<font color="#0054FF" size="2">【晉載記曰 其家池中蒲生하니 長五丈五요 節如竹形이라 時咸謂之蒲家라하니 因爲氏焉하다 又隴右大雨어늘 謠曰 雨若不止면 洪水必起라하니 因名曰洪이라 後以讖文에 有艸付應王하고 又以孫堅背有艸付字라하야 遂改姓苻하니라】</font>하다
 
</div>
 
</div>
 
</div>
 
</div>
321번째 줄: 38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8월에 [[苻堅]]이 [[陽平公]][[苻融]]을 보내어 後將軍後將軍 張蚝<font color="#0054FF" size="2">【前將軍과 後將軍이 있다. 蚝는 음이 七志切(치)이다.】</font>와 冠軍將軍冠軍將軍[[慕容垂]] 등의 步兵 및 騎兵 25만 명을 감독하게 하여 선봉부대로 삼고, 兗州刺史兗州刺史[[姚萇]]을 龍驤將軍龍驤將軍으로 삼았다. 慕容楷<font color="#0054FF" size="2">【楷는 音이 개(해)이다.】</font>와 [[慕容紹]]가 [[慕容垂]]에게 말하기를 “主上이 교만하고 자랑함이 너무 심하니, 叔父께서 中興의 基業을 세우는 것이 이번 걸음에 달려 있습니다.” 하였다. [[慕容垂]]가 말하기를 “그렇다. 너희들이 아니면 내 누구와 더불어 중흥의 기업을 이루겠는가.” 하였다.
+
姚弋仲<font color="#0054FF" size="2">【姚弋仲은 石虎 때에 여러 번 승진하여 冠軍大將軍에 이르렀다.】</font>[[蒲洪]]이 각각 關西 지방을 점령할 뜻이 있었다. [[姚弋仲]]이 아들[[姚襄]]을 보내어 5만 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蒲洪]]을 공격하자, [[蒲洪]]이 맞아 싸워 격파하였다. [[蒲洪]]이 大都督大都督‧三秦王三秦王이라 자칭하고 姓을 [[苻氏]]로 고쳤다.<font color="#0054FF" size="2">【≪晉書≫ 〈苻洪載記〉에 이르기를 “집의 연못에서 부들[]이 자랐는데 길이가 5丈 5尺이며 마디가 대나무 모양과 같으니 당시에 모두 蒲家라고 일렀으므로 인하여 姓氏로 삼았다.” 하였다. 또 隴右에 큰비가 내렸는데, 동요에 이르기를 “비가 만약 그치지 않으면 홍수가 반드시 일어난다.” 하니 인하여 이름을 洪이라 하였다. 뒤에 圖讖書에 “艸付가 응당 왕 노릇 할 것이다.” 하였고, 또 손자인 苻堅의 등에 艸付라는 글자가 있다 하여 마침내 성을 苻氏로 고쳤다.】</font>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甲子日(8일)에 [[苻堅]]이 長安에서 병졸 60여만 명과 기병 27만 명을 동원하니, 깃발과 북소리가 서로 이어져 앞뒤로 천 리에 뻗쳤다. 황제가 명하여 [[謝石]]과 [[謝玄]]에게 8만 명의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이들을 막게 하였는데, 秦나라 군대가 潁口에 이르니 군대의 기세가 이미 대단하여 都下가 동요하고 두려워하였다. [[謝玄]]이 들어가 [[謝安]]에게 계책을 묻자, [[謝安]]은 태연히<font color="#0054FF" size="2">【夷는 평탄하고 평온함이니, 평탄하여 평소와 다름이 없음을 말한다.】</font> 대답하기를 “조정에서 이미 따로 지시한 것이 있다.” 하고는 이윽고 잠잠하였다. [[謝玄]]이 감히 다시 말하지 못하고 마침내 [[張玄]]으로 하여금 거듭 묻게 하자, [[謝安]]이 마침내 멍에 하도록 명하여 산장<font color="#0054FF" size="2">【墅는 농막이다.】</font>에 나가서 노니, 친구들이 모두 모였다. [[謝安]]이 [[謝玄]]과 바둑을 둘 적에 산장을 걸고 내기를 하였는데, [[謝安]]의 바둑 실력이 항상 [[謝玄]]만 못하였으나 이날은 [[謝玄]]이 [[謝安]]을 두려워해서 곧 막상막하일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나 또다시 이기지 못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敵手는 바둑을 둘 때에 서로 뺏기고 빼앗아서 지략과 계산이 서로 대등함을 이른다. 謝玄의 뜻이 바둑에 있지 않았기 때문에 謝安을 이기지 못한 것이다.】</font>[[謝安]]이 마침내 산에 올라가 놀다가<font color="#0054FF" size="2">【陟은 올라감이니, 산에 놀러 가서 높은 곳에 오르는 것이다.】</font> 밤이 되어서야 비로소 돌아왔다.
 
 
</div>
 
</div>
 
</div>
 
</div>
333번째 줄: 395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桓沖]]<font color="#0054FF" size="2">【彛之子요 溫之弟也라 時爲都督諸江, 荊等州諸軍事, 儀同三司라】</font>深以根本爲憂하야 遣精銳三千하야 入援京師어늘 [[謝安]]이 固却之曰 朝廷이 處分已定하고 兵甲無闕하니 西藩宜留以爲防이라한대 [[沖]]이 對佐吏歎曰 [[謝安石]]<font color="#0054FF" size="2">【安字也라】</font>이 有廟堂之量이나 不閑將略<font color="#0054FF" size="2">【閑은 習也라】</font>이라 今大敵垂至어늘 方遊談不暇하고 遣諸不經事少年하야 拒之하고 衆又寡弱하니 天下事를 已可知라 吾其左袵<font color="#0054FF" size="2">【袵은 衣衿也니 夷狄之俗은 左其衣袵이라】</font>矣로다
+
三月에 [[]]이 卒하니 世子[[]]이 代領其衆하다
 
</div>
 
</div>
 
</div>
 
</div>
341번째 줄: 40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桓沖<font color="#0054FF" size="2">【桓沖은 桓彛의 아들이고 桓溫의 아우이다. 이 당시 都督江州荊州等諸軍事‧儀同三公이었다.】</font>이 근본(都城)을 우려하여 정예병 3천을 파견하여 들어와서 京師의 호위를 원조하게 하자, [[謝安]]이 굳이 퇴각시키며 말하기를 “조정의 처분이 이미 결정되었고 군대가 부족하지 않으니, 서쪽 변경에 그대로 머무르면서 막아야 한다.” 하였다. [[桓沖]]이 보좌하는 관리들에게 한탄하기를 “謝安石<font color="#0054FF" size="2">【安石은 謝安의 字이다.】</font>은 재상의 器量이 있으나 장수의 韜略에는 익숙하지 못하다.<font color="#0054FF" size="2">【閑은 익숙함이다.】</font> 이제 큰 적이 쳐들어오는데 산에 올라가 놀고 벗들과 閑談을 하기에 겨를이 없으며, 전쟁을 겪어 보지 않은 연소한 사람을 보내어 적을 막게 하며, 병력이 또 적고 약하니, 천하의 일을 이미 알 만하다. 나는 아마도 오랑캐가 되어 左袵<font color="#0054FF" size="2">【袵은 옷깃이니, 夷狄의 풍속은 옷깃을 왼쪽으로 여민다.】</font>을 하게 될 것이다.” 하였다.
+
3월에 [[蒲洪]]이 죽으니, 世子世子[[苻健]]이 대신 그 무리를 거느렸다.
 
</div>
 
</div>
 
</div>
 
</div>
350번째 줄: 412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十月에 秦[[陽平公]][[融]]等이 攻壽陽하야 癸酉에 克之하고 將軍[[梁成]]<font color="#0054FF" size="2">【秦將이라】</font>等이 帥衆五萬하야 屯于洛澗하고 柵淮以遏東兵하니 [[謝石]], [[謝玄]]等이 去洛澗二十五里而軍하고 憚[[成]]不敢進이라 融於壽陽에 遣尙書尙書[[朱序]]<font color="#0054FF" size="2">【序先爲梁州刺史러니 爲秦所執하니라】</font>하야 來說[[謝石]]等하야 使降이러니 [[序]]私謂[[石]]等曰 若秦百萬之衆이 盡至면 誠難與爲敵이라 今乘諸軍未集하야 宜速擊之니 若敗其前鋒이면 則彼已奪氣하야 可遂破也리이다 [[石]]이 從[[序]]言하다
+
十一月에 [[苻健]]이 入長安하야 以民心思晉이라하야 乃遣使詣建康하야 獻捷하고 幷修好於[[桓溫]]하니 於是에 秦, 雍夷, 夏 皆附之러라
 
</div>
 
</div>
 
</div>
 
</div>
358번째 줄: 420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10월에 秦나라 [[陽平公]][[苻融]] 등이 壽陽을 공격하여 癸酉日(18일)에 함락시키고, 장군 梁成<font color="#0054FF" size="2">【梁成은 秦나라 장수이다.】</font> 등이 5만 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가서 洛澗에 주둔하고 淮水에 성책을 쌓아 동쪽 군대를 막으니, [[謝石]]과 [[謝玄]] 등이 洛澗에서 25리 떨어진 곳에 군대를 주둔하고는 [[梁成]]을 두려워하여 감히 전진하지 못하였다. [[苻融]]이 壽陽에서 尙書尙書 朱序<font color="#0054FF" size="2">【朱序는 이전에 梁州刺史로 있었는데, 秦나라에 사로잡혀 갔다.】</font>를 보내어 晉나라 군영에 와서 [[謝石]] 등을 설득하여 항복하게 하였는데, [[朱序]]가 은밀히 [[謝石]] 등에게 이르기를 “만약 秦나라의 백만 대군이 모두 몰려오면 진실로 상대하여 싸우기 어렵다. 이제 여러 군대가 아직 모이지 않았을 때를 틈타서 공격해야 하니, 만약 그 선봉부대를 패퇴시키면 저들은 이미 기가 꺾여서 마침내 격파할 수 있을 것이다.” 하였다. [[謝石]]이 [[朱序]]의 말을 따랐다.
+
11월에 [[苻健]]이 長安에 들어와서 民心이 晉나라를 생각한다 하여 마침내 使者使者를 보내어 建康에 와서 포로와 전리품을 바치고 아울러 [[桓溫]]과 우호 관계를 맺으니, 이에 秦州와 雍州 지역의 오랑캐와 漢族들이 모두 따랐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辛亥]七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367번째 줄: 431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十一月에 [[謝玄]]이 遣[[劉牢之]]<font color="#0054FF" size="2">【廣陵相이라】</font>하야 帥精兵五千하야 趣(趨)洛澗할새 未至十里에 [[梁成]]이 阻澗爲陳(陣)<font color="#0054FF" size="2">【阻는 恃也니 恃澗自固也라 陳은 讀曰陣이라】</font>以待之어늘 [[牢之]]直前渡水하야 擊[[成]]大破之하야 斬[[成]]하고 又分兵斷其歸津하니 秦步騎崩潰하야 爭赴淮水하야 士卒死者 萬五千人이라 執秦揚州刺史揚州刺史[[王顯]]等하고 盡收其器械軍資하다 於是에 [[謝石]]等諸軍이 水陸繼進하다 [[秦王]][[堅]]이 與[[陽平公]][[融]]으로 登壽陽城하야 望之할새 見晉兵部陳嚴整하고 又望見八公山草木하고 皆以爲晉兵<font color="#0054FF" size="2">【王氏曰 八公山은 在安豐壽春縣北四里라 乃苻堅伐晉할새 望山上草木하니 皆人形이 卽此라 [通鑑要解]八公은 在今壽春縣北四里하니라 世傳漢淮南王安이 好神仙이러니 忽有八公鬚眉皓素하여 詣門求見云云이라하니 煩不引이라】</font>이라 顧謂[[融]]曰 此亦勍敵<font color="#0054FF" size="2">【勍은 强也라】</font>이니 何謂弱也오 憮然<font color="#0054FF" size="2">【失意貌라】</font>始有懼色이러라 秦兵이 逼淝水而陳하니 晉兵이 不得渡라 [[謝玄]]이 遣使하야 謂[[陽平公]][[融]]曰 君이 懸軍深入하야 而置陳逼水하니 此乃持久之計요 非欲速戰者也로다 若移陳少却하야 使晉兵得渡하야 以決勝負면 不亦善乎아 秦諸將이 皆曰 我衆彼寡하니 不如遏之하야 使不得上하야 可以萬全이리이다 [[堅]]曰 但引兵少却하야 使之半渡하고 我以鐵騎로 蹙而殺之면 蔑不勝矣라한대 [[融]]亦以爲然하야 遂麾兵使却하니 秦兵이 遂退하야 不可復止라 [[謝玄]], [[謝琰]], [[桓伊]]等이 引兵渡水擊之하니 [[融]]이 馳騎略陳<font color="#0054FF" size="2">【略은 行也니 巡行曰略이라】</font>하야 欲以帥退者라가 馬倒하야 爲晉兵所殺하니 秦兵이 遂潰라 [[玄]]等이 乘勝追擊하야 至于靑岡<font color="#0054FF" size="2">【在安豐軍하니 去壽春三十里라】</font>하니 秦兵이 大敗하야 自相蹈藉<font color="#0054FF" size="2">【藉는 與踖同하니 踐也라】</font>而死者 蔽野塞川하고 其走者는 聞風聲鶴唳하고 皆以爲晉兵且至라하야 晝夜不敢息하야 草行露宿하고 重以飢凍하야 死者什에 七八이러라 初에 秦兵小却이어늘 [[朱序]]在陳後하야 呼曰 秦兵이 敗矣라하니 衆遂大奔이라 [[序]]因與[[張天錫]]<font color="#0054FF" size="2">【丙子年에 降秦이라】</font>으로 皆來奔하다 [[堅]]은 中流矢<font color="#0054FF" size="2">【中은 傷也라 飛矢曰流矢라】</font>하고 單騎走하다
+
[辛亥]七年이라 〈趙永寧二요 魏永興二年이라 ○ 秦主苻健皇始元年이라 ○是歲에 趙亡하니 舊大國一이요 涼, , 燕小國三이요 新大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李舜臣]]曰 蜀漢之中은 古未有興王之迹也어늘 而[[漢高祖]]起自南鄭하야 以取關中하고 樊鄧之間은 古未有中興之迹也어늘 而[[漢光武]]起自南陽하야 以定河北이라 而況江東之地는 首起西陵하고 尾接東海하니 其兵之犀銳<font color="#0054FF" size="2">【犀는 堅也니 古以犀兕皮爲鎧라 故로 謂堅曰犀라】</font>는 足以破秦兵於鉅鹿<font color="#0054FF" size="2">【謂項羽라】</font>하고 其財之富厚는 足以復唐祚於靈武<font color="#0054FF" size="2">【唐[[肅宗]]이니 見四十二卷丙申年이라】</font>라 然이나 自吳以下로 國於江東者 凡六朝<font color="#0054FF" size="2">【吳, 東晉, 宋, 齊, 梁, 陳이라】</font>라 [[周瑜]]有赤壁之勝하고 [[祖逖]]<font color="#0054FF" size="2">【晉元帝丁丑年에 流民張平樊雅가 各聚衆在譙하야 爲塢主러니 逖攻降之하니라】</font>有譙城之勝하고 [[褚裒]]有彭城之勝하고 [[桓溫]]有灞上之勝하고 [[謝玄]]有淝水之勝하고 [[劉裕]]<font color="#0054FF" size="2">【在三十卷乙卯年이라】</font>有關中之勝하고 到彦之<font color="#0054FF" size="2">【在三十一卷庚午年이라】</font>有淮南之勝하고 蕭衍<font color="#0054FF" size="2">【齊[[明帝]]니 乙亥年에 與魏戰勝之라】</font>有義陽之勝하고 [[陳慶之]]<font color="#0054FF" size="2">【見三十二卷己酉年이라】</font>有洛陽之勝하고 吳明徹<font color="#0054FF" size="2">【見三十三卷癸巳年이라】</font>有淮南之勝하니 此十者는 皆起江東之師하야 以取勝中原이니 其剋敵制勝之功이 亦奇矣라 然終不能渡江而北定中原하야 以一天下하니 此는 非江東之地 便於守而不便於攻이요 蓋江東之人이 知有江東而不知有天下也일새라 向使六朝君臣이 素有幷呑之志하야 先定規模於未勝之前하고 而進乘機會於旣勝之後런들 則千乘萬騎로 起自江東而入中原이면 蓋可以鞭撻四夷하고 坐制六合이니 誰謂江東之地 土綿力薄<font color="#0054FF" size="2">【綿은 弱也라】</font>하야 而不足以擧天下也哉아 惟其平居暇日에 初未嘗有進取之心하야 而預爲必復中原之計라 是以로 一旦欲乘機會로되 而倉皇失措<font color="#0054FF" size="2">【倉皇은 一作倉黃하니 失措貌라 詩註에 忽遽貌라하니라】</font>하야 竟不能成混一之功이라 且[[苻堅]]養兵於秦中이 幾三十年이라 一旦에 驅之南下하야 欲以幷呑吳會할새 顧謂大江之流하고 投鞭可斷이라하니 志則誇矣나 而兵始一交에 全師潰散하야 相與枕藉於淝水之中하야 晉之君臣이 嘗試睥睨<font color="#0054FF" size="2">【邪視也라】</font>一世하니 此乾坤何等時耶아 挽吳江之水하야 以洗關河嵩洛之腥穢<font color="#0054FF" size="2">【謂五胡라 】</font>가 其不在玆時耶아 奈何徘徊於兗豫之間하야 竟不能過關踰鄴하야 以圖混一하고 而乃今日運米於枋頭하야 以濟[[苻丕]]之飢<font color="#0054FF" size="2">【在下甲申年이라】</font>하고 明日率軍於關陝하야 以爲[[苻堅]]之助오 夫淮淝百萬은 志欲何爲오 幸其天敗하야 粮盡力困하야 不奮兵以勦除之하고 乃擧國之大讐하야 付之相忘之域하니 豈不深可惜哉아
+
正月에 [[苻健]]이 卽天王位하야 國號를 大秦이라하고 凡趙之苛政不便於民者를 皆除之하다
 
</div>
 
</div>
 
</div>
 
</div>
378번째 줄: 442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11월에 [[謝玄]]이 劉牢之<font color="#0054FF" size="2">【劉牢之는 廣陵의 相이다.】</font>를 보내어 정예병 5천 명을 거느리고 洛澗으로 달려갈 적에 洛澗에서 10리 못 미친 곳에 이르러서 [[梁成]]이 澗水를 견고하다고 믿어 陣을 치고<font color="#0054FF" size="2">【阻는 믿는 것이니, 澗水를 믿어 스스로 견고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陳은 陣으로 읽는다.】</font> 대비하였다. [[劉牢之]]가 곧장 전진하여 澗水를 건너가서 [[梁成]]을 공격하여대파하고[[梁成]]을 목 벤 다음 마침내 군대를 나누어 돌아가는 나루터를 차단하니, 秦나라의 보병과 기병이 궤멸되어 다투어 淮水에 뛰어들어 죽은 士卒이 1만 5천 명이나 되었다. 秦나라의 揚州刺史揚州刺史[[王顯]] 등을 사로잡고 그 병기와 군수물자를 전부 몰수하였다. 이에 [[謝石]] 등의 諸軍이 水陸으로 계속하여 전진하였다. [[秦王]][[苻堅]]이 [[陽平公]][[苻融]]과 壽陽城에 올라가 이것을 바라보니 晉나라 군대의 陣列이 모두 엄정하였으며, 또 멀리서 八公山의 초목을 바라보고 모두 晉나라 병사라고 여겼다.<font color="#0054FF" size="2">【[釋義]望見八公山草木 皆以爲晉兵:[釋義]王氏가 말하였다. “八公山은 安豐軍 壽春縣 북쪽 4리에 있다. ‘苻堅이 晉나라를 정벌할 때에 산 위의 초목을 바라보니, 모두 사람의 모습이었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 [通鑑要解]八公山은 지금 壽春縣 북쪽 4里 되는 지점에 있다. 세상에 전해 오기를 “漢나라 淮南王인 劉安이 神仙을 좋아하였는데, 홀연히 수염과 눈썹이 모두 하얗게 센 八公이 갑자기 문에 찾아와 만나 보기를 구하였으므로 八公山이라 이름하였다.……” 하였는데, 번거로우므로 인용하지 않는다.】</font> 그리하여 [[苻融]]을 돌아보고 이르기를 “이 또한 강적<font color="#0054FF" size="2">【勍은 강함이다.】</font>인데, 어찌 약하다고 이른단 말인가.” 하고, 낙심하여<font color="#0054FF" size="2">【憮然은 실의한 모양이다.】</font> 비로소 두려워하는 기색이 있었다.
+
永和 7년(신해 351) - 趙나라 永寧 2년이고, 魏나라 永興 2년이다. [[秦主]][[苻健]]의 皇始 元年이다. ○ 이해에 趙나라가 망하였다.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涼‧代‧燕 등 小國이 셋이며 새로운 大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다섯이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秦나라 군대가 淝水에 바짝 붙여서 陣을 치니, 晉나라 군대가 건너갈 수가 없었다. [[謝玄]]이 사자를 보내어 [[陽平公]][[苻融]]에게 이르기를 “그대가 懸軍(원군 없이 고립된 군대)을 끌고 깊이 쳐들어와서 淝水에 바짝 붙여서 진을 치니, 이는 바로 지구전을 하려는 계책이고 빨리 싸우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만약 진영을 옮겨 조금 뒤로 물러나서 晉나라 군대가 물을 건너가게 하여 승부를 결단한다면 좋지 않겠는가.” 하니, 秦나라 장수들이 모두 말하기를 “우리는 군대가 많고 저들은 군대가 적으니, 막아서 올라오지 못하게 함으로써 萬全을 기하는 것만 못합니다.” 하였다. [[苻堅]]이 말하기를 “다만 군대를 이끌고 조금 뒤로 물러나서 저들이 반쯤 건너왔을 때에 우리가 鐵騎兵을 몰고 들어가서 저들을 죽인다면 승리하지 못할 리가 없다.” 하였는데, 苻融苻融 또한 그 말을 옳게 여겨 군대를 지휘하여 퇴각하게 하니, 秦나라 군대가 마침내 후퇴하여 다시는 후퇴를 저지할 수가 없었다.
+
정월에 [[苻健]]이 天王天王에 즉위하여 국호를 大秦이라 하고, 백성들에게 불편한 모든 趙나라의 까다로운 정사를 모두 제거하였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謝玄]], [[謝琰]], [[桓伊]] 등이 군대를 이끌고 물을 건너와 공격하였다. [[苻融]]이 말을 타고 달리면서 軍陣을 순행<font color="#0054FF" size="2">【略은 돌아다니는 것이니, 巡行하는 것을 略이라 한다.】</font>하여 퇴각하는 군사들을 통솔하고자 하다가 말이 쓰러져서 晉나라 군사에게 살해당하니, 秦나라 군대가 마침내 궤멸되었다. [[謝玄]] 등이 승세를 타고 추격하여 靑岡<font color="#0054FF" size="2">【靑岡은 安豐軍에 있으니, 壽春縣에서 30리 떨어져 있다.】</font>에 이르니, 秦軍이 대패하여 자기들끼리 밟히고 깔려서<font color="#0054FF" size="2">【藉는 踖과 같으니, 밟는 것이다.】</font> 죽은 시체가 들을 뒤덮고 냇물을 막았다. 도망하던 자들은 바람 소리와 학 울음소리를 듣고도 모두 晉나라 군대가 이르는 것이라고 여겨서 밤낮으로 도망하여 감히 쉬지 못하였다. 이들은 인적이 드문 풀숲 길로 걸어가며 露地에서 잠을 잔데다 기근과 추위까지 겹쳐 죽은 자가 열에 일곱 여덟 명이나 되었다.
 
 
</div>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처음에 秦나라 군대가 조금 퇴각했을 때에 [[朱序]]가 진영의 뒤에 있다가 고함치기를 “秦나라 군대가 패했다.” 하니, 秦나라 군사들이 마침내 크게 도망하였다. [[朱序]]가 인하여 張天錫<font color="#0054FF" size="2">【張天錫은 丙子年(376)에 秦나라에 항복하였다.】</font>과 함께 모두 晉나라 진영으로 도망쳐 왔다. [[苻堅]]은 빗나간 화살을 맞고<font color="#0054FF" size="2">【中은 상함이다. 빗나간 화살을 流矢라 한다.】</font> 單騎로 도망하였다.
+
○ 初에 [[桓溫]]이 聞[[石氏]]亂하고 上疏請出師하야 經略中原호되 事久不報라 [[溫]]이 知朝廷仗[[殷浩]]하야 以抗己하고 甚忿之나 然이나 素知[[浩]]之爲人하야 亦不之憚也라 以國無他釁이라하야 遂得相持彌年<font color="#0054FF" size="2">【久也라】</font>하니 雖有君臣之跡이나 覊縻而已요 八州<font color="#0054FF" size="2">【[[]]이 都督荊, 司, 雍, 益, 梁, 寧, 交, 廣八州하니라】</font>士衆資調<font color="#0054FF" size="2">【謂資財調賦라】</font> 殆不爲國家用이러라 屢求北伐호되 詔書不聽하다 十二月에 [[溫]]이 拜表輒行할새 帥衆四五萬하고 順流而下하야 軍于武昌하니 朝廷이 大懼라 [[司馬高崧]]이 言於[[會稽王]][[昱]]曰 王宜致書하야 諭以禍福이면 自當返旆요 如其不爾면 便六軍整駕하리니 逆順이 於玆判矣리이다하고 乃於坐에 爲[[昱]]草書<font color="#0054FF" size="2">【書曰 寇難宜平이요 時會宜接이니 此實爲國遠圖요 經略大算이라 能弘斯會는 非足下而誰리오 然이나 異常之擧는 衆之所駭니 苟或望風振擾하야 一時竝散이면 則望實竝喪하고 社稷之事去矣云云하니 [[溫]]見書하고 卽上疏하야 謝之也라】</font>하니 [[溫]]卽上疏하야 惶恐謝罪하고 回軍還鎭하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李舜臣李舜臣이 말하였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
“蜀漢 지방은 옛날에 왕업을 일으킨 자취가 있지 않았는데 漢나라 [[高祖]]가 南鄭에서 일어나 關中 지방을 취하였고, 樊城과 鄧城 사이는 옛날에 중흥한 자취가 있지 않았는데 漢나라 [[光武帝]]가 南陽에서 일어나 河北 지방을 평정하였다. 더구나 江東 지역은 머리는 西陵에서 시작되고 꼬리는 東海와 접하였으니, 병기의 단단함과 예리함<font color="#0054FF" size="2">【犀는 견고함이니, 옛날에 犀兕(무소)의 가죽으로 갑옷을 만들었다. 그러므로 견고한 것을 일러 犀라고 한다.】</font>은 秦나라 군대를 鉅鹿에서 격파<font color="#0054FF" size="2">【秦나라 군대를 鉅鹿에서 격파하였다는 것은 項羽를 이른다.】</font>할 수 있었고 재물의 풍족함은 唐나라의 국운을 靈武에서 회복<font color="#0054FF" size="2">【唐나라의 국운을 靈武에서 회복한 것은 唐나라 肅宗이니, 42권 丙申年條(756)에 보인다.】</font>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吳나라 이후로 江東에 나라를 정한 것이 모두 여섯 왕조<font color="#0054FF" size="2">【六朝는 吳‧東晉‧宋‧齊‧梁‧陳이다.】</font>였는데, [[周瑜]]는 赤壁의 승리가 있었고, 祖逖<font color="#0054FF" size="2">【晉나라 元帝 丁丑年(317)에 流民인 張平과 樊雅가 각각 譙郡에서 무리를 모아 塢主가 되었는데, 祖逖이 공격하여 항복시켰다.】</font>은 譙城의 승리가 있었고, [[褚裒]]는 彭城의 승리가 있었고, [[桓溫]]은 灞上의 승리가 있었고, [[謝玄]]은 淝水의 승리가 있었고, 劉裕<font color="#0054FF" size="2">【劉裕는 해설이 30권 乙卯年條(415)에 보인다.】</font>는 關中의 승리가 있었고, 到彦之<font color="#0054FF" size="2">【到彦之는 해설이 31권 庚午年條(430)에 보인다.】</font>는 淮南의 승리가 있었고, 蕭衍<font color="#0054FF" size="2">【蕭衍은 齊(南齊)나라 明帝이니, 乙亥年(495)에 魏(北魏)와 싸워 승리하였다.】</font>은 [[義陽]]의 승리가 있었고, 陳慶之<font color="#0054FF" size="2">【陳慶之는 해설이 32권 己酉年條(529)에 보인다.】</font>는 洛陽의 승리가 있었고, 吳明徹<font color="#0054FF" size="2">【吳明徹은 해설이 33권 癸巳年條(573)에 보인다.】</font>은 淮南의 승리가 있었다. 이 열 가지는 모두 江東의 군대를 일으켜 中原에서 승리를 취한 것이니, 적을 이기고 승리한 공이 또한 기이하다. 그러나 끝내 양자강을 건너가서 북쪽으로 中原을 평정하여 천하를 통일하지는 못하였으니, 이는 江東 지역이 지키기에 편리하고 공격하기에 불편해서가 아니라, 江東 사람들은 江東이 있는 줄만 알고 천하가 있는 줄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때 만일 六朝의 君臣들이 평소에 中原을 병탄하려는 뜻을 가지고서 승리하기 전에 規模를 미리 정하고 승리한 뒤에 나아가 기회를 탔더라면, 천 대의 수레와 만 명의 기병을 가지고 江東에서 일어나 中原으로 들어갈 수 있었을 것이니, 이렇게 했더라면 사방의 오랑캐들을 채찍질하고 가만히 앉아서 六合을 제어하였을 것이다. 누가 江東 지역이 영토가 좁고 힘이 부족해서<font color="#0054FF" size="2">【綿은 약함이다.】</font> 천하를 통일하지 못한다고 말하겠는가.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 처음에 [[桓溫]][[石氏]]가 혼란하다는 말을 듣고 上疏하여 출병해서中原을 經略經略할 것을 청하였으나 朝廷에서는 이 일에 대해 오랫동안 답을 내리지 않았다. [[桓溫]]은 조정이 [[殷浩]]에게 기대어 자신에게 항거함을 알고 매우 분해 하였지만 평소 [[殷浩]]의 사람됨을 알았으므로 또한 두려워하지 않았다. 나라에 별다른 일이 없다 하여 마침내 1년이 되도록<font color="#0054FF" size="2">【彌年은 오램이다.】</font> 서로 대치만 하니, 비록 겉으로는 君臣間의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매여 있기만 할 뿐이었고, [[桓溫]]이 관할하는〉 8州<font color="#0054FF" size="2">【[[桓溫]]이 荊州‧司州‧雍州‧益州‧梁州‧寧州‧交州‧廣州의 8州를 도독하였다.】</font>의 군사와 재물과 貢物<font color="#0054FF" size="2">【資調는 資財(資産)와 調賦(해마다 바치는 공물)를 이른다.】</font>이 거의 국가를 위해 쓰여지지 않았다. [[桓溫]]여러 번 北伐을 청하였으나 윤허하는 詔書가 내려지지 않았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다만 평소 한가로운 날에 처음부터 진취할 마음을 갖고 반드시 중원을 수복하겠다는 계획을 미리 세운 적이 없었다. 때문에 하루아침에 기회를 타려고 하다가 창졸간에 어찌할 바를 몰라<font color="#0054FF" size="2">【倉皇은 혹 倉黃으로도 쓰니, 어찌할 줄 모르는 모양이다. ≪詩經≫ 註에 “몹시 급한 모양이다.” 하였다.】</font> 끝내 천하통일의 공을 이룩하지 못한 것이다. 또 [[苻堅]]은 秦나라에서 군대를 기른 지가 거의 30년이었다. 하루아침에 이들을 몰아 南下하여 吳會 지방을 병탄하고자 할 때에 큰 강(揚子江)이 흐르는 것을 돌아보고는 채찍만 던져 넣어도 강물을 차단할 수 있다고 말하였으니, 뜻은 대단하였다. 그러나 군대가 처음 한번 교전하자마자 全軍이 궤멸되어 흩어져서 淝水 가운데에 시신이 낭자하여 晉나라의 군주와 신하가 한 세상을 얕보게<font color="#0054FF" size="2">【睥睨는 곁눈질하는 것이다.】</font> 하였으니, 이 乾坤은 어떠한 때란 말인가. 吳江의 물을 끌어다가 函谷關 등의 관문과 黃河와 嵩山과 洛陽을 차지한 비린내 나는 더러운 오랑캐들<font color="#0054FF" size="2">【비린내 나는 더러운 오랑캐는 五胡를 이른다.】</font>을 씻어 버리는 것이 어찌하여 이때에 있지 않았겠는가. 어찌하여 兗州와 [[豫州]] 사이에서 배회하여 끝내 關中을 지나가고 鄴城을 넘어가서 통일을 도모하지 못하고, 마침내 오늘 枋頭에서 쌀을 운반하여 [[苻丕]]의 굶주림을 구제하고<font color="#0054FF" size="2">【苻丕의 굶주림을 구제한 것은 뒤의 甲申年條(384)에 보인다.】</font> 다음날은 [[關陝]]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苻堅]]을 도왔단 말인가. 淮水와 淝水의 백만 군대는 뜻이 무엇을 하고자 한 것인가. 하늘이 패망하게 하여 양식이 다하고 힘이 곤궁해진 것을 요행으로 여겨서, 군대를 떨쳐 섬멸하지 않고, 마침내 나라의 큰 원수를 들어서 서로 잊어버린 것처럼 여기는 곳에 내버려 두었으니, 어찌 매우 애석하지 않은가.
+
12월에 [[桓溫]]表文을 올리고 곧바로 떠날 적에 병력 4, 5만 명을 거느리고 물길을 따라 내려와서 武昌에 군대를 주둔하니, 朝廷이 크게 두려워하였다. [[司馬]]인 [[高崧]]이 [[會稽王]][[司馬昱]]에게 말하기를 “왕이 [[桓溫]]에게 글을 보내어 禍福(出兵의 利害)으로 타이른다면 스스로 군대를 이끌고 돌아갈 것이요, 만일 이렇게 하지 않으면 곧바로 六軍六軍을 정돈하여 토벌해야 할 것이니, 반역과 순종함이 여기에서 판명이 날 것입니다.” 하고, 마침내 그 자리에서 [[司馬昱]]을 위해 편지를 초하니,<font color="#0054FF" size="2">【高崧이 초한 편지에 이르기를 “적의 禍難은 평정해야 하고 좋은 기회는 꼭 잡아야 하니, 이는 실로 국가를 다스리는 원대한 계책이요 천하를 經略하는 중대한 계획이다. 이렇게 좋은 기회를 넓힐 수 있는 것은 足下가 아니면 그 누구이겠는가. 그러나 이번의 이상한 행동은 사람들이 놀라는 바이니, 만일 혹 소문을 듣고 소요를 일으켜 足下의 군대가 일시에 모두 흩어져 버린다면 足下의 명성과 실제는 모두 수포로 돌아가고 國家의 大事는 글러 버릴 것이다.……” 하니, 桓溫이 편지를 보고 즉시 상소하여 사죄하였다.】</font>[[桓溫]]이 〈편지를 받고는〉 즉시 上疏하여 황공해하며 사죄하고 군대를 돌려 鎭으로 돌아갔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壬子]八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405번째 줄: 47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是時에 諸軍이 皆潰호되 惟[[慕容垂]]<font color="#0054FF" size="2">【己巳年에 奔秦하니 乃以[[]]爲冠軍將軍冠軍將軍이라】</font>所將三萬人이 獨全이어늘 [[堅]]以千餘騎赴之하다 世子寶言於[[垂]]曰 [[秦王]]이 兵敗하야 委身於我하니 是는 天借之以復燕祚니 此時를 不可失也니이다 [[垂]]曰 汝言이 是也라 然이나 彼以赤心으로 投命於我어늘 若之何害之리오 若[[氐]]運<font color="#0054FF" size="2">【苻氏는 氐也라 運은 運祚也라】</font>이 必窮이면 吾當懷集關東하야 以復先業耳리라 [[]]의 親黨이 多勸垂殺[[]]호되 垂皆不從하고 悉以兵授[[堅]]하다
+
[壬子]八年이라 〈魏永興三年이요 秦皇始二年이라 ○ [[燕主]][[慕容雋]]元璽元年이라 ○是歲에 魏亡하니 大二, 小二니 凡四僭國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正月에 [[秦王]][[]]이 卽皇帝位하다
 
</div>
 
</div>
 
</div>
 
</div>
413번째 줄: 48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이때 諸軍이 모두 궤멸되었으나 오직 慕容垂<font color="#0054FF" size="2">【慕容垂가 己巳年(369)에 秦나라로 달아나니, 秦나라에서 마침내 慕容垂를 冠軍將軍으로 삼았다.】</font>가 거느리던 3만 명만은 온전하였는데, [[苻堅]]이 천여 騎를 데리고 그에게 달려갔다. 世子世子[[慕容寶]]가 [[慕容垂]]에게 말하기를 “[[秦王]][[苻堅]]이 전투에 패하여 우리에게 몸을 맡겼으니, 이는 하늘이 우리에게 기회를 빌려 주어 燕나라의 국운을 회복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이때를 놓쳐서는 안 됩니다.” 하였다. [[慕容垂]]가 말하기를 “네 말이 옳으나 저가 진심으로 자신의 命運을 아낌없이 나에게 던졌는데, 어떻게 그를 해친단 말인가. 만약 우리 氐族의 운명<font color="#0054FF" size="2">【苻氏는 氐族이다. 運은 國運이다.】</font>이 반드시 곤궁하다면 나는 關東 지방을 安集시켜서 先祖의 기업을 회복할 뿐이다.” 하였다. [[慕容垂]]의 친당들이 많이 [[慕容垂]]에게 [[苻堅]]을 죽일 것을 권하였으나 [[慕容垂]]가 이를 따르지 않고 병력을 다 [[苻堅]]에게 주었다.
+
永和 8년(임자 352) - 魏나라 永興 3년이고, 秦나라 皇始 2년이다. [[燕主]][[慕容雋]]元璽 元年이다. ○ 이해에 魏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둘이고 小國이 둘이니, 僭國이 모두 넷이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정월에 [[秦王]][[苻健]]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div>
 
</div>
 
</div>
 
</div>
422번째 줄: 49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謝安]]이 得驛書하야 知秦兵已敗하다 時에 方與客圍碁러니 攝書<font color="#0054FF" size="2">【攝은 收也라】</font>置牀上하고 了無喜色하고 圍碁如故어늘 客問之한대 徐答曰 小兒輩 遂已破賊이라하더니 旣罷에 還內過戶限할새 不覺屐齒之折<font color="#0054FF" size="2">【喜甚也라 屐은 木屐이라】</font>이러라
+
○ [[殷浩]]上疏하야 請出師許, 洛<font color="#0054FF" size="2">【許昌, 洛陽이니 俱在河南이라】</font>이어늘 詔許之하다 [[浩]]之北伐也에 [[王羲之]]以書止之호되 不聽이러니 旣而無功이라 復謀再擧어늘 [[羲之]]遺[[浩]]書曰 今以區區江左로 天下寒心<font color="#0054FF" size="2">【寒心者는 恐不能自保라 是人寒甚則心戰이요 恐懼亦戰일새 以懼比寒하야 言可爲戰也라】</font>이 固已久矣라 力爭武功이 非所當作이라호되 不聽이러라
 
</div>
 
</div>
 
</div>
 
</div>
430번째 줄: 50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謝安]]이 역참에서 띄운 승전보를 받고서 秦나라 군대가 이미 패배한 것을 알았다. 이때 막 손님과 바둑을 두고 있었는데, 공문서를 거두어<font color="#0054FF" size="2">【攝은 거두는 것이다.】</font> 책상 위에 놓아둔 채 전혀 기뻐하는 기색이 없이 전처럼 바둑을 두었다. 손님이 묻자, [[謝安]]이 천천히 대답하기를 “아이들이 이미 적을 격파했습니다.” 하였는데, 바둑이 끝난 뒤 內室로 돌아가면서 문턱을 넘어갈 적에 흥분하여 신발의 굽이 부러진 것도 깨닫지 못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신발의 굽이 부러진 것도 깨닫지 못하였다는 것은 매우 기뻐한 것이다. 屐은 나막신이다.】</font>
+
○ [[殷浩]]가 上疏하여 許昌과 洛陽<font color="#0054FF" size="2">【許, 洛은 許昌과 洛陽이니, 모두 河南에 있다.】</font>으로 출병할 것을 청하자, 황제가 조서를 내려 허락하였다. [[殷浩]]가 北伐할 때에 [[王羲之]]가 편지를 보내어 만류하였으나 듣지 않았는데, 이윽고 功이 없었다. 다시 재차 거병할 것을 도모하자, [[王羲之]]가 [[殷浩]]에게 편지를 보내어 이르기를 “이제 구구한 江東 지방을 가지고 천하가 두려워한<font color="#0054FF" size="2">【寒心은 스스로 보전하지 못할까 두려워하는 것이다. 사람이 추위가 심하면 마음이 떨리고 두려움을 느껴도 떨리므로 두려움을 추위에 견주어 떨린다고 말한 것이다.】</font> 지가 진실로 이미 오래되었다. 武功을 다투기를 힘쓰는 것은 그대가 응당 해야 할 바가 아니다.”라고 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div>
 
</div>
 
</div>
 
</div>
439번째 줄: 51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秦王]][[]]이 收集離散하야 比至洛陽하니 衆이 十餘萬이요 百官儀物軍容이 粗備러라
+
四月에 燕滅魏<font color="#0054FF" size="2">【[[燕王]][[]]이 遣[[慕容恪]]하야 擊魏하야 執其主閔以歸하야 殺之하다】</font>하다
 
</div>
 
</div>
 
</div>
 
</div>
447번째 줄: 524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秦王]][[苻堅]]이 흩어진 병력을 수합하여 洛陽에 이르니, 무리가 십여만이었고 百官百官과 儀仗으로 쓰는 器物과 군사 장비가 대강 갖추어졌다.
+
4월에 燕나라가 魏를 멸망시켰다.<font color="#0054FF" size="2">【[[燕王]][[慕容雋]]이 [[慕容恪]]을 보내어 魏나라를 공격해서 [[魏主]][[冉閔]]을 잡아 가지고 돌아와서 죽였다.】</font>
 
</div>
 
</div>
 
</div>
 
</div>
456번째 줄: 53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慕容垂]]言於[[堅]]曰 北鄙之民이 聞王師不利하고 輕相扇動하니 臣이 請奉詔書하야 以鎭慰安集之하고 因過謁陵廟하노이다 [[堅]]이 許之하다 [[權翼]]이 諫曰 國兵이 新破에 四方이 皆有離心하니 宜徵集名將하야 置之京師하야 以固根本이니이다 [[垂]]는 勇略過人하고 世豪東夏하니 顧以避禍而來언정 其心이 豈止欲作冠軍而已哉잇가 譬如養鷹하야 飢則附人이나 每聞風飆<font color="#0054FF" size="2">【飆는 畢遙切이니 疾風也라】</font>之起하면 常有凌霄<font color="#0054FF" size="2">【霄는 雲霄也라】</font>之志하니 正宜謹其絛籠<font color="#0054FF" size="2">【絛는 他刀切이라 絲繩也니 所以紲鷹이요 籠은 所以畜鳥也라】</font>이니 豈可解縱하야 任其所欲哉잇가 [[堅]]曰 卿言이 是也라 然이나 朕已許之하니 匹夫도 猶不食言이어든 況萬乘乎아 天命이 有廢興하니 固非智力所能移也니라 [[翼]]曰 陛下重小信而輕社稷하시니 臣은 見其往而不返이니 關東之亂이 自此始矣리이다 [[堅]]이 不聽하다
+
十一月에 [[燕王]][[]]이 卽皇帝位하고 徙都鄴하다
 
</div>
 
</div>
 
</div>
 
</div>
464번째 줄: 541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慕容垂]][[苻堅]]에게 말하기를 “북쪽 변방의 백성들이 王의 군대가 승리하지 못했다는 말을 듣고 경솔하게 서로 선동하니, 신이 청컨대 조서를 받들고 먼저 가서 그들을 鎭撫鎭撫하고 安集시키고, 인하여 지나는 길에 陵廟를 배알할까 합니다.” 하니, [[苻堅]]이 이를 허락하였다.
+
11월에 [[燕王]][[慕容雋]]이 황제에 즉위하고鄴으로 도읍을 옮겼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權翼]]이 간하기를 “나라의 군대가 격파된 지 얼마 안 되어 사방이 모두 조정을 배반하려는 마음을 품고 있으니, 마땅히 명장들을 불러 모아서 京師에 安置하여 근본을 견고하게 해야 합니다. [[慕容垂]]는 용맹과 지략이 보통 사람보다 뛰어나고 대대로 東夏 지방에서 호걸이라고 일컬어졌으니, 다만 화를 피하기 위하여 秦나라에 왔을지언정 그의 心算이 어찌 冠軍將軍冠軍將軍이 되는 데 그칠 뿐이겠습니까. 비유하면 매를 기르는 것과 같아서, 굶주릴 때에는 사람을 따르나 매번 회오리바람<font color="#0054FF" size="2">【飆는 畢遙切(표)이니, 빠른 바람이다.】</font>이 일어나는 소리를 들을 때마다 항상 하늘 높이 날려는<font color="#0054FF" size="2">【霄는 하늘이다.】</font> 뜻이 있는 것과 같습니다. 마땅히 끈과 새장<font color="#0054FF" size="2">【絛는 他刀切(도)이다. 실끈이니 매를 묶어 매는 것이요, 籠(새장)은 새를 기르는 것이다.】</font>을 조심해서 주의해야 할 것이니, 어찌 풀어놓아서 그가 가고 싶은 대로 내버려 둔단 말입니까.” 하니, [[苻堅]]이 말하기를 “경의 말이 옳으나 이미 허락하였으니, 匹夫도 오히려 食言하지 않는데, 하물며 萬乘의 천자에 있어서랴. 天命은 폐하고 흥함이 있으니, 진실로 개인의 지혜와 힘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하였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權翼]]이 말하기를 “폐하께서는 작은 신의를 중히 여기고 社稷을 가벼이 여기시니, 신은 그가 가는 것만 볼뿐 돌아오는 것은 볼 수 없을 것입니다. 關東의 혼란이 이로부터 시작될 것입니다.” 하였으나 [[苻堅]]이 그의 말을 듣지 않았다.
 
 
</div>
 
</div>
 
</div>
 
</div>
479번째 줄: 550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秦乞伏國仁<font color="#0054FF" size="2">【隴西鮮卑人이라】</font>反於隴西하니 衆至十餘萬이러라
+
[[姚弋仲]]卒하니 子[[襄]]이 帥衆來歸하다 [[襄]]이 博學善談論하니 江東人士 皆重之러라
 
</div>
 
</div>
 
</div>
 
</div>
487번째 줄: 558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秦나라 乞伏國仁<font color="#0054FF" size="2">【乞伏國仁은 隴西의 鮮卑族 사람이다.】</font>隴西에서 배반하니, 무리가 십여만 명에 이르렀다.
+
[[姚弋仲]]이 죽으니, 아들[[姚襄(羌族)]]이 군대를 거느리고 와서 歸附하였다. [[姚襄]]박학하고 담론을 잘하니, 江東의 인사들이 모두 그를 중하게 여겼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癸丑]九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496번째 줄: 56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慕容垂]]至安陽하니 [[長樂公]][[]]<font color="#0054FF" size="2">【苻堅之庶長子니 時鎭鄴이라】</font> 館垂於鄴西어늘 [[]]潛與燕之故臣으로 謀復燕祚하다 會에 丁零翟斌<font color="#0054FF" size="2">【見上卷하니 仕秦爲中郞이라】</font>起兵叛이어늘 [[秦王]][[]]이 驛書하야 使垂將兵討之하다
+
[癸丑]九年이라 〈秦皇始三年이요 燕元璽二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姚襄]]이 屯歷陽이어늘 [[殷浩]]惡其强盛하야 屢遣刺客刺之러니 十月에 [[]]北伐할새 以[[]]爲前驅한대 [[]]이 反攻[[]]於山桑하니 [[]]大敗하다
 
</div>
 
</div>
 
</div>
 
</div>
504번째 줄: 580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慕容垂]]가 [[安陽]]에 이르니, [[長樂公]] 苻丕<font color="#0054FF" size="2">【長樂公 苻丕는 苻堅의 庶長子이니, 이때 鄴城에 鎭駐하였다.】</font>가 [[慕容垂]]에게 鄴城의 서쪽에 관사를 정해 주자, [[慕容垂]]가 은밀히 燕나라의 옛 신하들과 燕나라의 옛 基業을 회복할 것을 모의하였다. 마침 丁零族 翟斌<font color="#0054FF" size="2">【丁零 翟斌은 上卷에 보이니, 秦나라에 벼슬하여 中郞이 되었다.】</font>이 군대를 일으켜 배반하자, [[秦王]][[苻堅]]이 파발을 띄워 [[慕容垂]]로 하여금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그들을 토벌하게 하였다.
+
永和 9년(계축 353) - 秦나라 皇始 3년이고, 燕나라 元璽 2년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姚襄]]이 歷陽에 주둔하자, [[殷浩]]가 그의 강성함을 미워하여 여러 번 자객을 보내어 찔러 죽이게 하였다. 10월에 [[殷浩]]가 북벌할 때에 [[姚襄]]을 前驅로 삼았는데, [[姚襄]]이 山桑에서 도리어 [[殷浩]]를 공격하니[[殷浩]]가 대패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甲申]九年=====
+
=====[甲寅]十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515번째 줄: 594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甲申]九年이라 〈秦建元二十年이라 ○ 燕[[世祖慕容垂]]元年이라 ○ 後秦[[太祖姚萇]]白雀元年이라 ○ 舊大國一이요 新大國二니 凡三僭國이라〉
+
[甲寅]十年이라 〈秦皇始四年이요 燕元璽三年이요 [[涼王]][[張祚]]和平元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慕容垂]]自稱[[燕王]]하고 遣田山如鄴하야 告[[慕容農]]等하야 使起兵相應하고 以弟[[]]으로 爲車騎大將軍車騎大將軍하야 封[[范陽王]]하고 帥衆二十餘萬하야 長驅向鄴하다 [[慕容農]]이 起兵於列人<font color="#0054FF" size="2">【列人은 城名이라 垂至安陽하니 丕身自迎之하다 趙秋勸垂於座取丕하고 因據鄴起兵이로되 垂不從하다 丕謀襲擊垂러니 姜讓이 諫曰 垂叛形未著라한대 丕從之하고 館垂於鄴西하니 垂潛與燕之故臣으로 謀復燕祚하다 會에 翟斌叛이어늘 秦王堅이 驛書로 使垂討翟斌한대 石越이 言於丕曰 垂有興復舊業之志어늘 今復資之以兵이면 此爲虎傅(附)翼이니 請除之하소서 丕曰 淮南之敗에 垂侍衛乘輿하니 此功을 不可忘也니라 越退曰 公父子好爲小仁하고 不顧大計하니 終當爲人擒耳니라 丕遣苻飛龍하야 帥氐騎一千하야 爲之副하야 密計謀垂하다 垂聞丕, 飛龍謀하고 怒曰 吾盡忠於苻氏어늘 而彼專欲圖吾父子하니 雖欲已나 得乎아하고 乃募兵八千하야 夜襲飛龍殺之하고 遣人告農等하야 使起兵相應하니 農等이 遂將數十騎하고 微服出鄴하야 奔列人하니라】</font>하니 衆至數萬이라 [[長樂公]][[]] 使[[石越]]로 將兵討之러니 [[]]이 大敗秦兵하고 斬越하니 於是에 人情騷動하고 盜賊群起러라 垂至鄴하니 [[]]이 引兵會之하야 進攻鄴이어늘 [[]]退守中城하다
+
正月에 [[張祚]]自稱[[涼王]]<font color="#0054FF" size="2">【張祚는 涼州牧이라 [[]][[]], [[]][[茂]], [[寔]]子[[駿]], [[駿]]子[[重華]], [[重華]]子[[曜靈]]이니 涼人이 廢之하고 立[[祚]]하니 [[祚]]는 [[重華]]之庶兄이라】</font>하다 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 連年北伐할새 師徒屢敗하야 糧械都盡이라 [[桓溫]]이 因朝野之怨하야 上疏數[[浩]]之罪하고 請廢之하니 朝廷이 不得已免[[浩]]爲庶人<font color="#0054FF" size="2">【[[浩]]恒書空作咄咄怪事字하다 久之에 [[溫]]將以[[浩]]爲尙書令尙書令한대 [[浩]]欣然將答書할새 慮有誤하야 開閉十數라가 竟達空函하니 [[溫]]大怒하야 遂絶하니라 [通鑑要解][[浩]]少與[[]]齊名하니 而心競不相下하야 [[]]常輕之라 [[]]旣被黜에 雖愁怨不形辭色이나 常書空作咄咄怪事字라 久之에 [[]][[]]爲尙書令尙書令하야 書告之러니 竟達空函이라 故로 遂絶之하니 卒於徙所하니라】</font>하다 自此로 內外大權이 一歸於[[]]矣러라
 
</div>
 
</div>
 
</div>
 
</div>
526번째 줄: 605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9년(갑신 384) - 秦나라 建元 20년이다. ○ 燕(後燕)[[世祖]][[慕容垂]]의 元年이다. ○ 後秦[[太祖]][[姚萇]]의 白雀 元年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새로운 大國이 둘이니, 僭國이 모두 셋이다.-
+
永和 10년(갑인 354) - 秦나라 皇始 4년이고, 燕나라 元璽 3년이고, [[涼王]][[張祚]]의 和平 元年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慕容垂]]가 [[燕王]]이라 자칭하고[[田山]]을 보내어 鄴城에 가서 [[慕容農]] 등에게 고하여 군대를 일으켜 서로 호응하게 하고, 아우 [[慕容德]]을 車騎大將軍車騎大將軍으로 삼아[[范陽王]]에 봉하고 20여만 명의 군대를 거느리고서 기세를 몰아 鄴城으로 향하게 하였다. [[慕容農]]이 列人城에서 군대를 일으키니,<font color="#0054FF" size="2">【列人은 城의 이름이다. 慕容垂가 安陽에 이르니, 苻丕가 몸소 그를 맞이하였다. 趙秋가 慕容垂에게 그 자리에서 苻丕를 죽이고 인하여 鄴城을 점거하고 군대를 일으킬 것을 권하였으나 慕容垂가 따르지 않았다. 苻丕가 慕容垂를 습격할 것을 도모하였는데, 姜讓이 간하기를 “慕容垂가 배반하려는 형상이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고 하자, 苻丕가 그 말을 따르고 慕容垂에게 鄴城의 서쪽에 관사를 정해 주니, 慕容垂가 은밀히 燕나라의 옛 신하들과 함께 燕나라의 국통을 회복할 것을 모의하였다. 마침 翟斌이 배반하자, 秦王 苻堅이 파발을 띄워 慕容垂로 하여금 翟斌을 토벌하게 하였다. 石越이 苻丕에게 말하기를 “慕容垂가 옛 基業을 흥복하려는 뜻이 있는데, 이제 다시 군대를 빌려 준다면 이는 호랑이에게 날개를 달아 주는 격입니다. 제거하십시오.” 하니, 苻丕가 말하기를 “淮南의 패전에 慕容垂가 乘輿를 호위하였으니, 이 공을 잊을 수 없다.” 하였다. 石越이 물러 나와 말하기를 “公의 父子가 작은 仁을 행하기를 좋아하고 큰 계책은 생각하지 않으니, 끝내 남에게 사로잡히게 될 것이다.” 하였다. 苻丕가 苻飛龍을 보내어 氐族의 騎兵 1천 명을 거느리고 慕容垂의 副將이 되게 하여 은밀히 慕容垂를 살해할 것을 계획하였다. 苻丕와 苻飛龍이 모의했다는 말을 듣고 慕容垂가 노하여 말하기를 “나는 苻氏에게 충성을 다했는데 저들은 오로지 우리 父子를 도모하고자 하니, 내 비록 그만두고자 하나 될 수 있겠는가.” 하고는 마침내 8천 명의 병력을 모집하여 밤에 苻飛龍을 습격하여 죽이고, 사람을 보내어 慕容農 등에게 알려서 군대를 일으켜 서로 호응하게 하니, 慕容農 등이 마침내 수십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微服 차림으로 鄴城을 나와 列人城으로 달려 왔다.】</font> 무리가 수만 명에 이르렀다. [[長樂公]][[苻丕]][[石越]]로 하여금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慕容農]]을 토벌하게 하였는데, [[慕容農]]이 秦나라 군대를 패퇴시키고 [[石越]]의 목을 베니, 이에 인심이 동요하고 도적들이 떼지어 일어났다. [[慕容垂]]가 鄴城에 이르자 [[慕容農]]이 군대를 이끌고 모여서 鄴城으로 진격하니, [[苻丕]]가 후퇴하여中城을 지켰다.
+
정월에 [[張祚]]가 [[涼王]]이라 자칭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張祚]]는 涼州牧이다. [[張軌]]의 아들이 [[張寔]]이고, [[張寔]]의 아우가 [[張茂]]이고, [[張寔]]의 아들이 [[張駿]]이고, [[張駿]]의 아들이 [[張重華]]이고, [[張重華]]의 아들이 [[張曜靈]]이다. 涼州 사람들이 [[張曜靈]]을 폐하고 [[張祚]]를 세웠으니, [[張祚]]는 [[張重華]]의 庶兄이다.】</font>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가 여러 해를 계속하여 북벌할 때에 군사들이 여러 번 패하여 군량과 병기가 모두 떨어졌다. [[桓溫]]이 朝野가 원망하는 틈을 타서 上疏하여 [[殷浩]]의 죄를 열거하고 폐출할 것을 청하니, 조정이 부득이 [[殷浩]]를 면직하여 庶人庶人으로 삼았다.<font color="#0054FF" size="2">【[附註][[殷浩]]를 면직하여 庶人으로 삼으니, [[殷浩]]가 항상 허공에 咄咄怪事라는 글자를 쓰곤 하였다. 오랜 뒤에 [[桓溫]]이 장차 [[殷浩]]를 尙書令尙書令으로 삼으려 하자, [[殷浩]]가 기뻐하여 장차 답서를 보내려 할 적에 오류가 있을까 우려하여 뜯어보고 봉함하기를 십수 번 하다가 끝내 빈 봉투를 보내니, [[桓溫]]크게 노하여 마침내 [[殷浩]]와 절교하였다. [通鑑要解][[殷浩]]가 젊었을 적에 [[桓溫]]과 명성이 똑같으니, [[桓溫]]은 마음속으로 다투고 서로 낮추지 아니하여 항상 [[殷浩]]를 경시하였다. [[殷浩]]는 축출당한 뒤에 비록 근심과 원망을 말과 안색에 드러내지 않았으나 항상 허공에 咄咄怪事라는 글자를 썼다. 오랜 뒤에 [[桓溫]]이 장차 [[殷浩]]를 尙書令尙書令으로 삼고자 하여 이를 편지로 알렸는데, [[殷浩]]가 답서를 보낼 적에〉 마침내 빈 봉투를 보냈으므로 크게 노하여 끝내 절교하니, [[殷浩]]는 유배지에서 죽었다.】</font> 이로부터 내외의 큰 권력이 모두 [[桓溫]]에게로 돌아갔다.
 
</div>
 
</div>
 
</div>
 
</div>
538번째 줄: 61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秦北地<font color="#0054FF" size="2">【郡名也라】</font>長史[[慕容泓]]이 [[燕王垂]]攻鄴하고 亡奔關東하야 收集鮮卑하니 衆至數千이라 還屯華陰하다
+
○ [[桓溫]]이 統步騎四萬하고 伐秦하야 進至霸上하니 三輔郡縣이 皆來降이라 [[]]이 撫諭居民하야 使安堵復業하니 民이 爭持牛酒迎勞라 男女는 夾路觀之하고 耆老는 有垂泣者하야 曰 不圖今日에 復覩官軍이라하더라
 
</div>
 
</div>
 
</div>
 
</div>
546번째 줄: 625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秦나라 北地<font color="#0054FF" size="2">【北地는 郡의 이름이다.】</font>長史 [[慕容泓]]이 [[燕王]][[慕容垂]]가 鄴城을 공격하였다는 말을 듣고 關東으로 도망하여 鮮卑族을 수합하니, 무리가 수천 명에 이르렀다. 돌아와 華陰에 주둔하였다.
+
○ [[桓溫]]이 보병과 기병 4만 명을 거느리고 秦나라를 정벌할 적에 진격하여 霸上에 이르니, 三輔三輔의 郡縣이 모두 와서 항복하였다. [[桓溫]]이 거주하는 백성들을 어루만지고 타일러서, 백성들로 하여금 사는 곳을 편안히 여기고 生業으로 돌아가게 하니, 백성들이 다투어 쇠고기와 술을 가지고 와서 맞이하고 위로하였다. 이에 남녀들은 길의 좌우에 늘어서서 이것을 구경하였고, 耆老들은 눈물을 흘리면서 말하기를 “오늘날 다시 官軍官軍을 보게 될 줄은 생각지도 못했다.” 하였다.
 
</div>
 
</div>
 
</div>
 
</div>
555번째 줄: 634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平陽太守平陽太守[[慕容沖]]이 亦起兵於平陽하야 有衆二萬하다
+
○ [[北海王]][[猛]]이 少好學하고 倜儻<font color="#0054FF" size="2">【不羈貌요 高遠貌라】</font>有大志하야 不屑細務하니 人皆輕之호되 [[猛]]은 悠然自得하야 隱居華陰이러니 聞[[桓溫]]入關하고 披褐<font color="#0054FF" size="2">【披는 通作被라 平聲이니 (褐)[裮]被衣帶也라 〈褐은〉 以毛毳織之라】</font>詣之하야 捫蝨而談當世之務호되 旁若無人이라 [[溫]]異之하야 問曰 吾奉天子之命하야 將銳兵十萬하고 爲百姓除殘賊이어늘 而三秦豪傑이 未有至者는 何也오 [[猛]]曰 公이 不遠數千里하고 深入敵境하야 今長安咫尺이어늘 而不度(渡)霸水하니 百姓이 未知公心<font color="#0054FF" size="2">【[[桓溫]]이 破秦入關而不渡者는 恐官軍知難而退也라 又史註云 疑[[溫]]有異志也라하니라】</font>하야 所以不至니이다 [[溫]]이 嘿然無以應하고 徐曰 江東엔 無卿比也라하고 乃署<font color="#0054FF" size="2">【署는 除也니 謂除官이라】</font>猛軍謀祭酒하다
 
</div>
 
</div>
 
</div>
 
</div>
563번째 줄: 642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平陽太守平陽太守[[慕容沖]]이 또한 平陽에서 군대를 일으켜 병력 2만 명을 보유하였다.
+
北海의 [[王猛]]이 젊어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의기가 드높아<font color="#0054FF" size="2">【倜儻은 매이지 않는 모양이요, 高遠한 모양이다.】</font> 큰 뜻이 있어서 소소한 일을 좋아하지 않으니, 사람들이 모두 그를 경시하였으나 [[王猛]]은 悠然히 自得하여 華陰에 은거하였는데, [[桓溫]]이 關中으로 들어왔다는 말을 듣고 짧은 갈옷을 입고<font color="#0054FF" size="2">【披는 被와 통용된다. 平聲(헤치다)이니, 옷에 띠를 매지 않은 것이다. 갈옷은 털로 짜서 만든다.】</font> 찾아가서 이를 잡으며 당세의 일을 말하되 옆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거리낌이 없었다. [[桓溫]]이 기이하게 여겨 묻기를 “내가 天子의 命을 받들어 정예병 10만 명을 거느리고 백성을 위해 잔당들을 제거하는데, 三秦의 호걸 중에 찾아오는 자가 없음은 어째서인가?” 하니, [[王猛]]이 말하기를 “公이 수천 리를 멀다 하지 않고 적의 국경에 깊숙이 들어와서 이제 長安이 지척에 있는데도 霸水를 건너가지 않으니, 백성들이 公의 마음을 알지 못하여<font color="#0054FF" size="2">【[通鑑要解]不度霸水……未知公心:桓溫이 秦나라를 격파하고 關中에 들어갔는데도 霸水를 건너가지 않은 것은 官軍이 상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후퇴할까 해서였다. 또 史註에 이르기를 “桓溫이 딴 뜻이 있다고 의심한 것이다.” 하였다.】</font> 이 때문에 이르지 않는 것입니다.” 하였다. [[桓溫]]이 묵묵히 대답이 없다가 천천히 말하기를 “江東 지방에는 卿에게 비교할 사람이 없다.” 하고, 마침내 [[王猛]]을 軍謀祭酒軍謀祭酒로 서용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署는 제수함이니, 관직을 제수하는 것을 이른다.】</font>
 
</div>
 
</div>
 
</div>
 
</div>
572번째 줄: 651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秦將[[姚萇]]<font color="#0054FF" size="2">【[[姚弋仲]]之子요 [[襄]]之弟라】</font>이 起兵於北地하고 自稱[[後秦王]]하다
+
初에 [[]]이 指秦麥以爲粮이러니 旣而요 秦人이 悉芟麥하니 溫軍이 乏食이라 六月에 徙關中<font color="#0054FF" size="2">【東有函谷關하고 南有嶢關, 武關하고 西有散關하고 北有蕭關故로 名關中이라】</font>三千餘戶而歸할새 秦兵이 追擊之한대 [[]]軍이 屢敗하다
 
</div>
 
</div>
 
</div>
 
</div>
580번째 줄: 65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秦나라 장수 姚萇<font color="#0054FF" size="2">【姚萇은 姚弋仲의 아들이고 姚襄의 아우이다.】</font>이 北地에서 군대를 일으키고[[後秦王]]이라 자칭하였다.
+
처음에 [[桓溫]]이 意中에 秦나라 지방의 보리를 군량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겼는데, 이윽고 秦나라 사람이 보리를 모두 베어 가니 [[桓溫]]의 군대가 식량이 부족하였다. 6월에 關中<font color="#0054FF" size="2">【동쪽에는 函谷關, 남쪽에는 嶢關과 武關, 서쪽에는 散關, 북쪽에는 蕭關이 있으므로 關中이라고 이름하였다.】</font>의 3천여 가호를 옮기고 돌아올 적에, 秦나라 군대가 추격하자 [[桓溫]]의 군대가 여러 번 패하였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乙卯]十一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589번째 줄: 670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秦[[竇衝]]이 擊[[慕容沖]]于河東하야 大破之하니 [[]]이 [[慕容泓]]하다 [[泓]]衆이 至十餘萬이라 進向長安이러니 六月에 [[泓]]의 謀臣[[高蓋]] 殺[[泓]]하고 立[[沖]]爲皇太弟하야 承制行事하고 置百官하다
+
[乙卯]十一年이라 〈秦主苻生壽光元年이라 ○ 燕元璽四年이라 ○ 涼去年號하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六月에 [[秦主]][[]]이 卒하고 太子[[]]이 卽位하다
 
</div>
 
</div>
 
</div>
 
</div>
597번째 줄: 681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秦나라 [[竇衝]][[慕容沖]]을 河東에서 공격하여대파하니, [[慕容沖]]이 [[慕容泓]]에게로 달아났다. [[慕容泓]]의 병력이 10여만 명에 이르렀다. 전진하여 長安으로 향하였는데, 6월에 [[慕容泓]]의 謀臣인 [[高蓋]]가 [[慕容泓]]을 죽이고 [[慕容沖]]을 세워 皇太弟로 삼아서 制를 받들어 정사를 행하고 百官을 설치하였다.
+
永和 11년(을묘 355) - [[秦主]][[苻生]]의 壽光 元年이다. ○ 燕나라 元璽 4년이다. ○ 涼나라가 和平이란 年號를 없앴다.-
 
</div>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6월에 [[秦主]][[苻健]]이 죽고, 태자 [[苻生]]이 즉위하였다.
 
</div>
 
</div>
|}
+
</div>
 +
|}</div><div class="clsB">
 +
=====[丙辰]十二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606번째 줄: 695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八月에 燕兵이 圍秦[[長樂公]][[]]於鄴하니 鄴中이 芻粮俱盡하야 削松木飼馬라 [[燕王垂]]謂諸將曰 [[苻丕]]는 窮寇라 必無降理니 不如退屯新城하야 開丕西歸之路하야 以謝秦王疇昔之恩<font color="#0054FF" size="2">【疇는 發語辭라 己巳年에 垂奔秦하니 秦王堅이 郊迎하야 以爲冠軍將軍하니라】</font>이라하고 乃解圍하고 趨新城하다
+
[丙辰]十二年이라 〈秦壽光二年이요 燕元璽五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桓溫]]이 自江陵北伐할새 與寮屬으로 登平乘樓하야 望中原하고 歎曰 遂使神州陸沈<font color="#0054FF" size="2">【神州는 中國也니 註見懷帝永嘉五年하니라 陸은 高平地요 沈은 溺也라 神州陸沈은 謂中原淪沒也니 猶王道陵夷之義라 [通鑑要解]中國名曰 赤縣神州라 內有九州하니 禹之序九州 是也라 陸沈은 謂無水而沈이라】</font>하야 百年丘墟는 王夷甫諸人이 不得不任其責<font color="#0054FF" size="2">【謂王衍等이 尙淸談하고 而不恤王事하야 以致夷狄亂華也라】</font>이라하더라
 
</div>
 
</div>
 
</div>
 
</div>
614번째 줄: 70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8월에 燕나라 군대가 秦나라 [[長樂公]][[苻丕]]를 鄴城에서 포위하니, 鄴城 안의 꼴과 식량이 모두 떨어져 소나무를 벗겨 말을 먹일 지경에 이르렀다. [[燕王]][[慕容垂]]가 諸將에게 이르기를 “[[苻丕]]는 곤궁한 적이다. 반드시 항복할 리가 없으니, 후퇴하여 新城에 주둔해서 [[苻丕]]가 서쪽으로 돌아갈 길을 열어 주어 [[秦王]]의 옛 은혜<font color="#0054FF" size="2">【疇는 發語辭이다. 己巳年(369)에 慕容垂가 秦나라로 도망쳐 오니, 秦王 苻堅이 郊外에서 맞이하여 그를 冠軍將軍으로 삼았다.】</font>에 사례하는 것만 못하다.하고는 마침내 포위를 풀고 新城으로 달려갔다.
+
永和12년(병진 356) - 秦나라 壽光 2년이고, 燕나라 元璽 5년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桓溫]]이 江陵에서 北伐할 적에 동료들과 함께 큰 배 위의 누각에 올라가서 中原을 바라보고 한탄하기를 “마침내 中原을 매몰시켜<font color="#0054FF" size="2">【[釋義]神州는 中國이니, 註가 懷帝 永嘉 5年條(311)에 보인다. 陸은 높고 평평한 곳이요 沈은 빠짐이다. 神州가 陸沈했다는 것은 中原이 쇠퇴함을 이르니, 王道가 陵夷(쇠퇴)하였다는 뜻과 같다. [通鑑要解]中國을 이름하기를 赤縣神州라 한다. 중국 안에 九州가 있으니, 禹王이 九州를 차서한 것이 이것이다. 陸沈은 물이 없이 육지가 가라앉은 것과 같음을 이른다.】</font> 百年의 基業이 폐허가 되게 한 것은 [[王夷甫(王衍)]] 등 여러 사람이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다.<font color="#0054FF" size="2">【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은 王衍 등이 淸談을 숭상하고 國事를 돌보지 않아서 夷狄들이 中華를 어지럽히게 만들었음을 이른다.】</font>” 하였다.
 
</div>
 
</div>
 
</div>
 
</div>
623번째 줄: 718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太保安]]<font color="#0054FF" size="2">【安은 謝安이라】</font>이 奏請호되 乘[[苻氏]]傾敗하야 開拓<font color="#0054FF" size="2">【拓은 斥開也라】</font>中原이라하야 以[[謝玄]], [[桓]], [[石虔]]等으로 伐秦하니 河南城堡<font color="#0054FF" size="2">【堡는 廣韻에 堡障은 小城也라하니라】</font> 皆來歸附라 [[謝玄]]이 遣晉陵太守晉陵太守[[滕恬之]]하야 渡河據黎陽하다
+
八月에 [[]]至伊水하니 姚襄이 撤圍拒之어늘 [[]]이 結陳(陣)而前하야 親被甲督戰하니 襄衆이 大敗하야 死者數千人이라 襄이 帥麾下數千騎하고 奔于洛陽北山하니 周成이 帥衆出降하다 溫이 屯故太極殿前이러니 旣而요 徙屯金墉城하다 謁諸陵하고 有毁壞者면 修復之하고 以二千人戍洛陽하야 衛山陵하고 執周成以歸하니 姚襄<font color="#0054FF" size="2">【姓名이니 弋仲子라】</font>이 奔平陽<font color="#0054FF" size="2">【襄이 後欲圖關中하야 帥衆伐秦이라가 兵敗하야 爲秦所殺하니 弟萇이 帥其衆降秦하니라】</font>하다
 
</div>
 
</div>
 
</div>
 
</div>
631번째 줄: 72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保太保 謝安<font color="#0054FF" size="2">【安은 謝安이다.】</font>주청하기를 “[[苻氏]]가 형세가 기울어 패한 틈을 타서 中原을 개척<font color="#0054FF" size="2">【拓은 물리쳐서 개간하는 것이다.】</font>해야 한다.”고 하여 [[謝玄]]과 [[謝桓]]과 [[石虔]] 등을 데리고 가서 秦나라를 치니, 河南의 城堡<font color="#0054FF" size="2">【堡는 ≪廣韻≫에 “堡障은 작은 城이다.” 하였다.】</font>가 모두 와서 歸附하였다. [[謝玄]]이 晉陵太守晉陵太守[[滕恬之]]를 보내서 황하를 건너 黎陽을 점거하였다.
+
8월에 [[桓溫]]이 伊水에 이르니, [[姚襄]]이 洛陽의 포위를 풀고 와서 [[桓溫]]을 막았다. [[桓溫]]이 陣을 치고 전진하여 직접 갑옷을 입고 싸움을 독려하니, [[姚襄]]의 무리가 크게 패하여 죽은 자가 수천 명이었다. [[姚襄]]이 휘하의 騎兵 수천 명을 거느리고 洛陽의 北山으로 달아나니, [[周成]]이 무리를 거느리고 나와서 항복하였다. [[桓溫]]옛 太極殿 앞에 주둔하였는데, 이윽고 金墉城으로 옮겨 주둔하였다. 여러 陵에 배알하였고 허물어져 파괴된 곳이 있으면 수리하여 복구하였으며, 2천 명을 洛陽에 주둔시켜 山陵을 호위하게 하고 [[周成]]을 사로잡아 돌아오니, 姚襄<font color="#0054FF" size="2">【姚襄은 姓名이니, 姚弋仲의 아들이다.】</font>이 平陽으로 달아났다.<font color="#0054FF" size="2">【姚襄이 뒤에 關中을 도모하고자 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秦나라를 정벌했다가 군대가 패하여 秦나라에게 죽임을 당하니, 아우 姚萇이 군대를 거느리고 秦나라에 항복하였다.】</font>
 
</div>
 
</div>
 
</div>
 
</div>
640번째 줄: 735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燕王]][[垂]] 復引兵圍鄴하니 [[丕]]進退路窮이라 會에 [[謝玄]]이 遣[[劉牢之]]等하야 據碻磝<font color="#0054FF" size="2">【王氏曰 碻磝는 城名이라 然二字俱在五爻韻이요 又碻는 本作䂭라 按宋重修廣韻註하면 䂭는 口交反이요 磝는 五交反이라 䂭磝는 (成)[城]名이니 今濟州是라】</font>, 滑臺<font color="#0054FF" size="2">【春秋鄭之廩延邑이니 後魏置東郡하고 又改滑州하니라】</font>러니 [[丕]]請救於[[玄]]이어늘 [[玄]]이 乃遣[[劉牢之]]하야 率衆二萬하야 救鄴하고 [[丕]]告饑어늘 [[玄]]이 水陸運米二千斛以饋之하다
+
十月에 燕大司馬恪이 圍段龕<font color="#0054FF" size="2">【龕은 音堪이라 初에 鮮卑段蘭이 領其衆하고 徙廣固러니 辛亥年에 來降하니 以爲鎭北將軍하고 封齊公이라】</font>於廣固하니 十一月에 龕이 面縛出降이어늘 恪이 撫安新民하고 悉定齊地하다
 
</div>
 
</div>
 
</div>
 
</div>
648번째 줄: 74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燕王]][[慕容垂]]가 다시 군대를 이끌고 鄴城을 포위하니, [[苻丕]]가 진퇴양난에 빠졌다. 마침 [[謝玄]]이 [[劉牢之]] 등을 보내 碻磝<font color="#0054FF" size="2">【王氏(王幼學)가 말하였다. “碻磝는 城의 이름이다. 그러나 碻와 磝 두 글자가 모두 五爻(요)의 韻에 있으며, 또 碻는 본래 䂭字로 되어 있다. 宋나라에서 重修한 ≪廣韻≫의 註를 살펴보면 䂭는 口交反(교)이고 磝는 五交反()이다. 䂭磝는 城의 이름이니, 지금의 濟州가 이곳이다.” 하였다.】</font>와 滑臺城<font color="#0054FF" size="2">【滑臺는 春秋時代 鄭나라의 廩延邑이니, 後魏가 東郡을 설치하고 또 滑州로 고쳤다.】</font>을 점거하였는데, [[苻丕]]가 [[謝玄]]에게 구원을 청하자 [[謝玄]]이 마침내 [[劉牢之]]를 보내 2만 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鄴城을 구원하게 하였으며, [[苻丕]]가 굶주림을 고하자 [[謝玄]]이 水陸으로 쌀 2천 斛을 운반하여 공급했다.
+
10월에 燕나라 大司馬大司馬[[慕容恪]]이 段龕<font color="#0054FF" size="2">【龕은 音이 감이다. 처음에 鮮卑族인 段蘭이 무리를 끌고서 廣固로 옮겨 갔는데, 신해년(351)에 晉나라에 와서 항복하니 그를 鎭北將軍으로 삼고 齊公에 봉하였다.】</font>을 廣固에서 포위하니, 11월에 [[段龕]]이 두 손을 등 뒤로 돌려 묶고 얼굴을 사람들에게 보이도록 앞으로 향하고 나와서 항복하였다. [[慕容恪]]이 새로 歸附한 백성들을 어루만져 위로하고 齊나라 지역을 다 평정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乙酉]十年=====
+
=====[丁巳]升平元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659번째 줄: 754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乙酉]十年이라 〈[[秦王]][[苻丕]]大安元이요 燕二요 後秦白雀二年이라 ○ [[西燕主]][[慕容沖]]更始元年이라 ○ [[西秦王]][[乞伏國仁]]建義元年이라 舊大國三이요 新大國一이요 小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
[丁巳]升平元年이라 〈[[秦主]]苻堅永興元年이라 燕光壽元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慕容沖]]이 卽帝位於阿房<font color="#0054FF" size="2">【是爲西燕이라 [通鑑要解]先時에 謠曰 鳳凰止阿房이라하니 堅曰 鳳凰은 非梧桐이면 不捿요 非竹實이면 不食이라하고 乃植桐竹數十萬株于阿房하야 以待之하니라 沖小字鳳凰이니 至是하야 止阿房城이라】</font>하다
+
[[秦主]][[生]]이 飮酒無晝夜하야 乘醉多所殺戮하니 群臣이 得保一日을 如度十年이라 東海王堅<font color="#0054FF" size="2">【洪之孫이요 雄之子라】</font>이 素有時譽하야 與薛讚, 權翼<font color="#0054FF" size="2">【故姚襄參軍이라】</font>善이러니 [[讚]], [[翼]]이 密說[[堅]]曰 主上이 猜忌暴虐하야 中外離心하니 方今에 宜主秦祀者 非殿下而誰오 願早爲計하야 勿使他姓得之하소서 [[堅]]이 以問尙書尙書[[呂婆樓]]한대 [[婆樓]]曰 僕里舍에 有王猛者하니 其人謀略이 不世出이니 殿下宜請而咨之하소서 堅이 因婆樓以招猛하야 一見如舊友하고 語及時事에 堅大悅하야 自謂如劉玄德之遇諸葛孔明也라하니라
 +
</div>
 +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新增][[養心吳氏]]曰 [[孔明]]은 三代之遺才니 王猛이 豈其儔匹哉아 若論[[劉玄德]]之信任이면 則[[堅]]實無愧之矣리라
 
</div>
 
</div>
 
</div>
 
</div>
670번째 줄: 768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10년(을유 385) - [[秦王]][[苻丕]]의 大安 元年이고, 燕나라 2년이고, 後秦白雀 2년이다. ○ [[西燕主]][[慕容沖]]의 更始 元年이다. ○ [[西秦王]][[乞伏國仁]]의 建義 元年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셋이며, 새로운 大國이 하나이고 小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다섯이다.-
+
升平 元年(정사 357) - [[秦主]][[苻堅]]의 永興 元年이다. ○ 燕나라 光壽 元年이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慕容沖]]이 [[阿房城]]에서 황제에 즉위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原註]이(慕容沖)가 바로 西燕이다. [通鑑要解]이보다 앞서 동요에 이르기를 “鳳凰이 阿房에 머문다.” 하니, 苻堅이 말하기를 “鳳凰은 오동나무가 아니면 깃들지 않고 竹實이 아니면 먹지 않는다.” 하고는 마침내 오동나무와 대나무 수십만 그루를 阿房城에 심어 놓고 봉황을 기다렸다. 慕容沖의 小字가 鳳凰이니, 이때에 이르러 阿房城에 머물렀다.</font>
+
[[秦主]][[苻生]]이 밤낮없이 술을 마셔서 술김에 살육을 많이 자행하니, 群臣들이 하루 동안 목숨을 보전하는 것을 십 년처럼 여겼다. [[東海王]][[苻堅]]<font color="#0054FF" size="2">【東海王 苻堅은 蒲洪의 손자이고 苻雄의 아들이다.】</font>이 평소에 당시 사람들의 칭찬이 있어서 薛讚‧權翼<font color="#0054FF" size="2">【薛讚과 權翼은 옛날에 姚襄의 參軍이었다.】</font>과 친하였는데, [[薛讚]]과 [[權翼]]이 은밀히 [[苻堅]]을 설득하기를 “주상이 잔인하고 포학무도하여 中外의 마음이 떠났으니, 현재 秦나라의 제사를 주관해야 할 자는 전하가 아니고 누구이겠습니까. 바라건대 일찍 계책을 세워서 他姓으로 하여금 나라를 얻게 하지 마소서.” 하였다. [[苻堅]]이 尙書尙書[[呂婆樓]]에게 묻자, [[呂婆樓]]가 말하기를 “저희 마을에 사는 사람 중에 [[王猛]]이라는 자가 있어 그 사람의 모략이 좀처럼 세상에 나타나지 않을 만큼 뛰어나니, 전하께서는 그를 초청하여 자문하소서.” 하였다. [[苻堅]]이 [[呂婆樓]]를 통하여 [[王猛]]을 초대해서 한 번 만나 보고는 오래된 친구처럼 여겼으며, 당세의 일을 언급하자 [[苻堅]]이 크게 기뻐하여 스스로 [[劉玄德]]이 [[諸葛孔明]]을 만난 것과 같다고 여겼다.
 +
</div>
 +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新增][[養心吳氏]]가 말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孔明]]은 三代 시대의 遺才(후세의 뛰어난 인재)이니, [[王猛]]이 어찌 그에게 匹敵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만약 [[劉玄德]]의 신임을 가지고 논한다면 [[苻堅]]이 실로 [[劉玄德]]에게 부끄럽지 않을 것이다.”
 
</div>
 
</div>
 
</div>
 
</div>
682번째 줄: 78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四月에 [[劉牢之]]至鄴하니 [[燕王]]垂 邀擊大破之라 坐軍敗하야 徵還하다
+
梁平老<font color="#0054FF" size="2">【御史中丞也라】</font>等이 謂[[]]曰 主上失德하야 上下嗷嗷하야 人懷異志하니 燕, 晉二方이 伺隙而動이면 恐禍發之日에 家國俱亡일까하노니 此는 殿下之事也니 宜早圖之하소서 [[]]然之하다 堅이 與[[呂婆樓]]로 帥麾下三百人하야 鼓譟而進하니 宿衛<font color="#0054FF" size="2">【宿은 守也라】</font>將士 皆舍仗<font color="#0054FF" size="2">【仗은 五兵總名이니 五兵은 謂矛戟弓劍戈라】</font>歸堅호되 生猶醉寐라 堅兵이 引生置別室하고 廢爲越王이러니 尋殺之하다 堅이 乃去皇帝號하고 稱大秦天王이라하다
 
</div>
 
</div>
 
</div>
 
</div>
690번째 줄: 794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4월에 [[劉牢之]]가 鄴城에 이르자 [[燕王]][[慕容垂]]가 기다리고 있다가 공격하여대파하니, 敗戰한 죄에 걸려서 부름을 받고 소환되었다.
+
梁平老<font color="#0054FF" size="2">【梁平老는 御史中丞이다.】</font> 등이 [[苻堅]]에게 이르기를 “주상이 德을 잃어 上下가 원망하여 사람들이 딴 마음을 품고 있으니, 燕나라와 晉나라 두 방면이 틈을 엿보아 출동하면 禍亂이 일어났을 때에 집안과 나라가 함께 망할까 두렵습니다. 이는 전하의 일이니, 빨리 도모하셔야 합니다.” 하니, [[苻堅]]이 이 말을 옳게 여겼다. [[苻堅]]이 [[呂婆樓]]와 함께 휘하 300명을 거느리고서 북을 치고 함성을 지르며 진격하니, 궁궐을 宿衛<font color="#0054FF" size="2">【宿은 지킴이다.】</font>하던 장병들이 모두 병장기<font color="#0054FF" size="2">【仗은 다섯 가지 병기의 총칭이니, 다섯 가지 병기는 矛‧戟‧弓‧劍‧戈를 이른다.】</font>를 버리고 [[苻堅]]에게 歸附하였는데, [[苻生]]은 오히려 취하여 자고 있었다. [[苻堅]]의 군사들이 [[苻生]]을 끌어다가 別室에 유치하고 폐출하여[[越王]]으로 삼았다가 오래지 않아 그를 죽였다. [[苻堅]]이 마침내 [[皇帝]]의 칭호를 없애고[[大秦天王]]이라고 칭하였다.
 
</div>
 
</div>
 
</div>
 
</div>
699번째 줄: 80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五月에 [[西燕主]][[沖]]<font color="#0054FF" size="2">【垂復興於山東하고 而沖稱號於關中이라 故로 書西燕以別之也라】</font>이 攻長安이어늘 [[秦王]][[堅]]이 身自督戰할새 飛矢滿體하야 流血淋漓라 沖이 縱兵暴掠하니 關中士民이 流散하고 道路斷絶하야 千里無煙이러라 [[堅]]이 大懼하야 以讖書云 帝出五將이면 久長得이라하야 乃留[[太子宏]]하야 守長安하고 遂出奔五將山하다 [[後秦王]][[萇]]이 遣驍騎將軍驍騎將軍[[吳忠]]하야 帥騎圍之하니 秦兵이 皆散走호되 [[堅]]이 神色自若하야 坐而待之라 俄而오 [[忠]]至執之하야 送詣新平하야 幽於別室<font color="#0054FF" size="2">【後秦王萇이 幽秦堅於別室하고 使求傳國璽하니 堅叱之曰 五胡次序에 無汝羌名이라 璽已送晉하니 不可得也라하니라 萇이 遣人殺之하고 欲隱其名하야 諡堅曰 壯烈天王이라하다】</font>이러니 [[萇]]이 遣人하야 縊[[堅]]於新平佛寺하다
+
十一月에 [[秦王]][[堅]]이 行至尙書하야 以文案不治라하야 免左丞{相}程卓官하고 以王猛代之하다 堅이 擧異才하고 修廢職하며 課農桑하고 恤困窮하며 禮百神하고 立學校하며 旌節義하고 繼絶世하니 秦民이 大悅이러라
 
</div>
 
</div>
 
</div>
 
</div>
707번째 줄: 811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5월에 [[西燕主]] 慕容沖<font color="#0054FF" size="2">【慕容垂는 山東에서 燕나라를 다시 일으키고, 慕容沖은 關中에서 燕이라고 호칭하였다. 그러므로 西燕이라고 써서 구별한 것이다.】</font>이 長安을 공격하자, [[秦王]][[苻堅]]이 몸소 전투를 독려하였는데, 이때 流矢가 몸에 가득 꽂혀 흘러나온 피가 흥건했다. [[慕容沖]]이 군대를 풀어서 사납게 노략질하니, 關中의 선비와 백성들이 이리저리 흩어져 달아나고 도로에 행인들이 끊어져 천리를 가도 밥 짓는 연기가 나지 않았다. [[苻堅]]이 크게 두려워하여 圖讖書에 “皇帝가 나가서 五將에 이르면 천하를 장구하게 지킬 수 있다.”고 했다 하여, 마침내 太子太子[[慕容宏]]을 남겨 두어 長安을 지키게 하고는 마침내 나가 五將山으로 도망하였다.
+
11월에 [[秦王]][[苻堅]]이 巡視巡視하다가 尙書臺尙書臺에 이르러서 文案文案이 제대로 다스려지지 못했다 하여 左丞左丞[[程卓]]을 직위에서 면직시키고[[王猛]]으로 대신하게 하였다. [[苻堅]]이 특이한 재능이 있는 자를 천거하고 폐지된 정사를 닦으며, 농업과 양잠을 권장하고 곤궁한 자들을 구휼하며, 여러 神들에게 제사를 올리고 학교를 세우며, 節義가 있는 인물을 표창하고 後嗣가 없는 賢者의 代를 이어주니, 秦나라 백성들이 크게 기뻐하였다.
 +
</div>
 +
</div>
 +
|}</div><div class="clsB">
 +
=====[戊午]二年=====
 +
</div><div class="contData">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戊午]二年이라 〈秦永興二年이요 燕光壽二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後秦王]][[姚萇]]이 驍騎將軍驍騎將軍[[吳忠]]을 보내어 기병을 거느리고 포위하게 하니, 秦나라 군대가 모두 흩어져 달아났으나 [[苻堅]]은 정신과 얼굴빛을 변치 않고 태연자약하게 앉아서 기다렸다. 얼마 후 [[吳忠]]이 이르러 [[苻堅]]을 사로잡아서新平으로 보내어 별실에 가두었는데,<font color="#0054FF" size="2">【後秦王 姚萇이 秦王 苻堅을 別室에 가두고 사람을 보내 傳國璽를 요구하니, 苻堅이 꾸짖기를 “五胡의 次序에 너희 羌人의 이름은 없다. 傳國璽는 이미 晉나라로 보냈으니 줄 수가 없다.” 하였다. 姚萇이 사람을 보내어 苻堅을 죽이고 자기 이름을 숨기고자 하여 苻堅의 시호를 壯烈天王이라 하였다.】</font>[[姚萇]]이 사람을 보내 新平의 佛寺에서 [[苻堅]]을 목 졸라죽였다.
+
九月에 秦大旱이어늘 堅이 減膳徹樂하고 命后妃以下하야 悉去羅紈하고 開山澤之利하야 公私共之하고 息兵養民하니 旱不爲災라 [[王猛]]이 日親幸用事러라
 
</div>
 
</div>
 
</div>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升平 2년(무오 358) - 秦나라 永興 2년이고, 燕나라 光壽 2년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9월에 秦나라에 크게 가뭄이 들자, [[苻堅]]이 음식의 가짓수를 줄이고 음악을 연주하지 않고 后妃 이하에게 명하여 모두 비단옷을 입지 못하게 하였으며, 山林과 川澤의 이로움을 개방하여 公私가 함께 이용하게 하고 전투를 중지하고 백성들을 기르니, 가뭄이 들었으나 재앙이 되지 않았다. [[王猛]]이 날로 더욱 친애와 총애를 받아 用事하였다.
 +
</div>
 +
</div>
 +
|}</div><div class="clsB">
 +
=====[庚申]四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溫公]]曰 論者皆以爲[[秦王]][[堅]]之亡은 由不殺[[慕容垂]], [[姚萇]]故也라하나 臣獨以爲不然이라 [[許劭]]謂[[魏武帝]]는 治世之能臣이요 亂世之姦雄이라하니 使[[堅]]治國에 無失其道면 則[[垂]], [[萇]]은 皆秦之能臣也니 烏能爲亂哉아 [[堅]]之所以亡은 由驟勝而驕故也라 [[魏文侯]]問[[李克吳]]之所以亡한대 對曰 數戰數勝이니이다 [[文侯]]曰 數戰數勝은 國之福也어늘 何故亡고 對曰 數戰則民疲하고 數勝則主驕하니 以驕主御疲民이면 未有不亡者也라하니 [[秦王]][[堅]]이 似之矣로다
+
[庚申]四年이라 〈秦甘露二年이라 ○ 燕幽帝慕容暐建熙元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歷年圖曰 [[石氏]]之彊也에 氐, 羌之屬이 無不內徙而爲臣이러니 一朝失馭에 而角立爲患하니 理固然也라 [[苻洪]]이 徘徊枋頭하야 有虎踞中原之志라 以健<font color="#0054FF" size="2">【洪之世子라】</font>爲不肖나 然猶西取關中<font color="#0054FF" size="2">【肖는 似也라 洪病甚하야 謂健曰 吾所以未入關者는 以爲中州可定이러니 今不幸爲豎子所困이라 中州는 非汝所能辦이니 我死어든 汝急入關하라하고 言終而卒하다 豎子所困은 謂趙將麻秋 爲洪所獲하야 以爲將軍이러니 秋因宴鴆洪하니라】</font>하고 幷[[姚襄]]<font color="#0054FF" size="2">【姚襄은 弋仲第五子니 見二十八卷丙辰年의 奔平陽注라】</font>하고 却[[桓溫]]<font color="#0054FF" size="2">【見二十八卷甲寅年이라】</font>하야 遂彊其國하며 [[堅]]以雄才英略으로 加之慈惠忠信하고 擧[[王猛]]於布衣하야 任之以政하야 勳舊不能離하고 親戚不敢妬하니 非至明이면 能如是乎아 故로 能呑彊燕, 擧河西하고 兼巴蜀, 包漢沔하고 俘索頭<font color="#0054FF" size="2">【索頭는 鮮卑別部也니 姓拓跋氏라 其俗이 以索辮髮이라 因號索頭라】</font>, 屠龜玆<font color="#0054FF" size="2">【龜는 音丘요 玆는 音慈라[頭註]龜玆는 西域國名이라】</font>하야 奄有天下十分之九하니 五胡<font color="#0054FF" size="2">【見二十六卷이라】</font>之盛이 未有如[[]]者也라 觀其擧百萬之衆하야 以攻晉할새 先爲之除宮築第하야 以待其君臣하니 意以爲羅中之禽을 往無不獲也러니 及一戰而敗에 遂顚沛不振하야 昔之俘囚降虜가 皆起而爲敵이라 數月之間에 寇讐徧於四方하고 戎馬塞於郊甸<font color="#0054FF" size="2">【甸은 自邦國以及四郊之內라】</font>하야 以至身死人手하고 子孫殄滅은 何哉오 論者皆咎堅寵信羌與鮮卑<font color="#0054FF" size="2">【謂姚萇, 慕容垂라】</font>하고 輕於伐晉이나 彼皆睹其迹而言之요 未達其本也라 要之컨대 [[堅]]恃其强大하야 易而無備하니 此其所以敗亡也夫인저
+
正月에 [[燕主]][[]]이 疾篤하야 召大司馬大司馬, [[太原王]][[]]하야 受遺詔輔政而卒하니 太子暐卽位하다
 
</div>
 
</div>
 
</div>
 
</div>
729번째 줄: 857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溫公]]이 말하였다.
+
升平 4년(경신 360) - 秦나라 甘露 2년이다. ○ 燕나라 [[幽帝]][[慕容暐]]의 建熙 元年이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정월에 [[燕主]][[慕容雋]]이 병이 위독해지자, 大司馬大司馬‧[[太原王]][[慕容恪]]을 불러서 遺詔를 받아 정사를 보필하게 하고 죽으니, 太子太子[[慕容暐]]가 즉위하였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의론하는 자들은 모두 [[秦王]][[苻堅]]이 멸망한 것은 [[慕容垂]]와 [[姚萇]]을 죽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하나 나는 홀로 그렇지 않다고 여긴다. [[許劭]]가 이르기를 ‘魏나라 [[武帝(曹操)]]는 治世의 유능한 신하이고 亂世의 姦雄이다.’라고 하였다. 만일 [[苻堅]]이 나라를 다스림에 바른 도리를 잃지 않았다면 [[慕容垂]]와 [[姚萇]]은 모두 秦나라의 유능한 신하였을 것이니, 어찌 난을 일으킬 수 있겠는가.
 
 
</div>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
[[苻堅]]이 망한 이유는 갑자기 승리하여 교만해졌기 때문이다. 魏나라 [[文侯]]가 [[李克]]에게 吳나라가 망한 이유를 묻자, 대답하기를 ‘자주 싸워서 자주 승리하였기 때문입니다.’ 하였다. [[文侯]]가 ‘자주 싸워서 자주 승리함은 국가의 복인데, 무슨 이유로 망하였는가?’ 하고 묻자, 대답하기를 ‘자주 싸우면 백성들이 지치고 자주 승리하면 군주가 교만해지니, 교만한 군주로써 지친 백성을 부리면 망하지 않을 자가 없습니다.’ 하였으니, [[秦王]][[苻堅]]이 이와 같았다.”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 朝廷이 初聞[[燕主]][[]]卒하고 皆以爲中原可圖라호되 [[桓溫]]曰 慕容恪이 尙在하니 憂方大耳라하더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歷年圖》에 말하였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
“[[石氏]]가 강할 때에는 氐族과 羌族의 무리가 안으로 옮겨 와서 신하 노릇 하지 않음이 없었는데, 하루아침에 통치 능력을 잃게 되자 맞서서 우환이 되었으니, 이는 이치상 당연한 것이다. [[苻洪]]은 枋頭에 배회하여 범처럼 웅크리고 앉아서 中原을 병탄할 마음을 품었으며, 苻健<font color="#0054FF" size="2">【苻健은 苻洪의 세자이다.】</font>은 불초하다고 하였으나 오히려 서쪽으로 關中을 취하고<font color="#0054FF" size="2">【[附註]以健爲不肖 然猶西取關中:肖는 같음이다. 苻洪이 병이 심해지자, 아들인 苻健에게 이르기를 “내가 關中에 들어가지 않은 까닭은 中州(東晉)를 평정할 수 있다고 여겨서였는데, 지금 불행히도 豎子에게 곤욕을 당했다. 中州는 네가 차지할 수 있는 바가 아니니, 내가 죽거든 너는 급히 關中으로 들어가라.” 하고는 말을 마치자 죽었다. 豎子에게 곤욕을 당했다는 것은 趙나라 장수 麻秋가 苻洪에게 사로잡히자 그를 장군으로 삼았는데, 麻秋가 연회를 틈타 苻洪에게 짐독을 먹인 일을 이른 것이다.】</font>[[姚襄]]을 겸병하며<font color="#0054FF" size="2">【姚襄은 姚弋仲의 다섯째 아들이니, 28권 丙辰年條(356)의 奔平陽 注에 보인다.】</font>[[桓溫]]을 물리쳐서<font color="#0054FF" size="2">【桓溫을 물리친 일은 28권 甲寅年條(354)에 보인다.】</font> 마침내 자기 나라를 강하게 하였으며, [[苻堅]]은 영웅의 재주와 지략에 자애로운 은혜와 忠信을 겸하였고 布衣로 있던 [[王猛]]을 등용하여 정사를 맡겨서 勳舊의 신하가 이간질하지 못하고 친척들이 감히 질투하지 못하게 하였으니, 지극히 밝은 자가 아니면 이와 같을 있겠는가. 그러므로 강한 燕나라를 병탄하고河西 지방을 차지하고 巴‧蜀 지방을 겸병하고 漢‧沔 지방을 포괄하며 索頭<font color="#0054FF" size="2">【索頭는 鮮卑族 중의 한 부족이니, 姓은 拓跋氏이다. 풍속에 변발을 하였기 때문에 인하여 索頭라 호칭한 것이다.】</font>를 사로잡고 龜玆國<font color="#0054FF" size="2">【[原註]龜는 음이 구이고, 玆는 음이 자이다.[頭註]龜玆는 西域의 나라 이름이다.】</font>을 도륙하여 순식간에 천하의 10분의 9를 차지하였으니, 五胡<font color="#0054FF" size="2">【五胡는 26권에 보인다.】</font>의 성대함이 [[苻堅]]과 같은 경우는 있지 않았다. [[苻堅]]이 백만 명의 군대를 동원하여 晉나라를 공격할 때에 먼저 궁궐을 소제하고 집을 지어서 晉나라의 君臣들을 대비하였으니, 마음속으로 생각하기를 晉나라의 君臣들은 그물 속의 새와 같아서 어디를 가든 잡지 못함이 없을 것이라고 여긴 것인데, 한번 싸워 패하자 마침내 낭패를 당하여 떨치지 못해서 옛날 포로로 잡혔던 죄수와 항복한 오랑캐들이 모두 일어나 적이 되었다. 그리하여 몇 달 사이에 적과 원수가 사방에 두루 널리고 軍馬가 郊甸<font color="#0054FF" size="2">【甸은 나라 안으로부터 사방 郊外의 이내까지이다.】</font>에 가득 차서 몸이 남의 손에 죽고 자손이 멸망함에 이르렀으니, 이는 어째서인가? 의론하는 자들은 모두 [[苻堅]]이 羌族과 鮮卑族<font color="#0054FF" size="2">【羌族과 鮮卑族은 姚萇과 慕容垂를 이른다.】</font>을 총애하고 신임하였으며 晉나라를 경솔하게 정벌한 것을 탓한다. 그러나 저들은 모두 그 자취만을 보고 말하는 것이요 그 근본은 알지 못한 것이다. 요컨대 [[苻堅]]은 자기 나라가 강성하고 큰 것만 믿고 상대방을 쉽게 여겨 대비가 없었으니, 이것이 어쩌면 패망한 이유일 것이다.”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 晉나라 조정에서 처음에 [[燕主]][[慕容雋]]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는 모두 中原을 수복할 있다고 여겼으나 [[桓溫]]이 말하기를 “[[慕容恪]]이 아직 살아 있으니, 우환이 한창 크다.” 하였다.
 
</div>
 
</div>
 
</div>
 
</div>
751번째 줄: 88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保太保[[]]이 薨하니 以[[琅邪(琊)王]][[道子]]<font color="#0054FF" size="2">【簡文帝子라】</font>로 錄尙書事錄尙書事<font color="#0054FF" size="2">【錄은 總也라】</font>하다
+
[[謝安]]이 少有<font color="#0054FF" size="2">【少는 言自少라】</font>重名하야 前後徵辟에 皆不就하고 寓居會稽하야 以山水文籍自娛하니 雖爲布衣나 時人이 皆以公輔期之라 士大夫至相謂曰 [[安石]]이 不出하니 當如蒼生何오하니라 年四十餘에 [[桓溫]]이 請爲司馬司馬한대 安이 乃赴召하니 [[溫]]이 大喜하야 深禮重之러라
 
</div>
 
</div>
 
</div>
 
</div>
759번째 줄: 895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保太保[[謝安]]이 죽으니, [[琅琊王]] 司馬道子<font color="#0054FF" size="2">【司馬道子는 簡文帝(司馬昱)의 아들이다.】</font>를 錄尙書事<font color="#0054FF" size="2">【錄은 총괄하는 것이다.】</font>로 삼았다.
+
[[謝安]]이 젊어서부터<font color="#0054FF" size="2">【少는 젊어서부터라는 뜻이다.】</font> 두터운 명망이 있어서 전후의 부름에 모두 나아가지 않고 會稽에 우거하여 山水와 文籍을 스스로 즐기니, 비록 포의의 신분이었으나 세상 사람들이 모두 公卿과 宰輔로 기대하였다. 사대부들이 심지어 서로 이르기를 “[[安石(謝安)]]이 세상에 나오지 않으니, 천하의 백성을 어찌해야 한단 말인가.” 하였다. 나이 40여 세에 [[桓溫]]이 司馬司馬가 될 것을 청하자 [[謝安]]이 마침내 부름에 달려가니, [[桓溫]]이 크게 기뻐하여 매우 예우하고 소중히 여겼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辛酉]五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768번째 줄: 90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長樂公]][[丕]] 在鄴이라가 將西赴長安이러니 入至晉陽하야 始知長安不守하야 [[堅]]已死하고 乃發喪하고 卽皇帝位하다
+
[辛酉]五年이라 〈秦甘露三年이라 ○ 燕建熙二年이라 是歲에 涼奉升平之號하니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五月에 帝崩하니 無嗣라 [[琅邪(琊)王]][[丕]] 卽皇帝位<font color="#0054FF" size="2">【帝崩하니 無嗣라 皇太后令曰 琅琊王丕는 中興正統이니 義望情地 莫與爲比라 其以爲王하야 奉大統하라하다】</font>하다
 
</div>
 
</div>
 
</div>
 
</div>
776번째 줄: 91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長樂公]][[苻丕]]가 鄴城에 있다가 서쪽으로 향하여 長安으로 달려가려 하였는데, 晉陽에 들어와서 비로소 長安을 지켜내지 못하여 [[苻堅]]이 이미 죽은 것을 알고는 마침내 喪을 발표하고 황제에 즉위하였다.
+
升平 5년(신유 361) 〈秦나라 甘露 3년이다. ○ 燕나라 建熙 2년이다. 이해에 涼나라가 東晉[[穆帝]]의 연호인 升平을 받들어 사용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5월에 황제가 崩하니, 후사가 없었다. [[琅琊王]][[司馬丕]]황제에 즉위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穆帝가 崩하니 후사가 없었다. 皇太后가 명령하기를 “琅琊王 司馬丕는 中興 후의 正統이니, 의리와 명망, 인정과 지위로 볼 때 비길 만한 자가 없다. 그를 황제로 삼아 大統을 받들게 하라.” 하였다.】</font>
 
</div>
 
</div>
 
</div>
 
</div>
785번째 줄: 92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十二月에 [[燕王]][[]] 始定都中山하고 卽皇帝位하다
+
○ [[范寗]]이 好儒學하고 性質直이라 常(嘗)謂王弼, 何晏<font color="#0054FF" size="2">【魏人이니 見二十五卷己巳年이요 晏은 又見二十六卷丁巳年이라】</font>之罪가 深於[[]], [[紂]]<font color="#0054FF" size="2">【諡法에 賊人多殺曰桀이요 殘義損善曰紂라】</font>라 或以爲貶之太過라한대 [[寗]]曰 王, 何가 蔑棄典文하고 幽沈仁義하야 游辭浮說로 波蕩後生하야 使搢紳<font color="#0054FF" size="2">【搢은 揷也요 紳은 大帶也니 謂揷笏於紳也라 周禮註에 搢은 讀作薦이니 謂揷之於紳帶之間也라】</font>之徒로 翻然改轍하야 以至禮壞樂崩하고 中原傾覆하니 遺風餘俗이 至今爲患이라 [[桀]], [[紂]]는 縱暴一時나 適足以喪身覆國하야 爲後世戒하니 豈能迴百姓之視聽哉리오 故로 吾以爲一世之禍는 輕하고 歷代之患은 重하며 自喪之惡은 小하고 迷衆之罪는 大也라하노라
 
</div>
 
</div>
 
</div>
 
</div>
793번째 줄: 93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12월에 [[燕王]][[慕容垂]]가 비로소 中山에 도읍을 정하고 황제에 즉위하였다.
+
○ [[范寗]]은 儒學을 좋아하며 성질이 질박하고 정직하였는데, 일찍이 말하기를 “[[王弼]]과 [[何晏]]<font color="#0054FF" size="2">【王弼과 何晏은 魏나라 사람이니, 25권 己巳年條(249)에 보인다. 何晏은 또 26권 丁巳年條(297)에 보인다.】</font>의 죄가 [[桀]]‧[[紂]]<font color="#0054FF" size="2">【諡法에 “사람을 해치고 많이 죽이는 것을 桀이라 하고, 의로운 사람을 해치고 선한 사람을 손상시키는 것을 紂라 한다.” 하였다.】</font>보다도 심하다.” 하였다. 혹자가 말하기를 “폄하하기를 너무 지나치게 한다.” 하자, [[范寗]]이 말하기를 “[[王弼]]과 [[何晏]]은 經典과 文獻을 멸시하며 仁義를 인멸시켜 근거 없는 말과 부화한 말로 후생들을 미혹시켰다. 그리하여 士大夫<font color="#0054FF" size="2">【搢은 꽂음이고 紳은 큰 띠이니, 搢紳은 笏을 큰 띠에 꽂는 것을 이른다. ≪周禮≫ 註에 “搢은 천(진)으로 읽으니, 紳帶의 사이에 꽂는 것을 이른다.” 하였다.】</font>들로 하여금 번연히 발자취를 고치게 하여 禮樂이 붕괴되고 中原이 전복되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으며 남은 풍속이 지금까지도 폐해가 되고 있다. [[桀]]‧[[紂]]는 비록 한 때에 방종하고 포학하였으나 다만 자기 몸을 죽이고 나라를 전복시켜서 후세의 경계가 될 뿐이니, 어찌 백성들의 보고 들음을 바꿀 수 있었겠는가. 그러므로 나는 생각건대 한 대의 禍患은 가볍고 역대의 禍患은 중하며, 자기 몸을 망치는 죄악은 작고 무리를 미혹시키는 죄악은 크다고 여긴다.” 하였다.
 
</div>
 
</div>
 
</div>
 
</div>
802번째 줄: 94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呂光]]<font color="#0054FF" size="2">【秦尙書呂婆樓之子也라 略陽氐人이니 是爲後涼이라】</font>이 自稱涼州刺史涼州刺史하다
+
十二月에 [[秦王]][[堅]]이 命牧伯守宰하야 各擧孝悌廉直과 文學政事호되 察其所擧하야 得人者는 賞之하고 非其人者는 罪之하니 由是로 人莫敢妄擧하고 而請託不行이라 當是之時하야 內外之官이 率皆稱職하야 田疇修闢하니 倉庫充實하고 盜賊이 屛息<font color="#0054FF" size="2">【屛은 蔽也요 息은 鼻息也라 屛藏其氣息은 言懼甚也라】</font>이러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史略 史評]史斷曰 [[康帝]]는 降年不永하니 無足多者요 [[穆帝]]는 襁褓之資로 母后稱制하야 中外無事 十有餘年이라 維時에 石虎死하야 胡中大亂이어늘 朝廷이 乃用殷浩하야 蕩平關河라 然이나 用違其才하야 卒致山桑之敗하니 晉之威權이 自此로 一歸[[桓溫]]矣라 蓋[[溫]]與浩 少而齊名하니 晉人之用浩는 本圖抗溫이라 故로 其敗也에 溫之勢浸以熾焉하니라
 
</div>
 
</div>
 
</div>
 
</div>
810번째 줄: 95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呂光<font color="#0054FF" size="2">【呂光은 秦나라 尙書 呂婆樓의 아들이다. 略陽의 氐人이니, 이가 바로 後涼이다.】</font>이 涼州刺史涼州刺史라고 자칭하였다.
+
12월에 [[秦王]][[苻堅]]이 牧牧‧伯伯‧守守‧宰宰에게 명하여 각각 孝悌와 廉直과 文學과 政事 등의 科目으로 인재를 천거하게 하되 천거된 사람을 살펴서 적임자인 경우에는 천거한 사람에게 상을 내리고 적임자가 아닌 경우에는 죄를 주니, 이로 말미암아 사람들이 감히 망령되이 천거하지 못하고 청탁이 행해지지 않았다. 이때를 당하여 內外의 관직이 모두 잘 수행되어 田野가 닦여지고 개간되니, 창고가 충실하고 도적들이 숨을 죽였다.<font color="#0054FF" size="2">【屛은 가리는 것이요 息은 코로 숨을 쉬는 것이다. 숨을 죽였다는 것은 두려움이 심함을 말한다.】</font>
 
</div>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康帝康帝는 수명이 길지 못하였으니 칭찬할 만한 점이 없고, [[穆帝]]는 포대기에 싸인 어린 아이로 母后母后가 稱制하여 나라 안팎이 무사한 것이 십여 년이었다. 이때에 [[石虎]]가 죽어 오랑캐가 크게 어지러웠는데, 조정에서 [[殷浩]]를 등용하여 關河(요해처)를 완전히 평정하였다. 그러나 인재를 잘못 등용하여 끝내 山桑의 패배를 불러 왔으니, 晉나라의 위세와 권력이 이로부터 한결같이 [[桓溫]]에게로 돌아갔다. [[桓溫]]과 [[殷浩]]는 젊어서부터 명성이 대등하였으니, 晉나라에서 [[殷浩]]를 등용한 것은 본래 [[桓溫]]에게 대적하려 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殷浩]]가 패배하자 [[桓溫]]의 세력이 점차 강성해진 것이다.”
 
</div>
 
</div>
|}
+
</div>
 +
|}</div><div class="clsB">
 +
====哀皇帝====
 +
</div><div class="clsB">
 +
=====哀皇帝 名丕요 字千齡이니 成帝長子라 在位四年이요 壽二十五라=====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819번째 줄: 97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乞伏國仁]]이 自稱秦, 河二州牧하다
+
[[哀皇帝]]<font color="#0054FF" size="2">【恭仁短折曰哀라】</font> 名[[丕]]요 字[[千齡]]이니 [[成帝]]長子라 在位四年이요 壽二十五라
 
</div>
 
</div>
 
</div>
 
</div>
827번째 줄: 984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西秦의 [[乞伏國仁]]이 秦州와 河州 두 州의 牧을 자칭하였다.
+
哀皇帝<font color="#0054FF" size="2">【공손하고 어질지만 일찍 죽은 것을 哀라 한다.】</font>는 이름이 [[]]요 字가 [[千齡]]이니, [[成帝]]의 長子이다. 재위가 4년이고 壽가 25세이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丙戌]十一年=====
+
=====[壬戌]隆和元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838번째 줄: 995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丙戌]十一年이라 〈[[秦王]][[苻登]]太初元이요 燕建興元이요 後秦建初元이요 [[西燕主]][[慕容永]]中興元年이라 ○ [[魏太祖]][[道武帝]][[拓跋珪]]登國元年이요 [[涼王]][[呂光]]太安元年이라 ○ 舊大國四요 小國一이요 新大國一이요 小國一이니 凡七僭國이라〉
+
[壬戌]隆和元年이라 〈秦甘露四年이요 燕建熙三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拓跋珪]]<font color="#0054FF" size="2">【見上丙子年이라 拓跋은 複姓이니 立爲代王이라】</font> 大會於牛川하고 卽代王位하다
+
正月에 [[桓溫]]이 上疏하야 請遷都洛陽하고 自永嘉之亂<font color="#0054FF" size="2">【懷帝爲劉聰所執이라】</font>으로 播流江表<font color="#0054FF" size="2">【播流는 播越流離也요 江表는 中原以江南爲江表라】</font>者를 請一切北徙하야 以實河南한대 朝廷이 畏溫하야 不敢爲異나 而北土蕭條하야 人情이 疑懼하니 雖竝知不可나 莫敢先諫이러라 散騎常侍孫綽이 上疏曰 昔에 中宗<font color="#0054FF" size="2">【元帝廟號라】</font>龍飛에 非惟信順<font color="#0054FF" size="2">【易大傳曰 天之所助者順也요 人之所助者信也라】</font>協於天人이요 實賴萬里長江하야 畫而守之耳러니 今自喪亂已來로 六十餘年<font color="#0054FF" size="2">【自賈后之廢하고 趙王倫之誅로 繼而諸王交兵하고 胡羯乘之而起하야 天下大亂이 至是六十餘年이라】</font>에 河, 洛丘墟하고 函夏<font color="#0054FF" size="2">【函은 謂函谷關이니 關之東爲中夏也라 故曰函夏也라 又函은 容也요 夏는 大也니 言中原之地 所函容者大也라】</font>蕭條하야 士民이 播流江表하야 已經數世라 存者는 老子長孫하고 亡者는 丘隴成行하니 雖北風之思<font color="#0054FF" size="2">【詩北風篇曰 北風其喈하니 雨雪其霏로다 惠而好我로 携手同歸라하니라[頭註]胡馬는 每北風則翹首北望이라】</font>가 感其素心이나 目前之憂 實爲交切이라 植根江外<font color="#0054FF" size="2">【中原以江南爲江外라】</font> 數十年矣어늘 一朝에 頓欲拔之하야 驅踧於空荒之地<font color="#0054FF" size="2">【頓은 遽也라 踧은 音祝이니 至也요 又行謹敬也라】</font>하니 提挈萬里에 踰險浮深하야 離墳墓, 棄生業이면 田宅을 不可復售<font color="#0054FF" size="2">【售는 賣物去手라】</font>요 舟車를 無從而得이라 捨安樂之國하고 適習亂之鄕은 國家之所宜深慮也니이다 [[王述]]曰 [[溫]]이 欲以虛聲威朝廷耳요 非實事也니 但從之면 自無所至리이다 事果不行하다 [[溫]]이 又議移洛陽鍾虡<font color="#0054FF" size="2">【虡는 音巨니 鍾鼓之跗에 以猛獸爲飾이라 又作鐻하니 樂器所懸이니 橫曰筍이요 植曰虡라】</font>어늘 述曰 永嘉不競<font color="#0054FF" size="2">【競은 疆也라 懷帝永嘉五年에 爲劉聰所獲이라 故云永嘉不競也라니라】</font>하야 暫都江左하니 方當蕩平區宇하고 旋軫舊京이요 若其不爾면 宜改遷園陵이니 不應先事鍾虡니라 [[溫]]이 乃止하다
 
</div>
 
</div>
 
</div>
 
</div>
849번째 줄: 1,00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11년(병술 386) - [[秦王]][[苻登]]의 太初 元年이고, 燕나라(後燕) 建興 元年이고, 後秦建初 元年이고, [[西燕主]][[慕容永]]의 中興 元年이다. ○ 魏나라 [[太祖]]道武帝道武帝[[拓跋珪]]의 登國 元年이고, [[涼王(後涼)]][[呂光]]의 太安 元年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넷이고 小國이 하나이며, 새로운 大國이 하나이고 小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일곱이다.-
+
隆和 元年(임술 362) - 秦나라 甘露 4년이고, 燕나라 建熙 3년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정월에 [[桓溫]]이 上疏하여 洛陽으로 천도할 것을 청하고, 永嘉의 난리<font color="#0054FF" size="2">【永嘉의 亂은 晉 懷帝가 漢나라(前趙)劉聰에게 사로잡힌 일을 가리킨다.】</font>로부터 江外(江南)로 옮겨 온<font color="#0054FF" size="2">【播流는 피난하여 이곳저곳으로 떠돌아다니는 것이요, 江表는 中原에서 揚子江 남쪽 지역을 江表라 하였다.】</font> 자들을 일체 북쪽으로 옮겨서 河南을 충실히 할 것을 청하였는데, 조정에서 [[桓溫]]을 두려워하여 감히 異見을 말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북쪽 지방이 황량하여 민심이 의심하고 두려워하니 비록 모두들 옮기는 것이 불가함을 알았으나 감히 먼저 간하지 못하였다. 散騎常侍散騎常侍[[孫綽]]이 상소하기를 “옛날 [[中宗(元帝)]]<font color="#0054FF" size="2">【中宗은 元帝의 廟號이다.】</font>이 즉위하자 誠信과 和順함<font color="#0054FF" size="2">【≪周易≫ 〈繫辭傳〉에 이르기를 “하늘이 돕는 것은 順함이요(하늘은 이치를 순히 따르는 자를 도와주고), 사람이 돕는 것은 誠信이다.(사람은 성실한 자를 도와준다)” 하였다.】</font>이 天意와 民心에 합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로 萬里의 長江에 의지해서 경계로 삼아 지켰습니다. 이제 국가에 난리가 있은 이래로 60여 년인데,<font color="#0054FF" size="2">【[頭註]今自喪亂已來 六十餘年:賈后가 폐출되고 趙王 司馬倫이 죽임을 당함으로부터 계속하여 諸王이 서로 交戰하고 胡와 羯이 이 틈을 타고 일어나 천하가 크게 어지러웠는데, 이때에 이르러 60여 년이 되었다.】</font>黃河와 洛陽 일대가 빈 터가 되고 函夏(中原 지역)<font color="#0054FF" size="2">【函은 函谷關을 이르니, 함곡관의 동쪽이 中夏이므로 函夏라고 이른 것이다. 또 函은 용납하는 것이고 夏는 큼이니, 中原 지역은 포용하는 것이 큼을 말한 것이다.】</font>가 쓸쓸하여 관리와 백성들이 江外로 옮겨 온 지 이미 몇 대가 지났습니다. 그리하여 생존한 자는 자식이 이미 늙고 손자가 장성했으며 죽은 자는 무덤이 행렬을 이루고 있으니, 비록 北方에 대한 그리움<font color="#0054FF" size="2">【[釋義]≪詩經≫ 〈北風篇〉에 이르기를 “北風이 차갑게 부니 함박눈이 펄펄 내리도다. 사랑하여 나를 좋아하는 이와 손을 잡고 함께 돌아가리라.” 하였다.[頭註]胡馬는 매양 北風이 불면 머리를 들고 북쪽을 바라본다.】</font>이 평소 그들의 마음을 흔들리게 하지만 目前의 우환이 실로 더욱 절박합니다. 江外<font color="#0054FF" size="2">【江外는 中原에서 揚子江 남쪽 지역을 江外라고 한다.】</font>에 뿌리를 내린 지가 수십 년인데 하루아침에 갑자기 뽑아다가 텅 비고 황량한 땅에 내몰고자 하니,<font color="#0054FF" size="2">【[頭註]頓欲拔之 驅踧於空荒之地:頓은 갑자기이다. 踧은 音이 축이니 이르는 것이요, 또 행실을 삼가고 공경하는 것이다.】</font> 가솔들을 이끌고 만 리를 감에 험한 산을 넘고 깊은 물을 건너서 先塋을 떠나고 生業을 버리게 되면 田地와 집을 다시 살<font color="#0054FF" size="2">【售는 물건을 팔아서 手中을 떠난 것이다.】</font> 수가 없고 배와 수레를 얻을 길이 없습니다. 안락한 나라를 버리고 오랫동안 전란을 겪었던 고향으로 가는 것은 국가가 깊이 염려해야 할 바입니다.” 하였다. [[王述]]이 말하기를 “[[桓溫]]이 큰소리쳐서 조정을 위협하고자 한 것일 뿐이지 실제의 일이 아니니, 다만 그대로 따르면 저절로 이르는 바가 없을 것입니다.” 하였는데, 일이 과연 행해지지 않았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拓跋珪<font color="#0054FF" size="2">【拓跋珪는 앞의 丙子年條(376)에 보인다. 拓跋은 複姓이니 즉위하여 代王이 되었다.】</font>가 牛川에서 군대를 크게 모으고, [[代王]]에 즉위하였다.
+
[[桓溫]]이 또 洛陽의 종과 종틀<font color="#0054FF" size="2">【虡는 音이 거이니 종과 북의 받침에 猛獸를 붙여서 장식한 것이다. 또 鐻로도 쓰니 樂器를 매다는 것이다. 가로로 된 것을 筍이라 하고 세로로 된 것을 虡라 한다.】</font>을 옮겨 올 것을 의논하자, [[王述]]이 말하기를 “永嘉年間에 강성하지 못하여<font color="#0054FF" size="2">【競은 강함이다. 懷帝 永嘉 5년(311)에 劉聰에게 사로잡혔으므로 ‘永嘉 年間에 강성하지 못했다’고 말한 것이다.】</font> 잠시 江左(江南)에 도읍하고 있으니, 바야흐로 區宇(온 천하)를 평정하고 곧바로 옛 서울로 돌아가야 할 것이요, 만약 그렇게 하지 못한다면 先帝의 陵墓를 옮겨 와야 할 것이니, 먼저 종과 종틀을 옮겨 오는 것은 마땅하지 않습니다.” 하니, [[桓溫]]이 이에 중지하였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癸亥]興寧元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861번째 줄: 1,02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西燕左將軍左將軍[[韓延]]이 殺[[燕主沖]]<font color="#0054FF" size="2">【慕容沖은 見上甲申年이라】</font>하고 立[[]][[段隨]]하야 爲燕主러니 [[慕容永]]<font color="#0054FF" size="2">【廆弟之子라】</font>이 襲[[段隨]]破之하고 帥鮮卑男女하야 去長安而東하니 衆이 推[[永]]爲河東主라 於是에 長安이 空虛하다
+
[癸亥]興寧元年이라 〈秦甘露五年이요 燕建熙四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五月에 加[[桓溫]]侍中, 大司馬, 都督中外諸軍, 錄尙書事<font color="#0054FF" size="2">【錄은 總也라】</font>하다 溫이 以王坦之로 爲長史하니 坦之는 述之子也요 又以郗超로 爲參軍하고 王珣으로 爲主簿하야 每事를 必與二人謀之하니 府中이 爲之語曰 [[髥參軍]], [[短主簿]]<font color="#0054FF" size="2">【以超多髥하고 而珣體短也일새라】</font>는 能令公喜하고 能令公怒라하더라 珣與謝玄이 皆爲溫掾이러니 溫이 俱重之하야 曰 謝掾은 年四十에 必擁旄杖節<font color="#0054FF" size="2">【旄節은 見三卷庚辰下의 旌旄節旗注하니라 [通鑑要解]言當方面也라】</font>이요 王掾은 當作黑頭公이니 皆未易才<font color="#0054FF" size="2">【未易는 言難得也라】</font>也라하니 玄은 奕之子也러라
 
</div>
 
</div>
 
</div>
 
</div>
869번째 줄: 1,034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西燕의 左將軍左將軍[[韓延]]이 [[燕主]][[慕容沖]]을 죽이고<font color="#0054FF" size="2">【慕容沖은 앞의 甲申年條(384)에 보인다.】</font>[[慕容沖]]의 장수 [[段隨]]를 세워 [[燕主]]로 삼았는데, 慕容永<font color="#0054FF" size="2">【慕容永은 慕容廆의 아우의 아들이다.】</font>이 [[段隨]]를 습격하여격파하고鮮卑族의 남녀 백성들을 거느리고 長安을 떠나 동쪽으로 가니, 무리들이 [[慕容永]]을 추대하여 [[河東主]]로 삼았다. 이에 長安이 텅 비게 되었다.
+
興寧 元年(계해 363) - 秦나라 甘露 5년이고, 燕나라 建熙 4년이다. -
 
</div>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5월에 [[桓溫]]에게 侍中‧大司馬‧都督中外諸軍‧錄尙書事侍中‧大司馬‧都督中外諸軍‧錄尙書事<font color="#0054FF" size="2">【錄은 총괄함이다.】</font>를 가하였다. [[桓溫]]이 [[王坦之]]를 長史長史로 삼으니 [[王坦之]]는 [[王述]]의 아들이다. 또 [[郗超]]를 參軍으로 삼고 [[王珣]]을 主簿主簿로 삼아서 매사를 반드시 두 사람과 상의하니, 府中 사람들이 말하기를 “수염이 긴 參軍과 키가 작은 主簿主簿<font color="#0054FF" size="2">【[頭註]髥參軍 短主簿:수염이 긴 參軍과 키가 작은 主簿라고 한 것은 郗超는 수염이 많고 王珣은 체구가 왜소하였기 때문이다.】</font>가 [[令公(桓溫)]]을 기쁘게도 하고 [[令公]]을 노여워하게도 한다.” 하였다. [[王珣]]과 [[謝玄]]이 모두 [[桓溫]]의 掾屬掾屬이 되었는데, [[桓溫]]이 모두 소중히 여겨 말하기를 “[[謝掾]]은 나이 40에 반드시 깃발을 끼고 節을 잡을 것이요<font color="#0054FF" size="2">【[頭註]旄와 節은 3권의 庚辰年條(B.C.221) 아래의 旌旄節旗 注에 보인다. [通鑑要解]깃발을 끼고 節을 잡는다는 것은 方面을 담당할 것임을 말한다.】</font>[[王掾]]은 마땅히 黑頭 相公相公이 될 것이니, 모두 쉽게 얻을 수 있는 인재가 아니다.<font color="#0054FF" size="2">【쉽지 않다는 것은 얻기 어려움을 말한다.】</font>” 하였다. [[謝玄]]은 [[謝奕]]의 아들이다.
 
</div>
 
</div>
|}
+
</div>
 +
|}</div><div class="clsB">
 +
=====[甲子]二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878번째 줄: 1,048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四月에 [[後秦王]][[]]이 自安定으로 入長安하야 卽皇帝位하고 國號를 大秦이라하고 立子興하야 爲皇太子하다
+
[甲子]二年이라 〈秦甘露六年이라 ○ 燕建熙五年이라 涼西平博公張天錫一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正月에 以揚州刺史揚州刺史[[王述]]로 爲尙書令尙書令하다 [[王述]]이 每授職에 不爲虛讓하고 其所辭는 必於所不受러니 及爲尙書令하야 子坦之白述호되 故事當讓이라한대 [[述]]曰 汝謂我不堪耶아 坦之曰 非也라 但克讓이 自美事耳니이다 述曰 旣爲堪之어니 何爲復讓이리오 人言汝勝我라호되 定不及也로다
 
</div>
 
</div>
 
</div>
 
</div>
886번째 줄: 1,05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4월에 [[後秦王]][[姚萇]]이 [[安定]]으로부터 長安에 들어가 황제에 즉위하고 국호를 大秦이라 하고 아들[[姚興]]을 세워 황태자로 삼았다.
+
興寧 2년(갑자 364) - 秦나라 甘露 6년이다. 燕나라 建熙 5년이다. ○ 涼나라 [[西平博公]][[張天錫]] 1년이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정월에 揚州刺史揚州刺史[[王述]]을 尙書令尙書令으로 삼았다. [[王述]]이 벼슬에 제수될 때마다 겉으로만 사양하는 체하지 않고, 사양할 때는 반드시 받지 않을 경우에만 사양하였다. [[王述]]이 尙書令尙書令이 되자 아들[[王坦之]]가 [[王述]]에게 아뢰기를 “故事에 비춰 보건대 마땅히 사양하여야 합니다.” 하니, [[王述]]이 말하기를 “너는 내가 이 벼슬을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느냐?” 하였다. [[王坦之]]가 말하기를 “아닙니다. 다만 사양하는 것이 본래 아름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하니, [[王述]]이 말하기를 “이미 감당할 수 있으니 어찌 다시 사양하겠느냐. 사람들은 네가 나보다 낫다고 말하나 너는 참으로 나에게 미치지 못한다.” 하였다.
 
</div>
 
</div>
 
</div>
 
</div>
895번째 줄: 1,071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九月에 西燕[[慕容永]]이 擊秦主[[丕]]於鄴하야 殺之하고 [[永]]이 遂進據長子하야 卽皇帝位하다
+
三年에 帝崩<font color="#0054FF" size="2">【帝信方士하야 斷穀餌藥이러니 藥發하야 崩하다】</font>하고 琅琊王奕이 卽皇帝位하다
 
</div>
 
</div>
 
</div>
 
</div>
903번째 줄: 1,07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9월에 西燕의 [[慕容永]]이 [[秦主]][[苻丕]]를 鄴城에서 공격하여죽이고, [[慕容永]]이 마침내 진격하여 長子縣을 점령하고황제에 즉위하였다.
+
興寧 3년(을축 365)에 황제가 崩하고,<font color="#0054FF" size="2">【황제가 方士의 말을 믿어 穀類를 끊고 藥을 먹었는데, 藥毒이 나와 崩하였다.】</font>[[琅琊王]][[司馬奕]]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div>
 
</div>
 
</div>
 
</div>
912번째 줄: 1,088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十一月에 秦[[南安王]][[]]<font color="#0054FF" size="2">【丕之子라】</font>이 發喪行服하고 乃爲壇於隴東하고 卽皇帝位하다
+
三月에 燕太宰太宰[[]][[吳王]][[垂]]<font color="#0054FF" size="2">【[[慕容皝]]第五子也니 雋立하야 封垂爲吳王이라】</font> 共攻洛陽克之하고 引兵略河南諸城<font color="#0054FF" size="2">【略은 與掠通이라】</font>하야 盡下之하다
 
</div>
 
</div>
 
</div>
 
</div>
920번째 줄: 1,09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11월에 秦의 [[南安王]] 苻登<font color="#0054FF" size="2">【南安王 苻登은 苻丕의 아들이다.】</font>이 喪을 발표하고 服을 입고는 마침내 隴東에서 壇을 만들고 황제에 즉위하였다.
+
3월에 燕나라 太宰太宰[[慕容恪]]과 [[吳王]][[慕容垂]]<font color="#0054FF" size="2">【吳王 慕容垂는 慕容皝의 다섯째 아들이니, 慕容雋이 즉위한 다음 慕容垂를 봉하여 吳王으로 삼았다.】</font>가 함께 洛陽을 공격하여 이긴 다음 군대를 이끌고 河南의 여러 성을 공격하여<font color="#0054FF" size="2">【略은 掠字와 통용한다.】</font> 모두 항복시켰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丁亥]十二年=====
+
====帝奕====
 +
</div><div class="clsB">
 +
=====帝奕 字延齡이니 成帝次子也라=====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931번째 줄: 1,10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丁亥]十二年이라 〈秦太初二요 燕建興二요 後秦建初二요 魏登國二年이라〉
+
帝奕 字[[延齡]]이니 [[成帝]]次子也라 後爲[[桓溫]]廢하야 爲[[海西公]]하니 史曰 廢帝라 在位六年이요 壽四十五라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拓跋珪]] 改稱[[魏王]]하다
 
 
</div>
 
</div>
 
</div>
 
</div>
942번째 줄: 1,11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12년(정해 387) - 秦나라 太初 2년이고, 燕나라 建興 2년이고, 後秦建初 2년이고, 魏나라 登國 2년이다. -
+
황제 [[司馬奕]]은 字가 [[延齡]]이니, [[成帝]]의 次子이다. 뒤에 [[桓溫]]에게 폐위당하여[[海西公]]이 되니, 역사책에는 [[廢帝]]라 하였다. 재위가 6년이고 壽가 45세이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拓跋珪]][[魏王]]이라고 개칭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戊子]十三年=====
+
=====[丁卯]太和二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956번째 줄: 1,128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戊子]十三年이라 〈秦太初三이요 燕建興三이요 後秦建初三이요 魏登國三年이라 ○ [[西秦王]][[乞伏乾歸]]太初元年이라〉
+
[丁卯]太和二年이라 〈秦建元三年이요 燕建熙八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呂光]]이 [[三河王]]位하다
+
[[太原王]][[恪]]<font color="#0054FF" size="2">【皝之第四子라】</font>疾病이어늘 暐<font color="#0054FF" size="2">【皝之第二子雋之子라】</font>親視之하고 問以後事한대 恪曰 吳王이 文武兼資하야 管, 蕭之亞니 陛下若任以大政이면 國家可安이어니와 不然이면 秦, 晉이 必有窺窬<font color="#0054FF" size="2">【窬는 音由니 門邊小竇也라】</font>之計하리이다 言終而卒하다 [[秦王]][[堅]]이 聞恪卒하고 陰有圖燕之計러라
 
</div>
 
</div>
 
</div>
 
</div>
967번째 줄: 1,13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13년(무자 388) - 秦나라 太初 3년이고, 燕나라 建興 3년이고, 後秦建初 3년이고, 魏나라 登國 3년이다. ○ [[西秦王]][[乞伏乾歸]]의 太初 元年이다.-
+
太和 2년(정묘 367) - 秦나라 建元 3년이고, 燕나라 建熙 8년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呂光]]이 [[三河王]]에 즉위하였다.
+
燕나라 [[太原王]] 慕容恪<font color="#0054FF" size="2">【太原王 慕容恪은 慕容皝의 넷째 아들이다.】</font>병이 심해지자, 慕容暐<font color="#0054FF" size="2">【慕容暐는 慕容皝의 둘째 아들인 慕容雋의 아들이다.】</font>가 친히 가서 병을 살펴보고 그가 죽은 뒤의 일을 물었는데, [[慕容恪]]이 말하기를 “[[吳王]]이 文武를 겸비하여 [[管仲]]과 [[蕭何]]에 버금가니, 폐하께서 만약 그에게 큰 정사를 맡기신다면 국가가 평안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秦나라와 晉나라가 반드시 틈<font color="#0054FF" size="2">【窬는 音이 유이니, 문 옆의 작은 구멍이다.】</font>을 엿보아 동하려는 계책이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慕容恪]]이 말을 마치고 죽었다. [[秦王]][[苻堅]]이 [[慕容恪]]이 죽었다는 소문을 듣고 은밀히 燕나라를 도모할 계책을 세웠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己丑]十四年=====
+
=====[己巳]四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981번째 줄: 1,15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己丑]十四年이라 〈秦太初四요 燕建興四요 後秦建初四요 魏登國四年이라 ○ 涼麟嘉元年이라〉
+
[己巳]四年이라 〈秦建元五年이요 燕建熙十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初에 帝旣親政事에 威權이 己出하야 有人主之量이러니 旣而오 溺於酒色하야 委事於[[琅琊王]][[道子]][[道子]]亦嗜酒하야 日夕에 與帝酣<font color="#0054FF" size="2">【酒樂이라】</font>歌爲事하고 又崇尙浮屠<font color="#0054FF" size="2">【三十二卷丙寅年注에 梵言浮屠는 華言聚相이라하니 通作浮圖라 釋典云 僧曰浮屠요 塔亦曰浮屠라하니 正號佛佗니 與浮屠로 聲相近이라 華言正覺이니 今略稱佛이라】</font>하야 窮奢極(貴)[]하니 左右近習이 爭弄權柄하야 交通請托하야 賄賂<font color="#0054FF" size="2">【賄는 財也요 又贈送也며 賂는 以財與人也라 [通鑑要解]賄는 音灰라 金玉曰貨요 布帛曰賄라】</font>公行하며 官賞이 濫雜하고 刑獄이 謬亂<font color="#0054FF" size="2">【帝乃昏暗하고 [[道子]]亂政이라 左將軍左將軍[[許營]]上疏어늘 不省하니라】</font>이러라
+
四月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이 帥步騎五萬하고 伐燕할새 時에 恪已死하니 諸將이 不能抗이라 [[燕王]][[]] 乃求救于秦이어늘 [[王猛]]이 密言於[[堅]]曰 燕雖彊大나 慕容評은 非溫敵也니 若溫擧山東하야 進屯洛邑하고 收幽, 冀之兵하고 引幷, 豫之粟하야 觀兵<font color="#0054FF" size="2">【觀은 音貫이라 觀은 示요 兵은 威也니 謂陳兵䝱之也라】</font>崤, 澠<font color="#0054FF" size="2">【崤는 山名이요 澠은 水名이니 {澠池縣}皆在弘農하니라】</font>이면 則陛下大事去矣리이다 今不如與燕合兵以退溫이니 溫退면 燕亦病矣라 然後에 我承其敝而取之면 不亦善乎잇가 堅從之하야 遣洛州刺史洛州刺史[[鄧羌]]하야 帥步騎二萬하야 以救燕하다 溫이 數戰不利<font color="#0054FF" size="2">【數은 不一也라】</font>하고 糧儲復竭이라 又聞秦兵將至하고 乃焚舟棄輜重鎧仗<font color="#0054FF" size="2">【鎧는 甲也요 仗은 刀戟總名이라】</font>하고 自陸道奔還이어늘 [[吳王]][[]] 自帥八千騎하고 追之하야 及溫於襄邑하야 大破之하고 斬首三萬級하다 秦將苟池 邀擊溫於譙하야 又破之하니 死者復以萬計라 溫收散卒하야 屯于山陽<font color="#0054FF" size="2">【山陽은 揚州域이니 晉分廣陵하야 置山陽郡하고 隋置楚州하고 宋爲淮安軍하니라 括地志에 楚州山陽縣은 本漢射陽縣也니 射는 食夜反이라】</font>하다 溫이 深恥喪敗하야 乃歸罪於袁眞하야 奏免眞爲庶人<font color="#0054FF" size="2">【袁眞은 豫州刺史也라 溫이 使眞攻譙, 梁할새 開石門하야 以通水運이러니 不克하니 乃歸罪하야 奏免爲庶人이라 眞이 不伏하고 表溫罪狀이어늘 朝廷不報하니 遂據壽春하고 叛降于燕하니라】</font>하다
 
</div>
 
</div>
 
</div>
 
</div>
992번째 줄: 1,164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14년(기축 389) - 秦나라 太初 4년이고, 燕나라 建興 4년이고, 後秦建初 4년이고, 魏나라 登國 4년이다. ○ 涼나라(後涼) 麟嘉 元年이다.-
+
太和 4년(기사 369) - 秦나라 建元 5년이고, 燕나라 建熙 10년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처음에 황제가 이미 친히 정사를 행하자, 위엄과 권력이 자신에게서 나와 人君의 도량이 있었는데, 이윽고 酒色에 빠져 [[琅琊王]][[司馬道子]]에게 정사를 맡겼다. [[司馬道子]] 또한 술을 좋아하여 밤낮으로 황제와 술 마시고<font color="#0054FF" size="2">【酣은 술을 즐기는 것이다.】</font> 노래하는 것을 일삼고 또 불교<font color="#0054FF" size="2">【≪通鑑節要≫ 32권 丙寅年(546) 注에 “梵語의 浮屠는 중국말의 聚相이다.” 하였으니, 일반적으로 浮圖로 쓴다. 釋典에 이르기를 “승려를 浮屠라 하고, 塔을 또한 浮屠라 한다. 정식 명칭은 佛佗이니 浮屠와 음이 서로 비슷하다. 중국말로는 正覺이니, 지금은 佛이라고 약칭한다.” 하였다.】</font>를 숭상해서 극도로 사치하고 낭비하니, 좌우에서 가까이 모시는 자들이 다투어 권력을 농간하여 연줄을 대어 사사로운 일을 청탁해서 뇌물<font color="#0054FF" size="2">【[頭註]賄는 財貨이고 또 財貨를 보내는 것이며, 賂는 재화를 사람에게 주는 것이다. [通鑑要解]賄는 音이 회이다. 金玉을 貨라 하고 布帛을 賄라 한다.】</font>공공연히 오가고 관작과 賞이 남발되고 혼잡하였으며 형벌과 옥사가 잘못되고 혼란해졌다.<font color="#0054FF" size="2">【武帝가 昏暗하고 司馬道子가 정사를 어지럽히므로 左將軍 許營이 상소하였으나 살펴보지 않았다.】</font>
+
4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이 步兵과 騎兵 5만 명을 거느리고 燕나라를 정벌하였다. 이때 [[慕容恪]]이 이미 죽으니 여러 장수들이 항거하지 못하였다. [[燕王]][[慕容暐]]가 마침내 秦나라에 구원을 요청하니, [[王猛]]이 은밀히 [[苻堅]]에게 말하기를 “燕나라가 비록 강대하나 [[慕容評]]은 [[桓溫]]의 적수가 아니니, 만약 [[桓溫]]이 山東을 점령한 다음 進軍하여 洛邑에 주둔하고 幽州와 冀州의 군사를 거두고 幷州와 豫州의 곡식을 징발해서 崤山과 澠池<font color="#0054FF" size="2">【崤는 산 이름이고 澠은 물 이름이니, 모두 弘農郡에 있다.】</font>에서 군대를 열병<font color="#0054FF" size="2">【觀은 音이 관이다. 觀은 보이는 것이고 兵은 威勢이니, 觀兵은 군대를 정렬하여 위협함을 이른다.】</font>한다면 폐하의 대사가 틀어질 것입니다. 이제 燕나라와 병력을 규합하여 [[桓溫]]을 물리치는 것만 못하니, [[桓溫]]이 후퇴하면 燕나라도 병들 것입니다. 그런 뒤에 우리가 그 피폐한 틈을 타서 취한다면 또한 좋지 않겠습니까.” 하였다. [[苻堅]]그의 말을 따라 洛州刺史洛州刺史[[鄧羌]]을 보내어 보병과 기병 2만 명을 거느리고 가서 燕나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div>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桓溫]]이 여러 번<font color="#0054FF" size="2">【數은 한 번 만이 아닌 것이다.】</font> 싸워 승리하지 못하고 비축했던 양식이 다시 고갈되었는데, 또 秦나라 군대가 올 것이라는 말을 듣고 마침내 배를 불태우고 輜重과 갑옷과 병기<font color="#0054FF" size="2">【鎧는 갑옷이고, 仗은 칼과 창의 총칭이다.】</font>를 버리고 육로를 따라서 달아나 돌아왔다. [[吳王]][[慕容垂]]가 스스로 8천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이들을 추격하여 襄邑에서 [[桓溫]]을 따라잡아 크게 격파하고3만 명의 首級을 베었다. 秦나라 장수 [[苟池]]가 [[桓溫]]을 譙에서 맞아 싸워서 또다시 격파하니, 죽은 자가 다시 만 명으로 헤아려졌다. [[桓溫]]이 흩어진 병졸을 수습하여 山陽<font color="#0054FF" size="2">【山陽은 揚州 지역이니, 晉나라가 廣陵을 분할하여 山陽郡을 두었고, 隋나라는 楚州를 두었고, 宋나라는 淮安軍을 만들었다. ≪括地志≫에 “楚州의 山陽縣은 본래 漢나라 射陽縣이니, 射는 食夜反(사)이다.” 하였다.】</font>에 주둔하였다. [[桓溫]]이 패망한 것을 깊이 부끄러워하여 마침내 [[袁眞]]에게 죄를 씌워서 [[袁眞]]을 면직시킬 것을 아뢰어 庶人으로 삼았다.<font color="#0054FF" size="2">【袁眞은 豫州刺史였다. 桓溫이 袁眞으로 하여금 譙와 梁을 공격하게 할 적에 石門을 열어 水運을 통하게 하였는데, 이기지 못하자 마침내 죄를 씌워 袁眞을 면직시킬 것을 아뢰어 庶人으로 삼았다. 袁眞이 복종하지 않고 表文을 올려 桓溫의 죄상을 아뢰었으나 조정에서 회답하지 않자, 마침내 壽春을 점거하고 배반하여 燕나라에 항복하였다.】</font>
 
</div>
 
</div>
|}</div><div class="clsB">
+
</div>
=====[壬辰]十七年=====
+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1,006번째 줄: 1,17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壬辰]十七年이라 〈秦太初七이요 燕建興七이요 後秦建初七이요 魏登國七年이라〉
+
[[燕吳王]][[垂]] 還鄴하니 威名益振이라 太傅太傅[[評]]이 忌之어늘 垂與子弟姪로 俱奔秦하다 初에 [[秦王]][[堅]]이 聞太宰恪卒하고 陰有圖燕之志호되 憚垂威名하야 不敢發이러니 及聞垂至하고 大喜하야 郊迎執手하고 曰 天生賢傑은 必相與共成大功이니 此는 自然之數也라 要當與卿共定天下하리니 然後에 還卿本鄕하야 世封幽州 不亦美乎아 [[王猛]]이 言於堅曰 慕容垂父子 譬如龍虎하야 非可馴之物이라 若借以風雲이면 將不可復制니 不如早除之니이다 [[堅]]曰 吾方收攬英雄하야 以淸四海어니 奈何殺之리오하고 乃以垂爲冠軍將軍하다
 
</div>
 
</div>
 +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南郡公]][[桓玄]]<font color="#0054FF" size="2">【溫之少子니 見上癸酉年이라】</font>負其才地<font color="#0054FF" size="2">【地는 謂地位門地라】</font>하고 以雄豪<font color="#0054FF" size="2">【雄은 武稱이요 豪는 弛也라 又獸之將群者爲雄이요 智過百人謂豪라】</font>自處한대 朝廷이 疑而不用이라 年二十三에 始拜太子洗馬太子洗馬하고 後에 出補義興太守義興太守하니 鬱鬱不得志<font color="#0054FF" size="2">【玄爲洗馬時에 琅琊王道子 値其酣醉하야 張目謂客曰 桓溫晩塗欲作賊은 云何오하니 玄伏地流汗하야 不能起라 由是로 不自安而切齒於道子云云이라】</font>하야 歎曰 父爲九州伯九州伯이어늘 兒爲五湖<font color="#0054FF" size="2">【滆湖, 洮湖, 射湖, 貴湖, 及太湖爲五湖라 湖之小支 俱連太湖故로 太湖兼得五湖之名이라】</font>長고하고 遂棄官歸하다
+
○ 燕나라 [[吳王]][[慕容垂]]가 鄴으로 돌아오니, 위엄과 명망이 더욱 떨쳐졌다. 太傅太傅[[慕容評]]이 그를 시기하자[[慕容垂]]가 아들, 아우, 조카들과 함께 秦나라로 달아났다. 처음에 [[秦王]][[苻堅]]은 太宰太宰[[慕容恪]]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 은밀히 燕나라를 도모할 마음이 있었으나 [[慕容垂]]의 위엄과 명성을 두려워하여 감히 군대를 일으키지 못하였는데, [[慕容垂]]가 왔다는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여 교외로 나가 맞이하고 손을 잡고 말하기를 “하늘이 어진 영걸을 냄은 반드시 서로 더불어 큰 공을 이루게 하려고 해서이니, 이는 자연의 운수이다. 요컨대 卿과 함께 천하를 평정할 것이니, 그런 뒤에 卿을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가게 해서 대대로 幽州에 봉해 주는 것이 또한 아름답지 않겠는가.” 하였다. [[王猛]]이 [[苻堅]]에게 말하기를 “[[慕容垂]] 父子는 비유하면 용과 범 같아서 길들일 수 있는 물건이 아닙니다. 만약 바람과 구름을 빌려 주면 장차 다시는 제재할 수 없을 것이니 일찍 제거하는 것만 못합니다.” 하니, [[苻堅]]이 말하기를 “내가 막 영웅들을 거두어 모아서 四海를 깨끗이 하려 하니, 어찌 죽이겠는가.” 하고는 마침내 [[慕容垂]]를 冠軍將軍冠軍將軍으로 삼았다.
 
</div>
 
</div>
 
</div>
 
</div>
1,015번째 줄: 1,193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17년(임진 392) - 秦나라 太初 7년이고, 燕나라 建興 7년이고, 後秦建初 7년이고, 魏나라 登國 7년이다. -
+
○ [[秦王]][[堅]]이 遣[[王猛]], [[梁成]], [[鄧羌]]하야 帥步騎三萬하고 伐燕하야 十二月에 進攻洛陽하다
 +
</div>
 
</div>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南郡公]] 桓玄<font color="#0054FF" size="2">【桓玄은 桓溫의 작은아들이니, 앞의 癸酉年條(373)에 보인다.】</font>자신의 재주와 門閥<font color="#0054FF" size="2">【地는 지위와 門地(門閥)를 이른다.】</font>믿고 영웅호걸<font color="#0054FF" size="2">【雄은 용맹하다는 명성이고, 豪는 방종함이다. 또 짐승 중에 무리를 거느리는 것을 雄이라 하고, 지혜가 백 사람을 능가하는 것을 豪라 한다.】</font>로 자처하자, 조정에서 의심하고 등용하지 않았다. 나이 23세에 비로소 太子洗馬太子洗馬에 제수되고 뒤에 나가 義興太守義興太守에 보임되니, 답답하여 뜻을 얻지 못해서<font color="#0054FF" size="2">【桓玄이 太子洗馬였을 때에 琅琊王 司馬道子가 마침 술에 취하여 술김에 눈을 부릅뜨고 객에게 이르기를 “桓溫이 말년에 모반하고자 한 것은 어째서인가?” 하니, 桓玄이 땅에 엎드려 진땀을 흘리고 일어나지 못하였다. 桓玄이 이 때문에 스스로 편안하지 못하여 司馬道子에 대해 이를 갈며 원망하였다.】</font> 탄식하기를 “아버지는 九州九州의 伯伯이 되었는데, 자식은 五湖<font color="#0054FF" size="2">【滆湖‧洮湖‧射湖‧貴湖‧太湖를 五湖라 한다. 五湖의 작은 支流가 모두 太湖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太湖가 五湖의 명칭을 겸하여 얻은 것이다.】</font>의 長이 된단 말인가.” 하고는 마침내 벼슬을 버리고 南郡으로 돌아왔다.
+
[[秦王]][[苻堅]]이 [[王猛]]‧[[梁成]]‧[[鄧羌]]보내어 보병과 기병 3만 명을 거느리고 燕나라를 정벌한 다음 12월에 진군하여 洛陽을 공격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
|}
=====[癸巳]十八年=====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1,031번째 줄: 1,21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癸巳]十八年이라 〈秦太初八이요 燕建興八이요 後秦建初八이요 魏登國八年이라〉
+
○ 大司馬大司馬[[溫]]이 發徐, 兗州民하야 築廣陵城하고 徙鎭之하니 時에 征役旣頻하고 加之疫癘<font color="#0054FF" size="2">【癘鬼爲災曰疫이요 四時不和之疾曰癘라】</font>하야 死者什四五라 百姓이 嗟怨이러라 秘書監孫盛이 作晉春秋할새 直書時事하니 大司馬大司馬[[]]이 見之하고 怒하야 謂盛子曰 枋頭는 誠爲失利<font color="#0054FF" size="2">【穆帝永和五年에 時桓溫及燕人으로 戰于枋頭하야 不利而還하니라[附註]史略에 帝奕時에 溫及燕人戰於枋頭하야 不利而還이라하고 其下曰 吳王垂 旣破晉軍에 威名大振이라하니 枋頭失利는 似指上己巳之戰이어늘 而釋義與此相背하니 未詳이라】</font>어니와 何至乃如尊君<font color="#0054FF" size="2">【晉人은 於人子前에 稱其父爲尊君尊公이라】</font>所言이리오 若此史遂行이면 自是關君門戶事<font color="#0054FF" size="2">【言欲滅其門也라】</font>니라 其子遽拜謝<font color="#0054FF" size="2">【遽는 急也, 疾也니 戰慄也라】</font>하고 請改之하다 時에 盛이 年老家居할새 性이 方嚴有軌度하니 子孫이 雖班(斑)白이나 待之愈峻이러니 至是하야 諸子乃共號泣稽顙하고 請爲百口計호되 盛이 大怒不許하니 諸子遂私改之<font color="#0054FF" size="2">【盛이 先已寫別本하야 傳之外國이라 及孝武帝購求異書할새 得之於遼東人한대 與見本不同하니 遂兩存焉하니라】</font>하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十二月에 [[後秦主]][[萇]]이 卒하고 [[太子興]]이 卽位하다
 
 
</div>
 
</div>
 
</div>
 
</div>
1,042번째 줄: 1,221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18년(계사 393) - 秦나라 太初 8년이고, 燕나라 建興 8년이고, 後秦建初 8년이고, 魏나라 登國 8년이다. -
+
○ 大司馬大司馬[[桓溫]]이 徐州와 兗州의 백성들을 징발하여 廣陵城을 쌓고 옮겨서 鎭駐하니, 이때에 부역이 이미 빈번하고 역병<font color="#0054FF" size="2">【癘鬼(역병을 일으키는 귀신)가 재앙을 만든 것을 疫이라 하고, 四時가 순조롭지 못하여 병이 생긴 것을 癘라 한다.】</font>까지 겹쳐서 죽는 자가 10에 4, 5나 되므로 백성들이 크게 원망하였다. 秘書監秘書監[[孫盛]]이 《晉春秋》를 지을 적에 당시의 일을 隱諱하지 않고 곧바로 쓰니, 大司馬大司馬[[桓溫]]이 이것을 보고 노하여 [[孫盛]]의 아들에게 이르기를 “枋頭에서는 내가 참으로 불리하였지만<font color="#0054FF" size="2">【[釋義]穆帝 永和 5년(349)에 당시 桓溫이 燕나라 사람과 枋頭에서 싸워서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왔다.[附註]≪史略≫에 “廢帝 司馬奕의 때에 桓溫이 燕나라 사람과 枋頭에서 싸워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왔다.” 하고, 그 아래에 이르기를 “吳王 慕容垂가 이미 晉나라 군대를 격파하자, 위엄과 명망이 크게 떨쳐졌다.” 하였으니, ‘枋頭에서 불리하였다’는 것은 앞의 기사년(369)의 전투를 가리킨 듯한데 釋義의 내용은 이와 서로 배치되니, 자세하지 않다.】</font> 어찌 마침내 尊君(부친)<font color="#0054FF" size="2">【晉人은 아들 앞에서 아버지를 칭하여 尊君, 尊公이라 하였다.</font>이 말한 것 같은 지경에까지 이르렀겠는가. 만약 이 역사책이 마침내 세상에 행해진다면 이는 자연 그대 가문의 존망에 관계되는 일<font color="#0054FF" size="2">【그대 가문의 存亡에 관계된다는 것은 孫盛의 가문을 멸망시키고자 함을 말한다.】</font>일 것이다.” 하였다. [[孫盛]]의 아들이 급히<font color="#0054FF" size="2">【遽는 급함이고 빠름이니, 두려워서 떠는 것이다.】</font> 이마를 조아리며 절하여 사죄하고 내용을 고칠 것을 청하였다. 이때 [[孫盛]]이 연로하여 집에 거처할 때에 성품이 방정하고 엄격하여 법도가 있으니, 자손들이 비록 斑白이 되었으나 [[孫盛]]은 그들을 대함에 더욱 준엄하게 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여러 아들들이 마침내 함께 울부짖으며 이마를 조아리고 많은 식구의 목숨을 위하여 고려할 것을 청하였으나 [[孫盛]]이 크게 노하고 허락하지 않으니, 여러 아들들이 마침내 몰래 고쳤다.<font color="#0054FF" size="2">【孫盛이 먼저 이미 별도로 한 본을 베껴서 外國에 전하였다. 東晉의 孝武帝(司馬曜)가 진귀한 책을 찾아 구할 때에 遼東 사람에게서 이 別本을 얻었는데, 현재의 本과 같지 않으니 마침내 두 가지 본이 있게 되었다.】</font>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12월에 [[後秦主]][[姚萇]]이 죽고, 太子太子[[姚興]]이 즉위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甲午]十九年=====
+
=====[庚午]五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1,056번째 줄: 1,232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甲午]十九年이라 〈[[秦主]][[苻崇]]延初元이요 燕建興九요 [[後秦主]][[姚興]]皇初元이요 魏登國九年이라 是歲에 秦及西燕亡하니 大三, 小二니 凡五僭國이라〉
+
[庚午]五年이라 〈秦建元六年이라 燕建熙十一年이라 ○是歲에 燕亡하니 大一, 小二니 凡三僭國이라〉
 
</div>
 
</div>
 
</div>
 
</div>
1,064번째 줄: 1,240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19년(갑오 394) - [[秦主]][[苻崇]]의 延初 元年이고, 燕나라 建興 9년이고, [[後秦主]][[姚興]]의 皇初 元年이고, 魏나라 登國 9년이다. ○ 이해에 秦나라와 西燕이 멸망하였다. 大國이 셋이고 小國이 둘이니, 僭國이 모두 다섯이다.-
+
太和 5년(경오 370) - 秦나라 建元 6년이다. ○ 燕나라 建熙 11년이다. ○ 이해에 燕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하나이고 小國이 둘이니, 僭國이 모두 셋이다.-
 
</div>
 
</div>
 
</div>
 
</div>
1,073번째 줄: 1,249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秦主]][[登]]이 聞[[後秦主]][[萇]]卒하고 盡衆而東<font color="#0054FF" size="2">【秦主登이 聞後秦主萇死하고 喜曰 姚興少兒는 吾折杖笞之耳라하고 乃留安成王廣守雍하고 太子崇守胡空堡하고 盡衆而東하다】</font>이어늘 [[後秦主]][[]]이 自安定으로 如涇陽하야 與[[]]으로 戰于山南하야 執[[]]殺之하니 [[秦太子]][[]]이 奔湟中하야 卽皇帝位하다
+
正月에 燕荊州刺史荊州刺史[[武威王]]筑이 以洛陽降秦하다 六月에 秦王堅이 復遣王猛하야 督鎭南將軍楊安等하야 將步騎六萬하고 以伐燕하다 八月에 燕主暐 命太傅上庸王評하야 將中外精兵三十萬하고 以拒秦하다 猛이 克壺關하니 所過郡縣이 皆望風降附라 燕人이 大震이러라 黃門侍郞封孚 問司徒長史申胤曰 事將何如오 胤歎曰 鄴必亡矣니 吾屬이 今玆將爲秦虜로다 然이나 越得歲而吳伐之하야 卒受其禍<font color="#0054FF" size="2">【左傳昭三十二年에 吳伐越한대 史墨曰 不及四十年하야 越其有吳乎인저 越得歲而吳伐之하니 必受其凶이라하니라 杜預註曰 此年에 歲在星紀하니 星紀는 吳, 越之分也라 歲星所在에 其國有福이어늘 吳先用兵故로 反受其殃이라하더니 哀二十二年에 越果滅吳하니라 索隱曰 天官占云 歲星은 一曰應星이요 一曰經星이요 一曰紀星이라 歲星은 東方木之精이니 蒼帝之象也라 所在之國은 不可伐이요 可以伐人이라하니라】</font>하니 今福德이 在燕<font color="#0054FF" size="2">【福德은 一曰德星이니 出於有道之國이라 索隱曰 德星은 卽歲星이니 歲星所在에 其國有福이니라】</font>하니 秦雖得志나 而燕之復建이 不過一紀耳라하더라 九月에 秦王猛이 進兵潞川하니 太傅評이 以猛縣(懸)軍<font color="#0054FF" size="2">【縣은 與懸同이니 孤軍遠征하야 其勢懸絶하야 不能相及故로 懸軍也라】</font>深入이라하야 欲以持久制之어늘 猛이 陳於渭源而誓之하니 衆皆踊躍하야 破釜棄糧하고 大呼競進이라 燕兵이 大敗하야 俘斬五萬餘人하고 乘勝追擊하니 所殺及降者 又十萬餘人이라 評이 單騎走還鄴하니 秦兵이 長驅而東하야 丁卯에 圍鄴하다 十一月에 [[秦王]][[]]이 自帥精銳十萬하고 赴鄴하다 戊寅에 燕散騎侍郞餘蔚이 夜開鄴北門하고 納秦兵하니 燕主暐 與上庸王評等으로 奔龍城이어늘 [[秦王]][[]]이 使遊擊將軍郭慶으로 追及於高陽하야 執以詣秦王堅하다 [[]]이 哀而釋之하고 令還宮하니 帥文武出降하고 諸州牧守及六夷<font color="#0054FF" size="2">【胡, 羯, 鮮卑, 氐, 羌, 巴蠻也니 或曰 [[烏桓]]이요 非巴蠻也라】</font>渠帥 盡降於秦하다
 
</div>
 
</div>
 
</div>
 
</div>
1,081번째 줄: 1,25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秦主]][[苻登]]이 [[後秦主]][[姚萇]]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모든 군대를 끌고 동쪽으로 오자,<font color="#0054FF" size="2">【秦主 苻登이 後秦主 姚萇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하며 말하기를 “姚興과 같은 어린 아이는 내가 나뭇가지를 꺾어 매질할 수 있다.” 하고는 마침내 安成王 苻廣을 남겨 두어 雍城을 지키게 하고 太子 苻崇은 胡空堡를 지키게 하고, 모든 군대를 끌고 동쪽으로 갔다.】</font>[[後秦主]][[姚興]]이 [[安定]]으로부터 涇陽에 가서 [[苻登]]과 山南에서 싸워서 [[苻登]]을 잡아 죽이니, 秦나라 太子太子[[苻崇]]이 湟中으로 달아나 황제에 즉위하였다.
+
정월에 燕나라 荊州刺史荊州刺史[[武威王]][[慕容筑]]이 洛陽을 가지고 秦나라에 항복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6월에 [[秦王]][[苻堅]]이 다시 [[王猛]]을 보내어 鎭南將軍鎭南將軍[[楊安]] 등을 독려해서 보병과 기병 6만 명을 거느리고 燕나라를 치게 하였다. 8월에 [[燕主]][[慕容暐]]가 太傅太傅[[上庸王]][[慕容評]]에게 명하여 中外의 정예병 30만 명을 거느리고 秦나라를 맞아 싸우게 하였다. [[王猛]]이 壺關을 함락시키니, 지나는 곳의 郡縣들이 모두 기세만 보고도 항복하여 붙었으므로 燕나라 사람들이 크게 동요하였다. 黃門侍郞黃門侍郞[[封孚]]가 司徒長史司徒長史[[申胤]]에게 묻기를 “일이 장차 어떻게 되겠는가?” 하니, [[申胤]]이 탄식하며 말하기를 “鄴都가 반드시 망할 것이니, 우리들은 이제 秦나라의 포로가 될 것이다. 그러나 越나라가 歲星을 얻었는데 吳나라가 정벌하여 끝내 그 禍를 받았다.<font color="#0054FF" size="2">【≪春秋左傳≫ 昭公 32年條에 吳나라가 越나라를 정벌하자, 史墨이 말하기를 “40년이 못 되어 越나라가 吳나라를 소유할 것이다. 越나라가 歲星을 얻었는데 吳나라가 정벌하니, 반드시 禍를 받을 것이다.” 하였다. 杜預의 註에 이르기를 “이해에 歲星이 星紀에 있으니, 星紀는 吳‧越의 분야이다. 歲星이 있는 곳에는 그 나라에 福이 있는데, 吳나라가 먼저 군대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도리어 그 殃禍를 받은 것이다.” 하였는데, 哀公 22年條에 越나라가 과연 吳나라를 멸망시켰다. ≪史記索隱≫에 말하였다. “≪天官占≫에 이르기를 ‘歲星은 일명 應星이요, 일명 經星이요, 일명 紀星이다. 歲星은 東方 木의 精氣이니, 蒼帝의 象이다. 이 별이 있는 나라는 정벌할 없고, 이 나라가 다른 나라를 정벌할 수는 있다.’ 하였다.”】</font> 지금 福德星이 燕나라에 있으니,<font color="#0054FF" size="2">【福德星은 일명 德星이니, 道가 있는 나라에 출현한다. ≪史記索隱≫에 이르기를 “福德星은 곧 歲星이니, 歲星이 있는 곳에는 그 나라에 福이 있다.” 하였다.】</font>秦나라가 비록 뜻을 얻더라도 燕나라의 重建은 1紀(12년)를 넘기지 못할 것이다.” 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9월에 秦나라 [[王猛]]이 潞川으로 진군하자, 太傅太傅[[慕容評]]은 [[王猛]]이 懸軍(외로운 군대)<font color="#0054FF" size="2">【縣은 懸과 같으니, 고립된 군대가 멀리 싸우러 가서 그 형세가 현격하여 서로 미칠 수가 없으므로 懸軍이라 한 것이다.】</font>을 이끌고 적지에 깊이 들어왔다 하여 지구전으로 제압하고자 하였는데, [[王猛]]이 渭源에서 군대를 진열하고 맹세하니, 군사들이 모두 기뻐서 날뛰며 결사의 각오로 가마솥을 부수고 양식을 버리고서 크게 고함치며 함께 진격했다. 燕나라 군대를 대패시켜 5만여 명을 포로로 사로잡고 목을 베었으며 승세를 타고 추격하니, 죽인 자와 항복받은 자가 또 10만여 명이었다. [[慕容評]]이 單騎로 달아나鄴都로 돌아오니, 秦나라 군대가 승승장구하여 동쪽으로 와서 정묘일(10월 26일)에 鄴都를 포위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11월에 [[秦王]][[苻堅]]이 스스로 정예병 10만 명을 거느리고 鄴城으로 달려갔다. 무인일(11월 7일)에 燕나라 散騎侍郞散騎侍郞[[餘蔚]]이 밤중에 鄴城의 北門을 열고 秦나라 병사를 받아들이니, [[燕主]][[慕容暐]]가 [[上庸王]][[慕容評]] 등과 함께 龍城으로 달아났다. [[秦王]][[苻堅]]이 遊擊將軍遊擊將軍[[郭慶]]으로 하여금 추격하게 하여 [[郭慶]]이 高陽에서 이들을 사로잡아 [[秦王]][[苻堅]]에게 보냈다. [[苻堅]]이 가엾게 여겨 이들을 놓아주고 궁으로 돌아가게 하니 文武官을 거느리고 나와서 항복하였고, 여러 州의 牧守와 여섯 오랑캐족<font color="#0054FF" size="2">【六夷는 胡‧羯‧鮮卑‧氐‧羌‧巴蠻이니, 혹자가 이르기를 “烏桓이고 巴蠻이 아니다.”라고 한다.】</font>의 渠帥(추장)들이 모두 秦나라에 항복하였다.
 
</div>
 
</div>
 
</div>
 
</div>
1,090번째 줄: 1,275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十月에 [[崇]]이 爲[[梁王]][[乾歸]]<font color="#0054FF" size="2">【[[乞伏國仁]]之弟也니 [[國仁]]卒에 [[乾歸]]嗣하야 爲[[河南王]]이라 登爲後秦所敗하니 遣子[[崇]]於[[乾歸]]爲質하야 請救하니라】</font>所殺하니 [[乾歸]] 於是에 盡有隴西之地하고 自稱[[西秦王]]하다
+
十二月에 秦王堅이 遷慕容暐及王公百官과 幷鮮卑四萬餘戶于長安한대 燕故太史黃泓이 歎曰 燕必中興이니 其在吳王<font color="#0054FF" size="2">【吳王은 慕容垂라】</font>乎인저 恨吾老하야 不及見耳라하더라 汲郡趙秋曰 天道在燕이어늘 而秦滅之하니 不及十五年하야 必復爲燕有하리라
 
</div>
 
</div>
 
</div>
 
</div>
1,098번째 줄: 1,28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10월에 [[苻崇]]이 [[梁王]] 乞伏乾歸<font color="#0054FF" size="2">【梁王 乞伏乾歸는 乞伏國仁의 아우이니, 乞伏國仁이 죽은 뒤에 乞伏乾歸가 왕위를 이어 河南王이 되었다. 苻登이 後秦에게 패배하니, 아들 苻崇을 乞伏乾歸에게 보내어 인질로 삼고 구원해 주기를 청하였다.】</font>에게 살해당하니, [[乞伏乾歸]]가 이에 隴西 지역을 다 소유하고 [[西秦王]]이라 자칭하였다.
+
12월에 [[秦王]][[苻堅]]이 [[慕容暐]]와 燕나라의 王公과 百官과 鮮卑族 4만여 가호를 長安으로 옮겼다. 燕나라 옛 太史太史인 [[黃泓]]이 탄식하기를 “燕나라가 반드시 중흥할 것이니, [[吳王(慕容垂)]]<font color="#0054FF" size="2">【吳王은 慕容垂이다.】</font>에게 있을 것이다. 내가 늙어서 미처 보지 못하는 것이 한스럽다.” 하였다. 汲郡 사람 [[趙秋]]가 말하기를 “天道가 燕나라에 있는데 秦나라가 멸망시켰으니, 15년이 못 되어 秦나라는 반드시 다시 燕나라의 소유가 될 것이다.” 하였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太宗簡文皇帝=====
 +
</div>太宗簡文皇帝 名昱이요 字道萬이니 元帝少子也라 在位二年이요 壽五十三이라<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1,107번째 줄: 1,294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燕主]][[]] 攻西燕하야 執[[西燕主]][[]]하야 斬之하다
+
[[太宗簡文皇帝]]<font color="#0054FF" size="2">【一德不懈曰簡이요 平易不訾曰簡이라】</font> 名[[]]이요 字[[道萬]]이니 [[元帝]]少子也라 在位二年이요 壽五十三이라
 
</div>
 
</div>
 
</div>
 
</div>
1,115번째 줄: 1,302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燕主]][[慕容垂]]가 西燕을 공격해서[[西燕主]][[慕容永]]을 잡아 목을 베었다.
+
[[太宗]] 簡文皇帝<font color="#0054FF" size="2">【德을 한결같이 하여 게으르지 않은 것을 簡이라 하고, 평이하여 헐뜯지 않는 것을 簡이라 한다.】</font>는 이름이 [[]]이요 字가 [[道萬]]이니, [[元帝]]의 작은 아들이다. 재위가 2년이고 壽가 53세이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乙未]二十年=====
+
=====[辛未]咸安元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1,126번째 줄: 1,31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乙未]二十年이라 〈燕建興十年이요 秦皇初二요 魏登國十年이라〉
+
[辛未]咸安元年이라 〈秦建元七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魏王]][[]] 叛燕하야 侵逼附塞諸部어늘 五月에 [[燕主]][[垂]] 遣[[太子寶]]와 [[遼西王]][[農]]과 [[趙王]][[麟]]<font color="#0054FF" size="2">【農, 麟은 皆寶之弟라】</font>하야 帥衆八萬하야 伐魏한대 [[珪]]縱兵擊之하니 燕兵死者 以萬數라 [[太子寶]]等이 皆單騎로 僅免하다
+
正月에 [[秦王]][[]]이 徙關東豪傑及雜夷十五萬戶於關中하고 處[[烏桓]]於馮翊, 北地<font color="#0054FF" size="2">【北地는 郡名이라】</font>하고 丁零翟斌<font color="#0054FF" size="2">【丁零은 北狄種名이니 漢匈奴傳註에 地名이라 翟은 本音狄이니 後人姓音宅이라】</font>於新安, 澠池하다
 
</div>
 
</div>
 
</div>
 
</div>
1,137번째 줄: 1,324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20년(을미 395) - 燕나라 建興 10년이고, 秦나라(後秦) 皇初 2년이고, 魏나라 登國 10년이다. -
+
咸安 元年(신미 371) - 秦나라 建元 7년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魏王]][[拓跋珪]]가 燕나라를 배반하고서 변방에 가까운 여러 部를 침략하고 핍박하였다. 5월에 [[燕主]][[慕容垂]]가 太子太子[[慕容寶]], [[遼西王]][[慕容農]], [[趙王]] 慕容麟<font color="#0054FF" size="2">【慕容農과 慕容麟은 모두 慕容寶의 아우이다.】</font>을 보내어 군사 8만 명을 거느리고서 魏나라를 치게 하였는데, [[拓跋珪]]가 군대를 풀어 공격하니 燕나라 병사 중에 죽은 자가 만으로 헤아려졌다. 太子太子[[慕容寶]] 등이 모두 單騎로 빠져나와 겨우 죽음을 면하였다.
+
정월에 [[秦王]][[苻堅]]이 關東의 호걸과 여러 오랑캐 족속 15만 가호를 關中으로 옮겼으며, [[烏桓]]을 馮翊과 北地<font color="#0054FF" size="2">【北地는 고을 이름이다.】</font>에 安置시키고 [[丁零]] 사람 翟斌<font color="#0054FF" size="2">【丁零은 북쪽 오랑캐의 종족 이름이니, ≪漢書≫ 〈匈奴傳〉 註에는 地名이라고 하였다. 翟은 本音이 적이니, 후인들이 姓으로 쓸 때에는 音이 택(책)이다.】</font>을 新安과 澠池에 安置시켰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
|}
=====[丙申]二十一年=====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1,151번째 줄: 1,33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丙申]二十一年이라 〈[[燕主]][[慕容寶]]永康元이요 秦皇初三이요 魏皇始元年이요 涼龍飛元年이라〉
+
○ 十月에 大司馬大司馬[[溫]]이 恃其材略位望<font color="#0054FF" size="2">【地位聞望이라】</font>하고 陰蓄不臣之志하야 嘗撫枕歎曰 男子不能流芳百世어든 亦當遺臭萬年이라하더라 [[溫]]이 欲先立功河朔하야 以收時望하고 還受九錫이러니 及枋頭之敗에 威名頓挫라 旣克壽春에 謂參軍參軍[[郗超]]曰 足以雪枋頭之恥乎아 [[超]]曰 未也니이다 久之요 超就溫宿할새 中夜에 謂[[]]曰 明公이 當天下重任하야 今以六十之年으로 敗於大擧하니 不建不世之勳이면 不足以鎭愜<font color="#0054FF" size="2">【愜은 伏也라】</font>民望이리이다 [[]]曰 然則奈何오 超曰 明公이 不爲伊, 霍之擧<font color="#0054FF" size="2">【超知溫心而迎合之라】</font>者면 無以立大威權하야 鎭壓四海하리이다 溫素有心이러니 深以爲然하야 遂與之定議하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四月에 [[燕主]][[]]卒<font color="#0054FF" size="2">【垂憤太子寶 敗於魏而還하야 引兵하고 出魏不意하야 襲平城破之하다 過燕軍大敗處할새 軍士慟哭하야 聲振山谷하니 垂慙憤嘔血死云云이라】</font>하고 [[太子寶]]卽位하다
+
[史略 史評][[番(鄱)陽石氏]]曰 [[伊尹]]이 放[[太甲]]하고 [[霍光]]이 廢昌邑王은 爲宗社計라 其心이 公也어늘 小人이 妄以爲擬하니 不亦異哉아
 
</div>
 
</div>
 
</div>
 
</div>
1,162번째 줄: 1,34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太元 21년(병신 396) - [[燕主]][[慕容寶]]의 永康 元年이고, 秦나라 皇初 3년이고, 魏나라 皇始 元年이고, 涼나라 龍飛 元年이다. -
+
○ 10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은 자신의 재주와 지략과 지위와 명망<font color="#0054FF" size="2">【位望은 지위와 명망이다.】</font>을 믿고 은밀히 신하 노릇 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품고서 일찍이 베개를 어루만지며 탄식하기를 “남자가 아름다운 명성을 百代에 남길 수 없으면 또한 더러운 이름이라도 만년토록 남겨야 한다.” 하였다. [[桓溫]]이 먼저 河朔(河北) 지방에서 공을 세워 당대의 명망을 거두고 돌아와 九錫을 받고자 하였는데, 枋頭에서 패하자 위엄과 명성이 크게 꺾였다. 壽春을 점령한 뒤에 參軍參軍[[郗超]]에게 이르기를 “枋頭의 치욕을 씻을 수 있겠는가?” 하니, [[郗超]]가 대답하기를 “안 됩니다.” 하였다. 얼마 후 [[郗超]]가 [[桓溫]]을 찾아가 함께 잠을 잤는데, 한밤중에 [[桓溫]]에게 이르기를 “明公이 천하의 重任을 담당하여 이제 60의 나이로 크게 군대를 동원하여 출정함에 실패하였으니, 좀처럼 세상에 나타나지 않을 큰 공업을 세우지 않는다면 백성들의 바람을 진정시키고 복종<font color="#0054FF" size="2">【愜은 복종함이다.】</font>시킬 수 없습니다.” 하였다. [[桓溫]]이 대답하기를 “그렇다면 어찌해야 하는가?” 하니, [[郗超]]가 말하기를 “明公이 [[伊尹]]과 [[霍光]]의 일<font color="#0054FF" size="2">【郗超가 桓溫의 속마음을 알고 영합한 것이다.】</font>을 하지 않는다면 큰 위엄과 권력을 세워서 四海를 진압할 수 없습니다.” 하였다. [[桓溫]]이 평소 배반할 마음이 있었는데, 이 말을 깊이 옳게 여겨서 마침내 [[郗超]]와 더불어 의논을 결정하였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4월에 [[燕主]][[慕容垂]]가 죽고<font color="#0054FF" size="2">【燕主 慕容垂는 太子 慕容寶가 魏나라에게 패배하고 돌아온 것을 분하게 여겨 군대를 이끌고 불시에 魏나라로 출병하여 平城을 습격하여 격파하였다. 燕나라 군대가 크게 패배한 곳(參合坡)지날 때에 군사들이 통곡하여 그 소리가 산골짝에 진동하니, 慕容垂가 부끄러워하고 분하게 여겨 피를 토하고 죽었다.】</font>太子太子[[慕容寶]]가 즉위하였다.
+
[史略 史評][[鄱陽石氏]]가 말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伊尹]]이 [[太甲]]추방하고[[霍光]]이 [[昌邑王]]을 폐위한 것은 종묘사직을 위한 계책이었다. 그 마음이 공정하였는데, 小人이 함부로 이에 비견하였으니, 이상하지 않은가.
 
</div>
 
</div>
 
</div>
 
</div>
1,174번째 줄: 1,362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六月에 [[三河王]][[呂光]]이 卽天王位하야 國號를 大涼이라하고 以[[世子紹]]로 爲太子하다
+
十一月에 [[]]이 自廣陵으로 詣建康하야 宣太后令하야 廢帝爲東海王하고 以[[會稽王]][[昱]]으로 統承皇極하야 卽皇帝位하니 [[]]이 威勢翕赫<font color="#0054FF" size="2">【翕은 盛也라】</font>이러라 侍中侍中[[謝安]]이 見溫遙拜어늘 [[溫]]驚曰 安石아 卿이 何事乃爾오 [[安]]曰 未有君拜於前하고 臣揖於後니이다 於是에 詔進溫丞相, 大司馬하야 留京師輔政하니 [[溫]]이 固辭하고 仍請還鎭姑孰하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史略 史評]史斷曰 哀帝以及廢帝히 政出桓溫하야 太阿倒持하고 虛器徒擁하야 卒被廢黜하니 哀哉라
 
</div>
 
</div>
 
</div>
 
</div>
1,182번째 줄: 1,373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6월에 [[三河王]][[呂光]]이 天王天王에 즉위하여 국호를 大涼이라 하고, 世子世子[[呂紹]]를 太子로 삼았다.
+
11월에 [[桓溫]]이 廣陵으로부터 建康에 나가서 [[太后]]의 명령을 선포하여 황제를 폐위시켜[[東海王]]으로 삼고, [[會稽王]][[司馬昱]]으로 皇極의 대통을 이어서 황제에 즉위하게 하니, [[桓溫]]의 위엄과 권세가 대단히 혁혁<font color="#0054FF" size="2">【翕은 성대함이다.】</font>하였다. 侍中侍中[[謝安]]이 [[桓溫]]을 보고 멀리서 절하자, [[桓溫]]이 놀라며 말하기를 “[[安石(謝安의 字)]]아! 卿이 무슨 일로 이와 같이 하는가?” 하니, [[謝安]]이 말하기를 “군주가 앞에서 절하고 신하가 뒤에서 읍하는 경우는 있지 않습니다.” 하였다. 이에 조서를 내려 [[桓溫]]을 丞相丞相‧大司馬大司馬로 승진시켜京師에 머물면서 정사를 보필하게 하니, [[桓溫]]이 한사코 사양하고 그대로 돌아가 姑孰에 鎭駐할 것을 청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哀帝]]로부터 [[廢帝]]에 이르기까지 정사가 [[桓溫]]에게서 나와 황제는 칼날을 쥐고 거꾸로 칼자루를 [[桓溫]]에게 내주어 이름뿐인 빈 자리[虛器]만 끼고 있다가 마침내 폐출당하였으니, 슬프다.
 
</div>
 
</div>
 
</div>
 
</div>
1,191번째 줄: 1,388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魏群臣이 勸[[魏王]][[]]하야 稱尊號어늘 [[珪]]始建天子旌旗하고 出警入蹕<font color="#0054FF" size="2">【天子出則稱警하니 示戒肅也요 入則言蹕하니 所以止行人淸道也라 又示出入皆有蹕하니 互文耳라】</font>하며 改元皇始하다
+
○ [[十二月]]에 大司馬大司馬[[]]이 奏東海王이 宜依昌邑故事<font color="#0054FF" size="2">【漢昭帝崩에 迎昌邑王하야 卽帝位러니 有罪被廢하야 歸于昌邑하니라】</font>라하야 乃封海西縣公하다 [[溫]]이 威振內外하니 帝雖處尊位나 拱黙而已러라
 
</div>
 
</div>
 
</div>
 
</div>
1,199번째 줄: 1,396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魏나라의 신하들이 [[魏王]][[拓跋珪]]에게 권하여 尊號를 칭하게 하자, [[拓跋珪]]가 처음으로 天子의 旌旗를 세우고 나갈 때 경계하고 들어올 때 辟除하며<font color="#0054FF" size="2">【天子가 나갈 때에는 警이라 칭하니 경계하고 엄숙함을 보이는 것이요, 들어올 때에는 蹕이라 칭하니 行人들을 막고 길을 치움을 보이는 것이다. 나갈 때 경계하고 들어올 때 辟除함은 또 天子가 나가고 들어올 때에 모두 벽제함을 보인 것이니, 出警入蹕은 互文이다.】</font>皇始라고 改元하였다.
+
12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東海王(廢帝)]]은 마땅히 [[昌邑王]]의 故事<font color="#0054FF" size="2">【漢나라 昭帝가 崩함에 昌邑王(劉賀)을 맞이하여 황제에 즉위하였는데, 죄가 있어 폐출당하여 昌邑으로 돌아갔다.】</font>를 따라야 한다고 아뢰어 마침내 [[海西縣公]]에 봉하였다. [[桓溫]]의 위엄이 내외에 떨쳐지니, 황제가 비록 지존의 자리에 있었으나 팔짱을 끼고 침묵만 할 뿐이었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壬申]二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1,208번째 줄: 1,407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九月에 帝崩<font color="#0054FF" size="2">【帝醉하야 寢할새 貴人이 使婢以被蒙面而弑之하고 賂左右하야 曰因魘暴崩이라하다】</font>하다
+
[壬申]二年이라 〈秦建元八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七月에 帝崩<font color="#0054FF" size="2">【遺詔에 溫依周公居攝故事하라하고 又曰 少子可輔어든 輔之하고 如爲不可어든 君可自取하라하니 侍中王坦之 持詔入하야 於帝前에 毁之라 帝曰 天下儻來之運이어늘 卿何所嫌고하니 云云하다 】</font>하고 太子卽皇帝位하다
 
</div>
 
</div>
 
</div>
 
</div>
1,216번째 줄: 1,418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9월에 황제([[司馬曜]])가 승하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孝武帝가 술에 취하여 잘 적에 貴人이 계집종을 시켜 황제의 얼굴을 덮어씌워 질식시켜 시해하고는 左右를 뇌물로 매수하고 이르기를 “가위에 눌려 갑자기 崩하였다.”고 하였다.】</font>
+
咸安 2년(임신 372) - 秦나라 建元 8년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7월에 황제가 崩하고,<font color="#0054FF" size="2">【簡文帝가 崩할 때 遺詔에 “桓溫은 周公이 居攝한 故事를 따르라.” 하고, 또 말하기를 “少子가 보좌할 만하거든 보좌하고 만약 보좌할 수 없으면 그대가 스스로 취해도 된다.” 하니, 侍中 王坦之가 詔書를 가지고 대궐에 들어가 황제의 앞에서 이것을 찢어 버렸다. 황제가 말하기를 “天下를 뜻하지 않게 갑자기 얻었는데, 卿은 어찌하여 의혹하는가?” 하니, 王坦之가 云云하였다.】</font>太子太子가 황제에 즉위하였다.
 
</div>
 
</div>
 
</div>
 
</div>
1,225번째 줄: 1,430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魏王]][[]] 潛自晉陽으로 開[[韓信]]故道<font color="#0054FF" size="2">【[[韓信]]擊趙故道라】</font>하고 自井陘으로 趨中山하니 自常山以東으로 守宰或走或降하야 諸郡縣이 皆附於魏호되 惟中山, 鄴, 信都三城이 爲燕守하다
+
八月에 秦이 以王猛으로 爲丞相하다 猛이 爲相에 [[]]이 端拱<font color="#0054FF" size="2">【端은 正也요 拱은 拱手也니 言無爲라】</font>於上하고 百官이 總己於下하니 軍國內外之事 無不由之러라 [[]]이 剛明<font color="#0054FF" size="2">【不屈於欲之謂剛이요 不惑於物之謂明이라】</font>淸肅하야 善惡이 著白하고 放黜尸素<font color="#0054FF" size="2">【尸位素餐이라】</font>하고 顯拔幽滯하며 勸課農桑하고 練習軍旅<font color="#0054FF" size="2">【見一卷一旅注하니라】</font>하며 官必當才하고 刑必當罪하니 由是로 國富兵彊하야 戰無不克이라 秦國이 大治러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史略 史評]史斷曰 [[武帝]]卽位에 而能委任[[謝安]], [[謝玄]]等이라 故로 新亭數語 足折桓溫之氣하고 淝水一戰에 大敗苻秦之師라 是以로 上下輯睦하야 晉室이 似有生意矣라 然이나 帝方溺於酒, 荒于色하야 奏凱方旋에 驕氣掬面하고 曾不閱時에 遽用讒言하야 疎退賢輔하야 遂使王綱不振하고 恩威不立이라 [[道子]]荒于朝政하고 [[國寶]]彙以小人하니 拜授之榮이 初非天旨요 鬻刑之貨 旁午權門하야 毒賦年滋하고 愁民歲廣이라 內殿嚴邃에 雜處浮屠하고 請修[[]]廟에 䟽入不報하고 晩年에 長星告變호되 猶不警悟하고 房幃烈禍 起自戲言하니 晉祚至此에 蓋已亡而未滅耳니라
+
[史略 史評]史斷曰 簡文이 爲桓溫所立하야 雖處尊位나 恭黙守道而已요 嘗懼廢黜하야 泣下沾襟하니 帝雖神識恬暢이나 而乏濟世大略이라 故로 謝安이 稱其爲惠帝之流에 淸談差勝耳라하고 [[謝靈運]]이 謂迹其行事하면 以爲[[]], [[]]之輩라하니 從可知矣니라
 
</div>
 
</div>
 
</div>
 
</div>
1,236번째 줄: 1,441번째 줄: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魏王]][[拓跋珪]]가 몰래 晉陽으로부터 [[韓信]]의 옛길<font color="#0054FF" size="2">【옛길은 韓信이 趙나라를 공격했던 옛길이다.】</font>을 열고 井陘으로부터 中山으로 달려가니, 常山 이동 지방의 수령들이 혹은 달아나고 혹은 항복하여 모든 郡縣들이 魏나라에 붙었으나 오직 中山과 鄴城과 [[信都]] 세 성만이 燕나라를 위하여 지켰다.
+
8월에 秦나라가 [[王猛]]을 丞相丞相으로 삼았다. [[王猛]]이 丞相丞相이 되자, [[苻堅]]은 위에서 몸을 단정히 하고 손을 모아 無爲로써 다스리고<font color="#0054FF" size="2">【端은 바름이고 拱은 拱手하는 것이니, 端拱은 無爲(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를 말한다.】</font> 백관들은 아래에서 자신의 직책을 총괄하니, 軍國軍國 안팎의 정사가 [[王猛]]거치지 않는 것이 없었다. [[王猛]]은 굳세고 밝고<font color="#0054FF" size="2">【욕심에 굴복당하지 않는 것을 剛이라 하고, 외물에 미혹되지 않는 것을 明이라 한다.】</font> 깨끗하고 엄숙하여 善惡이 분명하며, 자리를 차지하고 녹만 받아먹는 자들<font color="#0054FF" size="2">【尸素는 직책을 다하지 못하면서 자리만 차지하고 祿만 받아먹는 것을 이른다.】</font>을 추방하여 내쫓고 숨어서 세상에 나오지 않는 자들을 드러내어 발탁하며, 농업과 양잠을 권장하고 군대<font color="#0054FF" size="2">【軍旅는 1권의 ‘一旅’ 注에 보인다.】</font>를 훈련시키며, 관직은 반드시 재주에 걸맞게 하고 형벌은 반드시 죄에 마땅하게 하니, 이로 말미암아 나라가 부유하고 군대가 강성해져서 싸우면 승리하지 않음이 없었다. 秦國이 크게 다스려졌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1,242번째 줄: 1,447번째 줄: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武帝]]는 즉위하자 [[謝安]][[謝玄]] 등에게 위임하였다. 그러므로 新亭의 몇 마디 말로 [[桓溫]]의 기운을 충분히 꺾었고, 淝水의 전투에서 苻秦의 군대를 크게 무찌를 수 있었다. 이 때문에 上下가 화목하여 晉나라 황실이 생기가 도는 듯 하였다. 그러나 [[武帝]]가 한창 술에 빠지고 여색에 빠져 凱旋歌를 부르며 돌아온 뒤에 교만한 기색이 얼굴에 가득하였으며, 채 한 철이 지나기도 전에 갑자기 참소하는 말을 따라 어진 보필을 멀리 물리쳐서 제왕의 기강이 떨쳐지지 못하고 은혜와 위엄이 바로 서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司馬道子]]가 조정의 정사를 게을리 하고 [[王國寶]]가 소인들을 모으니, 관직을 제수하는 영화가 애당초 天子의 뜻이 아니었고 형벌을 면제해 주는 대가로 받은 財貨가 權門勢家에 몰려들어서 가혹한 세금이 해마다 늘어나고 근심하는 백성들이 해마다 많아졌다. 그윽하고 깊숙한 內殿에 승려들이 뒤섞여 거처하였고 [[孔子]]의 사당을 수리하자고 청하였으나 답하지 않았다. 晩年에 長星이 변고를 알렸음에도 경계하여 깨닫지 못하였고 房幃의 독한 화가 희롱하는 말로부터 비롯되었으니, 晉나라의 國運은 여기에 이르러 이미 망하였으나 아직 사라지지만 않았을 뿐이다.”
+
“[[簡文帝]][[桓溫]]에 의해 옹립되어 비록 지존의 자리에 있었으나 공손하고 침묵하여 道를 지킬 뿐이었고, 항상 폐출당할까 두려워하여 눈물을 흘려 옷깃을 적셨다. [[簡文帝]]는 비록 정신이 평안하고 지식이 通暢하였으나 세상을 구제할 큰 智略이 없었다. 그러므로 [[謝安]]은 칭하기를 ‘晉나라 [[惠帝]]의 부류인데 淸談이 조금 나을 뿐이다.’ 하였고, 謝靈運謝靈運은 이르기를 ‘행한 일을 살펴보면 周나라 [[赧王]]과 漢나라 [[獻帝]]의 무리이다.’라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그의 인품을 알 만하다.”
 
</div>
 
</div>
 
</div>
 
</div>
 
|}</div>
 
|}</div>

2017년 5월 25일 (목) 22:51 기준 최신판

晉紀

康皇帝

康皇帝 名岳이요 字世同이니 成帝母弟也라

康皇帝【溫柔好樂曰康】이요 字世同이니 成帝母弟也라 在位二年이요 壽二十二라

康皇帝【온화하고 유순하여 좋아하고 즐거워할 만한 것을 康이라 한다.】는 이름이 이요 字가 世同이니, 成帝의 同母弟이다. 재위가 2년이고 壽가 22세이다.

[癸卯]建元元年

[癸卯]建元元年이라 〈趙建武九年이라〉

庾翼【亮之弟니 亮卒에 翼代之라】이 薦桓溫成帝桓溫이 有英雄之才하니 願陛下勿以常人遇之, 常壻畜之【桓彛之子也니 尙明帝女南康公主하니라】하시고 宜委以方面【本文則方邵(召)하니 方叔, 召虎라 周宣王이 用之하야 以中興也라】之任이면 必有弘濟艱難之勳하리이다 時에 杜乂, 殷浩 才名冠世호되 翼獨弗之重也하고 曰 此輩는 宜束之高閣하야 俟天下太平然後에 徐議其任耳라하니라 浩累辭徵辟하고 屛居墓所하야 幾將十年하니 時人이 擬之管, 葛【管은 謂夷吾요 葛은 謂孔明이라】이라 江夏相謝尙【相은 漢志에 每國置相一人하니 主治民하야 如令, 長하고 不臣也라하니라 謝尙은 鯤之子라】長山令王濛이 常伺其出處하야 以卜江左興亡하고 常(嘗)相與省之러니 知浩有確然【守志堅固하야 不移也라】之志하고 旣返에 相謂曰 深源【殷浩字也라】不起하니 當如蒼生何오 이 請爲司馬司馬【請於國하니 詔除爲侍中, 安平軍司馬也라】한대 不應이어늘 이 遺浩書曰 王夷甫立名非眞【非眞은 不實也니 翼意言浩不可如王衍이라 夷甫는 衍字라】하니 雖云談道나 實長華競이라 明德君子 遇會處際【遇風雲之會하고 處功名之際라】에 寧可然乎아호되 猶不起러라

建元 元年(계묘 343) - 趙나라(後趙) 建武 9년이다. -

庾翼庾翼庾亮의 아우이니, 庾亮이 죽자 庾翼이 대신하였다.】桓溫成帝에게 천거하기를 “桓溫은 영웅의 재주가 있으니,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그를 보통 사람으로 대우하시거나 보통의 사위로 기르지 마시고【桓溫은 桓彛의 아들이니, 明帝의 딸인 南康公主에게 장가들었다.】 方面【≪資治通鑑≫ 本文에는 ‘方面’이 ‘方邵’로 되어 있으니, 方邵는 方叔과 召虎이다. 周나라 宣王이 이들을 등용하여 中興하였다.】의 임무를 맡긴다면 반드시 어려움을 크게 구제하는 功이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이때 杜乂殷浩가 재주 있다는 명성이 세상에 으뜸이었으나 庾翼만은 홀로 이들을 중시하지 않고 말하기를 “이런 무리들은 〈亂世에는 쓸데가 없으니〉 높은 다락에 묶어 두었다가 천하가 태평해지기를 기다린 뒤에 천천히 그 임무를 의논해야 한다.” 하였다. 殷浩가 여러 번 나라의 부름을 사양하고 물러나 묘소에 은거하여 거의 10년에 이르니, 당시 사람들이 管仲諸葛孔明【管은 管夷吾(管仲)를 이르고, 葛은 諸葛孔明을 이른다.】에게 견주었다. 江夏相江夏相謝尙【相은 ≪後漢書≫ 〈百官志〉에 “각 諸侯國마다 相 한 명을 두니, 백성들을 다스리는 것을 주관하여 縣令이나 縣長과 같고, 제후왕에게 신하 노릇 하지 않는다.” 하였다. 謝尙은 謝鯤의 아들이다.】과 長山令長山令王濛은 항상 그의 出處를 살펴 江左(江東)의 흥망을 점쳤다. 한번은 함께 殷浩를 문안하였는데, 殷浩에게 확고한【確然은 뜻을 지킴이 견고하여 변치 않는 것이다.】 뜻이 있음을 알고서 돌아온 뒤에 서로 말하기를 “深源【深源은 殷浩의 字이다.】이 나오지 않으니, 이 蒼生들을 어찌한단 말인가?” 하였다. 庾翼殷浩司馬로 삼을 것을 청하자,【庾翼이 殷浩를 司馬로 삼을 것을 국가에 청하자, 황제가 명하여 殷浩에게 侍中‧安平軍司馬를 제수한 것이다.】 〈황제가 명하여 司馬로 삼았는데〉 殷浩가 응하지 않으니, 庾翼殷浩에게 편지를 보내기를 “王夷甫(王衍)가 명성을 세운 것은 진짜가 아니니,【진짜가 아니라는 것은 진실하지 못한 것이니, 庾翼의 뜻은 殷浩가 王衍과 같아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 夷甫는 王衍의 字이다.】 비록 道를 말했다고 하나 실로 浮華함을 다투는 氣風을 助長하였다. 재주와 德을 겸비한 君子가 좋은 때를 당하여 만남【風雲의 기회를 만나고, 功名의 즈음에 처한 것이다.】에 어찌 그렇게 할 수 있겠는가?” 하였으나 殷浩는 여전히 나오지 않았다.

[甲辰]二年

[甲辰]二年이라 〈趙建武十年이요 漢主李勢太和元年이라〉

九月에 帝崩하고 太子卽位하니 時方二歲라 太后太后褚氏【裒女라】臨朝稱制하고 何充을 加侍中侍中, 錄尙書事錄尙書事하다

建元 2년(갑진 344) - 趙나라 建武 10년이고, 漢主李勢의 太和 元年이다. -

9월에 황제가 崩하고태자가 즉위하니, 이때 막 2세였다. 太后 褚氏【褚氏는 褚裒의 딸이다.】가 조정에 臨御하여 制를 칭하고 何充에게 侍中侍中‧錄尙書事錄尙書事를 가하였다.

孝宗穆皇帝

孝宗穆皇帝 名聃이 字彭祖니 康帝太子也라 在位十七年이요 壽十九라

孝宗穆皇帝【布德執義曰穆이라】이요 字彭祖康帝太子也라 在位十七年이요 壽十九라

孝宗 穆皇帝【德을 베풀고 義를 지키는 것을 穆이라 한다.】는 이름이 이고 字가 彭祖이니, 康帝康帝의 太子太子이다. 재위가 17년이고 壽가 19세이다.

[乙巳]永和元年

[乙巳]永和元年이라 〈趙建武十一年이라 ○ 燕王慕容皝十二年이라 ○ 舊大國一이요 漢, 涼, 代小國三이요 新小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永和 元年(을사 345) - 趙나라 建武 11년이다. ○ 燕王慕容皝 12년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漢‧涼‧代 등 小國이 셋이며 새로운 小國이 하나이니, 모두 僭國이 다섯이다.-

會稽王【昱은 音育이라 晉元帝少子니 是爲簡文帝라】으로 爲撫軍大將軍撫軍大將軍, 錄尙書事錄尙書事하고 以徐州刺史徐州刺史桓溫으로 爲安西將軍安西將軍, 荊州刺史荊州刺史하다

會稽王 司馬昱【昱은 音이 육(욱)이다. 司馬昱은 晉 元帝의 少子이니, 이가 바로 簡文帝이다.】을 撫軍大將軍‧錄尙書事撫軍大將軍‧錄尙書事로 삼고, 徐州刺史徐州刺史桓溫을 安西將軍‧荊州刺史安西將軍‧荊州刺史로 삼았다.

[丙午]二年

[丙午]二年이라 〈趙建武十二年이요 漢嘉寧元年이라〉

殷浩로 爲揚州刺史揚州刺史하니 固辭어늘 會稽王이 遺書曰 足下去就 卽時之廢興이니 若深存挹退하야 苟遂本懷면 吾恐天下之事去矣라한대 乃就職하다

永和 2년(병오 346) - 趙나라 建武12년이고, 漢나라 嘉寧 元年이다. -

殷浩를 揚州刺史揚州刺史로 삼으니, 殷浩가 한사코 사양하였는데, 會稽王司馬昱殷浩에게 편지를 보내어 이르기를 “足下의 거취에 바로 時運이 폐하느냐 흥하느냐가 달려 있으니, 만약 겸양하는 마음을 깊이 보존하여 〈세속의 일을 돌아보지 않고〉 다만 본래의 마음을 이루려 한다면 나는 천하의 일이 글러 버릴까 두렵다.” 하자, 殷浩가 마침내 부임하였다.

○ 五月에 西平公張駿張軌及二子, 保據河右러니 及駿勤修庶政하야 民富兵强하니 遠近稱爲賢君이라하다】이 薨커늘 世子重華 自稱涼州牧涼州牧, 西平公西平公, 假涼王假涼王이라하다

○ 5월에 前涼의 西平公張駿【張軌와 두 아들인 張寔‧張茂가 河右(河西)를 점거하였는데, 張駿이 庶政을 부지런히 닦아서 백성들이 풍족하고 군대가 강해지자, 遠近에서 칭송하여 賢君이라 하였다.】이 薨하자, 世子世子張重華涼州牧西平公假涼王이라 자칭하였다.

○ 安西將軍安西將軍桓溫이 伐漢【李氏據蜀稱漢하니라[頭註]戊戌年에 成李壽弑其君하고 自立하야 改國號漢이라하다 李壽之子也라】할새 拜表卽行【謂拜上表하고 而不及聞詔命而輒行也라】하다

○ 安西將軍安西將軍桓溫이 漢나라를 정벌【[原註]李氏가 蜀을 점거하고 漢이라고 칭하였다.[頭註]무술년(338)에 成나라 李壽가 그 군주 李期를 죽이고 자신이 왕위에 서서 國號를 成에서 漢으로 고쳤다. 李壽는 李特의 아우인 李驤의 아들이다.】할 때에 表文을 올리고는 즉시 출발하였다.【表文을 올리고는 미처 詔命을 듣기도 전에 곧바로 길을 떠남을 이른다.】

[丁未]三年

[丁未]三年이라 〈趙建武十三年이라 ○ 是歲에 漢亡하니 大一, 小三이니 凡四僭國이라〉

永和 3년(정미 347) - 趙나라 建武13년이다. ○ 이해에 漢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하나이고 小國이 셋이니, 僭國이 모두 넷이다.-

二月에 이 自將步卒하고 直指成都한대 漢主【壽長子라】 悉衆出戰이어늘 이 乘勝長驅하야 至成都하야 縱火燒其城門하니 漢人이 惶懼하야 無復鬪志라 勢送降文於하고 尋輿櫬面縛하고 詣軍門이어늘 이 解縛焚櫬하고 送勢及宗室十餘人於建康하고 擧賢旌善하니 蜀人이 悅之러라

2월에 桓溫이 직접 보병을 거느리고 곧바로 成都로 향하자, 漢主李勢【永和 漢主 李勢는 李壽의 長子이다.】가 병력을 총동원하여 나와서 싸웠다. 桓溫이 승승장구하여 成都에 이르러서 불을 놓아 城門을 태우니, 漢나라 사람들이 두려워하여 다시는 싸울 마음이 없었다. 李勢가 항복문을 桓溫에게 보내고 얼마 뒤에 관을 수레에 싣고 두 손을 등 뒤로 돌려 묶고 얼굴을 사람들에게 보이도록 앞으로 쳐들고 軍門軍門에 나오자, 桓溫이 포박을 풀어 주고 관을 불태웠으며 李勢와 宗室 10여 명을 建康으로 보내고 어진 사람을 천거하고 선한 사람을 표창하니, 蜀 지방 사람들이 기뻐하였다.

[戊申]四年

[戊申]四年이라 〈趙建武十四年이라〉

四月에 朝廷이 論平蜀之功하야 乃加征西大將軍征西大將軍하고 封臨賀郡公臨賀郡公하다 旣滅蜀에 威名大振하니 朝廷이 憚之러라 會稽王이 以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有盛名하야 朝野推服이라하야 乃引爲心膂하야 與參綜【謂參錯綜核也라】朝權하야 欲以抗溫하니 由是로 與浸相疑貳러라

永和 4년(무신 348) - 趙나라 建武14년이다. -

4월에 조정에서 蜀의 漢나라를 평정한 공을 논하여 마침내 桓溫에게 征西大將軍征西大將軍을 가하고臨賀郡公에 봉하였다. 桓溫이 蜀을 멸망시킨 뒤로 위엄과 명망이 크게 떨쳐지니, 조정이 두려워하였다. 會稽王司馬昱이 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가 훌륭한 명성이 있어 朝野가 추대하고 복종한다 하여, 마침내 그를 나오게 하여 심복으로 삼아서 함께 조정의 권력에 참여하고 총괄【參綜은 參錯하고 綜核(政事에 하나하나 참여하여 자세하게 밝힘)함을 이른다.】하게 함으로써 桓溫에게 대항하고자 하니, 이로 말미암아 桓溫과 점점 서로 의심하게 되었다.

○ 十一月에 燕王이 卒하고 世子이 卽位하다

○ 11월에 燕王慕容皝이 죽고, 世子世子慕容雋이 즉위하였다.

[己酉]五年

[己酉]五年이라 〈趙太寧元年이라〉

正月에 趙王卽皇帝位【虎荒耽酒色하고 喜怒無常이라 窮奢極侈하야 聚斂無極하고 悉發前代陵墓하야 取其金寶라 作大武宮於襄國하고 東西宮於鄴都할새 皆甃以文石하고 以漆灌瓦하며 金(鐺)[璫]銀楹하고 珠簾玉壁하야 窮極工巧라 選士民之女하야 服珠玉하고 被綺縠이 萬餘人이요 以女騎千人으로 爲鹵簿하야 皆著紫綸巾, 熟錦袴하고 執羽鳴鼓吹以游宴이라 投石於河하야 以作飛橋하니 功費數千萬億이요 又作臺觀四十餘所하고 又營長安, 洛陽(一)[二]宮하니 作者四十餘萬人이라 又發男女十六萬하야 築華林苑及長墻于鄴北할새 燃燭夜作하니 死者太半이라 濟南平陵城北에 石虎一夕에 自移城東南하니 狼狐千餘隨之成蹊어늘 虎喜曰 石虎者는 朕也니 天欲使朕平蕩江南也라하고 於是에 制征士五人에 出車一乘, 牛二頭, 米十斛, 絹十匹호되 不辦者斬하니 民鬻子以供이로되 猶不能給하야 自經於道者相望이라 命太子遊獵하니 太子宣이 乘大輅하고 羽葆華蓋하고 建天子旌旗하고 戍卒十八萬이라 虎望之하고 笑曰 我家父子如是하니 自非天崩地陷이면 復何愁리오하다 復命秦公韜繼遊한대 亦如是하니 宣이 怒其與己敵하야 使刺客殺韜하고 又謀不軌라가 事覺伏誅하다】라가 旣而病卒하니 太子世卽位하다 彭城王遵이 廢世爲譙王이라가 尋殺之하고 遵卽位【虎之子也라 遵이 與丞相燕王斌과 大將軍張豺로 竝受遺詔輔政이러니 劉后恐斌不利於太子하야 矯詔免歸第한대 張豺矯詔殺斌하다 虎卒에 世卽位하고 劉氏臨朝한대 征虜將軍石閔이 說遵曰 殿下長且賢하시니 先帝亦意以爲嗣러니 末年에 爲張豺所誤라 今若聲豺之惡하야 鼓而討之면 其誰不從이리오 遵從之하야 遂趣鄴하니 耆舊士民이 皆迎之하다 豺惶怖하야 亦出迎이어늘 遵命執豺하야 斬于市하다 假劉氏令하야 以遵嗣位하니 封世爲譙王하고 廢劉氏라가 皆殺之하다 於是에 鄴中暴風拔樹하고 震雷雨雹하야 大如盂斗요 太武暉華殿災하고 及諸門觀閣이 蕩然無餘하고 金石皆盡이라 火月餘乃滅하니라】하야 以武興公【虎之養子라】으로 爲都督中外諸軍事하다 言於蒲洪【苻堅之祖니 略陽臨渭氐人이라】은 人傑也라 今以洪鎭關中이면 臣恐秦, 雍之地가 非復國家之有라한대 遵從之하야 罷洪都督하니 이 怒하야 歸枋頭【曹操於淇水(江)[口]에 下大枋木以成堰하야 遏其水하야 東入白溝하야 以通漕運하고 因號其處曰枋頭라하니라】하야 遣使來降【秦雍流民이 立洪爲主라】하다

永和 5년(기유 349) - 趙나라 太寧 元年이다. -

정월에 趙王石虎가 황제에 즉위하였다가【石虎는 酒色에 빠지고 기뻐하고 노여워함이 일정함이 없었다. 극도로 사치하여 세금을 거둠이 끝이 없었으며, 前代 帝王의 陵墓를 모두 발굴하여 금은보화를 취하였다. 襄國에 太武宮을 짓고 鄴都에 東宮과 西宮을 지을 적에 모두 무늬 있는 돌로 섬돌을 만들고 기와 틈에 옻칠을 부었으며, 金으로 서까래를 만들고 銀으로 기둥을 장식하며, 진주 주렴에 玉으로 벽을 만들어서 공교함을 지극히 하였다. 士民의 딸을 뽑아 珠玉으로 꾸미고 얇은 비단옷을 입힌 것이 만여 명이요, 여자 騎兵 천 명을 鹵簿(儀仗隊)로 삼았는데, 모두 자주색 綸巾을 씌우고 精製한 비단으로 만든 바지를 입힌 다음, 깃털로 장식한 깃발을 잡고 북을 울리고 나팔을 불며 뒤따르게 하여 놀고 잔치하였다. 돌을 黃河에 쏟아 부어서 飛橋를 만드니, 공력과 비용이 수천만억이었다. 또 樓觀을 40여 곳에 만들고 長安과 洛陽에 두 궁궐을 만드니 일하는 자가 40여만 명이었다. 또 남녀 16만 명을 징발하여 華林苑과 長墻을 鄴都 북쪽에 쌓을 적에 횃불을 밝히고 밤에도 일하니, 죽은 자가 태반이었다. 濟南의 平陵城 북쪽에 돌로 만든 호랑이[石虎]가 하룻밤 사이에 저절로 城의 동남쪽으로 옮겨 가니, 이리와 여우 천여 마리가 뒤를 따라가서 길이 이루어지자, 石虎가 기뻐하며 말하기를 “돌로 만든 호랑이는 바로 朕이다. 하늘이 아마도 나로 하여금 江南 지방을 평정하게 하려는가 보다.” 하였다. 이에 명을 내려 출정하는 군사 5명마다 兵車 1대와 소 2頭, 쌀 10斛, 비단 10필을 내게 하되 마련하지 못하는 자는 목을 베니, 백성들이 자식을 팔아 비용을 대었으나 오히려 충분하지 못하여 길에서 스스로 목을 매어 죽는 자가 서로 이어졌다. 太子에게 명하여 나가서 사냥하게 하니, 太子 石宣이 황제가 타는 大輅를 타고 華蓋를 새의 깃털로 장식하며 天子의 깃발을 꽂았으며, 병졸이 18만 명이었다. 石虎가 이것을 바라보고 웃으며 말하기를 “우리 집 父子가 이와 같으니, 만일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지 않는다면 다시 무엇을 근심하겠는가.” 하였다. 다시 秦公 石韜에게 명하여 자신이 놀러 나갈 때 뒤를 따르도록 하였는데 그가 또한 이와 똑같이 하니, 石宣은 그가 자신과 대등하게 맞선 것에 노하여 자객을 시켜 石韜를 죽이고 또 반역을 도모하다가 일이 발각되어 죽었다.】 얼마 후 병들어죽으니, 太子太子石世가 즉위하였다. 彭城王石遵石世를 폐위하여譙王으로 삼았다가 얼마 뒤 시해하고 자신이 즉위하여【石遵은 石虎의 아들이다. 石遵이 丞相인 燕王 石斌, 大將軍 張豺와 함께 石虎의 遺詔를 받아 정사를 보필하였는데, 劉后는 石斌이 정사를 보필하면 太子에게 불리할까 염려해서 조서를 위조하여 면직하고 집으로 돌아가게 하니, 張豺가 조서를 위조하여 石斌을 죽였다. 石虎가 죽자 石世가 즉위하고 劉氏가 조정에 임어하였는데, 征虜將軍 石閔이 石遵을 설득하기를 “전하가 나이가 많고 또 어지시니, 先帝께서 또한 意中에 후사를 삼으려 하였는데, 말년에 張豺 때문에 잘못되었습니다. 이제 만약 張豺의 惡行을 성토하여 북을 울리고 진군하여 토벌한다면 그 누가 따르지 않겠습니까.” 하였다. 石遵이 그의 말을 따라 마침내 鄴都로 달려가니, 耆老들과 士民들이 모두 환영하였다. 張豺가 두려워하여 또한 나와서 맞이하자, 石遵이 명하여 張豺를 잡아서 시장에서 목 베게 하였다. 劉氏의 명령을 가탁하여 石遵으로 황제의 지위를 잇게 하니, 石遵이 石世를 봉하여 譙王을 삼고 劉氏를 폐위하였다가 모두 죽였다. 이때 鄴中에 폭풍이 불어 나무가 뽑히고 천둥 벼락이 치며 크기가 사발과 말[斗]만한 우박이 내렸다. 太武暉華殿에 불이 나고 여러 문과 觀閣이 다 불타 버려 남은 것이 없었으며 금은보화도 모두 없어졌다. 화재가 한 달이 넘어서야 비로소 꺼졌다.】武興公 石閔【武興公 石閔은 石虎의 養子이다.】을 都督中外諸軍事都督中外諸軍事로 삼았다. 石閔石遵에게 말하기를 “蒲洪(前秦을 세움)【蒲洪은 苻堅의 조부이니, 略陽郡 臨渭縣 사람으로 氐族이다.】은 인걸입니다. 이제 蒲洪으로 하여금 關中을 鎭撫鎭撫하게 하면 신은 秦州와 雍州 지역이 다시는 우리나라의 소유가 못 될까 두렵습니다.” 하자, 石遵이 그의 말을 따라 蒲洪을 都督都督에서 파면하였다. 蒲洪이 노하여 枋頭로 돌아가【曹操가 淇水 어귀에서 큰 통나무를 내려 보내어 제방을 만들어 물길을 막아서 동쪽으로 白溝로 들어가게 하여 漕運을 통하게 하고 인하여 그곳을 이름하기를 枋頭라고 하였다.】使者使者를 보내어 晉나라에 와서 항복하였다.【秦州와 雍州 지역의 流民들이 蒲洪을 세워 군주로 삼았다.】

○ 六月에 桓溫이 聞趙亂하고 出屯安陸하고 遣諸將하야 經營北方할새 趙揚州刺史揚州刺史王浹이 擧壽春降이어늘 征北大將軍褚裒 上表請伐趙하고 卽日戒嚴하야 直指泗口하다 徑赴彭城하니 北方士民降附者 日以千計러라 朝野皆以爲中原을 指期可復이라호되 蔡謨獨謂所親曰 胡滅이 誠爲大慶이나 然恐更貽朝廷之憂로라 其人曰 何謂也오 謨曰 夫能順天乘時하야 濟群生於艱難者는 非上聖與英雄이면 不能爲也니 自餘則莫若度德量力이라 觀今日之事컨대 殆非時賢所及이라 必將經營分表【分은 劑요 表는 外라[頭註]分은 量也요 表는 外也니 言經營過於分量之外라】하야 疲民以逞하리니 旣而材略疎短하야 不能副心하고 財殫力竭하야 智勇俱困이면 安得不憂及朝廷乎아 魯郡民五百餘家 相與起兵附晉하고 求援於褚裒라 裒遣(步)[部]將王龕, 李邁하야 將銳卒三千迎之하니 趙李農이 帥騎二萬하고 與龕等으로 戰於代陂러니 龕等이 大敗하야 皆沒於趙하다 八月에 裒退屯廣陵이러니 詔命裒하야 還鎭京口하다 時에 河北大亂하야 遺民二十餘萬口가 渡河〈欲〉來歸러니 會에 裒已還하니 威勢不接하야 不能自拔하고 死亡略盡하니라

○ 6월에 桓溫이 趙나라가 혼란하다는 말을 듣고 나가서 安陸에 주둔하고 諸將을 보내어 北方을 경영하였다. 이때 趙나라 揚州刺史揚州刺史王浹이 壽春을 가지고 항복하자, 征北大將軍征北大將軍褚裒가 表文을 올려 趙나라를 칠 것을 청하고 그날로 삼엄하게 경계하여 곧바로 泗口로 향하였다. 지름길을 따라 彭城으로 달려가니, 北方의 士民 중에 항복하고 따르는 자가 하루에 천 명으로 헤아려졌다. 朝野에서 모두 머지않아 中原을 회복할 수 있다고 말하였으나 蔡謨만은 홀로 친한 사람에게 이르기를 “오랑캐가 멸망하는 것은 진실로 크게 경하할 일이나 다시 조정에 근심을 끼칠까 두렵노라.” 하였다. 그 사람이 말하기를 “무슨 말인가?” 하니, 蔡謨가 말하기를 “하늘에 순응하고 기회를 타서 生民들을 어려움에서 구제하는 것은 至聖과 英雄豪傑이 아니면 하지 못하니, 그 밖의 사람은 德을 헤아리고 힘을 헤아리는 것만 못하다. 일을 살펴보건대 자못 지금의 현자들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틀림없이 제 분수 이상으로【[釋義]分은 劑(분량)요, 表는 벗어남이다.[頭註]分은 분량이고 表는 벗어남이니, 經營함이 分量의 밖에 넘침을 이른다.】 경영해서 백성들을 피곤하게 하여 욕심을 부릴 것이니, 이윽고 재주와 지략이 엉성하고 부족하여 마음에 부응하지 못하고 재물이 다하고 힘이 고갈되어 지혜와 용맹이 모두 궁해지면 어찌 우환이 조정에 미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하였다.

魯郡의 백성 5백여 가호가 서로 군대를 일으켜 晉나라에 붙고 褚裒에게 구원을 청하였다. 褚裒가 部將部將王龕李邁를 보내어 정예병 3천 명을 거느리고 맞이하게 하니, 趙나라 李農이 騎兵 2만 명을 거느리고 王龕 등과 代陂에서 싸웠는데, 王龕 등이 대패하여 모두 趙나라에서 죽었다. 8월에 褚裒가 후퇴하여 廣陵에 주둔하였는데, 조서를 내려 褚裒에게 명해서 돌아와 京口에 鎭駐하게 하였다. 이때 河北 지방이 크게 혼란하여 遺民 20여만 명이 黃河를 건너와 歸附하고자 하였는데, 마침 褚裒가 돌아오자 위엄과 기세가 이어지지 못해서 遺民들이 스스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거의 다 죽었다.

○ 十一月에 趙武興公閔이 執趙主遵하야 殺之하다

○ 11월에 趙나라 武興公石閔趙主石遵을 잡아서죽였다.

○ 秦, 雍流民이 相率西歸【秦, 雍流民은 卽石虎所從者니 今因趙亂故로 西歸라】할새 路由枋頭하야 共推蒲洪爲主하니 衆이 十餘萬이라 洪子이 在鄴斬關하고 出奔枋頭하다

○ 秦州와 雍州 지역의 流民들이 서로 이끌고 서쪽으로 돌아갈 적에【秦州와 雍州 지역의 流民들은 곧 石虎를 따르던 자들이니, 지금 趙나라가 어지럽기 때문에 서쪽으로 돌아간 것이다.】 길이 枋頭를 경유하므로 함께 蒲洪을 추대하여 군주로 삼으니, 무리가 10여만 명이었다. 蒲洪의 아들蒲健이 鄴에 있다가 관문을 지키는 장수를 베고 나와 枋頭로 달아났다.

[庚戌]六年

[庚戌]六年이라 〈趙主石祗永寧元年이라 ○ 魏主冉閔永興元年이라 ○ 舊大國一이요 涼, 代, 燕小國三이요 新大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正月에 趙大將軍大將軍이 卽皇帝位하고 改國號魏라하고 復姓冉氏【閔은 本姓冉氏이니 魏郡內黃人이라 石勒이 獲之하고 命石虎하야 養以爲子라】【八年에 爲燕所滅하니라】하다

永和 6년(경술 350) - 趙主石祗의 永寧 元年이다. ○ 魏主冉閔의 永興 元年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涼‧代‧燕 등 小國이 셋이며 새로운 大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다섯이다.-

정월에 趙나라 大將軍大將軍石閔이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魏라고 고치고 冉氏姓을 회복하였다.【石閔은 본래 姓이 冉氏이니, 魏郡 內黃 사람이다. 石勒이 〈石閔의 아버지 石瞻을〉 사로잡고 石虎에게 명하여 石閔을 길러서 養子로 삼게 하였다.】【魏나라는 永和 8년(352)에 燕나라에게 멸망당하였다.】

姚弋仲【石虎時에 累遷하야 至冠軍大將軍이라】, 蒲洪이 各有據關右之志라 弋仲이 遣其子襄하야 帥衆五萬擊洪이어늘 洪이 迎擊破之하다 洪이 自稱大都督, 三秦王이라하고 改姓苻氏【晉載記曰 其家池中蒲生하니 長五丈五요 節如竹形이라 時咸謂之蒲家라하니 因爲氏焉하다 又隴右大雨어늘 謠曰 雨若不止면 洪水必起라하니 因名曰洪이라 後以讖文에 有艸付應王하고 又以孫堅背有艸付字라하야 遂改姓苻하니라】하다

○ 姚弋仲【姚弋仲은 石虎 때에 여러 번 승진하여 冠軍大將軍에 이르렀다.】蒲洪이 각각 關西 지방을 점령할 뜻이 있었다. 姚弋仲이 아들姚襄을 보내어 5만 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蒲洪을 공격하자, 蒲洪이 맞아 싸워 격파하였다. 蒲洪이 大都督大都督‧三秦王三秦王이라 자칭하고 姓을 苻氏로 고쳤다.【≪晉書≫ 〈苻洪載記〉에 이르기를 “집의 연못에서 부들[蒲]이 자랐는데 길이가 5丈 5尺이며 마디가 대나무 모양과 같으니 당시에 모두 蒲家라고 일렀으므로 인하여 姓氏로 삼았다.” 하였다. 또 隴右에 큰비가 내렸는데, 동요에 이르기를 “비가 만약 그치지 않으면 홍수가 반드시 일어난다.” 하니 인하여 이름을 洪이라 하였다. 뒤에 圖讖書에 “艸付가 응당 왕 노릇 할 것이다.” 하였고, 또 손자인 苻堅의 등에 艸付라는 글자가 있다 하여 마침내 성을 苻氏로 고쳤다.】

○ 三月에 이 卒하니 世子이 代領其衆하다

○ 3월에 蒲洪이 죽으니, 世子世子苻健이 대신 그 무리를 거느렸다.

○ 十一月에 苻健이 入長安하야 以民心思晉이라하야 乃遣使詣建康하야 獻捷하고 幷修好於桓溫하니 於是에 秦, 雍夷, 夏 皆附之러라

○ 11월에 苻健이 長安에 들어와서 民心이 晉나라를 생각한다 하여 마침내 使者使者를 보내어 建康에 와서 포로와 전리품을 바치고 아울러 桓溫과 우호 관계를 맺으니, 이에 秦州와 雍州 지역의 오랑캐와 漢族들이 모두 따랐다.

[辛亥]七年

[辛亥]七年이라 〈趙永寧二요 魏永興二年이라 ○ 秦主苻健皇始元年이라 ○是歲에 趙亡하니 舊大國一이요 涼, 代, 燕小國三이요 新大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正月에 苻健이 卽天王位하야 國號를 大秦이라하고 凡趙之苛政不便於民者를 皆除之하다

永和 7년(신해 351) - 趙나라 永寧 2년이고, 魏나라 永興 2년이다. ○ 秦主苻健의 皇始 元年이다. ○ 이해에 趙나라가 망하였다.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涼‧代‧燕 등 小國이 셋이며 새로운 大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다섯이다.-

정월에 苻健이 天王天王에 즉위하여 국호를 大秦이라 하고, 백성들에게 불편한 모든 趙나라의 까다로운 정사를 모두 제거하였다.

○ 初에 桓溫이 聞石氏亂하고 上疏請出師하야 經略中原호되 事久不報라 이 知朝廷仗殷浩하야 以抗己하고 甚忿之나 然이나 素知之爲人하야 亦不之憚也라 以國無他釁이라하야 遂得相持彌年【久也라】하니 雖有君臣之跡이나 覊縻而已요 八州이 都督荊, 司, 雍, 益, 梁, 寧, 交, 廣八州하니라】士衆資調【謂資財調賦라】 殆不爲國家用이러라 屢求北伐호되 詔書不聽하다 十二月에 이 拜表輒行할새 帥衆四五萬하고 順流而下하야 軍于武昌하니 朝廷이 大懼라 司馬高崧이 言於會稽王曰 王宜致書하야 諭以禍福이면 自當返旆요 如其不爾면 便六軍整駕하리니 逆順이 於玆判矣리이다하고 乃於坐에 爲草書【書曰 寇難宜平이요 時會宜接이니 此實爲國遠圖요 經略大算이라 能弘斯會는 非足下而誰리오 然이나 異常之擧는 衆之所駭니 苟或望風振擾하야 一時竝散이면 則望實竝喪하고 社稷之事去矣云云하니 見書하고 卽上疏하야 謝之也라】하니 卽上疏하야 惶恐謝罪하고 回軍還鎭하다

○ 처음에 桓溫石氏가 혼란하다는 말을 듣고 上疏하여 출병해서中原을 經略經略할 것을 청하였으나 朝廷에서는 이 일에 대해 오랫동안 답을 내리지 않았다. 桓溫은 조정이 殷浩에게 기대어 자신에게 항거함을 알고 매우 분해 하였지만 평소 殷浩의 사람됨을 알았으므로 또한 두려워하지 않았다. 나라에 별다른 일이 없다 하여 마침내 1년이 되도록【彌年은 오램이다.】 서로 대치만 하니, 비록 겉으로는 君臣間의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매여 있기만 할 뿐이었고, 〈桓溫이 관할하는〉 8州桓溫이 荊州‧司州‧雍州‧益州‧梁州‧寧州‧交州‧廣州의 8州를 도독하였다.】의 군사와 재물과 貢物【資調는 資財(資産)와 調賦(해마다 바치는 공물)를 이른다.】이 거의 국가를 위해 쓰여지지 않았다. 桓溫이 여러 번 北伐을 청하였으나 윤허하는 詔書가 내려지지 않았다.

12월에 桓溫이 表文을 올리고 곧바로 떠날 적에 병력 4, 5만 명을 거느리고 물길을 따라 내려와서 武昌에 군대를 주둔하니, 朝廷이 크게 두려워하였다. 司馬高崧會稽王司馬昱에게 말하기를 “왕이 桓溫에게 글을 보내어 禍福(出兵의 利害)으로 타이른다면 스스로 군대를 이끌고 돌아갈 것이요, 만일 이렇게 하지 않으면 곧바로 六軍六軍을 정돈하여 토벌해야 할 것이니, 반역과 순종함이 여기에서 판명이 날 것입니다.” 하고, 마침내 그 자리에서 司馬昱을 위해 편지를 초하니,【高崧이 초한 편지에 이르기를 “적의 禍難은 평정해야 하고 좋은 기회는 꼭 잡아야 하니, 이는 실로 국가를 다스리는 원대한 계책이요 천하를 經略하는 중대한 계획이다. 이렇게 좋은 기회를 넓힐 수 있는 것은 足下가 아니면 그 누구이겠는가. 그러나 이번의 이상한 행동은 사람들이 놀라는 바이니, 만일 혹 소문을 듣고 소요를 일으켜 足下의 군대가 일시에 모두 흩어져 버린다면 足下의 명성과 실제는 모두 수포로 돌아가고 國家의 大事는 글러 버릴 것이다.……” 하니, 桓溫이 편지를 보고 즉시 상소하여 사죄하였다.】桓溫이 〈편지를 받고는〉 즉시 上疏하여 황공해하며 사죄하고 군대를 돌려 鎭으로 돌아갔다.

[壬子]八年

[壬子]八年이라 〈魏永興三年이요 秦皇始二年이라 ○ 燕主慕容雋元璽元年이라 ○是歲에 魏亡하니 大二, 小二니 凡四僭國이라〉

正月에 秦王이 卽皇帝位하다

永和 8년(임자 352) - 魏나라 永興 3년이고, 秦나라 皇始 2년이다. ○ 燕主慕容雋元璽 元年이다. ○ 이해에 魏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둘이고 小國이 둘이니, 僭國이 모두 넷이다.-

정월에 秦王苻健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殷浩上疏하야 請出師許, 洛【許昌, 洛陽이니 俱在河南이라】이어늘 詔許之하다 之北伐也에 王羲之以書止之호되 不聽이러니 旣而無功이라 復謀再擧어늘 羲之書曰 今以區區江左로 天下寒心【寒心者는 恐不能自保라 是人寒甚則心戰이요 恐懼亦戰일새 以懼比寒하야 言可爲戰也라】이 固已久矣라 力爭武功이 非所當作이라호되 不聽이러라

殷浩가 上疏하여 許昌과 洛陽【許, 洛은 許昌과 洛陽이니, 모두 河南에 있다.】으로 출병할 것을 청하자, 황제가 조서를 내려 허락하였다. 殷浩가 北伐할 때에 王羲之가 편지를 보내어 만류하였으나 듣지 않았는데, 이윽고 功이 없었다. 다시 재차 거병할 것을 도모하자, 王羲之殷浩에게 편지를 보내어 이르기를 “이제 구구한 江東 지방을 가지고 천하가 두려워한【寒心은 스스로 보전하지 못할까 두려워하는 것이다. 사람이 추위가 심하면 마음이 떨리고 두려움을 느껴도 떨리므로 두려움을 추위에 견주어 떨린다고 말한 것이다.】 지가 진실로 이미 오래되었다. 武功을 다투기를 힘쓰는 것은 그대가 응당 해야 할 바가 아니다.”라고 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 四月에 燕滅魏燕王이 遣慕容恪하야 擊魏하야 執其主閔以歸하야 殺之하다】하다

○ 4월에 燕나라가 魏를 멸망시켰다.燕王慕容雋慕容恪을 보내어 魏나라를 공격해서 魏主冉閔을 잡아 가지고 돌아와서 죽였다.】

○ 十一月에 燕王이 卽皇帝位하고 徙都鄴하다

○ 11월에 燕王慕容雋이 황제에 즉위하고鄴으로 도읍을 옮겼다.

姚弋仲이 卒하니 子이 帥衆來歸하다 이 博學善談論하니 江東人士 皆重之러라

姚弋仲이 죽으니, 아들姚襄(羌族)이 군대를 거느리고 와서 歸附하였다. 姚襄이 박학하고 담론을 잘하니, 江東의 인사들이 모두 그를 중하게 여겼다.

[癸丑]九年

[癸丑]九年이라 〈秦皇始三年이요 燕元璽二年이라〉

姚襄이 屯歷陽이어늘 殷浩惡其强盛하야 屢遣刺客刺之러니 十月에 北伐할새 以爲前驅한대 이 反攻於山桑하니 大敗하다

永和 9년(계축 353) - 秦나라 皇始 3년이고, 燕나라 元璽 2년이다. -

姚襄이 歷陽에 주둔하자, 殷浩가 그의 강성함을 미워하여 여러 번 자객을 보내어 찔러 죽이게 하였다. 10월에 殷浩가 북벌할 때에 姚襄을 前驅로 삼았는데, 姚襄이 山桑에서 도리어 殷浩를 공격하니殷浩가 대패하였다.

[甲寅]十年

[甲寅]十年이라 〈秦皇始四年이요 燕元璽三年이요 涼王張祚和平元年이라〉

正月에 張祚自稱涼王【張祚는 涼州牧이라 , , 駿, 駿重華, 重華曜靈이니 涼人이 廢之하고 立하니 重華之庶兄이라】하다 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 連年北伐할새 師徒屢敗하야 糧械都盡이라 桓溫이 因朝野之怨하야 上疏數之罪하고 請廢之하니 朝廷이 不得已免爲庶人恒書空作咄咄怪事字하다 久之에 將以爲尙書令尙書令한대 欣然將答書할새 慮有誤하야 開閉十數라가 竟達空函하니 大怒하야 遂絶하니라 [通鑑要解]少與齊名하니 而心競不相下하야 常輕之라 旣被黜에 雖愁怨不形辭色이나 常書空作咄咄怪事字라 久之에 爲尙書令尙書令하야 書告之러니 竟達空函이라 故로 遂絶之하니 卒於徙所하니라】하다 自此로 內外大權이 一歸於矣러라

永和 10년(갑인 354) - 秦나라 皇始 4년이고, 燕나라 元璽 3년이고, 涼王張祚의 和平 元年이다. -

정월에 張祚涼王이라 자칭하였다.張祚는 涼州牧이다. 張軌의 아들이 張寔이고, 張寔의 아우가 張茂이고, 張寔의 아들이 張駿이고, 張駿의 아들이 張重華이고, 張重華의 아들이 張曜靈이다. 涼州 사람들이 張曜靈을 폐하고 張祚를 세웠으니, 張祚張重華의 庶兄이다.】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가 여러 해를 계속하여 북벌할 때에 군사들이 여러 번 패하여 군량과 병기가 모두 떨어졌다. 桓溫이 朝野가 원망하는 틈을 타서 上疏하여 殷浩의 죄를 열거하고 폐출할 것을 청하니, 조정이 부득이 殷浩를 면직하여 庶人庶人으로 삼았다.【[附註]殷浩를 면직하여 庶人으로 삼으니, 殷浩가 항상 허공에 咄咄怪事라는 글자를 쓰곤 하였다. 오랜 뒤에 桓溫이 장차 殷浩를 尙書令尙書令으로 삼으려 하자, 殷浩가 기뻐하여 장차 답서를 보내려 할 적에 오류가 있을까 우려하여 뜯어보고 봉함하기를 십수 번 하다가 끝내 빈 봉투를 보내니, 桓溫이 크게 노하여 마침내 殷浩와 절교하였다. [通鑑要解]殷浩가 젊었을 적에 桓溫과 명성이 똑같으니, 桓溫은 마음속으로 다투고 서로 낮추지 아니하여 항상 殷浩를 경시하였다. 殷浩는 축출당한 뒤에 비록 근심과 원망을 말과 안색에 드러내지 않았으나 항상 허공에 咄咄怪事라는 글자를 썼다. 오랜 뒤에 桓溫이 장차 殷浩를 尙書令尙書令으로 삼고자 하여 이를 편지로 알렸는데, 〈殷浩가 답서를 보낼 적에〉 마침내 빈 봉투를 보냈으므로 크게 노하여 끝내 절교하니, 殷浩는 유배지에서 죽었다.】 이로부터 내외의 큰 권력이 모두 桓溫에게로 돌아갔다.

桓溫이 統步騎四萬하고 伐秦하야 進至霸上하니 三輔郡縣이 皆來降이라 이 撫諭居民하야 使安堵復業하니 民이 爭持牛酒迎勞라 男女는 夾路觀之하고 耆老는 有垂泣者하야 曰 不圖今日에 復覩官軍이라하더라

桓溫이 보병과 기병 4만 명을 거느리고 秦나라를 정벌할 적에 진격하여 霸上에 이르니, 三輔三輔의 郡縣이 모두 와서 항복하였다. 桓溫이 거주하는 백성들을 어루만지고 타일러서, 백성들로 하여금 사는 곳을 편안히 여기고 生業으로 돌아가게 하니, 백성들이 다투어 쇠고기와 술을 가지고 와서 맞이하고 위로하였다. 이에 남녀들은 길의 좌우에 늘어서서 이것을 구경하였고, 耆老들은 눈물을 흘리면서 말하기를 “오늘날 다시 官軍官軍을 보게 될 줄은 생각지도 못했다.” 하였다.

北海王이 少好學하고 倜儻【不羈貌요 高遠貌라】有大志하야 不屑細務하니 人皆輕之호되 은 悠然自得하야 隱居華陰이러니 聞桓溫入關하고 披褐【披는 通作被라 平聲이니 (褐)[裮]被衣帶也라 〈褐은〉 以毛毳織之라】詣之하야 捫蝨而談當世之務호되 旁若無人이라 異之하야 問曰 吾奉天子之命하야 將銳兵十萬하고 爲百姓除殘賊이어늘 而三秦豪傑이 未有至者는 何也오 曰 公이 不遠數千里하고 深入敵境하야 今長安咫尺이어늘 而不度(渡)霸水하니 百姓이 未知公心桓溫이 破秦入關而不渡者는 恐官軍知難而退也라 又史註云 疑有異志也라하니라】하야 所以不至니이다 이 嘿然無以應하고 徐曰 江東엔 無卿比也라하고 乃署【署는 除也니 謂除官이라】猛軍謀祭酒하다

○ 北海의 王猛이 젊어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의기가 드높아【倜儻은 매이지 않는 모양이요, 高遠한 모양이다.】 큰 뜻이 있어서 소소한 일을 좋아하지 않으니, 사람들이 모두 그를 경시하였으나 王猛은 悠然히 自得하여 華陰에 은거하였는데, 桓溫이 關中으로 들어왔다는 말을 듣고 짧은 갈옷을 입고【披는 被와 통용된다. 平聲(헤치다)이니, 옷에 띠를 매지 않은 것이다. 갈옷은 털로 짜서 만든다.】 찾아가서 이를 잡으며 당세의 일을 말하되 옆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거리낌이 없었다. 桓溫이 기이하게 여겨 묻기를 “내가 天子의 命을 받들어 정예병 10만 명을 거느리고 백성을 위해 잔당들을 제거하는데, 三秦의 호걸 중에 찾아오는 자가 없음은 어째서인가?” 하니, 王猛이 말하기를 “公이 수천 리를 멀다 하지 않고 적의 국경에 깊숙이 들어와서 이제 長安이 지척에 있는데도 霸水를 건너가지 않으니, 백성들이 公의 마음을 알지 못하여【[通鑑要解]不度霸水……未知公心:桓溫이 秦나라를 격파하고 關中에 들어갔는데도 霸水를 건너가지 않은 것은 官軍이 상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후퇴할까 해서였다. 또 史註에 이르기를 “桓溫이 딴 뜻이 있다고 의심한 것이다.” 하였다.】 이 때문에 이르지 않는 것입니다.” 하였다. 桓溫이 묵묵히 대답이 없다가 천천히 말하기를 “江東 지방에는 卿에게 비교할 사람이 없다.” 하고, 마침내 王猛을 軍謀祭酒軍謀祭酒로 서용하였다.【署는 제수함이니, 관직을 제수하는 것을 이른다.】

○ 初에 이 指秦麥以爲粮이러니 旣而요 秦人이 悉芟麥하니 溫軍이 乏食이라 六月에 徙關中【東有函谷關하고 南有嶢關, 武關하고 西有散關하고 北有蕭關故로 名關中이라】三千餘戶而歸할새 秦兵이 追擊之한대 軍이 屢敗하다

○ 처음에 桓溫이 意中에 秦나라 지방의 보리를 군량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겼는데, 이윽고 秦나라 사람이 보리를 모두 베어 가니 桓溫의 군대가 식량이 부족하였다. 6월에 關中【동쪽에는 函谷關, 남쪽에는 嶢關과 武關, 서쪽에는 散關, 북쪽에는 蕭關이 있으므로 關中이라고 이름하였다.】의 3천여 가호를 옮기고 돌아올 적에, 秦나라 군대가 추격하자 桓溫의 군대가 여러 번 패하였다.

[乙卯]十一年

[乙卯]十一年이라 〈秦主苻生壽光元年이라 ○ 燕元璽四年이라 ○ 涼去年號하다〉

六月에 秦主이 卒하고 太子이 卽位하다

永和 11년(을묘 355) - 秦主苻生의 壽光 元年이다. ○ 燕나라 元璽 4년이다. ○ 涼나라가 和平이란 年號를 없앴다.-

6월에 秦主苻健이 죽고, 태자 苻生이 즉위하였다.

[丙辰]十二年

[丙辰]十二年이라 〈秦壽光二年이요 燕元璽五年이라〉

桓溫이 自江陵北伐할새 與寮屬으로 登平乘樓하야 望中原하고 歎曰 遂使神州陸沈【神州는 中國也니 註見懷帝永嘉五年하니라 陸은 高平地요 沈은 溺也라 神州陸沈은 謂中原淪沒也니 猶王道陵夷之義라 [通鑑要解]中國名曰 赤縣神州라 內有九州하니 禹之序九州 是也라 陸沈은 謂無水而沈이라】하야 百年丘墟는 王夷甫諸人이 不得不任其責【謂王衍等이 尙淸談하고 而不恤王事하야 以致夷狄亂華也라】이라하더라

永和12년(병진 356) - 秦나라 壽光 2년이고, 燕나라 元璽 5년이다. -

桓溫이 江陵에서 北伐할 적에 동료들과 함께 큰 배 위의 누각에 올라가서 中原을 바라보고 한탄하기를 “마침내 中原을 매몰시켜【[釋義]神州는 中國이니, 註가 懷帝 永嘉 5年條(311)에 보인다. 陸은 높고 평평한 곳이요 沈은 빠짐이다. 神州가 陸沈했다는 것은 中原이 쇠퇴함을 이르니, 王道가 陵夷(쇠퇴)하였다는 뜻과 같다. [通鑑要解]中國을 이름하기를 赤縣神州라 한다. 중국 안에 九州가 있으니, 禹王이 九州를 차서한 것이 이것이다. 陸沈은 물이 없이 육지가 가라앉은 것과 같음을 이른다.】 百年의 基業이 폐허가 되게 한 것은 王夷甫(王衍) 등 여러 사람이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다.【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은 王衍 등이 淸談을 숭상하고 國事를 돌보지 않아서 夷狄들이 中華를 어지럽히게 만들었음을 이른다.】” 하였다.

○ 八月에 至伊水하니 姚襄이 撤圍拒之어늘 이 結陳(陣)而前하야 親被甲督戰하니 襄衆이 大敗하야 死者數千人이라 襄이 帥麾下數千騎하고 奔于洛陽北山하니 周成이 帥衆出降하다 溫이 屯故太極殿前이러니 旣而요 徙屯金墉城하다 謁諸陵하고 有毁壞者면 修復之하고 以二千人戍洛陽하야 衛山陵하고 執周成以歸하니 姚襄【姓名이니 弋仲子라】이 奔平陽【襄이 後欲圖關中하야 帥衆伐秦이라가 兵敗하야 爲秦所殺하니 弟萇이 帥其衆降秦하니라】하다

○ 8월에 桓溫이 伊水에 이르니, 姚襄이 洛陽의 포위를 풀고 와서 桓溫을 막았다. 桓溫이 陣을 치고 전진하여 직접 갑옷을 입고 싸움을 독려하니, 姚襄의 무리가 크게 패하여 죽은 자가 수천 명이었다. 姚襄이 휘하의 騎兵 수천 명을 거느리고 洛陽의 北山으로 달아나니, 周成이 무리를 거느리고 나와서 항복하였다. 桓溫이 옛 太極殿 앞에 주둔하였는데, 이윽고 金墉城으로 옮겨 주둔하였다. 여러 陵에 배알하였고 허물어져 파괴된 곳이 있으면 수리하여 복구하였으며, 2천 명을 洛陽에 주둔시켜 山陵을 호위하게 하고 周成을 사로잡아 돌아오니, 姚襄【姚襄은 姓名이니, 姚弋仲의 아들이다.】이 平陽으로 달아났다.【姚襄이 뒤에 關中을 도모하고자 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秦나라를 정벌했다가 군대가 패하여 秦나라에게 죽임을 당하니, 아우 姚萇이 군대를 거느리고 秦나라에 항복하였다.】

○ 十月에 燕大司馬恪이 圍段龕【龕은 音堪이라 初에 鮮卑段蘭이 領其衆하고 徙廣固러니 辛亥年에 來降하니 以爲鎭北將軍하고 封齊公이라】於廣固하니 十一月에 龕이 面縛出降이어늘 恪이 撫安新民하고 悉定齊地하다

○ 10월에 燕나라 大司馬大司馬慕容恪이 段龕【龕은 音이 감이다. 처음에 鮮卑族인 段蘭이 무리를 끌고서 廣固로 옮겨 갔는데, 신해년(351)에 晉나라에 와서 항복하니 그를 鎭北將軍으로 삼고 齊公에 봉하였다.】을 廣固에서 포위하니, 11월에 段龕이 두 손을 등 뒤로 돌려 묶고 얼굴을 사람들에게 보이도록 앞으로 향하고 나와서 항복하였다. 慕容恪이 새로 歸附한 백성들을 어루만져 위로하고 齊나라 지역을 다 평정하였다.

[丁巳]升平元年

[丁巳]升平元年이라 〈秦主苻堅永興元年이라 ○ 燕光壽元年이라〉

秦主이 飮酒無晝夜하야 乘醉多所殺戮하니 群臣이 得保一日을 如度十年이라 東海王堅【洪之孫이요 雄之子라】이 素有時譽하야 與薛讚, 權翼【故姚襄參軍이라】善이러니 , 이 密說曰 主上이 猜忌暴虐하야 中外離心하니 方今에 宜主秦祀者 非殿下而誰오 願早爲計하야 勿使他姓得之하소서 이 以問尙書尙書呂婆樓한대 婆樓曰 僕里舍에 有王猛者하니 其人謀略이 不世出이니 殿下宜請而咨之하소서 堅이 因婆樓以招猛하야 一見如舊友하고 語及時事에 堅大悅하야 自謂如劉玄德之遇諸葛孔明也라하니라

[新增]養心吳氏孔明은 三代之遺才니 王猛이 豈其儔匹哉아 若論劉玄德之信任이면 則實無愧之矣리라

升平 元年(정사 357) - 秦主苻堅의 永興 元年이다. ○ 燕나라 光壽 元年이다.-

秦主苻生이 밤낮없이 술을 마셔서 술김에 살육을 많이 자행하니, 群臣들이 하루 동안 목숨을 보전하는 것을 십 년처럼 여겼다. 東海王苻堅【東海王 苻堅은 蒲洪의 손자이고 苻雄의 아들이다.】이 평소에 당시 사람들의 칭찬이 있어서 薛讚‧權翼【薛讚과 權翼은 옛날에 姚襄의 參軍이었다.】과 친하였는데, 薛讚權翼이 은밀히 苻堅을 설득하기를 “주상이 잔인하고 포학무도하여 中外의 마음이 떠났으니, 현재 秦나라의 제사를 주관해야 할 자는 전하가 아니고 누구이겠습니까. 바라건대 일찍 계책을 세워서 他姓으로 하여금 나라를 얻게 하지 마소서.” 하였다. 苻堅이 尙書尙書呂婆樓에게 묻자, 呂婆樓가 말하기를 “저희 마을에 사는 사람 중에 王猛이라는 자가 있어 그 사람의 모략이 좀처럼 세상에 나타나지 않을 만큼 뛰어나니, 전하께서는 그를 초청하여 자문하소서.” 하였다. 苻堅呂婆樓를 통하여 王猛을 초대해서 한 번 만나 보고는 오래된 친구처럼 여겼으며, 당세의 일을 언급하자 苻堅이 크게 기뻐하여 스스로 劉玄德諸葛孔明을 만난 것과 같다고 여겼다.

[新增]養心吳氏가 말하였다.

孔明은 三代 시대의 遺才(후세의 뛰어난 인재)이니, 王猛이 어찌 그에게 匹敵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만약 劉玄德의 신임을 가지고 논한다면 苻堅이 실로 劉玄德에게 부끄럽지 않을 것이다.”

梁平老【御史中丞也라】等이 謂曰 主上失德하야 上下嗷嗷하야 人懷異志하니 燕, 晉二方이 伺隙而動이면 恐禍發之日에 家國俱亡일까하노니 此는 殿下之事也니 宜早圖之하소서 然之하다 堅이 與呂婆樓로 帥麾下三百人하야 鼓譟而進하니 宿衛【宿은 守也라】將士 皆舍仗【仗은 五兵總名이니 五兵은 謂矛戟弓劍戈라】歸堅호되 生猶醉寐라 堅兵이 引生置別室하고 廢爲越王이러니 尋殺之하다 堅이 乃去皇帝號하고 稱大秦天王이라하다

梁平老【梁平老는 御史中丞이다.】 등이 苻堅에게 이르기를 “주상이 德을 잃어 上下가 원망하여 사람들이 딴 마음을 품고 있으니, 燕나라와 晉나라 두 방면이 틈을 엿보아 출동하면 禍亂이 일어났을 때에 집안과 나라가 함께 망할까 두렵습니다. 이는 전하의 일이니, 빨리 도모하셔야 합니다.” 하니, 苻堅이 이 말을 옳게 여겼다. 苻堅呂婆樓와 함께 휘하 300명을 거느리고서 북을 치고 함성을 지르며 진격하니, 궁궐을 宿衛【宿은 지킴이다.】하던 장병들이 모두 병장기【仗은 다섯 가지 병기의 총칭이니, 다섯 가지 병기는 矛‧戟‧弓‧劍‧戈를 이른다.】를 버리고 苻堅에게 歸附하였는데, 苻生은 오히려 취하여 자고 있었다. 苻堅의 군사들이 苻生을 끌어다가 別室에 유치하고 폐출하여越王으로 삼았다가 오래지 않아 그를 죽였다. 苻堅이 마침내 皇帝의 칭호를 없애고大秦天王이라고 칭하였다.

○ 十一月에 秦王이 行至尙書하야 以文案不治라하야 免左丞{相}程卓官하고 以王猛代之하다 堅이 擧異才하고 修廢職하며 課農桑하고 恤困窮하며 禮百神하고 立學校하며 旌節義하고 繼絶世하니 秦民이 大悅이러라

○ 11월에 秦王苻堅이 巡視巡視하다가 尙書臺尙書臺에 이르러서 文案文案이 제대로 다스려지지 못했다 하여 左丞左丞程卓을 직위에서 면직시키고王猛으로 대신하게 하였다. 苻堅이 특이한 재능이 있는 자를 천거하고 폐지된 정사를 닦으며, 농업과 양잠을 권장하고 곤궁한 자들을 구휼하며, 여러 神들에게 제사를 올리고 학교를 세우며, 節義가 있는 인물을 표창하고 後嗣가 없는 賢者의 代를 이어주니, 秦나라 백성들이 크게 기뻐하였다.

[戊午]二年

[戊午]二年이라 〈秦永興二年이요 燕光壽二年이라〉

九月에 秦大旱이어늘 堅이 減膳徹樂하고 命后妃以下하야 悉去羅紈하고 開山澤之利하야 公私共之하고 息兵養民하니 旱不爲災라 王猛이 日親幸用事러라

升平 2년(무오 358) - 秦나라 永興 2년이고, 燕나라 光壽 2년이다. -

9월에 秦나라에 크게 가뭄이 들자, 苻堅이 음식의 가짓수를 줄이고 음악을 연주하지 않고 后妃 이하에게 명하여 모두 비단옷을 입지 못하게 하였으며, 山林과 川澤의 이로움을 개방하여 公私가 함께 이용하게 하고 전투를 중지하고 백성들을 기르니, 가뭄이 들었으나 재앙이 되지 않았다. 王猛이 날로 더욱 친애와 총애를 받아 用事하였다.

[庚申]四年

[庚申]四年이라 〈秦甘露二年이라 ○ 燕幽帝慕容暐建熙元年이라〉

正月에 燕主이 疾篤하야 召大司馬大司馬, 太原王하야 受遺詔輔政而卒하니 太子暐卽位하다

升平 4년(경신 360) - 秦나라 甘露 2년이다. ○ 燕나라 幽帝慕容暐의 建熙 元年이다.-

정월에 燕主慕容雋이 병이 위독해지자, 大司馬大司馬‧太原王慕容恪을 불러서 遺詔를 받아 정사를 보필하게 하고 죽으니, 太子太子慕容暐가 즉위하였다.

○ 朝廷이 初聞燕主卒하고 皆以爲中原可圖라호되 桓溫曰 慕容恪이 尙在하니 憂方大耳라하더라

○ 晉나라 조정에서 처음에 燕主慕容雋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는 모두 中原을 수복할 수 있다고 여겼으나 桓溫이 말하기를 “慕容恪이 아직 살아 있으니, 우환이 한창 크다.” 하였다.

謝安이 少有【少는 言自少라】重名하야 前後徵辟에 皆不就하고 寓居會稽하야 以山水文籍自娛하니 雖爲布衣나 時人이 皆以公輔期之라 士大夫至相謂曰 安石이 不出하니 當如蒼生何오하니라 年四十餘에 桓溫이 請爲司馬司馬한대 安이 乃赴召하니 이 大喜하야 深禮重之러라

謝安이 젊어서부터【少는 젊어서부터라는 뜻이다.】 두터운 명망이 있어서 전후의 부름에 모두 나아가지 않고 會稽에 우거하여 山水와 文籍을 스스로 즐기니, 비록 포의의 신분이었으나 세상 사람들이 모두 公卿과 宰輔로 기대하였다. 사대부들이 심지어 서로 이르기를 “安石(謝安)이 세상에 나오지 않으니, 천하의 백성을 어찌해야 한단 말인가.” 하였다. 나이 40여 세에 桓溫이 司馬司馬가 될 것을 청하자 謝安이 마침내 부름에 달려가니, 桓溫이 크게 기뻐하여 매우 예우하고 소중히 여겼다.

[辛酉]五年

[辛酉]五年이라 〈秦甘露三年이라 ○ 燕建熙二年이라 ○ 是歲에 涼奉升平之號하니라〉

五月에 帝崩하니 無嗣라 琅邪(琊)王 卽皇帝位【帝崩하니 無嗣라 皇太后令曰 琅琊王丕는 中興正統이니 義望情地 莫與爲比라 其以爲王하야 奉大統하라하다】하다

升平 5년(신유 361) 〈秦나라 甘露 3년이다. ○ 燕나라 建熙 2년이다. ○ 이해에 涼나라가 東晉穆帝의 연호인 升平을 받들어 사용하였다.〉

5월에 황제가 崩하니, 후사가 없었다. 琅琊王司馬丕가 황제에 즉위하였다.【穆帝가 崩하니 후사가 없었다. 皇太后가 명령하기를 “琅琊王 司馬丕는 中興 후의 正統이니, 의리와 명망, 인정과 지위로 볼 때 비길 만한 자가 없다. 그를 황제로 삼아 大統을 받들게 하라.” 하였다.】

范寗이 好儒學하고 性質直이라 常(嘗)謂王弼, 何晏【魏人이니 見二十五卷己巳年이요 晏은 又見二十六卷丁巳年이라】之罪가 深於, 【諡法에 賊人多殺曰桀이요 殘義損善曰紂라】라 或以爲貶之太過라한대 曰 王, 何가 蔑棄典文하고 幽沈仁義하야 游辭浮說로 波蕩後生하야 使搢紳【搢은 揷也요 紳은 大帶也니 謂揷笏於紳也라 周禮註에 搢은 讀作薦이니 謂揷之於紳帶之間也라】之徒로 翻然改轍하야 以至禮壞樂崩하고 中原傾覆하니 遺風餘俗이 至今爲患이라 , 는 縱暴一時나 適足以喪身覆國하야 爲後世戒하니 豈能迴百姓之視聽哉리오 故로 吾以爲一世之禍는 輕하고 歷代之患은 重하며 自喪之惡은 小하고 迷衆之罪는 大也라하노라

范寗은 儒學을 좋아하며 성질이 질박하고 정직하였는데, 일찍이 말하기를 “王弼何晏【王弼과 何晏은 魏나라 사람이니, 25권 己巳年條(249)에 보인다. 何晏은 또 26권 丁巳年條(297)에 보인다.】의 죄가 【諡法에 “사람을 해치고 많이 죽이는 것을 桀이라 하고, 의로운 사람을 해치고 선한 사람을 손상시키는 것을 紂라 한다.” 하였다.】보다도 심하다.” 하였다. 혹자가 말하기를 “폄하하기를 너무 지나치게 한다.” 하자, 范寗이 말하기를 “王弼何晏은 經典과 文獻을 멸시하며 仁義를 인멸시켜 근거 없는 말과 부화한 말로 후생들을 미혹시켰다. 그리하여 士大夫【搢은 꽂음이고 紳은 큰 띠이니, 搢紳은 笏을 큰 띠에 꽂는 것을 이른다. ≪周禮≫ 註에 “搢은 천(진)으로 읽으니, 紳帶의 사이에 꽂는 것을 이른다.” 하였다.】들로 하여금 번연히 발자취를 고치게 하여 禮樂이 붕괴되고 中原이 전복되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으며 남은 풍속이 지금까지도 폐해가 되고 있다. 는 비록 한 때에 방종하고 포학하였으나 다만 자기 몸을 죽이고 나라를 전복시켜서 후세의 경계가 될 뿐이니, 어찌 백성들의 보고 들음을 바꿀 수 있었겠는가. 그러므로 나는 생각건대 한 대의 禍患은 가볍고 역대의 禍患은 중하며, 자기 몸을 망치는 죄악은 작고 무리를 미혹시키는 죄악은 크다고 여긴다.” 하였다.

○ 十二月에 秦王이 命牧伯守宰하야 各擧孝悌廉直과 文學政事호되 察其所擧하야 得人者는 賞之하고 非其人者는 罪之하니 由是로 人莫敢妄擧하고 而請託不行이라 當是之時하야 內外之官이 率皆稱職하야 田疇修闢하니 倉庫充實하고 盜賊이 屛息【屛은 蔽也요 息은 鼻息也라 屛藏其氣息은 言懼甚也라】이러라

[史略 史評]史斷曰 康帝는 降年不永하니 無足多者요 穆帝는 襁褓之資로 母后稱制하야 中外無事 十有餘年이라 維時에 石虎死하야 胡中大亂이어늘 朝廷이 乃用殷浩하야 蕩平關河라 然이나 用違其才하야 卒致山桑之敗하니 晉之威權이 自此로 一歸桓溫矣라 蓋與浩 少而齊名하니 晉人之用浩는 本圖抗溫이라 故로 其敗也에 溫之勢浸以熾焉하니라

○ 12월에 秦王苻堅이 牧牧‧伯伯‧守守‧宰宰에게 명하여 각각 孝悌와 廉直과 文學과 政事 등의 科目으로 인재를 천거하게 하되 천거된 사람을 살펴서 적임자인 경우에는 천거한 사람에게 상을 내리고 적임자가 아닌 경우에는 죄를 주니, 이로 말미암아 사람들이 감히 망령되이 천거하지 못하고 청탁이 행해지지 않았다. 이때를 당하여 內外의 관직이 모두 잘 수행되어 田野가 닦여지고 개간되니, 창고가 충실하고 도적들이 숨을 죽였다.【屛은 가리는 것이요 息은 코로 숨을 쉬는 것이다. 숨을 죽였다는 것은 두려움이 심함을 말한다.】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康帝康帝는 수명이 길지 못하였으니 칭찬할 만한 점이 없고, 穆帝는 포대기에 싸인 어린 아이로 母后母后가 稱制하여 나라 안팎이 무사한 것이 십여 년이었다. 이때에 石虎가 죽어 오랑캐가 크게 어지러웠는데, 조정에서 殷浩를 등용하여 關河(요해처)를 완전히 평정하였다. 그러나 인재를 잘못 등용하여 끝내 山桑의 패배를 불러 왔으니, 晉나라의 위세와 권력이 이로부터 한결같이 桓溫에게로 돌아갔다. 桓溫殷浩는 젊어서부터 명성이 대등하였으니, 晉나라에서 殷浩를 등용한 것은 본래 桓溫에게 대적하려 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殷浩가 패배하자 桓溫의 세력이 점차 강성해진 것이다.”

哀皇帝

哀皇帝 名丕요 字千齡이니 成帝長子라 在位四年이요 壽二十五라

哀皇帝【恭仁短折曰哀라】요 字千齡이니 成帝長子라 在位四年이요 壽二十五라

哀皇帝【공손하고 어질지만 일찍 죽은 것을 哀라 한다.】는 이름이 요 字가 千齡이니, 成帝의 長子이다. 재위가 4년이고 壽가 25세이다.

[壬戌]隆和元年

[壬戌]隆和元年이라 〈秦甘露四年이요 燕建熙三年이라〉

正月에 桓溫이 上疏하야 請遷都洛陽하고 自永嘉之亂【懷帝爲劉聰所執이라】으로 播流江表【播流는 播越流離也요 江表는 中原以江南爲江表라】者를 請一切北徙하야 以實河南한대 朝廷이 畏溫하야 不敢爲異나 而北土蕭條하야 人情이 疑懼하니 雖竝知不可나 莫敢先諫이러라 散騎常侍孫綽이 上疏曰 昔에 中宗【元帝廟號라】龍飛에 非惟信順【易大傳曰 天之所助者順也요 人之所助者信也라】協於天人이요 實賴萬里長江하야 畫而守之耳러니 今自喪亂已來로 六十餘年【自賈后之廢하고 趙王倫之誅로 繼而諸王交兵하고 胡羯乘之而起하야 天下大亂이 至是六十餘年이라】에 河, 洛丘墟하고 函夏【函은 謂函谷關이니 關之東爲中夏也라 故曰函夏也라 又函은 容也요 夏는 大也니 言中原之地 所函容者大也라】蕭條하야 士民이 播流江表하야 已經數世라 存者는 老子長孫하고 亡者는 丘隴成行하니 雖北風之思【詩北風篇曰 北風其喈하니 雨雪其霏로다 惠而好我로 携手同歸라하니라[頭註]胡馬는 每北風則翹首北望이라】가 感其素心이나 目前之憂 實爲交切이라 植根江外【中原以江南爲江外라】 數十年矣어늘 一朝에 頓欲拔之하야 驅踧於空荒之地【頓은 遽也라 踧은 音祝이니 至也요 又行謹敬也라】하니 提挈萬里에 踰險浮深하야 離墳墓, 棄生業이면 田宅을 不可復售【售는 賣物去手라】요 舟車를 無從而得이라 捨安樂之國하고 適習亂之鄕은 國家之所宜深慮也니이다 王述이 欲以虛聲威朝廷耳요 非實事也니 但從之면 自無所至리이다 事果不行하다 이 又議移洛陽鍾虡【虡는 音巨니 鍾鼓之跗에 以猛獸爲飾이라 又作鐻하니 樂器所懸이니 橫曰筍이요 植曰虡라】어늘 述曰 永嘉不競【競은 疆也라 懷帝永嘉五年에 爲劉聰所獲이라 故云永嘉不競也라니라】하야 暫都江左하니 方當蕩平區宇하고 旋軫舊京이요 若其不爾면 宜改遷園陵이니 不應先事鍾虡니라 이 乃止하다

隆和 元年(임술 362) - 秦나라 甘露 4년이고, 燕나라 建熙 3년이다. -

정월에 桓溫이 上疏하여 洛陽으로 천도할 것을 청하고, 永嘉의 난리【永嘉의 亂은 晉 懷帝가 漢나라(前趙)의 劉聰에게 사로잡힌 일을 가리킨다.】로부터 江外(江南)로 옮겨 온【播流는 피난하여 이곳저곳으로 떠돌아다니는 것이요, 江表는 中原에서 揚子江 남쪽 지역을 江表라 하였다.】 자들을 일체 북쪽으로 옮겨서 河南을 충실히 할 것을 청하였는데, 조정에서 桓溫을 두려워하여 감히 異見을 말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북쪽 지방이 황량하여 민심이 의심하고 두려워하니 비록 모두들 옮기는 것이 불가함을 알았으나 감히 먼저 간하지 못하였다. 散騎常侍散騎常侍孫綽이 상소하기를 “옛날 中宗(元帝)【中宗은 元帝의 廟號이다.】이 즉위하자 誠信과 和順함【≪周易≫ 〈繫辭傳〉에 이르기를 “하늘이 돕는 것은 順함이요(하늘은 이치를 순히 따르는 자를 도와주고), 사람이 돕는 것은 誠信이다.(사람은 성실한 자를 도와준다)” 하였다.】이 天意와 民心에 합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로 萬里의 長江에 의지해서 경계로 삼아 지켰습니다. 이제 국가에 난리가 있은 이래로 60여 년인데,【[頭註]今自喪亂已來 六十餘年:賈后가 폐출되고 趙王 司馬倫이 죽임을 당함으로부터 계속하여 諸王이 서로 交戰하고 胡와 羯이 이 틈을 타고 일어나 천하가 크게 어지러웠는데, 이때에 이르러 60여 년이 되었다.】黃河와 洛陽 일대가 빈 터가 되고 函夏(中原 지역)【函은 函谷關을 이르니, 함곡관의 동쪽이 中夏이므로 函夏라고 이른 것이다. 또 函은 용납하는 것이고 夏는 큼이니, 中原 지역은 포용하는 것이 큼을 말한 것이다.】가 쓸쓸하여 관리와 백성들이 江外로 옮겨 온 지 이미 몇 대가 지났습니다. 그리하여 생존한 자는 자식이 이미 늙고 손자가 장성했으며 죽은 자는 무덤이 행렬을 이루고 있으니, 비록 北方에 대한 그리움【[釋義]≪詩經≫ 〈北風篇〉에 이르기를 “北風이 차갑게 부니 함박눈이 펄펄 내리도다. 사랑하여 나를 좋아하는 이와 손을 잡고 함께 돌아가리라.” 하였다.[頭註]胡馬는 매양 北風이 불면 머리를 들고 북쪽을 바라본다.】이 평소 그들의 마음을 흔들리게 하지만 目前의 우환이 실로 더욱 절박합니다. 江外【江外는 中原에서 揚子江 남쪽 지역을 江外라고 한다.】에 뿌리를 내린 지가 수십 년인데 하루아침에 갑자기 뽑아다가 텅 비고 황량한 땅에 내몰고자 하니,【[頭註]頓欲拔之 驅踧於空荒之地:頓은 갑자기이다. 踧은 音이 축이니 이르는 것이요, 또 행실을 삼가고 공경하는 것이다.】 가솔들을 이끌고 만 리를 감에 험한 산을 넘고 깊은 물을 건너서 先塋을 떠나고 生業을 버리게 되면 田地와 집을 다시 살【售는 물건을 팔아서 手中을 떠난 것이다.】 수가 없고 배와 수레를 얻을 길이 없습니다. 안락한 나라를 버리고 오랫동안 전란을 겪었던 고향으로 가는 것은 국가가 깊이 염려해야 할 바입니다.” 하였다. 王述이 말하기를 “桓溫이 큰소리쳐서 조정을 위협하고자 한 것일 뿐이지 실제의 일이 아니니, 다만 그대로 따르면 저절로 이르는 바가 없을 것입니다.” 하였는데, 일이 과연 행해지지 않았다.

桓溫이 또 洛陽의 종과 종틀【虡는 音이 거이니 종과 북의 받침에 猛獸를 붙여서 장식한 것이다. 또 鐻로도 쓰니 樂器를 매다는 것이다. 가로로 된 것을 筍이라 하고 세로로 된 것을 虡라 한다.】을 옮겨 올 것을 의논하자, 王述이 말하기를 “永嘉年間에 강성하지 못하여【競은 강함이다. 懷帝 永嘉 5년(311)에 劉聰에게 사로잡혔으므로 ‘永嘉 年間에 강성하지 못했다’고 말한 것이다.】 잠시 江左(江南)에 도읍하고 있으니, 바야흐로 區宇(온 천하)를 평정하고 곧바로 옛 서울로 돌아가야 할 것이요, 만약 그렇게 하지 못한다면 先帝의 陵墓를 옮겨 와야 할 것이니, 먼저 종과 종틀을 옮겨 오는 것은 마땅하지 않습니다.” 하니, 桓溫이 이에 중지하였다.

[癸亥]興寧元年

[癸亥]興寧元年이라 〈秦甘露五年이요 燕建熙四年이라〉

五月에 加桓溫侍中, 大司馬, 都督中外諸軍, 錄尙書事【錄은 總也라】하다 溫이 以王坦之로 爲長史하니 坦之는 述之子也요 又以郗超로 爲參軍하고 王珣으로 爲主簿하야 每事를 必與二人謀之하니 府中이 爲之語曰 髥參軍, 短主簿【以超多髥하고 而珣體短也일새라】는 能令公喜하고 能令公怒라하더라 珣與謝玄이 皆爲溫掾이러니 溫이 俱重之하야 曰 謝掾은 年四十에 必擁旄杖節【旄節은 見三卷庚辰下의 旌旄節旗注하니라 [通鑑要解]言當方面也라】이요 王掾은 當作黑頭公이니 皆未易才【未易는 言難得也라】也라하니 玄은 奕之子也러라

興寧 元年(계해 363) - 秦나라 甘露 5년이고, 燕나라 建熙 4년이다. -

5월에 桓溫에게 侍中‧大司馬‧都督中外諸軍‧錄尙書事侍中‧大司馬‧都督中外諸軍‧錄尙書事【錄은 총괄함이다.】를 가하였다. 桓溫王坦之를 長史長史로 삼으니 王坦之王述의 아들이다. 또 郗超를 參軍으로 삼고 王珣을 主簿主簿로 삼아서 매사를 반드시 두 사람과 상의하니, 府中 사람들이 말하기를 “수염이 긴 參軍과 키가 작은 主簿主簿【[頭註]髥參軍 短主簿:수염이 긴 參軍과 키가 작은 主簿라고 한 것은 郗超는 수염이 많고 王珣은 체구가 왜소하였기 때문이다.】令公(桓溫)을 기쁘게도 하고 令公을 노여워하게도 한다.” 하였다. 王珣謝玄이 모두 桓溫의 掾屬掾屬이 되었는데, 桓溫이 모두 소중히 여겨 말하기를 “謝掾은 나이 40에 반드시 깃발을 끼고 節을 잡을 것이요【[頭註]旄와 節은 3권의 庚辰年條(B.C.221) 아래의 旌旄節旗 注에 보인다. [通鑑要解]깃발을 끼고 節을 잡는다는 것은 方面을 담당할 것임을 말한다.】王掾은 마땅히 黑頭 相公相公이 될 것이니, 모두 쉽게 얻을 수 있는 인재가 아니다.【쉽지 않다는 것은 얻기 어려움을 말한다.】” 하였다. 謝玄謝奕의 아들이다.

[甲子]二年

[甲子]二年이라 〈秦甘露六年이라 ○ 燕建熙五年이라 ○ 涼西平博公張天錫一年이라〉

正月에 以揚州刺史揚州刺史王述로 爲尙書令尙書令하다 王述이 每授職에 不爲虛讓하고 其所辭는 必於所不受러니 及爲尙書令하야 子坦之白述호되 故事當讓이라한대 曰 汝謂我不堪耶아 坦之曰 非也라 但克讓이 自美事耳니이다 述曰 旣爲堪之어니 何爲復讓이리오 人言汝勝我라호되 定不及也로다

興寧 2년(갑자 364) - 秦나라 甘露 6년이다. ○ 燕나라 建熙 5년이다. ○ 涼나라 西平博公張天錫 1년이다.-

정월에 揚州刺史揚州刺史王述을 尙書令尙書令으로 삼았다. 王述이 벼슬에 제수될 때마다 겉으로만 사양하는 체하지 않고, 사양할 때는 반드시 받지 않을 경우에만 사양하였다. 王述이 尙書令尙書令이 되자 아들王坦之王述에게 아뢰기를 “故事에 비춰 보건대 마땅히 사양하여야 합니다.” 하니, 王述이 말하기를 “너는 내가 이 벼슬을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느냐?” 하였다. 王坦之가 말하기를 “아닙니다. 다만 사양하는 것이 본래 아름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하니, 王述이 말하기를 “이미 감당할 수 있으니 어찌 다시 사양하겠느냐. 사람들은 네가 나보다 낫다고 말하나 너는 참으로 나에게 미치지 못한다.” 하였다.

三年에 帝崩【帝信方士하야 斷穀餌藥이러니 藥發하야 崩하다】하고 琅琊王奕이 卽皇帝位하다

興寧 3년(을축 365)에 황제가 崩하고,【황제가 方士의 말을 믿어 穀類를 끊고 藥을 먹었는데, 藥毒이 나와 崩하였다.】琅琊王司馬奕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 三月에 燕太宰太宰吳王慕容皝第五子也니 雋立하야 封垂爲吳王이라】 共攻洛陽克之하고 引兵略河南諸城【略은 與掠通이라】하야 盡下之하다

○ 3월에 燕나라 太宰太宰慕容恪吳王慕容垂【吳王 慕容垂는 慕容皝의 다섯째 아들이니, 慕容雋이 즉위한 다음 慕容垂를 봉하여 吳王으로 삼았다.】가 함께 洛陽을 공격하여 이긴 다음 군대를 이끌고 河南의 여러 성을 공격하여【略은 掠字와 통용한다.】 모두 항복시켰다.

帝奕

帝奕 字延齡이니 成帝次子也라

帝奕 字延齡이니 成帝次子也라 後爲桓溫廢하야 爲海西公하니 史曰 廢帝라 在位六年이요 壽四十五라

황제 司馬奕은 字가 延齡이니, 成帝의 次子이다. 뒤에 桓溫에게 폐위당하여海西公이 되니, 역사책에는 廢帝라 하였다. 재위가 6년이고 壽가 45세이다.

[丁卯]太和二年

[丁卯]太和二年이라 〈秦建元三年이요 燕建熙八年이라〉

太原王【皝之第四子라】이 疾病이어늘 暐【皝之第二子雋之子라】親視之하고 問以後事한대 恪曰 吳王이 文武兼資하야 管, 蕭之亞니 陛下若任以大政이면 國家可安이어니와 不然이면 秦, 晉이 必有窺窬【窬는 音由니 門邊小竇也라】之計하리이다 言終而卒하다 秦王이 聞恪卒하고 陰有圖燕之計러라

太和 2년(정묘 367) - 秦나라 建元 3년이고, 燕나라 建熙 8년이다. -

燕나라 太原王 慕容恪【太原王 慕容恪은 慕容皝의 넷째 아들이다.】이 병이 심해지자, 慕容暐【慕容暐는 慕容皝의 둘째 아들인 慕容雋의 아들이다.】가 친히 가서 병을 살펴보고 그가 죽은 뒤의 일을 물었는데, 慕容恪이 말하기를 “吳王이 文武를 겸비하여 管仲蕭何에 버금가니, 폐하께서 만약 그에게 큰 정사를 맡기신다면 국가가 평안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秦나라와 晉나라가 반드시 틈【窬는 音이 유이니, 문 옆의 작은 구멍이다.】을 엿보아 동하려는 계책이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慕容恪이 말을 마치고 죽었다. 秦王苻堅慕容恪이 죽었다는 소문을 듣고 은밀히 燕나라를 도모할 계책을 세웠다.

[己巳]四年

[己巳]四年이라 〈秦建元五年이요 燕建熙十年이라〉

四月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이 帥步騎五萬하고 伐燕할새 時에 恪已死하니 諸將이 不能抗이라 燕王 乃求救于秦이어늘 王猛이 密言於曰 燕雖彊大나 慕容評은 非溫敵也니 若溫擧山東하야 進屯洛邑하고 收幽, 冀之兵하고 引幷, 豫之粟하야 觀兵【觀은 音貫이라 觀은 示요 兵은 威也니 謂陳兵䝱之也라】崤, 澠【崤는 山名이요 澠은 水名이니 {澠池縣}皆在弘農하니라】이면 則陛下大事去矣리이다 今不如與燕合兵以退溫이니 溫退면 燕亦病矣라 然後에 我承其敝而取之면 不亦善乎잇가 堅從之하야 遣洛州刺史洛州刺史鄧羌하야 帥步騎二萬하야 以救燕하다 溫이 數戰不利【數은 不一也라】하고 糧儲復竭이라 又聞秦兵將至하고 乃焚舟棄輜重鎧仗【鎧는 甲也요 仗은 刀戟總名이라】하고 自陸道奔還이어늘 吳王 自帥八千騎하고 追之하야 及溫於襄邑하야 大破之하고 斬首三萬級하다 秦將苟池 邀擊溫於譙하야 又破之하니 死者復以萬計라 溫收散卒하야 屯于山陽【山陽은 揚州域이니 晉分廣陵하야 置山陽郡하고 隋置楚州하고 宋爲淮安軍하니라 括地志에 楚州山陽縣은 本漢射陽縣也니 射는 食夜反이라】하다 溫이 深恥喪敗하야 乃歸罪於袁眞하야 奏免眞爲庶人【袁眞은 豫州刺史也라 溫이 使眞攻譙, 梁할새 開石門하야 以通水運이러니 不克하니 乃歸罪하야 奏免爲庶人이라 眞이 不伏하고 表溫罪狀이어늘 朝廷不報하니 遂據壽春하고 叛降于燕하니라】하다

太和 4년(기사 369) - 秦나라 建元 5년이고, 燕나라 建熙 10년이다. -

4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이 步兵과 騎兵 5만 명을 거느리고 燕나라를 정벌하였다. 이때 慕容恪이 이미 죽으니 여러 장수들이 항거하지 못하였다. 燕王慕容暐가 마침내 秦나라에 구원을 요청하니, 王猛이 은밀히 苻堅에게 말하기를 “燕나라가 비록 강대하나 慕容評桓溫의 적수가 아니니, 만약 桓溫이 山東을 점령한 다음 進軍하여 洛邑에 주둔하고 幽州와 冀州의 군사를 거두고 幷州와 豫州의 곡식을 징발해서 崤山과 澠池【崤는 산 이름이고 澠은 물 이름이니, 모두 弘農郡에 있다.】에서 군대를 열병【觀은 音이 관이다. 觀은 보이는 것이고 兵은 威勢이니, 觀兵은 군대를 정렬하여 위협함을 이른다.】한다면 폐하의 대사가 틀어질 것입니다. 이제 燕나라와 병력을 규합하여 桓溫을 물리치는 것만 못하니, 桓溫이 후퇴하면 燕나라도 병들 것입니다. 그런 뒤에 우리가 그 피폐한 틈을 타서 취한다면 또한 좋지 않겠습니까.” 하였다. 苻堅이 그의 말을 따라 洛州刺史洛州刺史鄧羌을 보내어 보병과 기병 2만 명을 거느리고 가서 燕나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桓溫이 여러 번【數은 한 번 만이 아닌 것이다.】 싸워 승리하지 못하고 비축했던 양식이 다시 고갈되었는데, 또 秦나라 군대가 올 것이라는 말을 듣고 마침내 배를 불태우고 輜重과 갑옷과 병기【鎧는 갑옷이고, 仗은 칼과 창의 총칭이다.】를 버리고 육로를 따라서 달아나 돌아왔다. 吳王慕容垂가 스스로 8천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이들을 추격하여 襄邑에서 桓溫을 따라잡아 크게 격파하고3만 명의 首級을 베었다. 秦나라 장수 苟池桓溫을 譙에서 맞아 싸워서 또다시 격파하니, 죽은 자가 다시 만 명으로 헤아려졌다. 桓溫이 흩어진 병졸을 수습하여 山陽【山陽은 揚州 지역이니, 晉나라가 廣陵을 분할하여 山陽郡을 두었고, 隋나라는 楚州를 두었고, 宋나라는 淮安軍을 만들었다. ≪括地志≫에 “楚州의 山陽縣은 본래 漢나라 射陽縣이니, 射는 食夜反(사)이다.” 하였다.】에 주둔하였다. 桓溫이 패망한 것을 깊이 부끄러워하여 마침내 袁眞에게 죄를 씌워서 袁眞을 면직시킬 것을 아뢰어 庶人으로 삼았다.【袁眞은 豫州刺史였다. 桓溫이 袁眞으로 하여금 譙와 梁을 공격하게 할 적에 石門을 열어 水運을 통하게 하였는데, 이기지 못하자 마침내 죄를 씌워 袁眞을 면직시킬 것을 아뢰어 庶人으로 삼았다. 袁眞이 복종하지 않고 表文을 올려 桓溫의 죄상을 아뢰었으나 조정에서 회답하지 않자, 마침내 壽春을 점거하고 배반하여 燕나라에 항복하였다.】

燕吳王 還鄴하니 威名益振이라 太傅太傅이 忌之어늘 垂與子弟姪로 俱奔秦하다 初에 秦王이 聞太宰恪卒하고 陰有圖燕之志호되 憚垂威名하야 不敢發이러니 及聞垂至하고 大喜하야 郊迎執手하고 曰 天生賢傑은 必相與共成大功이니 此는 自然之數也라 要當與卿共定天下하리니 然後에 還卿本鄕하야 世封幽州 不亦美乎아 王猛이 言於堅曰 慕容垂父子 譬如龍虎하야 非可馴之物이라 若借以風雲이면 將不可復制니 不如早除之니이다 曰 吾方收攬英雄하야 以淸四海어니 奈何殺之리오하고 乃以垂爲冠軍將軍하다

○ 燕나라 吳王慕容垂가 鄴으로 돌아오니, 위엄과 명망이 더욱 떨쳐졌다. 太傅太傅慕容評이 그를 시기하자慕容垂가 아들, 아우, 조카들과 함께 秦나라로 달아났다. 처음에 秦王苻堅은 太宰太宰慕容恪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 은밀히 燕나라를 도모할 마음이 있었으나 慕容垂의 위엄과 명성을 두려워하여 감히 군대를 일으키지 못하였는데, 慕容垂가 왔다는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여 교외로 나가 맞이하고 손을 잡고 말하기를 “하늘이 어진 영걸을 냄은 반드시 서로 더불어 큰 공을 이루게 하려고 해서이니, 이는 자연의 운수이다. 요컨대 卿과 함께 천하를 평정할 것이니, 그런 뒤에 卿을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가게 해서 대대로 幽州에 봉해 주는 것이 또한 아름답지 않겠는가.” 하였다. 王猛苻堅에게 말하기를 “慕容垂 父子는 비유하면 용과 범 같아서 길들일 수 있는 물건이 아닙니다. 만약 바람과 구름을 빌려 주면 장차 다시는 제재할 수 없을 것이니 일찍 제거하는 것만 못합니다.” 하니, 苻堅이 말하기를 “내가 막 영웅들을 거두어 모아서 四海를 깨끗이 하려 하니, 어찌 죽이겠는가.” 하고는 마침내 慕容垂를 冠軍將軍冠軍將軍으로 삼았다.

秦王이 遣王猛, 梁成, 鄧羌하야 帥步騎三萬하고 伐燕하야 十二月에 進攻洛陽하다

秦王苻堅王猛梁成鄧羌을 보내어 보병과 기병 3만 명을 거느리고 燕나라를 정벌한 다음 12월에 진군하여 洛陽을 공격하였다.

○ 大司馬大司馬이 發徐, 兗州民하야 築廣陵城하고 徙鎭之하니 時에 征役旣頻하고 加之疫癘【癘鬼爲災曰疫이요 四時不和之疾曰癘라】하야 死者什四五라 百姓이 嗟怨이러라 秘書監孫盛이 作晉春秋할새 直書時事하니 大司馬大司馬이 見之하고 怒하야 謂盛子曰 枋頭는 誠爲失利【穆帝永和五年에 時桓溫及燕人으로 戰于枋頭하야 不利而還하니라[附註]史略에 帝奕時에 溫及燕人戰於枋頭하야 不利而還이라하고 其下曰 吳王垂 旣破晉軍에 威名大振이라하니 枋頭失利는 似指上己巳之戰이어늘 而釋義與此相背하니 未詳이라】어니와 何至乃如尊君【晉人은 於人子前에 稱其父爲尊君尊公이라】所言이리오 若此史遂行이면 自是關君門戶事【言欲滅其門也라】니라 其子遽拜謝【遽는 急也, 疾也니 戰慄也라】하고 請改之하다 時에 盛이 年老家居할새 性이 方嚴有軌度하니 子孫이 雖班(斑)白이나 待之愈峻이러니 至是하야 諸子乃共號泣稽顙하고 請爲百口計호되 盛이 大怒不許하니 諸子遂私改之【盛이 先已寫別本하야 傳之外國이라 及孝武帝購求異書할새 得之於遼東人한대 與見本不同하니 遂兩存焉하니라】하다

○ 大司馬大司馬桓溫이 徐州와 兗州의 백성들을 징발하여 廣陵城을 쌓고 옮겨서 鎭駐하니, 이때에 부역이 이미 빈번하고 역병【癘鬼(역병을 일으키는 귀신)가 재앙을 만든 것을 疫이라 하고, 四時가 순조롭지 못하여 병이 생긴 것을 癘라 한다.】까지 겹쳐서 죽는 자가 10에 4, 5나 되므로 백성들이 크게 원망하였다. 秘書監秘書監孫盛이 《晉春秋》를 지을 적에 당시의 일을 隱諱하지 않고 곧바로 쓰니, 大司馬大司馬桓溫이 이것을 보고 노하여 孫盛의 아들에게 이르기를 “枋頭에서는 내가 참으로 불리하였지만【[釋義]穆帝 永和 5년(349)에 당시 桓溫이 燕나라 사람과 枋頭에서 싸워서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왔다.[附註]≪史略≫에 “廢帝 司馬奕의 때에 桓溫이 燕나라 사람과 枋頭에서 싸워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왔다.” 하고, 그 아래에 이르기를 “吳王 慕容垂가 이미 晉나라 군대를 격파하자, 위엄과 명망이 크게 떨쳐졌다.” 하였으니, ‘枋頭에서 불리하였다’는 것은 앞의 기사년(369)의 전투를 가리킨 듯한데 釋義의 내용은 이와 서로 배치되니, 자세하지 않다.】 어찌 마침내 尊君(부친)【晉人은 아들 앞에서 아버지를 칭하여 尊君, 尊公이라 하였다.】이 말한 것 같은 지경에까지 이르렀겠는가. 만약 이 역사책이 마침내 세상에 행해진다면 이는 자연 그대 가문의 존망에 관계되는 일【그대 가문의 存亡에 관계된다는 것은 孫盛의 가문을 멸망시키고자 함을 말한다.】일 것이다.” 하였다. 孫盛의 아들이 급히【遽는 급함이고 빠름이니, 두려워서 떠는 것이다.】 이마를 조아리며 절하여 사죄하고 내용을 고칠 것을 청하였다. 이때 孫盛이 연로하여 집에 거처할 때에 성품이 방정하고 엄격하여 법도가 있으니, 자손들이 비록 斑白이 되었으나 孫盛은 그들을 대함에 더욱 준엄하게 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여러 아들들이 마침내 함께 울부짖으며 이마를 조아리고 많은 식구의 목숨을 위하여 고려할 것을 청하였으나 孫盛이 크게 노하고 허락하지 않으니, 여러 아들들이 마침내 몰래 고쳤다.【孫盛이 먼저 이미 별도로 한 본을 베껴서 外國에 전하였다. 東晉의 孝武帝(司馬曜)가 진귀한 책을 찾아 구할 때에 遼東 사람에게서 이 別本을 얻었는데, 현재의 本과 같지 않으니 마침내 두 가지 본이 있게 되었다.】

[庚午]五年

[庚午]五年이라 〈秦建元六年이라 ○ 燕建熙十一年이라 ○是歲에 燕亡하니 大一, 小二니 凡三僭國이라〉

太和 5년(경오 370) - 秦나라 建元 6년이다. ○ 燕나라 建熙 11년이다. ○ 이해에 燕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하나이고 小國이 둘이니, 僭國이 모두 셋이다.-

正月에 燕荊州刺史荊州刺史武威王筑이 以洛陽降秦하다 六月에 秦王堅이 復遣王猛하야 督鎭南將軍楊安等하야 將步騎六萬하고 以伐燕하다 八月에 燕主暐 命太傅上庸王評하야 將中外精兵三十萬하고 以拒秦하다 猛이 克壺關하니 所過郡縣이 皆望風降附라 燕人이 大震이러라 黃門侍郞封孚 問司徒長史申胤曰 事將何如오 胤歎曰 鄴必亡矣니 吾屬이 今玆將爲秦虜로다 然이나 越得歲而吳伐之하야 卒受其禍【左傳昭三十二年에 吳伐越한대 史墨曰 不及四十年하야 越其有吳乎인저 越得歲而吳伐之하니 必受其凶이라하니라 杜預註曰 此年에 歲在星紀하니 星紀는 吳, 越之分也라 歲星所在에 其國有福이어늘 吳先用兵故로 反受其殃이라하더니 哀二十二年에 越果滅吳하니라 索隱曰 天官占云 歲星은 一曰應星이요 一曰經星이요 一曰紀星이라 歲星은 東方木之精이니 蒼帝之象也라 所在之國은 不可伐이요 可以伐人이라하니라】하니 今福德이 在燕【福德은 一曰德星이니 出於有道之國이라 索隱曰 德星은 卽歲星이니 歲星所在에 其國有福이니라】하니 秦雖得志나 而燕之復建이 不過一紀耳라하더라 九月에 秦王猛이 進兵潞川하니 太傅評이 以猛縣(懸)軍【縣은 與懸同이니 孤軍遠征하야 其勢懸絶하야 不能相及故로 懸軍也라】深入이라하야 欲以持久制之어늘 猛이 陳於渭源而誓之하니 衆皆踊躍하야 破釜棄糧하고 大呼競進이라 燕兵이 大敗하야 俘斬五萬餘人하고 乘勝追擊하니 所殺及降者 又十萬餘人이라 評이 單騎走還鄴하니 秦兵이 長驅而東하야 丁卯에 圍鄴하다 十一月에 秦王이 自帥精銳十萬하고 赴鄴하다 戊寅에 燕散騎侍郞餘蔚이 夜開鄴北門하고 納秦兵하니 燕主暐 與上庸王評等으로 奔龍城이어늘 秦王이 使遊擊將軍郭慶으로 追及於高陽하야 執以詣秦王堅하다 이 哀而釋之하고 令還宮하니 帥文武出降하고 諸州牧守及六夷【胡, 羯, 鮮卑, 氐, 羌, 巴蠻也니 或曰 烏桓이요 非巴蠻也라】渠帥 盡降於秦하다

정월에 燕나라 荊州刺史荊州刺史武威王慕容筑이 洛陽을 가지고 秦나라에 항복하였다.

6월에 秦王苻堅이 다시 王猛을 보내어 鎭南將軍鎭南將軍楊安 등을 독려해서 보병과 기병 6만 명을 거느리고 燕나라를 치게 하였다. 8월에 燕主慕容暐가 太傅太傅上庸王慕容評에게 명하여 中外의 정예병 30만 명을 거느리고 秦나라를 맞아 싸우게 하였다. 王猛이 壺關을 함락시키니, 지나는 곳의 郡縣들이 모두 기세만 보고도 항복하여 붙었으므로 燕나라 사람들이 크게 동요하였다. 黃門侍郞黃門侍郞封孚가 司徒長史司徒長史申胤에게 묻기를 “일이 장차 어떻게 되겠는가?” 하니, 申胤이 탄식하며 말하기를 “鄴都가 반드시 망할 것이니, 우리들은 이제 秦나라의 포로가 될 것이다. 그러나 越나라가 歲星을 얻었는데 吳나라가 정벌하여 끝내 그 禍를 받았다.【≪春秋左傳≫ 昭公 32年條에 吳나라가 越나라를 정벌하자, 史墨이 말하기를 “40년이 못 되어 越나라가 吳나라를 소유할 것이다. 越나라가 歲星을 얻었는데 吳나라가 정벌하니, 반드시 禍를 받을 것이다.” 하였다. 杜預의 註에 이르기를 “이해에 歲星이 星紀에 있으니, 星紀는 吳‧越의 분야이다. 歲星이 있는 곳에는 그 나라에 福이 있는데, 吳나라가 먼저 군대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도리어 그 殃禍를 받은 것이다.” 하였는데, 哀公 22年條에 越나라가 과연 吳나라를 멸망시켰다. ≪史記索隱≫에 말하였다. “≪天官占≫에 이르기를 ‘歲星은 일명 應星이요, 일명 經星이요, 일명 紀星이다. 歲星은 東方 木의 精氣이니, 蒼帝의 象이다. 이 별이 있는 나라는 정벌할 수 없고, 이 나라가 다른 나라를 정벌할 수는 있다.’ 하였다.”】 지금 福德星이 燕나라에 있으니,【福德星은 일명 德星이니, 道가 있는 나라에 출현한다. ≪史記索隱≫에 이르기를 “福德星은 곧 歲星이니, 歲星이 있는 곳에는 그 나라에 福이 있다.” 하였다.】秦나라가 비록 뜻을 얻더라도 燕나라의 重建은 1紀(12년)를 넘기지 못할 것이다.” 하였다.

9월에 秦나라 王猛이 潞川으로 진군하자, 太傅太傅慕容評王猛이 懸軍(외로운 군대)【縣은 懸과 같으니, 고립된 군대가 멀리 싸우러 가서 그 형세가 현격하여 서로 미칠 수가 없으므로 懸軍이라 한 것이다.】을 이끌고 적지에 깊이 들어왔다 하여 지구전으로 제압하고자 하였는데, 王猛이 渭源에서 군대를 진열하고 맹세하니, 군사들이 모두 기뻐서 날뛰며 결사의 각오로 가마솥을 부수고 양식을 버리고서 크게 고함치며 함께 진격했다. 燕나라 군대를 대패시켜 5만여 명을 포로로 사로잡고 목을 베었으며 승세를 타고 추격하니, 죽인 자와 항복받은 자가 또 10만여 명이었다. 慕容評이 單騎로 달아나鄴都로 돌아오니, 秦나라 군대가 승승장구하여 동쪽으로 와서 정묘일(10월 26일)에 鄴都를 포위하였다.

11월에 秦王苻堅이 스스로 정예병 10만 명을 거느리고 鄴城으로 달려갔다. 무인일(11월 7일)에 燕나라 散騎侍郞散騎侍郞餘蔚이 밤중에 鄴城의 北門을 열고 秦나라 병사를 받아들이니, 燕主慕容暐上庸王慕容評 등과 함께 龍城으로 달아났다. 秦王苻堅이 遊擊將軍遊擊將軍郭慶으로 하여금 추격하게 하여 郭慶이 高陽에서 이들을 사로잡아 秦王苻堅에게 보냈다. 苻堅이 가엾게 여겨 이들을 놓아주고 궁으로 돌아가게 하니 文武官을 거느리고 나와서 항복하였고, 여러 州의 牧守와 여섯 오랑캐족【六夷는 胡‧羯‧鮮卑‧氐‧羌‧巴蠻이니, 혹자가 이르기를 “烏桓이고 巴蠻이 아니다.”라고 한다.】의 渠帥(추장)들이 모두 秦나라에 항복하였다.

○ 十二月에 秦王堅이 遷慕容暐及王公百官과 幷鮮卑四萬餘戶于長安한대 燕故太史黃泓이 歎曰 燕必中興이니 其在吳王【吳王은 慕容垂라】乎인저 恨吾老하야 不及見耳라하더라 汲郡趙秋曰 天道在燕이어늘 而秦滅之하니 不及十五年하야 必復爲燕有하리라

○ 12월에 秦王苻堅慕容暐와 燕나라의 王公과 百官과 鮮卑族 4만여 가호를 長安으로 옮겼다. 燕나라 옛 太史太史인 黃泓이 탄식하기를 “燕나라가 반드시 중흥할 것이니, 吳王(慕容垂)【吳王은 慕容垂이다.】에게 있을 것이다. 내가 늙어서 미처 보지 못하는 것이 한스럽다.” 하였다. 汲郡 사람 趙秋가 말하기를 “天道가 燕나라에 있는데 秦나라가 멸망시켰으니, 15년이 못 되어 秦나라는 반드시 다시 燕나라의 소유가 될 것이다.” 하였다.

太宗簡文皇帝
太宗簡文皇帝 名昱이요 字道萬이니 元帝少子也라 在位二年이요 壽五十三이라

太宗簡文皇帝【一德不懈曰簡이요 平易不訾曰簡이라】이요 字道萬이니 元帝少子也라 在位二年이요 壽五十三이라

太宗 簡文皇帝【德을 한결같이 하여 게으르지 않은 것을 簡이라 하고, 평이하여 헐뜯지 않는 것을 簡이라 한다.】는 이름이 이요 字가 道萬이니, 元帝의 작은 아들이다. 재위가 2년이고 壽가 53세이다.

[辛未]咸安元年

[辛未]咸安元年이라 〈秦建元七年이라〉

正月에 秦王이 徙關東豪傑及雜夷十五萬戶於關中하고 處烏桓於馮翊, 北地【北地는 郡名이라】하고 丁零翟斌【丁零은 北狄種名이니 漢匈奴傳註에 地名이라 翟은 本音狄이니 後人姓音宅이라】於新安, 澠池하다

咸安 元年(신미 371) - 秦나라 建元 7년이다. -

정월에 秦王苻堅이 關東의 호걸과 여러 오랑캐 족속 15만 가호를 關中으로 옮겼으며, 烏桓을 馮翊과 北地【北地는 고을 이름이다.】에 安置시키고 丁零 사람 翟斌【丁零은 북쪽 오랑캐의 종족 이름이니, ≪漢書≫ 〈匈奴傳〉 註에는 地名이라고 하였다. 翟은 本音이 적이니, 후인들이 姓으로 쓸 때에는 音이 택(책)이다.】을 新安과 澠池에 安置시켰다.

○ 十月에 大司馬大司馬이 恃其材略位望【地位聞望이라】하고 陰蓄不臣之志하야 嘗撫枕歎曰 男子不能流芳百世어든 亦當遺臭萬年이라하더라 이 欲先立功河朔하야 以收時望하고 還受九錫이러니 及枋頭之敗에 威名頓挫라 旣克壽春에 謂參軍參軍郗超曰 足以雪枋頭之恥乎아 曰 未也니이다 久之요 超就溫宿할새 中夜에 謂曰 明公이 當天下重任하야 今以六十之年으로 敗於大擧하니 不建不世之勳이면 不足以鎭愜【愜은 伏也라】民望이리이다 曰 然則奈何오 超曰 明公이 不爲伊, 霍之擧【超知溫心而迎合之라】者면 無以立大威權하야 鎭壓四海하리이다 溫素有心이러니 深以爲然하야 遂與之定議하다

[史略 史評]番(鄱)陽石氏伊尹이 放太甲하고 霍光이 廢昌邑王은 爲宗社計라 其心이 公也어늘 小人이 妄以爲擬하니 不亦異哉아

○ 10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은 자신의 재주와 지략과 지위와 명망【位望은 지위와 명망이다.】을 믿고 은밀히 신하 노릇 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품고서 일찍이 베개를 어루만지며 탄식하기를 “남자가 아름다운 명성을 百代에 남길 수 없으면 또한 더러운 이름이라도 만년토록 남겨야 한다.” 하였다. 桓溫이 먼저 河朔(河北) 지방에서 공을 세워 당대의 명망을 거두고 돌아와 九錫을 받고자 하였는데, 枋頭에서 패하자 위엄과 명성이 크게 꺾였다. 壽春을 점령한 뒤에 參軍參軍郗超에게 이르기를 “枋頭의 치욕을 씻을 수 있겠는가?” 하니, 郗超가 대답하기를 “안 됩니다.” 하였다. 얼마 후 郗超桓溫을 찾아가 함께 잠을 잤는데, 한밤중에 桓溫에게 이르기를 “明公이 천하의 重任을 담당하여 이제 60의 나이로 크게 군대를 동원하여 출정함에 실패하였으니, 좀처럼 세상에 나타나지 않을 큰 공업을 세우지 않는다면 백성들의 바람을 진정시키고 복종【愜은 복종함이다.】시킬 수 없습니다.” 하였다. 桓溫이 대답하기를 “그렇다면 어찌해야 하는가?” 하니, 郗超가 말하기를 “明公이 伊尹霍光의 일【郗超가 桓溫의 속마음을 알고 영합한 것이다.】을 하지 않는다면 큰 위엄과 권력을 세워서 四海를 진압할 수 없습니다.” 하였다. 桓溫이 평소 배반할 마음이 있었는데, 이 말을 깊이 옳게 여겨서 마침내 郗超와 더불어 의논을 결정하였다.

[史略 史評]鄱陽石氏가 말하였다.

伊尹太甲을 추방하고霍光昌邑王을 폐위한 것은 종묘사직을 위한 계책이었다. 그 마음이 공정하였는데, 小人이 함부로 이에 비견하였으니, 이상하지 않은가.”

○ 十一月에 이 自廣陵으로 詣建康하야 宣太后令하야 廢帝爲東海王하고 以會稽王으로 統承皇極하야 卽皇帝位하니 이 威勢翕赫【翕은 盛也라】이러라 侍中侍中謝安이 見溫遙拜어늘 驚曰 安石아 卿이 何事乃爾오 曰 未有君拜於前하고 臣揖於後니이다 於是에 詔進溫丞相, 大司馬하야 留京師輔政하니 이 固辭하고 仍請還鎭姑孰하다

[史略 史評]史斷曰 哀帝以及廢帝히 政出桓溫하야 太阿倒持하고 虛器徒擁하야 卒被廢黜하니 哀哉라

○ 11월에 桓溫이 廣陵으로부터 建康에 나가서 太后의 명령을 선포하여 황제를 폐위시켜東海王으로 삼고, 會稽王司馬昱으로 皇極의 대통을 이어서 황제에 즉위하게 하니, 桓溫의 위엄과 권세가 대단히 혁혁【翕은 성대함이다.】하였다. 侍中侍中謝安桓溫을 보고 멀리서 절하자, 桓溫이 놀라며 말하기를 “安石(謝安의 字)아! 卿이 무슨 일로 이와 같이 하는가?” 하니, 謝安이 말하기를 “군주가 앞에서 절하고 신하가 뒤에서 읍하는 경우는 있지 않습니다.” 하였다. 이에 조서를 내려 桓溫을 丞相丞相‧大司馬大司馬로 승진시켜京師에 머물면서 정사를 보필하게 하니, 桓溫이 한사코 사양하고 그대로 돌아가 姑孰에 鎭駐할 것을 청하였다.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哀帝로부터 廢帝에 이르기까지 정사가 桓溫에게서 나와 황제는 칼날을 쥐고 거꾸로 칼자루를 桓溫에게 내주어 이름뿐인 빈 자리[虛器]만 끼고 있다가 마침내 폐출당하였으니, 슬프다.”

十二月에 大司馬大司馬이 奏東海王이 宜依昌邑故事【漢昭帝崩에 迎昌邑王하야 卽帝位러니 有罪被廢하야 歸于昌邑하니라】라하야 乃封海西縣公하다 이 威振內外하니 帝雖處尊位나 拱黙而已러라

○ 12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東海王(廢帝)은 마땅히 昌邑王의 故事【漢나라 昭帝가 崩함에 昌邑王(劉賀)을 맞이하여 황제에 즉위하였는데, 죄가 있어 폐출당하여 昌邑으로 돌아갔다.】를 따라야 한다고 아뢰어 마침내 海西縣公에 봉하였다. 桓溫의 위엄이 내외에 떨쳐지니, 황제가 비록 지존의 자리에 있었으나 팔짱을 끼고 침묵만 할 뿐이었다.

[壬申]二年

[壬申]二年이라 〈秦建元八年이라〉

七月에 帝崩【遺詔에 溫依周公居攝故事하라하고 又曰 少子可輔어든 輔之하고 如爲不可어든 君可自取하라하니 侍中王坦之 持詔入하야 於帝前에 毁之라 帝曰 天下儻來之運이어늘 卿何所嫌고하니 云云하다 】하고 太子卽皇帝位하다

咸安 2년(임신 372) - 秦나라 建元 8년이다. -

7월에 황제가 崩하고,【簡文帝가 崩할 때 遺詔에 “桓溫은 周公이 居攝한 故事를 따르라.” 하고, 또 말하기를 “少子가 보좌할 만하거든 보좌하고 만약 보좌할 수 없으면 그대가 스스로 취해도 된다.” 하니, 侍中 王坦之가 詔書를 가지고 대궐에 들어가 황제의 앞에서 이것을 찢어 버렸다. 황제가 말하기를 “天下를 뜻하지 않게 갑자기 얻었는데, 卿은 어찌하여 의혹하는가?” 하니, 王坦之가 云云하였다.】太子太子가 황제에 즉위하였다.

○ 八月에 秦이 以王猛으로 爲丞相하다 猛이 爲相에 이 端拱【端은 正也요 拱은 拱手也니 言無爲라】於上하고 百官이 總己於下하니 軍國內外之事 無不由之러라 이 剛明【不屈於欲之謂剛이요 不惑於物之謂明이라】淸肅하야 善惡이 著白하고 放黜尸素【尸位素餐이라】하고 顯拔幽滯하며 勸課農桑하고 練習軍旅【見一卷一旅注하니라】하며 官必當才하고 刑必當罪하니 由是로 國富兵彊하야 戰無不克이라 秦國이 大治러라

[史略 史評]史斷曰 簡文이 爲桓溫所立하야 雖處尊位나 恭黙守道而已요 嘗懼廢黜하야 泣下沾襟하니 帝雖神識恬暢이나 而乏濟世大略이라 故로 謝安이 稱其爲惠帝之流에 淸談差勝耳라하고 謝靈運이 謂迹其行事하면 以爲, 之輩라하니 從可知矣니라

○ 8월에 秦나라가 王猛을 丞相丞相으로 삼았다. 王猛이 丞相丞相이 되자, 苻堅은 위에서 몸을 단정히 하고 손을 모아 無爲로써 다스리고【端은 바름이고 拱은 拱手하는 것이니, 端拱은 無爲(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를 말한다.】 백관들은 아래에서 자신의 직책을 총괄하니, 軍國軍國 안팎의 정사가 王猛을 거치지 않는 것이 없었다. 王猛은 굳세고 밝고【욕심에 굴복당하지 않는 것을 剛이라 하고, 외물에 미혹되지 않는 것을 明이라 한다.】 깨끗하고 엄숙하여 善惡이 분명하며, 자리를 차지하고 녹만 받아먹는 자들【尸素는 직책을 다하지 못하면서 자리만 차지하고 祿만 받아먹는 것을 이른다.】을 추방하여 내쫓고 숨어서 세상에 나오지 않는 자들을 드러내어 발탁하며, 농업과 양잠을 권장하고 군대【軍旅는 1권의 ‘一旅’ 注에 보인다.】를 훈련시키며, 관직은 반드시 재주에 걸맞게 하고 형벌은 반드시 죄에 마땅하게 하니, 이로 말미암아 나라가 부유하고 군대가 강성해져서 싸우면 승리하지 않음이 없었다. 秦國이 크게 다스려졌다.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簡文帝桓溫에 의해 옹립되어 비록 지존의 자리에 있었으나 공손하고 침묵하여 道를 지킬 뿐이었고, 항상 폐출당할까 두려워하여 눈물을 흘려 옷깃을 적셨다. 簡文帝는 비록 정신이 평안하고 지식이 通暢하였으나 세상을 구제할 큰 智略이 없었다. 그러므로 謝安은 칭하기를 ‘晉나라 惠帝의 부류인데 淸談이 조금 나을 뿐이다.’ 하였고, 謝靈運謝靈運은 이르기를 ‘행한 일을 살펴보면 周나라 赧王과 漢나라 獻帝의 무리이다.’라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그의 인품을 알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