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晉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yjw2999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iv class="clsB"> ==通鑑節要 卷之三十== </div><div class="clsB"> ===晉紀=== </div><div class="clsB"> ====安皇帝==== </div><div class="clsB"> =====安皇帝 名은 德宗...)
 
(28)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iv class="clsB">
 
<div class="clsB">
==通鑑節要 卷之三十==
+
==通鑑節要 卷之二十八==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晉紀===
 
===晉紀===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安皇帝====
+
====康皇帝====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安皇帝 名은 德宗이니 武帝太子라 在位二十二年이요 壽三十七이라=====
+
=====康皇帝 名岳이요 字世同이니 成帝母弟也라=====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12번째 줄: 12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安皇帝]]<font color="#0054FF" size="2">【寬容和平曰安이라】</font> 名은 [[德宗]]이니 [[武帝]]太子라 在位二十二年이요 壽三十七이라
+
[[康皇帝]]<font color="#0054FF" size="2">【溫柔好樂曰康】</font> [[岳]]이요 字[[世同]]이니 [[成帝]]母弟也라 在位二年이요 壽二十二라
 
</div>
 
</div>
 
</div>
 
</div>
21번째 줄: 20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安皇帝<font color="#0054FF" size="2">【너그럽고 포용하여 화평한 것을 安이라 한다.】</font>는 이름이 [[德宗]]이니 [[武帝]]의 태자이다. 재위가 22년이고 壽가 37세이다.
+
康皇帝<font color="#0054FF" size="2">【온화하고 유순하여 좋아하고 즐거워할 만한 것을 康이라 한다.】</font>는 이름이 [[岳]]이요 字가 [[世同]]이니, [[成帝]]의 同母弟이다. 재위가 2년이고 壽가 22세이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丁酉]隆安元年=====
+
=====[癸卯]建元元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33번째 줄: 31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丁酉]隆安元年이라 〈燕永康二요 秦皇初四요 魏皇始(三)[二]年이라 ○ [[南涼王]][[禿髮烏孤]]太初元年이요 [[北涼王]][[段業]]神璽元年이라 ○ 舊大國三이요 西秦, 涼 小國二요 新小國二니 凡七僭國이라〉
+
[癸卯]建元元年이라 〈趙建武九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魏王]][[]] 自將圍中山하니 中山이 飢甚이라 [[慕容麟]]이 帥二萬餘人하고 出據新市어늘 甲子晦에 [[魏王]][[]]進軍攻之할새 太史令太史令[[鼂崇]]曰 不吉하니이다 昔에 [[]]以甲子亡하니 謂之疾日<font color="#0054FF" size="2">【左傳昭九年 辰在子卯謂之疾日注에 疾은 惡也니 紂以甲子喪하고 桀以乙卯亡이라 故로 以爲忌라】</font>이라 兵家忌之하니이다 [[]][[]]는 以甲子亡이어니와 [[武王]]은 不以甲子興乎아 [[]]無以對러라 十月甲戌에 [[]][[]]으로 戰於義臺하야 大破之하니 [[]]遂奔鄴하다 甲申에 魏克中山<font color="#0054FF" size="2">【是年三月에 魏王珪 圍中山한대 燕王寶走出이어늘 慕容詳이 城守拒魏하고 自謂能却魏兵하야 兵威已振이라하야 遂卽帝位러니 麟襲殺詳而自立이라 至是하야 珪克中山이라】</font>하다 [[麟]]至鄴하야 復稱[[趙王]]하다
+
[[庾翼]]<font color="#0054FF" size="2">【亮之弟니 亮卒에 翼代之라】</font>이 薦[[桓溫]][[成帝]][[桓溫]]이 有英雄之才하니 願陛下勿以常人遇之, 常壻畜之<font color="#0054FF" size="2">【桓彛之子也니 尙明帝女南康公主하니라】</font>하시고 宜委以方面<font color="#0054FF" size="2">【本文則方邵(召)하니 方叔, 召虎라 [[周宣王]]이 用之하야 以中興也라】</font>之任이면 必有弘濟艱難之勳하리이다 時에 [[杜乂]], [[殷浩]] 才名冠世호되 翼獨弗之重也하고 曰 此輩는 宜束之高閣하야 俟天下太平然後에 徐議其任耳라하니라 浩累辭徵辟하고 屛居墓所하야 幾將十年하니 時人이 擬之管, 葛<font color="#0054FF" size="2">【管은 謂夷吾요 葛은 謂孔明이라】</font>이라 江夏相謝尙<font color="#0054FF" size="2">【相은 漢志에 每國置相一人하니 主治民하야 如令, 長하고 不臣也라하니라 謝尙은 鯤之子라】</font>과 [[長山令]][[王濛]]이 常伺其出處하야 以卜江左興亡하고 常(嘗)相與省之러니 知浩有確然<font color="#0054FF" size="2">【守志堅固하야 不移也라】</font>之志하고 旣返에 相謂曰 深源<font color="#0054FF" size="2">【殷浩字也라】</font>不起하니 當如蒼生何오 [[]]이 請[[]]爲司馬司馬<font color="#0054FF" size="2">【請於國하니 詔除爲侍中, 安平軍司馬也라】</font>한대 [[]]不應이어늘 [[]]이 遺浩書曰 [[王夷甫]]立名非眞<font color="#0054FF" size="2">【非眞은 不實也니 翼意言浩不可如王衍이라 夷甫는 衍字라】</font>하니 雖云談道나 實長華競이라 明德君子 遇會處際<font color="#0054FF" size="2">【遇風雲之會하고 處功名之際라】</font>에 寧可然乎아호되 [[]]猶不起러라
 
</div>
 
</div>
 
</div>
 
</div>
47번째 줄: 42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隆安 元年(정유 397) - 燕나라 永康 2년이고, 秦나라 皇初 4년이고, 魏나라 皇始 2년이다. ○ [[南涼王]][[禿髮烏孤]]의 太初 元年이고, [[北涼王]][[段業]]의 神璽 元年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셋이고 西秦과 涼 등 小國이 둘이고, 새로운 小國이 둘이니, 僭國이 모두 일곱이다.-
+
建元 元年(계묘 343) - 趙나라(後趙) 建武 9년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魏王]][[拓跋珪]]가 스스로 군대를 거느리고中山을 포위하니, 中山이 饑饉이 몹시 심하였다. [[慕容麟]]이 2만여 명을 거느리고 나와 新市를 점거하자, 甲子日(9월 29일) 그믐에 [[魏王]][[拓跋珪]]가 진군하여 공격하려 하였는데, 이때 太史令太史令[[鼂崇]]말하기를 “불길합니다. 옛날에 [[紂王]]이 甲子日에 망하였으니, 이날을 疾日<font color="#0054FF" size="2">【≪春秋左傳≫ 昭公 9年條의 ‘辰在子卯 謂之疾日(일진이 甲子와 乙卯에 있는 것을 疾日이라 한다)’ 注에 “疾은 불길한 것이니, 紂王은 甲子日에 망하였고 桀王은 乙卯日에 망하였다. 그러므로 꺼리는 것이다.” 하였다.】</font>이라 이르는 바, 兵家에서 이를 꺼립니다.” 하였다. [[拓跋珪]]가 말하기를 “[[紂王]]은 갑자일에 망하였으나 [[武王]]은 갑자일에 흥하지 않았는가?” 하니, [[鼂崇]]이 대답하지 못하였다.
+
[[庾翼]]<font color="#0054FF" size="2">【[[庾翼]]은 [[庾亮]]의 아우이니, [[庾亮]]이 죽자 [[庾翼]]이 대신하였다.】</font>이 [[桓溫]]을 [[成帝]]에게 천거하기를 “[[桓溫]]은 영웅의 재주가 있으니,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그를 보통 사람으로 대우하시거나 보통의 사위로 기르지 마시고<font color="#0054FF" size="2">【桓溫은 桓彛의 아들이니, 明帝의 딸인 南康公主에게 장가들었다.】</font> 方面<font color="#0054FF" size="2">【≪資治通鑑≫ 本文에는 ‘方面’이 ‘方邵’로 되어 있으니, 方邵는 方叔과 召虎이다. 周나라 宣王이 이들을 등용하여 中興하였다.】</font>의 임무를 맡긴다면 반드시 어려움을 크게 구제하는 功이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이때 [[杜乂]][[殷浩]]가 재주 있다는 명성이 세상에 으뜸이었으나 [[庾翼]]만은 홀로 이들을 중시하지 않고 말하기를 “이런 무리들은 〈亂世에는 쓸데가 없으니〉 높은 다락에 묶어 두었다가 천하가 태평해지기를 기다린 뒤에 천천히 그 임무를 의논해야 한다.” 하였다. [[殷浩]]가 여러 번 나라의 부름을 사양하고 물러나 묘소에 은거하여 거의 10년에 이르니, 당시 사람들이 [[管仲]]과 [[諸葛孔明]]<font color="#0054FF" size="2">【管은 管夷吾(管仲)를 이르고, 葛은 諸葛孔明을 이른다.】</font>에게 견주었다. 江夏相江夏相[[謝尙]]<font color="#0054FF" size="2">【相은 ≪後漢書≫ 〈百官志〉에 “각 諸侯國마다 相 한 명을 두니, 백성들을 다스리는 것을 주관하여 縣令이나 縣長과 같고, 제후왕에게 신하 노릇 하지 않는다.” 하였다. 謝尙은 謝鯤의 아들이다.】</font>과 長山令長山令[[王濛]]은 항상 그의 出處를 살펴 江左(江東)의 흥망을 점쳤다. 한번은 함께 [[殷浩]]를 문안하였는데, [[殷浩]]에게 확고한<font color="#0054FF" size="2">【確然은 뜻을 지킴이 견고하여 변치 않는 것이다.】</font> 뜻이 있음을 알고서 돌아온 뒤에 서로 말하기를 “[[深源]]<font color="#0054FF" size="2">【深源은 殷浩의 字이다.</font>이 나오지 않으니, 이 蒼生들을 어찌한단 말인가?” 하였다. [[庾翼]]이 [[殷浩]]를 [[司馬]]로 삼을 것을 청하자,<font color="#0054FF" size="2">【庾翼이 殷浩를 司馬로 삼을 것을 국가에 청하자, 황제가 명하여 殷浩에게 侍中‧安平軍司馬를 제수한 것이다.】</font> 〈황제가 명하여 [[司馬]]로 삼았는데〉 [[殷浩]]가 응하지 않으니, [[庾翼]]이 [[殷浩]]에게 편지를 보내기를 “[[王夷甫(王衍)]]가 명성을 세운 것은 진짜가 아니니,<font color="#0054FF" size="2">【진짜가 아니라는 것은 진실하지 못한 것이니, 庾翼의 뜻은 殷浩가 王衍과 같아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 夷甫는 王衍의 字이다.】</font> 비록 道를 말했다고 하나 실로 浮華함을 다투는 氣風을 助長하였다. 재주와 德을 겸비한 君子가 좋은 때를 당하여 만남<font color="#0054FF" size="2">【風雲의 기회를 만나고, 功名의 즈음에 처한 것이다.】</font>에 어찌 그렇게 할 수 있겠는가?” 하였으나 [[殷浩]]는 여전히 나오지 않았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10월 甲戌日(10일)에 [[拓跋珪]][[慕容麟]]과 義臺에서 싸워 크게 격파하니, [[慕容麟]]이 마침내 鄴城으로 도망하였다. 甲申日(20일)에 魏나라가 中山을 이겼다.<font color="#0054FF" size="2">【이해 3월에 魏王 拓跋珪가 中山을 포위하자 燕王 慕容寶가 달아나니 慕容詳이 城을 수비하여 魏나라를 막고서, 스스로 魏나라 군대를 물리쳐 군대의 위엄이 이미 떨쳐졌다고 생각하여 마침내 황제에 즉위하였다. 慕容麟이 慕容詳을 습격하여 죽이고 스스로 즉위하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拓跋珪가 中山을 이겼다.】</font>[[慕容麟]]은 鄴城에 이르러 다시 [[趙王]]이라 칭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戊戌]二年=====
+
=====[甲辰]二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69번째 줄: 5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戊戌]二年이라 [[燕主]][[慕容盛]]建平元이요 秦皇初五요 魏天興元年이라 ○ [[南燕王]][[慕容德]]元年이라 ○ 舊大國三이요 西秦, 涼, 南涼, 北涼小國四요 新小國一이니 凡八僭國이라〉
+
[甲辰]二年이라 〈趙建武十年이요 [[漢主]][[李勢]]太和元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慕容麟]]이 說[[范陽王]][[德]]하야 南徙滑臺하니 魏遂取鄴하다 [[麟]]이 上尊號於[[德]]하니 [[德]]이 用兄垂故事하야 稱[[燕王]]<font color="#0054FF" size="2">【燕은 南燕이라[釋義][[慕容德]]은 字[[元明]]이니 [[]]少子也라 [[寶]]敗走에 [[德]]稱[[燕王]]하고 據廣固하니라】</font>하다
+
九月에 帝崩하고 太子卽位하니 時方二歲라 太后太后[[褚氏]]<font color="#0054FF" size="2">【裒女라】</font>臨朝稱制하고 [[何充]]을 加侍中侍中, 錄尙書事錄尙書事하다
 
</div>
 
</div>
 
</div>
 
</div>
83번째 줄: 67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隆安 2년(무술 398) - [[燕主]][[慕容盛]]의 建平 元年이고, 秦나라 皇初 5년이고, 魏나라 天興 元年이다. ○ [[南燕王]][[慕容德]]의 元年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셋이고, 西秦‧涼(後涼)‧南涼‧北涼 등 小國이 넷이며, 새로운 小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여덟이다.-
+
建元 2년(갑진 344) - 趙나라 建武 10년이고, [[漢主]][[李勢]]의 太和 元年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慕容麟]]이 [[范陽王]][[慕容德]]을 설득하여 남쪽으로 도읍을 滑臺에 옮기니, 魏나라가 마침내 鄴城을 취하였다. [[慕容麟]][[慕容德]]에게 尊號를 올리니, [[慕容德]]이 형 [[慕容垂]]의 故事를 따라 [[燕王]]이라 칭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原註]燕은 南燕이다.[釋義][[慕容德]]은 字가 [[元明]]이니 [[慕容皝]]의 작은아들이다. [[慕容寶]]가 패주하자, [[慕容德]][[燕王]]을 칭하고 廣固를 점거하였다.】</font>
+
9월에 황제가 崩하고태자가 즉위하니, 이때 막 2세였다. [[太后]] 褚氏<font color="#0054FF" size="2">【褚氏는 褚裒의 딸이다.】</font>가 조정에 臨御하여 制를 칭하고 [[何充]]에게 侍中侍中‧錄尙書事錄尙書事를 가하였다.
 +
</div>
 +
</div>
 +
|}</div><div class="clsB">
 +
====孝宗穆皇帝====
 +
</div><div class="clsB">
 +
=====孝宗穆皇帝 名聃이 字彭祖니 康帝太子也라 在位十七年이요 壽十九라=====
 +
</div><div class="contData">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孝宗穆皇帝]]<font color="#0054FF" size="2">【布德執義曰穆이라】</font> 名[[]]이요 字[[彭祖]][[康帝太子]]也라 在位十七年이요 壽十九라
 
</div>
 
</div>
 
</div>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孝宗]] 穆皇帝<font color="#0054FF" size="2">【德을 베풀고 義를 지키는 것을 穆이라 한다.】</font>는 이름이 [[聃]]이고 字가 [[彭祖]]이니, 康帝康帝의 太子太子이다. 재위가 17년이고 壽가 19세이다.
 +
</div>
 +
</div>
 +
|}</div><div class="clsB">
 +
=====[乙巳]永和元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燕王]][[]]卒하니 [[長樂王]][[盛]]<font color="#0054FF" size="2">【後燕也니 [[寶]]之子라】</font>이 卽皇帝位하다
+
[乙巳]永和元年이라 〈趙建武十一年이라 ○ [[燕王]][[慕容皝]]十二年이라 ○ 舊大國一이요 漢, 涼, 代小國三이요 新小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div>
 
</div>
 
</div>
 
</div>
107번째 줄: 110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燕王]][[慕容寶]]가 죽으니, [[長樂王]][[慕容盛]]<font color="#0054FF" size="2">【[[長樂王]][[慕容盛]]은 後燕이니, [[慕容寶]]의 아들이다.】</font>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
永和 元年(을사 345) - 趙나라 建武 11년이다. ○ [[燕王]][[慕容皝]] 12년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漢‧涼‧代 등 小國이 셋이며 새로운 小國이 하나이니, 모두 僭國이 다섯이다.-
 
</div>
 
</div>
 
</div>
 
</div>
117번째 줄: 119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十一月에 [[魏王]][[]]卽皇帝位하야 改元天興하고 命朝野하야 皆束髮加帽<font color="#0054FF" size="2">【帽는 小兒蠻夷蒙頭衣니 晉書輿服志曰 帽는 猶冠也라하니라】</font>하다
+
[[會稽王]][[]]<font color="#0054FF" size="2">【昱은 音育이라 [[晉元帝]]少子니 是爲[[簡文帝]]라】</font>으로 爲撫軍大將軍撫軍大將軍, 錄尙書事錄尙書事하고 以徐州刺史徐州刺史[[桓溫]]으로 爲安西將軍安西將軍, 荊州刺史荊州刺史하다
 
</div>
 
</div>
 
</div>
 
</div>
126번째 줄: 127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11월에 [[魏王]][[拓跋珪]]가 황제에 즉위하여天興으로 개원하고, 朝野에 명해서 모두 중국식으로 상투를 틀고 모자를 쓰게<font color="#0054FF" size="2">【帽는 오랑캐 어린아이의 蒙頭衣(蒙頭里), ≪晉書≫〈輿服志〉에 이르기를 “帽는 冠과 같다.” 하였다.】</font> 하였다.
+
[[會稽王]] 司馬昱<font color="#0054FF" size="2">【昱은 音이 육()이다. 司馬昱은 晉 元帝의 少子이니, 이가 바로 簡文帝이다.】</font>을 撫軍大將軍‧錄尙書事撫軍大將軍‧錄尙書事로 삼고, 徐州刺史徐州刺史[[桓溫]]을 安西將軍‧荊州刺史安西將軍‧荊州刺史로 삼았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己亥]三年=====
+
=====[丙午]二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138번째 줄: 138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己亥]三年이라 〈燕長樂元이요 秦弘始元이요 魏天興二年이라 ○ [[涼主]][[呂纂]]咸寧元이요 北涼天璽元年이라〉
+
[丙午]二年이라 〈趙建武十二年이요 漢嘉寧元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魏王]][[]]置五經博士五經博士하고 增國子國子太學太學生員하야 合三千人하다
+
[[殷浩]]로 爲揚州刺史揚州刺史하니 [[]]固辭어늘 [[會稽王]][[昱]]이 遺[[浩]]書曰 足下去就 卽時之廢興이니 若深存挹退하야 苟遂本懷면 吾恐天下之事去矣라한대 [[浩]]乃就職하다
 
</div>
 
</div>
 
</div>
 
</div>
152번째 줄: 149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隆安 3년(기해 399) - 燕나라 長樂 元年이고, 秦나라 弘始 元年이고, 魏나라 天興 2년이다. ○ [[涼主]][[呂纂]]의 咸寧 元年이고, 北涼天璽 元年이다.-
+
永和 2년(병오 346) - 趙나라 建武12년이고, 漢나라 嘉寧 元年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魏王]][[拓跋珪]]가 五經博士五經博士를 설치하고國子學國子學과 太學太學의 生員生員을 늘려 모두 3천 명이 되게 하였다.
+
[[殷浩]]를 揚州刺史揚州刺史로 삼으니, [[殷浩]]가 한사코 사양하였는데, [[會稽王]][[司馬昱]]이 [[殷浩]]에게 편지를 보내어 이르기를 “足下의 거취에 바로 時運이 폐하느냐 흥하느냐가 달려 있으니, 만약 겸양하는 마음을 깊이 보존하여 〈세속의 일을 돌아보지 않고〉 다만 본래의 마음을 이루려 한다면 나는 천하의 일이 글러 버릴까 두렵다.” 하자, [[殷浩]]가 마침내 부임하였다.
 
</div>
 
</div>
 
</div>
 
</div>
167번째 줄: 161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南燕王]][[]]이 引師而南하니 北鄙諸郡이 皆降之어늘 遂定都廣固하다
+
五月에 [[西平公]][[張駿]]<font color="#0054FF" size="2">【[[張軌]]及二子[[寔]], [[茂]] 保據河右러니 及[[駿]]勤修庶政하야 民富兵强하니 遠近稱爲賢君이라하다】</font>薨커늘 世子[[重華]] 自稱涼州牧涼州牧, 西平公西平公, 假涼王假涼王이라하다
 
</div>
 
</div>
 
</div>
 
</div>
176번째 줄: 169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南燕王]][[慕容德]]이 군대를 이끌고 남쪽으로 가니, 북쪽 변방의 여러 郡이 모두 항복하였으므로 마침내 廣固에 도읍을 정하였다.
+
5월에 前涼의 [[西平公]][[張駿]]<font color="#0054FF" size="2">【張軌와 두 아들인 張寔‧張茂가 河右(河西)를 점거하였는데, 張駿이 庶政을 부지런히 닦아서 백성들이 풍족하고 군대가 강해지자, 遠近에서 칭송하여 賢君이라 하였다.】</font>薨하자, 世子世子[[張重華]]가 [[涼州牧]]‧[[西平公]]‧[[假涼王]]이라 자칭하였다.
 
</div>
 
</div>
 
</div>
 
</div>
186번째 줄: 178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會稽世子]]<font color="#0054FF" size="2">【會稽王은 道子이니 卽瑯琊王이라】</font>[[元顯]]이 性苛刻하야 生殺任意하니 [[孫恩]]<font color="#0054FF" size="2">【琅琊人이니 世奉五斗米道라 恩叔父泰 有秘術하야 愚者敬之如神하야 皆竭財産하고 進子女하야 以祈福慶이러니 爲會稽王道子所誅한대 恩逃于海하다 衆聞泰死하고 惑之하야 皆謂蟬蛻登仙이라 故로 就海中資給하니 恩聚合亡命하야 志欲復讐하고 因民心騷動하야 遂叛하니라 後爲臨海太守辛景所討하야 窮蹙赴海自沈하니 妖黨謂之水仙이라하야 投水從死者百數러라 五斗米道는 見二十三卷米賊注하니라】</font>이 因民心騷動하야 自海島로 帥其黨하야 殺上虞令上虞令하고 遂攻會稽하다 於是에 會稽及東陽, 新安凡八郡人이 一時起兵하야 殺長吏以應恩하니 旬日之中에 衆이 數十萬이러라 時에 三吳承平<font color="#0054FF" size="2">【承은 一作昇이라】</font>日久하야 民不習戰이라 故로 郡縣兵이 皆望風奔潰라 恩據會稽하야 自稱征東將軍征東將軍하고 表[[會稽王]][[道子]]及世子世子[[元顯]]之罪하야 請誅之하다
+
安西將軍安西將軍[[桓溫]]이 伐漢<font color="#0054FF" size="2">【李氏據蜀稱漢하니라[頭註]戊戌年에 成[[李壽]]弑其君[[期]]하고 自立하야 改國號漢이라하다 [[李壽]]는 [[]][[]]之子也라】</font>할새 拜表卽行<font color="#0054FF" size="2">【謂拜上表하고 而不及聞詔命而輒行也라】</font>하다
 
</div>
 
</div>
 
</div>
 
</div>
195번째 줄: 18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會稽王]]의 世子<font color="#0054FF" size="2">【會稽王은 司馬道子이니, 곧 瑯琊王이다.】</font>인 [[司馬元顯]]이 성품이 까다롭고 각박하여 사람을 살리고 죽이는 것을 마음대로 하니, 孫恩<font color="#0054FF" size="2">【孫恩은 琅琊 사람이니, 대대로 五斗米道를 믿었다. 孫恩의 叔父인 孫泰가 비밀스런 방술이 있어서, 어리석은 자들이 그를 神처럼 공경하여 모두 재산을 탕진하고 자녀를 바쳐 福을 빌었는데, 會稽王 司馬道子에게 죽임을 당하자 孫恩이 海島로 도망하였다. 사람들이 孫泰가 죽었다는 말을 듣고 의혹하여 모두 이르기를 ‘환골탈태하여 신선이 되어 올라갔다.’ 하였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海島에 나아가 物資를 공급하니, 孫恩이 망명한 자들을 모아서 마음속으로 복수하고자 하여 민심이 騷動한 틈을 타서 마침내 배반하였다. 뒤에 臨海太守 辛景에게 토벌당하여 궁지에 몰리자 바다에 뛰어들어 스스로 빠져 죽었는데, 요망한 무리가 水仙(水國의 神仙)이라 이르며 물속에 투신하여 따라 죽은 자가 백 명으로 헤아려졌다. 五斗米道는 23권 米賊 注에 보인다.】</font>이 民心이 소요한 틈을 타서 海島로부터 무리를 거느리고 와서 上虞令上虞令을 죽이고 마침내 會稽를 공격하였다. 이에 會稽와 東陽, 新安 등 모두 여덟 郡의 사람들이 일시에 군대를 일으켜서 수령을 죽이고 [[孫恩]]에게 호응하니, 열흘 만에 무리가 수십만 명에 이르렀다. 이때 三吳 지방은 태평을 누린<font color="#0054FF" size="2">【承은 다른 곳에는 昇으로 되어 있다.】</font> 지가 오래되어 백성들이 전투를 익히지 않았으므로 郡縣의 병력이 모두 소문만 듣고도 달아나 궤멸되었다. [[孫恩]]이 會稽를 점거하여征東將軍征東將軍이라 자칭하고, 表文을 올려 [[會稽王]][[司馬道子]]와 世子世子인 [[司馬元顯]]의 죄를 열거하여 그들을 죽일 것을 청하였다.
+
安西將軍安西將軍[[桓溫]]이 漢나라를 정벌<font color="#0054FF" size="2">【[原註]李氏가 蜀을 점거하고 漢이라고 칭하였다.[頭註]무술년(338)에 成나라 李壽가 그 군주 李期를 죽이고 자신이 왕위에 서서 國號를 成에서 漢으로 고쳤다. 李壽는 李特의 아우인 李驤의 아들이다.】</font>할 때에 表文을 올리고는 즉시 출발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表文을 올리고는 미처 詔命을 듣기도 전에 곧바로 길을 떠남을 이른다.】</font>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丁未]三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自帝卽位以來로 內外乖異하야 石頭以南은 皆爲荊, 江所據<font color="#0054FF" size="2">【荊은 殷仲堪이요 江은 王愉라】</font>하고 以西는 皆豫州所專<font color="#0054FF" size="2">【豫는 庾楷라】</font>이요 京口及江北은 皆[[劉牢之]]<font color="#0054FF" size="2">【彭城人이니 沈毅多計畫이라 爲桓玄參軍하야 領精銳하고 爲前鋒하야 百戰百勝하니 號爲北(部)[府]하고 敵人畏之라 復爲龍驤將軍, 領江州而死하니라】</font>及廣陵相高雅之所制하야 朝政所行은 惟三吳而已러니 及[[孫恩]]作亂에 八郡<font color="#0054FF" size="2">【謂荊, 江, 豫, 京口, 江北及三吳라】</font>이 皆爲恩有하야 畿內諸縣에 盜賊이 處處蜂起<font color="#0054FF" size="2">【言其衆也라】</font>하고 [[恩]]黨이 亦有潛伏在建康者하니 人情危懼하야 常懼竊發이러라 於是에 內外戒嚴하야 加[[道子]]黃鉞하고 [[元顯]]領中軍將軍領中軍將軍하고 命徐州刺史徐州刺史[[謝琰]]하야 兼督吳興義興軍事하야 以討[[恩]]하고 [[劉牢]]之亦發兵討[[恩]]할새 拜表輒行하다 十二月에 [[謝琰]]이 與[[牢之]]로 轉鬪<font color="#0054FF" size="2">【轉相戰鬪也라】</font>而前하니 所向輒克이러라
+
[丁未]三年이라 〈趙建武十三年이라 ○ 是歲에 漢亡하니 大一, 小三이니 凡四僭國이라〉
 
</div>
 
</div>
 
</div>
 
</div>
214번째 줄: 20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황제가 즉위한 이래로 조정과 지방 군벌이 서로 괴리되어서 石頭城 이남은 모두 荊州와 江州의 두 刺史刺史에게 점거당하였고<font color="#0054FF" size="2">【荊州刺史는 殷仲堪이요, 江州刺史는 王愉이다.】</font>石頭城 이서는 모두 豫州의 전유물이 되었으며,<font color="#0054FF" size="2">【豫州刺史는 庾楷이다.】</font>京口와 江北은 모두 劉牢之<font color="#0054FF" size="2">【劉牢之는 彭城 사람이니, 침착하고 굳세며 계책이 많았다. 桓玄의 參軍이 되어 정예병을 거느리고 선봉이 되어 백전백승하니, 이름하기를 北府兵이라 하고 적들이 두려워하였다. 다시 龍驤將軍‧領江州刺史가 되었다가 죽었다.</font>와 廣陵相廣陵相인 [[高雅之]]에게 控制당하여 조정의 정사가 행해지는 곳은 오직 三吳 지방뿐이었다. [[孫恩]]이 난리를 일으켜 여덟 郡<font color="#0054FF" size="2">【여덟 郡은 荊州, 江州, 豫州, 京口, 江北 및 三吳(吳郡, 吳興, 丹陽)를 이른다.】</font>이 모두 [[孫恩]]의 소유가 되자, 畿內畿內의 諸縣에서 도적들이 곳곳마다 봉기<font color="#0054FF" size="2">【蜂起는 많음을 말한 것이다.】</font>하고 [[孫恩]]의 도당 중에 또한 建康에 잠복해 있는 자가 있으므로 人情이 위태롭게 여기고 두려워하여 항상 적이 갑자기 일어날까 두려워하였다. 이에 조정에서 안팎으로 엄밀하게 경계하여 [[司馬道子]]에게 黃鉞을 가하고 [[司馬元顯]]에게 領中軍將軍領中軍將軍을 가하였으며 徐州刺史徐州刺史[[謝琰]]에게 명하여 吳興과 義興郡의 軍事를 겸하여 도독해서 [[孫恩]]을 토벌하게 하였다. [[劉牢之]] 또한 군대를 일으켜 [[孫恩]]을 토벌할 적에 표문을 올리고 즉시 떠났다.
+
永和 3년(정미 347) - 趙나라 建武13년이다. 이해에 漢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하나이고 小國이 셋이니, 僭國이 모두 넷이다.-
 +
</div>
 
</div>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12월에 [[謝琰]]이 [[劉牢之]]와 轉轉하여 싸우면서<font color="#0054FF" size="2">【轉鬪는 轉轉하면서 서로 전투하는 것이다.】</font> 전진하니, 향하는 곳마다 이겼다.
+
二月에 [[]]이 自將步卒하고 直指成都한대 [[漢主]][[勢]]<font color="#0054FF" size="2">【壽長子라】</font> 悉衆出戰이어늘 [[溫]]이 乘勝長驅하야 至成都하야 縱火燒其城門하니 漢人이 惶懼하야 無復鬪志라 勢送降文於[[溫]]하고 尋輿櫬面縛하고 詣軍門이어늘 [[溫]]이 解縛焚櫬하고 送勢及宗室十餘人於建康하고 擧賢旌善하니 蜀人이 悅之러라
 
</div>
 
</div>
 
</div>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2월에 [[桓溫]]이 직접 보병을 거느리고 곧바로 成都로 향하자, [[漢主]][[李勢]]<font color="#0054FF" size="2">【永和 漢主 李勢는 李壽의 長子이다.】</font>가 병력을 총동원하여 나와서 싸웠다. [[桓溫]]이 승승장구하여 成都에 이르러서 불을 놓아 城門을 태우니, 漢나라 사람들이 두려워하여 다시는 싸울 마음이 없었다. [[李勢]]가 항복문을 [[桓溫]]에게 보내고 얼마 뒤에 관을 수레에 싣고 두 손을 등 뒤로 돌려 묶고 얼굴을 사람들에게 보이도록 앞으로 쳐들고 軍門軍門에 나오자, [[桓溫]]이 포박을 풀어 주고 관을 불태웠으며 [[李勢]]와 宗室 10여 명을 建康으로 보내고 어진 사람을 천거하고 선한 사람을 표창하니, 蜀 지방 사람들이 기뻐하였다.
 +
</div>
 +
</div>
 +
|}</div><div class="clsB">
 +
=====[戊申]四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初에 彭城[[劉裕]]<font color="#0054FF" size="2">【宋[[高祖]]라】</font> 勇健有大志라 僅識文字하고 以賣履爲業하고 好樗蒲<font color="#0054FF" size="2">【老子所作이니 令人擲之爲戲라 以五木爲之子하니 有梟盧雉犢塞五者하야 爲勝負之策하니 卽今之骰子라 骰는 音頭니 骰子는 博陸彩具라】</font>하니 爲鄕閭所賤이라 [[劉牢之]][[孫恩]]할새 引[[]]參軍事하고 使將數十人하야 覘賊이러니 遇賊數千人하야 卽迎擊之라가 從者皆死하고 [[]]墜岸下라 賊이 臨岸欲下어늘 [[裕]]奮長刀하야 仰斫殺數人하고 乃得登岸하야 仍大呼逐之하니 賊皆走하고 [[裕]]所殺傷이 甚衆이러라 [[劉敬宣]]<font color="#0054FF" size="2">【牢之之子라】</font>이 怪[[裕]]久不返하야 引兵尋之라가 見[[]]獨驅數千人하고 咸共歎息하야 因進擊賊하야 大破之하고 斬獲千餘人하다
+
[戊申]四年이라 〈趙建武十四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四月에 朝廷이 論平蜀之功하야 乃加[[]]征西大將軍征西大將軍하고 封臨賀郡公臨賀郡公하다 [[]]旣滅蜀에 威名大振하니 朝廷이 憚之러라 [[會稽王]][[]]이 以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有盛名하야 朝野推服이라하야 乃引爲心膂하야 與參綜<font color="#0054FF" size="2">【謂參錯綜核也라】</font>朝權하야 欲以抗溫하니 由是로 與[[]]浸相疑貳러라
 
</div>
 
</div>
 
</div>
 
</div>
238번째 줄: 244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처음에 彭城의 劉裕<font color="#0054FF" size="2">【劉裕는 宋나라 高祖이다.</font>가 용맹하고 굳세며 큰 뜻이 있었다. 겨우 글자를 알고 짚신을 파는 것을 生業으로 삼으며 樗蒲(쌍륙과 골패 놀이)<font color="#0054FF" size="2">【老子가 만든 것이니, 사람으로 하여금 이것을 던지게 하여 놀이를 하는 것이다. 五木으로 子를 삼는데, 梟‧盧‧雉‧犢‧塞의 다섯 가지가 있어 勝負의 策으로 삼으니 바로 지금의 骰子(주사위)이다. 骰는 音이 두(투)이니, 骰子는 博陸(쌍륙)할 때 사용하는 彩具이다.】</font>를 좋아하니, 鄕閭에서 천대를 받았다. [[劉牢之]][[孫恩]]을 공격할 적에 [[劉裕]]를 임용하여 參軍事參軍事로 삼아, 수십 명을 거느리고 가서 적을 엿보게 하였는데 수천 명의 적을 만나 즉시 요격하였다가 수행했던 자는 모두 죽고 [[劉裕]]는 언덕 아래로 떨어졌다. 적이 언덕에서 굽어보고 내려오려 하자, [[劉裕]]가 긴 칼을 휘둘러 몇 사람을 올려다보면서 찔러 죽이고 마침내 언덕으로 올라가서 크게 고함치면서 그들을 쫓아가니 적이 모두 도망하였으며, [[劉裕]]에게 살상 당한 자가 매우 많았다. 劉敬宣<font color="#0054FF" size="2">【劉敬宣은 劉牢之의 아들이다.】</font>[[劉裕]]가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는 것을 괴이하게 여겨 군대를 이끌고 찾아 나섰다가 [[劉裕]]가 홀로 수천 명을 쫓고 있는 것을 보고는 모두 함께 감탄하고 인하여 적진을 향해 진격해서 크게 격파하고 목을 베고 사로잡은 것이 천여 명이었다.
+
永和 4년(무신 348) - 趙나라 建武14년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4월에 조정에서 蜀의 漢나라를 평정한 공을 논하여 마침내 [[桓溫]]에게 征西大將軍征西大將軍을 가하고[[臨賀郡公]]에 봉하였다. [[桓溫]]이 蜀을 멸망시킨 뒤로 위엄과 명망이 크게 떨쳐지니, 조정이 두려워하였다. [[會稽王]][[司馬昱]]이 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가 훌륭한 명성이 있어 朝野가 추대하고 복종한다 하여, 마침내 그를 나오게 하여 심복으로 삼아서 함께 조정의 권력에 참여하고 총괄<font color="#0054FF" size="2">【參綜은 參錯하고 綜核(政事에 하나하나 참여하여 자세하게 밝힘)함을 이른다.】</font>하게 함으로써 [[桓溫]]에게 대항하고자 하니, 이로 말미암아 [[桓溫]]과 점점 서로 의심하게 되었다.
 
</div>
 
</div>
 
</div>
 
</div>
248번째 줄: 25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初에 [[]]聞八郡響應하고 謂其屬曰 天下無復事矣라 當與諸君으로 朝服至建康이라하더니 旣而오 聞[[牢之]]引兵濟江하고 [[]]驅男女二十餘萬口하야 復逃入海島하다
+
十一月에 [[燕王]][[]]이 卒하고 世子[[]]이 卽位하다
 
</div>
 
</div>
 
</div>
 
</div>
257번째 줄: 264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처음에 [[孫恩]]이 여덟 郡이 호응한다는 말을 듣고 부하들에게 이르기를 “천하에 다시는 아무 일도 없을 것이다. 내 그대들과 朝服을 입고 建康에 이르러 帝位에 오르겠다.” 하였는데, 얼마 뒤에 [[劉牢之]]가 군대를 이끌고 [[浙江]]을 건너왔다는 말을 듣고는 [[孫恩]]이 남녀 백성 20여만 명을 몰고 다시 海島로 도망하여 들어갔다.
+
11월에 [[燕王]][[慕容皝]]이 죽고, 世子世子[[慕容雋]]이 즉위하였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己酉]五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殷仲堪]]<font color="#0054FF" size="2">【時爲荊州剌史하니라】</font>이 [[桓玄]]跋扈<font color="#0054FF" size="2">【見十九卷丙戌年注라】</font>하야 乃與[[楊佺期]]<font color="#0054FF" size="2">【雍州刺史라】</font>로 結婚爲援이어늘 [[]]이 引兵擊殺之하다 [[]]이 旣克荊, 雍하고 表求領荊, 江二州하니 朝廷이 不能違러라
+
[己酉]五年이라 〈趙太寧元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正月에 [[趙王]][[虎]]卽皇帝位<font color="#0054FF" size="2">【虎荒耽酒色하고 喜怒無常이라 窮奢極侈하야 聚斂無極하고 悉發前代陵墓하야 取其金寶라 作大武宮於襄國하고 東西宮於鄴都할새 皆甃以文石하고 以漆灌瓦하며 金(鐺)[璫]銀楹하고 珠簾玉壁하야 窮極工巧라 選士民之女하야 服珠玉하고 被綺縠이 萬餘人이요 以女騎千人으로 爲鹵簿하야 皆著紫綸巾, 熟錦袴하고 執羽鳴鼓吹以游宴이라 投石於河하야 以作飛橋하니 功費數千萬億이요 又作臺觀四十餘所하고 又營長安, 洛陽(一)[二]宮하니 作者四十餘萬人이라 又發男女十六萬하야 築華林苑及長墻于鄴北할새 燃燭夜作하니 死者太半이라 濟南平陵城北에 石虎一夕에 自移城東南하니 狼狐千餘隨之成蹊어늘 虎喜曰 石虎者는 朕也니 天欲使朕平蕩江南也라하고 於是에 制征士五人에 出車一乘, 牛二頭, 米十斛, 絹十匹호되 不辦者斬하니 民鬻子以供이로되 猶不能給하야 自經於道者相望이라 命太子遊獵하니 太子宣이 乘大輅하고 羽葆華蓋하고 建天子旌旗하고 戍卒十八萬이라 虎望之하고 笑曰 我家父子如是하니 自非天崩地陷이면 復何愁리오하다 復命秦公韜繼遊한대 亦如是하니 宣이 怒其與己敵하야 使刺客殺韜하고 又謀不軌라가 事覺伏誅하다】</font>라가 旣而病卒하니 太子世卽位하다 彭城[[王遵]]廢世爲[[譙王]]이라가 尋殺之하고 遵卽位<font color="#0054FF" size="2">【虎之子也라 遵이 與丞相燕王斌과 大將軍張豺로 竝受遺詔輔政이러니 劉后恐斌不利於太子하야 矯詔免歸第한대 張豺矯詔殺斌하다 虎卒에 世卽位하고 劉氏臨朝한대 征虜將軍石閔이 說遵曰 殿下長且賢하시니 先帝亦意以爲嗣러니 末年에 爲張豺所誤라 今若聲豺之惡하야 鼓而討之면 其誰不從이리오 遵從之하야 遂趣鄴하니 耆舊士民이 皆迎之하다 豺惶怖하야 亦出迎이어늘 遵命執豺하야 斬于市하다 假劉氏令하야 以遵嗣位하니 封世爲譙王하고 廢劉氏라가 皆殺之하다 於是에 鄴中暴風拔樹하고 震雷雨雹하야 大如盂斗요 太武暉華殿災하고 及諸門觀閣이 蕩然無餘하고 金石皆盡이라 火月餘乃滅하니라】</font>하야 以[[武興公]][[]]<font color="#0054FF" size="2">【虎之養子라】</font>으로 爲都督中外諸軍事하다 [[閔]]言於[[]]曰 [[蒲洪]]<font color="#0054FF" size="2">【苻堅之祖니 略陽臨渭氐人이라】</font>은 人傑也라 今以洪鎭關中이면 臣恐秦, 雍之地가 非復國家之有라한대 遵從之하야 罷[[洪都督]]하니 [[]]이 怒하야 歸枋頭<font color="#0054FF" size="2">【曹操於淇水(江)[口]에 下大枋木以成堰하야 遏其水하야 東入白溝하야 以通漕運하고 因號其處曰枋頭라하니라】</font>하야 遣使來降<font color="#0054FF" size="2">【秦雍流民이 立洪爲主라】</font>하다
 
</div>
 
</div>
 
</div>
 
</div>
276번째 줄: 28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殷仲堪<font color="#0054FF" size="2">【殷仲堪이 이때 荊州剌史로 있었다.】</font>[[桓玄]]이 跋扈<font color="#0054FF" size="2">【跋扈는 19권 丙戌年(146) 注에 보인다.】</font>할까 염려하여 마침내 楊佺期<font color="#0054FF" size="2">【楊佺期는 雍州刺史로 있었다.】</font>와 혼인을 맺어 서로 원조하게 하였는데, [[桓玄]]이 군대를 이끌고 가서 [[殷仲堪]][[楊佺期]]를 공격하여죽였다. [[桓玄]]이 이미 荊州와 雍州를 점령하고 表文을 올려 荊州와 江州 두 州를 거느릴 것을 청하니, 朝廷에서 어기지 못하였다.
+
永和 5년(기유 349) - 趙나라 太寧 元年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정월에 [[趙王]][[石虎]]가 황제에 즉위하였다가<font color="#0054FF" size="2">【石虎는 酒色에 빠지고 기뻐하고 노여워함이 일정함이 없었다. 극도로 사치하여 세금을 거둠이 끝이 없었으며, 前代 帝王의 陵墓를 모두 발굴하여 금은보화를 취하였다. 襄國에 太武宮을 짓고 鄴都에 東宮과 西宮을 지을 적에 모두 무늬 있는 돌로 섬돌을 만들고 기와 틈에 옻칠을 부었으며, 金으로 서까래를 만들고 銀으로 기둥을 장식하며, 진주 주렴에 玉으로 벽을 만들어서 공교함을 지극히 하였다. 士民의 딸을 뽑아 珠玉으로 꾸미고 얇은 비단옷을 입힌 것이 만여 명이요, 여자 騎兵 천 명을 鹵簿(儀仗隊)로 삼았는데, 모두 자주색 綸巾을 씌우고 精製한 비단으로 만든 바지를 입힌 다음, 깃털로 장식한 깃발을 잡고 북을 울리고 나팔을 불며 뒤따르게 하여 놀고 잔치하였다. 돌을 黃河에 쏟아 부어서 飛橋를 만드니, 공력과 비용이 수천만억이었다. 또 樓觀을 40여 곳에 만들고 長安과 洛陽에 두 궁궐을 만드니 일하는 자가 40여만 명이었다. 또 남녀 16만 명을 징발하여 華林苑과 長墻을 鄴都 북쪽에 쌓을 적에 횃불을 밝히고 밤에도 일하니, 죽은 자가 태반이었다. 濟南의 平陵城 북쪽에 돌로 만든 호랑이[石虎]가 하룻밤 사이에 저절로 城의 동남쪽으로 옮겨 가니, 이리와 여우 천여 마리가 뒤를 따라가서 길이 이루어지자, 石虎가 기뻐하며 말하기를 “돌로 만든 호랑이는 바로 朕이다. 하늘이 아마도 나로 하여금 江南 지방을 평정하게 하려는가 보다.” 하였다. 이에 명을 내려 출정하는 군사 5명마다 兵車 1대와 소 2頭, 쌀 10斛, 비단 10필을 내게 하되 마련하지 못하는 자는 목을 베니, 백성들이 자식을 팔아 비용을 대었으나 오히려 충분하지 못하여 길에서 스스로 목을 매어 죽는 자가 서로 이어졌다. 太子에게 명하여 나가서 사냥하게 하니, 太子 石宣이 황제가 타는 大輅를 타고 華蓋를 새의 깃털로 장식하며 天子의 깃발을 꽂았으며, 병졸이 18만 명이었다. 石虎가 이것을 바라보고 웃으며 말하기를 “우리 집 父子가 이와 같으니, 만일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지 않는다면 다시 무엇을 근심하겠는가.” 하였다. 다시 秦公 石韜에게 명하여 자신이 놀러 나갈 때 뒤를 따르도록 하였는데 그가 또한 이와 똑같이 하니, 石宣은 그가 자신과 대등하게 맞선 것에 노하여 자객을 시켜 石韜를 죽이고 또 반역을 도모하다가 일이 발각되어 죽었다.】</font> 얼마 후 병들어죽으니, 太子太子[[石世]]가 즉위하였다. [[彭城王]][[石遵]]이 [[石世]]를 폐위하여[[譙王]]으로 삼았다가 얼마 뒤 시해하고 자신이 즉위하여<font color="#0054FF" size="2">【石遵은 石虎의 아들이다. 石遵이 丞相인 燕王 石斌, 大將軍 張豺와 함께 石虎의 遺詔를 받아 정사를 보필하였는데, 劉后는 石斌이 정사를 보필하면 太子에게 불리할까 염려해서 조서를 위조하여 면직하고 집으로 돌아가게 하니, 張豺가 조서를 위조하여 石斌을 죽였다. 石虎가 죽자 石世가 즉위하고 劉氏가 조정에 임어하였는데, 征虜將軍 石閔이 石遵을 설득하기를 “전하가 나이가 많고 또 어지시니, 先帝께서 또한 意中에 후사를 삼으려 하였는데, 말년에 張豺 때문에 잘못되었습니다. 이제 만약 張豺의 惡行을 성토하여 북을 울리고 진군하여 토벌한다면 그 누가 따르지 않겠습니까.” 하였다. 石遵이 그의 말을 따라 마침내 鄴都로 달려가니, 耆老들과 士民들이 모두 환영하였다. 張豺가 두려워하여 또한 나와서 맞이하자, 石遵이 명하여 張豺를 잡아서 시장에서 목 베게 하였다. 劉氏의 명령을 가탁하여 石遵으로 황제의 지위를 잇게 하니, 石遵이 石世를 봉하여 譙王을 삼고 劉氏를 폐위하였다가 모두 죽였다. 이때 鄴中에 폭풍이 불어 나무가 뽑히고 천둥 벼락이 치며 크기가 사발과 말[斗]만한 우박이 내렸다. 太武暉華殿에 불이 나고 여러 문과 觀閣이 다 불타 버려 남은 것이 없었으며 금은보화도 모두 없어졌다. 화재가 한 달이 넘어서야 비로소 꺼졌다.】</font>[[武興公]] 石閔<font color="#0054FF" size="2">【武興公 石閔은 石虎의 養子이다.】</font>을 都督中外諸軍事都督中外諸軍事로 삼았다. [[石閔]]이 [[石遵]]에게 말하기를 “蒲洪(前秦을 세움)<font color="#0054FF" size="2">【蒲洪은 苻堅의 조부이니, 略陽郡 臨渭縣 사람으로 氐族이다.】</font>은 인걸입니다. 이제 [[蒲洪]]으로 하여금 關中을 鎭撫鎭撫하게 하면 신은 秦州와 雍州 지역이 다시는 우리나라의 소유가 못 될까 두렵습니다.” 하자, [[石遵]]이 그의 말을 따라 [[蒲洪]]을 都督都督에서 파면하였다. [[蒲洪]]이 노하여 枋頭로 돌아가<font color="#0054FF" size="2">【曹操가 淇水 어귀에서 큰 통나무를 내려 보내어 제방을 만들어 물길을 막아서 동쪽으로 白溝로 들어가게 하여 漕運을 통하게 하고 인하여 그곳을 이름하기를 枋頭라고 하였다.】</font>使者使者를 보내어 晉나라에 와서 항복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秦州와 雍州 지역의 流民들이 蒲洪을 세워 군주로 삼았다.】</font>
 
</div>
 
</div>
 
</div>
 
</div>
286번째 줄: 298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涼王]][[]]이 卒하고 [[太子]][[紹]]卽位하니 [[太原公]][[纂]]<font color="#0054FF" size="2">【纂이 嗜酒好獵이어늘 隆安五年에 呂超殺之하고 而立呂隆이러니 安帝元興二年에 降于秦하야 涼遂滅하니라[頭註]太原公纂은 紹之庶兄이라】</font>이 殺之하고 而卽天王位하다
+
六月에 [[桓溫]]이 聞趙亂하고 出屯安陸하고 遣諸將하야 經營北方할새 趙揚州刺史揚州刺史[[王浹]]이 擧壽春降이어늘 征北大將軍褚裒 上表請伐趙하고 卽日戒嚴하야 直指泗口하다 徑赴彭城하니 北方士民降附者 日以千計러라 朝野皆以爲中原을 指期可復이라호되 蔡謨獨謂所親曰 胡滅이 誠爲大慶이나 然恐更貽朝廷之憂로라 其人曰 何謂也오 謨曰 夫能順天乘時하야 濟群生於艱難者는 非上聖與英雄이면 不能爲也니 自餘則莫若度德量力이라 觀今日之事컨대 殆非時賢所及이라 必將經營分表<font color="#0054FF" size="2">【分은 劑요 表는 外라[頭註]分은 量也요 表는 外也니 言經營過於分量之外라】</font>하야 疲民以逞하리니 旣而材略疎短하야 不能副心하고 財殫力竭하야 智勇俱困이면 安得不憂及朝廷乎아 魯郡民五百餘家 相與起兵附晉하고 求援於褚裒라 裒遣(步)[部]將王龕, 李邁하야 將銳卒三千迎之하니 趙李農이 帥騎二萬하고 與龕等으로 戰於代陂러니 龕等이 大敗하야 皆沒於趙하다 八月에 裒退屯廣陵이러니 詔命裒하야 還鎭京口하다 時에 河北大亂하야 遺民二十餘萬口가 渡河〈欲〉來歸러니 會에 裒已還하니 威勢不接하야 不能自拔하고 死亡略盡하니라
 
</div>
 
</div>
 
</div>
 
</div>
295번째 줄: 30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涼王]][[呂光]]이 죽고太子太子[[呂紹]]가 즉위하니, [[太原公]] 呂纂<font color="#0054FF" size="2">【[原註]呂纂이 술을 좋아하고 사냥을 좋아하자, 隆安 5년(401)에 從弟 呂超가 그를 죽이고 呂隆을 세웠는데, 安帝 元興 2년(403)에 秦나라 姚興에게 항복함으로써 涼나라가 마침내 멸망하였다.[頭註]太原公 呂纂은 呂紹의 庶兄이다.】</font>이 그를 죽이고天王天王에 즉위하였다.
+
6월에 [[桓溫]]이 趙나라가 혼란하다는 말을 듣고 나가서 安陸에 주둔하고 諸將을 보내어 北方을 경영하였다. 이때 趙나라 揚州刺史揚州刺史[[王浹]]이 壽春을 가지고 항복하자, 征北大將軍征北大將軍[[褚裒]]가 表文을 올려 趙나라를 칠 것을 청하고 그날로 삼엄하게 경계하여 곧바로 泗口로 향하였다. 지름길을 따라 彭城으로 달려가니, 北方의 士民 중에 항복하고 따르는 자가 하루에 천 명으로 헤아려졌다. 朝野에서 모두 머지않아 中原을 회복할 수 있다고 말하였으나 [[蔡謨]]만은 홀로 친한 사람에게 이르기를 “오랑캐가 멸망하는 것은 진실로 크게 경하할 일이나 다시 조정에 근심을 끼칠까 두렵노라.” 하였다. 그 사람이 말하기를 “무슨 말인가?” 하니, [[蔡謨]]가 말하기를 “하늘에 순응하고 기회를 타서 生民들을 어려움에서 구제하는 것은 至聖과 英雄豪傑이 아니면 하지 못하니, 그 밖의 사람은 德을 헤아리고 힘을 헤아리는 것만 못하다. 일을 살펴보건대 자못 지금의 현자들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틀림없이 제 분수 이상으로<font color="#0054FF" size="2">【[釋義]分은 劑(분량), 表는 벗어남이다.[頭註]分은 분량이고 表는 벗어남이니, 經營함이 分量의 밖에 넘침을 이른다.】</font> 경영해서 백성들을 피곤하게 하여 욕심을 부릴 것이니, 이윽고 재주와 지략이 엉성하고 부족하여 마음에 부응하지 못하고 재물이 다하고 힘이 고갈되어 지혜와 용맹이 모두 궁해지면 어찌 우환이 조정에 미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魯郡의 백성 5백여 가호가 서로 군대를 일으켜 晉나라에 붙고 [[褚裒]]에게 구원을 청하였다. [[褚裒]]가 部將部將[[王龕]]과 [[李邁]]를 보내어 정예병 3천 명을 거느리고 맞이하게 하니, 趙나라 [[李農]]騎兵 2만 명을 거느리고 [[王龕]] 등과 代陂에서 싸웠는데, [[王龕]] 등이 대패하여 모두 趙나라에서 죽었다. 8월에 [[褚裒]]가 후퇴하여 廣陵에 주둔하였는데, 조서를 내려 [[褚裒]]에게 명해서 돌아와 京口에 鎭駐하게 하였다. 이때 河北 지방이 크게 혼란하여 遺民 20여만 명이 黃河를 건너와 歸附하고자 하였는데, 마침 [[褚裒]]가 돌아오자 위엄과 기세가 이어지지 못해서 遺民들이 스스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거의 다 죽었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
|}
=====[庚子]四年=====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庚子]四年이라 〈燕長樂二요 秦弘始二요 魏天興三年이라 南燕建平元이요 [[南涼王]][[禿髮利鹿孤]]建和元年이요 [[西涼公]][[李暠]]庚子元年이라 ○ 是歲에 西秦降秦하니 舊大國三이요 小國四요 新小國一이니 凡八僭國이라〉
+
十一月에 趙武興公閔이 執趙主遵하야 殺之하다
 
</div>
 
</div>
 
</div>
 
</div>
316번째 줄: 32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隆安 4년(경자 400) - 燕나라 長樂 2년이고, 秦나라 弘始 2년이고, 魏나라 天興 3년이다. 南燕建平 元年이고, [[南涼王]][[禿髮利鹿孤]]의 建和 元年이고, [[西涼公]][[李暠]]의 庚子 元年이다. ○ 이해에 西秦이 秦나라에 항복하였다. 예전에 있던 大國이 셋이고 小國이 넷이고 새로운 小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여덟이다.-
+
11월에 趙나라 [[武興公]][[石閔]][[趙主]][[石遵]]을 잡아서죽였다.
 
</div>
 
</div>
 
</div>
 
</div>
326번째 줄: 33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南燕王]][[]]이 卽皇帝位于廣固하고 更名[[備德]]하다
+
○ 秦, 雍流民이 相率西歸<font color="#0054FF" size="2">【秦, 雍流民은 卽石虎所從者니 今因趙亂故로 西歸라】</font>할새 路由枋頭하야 共推[[蒲洪]]爲主하니 衆이 十餘萬이라 洪子[[]]이 在鄴斬關하고 出奔枋頭하다
 
</div>
 
</div>
 
</div>
 
</div>
335번째 줄: 343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南燕王]][[慕容德]]이 廣固에서 황제에 즉위하고, 이름을 [[慕容備德]]으로 고쳤다.
+
○ 秦州와 雍州 지역의 流民들이 서로 이끌고 서쪽으로 돌아갈 적에<font color="#0054FF" size="2">【秦州와 雍州 지역의 流民들은 곧 石虎를 따르던 자들이니, 지금 趙나라가 어지럽기 때문에 서쪽으로 돌아간 것이다.】</font> 길이 枋頭를 경유하므로 함께 [[蒲洪]]을 추대하여 군주로 삼으니, 무리가 10여만 명이었다. [[蒲洪]]의 아들[[蒲健]]이 鄴에 있다가 관문을 지키는 장수를 베고 나와 枋頭로 달아났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辛丑]五年=====
+
=====[庚戌]六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347번째 줄: 354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辛丑]五年이라 〈[[燕主]][[慕容熙]]光始元이요 秦弘始三이요 魏天興四年이라 ○ [[涼王]][[呂隆]]神鼎元이요 [[北涼王]][[沮渠蒙遜]]永安元年이라〉
+
[庚戌]六年이라 〈趙主石祗永寧元年이라 ○ 魏主冉閔永興元年이라 舊大國一이요 涼, 代, 燕小國三이요 新大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正月에 趙大將軍大將軍[[]]이 卽皇帝位하고 改國號魏라하고 復姓冉氏<font color="#0054FF" size="2">【閔은 本姓冉氏이니 魏郡內黃人이라 石勒이 獲之하고 命石虎하야 養以爲子라】</font><font color="#0054FF" size="2">【八年에 爲燕所滅하니라】</font>하다
 
</div>
 
</div>
 
</div>
 
</div>
356번째 줄: 36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隆安 5년(신축 401) - [[燕主]][[慕容熙]]의 光始 元年이고, 秦나라 弘始 3년이고, 魏나라 天興 4년이다. ○ [[涼王]][[呂隆]]의 神鼎 元年이고, [[北涼王]][[沮渠蒙遜]]의 永安 元年이다.-
+
永和 6년(경술 350) - [[趙主]][[石祗]]의 永寧 元年이다. ○ [[魏主]][[冉閔]]의 永興 元年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涼‧代‧燕 등 小國이 셋이며 새로운 大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다섯이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정월에 趙나라 大將軍大將軍[[石閔]]이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魏라고 고치고 冉氏姓을 회복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石閔은 본래 姓이 冉氏이니, 魏郡 內黃 사람이다. 石勒이 〈石閔의 아버지 石瞻을〉 사로잡고 石虎에게 명하여 石閔을 길러서 養子로 삼게 하였다.】</font><font color="#0054FF" size="2">【魏나라는 永和 8년(352)에 燕나라에게 멸망당하였다.】</font>
 
</div>
 
</div>
 
</div>
 
</div>
366번째 줄: 377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武威王]][[利鹿孤]]<font color="#0054FF" size="2">【以元興元年卒하니 弟傉檀立하야 自稱南涼王하니라[附註]禿髮氏也니 鮮卑別種으로 與拓跋同祖라 晉志에 河西鮮卑人也라 七祖壽闐在孕할새 母因寢而産於被中하니 鮮卑謂被爲禿髮일새 因而氏焉이라 至孫樹機〈能〉하야 據有涼州之地하고 至烏孤嗣位러니 呂光이 署爲冠軍大將軍하다 丁酉年에 自稱西平王이러니 烏孤死에 弟利鹿孤立하니라】</font> [[河西王]]하다 北涼[[沮渠蒙遜]]<font color="#0054FF" size="2">【沮渠는 官名이라 其先世爲匈奴左沮渠일새 蒙遜以官爲氏라】</font>이 殺[[涼王業]]<font color="#0054FF" size="2">【建康太守段業也라 丁酉年叛하야 自稱涼州牧, 建康公하다 蒙遜이 以衆歸之하고 己亥年에 自稱涼王이러니 至是에 蒙遜殺之하니라】</font>하고 自稱涼州牧涼州牧하다
+
[[姚弋仲]]<font color="#0054FF" size="2">【石虎時에 累遷하야 至冠軍大將軍이라】</font>, 蒲洪이 各有據關右之志라 弋仲이 遣其子襄하야 帥衆五萬擊洪이어늘 洪이 迎擊破之하다 洪이 自稱大都督, 三秦王이라하고 改姓[[苻氏]]<font color="#0054FF" size="2">【晉載記曰 其家池中蒲生하니 長五丈五요 節如竹形이라 時咸謂之蒲家라하니 因爲氏焉하다 又隴右大雨어늘 謠曰 雨若不止면 洪水必起라하니 因名曰洪이라 後以讖文에 有艸付應王하고 又以孫堅背有艸付字라하야 遂改姓苻하니라】</font>하다
 
</div>
 
</div>
 
</div>
 
</div>
375번째 줄: 38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武威王]] 禿髮利鹿孤<font color="#0054FF" size="2">【[原註]禿髮利鹿孤가 元興 元年(402)에 죽자 아우 禿髮傉檀이 즉위하여 스스로 南涼王이라 칭하였다.[附註]利鹿孤는 禿髮氏이니 鮮卑族의 別種으로 拓跋氏와 조상이 같다. ≪晉書≫ 〈載記〉에 “禿髮利鹿孤는 河西 鮮卑族 사람이다. 7세조 壽闐이 胎中에 있을 때에 어머니가 잠을 자다가 이불 속에서 그를 낳으니, 鮮卑族은 이불을 禿髮이라 하기 때문에 인하여 姓氏로 삼았다. 손자인 禿髮樹機能에 이르러 涼州 지역을 점령하였고 禿髮烏孤가 뒤를 이었는데, 呂光이 임명하여 冠軍大將軍으로 삼았다. 정유년(397)에 西平王이라 자칭하였는데, 禿髮烏孤가 죽자 아우 禿髮利鹿孤가 즉위했다.” 하였다.】</font>[[河西王]]을 칭하였다. 北涼의 沮渠蒙遜<font color="#0054FF" size="2">【沮渠는 官名이다. 그 선조가 匈奴의 左沮渠였으므로 蒙遜이 관명으로써 姓氏를 삼은 것이다.】</font>이 [[涼王]] 段業<font color="#0054FF" size="2">【涼王 業은 建康太守 段業이다. 정유년(397)에 배반하여 스스로 涼州牧‧建康公이라 칭하였다. 沮渠蒙遜이 무리를 이끌고 귀부하였고, 기해년(399)에 스스로 涼王이라 칭하였는데, 이때(401)에 沮渠蒙遜이 그를 죽인 것이다.】</font>을 죽이고 스스로 涼州牧涼州牧이라 칭하였다.
+
○ 姚弋仲<font color="#0054FF" size="2">【姚弋仲은 石虎 때에 여러 번 승진하여 冠軍大將軍에 이르렀다.】</font>[[蒲洪]]이 각각 關西 지방을 점령할 뜻이 있었다. [[姚弋仲]]이 아들[[姚襄]]을 보내어 5만 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蒲洪]]을 공격하자, [[蒲洪]]이 맞아 싸워 격파하였다. [[蒲洪]]大都督大都督‧三秦王三秦王이라 자칭하고 姓을 [[苻氏]]로 고쳤다.<font color="#0054FF" size="2">【≪晉書≫ 〈苻洪載記〉에 이르기를 “집의 연못에서 부들[蒲]이 자랐는데 길이가 5丈 5尺이며 마디가 대나무 모양과 같으니 당시에 모두 蒲家라고 일렀으므로 인하여 姓氏로 삼았다.” 하였다. 또 隴右에 큰비가 내렸는데, 동요에 이르기를 “비가 만약 그치지 않으면 홍수가 반드시 일어난다.” 하니 인하여 이름을 洪이라 하였다. 뒤에 圖讖書에 “艸付가 응당 왕 노릇 할 것이다.” 하였고, 또 손자인 苻堅의 등에 艸付라는 글자가 있다 하여 마침내 성을 苻氏로 고쳤다.】</font>
 
</div>
 
</div>
 
</div>
 
</div>
385번째 줄: 394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燕主]][[]]이 卒하고 [[熙]]<font color="#0054FF" size="2">【垂之少子라】</font>卽位하다
+
三月에 [[]]이 卒하니 世子[[]]이 代領其衆하다
 
</div>
 
</div>
 
</div>
 
</div>
394번째 줄: 402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燕主]][[慕容盛]]이 죽고 慕容熙<font color="#0054FF" size="2">【慕容熙는 慕容垂의 작은 아들이다.】</font>가 즉위하였다.
+
3월에 [[蒲洪]]이 죽으니, 世子世子[[苻健]]이 대신 그 무리를 거느렸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
|}
=====[壬寅]元興元年=====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壬寅]元興元年이라 〈燕光始二요 秦弘始四요 魏天興五年이라 ○ [[南涼王]][[禿髮傉檀]]弘昌元年이라〉
+
十一月에 [[苻健]]이 入長安하야 以民心思晉이라하야 乃遣使詣建康하야 獻捷하고 幷修好於[[桓溫]]하니 於是에 秦, 雍夷, 夏 皆附之러라
 
</div>
 
</div>
 
</div>
 
</div>
415번째 줄: 419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元興 元年(임인 402) - 燕나라 光始 2년이고, 秦나라 弘始 4년이고, 魏나라 天興 5년이다. ○ [[南涼王]][[禿髮傉檀]]의 弘昌 元年이다.-
+
11월에 [[苻健]]이 長安에 들어와서 民心이 晉나라를 생각한다 하여 마침내 使者使者를 보내어 建康에 와서 포로와 전리품을 바치고 아울러 [[桓溫]]과 우호 관계를 맺으니, 이에 秦州와 雍州 지역의 오랑캐와 漢族들이 모두 따랐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辛亥]七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以尙書令尙書令[[元顯]]으로 爲驃騎大將軍驃騎大將軍하야 討[[桓玄]]할새 以[[劉牢之]]로 爲前鋒前鋒하고 [[譙王]][[尙之]]로 爲後部後部하다 [[玄]]이 大驚하야 欲完聚保江陵이어늘 長史長史[[卞範之]]曰 明公은 英威振於遠近하고 [[元顯]]은 口尙乳臭요 [[劉牢之]]는 大失物情하니 若兵臨近畿하야 示以禍福이면 土崩之勢를 可翹足<font color="#0054FF" size="2">【翹는 企也라】</font>而待하리니 何有延敵入境하야 自取窮蹙者乎잇가 [[玄]]이 從之하다 [[玄]]至新亭<font color="#0054FF" size="2">【在江寧縣南十里하니 俯近江渚라 周顗嘗與群公으로 遊宴于此하니라】</font>하니 [[元顯]]이 引兵欲還宮이어늘 [[玄]]이 遣人拔刀하야 隨後大呼曰 放仗<font color="#0054FF" size="2">【放仗은 謂呼令放棄兵仗也라】</font>하라하니 軍人이 皆崩潰러라 [[玄]]이 入京하야 摠百揆<font color="#0054FF" size="2">【書云納于百揆라한대 蔡氏傳曰 揆는 度也니 百揆는 揆度庶政之官이라 惟唐, 虞有之하니 猶周之冢宰也라】</font>하고 斬[[元顯]]及[[東海王]][[彦璋]], [[譙王]][[尙之]]等於建康市하니 [[劉牢之]]는 北走至新州하야 縊而死하고 [[道子]]等도 皆死하다 自隆安<font color="#0054FF" size="2">【帝之初年號라】</font>以來로 中外之人이 厭於禍亂이라 及[[玄]]初至하야 黜奸佞하고 擢雋(俊)賢하니 京師欣然하야 冀得少安이러니 旣而오 [[]]이 奢豪縱逸하야 政令이 無常하고 朋黨이 互起하야 陵侮朝廷하고 裁損乘輿供奉之具하니 帝幾不免飢寒이라 由是로 衆心이 失望이러라
+
[辛亥]七年이라 〈趙永寧二요 魏永興二年이라 ○ 秦主苻健皇始元年이라 ○是歲에 趙亡하니 舊大國一이요 涼, 代, 燕小國三이요 新大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正月에 [[苻健]]이 卽天王位하야 國號를 大秦이라하고 凡趙之苛政不便於民者를 皆除之하다
 
</div>
 
</div>
 
</div>
 
</div>
434번째 줄: 441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尙書令尙書令[[司馬元顯]]을 驃騎大將軍驃騎大將軍으로 삼아 [[桓玄]]을 토벌할 때에 [[劉牢之]]를 前鋒都督前鋒都督으로 삼고 [[譙王]][[司馬尙之]]를 後部都督後部都督으로 삼았다. [[桓玄]]이 크게 놀라서 성곽을 수리하고 식량을 모아 江陵을 지키고자 하였는데, 長史長史[[卞範之]]가 말하기를 “明公께서는 용맹과 위엄이 원근에 떨쳐졌는데, [[司馬元顯]]은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나고 [[劉牢之]]는 민심을 크게 잃었으니, 만일 우리 군대가 近畿에 가서 禍福의 道理를 보여 준다면 흙이 무너지는 듯한 형세를 발돋움하고<font color="#0054FF" size="2">【翹는 발돋움하고 바라는 것이다.】</font> 기다릴 수 있을 것입니다. 어찌 적을 맞아들여 경내로 들어오게 해서 스스로 곤궁하고 위축됨을 취한단 말입니까?” 하니, [[桓玄]]이 그의 말을 따랐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桓玄]]이 新亭<font color="#0054FF" size="2">【新亭은 江寧縣 남쪽 10리 되는 곳에 있으니, 강가 부근이다. 周顗가 일찍이 여러 공들과 여기에서 놀고 잔치하였다.】</font>에 이르니, [[司馬元顯]]이 군대를 이끌고 궁궐로 돌아가고자 하였다. [[桓玄]]이 사람을 보내 칼을 뽑아 들고 뒤를 따라가며 크게 고함치기를 “병장기를 버리라.” 하니,<font color="#0054FF" size="2">【放仗은 고함을 쳐서 병장기를 버리게 함을 이른다.】</font> 군사들이 모두 와해되었다. [[桓玄]]이 서울로 들어가서 百官을 총령하고<font color="#0054FF" size="2">【≪書經≫ 〈舜典〉에 이르기를 “百揆에 앉혔다.” 하였는데, 蔡氏의 傳에 이르기를 “揆는 헤아림이니, 百揆는 여러 정사를 헤아리는 관원이다. 오직 唐‧虞 시대에만 있었으니, 周나라의 冢宰와 같다.” 하였다.】</font>[[司馬元顯]], [[東海王]][[司馬彦璋]], [[譙王]][[司馬尙之]] 등을 建康의 시장에서 목 베니, [[劉牢之]]는 북쪽으로 달아나 新州에 이르러 목을 매어죽고[[司馬道子]] 등도 모두 죽었다.
+
永和 7년(신해 351) - 趙나라 永寧 2년이고, 魏나라 永興 2년이다. [[秦主]][[苻健]]의 皇始 元年이다. ○ 이해에 趙나라가 망하였다.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涼‧代‧燕 등 小國이 셋이며 새로운 大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다섯이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隆安<font color="#0054FF" size="2">【晉나라 安帝의 처음 年號이다.】</font> 이래로 中外의 사람들이 재앙과 난리를 싫어하였다. [[桓玄]]이 처음에 이르러서 간신들을 물리치고 준걸들을 발탁하니, 京師가 기뻐하여 다소 편안해지기를 바랐는데, 이윽고 [[桓玄]]이 사치하고 방종하여 정사와 명령이 일정함이 없고 朋黨이 서로 일어나서 조정을 능멸하고 乘輿(皇帝)에게 供奉하는 물품을 대폭 줄이니, 황제가 거의 飢寒을 면치 못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뭇사람들이 실망하였다.
+
정월에 [[苻健]]이 天王天王에 즉위하여 국호를 大秦이라 하고, 백성들에게 불편한 모든 趙나라의 까다로운 정사를 모두 제거하였다.
 
</div>
 
</div>
 
</div>
 
</div>
454번째 줄: 453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孫恩]]이 赴海死하니 衆이 推[[]]妹夫[[盧循]]하야 爲主하다
+
初에 [[桓溫]]이 [[石氏]]亂하고 上疏請出師하야 經略中原호되 事久不報라 [[溫]]이 知朝廷仗[[殷浩]]하야 以抗己하고 甚忿之나 然이나 素知[[浩]]之爲人하야 亦不之憚也라 以國無他釁이라하야 遂得相持彌年<font color="#0054FF" size="2">【久也라】</font>하니 雖有君臣之跡이나 覊縻而已요 八州<font color="#0054FF" size="2">【[[溫]]이 都督荊, 司, 雍, 益, 梁, 寧, 交, 廣八州하니라】</font>士衆資調<font color="#0054FF" size="2">【謂資財調賦라】</font> 殆不爲國家用이러라 屢求北伐호되 詔書不聽하다 十二月에 [[溫]]이 拜表輒行할새 帥衆四五萬하고 順流而下하야 軍于武昌하니 朝廷이 大懼라 [[司馬高崧]]이 言於[[會稽王]][[昱]]曰 王宜致書하야 諭以禍福이면 自當返旆요 如其不爾면 便六軍整駕하리니 逆順이 於玆判矣리이다하고 乃於坐에 爲[[昱]]草書<font color="#0054FF" size="2">【書曰 寇難宜平이요 時會宜接이니 此實爲國遠圖요 經略大算이라 能弘斯會는 非足下而誰리오 然이나 異常之擧는 衆之所駭니 苟或望風振擾하야 一時竝散이면 則望實竝喪하고 社稷之事去矣云云하니 [[溫]]見書하고 卽上疏하야 謝之也라】</font>하니 [[溫]]卽上疏하야 惶恐謝罪하고 回軍還鎭하다
 
</div>
 
</div>
 
</div>
 
</div>
463번째 줄: 461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孫恩]]이 바다에 뛰어들어죽으니, 무리들이 [[孫恩]]의 매부인 [[盧循]]을 추대하여 군주로 삼았다.
+
처음에 [[桓溫]]이 [[石氏]]가 혼란하다는 말을 듣고 上疏하여 출병해서中原을 經略經略할 것을 청하였으나 朝廷에서는 이 일에 대해 오랫동안 답을 내리지 않았다. [[桓溫]]은 조정이 [[殷浩]]에게 기대어 자신에게 항거함을 알고 매우 분해 하였지만 평소 [[殷浩]]의 사람됨을 알았으므로 또한 두려워하지 않았다. 나라에 별다른 일이 없다 하여 마침내 1년이 되도록<font color="#0054FF" size="2">【彌年은 오램이다.】</font> 서로 대치만 하니, 비록 겉으로는 君臣間의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매여 있기만 할 뿐이었고, [[桓溫]]이 관할하는〉 8州<font color="#0054FF" size="2">【[[桓溫]]이 荊州‧司州‧雍州‧益州‧梁州‧寧州‧交州‧廣州의 8州를 도독하였다.】</font>군사와 재물과 貢物<font color="#0054FF" size="2">【資調는 資財(資産)와 調賦(해마다 바치는 공물)를 이른다.】</font>이 거의 국가를 위해 쓰여지지 않았다. [[桓溫]]이 여러 번 北伐을 청하였으나 윤허하는 詔書가 내려지지 않았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12월에 [[桓溫]]이 表文을 올리고 곧바로 떠날 적에 병력 4, 5만 명을 거느리고 물길을 따라 내려와서 武昌에 군대를 주둔하니, 朝廷이 크게 두려워하였다. [[司馬]]인 [[高崧]]이 [[會稽王]][[司馬昱]]에게 말하기를 “왕이 [[桓溫]]에게 글을 보내어 禍福(出兵의 利害)으로 타이른다면 스스로 군대를 이끌고 돌아갈 것이요, 만일 이렇게 하지 않으면 곧바로 六軍六軍을 정돈하여 토벌해야 할 것이니, 반역과 순종함이 여기에서 판명이 날 것입니다.” 하고, 마침내 그 자리에서 [[司馬昱]]을 위해 편지를 초하니,<font color="#0054FF" size="2">【高崧이 초한 편지에 이르기를 “적의 禍難은 평정해야 하고 좋은 기회는 꼭 잡아야 하니, 이는 실로 국가를 다스리는 원대한 계책이요 천하를 經略하는 중대한 계획이다. 이렇게 좋은 기회를 넓힐 수 있는 것은 足下가 아니면 그 누구이겠는가. 그러나 이번의 이상한 행동은 사람들이 놀라는 바이니, 만일 혹 소문을 듣고 소요를 일으켜 足下의 군대가 일시에 모두 흩어져 버린다면 足下의 명성과 실제는 모두 수포로 돌아가고 國家의 大事는 글러 버릴 것이다.……” 하니, 桓溫이 편지를 보고 즉시 상소하여 사죄하였다.】</font>[[桓溫]]이 〈편지를 받고는〉 즉시 上疏하여 황공해하며 사죄하고 군대를 돌려 鎭으로 돌아갔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癸卯]二年=====
+
=====[壬子]八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475번째 줄: 47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癸卯]二年이라 〈燕光始三이요 秦弘始五요 魏天興六年이라 是歲에 涼亡하니 大三이요 小四니 凡七僭國이라〉
+
[壬子]八年이라 〈魏永興三年이요 秦皇始二年이라 [[燕主]][[慕容雋]]元璽元年이라 ○是歲에 魏亡하니 大二, 小二니 凡四僭國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正月에 [[秦王]][[健]]이 卽皇帝位하다
 
</div>
 
</div>
 
</div>
 
</div>
484번째 줄: 48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元興 2년(계묘 403) - 燕나라 光始 3년이고, 秦나라 弘始 5년이고, 魏나라 天興 6년이다. ○ 이해에 涼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셋이고 小國이 넷이니, 僭國이 모두 일곱이다.-
+
永和 8년(임자 352) - 魏나라 永興 3년이고, 秦나라 皇始 2년이다. ○ [[燕主]][[慕容雋]]元璽 元年이다. ○ 이해에 魏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둘이고 小國이 둘이니, 僭國이 모두 넷이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정월에 [[秦王]][[苻健]]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div>
 
</div>
 
</div>
 
</div>
494번째 줄: 498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九月에 冊命[[]]하야 爲相國相國하야 摠百揆하고 封十郡하야 爲[[楚王]]하고 加九錫九錫하다
+
[[殷浩]]上疏하야 請出師許, 洛<font color="#0054FF" size="2">【許昌, 洛陽이니 俱在河南이라】</font>이어늘 詔許之하다 [[]]之北伐也에 [[王羲之]]以書止之호되 不聽이러니 旣而無功이라 復謀再擧어늘 [[羲之]]遺[[浩]]書曰 今以區區江左로 天下寒心<font color="#0054FF" size="2">【寒心者는 恐不能自保라 是人寒甚則心戰이요 恐懼亦戰일새 以懼比寒하야 言可爲戰也라】</font>이 固已久矣라 力爭武功이 非所當作이라호되 不聽이러라
 
</div>
 
</div>
 
</div>
 
</div>
503번째 줄: 50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9월에 [[桓玄]]을 책봉하여相國相國으로 삼아 百揆를 총괄하게 하고, 열 郡을 봉해 주어 [[楚王]]으로 삼고九錫을 가하였다.
+
[[殷浩]]가 上疏하여 許昌과 洛陽<font color="#0054FF" size="2">【許, 洛은 許昌과 洛陽이니, 모두 河南에 있다.】</font>으로 출병할 것을 청하자, 황제가 조서를 내려 허락하였다. [[殷浩]]가 北伐할 때에 [[王羲之]]가 편지를 보내어 만류하였으나 듣지 않았는데, 이윽고 功이 없었다. 다시 재차 거병할 것을 도모하자, [[王羲之]]가 [[殷浩]]에게 편지를 보내어 이르기를 “이제 구구한 江東 지방을 가지고 천하가 두려워한<font color="#0054FF" size="2">【寒心은 스스로 보전하지 못할까 두려워하는 것이다. 사람이 추위가 심하면 마음이 떨리고 두려움을 느껴도 떨리므로 두려움을 추위에 견주어 떨린다고 말한 것이다.】</font> 지가 진실로 이미 오래되었다. 武功을 다투기를 힘쓰는 것은 그대가 응당 해야 할 바가 아니다.”라고 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div>
 
</div>
 
</div>
 
</div>
513번째 줄: 51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十二月에 玄이 卽皇帝位하다 [[玄]]이 入建康宮建康宮하야 登御座할새 而床忽陷이라 群臣이 失色이어늘 [[殷仲文]]<font color="#0054FF" size="2">【侍中也니 玄之妹夫라】</font>曰 將由聖德深厚하야 地不能載라한대 [[]]이 大悅하다 辛亥에 玄이 遷帝於尋陽하다
+
四月에 燕滅魏<font color="#0054FF" size="2">【[[燕王]][[]]이 遣[[慕容恪]]하야 擊魏하야 執其主閔以歸하야 殺之하다】</font>하다
 
</div>
 
</div>
 
</div>
 
</div>
522번째 줄: 523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12월에 [[桓玄]]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桓玄]]이 建康宮에 들어가서 御座에 오를 적에 龍床이 갑자기 바닥이 꺼졌다. 여러 신하들이 사색이 되었는데 [[殷仲文]]<font color="#0054FF" size="2">【殷仲文은 侍中이니, 桓玄의 妹夫이다.】</font>말하기를 “아마도 聖德이 깊고 두터워서 땅도 실어줄 수가 없기 때문에 바닥이 꺼진 것 같습니다.”라고 하자, [[桓玄]]이 크게 기뻐하였다. 辛亥日(22일)에 [[桓玄]]이 황제를 尋陽으로 옮겼다.
+
4월에 燕나라가 魏를 멸망시켰다.<font color="#0054FF" size="2">【[[燕王]][[慕容雋]]이 [[慕容恪]]을 보내어 魏나라를 공격해서 [[魏主]][[冉閔]]을 잡아 가지고 돌아와서 죽였다.】</font>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
|}
=====[甲辰]三年=====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甲辰]三年이라 〈燕光始四요 秦弘始六이요 魏天賜元年이라〉
+
○ 十一月에 [[燕王]][[]]이 卽皇帝位하고 徙都鄴하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劉裕]]從[[桓脩]]<font color="#0054FF" size="2">【徐兗州刺史, 安成王이라】</font>入朝어늘 [[玄]]謂王謐<font color="#0054FF" size="2">【司徒니 爲玄佐命元臣이라】</font>曰 [[裕]]風骨不常하니 蓋人傑也라하더라 [[玄后劉氏]] 有智鑑이라 謂[[玄]]曰 [[劉裕]]龍行虎步하고 視瞻不凡하니 恐終不爲人下하노니 不如早除之라한대 [[]]曰 我方平蕩<font color="#0054FF" size="2">【蕩은 滌也라】</font>中原호니 非裕면 莫可用者라 俟關, 河平定然後에 別議之爾라하더라
 
 
</div>
 
</div>
 
</div>
 
</div>
548번째 줄: 540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元興 3년(갑진 404) - 燕나라 光始 4년이고, 秦나라 弘始 6년이고, 魏나라 天賜 元年이다. -
+
○ 11월에 [[燕王]][[慕容雋]]이 황제에 즉위하고鄴으로 도읍을 옮겼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劉裕]]가 桓脩<font color="#0054FF" size="2">【桓脩는 徐州兗州刺史‧安成王으로 있었다.】</font>를 따라 入朝하자, [[桓玄]]이 王謐<font color="#0054FF" size="2">【王謐은 司徒이니, 桓玄의 佐命元臣이다.】</font>에게 이르기를 “[[劉裕]]는 풍채와 골격이 비범하니, 인걸이다.” 하였다. [[桓玄]]의 아내인 [[劉氏]]는 智謀와 識鑑이 있었는데, [[桓玄]]에게 이르기를 “[[劉裕]]는 걸음을 걷는 모양이 용과 범 같고 눈초리가 비범하여 끝내 남의 아랫자리에 있지 않을 것이니, 일찌감치 제거하는 것만 못합니다.” 하니, [[桓玄]]이 말하기를 “내가 막 중원을 평정<font color="#0054FF" size="2">【蕩은 씻어내는 것이다.】</font>하려 하니, [[劉裕]]가 아니면 쓸 만한 자가 없다. 關中과 黃河 지방이 평정되기를 기다린 뒤에 별도로 의논하겠다.” 하였다.
 
 
</div>
 
</div>
 
</div>
 
</div>
563번째 줄: 549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裕與[[何無忌]]<font color="#0054FF" size="2">【琅琊內史라】</font>로 同舟還京口하야 密謀復興晉室하다 [[劉毅]]家於京口하야 亦與[[無忌]]로 謀討[[玄]]이러니 [[無忌]]曰 天下草澤之中에 非無英雄也니라 [[毅]]曰 所見에 唯有[[劉下邳]]<font color="#0054FF" size="2">【裕爲下邳太守하니라】</font>니라 [[無忌]]笑而不答하고 還以告裕하고 遂與[[毅]]定謀하다
+
○ [[姚弋仲]]이 卒하니 子[[]]이 帥衆來歸하다 [[]]이 博學善談論하니 江東人士 皆重之러라
 
</div>
 
</div>
 
</div>
 
</div>
572번째 줄: 557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劉裕]]가 何無忌<font color="#0054FF" size="2">【何無忌는 琅琊內史이다.】</font>와 함께 배를 같이 타고 京口로 돌아와 은밀히 晉나라 황실을 부흥할 것을 모의하였다. [[劉毅]]가 京口에 거주하여 또한 [[何無忌]]와 함께 [[桓玄]]을 토벌할 것을 모의하였는데, [[何無忌]]가 말하기를 “천하의 초야 가운데에 영웅이 없지 않다.” 하니, [[劉毅]]가 말하기를 “내가 본 바로는 오직 劉下邳(劉裕)<font color="#0054FF" size="2">【劉裕가 이때 下邳太守로 있었다.】</font>가 있을 뿐이다.” 하였다. [[何無忌]]가 웃기만 하고 대답하지 않고서 돌아가 이것을 [[劉裕]]에게 고하고 마침내 [[劉毅]]와 함께 계책을 정하였다.
+
○ [[姚弋仲]]이 죽으니, 아들[[姚襄(羌族)]]이 군대를 거느리고 와서 歸附하였다. [[姚襄]]이 박학하고 담론을 잘하니, 江東의 인사들이 모두 그를 중하게 여겼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癸丑]九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二月乙卯에 裕託以遊獵하고 與[[無忌]]로 收合徒衆하야 得百餘人하다 詰旦<font color="#0054FF" size="2">【平旦也라】</font>에 京口城開어늘 [[無忌]]著傳詔服하고 稱勅居前하니 徒衆이 隨之齊入하야 卽斬[[桓脩]]以徇<font color="#0054FF" size="2">【行示也라】</font>하다 衆推[[]]爲盟主하니 [[]]이 憂懼特甚이라 或曰 [[劉裕]]等은 烏合<font color="#0054FF" size="2">【如烏之聚散이니 言無定也라】</font>微弱하야 勢必無成하리니 陛下何慮之深이니잇고 [[]][[劉裕]]는 足爲一世之雄이요 [[劉毅]]는 家無襜石之儲<font color="#0054FF" size="2">【襜은 齊人이 名小甖爲襜이라 石은 斗石也라】</font>로되 樗蒲에 一擲百萬하고 [[何無忌]]는 酷似其舅<font color="#0054FF" size="2">【酷은 甚也라 舅는 謂劉牢之라】</font>어늘 共擧大事하니 何謂無成고
+
[癸丑]九年이라 〈秦皇始三年이요 燕元璽二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姚襄]]이 屯歷陽이어늘 [[殷浩]]惡其强盛하야 屢遣刺客刺之러니 十月에 [[]]北伐할새 以[[]]爲前驅한대 [[]]이 反攻[[]]於山桑하니 [[]]大敗하다
 
</div>
 
</div>
 
</div>
 
</div>
591번째 줄: 579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2월 乙卯日(27일)에 [[劉裕]]가 사냥을 나간다고 칭탁하고서 [[何無忌]]와 함께 무리를 수합하여 백여 명을 얻었다. 다음 날 이른 아침<font color="#0054FF" size="2">【詰旦은 平旦(동틀 때)이다.】</font>京口의 성문이 열리자, [[何無忌]]가 傳詔(詔令을 전달하는 관원)의 옷을 입고 勅使라 칭하고 앞에 있으니, 무리가 뒤를 따라 일제히 城에 들어가서 곧바로 [[桓脩]]의 목을 베어 여러 사람에게 조리돌려 보였다.<font color="#0054FF" size="2">【徇은 다니면서 보이는 것이다.】</font>
+
永和 9년(계축 353) - 秦나라 皇始 3년이고, 燕나라 元璽 2년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무리가 [[劉裕]]를 추대하여 맹주로 삼으니, [[桓玄]]이 근심하고 두려워함이 특히 심하였다. 혹자가 말하기를 “[[劉裕]] 등은 烏合之卒<font color="#0054FF" size="2">【烏合은 까마귀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과 같은 것이니, 일정함이 없음을 말한다.】</font>이라 역량이 미약하여 형세를 살펴보건대 반드시 성공하지 못할 것이니, 폐하께서는 어찌 깊이 염려하십니까?” 하니, [[桓玄]]이 말하기를 “[[劉裕]]는 한 시대의 영웅이 될 만하고, [[劉毅]]는 집안에 한 말과 한 섬의 저축<font color="#0054FF" size="2">【襜은 齊나라 사람들이 작은 술단지를 이름하여 襜이라 한다. 石은 말[斗]과 섬[]이다.】</font>도 없었으나 樗蒲 놀이할 때에 한 번에 백만 전을 걸었으며, [[何無忌]]는 모습이 그의 외삼촌([[劉牢之]])과 매우 흡사한데,<font color="#0054FF" size="2">【酷은 매우이다. 外叔은 劉牢之를 이른다.】</font> 이들이 함께 大事를 일으켰으니, 어찌 성공하지 못한다고 말하는가.” 하였다.
+
[[姚襄]]이 歷陽에 주둔하자, [[殷浩]]가 그의 강성함을 미워하여 여러 번 자객을 보내어 찔러 죽이게 하였다. 10월에 [[殷浩]]가 북벌할 때에 [[姚襄]]을 前驅로 삼았는데, [[姚襄]]이 山桑에서 도리어 [[殷浩]]를 공격하니[[殷浩]]가 대패하였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甲寅]十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三月에 [[]][[劉毅]]等으로 分爲數隊하야 竝進할새 [[]]以身先之하니 將士皆殊死戰하야 無不一當百이요 呼聲이 動天地라 時에 東北風이 急이어늘 因縱火焚之하니 煙火熛<font color="#0054FF" size="2">【火飛也라】</font>天하고 鼓譟之音이 震動京邑하니 諸軍이 大潰라 [[]]이 帥親信數千人하고 走趨石頭하니 [[]]入建康하야 帥百官하야 奉迎乘輿하고 誅[[]]宗族在建康者하다
+
[甲寅]十年이라 〈秦皇始四年이요 燕元璽三年이요 [[涼王]][[張祚]]和平元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正月에 [[張祚]]自稱[[涼王]]<font color="#0054FF" size="2">【張祚는 涼州牧이라 [[軌]]子[[寔]], [[寔]]弟[[茂]], [[寔]]子[[駿]], [[駿]]子[[重華]], [[重華]]子[[曜靈]]이니 涼人이 廢之하고 立[[祚]]하니 [[祚]]는 [[重華]]之庶兄이라】</font>하다 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 連年北伐할새 師徒屢敗하야 糧械都盡이라 [[桓溫]]이 因朝野之怨하야 上疏數[[浩]]之罪하고 請廢之하니 朝廷이 不得已免[[浩]]爲庶人<font color="#0054FF" size="2">【[[浩]]恒書空作咄咄怪事字하다 久之에 [[溫]]將以[[浩]]爲尙書令尙書令한대 [[浩]]欣然將答書할새 慮有誤하야 開閉十數라가 竟達空函하니 [[溫]]大怒하야 遂絶하니라 [通鑑要解][[]]少與[[溫]]齊名하니 而心競不相下하야 [[溫]]常輕之라 [[浩]]旣被黜에 雖愁怨不形辭色이나 常書空作咄咄怪事字라 久之에 [[溫]]以[[浩]]爲尙書令尙書令하야 書告之러니 竟達空函이라 故로 遂絶之하니 卒於徙所하니라】</font>하다 自此로 內外大權이 一歸於[[]]矣러라
 
</div>
 
</div>
 
</div>
 
</div>
615번째 줄: 604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3월에 [[劉裕]]가 [[劉毅]] 등과 몇 개의 부대로 나누어 함께 진군할 적에 [[劉裕]]가 앞장서서 솔선하니, 장병들이 모두 결사적으로 싸워서 一當百의 기세로 싸우지 않는 자가 없었고 고함 소리가 천지를 진동하였다. 이때 동북풍이 맹렬히 불자, 이 틈을 타서 불을 놓아 불태우니, 연기와 화염이 하늘까지 치솟고<font color="#0054FF" size="2">【熛는 불똥이 튀는 것이다.】</font> 북소리와 고함 소리가 京邑을 진동하여 〈[[桓謙]] 등의〉 여러 군대가 크게 무너졌다. [[桓玄]]이 친애하고 신임하는 자 수천 명을 거느리고 달아나 石頭城으로 향하니, [[劉裕]]가 建康에 들어가 백관을 거느리고 尋陽에서 乘輿(황제)를 맞이하고 建康에 있는 [[桓玄]]의 宗族들을 죽였다.
+
永和 10년(갑인 354) - 秦나라 皇始 4년이고, 燕나라 元璽 3년이고, [[涼王]][[張祚]]의 和平 元年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정월에 [[張祚]]가 [[涼王]]이라 자칭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張祚]]는 涼州牧이다. [[張軌]]의 아들이 [[張寔]]이고, [[張寔]]의 아우가 [[張茂]]이고, [[張寔]]의 아들이 [[張駿]]이고, [[張駿]]의 아들이 [[張重華]]이고, [[張重華]]의 아들이 [[張曜靈]]이다. 涼州 사람들이 [[張曜靈]]을 폐하고 [[張祚]]를 세웠으니, [[張祚]]는 [[張重華]]의 庶兄이다.】</font>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가 여러 해를 계속하여 북벌할 때에 군사들이 여러 번 패하여 군량과 병기가 모두 떨어졌다. [[桓溫]]朝野가 원망하는 틈을 타서 上疏하여 [[殷浩]]의 죄를 열거하고 폐출할 것을 청하니, 조정이 부득이 [[殷浩]]를 면직하여 庶人庶人으로 삼았다.<font color="#0054FF" size="2">【[附註][[殷浩]]를 면직하여 庶人으로 삼으니, [[殷浩]]가 항상 허공에 咄咄怪事라는 글자를 쓰곤 하였다. 오랜 뒤에 [[桓溫]]이 장차 [[殷浩]]를 尙書令尙書令으로 삼으려 하자, [[殷浩]]가 기뻐하여 장차 답서를 보내려 할 적에 오류가 있을까 우려하여 뜯어보고 봉함하기를 십수 번 하다가 끝내 빈 봉투를 보내니, [[桓溫]]크게 노하여 마침내 [[殷浩]]와 절교하였다. [通鑑要解][[殷浩]]가 젊었을 적에 [[桓溫]]과 명성이 똑같으니, [[桓溫]]은 마음속으로 다투고 서로 낮추지 아니하여 항상 [[殷浩]]를 경시하였다. [[殷浩]]는 축출당한 뒤에 비록 근심과 원망을 말과 안색에 드러내지 않았으나 항상 허공에 咄咄怪事라는 글자를 썼다. 오랜 뒤에 [[桓溫]]이 장차 [[殷浩]]를 尙書令尙書令으로 삼고자 하여 이를 편지로 알렸는데, [[殷浩]]가 답서를 보낼 적에〉 마침내 빈 봉투를 보냈으므로 크게 노하여 끝내 절교하니, [[殷浩]]는 유배지에서 죽었다.】</font> 이로부터 내외의 큰 권력이 모두 [[桓溫]]에게로 돌아갔다.
 
</div>
 
</div>
 
</div>
 
</div>
625번째 줄: 61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始至建康하야 諸大處分<font color="#0054FF" size="2">【處는 區處也요 分은 分別也라】</font>을 皆委於[[劉穆之]]<font color="#0054FF" size="2">【裕召爲主簿라】</font>하니 倉猝立定에 無不允愜이라 [[裕]]遂託以心腹하야 動止를 諮焉하니 [[穆之]]亦竭節盡誠하야 無所遺隱이러라 時에 晉政寬弛하야 綱紀不立하고 豪族陵縱하야 小民窮蹙하며 重以[[司馬元顯]]의 政令違舛<font color="#0054FF" size="2">【舛은 錯謬也라】</font>하니 [[桓玄]]이 雖欲釐整이나 而科條繁密하야 衆莫之從이러니 [[穆之]]斟酌時宜하야 隨方矯正<font color="#0054FF" size="2">【揉曲爲矯니 言隨事矯揉하야 使歸於正이라】</font>하고 [[裕]]以身範物하야 先以威禁하니 內外百官이 皆肅然奉職하야 不盈旬日에 風俗이 頓改러라
+
○ [[桓溫]]이 統步騎四萬하고 伐秦하야 進至霸上하니 三輔郡縣이 皆來降이라 [[]]이 撫諭居民하야 使安堵復業하니 民이 爭持牛酒迎勞라 男女는 夾路觀之하고 耆老는 有垂泣者하야 曰 不圖今日에 復覩官軍이라하더라
 
</div>
 
</div>
 
</div>
 
</div>
634번째 줄: 624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劉裕]]가 처음 建康에 이르러서 모든 중대사의 처분<font color="#0054FF" size="2">【處는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이고, 分은 分別이다.】</font>을 劉穆之<font color="#0054FF" size="2">【劉穆之는 劉裕가 불러서 主簿를 삼았다.】</font>에게 다 맡기니, 창졸간에 신속하게 결정함에 사람들이 지당하게 생각하고 흡족해하지 않음이 없었다. [[劉裕]]가 마침내 그를 心腹으로 삼아 어떤 일이든 막론하고 그에게 자문하니, [[劉穆之]] 또한 충절을 다하고 정성을 다해서 빠뜨리거나 숨기는 바가 없었다. 이때 晉나라의 정사가 해이해져 紀綱이 서지 않고 豪族들이 교만하고 방자해서 庶民들이 곤궁하였으며 여기에 [[司馬元顯]]의 정사와 명령이 서로 모순되기까지 하니,<font color="#0054FF" size="2">【[釋義]重以司馬元顯 政令違舛:舛은 어그러지고 잘못됨이다.】</font>[[桓玄]]이 비록 정리하여 바로잡고자 하였으나 法條文이 번거롭고 세밀하여 사람들이 따르지 않았었다. [[劉穆之]]가 時宜를 참작해서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바로잡고<font color="#0054FF" size="2">【휘어서 구부리는 것을 矯라 하니, 일에 따라 바로잡아서 바른 데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다.】</font>[[劉裕]]가 앞장서서 남들에게 모범이 되어 먼저 위엄으로 금지시키니, 내외의 백관들이 모두 숙연히 직책에 종사해서 열흘이 못 되어 풍속이 크게 바뀌었다.
+
○ [[桓溫]]이 보병과 기병 4만 명을 거느리고 秦나라를 정벌할 적에 진격하여 霸上에 이르니, 三輔三輔의 郡縣이 모두 와서 항복하였다. [[桓溫]]이 거주하는 백성들을 어루만지고 타일러서, 백성들로 하여금 사는 곳을 편안히 여기고 生業으로 돌아가게 하니, 백성들이 다투어 쇠고기와 술을 가지고 와서 맞이하고 위로하였다. 이에 남녀들은 길의 좌우에 늘어서서 이것을 구경하였고, 耆老들은 눈물을 흘리면서 말하기를 “오늘날 다시 官軍官軍을 보게 될 줄은 생각지도 못했다.” 하였다.
 
</div>
 
</div>
 
</div>
 
</div>
644번째 줄: 633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四月에 [[劉毅]], [[何無忌]]等이 襲破尋陽城하다 [[桓玄]]이 挾帝하고 單舸西走하야 入江陵이어늘 遂斬之하다 乘輿反正於江陵하다
+
○ [[北海王]][[]]이 少好學하고 倜儻<font color="#0054FF" size="2">【不羈貌요 高遠貌라】</font>有大志하야 不屑細務하니 人皆輕之호되 [[猛]]은 悠然自得하야 隱居華陰이러니 聞[[桓溫]]入關하고 披褐<font color="#0054FF" size="2">【披는 通作被라 平聲이니 (褐)[裮]被衣帶也라 〈褐은〉 以毛毳織之라】</font>詣之하야 捫蝨而談當世之務호되 旁若無人이라 [[溫]]異之하야 問曰 吾奉天子之命하야 將銳兵十萬하고 爲百姓除殘賊이어늘 而三秦豪傑이 未有至者는 何也오 [[猛]]曰 公이 不遠數千里하고 深入敵境하야 今長安咫尺이어늘 而不度(渡)霸水하니 百姓이 未知公心<font color="#0054FF" size="2">【[[桓溫]]이 破秦入關而不渡者는 恐官軍知難而退也라 又史註云 疑[[溫]]有異志也라하니라】</font>하야 所以不至니이다 [[]]이 嘿然無以應하고 徐曰 江東엔 無卿比也라하고 乃署<font color="#0054FF" size="2">【署는 除也니 謂除官이라】</font>猛軍謀祭酒하다
 
</div>
 
</div>
 
</div>
 
</div>
653번째 줄: 641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4월에 [[劉毅]][[何無忌]] 등이 尋陽城을 습격하여 격파하였다. [[桓玄]]이 황제를 끼고 한 척의 배를 타고 서쪽으로 도망하여 江陵으로 들어가자, 〈益州督護益州督護[[馮遷]]이〉 마침내 [[桓玄]]을 목 베었다. 乘輿(황제)가 강릉에서 反正(復位)하였다.
+
北海의 [[王猛]]이 젊어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의기가 드높아<font color="#0054FF" size="2">【倜儻은 매이지 않는 모양이요, 高遠한 모양이다.】</font> 큰 뜻이 있어서 소소한 일을 좋아하지 않으니, 사람들이 모두 그를 경시하였으나 [[王猛]]은 悠然히 自得하여 華陰에 은거하였는데, [[桓溫]]이 關中으로 들어왔다는 말을 듣고 짧은 갈옷을 입고<font color="#0054FF" size="2">【披는 被와 통용된다. 平聲(헤치다)이니, 옷에 띠를 매지 않은 것이다. 갈옷은 털로 짜서 만든다.】</font> 찾아가서 이를 잡으며 당세의 일을 말하되 옆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거리낌이 없었다. [[桓溫]]이 기이하게 여겨 묻기를 “내가 天子의 命을 받들어 정예병 10만 명을 거느리고 백성을 위해 잔당들을 제거하는데, 三秦의 호걸 중에 찾아오는 자가 없음은 어째서인가?” 하니, [[王猛]]이 말하기를 “公이 수천 리를 멀다 하지 않고 적의 국경에 깊숙이 들어와서 이제 長安이 지척에 있는데도 霸水를 건너가지 않으니, 백성들이 公의 마음을 알지 못하여<font color="#0054FF" size="2">【[通鑑要解]不度霸水……未知公心:桓溫이 秦나라를 격파하고 關中에 들어갔는데도 霸水를 건너가지 않은 것은 官軍이 상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후퇴할까 해서였다. 또 史註에 이르기를 “桓溫이 딴 뜻이 있다고 의심한 것이다.” 하였다.】</font> 이 때문에 이르지 않는 것입니다.” 하였다. [[桓溫]]이 묵묵히 대답이 없다가 천천히 말하기를 “江東 지방에는 卿에게 비교할 사람이 없다.” 하고, 마침내 [[王猛]]을 軍謀祭酒軍謀祭酒로 서용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署는 제수함이니, 관직을 제수하는 것을 이른다.】</font>
 
</div>
 
</div>
 
</div>
 
</div>
663번째 줄: 650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魏主]][[珪]] 置六謁官하니 準古六卿六卿이요 又官名을 多不用漢, 魏之舊하고 倣上古龍官, 鳥官<font color="#0054FF" size="2">【伏羲氏受命時에 有龍瑞故로 以龍紀事하야 百官師長을 皆以龍爲名號하고 少昊氏之時에 鳳鳥適至故로 以鳥紀事하야 百官師長을 皆以鳥爲名號하니라】</font>하야 謂諸曹之使하야 爲鳧鴨이라하니 取其飛之迅疾也요 謂候官伺察者하야 爲白鷺라하니 取其延頸遠望也라 餘皆類此러라
+
初에 [[]]이 指秦麥以爲粮이러니 旣而요 秦人이 悉芟麥하니 溫軍이 乏食이라 六月에 徙關中<font color="#0054FF" size="2">【東有函谷關하고 南有嶢關, 武關하고 西有散關하고 北有蕭關故로 名關中이라】</font>三千餘戶而歸할새 秦兵이 追擊之한대 [[溫]]軍이 屢敗하다
 
</div>
 
</div>
 
</div>
 
</div>
672번째 줄: 658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魏主]][[拓跋珪]]가 여섯 명의 謁官을 두니 옛날의 六卿六卿을 따른 것이요, 또 관직명에 漢나라와 魏나라 때의 옛 명칭을 대부분 사용하지 않고 上古時代의 龍官과 鳥官<font color="#0054FF" size="2">【伏羲氏가 天命을 받았을 때에 龍의 상서가 있었으므로 龍으로써 일을 기록하여 百官의 師長을 모두 龍으로써 명칭을 삼았고, 少昊氏 때에 鳳鳥가 마침 이르렀으므로 새로써 일을 기록하여 百官의 師長을 모두 새로써 명칭을 삼았다.】</font>을 따라서 여러 曹의 使者使者를 일러 鳧鴨(오리)이라 하였으니 鳧鴨은 나는 것이 신속한 뜻을 취한 것이요, 斥候와 伺察을 맡은 자를 일러 白鷺라 하였으니 白鷺는 목을 늘여 멀리 바라보는 뜻을 취한 것이다. 나머지도 모두 이와 같았다.
+
처음에 [[桓溫]]이 意中에 秦나라 지방의 보리를 군량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겼는데, 이윽고 秦나라 사람이 보리를 모두 베어 가니 [[桓溫]]의 군대가 식량이 부족하였다. 6월에 關中<font color="#0054FF" size="2">【동쪽에는 函谷關, 남쪽에는 嶢關과 武關, 서쪽에는 散關, 북쪽에는 蕭關이 있으므로 關中이라고 이름하였다.】</font>의 3천여 가호를 옮기고 돌아올 적에, 秦나라 군대가 추격하자 [[桓溫]]의 군대가 여러 번 패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乙巳]義熙元年=====
+
=====[乙卯]十一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684번째 줄: 669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乙巳]義熙元年이라 〈燕光始五요 秦弘始七이요 魏天賜二年이라 ○ [[南燕主]][[慕容超]]太上元이요 西涼建初元年이라〉
+
[乙卯]十一年이라 〈秦主苻生壽光元年이라 燕元璽四年이라 ○ 涼去年號하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六月에 [[秦主]][[]]이 卒하고 太子[[]]이 卽位하다
 
</div>
 
</div>
 
</div>
 
</div>
693번째 줄: 680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義熙 元年(을사 405) - 燕나라 光始 5년이고, 秦나라 弘始 7년이고, 魏나라 天賜 2년이다. ○ 南燕主南燕主[[慕容超]]의 太上 元年이고, 西涼建初 元年이다.-
+
永和 11년(을묘 355) - [[秦主]][[苻生]]의 壽光 元年이다. ○ 燕나라 元璽 4년이다. ○ 涼나라가 和平이란 年號를 없앴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6월에 [[秦主]][[苻健]]이 죽고, 태자 [[苻生]]이 즉위하였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丙辰]十二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三月에 帝至建康하야 以[[劉裕]]로 都督中外諸軍事하다 四月에 [[裕]]還鎭京口하다 八月에 [[南燕王]][[備德]]<font color="#0054FF" size="2">【上庚子年에 南燕王慕容德이 稱帝하고 更名備德하니라】</font>이 卒하고 兄子[[超]]<font color="#0054FF" size="2">【備德이 無子일새 以兄北海王納之子超로 爲嗣하니라】</font>襲位하다
+
[丙辰]十二年이라 〈秦壽光二年이요 燕元璽五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桓溫]]이 自江陵北伐할새 與寮屬으로 登平乘樓하야 望中原하고 歎曰 遂使神州陸沈<font color="#0054FF" size="2">【神州는 中國也니 註見懷帝永嘉五年하니라 陸은 高平地요 沈은 溺也라 神州陸沈은 謂中原淪沒也니 猶王道陵夷之義라 [通鑑要解]中國名曰 赤縣神州라 內有九州하니 禹之序九州 是也라 陸沈은 謂無水而沈이라】</font>하야 百年丘墟는 王夷甫諸人이 不得不任其責<font color="#0054FF" size="2">【謂王衍等이 尙淸談하고 而不恤王事하야 以致夷狄亂華也라】</font>이라하더라
 
</div>
 
</div>
 
</div>
 
</div>
712번째 줄: 70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3월에 황제가 建康에 이르러서 [[劉裕]]를 都督中外諸軍事都督中外諸軍事로 삼았다.
+
永和12년(병진 356) - 秦나라 壽光 2년이고, 燕나라 元璽 5년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4월에 [[劉裕]]가 돌아와 京口에 주둔하였다.
+
[[桓溫]]이 江陵에서 北伐할 적에 동료들과 함께 큰 배 위의 누각에 올라가서 中原을 바라보고 한탄하기를 “마침내 中原을 매몰시켜<font color="#0054FF" size="2">【[釋義]神州는 中國이니, 註가 懷帝 永嘉 5年條(311)에 보인다. 陸은 높고 평평한 곳이요 沈은 빠짐이다. 神州가 陸沈했다는 것은 中原이 쇠퇴함을 이르니, 王道가 陵夷(쇠퇴)하였다는 뜻과 같다. [通鑑要解]中國을 이름하기를 赤縣神州라 한다. 중국 안에 九州가 있으니, 禹王이 九州를 차서한 것이 이것이다. 陸沈은 물이 없이 육지가 가라앉은 것과 같음을 이른다.】</font> 百年의 基業이 폐허가 되게 한 것은 [[王夷甫(王衍)]] 등 여러 사람이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다.<font color="#0054FF" size="2">【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은 王衍 등이 淸談을 숭상하고 國事를 돌보지 않아서 夷狄들이 中華를 어지럽히게 만들었음을 이른다.】</font>” 하였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8월에 [[南燕王]] 慕容備德<font color="#0054FF" size="2">【위의 庚子年條(400)에 南燕王 慕容德이 황제를 칭하고 이름을 慕容備德으로 고쳤다.】</font>이 죽고 형의 아들 慕容超<font color="#0054FF" size="2">【慕容備德이 아들이 없었으므로 兄인 北海王 慕容納의 아들 慕容超를 후사로 삼았다.】</font>가 왕위를 세습하였다.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丁未]三年=====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丁未]三年이라 〈秦弘始九요 魏天賜四年이라 ○ [[燕主]][[高雲]]正始元年이요 [[夏主]][[赫連勃勃]]<font color="#0054FF" size="2">【自謂夏后氏之苗裔하야 稱大夏하니 匈奴南單于苗裔也라 謂帝王繼天爲子하니 是爲徽赫이 實與天連이라하고 改姓曰赫連氏라하니라】</font>龍昇元年이라 ○ 是歲에 燕[[慕容熙]]亡하니 舊大國二요 小國四요 新小國二니 凡八僭國이라〉
+
八月에 [[]]至伊水하니 姚襄이 撤圍拒之어늘 [[]]이 結陳(陣)而前하야 親被甲督戰하니 襄衆이 大敗하야 死者數千人이라 襄이 帥麾下數千騎하고 奔于洛陽北山하니 周成이 帥衆出降하다 溫이 屯故太極殿前이러니 旣而요 徙屯金墉城하다 謁諸陵하고 有毁壞者면 修復之하고 以二千人戍洛陽하야 衛山陵하고 執周成以歸하니 姚襄<font color="#0054FF" size="2">【姓名이니 弋仲子라】</font>이 奔平陽<font color="#0054FF" size="2">【襄이 後欲圖關中하야 帥衆伐秦이라가 兵敗하야 爲秦所殺하니 弟萇이 帥其衆降秦하니라】</font>하다
 
</div>
 
</div>
 
</div>
 
</div>
743번째 줄: 72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義熙 3년(정미 407) - 秦나라 弘始 9년이고, 魏나라 天賜 4년이다. [[燕主(北燕)]]高雲高雲의 正始 元年이고, [[夏主]] 赫連勃勃<font color="#0054FF" size="2">【赫連勃勃이 스스로 夏后氏의 후손이라 하여 大夏天王이라 칭하였으니, 匈奴 南單于의 후손이다. 말하기를 “帝王은 하늘을 계승하여 아들이 되니, 이것은 그 아름다움과 밝게 빛남이 실로 하늘과 이어진 것이다.”라고 하고 劉氏姓을 고쳐 赫連氏라 하였다.】</font>의 龍昇 元年이다. ○ 이해에 燕나라(後燕) [[慕容熙]]가 망하였다. 예전에 있던 大國이 둘이고 小國이 넷이며 새로운 小國이 둘이니, 僭國이 모두 여덟이다.-
+
○ 8월에 [[桓溫]]이 伊水에 이르니, [[姚襄]]이 洛陽의 포위를 풀고 와서 [[桓溫]]을 막았다. [[桓溫]]이 陣을 치고 전진하여 직접 갑옷을 입고 싸움을 독려하니, [[姚襄]]의 무리가 크게 패하여 죽은 자가 수천 명이었다. [[姚襄]]이 휘하의 騎兵 수천 명을 거느리고 洛陽의 北山으로 달아나니, [[周成]]이 무리를 거느리고 나와서 항복하였다. [[桓溫]]이 옛 太極殿 앞에 주둔하였는데, 이윽고 金墉城으로 옮겨 주둔하였다. 여러 陵에 배알하였고 허물어져 파괴된 곳이 있으면 수리하여 복구하였으며, 2천 명을 洛陽에 주둔시켜 山陵을 호위하게 하고 [[周成]]을 사로잡아 돌아오니, 姚襄<font color="#0054FF" size="2">【姚襄은 姓名이니, 姚弋仲의 아들이다.】</font>이 平陽으로 달아났다.<font color="#0054FF" size="2">【姚襄이 뒤에 關中을 도모하고자 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秦나라를 정벌했다가 군대가 패하여 秦나라에게 죽임을 당하니, 아우 姚萇이 군대를 거느리고 秦나라에 항복하였다.】</font>
 
</div>
 
</div>
 
</div>
 
</div>
753번째 줄: 734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初에 [[魏主]][[珪]]滅劉衛辰<font color="#0054FF" size="2">【劉淵之族也라】</font>하니 其子[[勃勃]]이 奔秦이어늘 [[秦主]][[興]]이 見而奇之하야 使鎭朔方이러니 久之에 復叛秦하고 自稱[[大夏天王]]하다
+
○ 十月에 燕大司馬恪이 圍段龕<font color="#0054FF" size="2">【龕은 音堪이라 初에 鮮卑段蘭이 領其衆하고 徙廣固러니 辛亥年에 來降하니 以爲鎭北將軍하고 封齊公이라】</font>於廣固하니 十一月에 龕이 面縛出降이어늘 恪이 撫安新民하고 悉定齊地하다
 
</div>
 
</div>
 
</div>
 
</div>
762번째 줄: 742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처음에 [[魏主]][[拓跋珪]]가 劉衛辰<font color="#0054FF" size="2">【劉衛辰은 劉淵의 종족이다.】</font>을 멸하자, 그 아들[[劉勃勃(赫連勃勃)]]이 秦나라로 도망하였다. [[秦主]][[姚興]]이 그를 보고 기특하게 여겨 朔方을 鎭撫鎭撫하게 하였는데, 오랜 뒤에 다시 秦나라를 배반하고 스스로 [[大夏天王]]이라 칭하였다.
+
○ 10월에 燕나라 大司馬大司馬[[慕容恪]]이 段龕<font color="#0054FF" size="2">【龕은 音이 감이다. 처음에 鮮卑族인 段蘭이 무리를 끌고서 廣固로 옮겨 갔는데, 신해년(351)에 晉나라에 와서 항복하니 그를 鎭北將軍으로 삼고 齊公에 봉하였다.】</font>을 廣固에서 포위하니, 11월에 [[段龕]]이 두 손을 등 뒤로 돌려 묶고 얼굴을 사람들에게 보이도록 앞으로 향하고 나와서 항복하였다. [[慕容恪]]이 새로 歸附한 백성들을 어루만져 위로하고 齊나라 지역을 다 평정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戊申]四年=====
+
=====[丁巳]升平元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774번째 줄: 753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戊申]四年이라 〈秦弘始十이요 魏天賜五年이요 南涼嘉平元年이라〉
+
[丁巳]升平元年이라 〈[[秦主]]苻堅永興元年이라 ○ 燕光壽元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禿髮傉檀]]<font color="#0054FF" size="2">【傉은 力沃切이니 利鹿孤之子라】</font>이 [[涼王]]하다
+
[[秦主]][[生]]이 飮酒無晝夜하야 乘醉多所殺戮하니 群臣이 得保一日을 如度十年이라 東海王堅<font color="#0054FF" size="2">【洪之孫이요 雄之子라】</font>이 素有時譽하야 與薛讚, 權翼<font color="#0054FF" size="2">【故姚襄參軍이라】</font>善이러니 [[讚]], [[翼]]이 密說[[堅]]曰 主上이 猜忌暴虐하야 中外離心하니 方今에 宜主秦祀者 非殿下而誰오 願早爲計하야 勿使他姓得之하소서 [[堅]]이 以問尙書尙書[[呂婆樓]]한대 [[婆樓]]曰 僕里舍에 有王猛者하니 其人謀略이 不世出이니 殿下宜請而咨之하소서 堅이 因婆樓以招猛하야 一見如舊友하고 語及時事에 堅大悅하야 自謂如劉玄德之遇諸葛孔明也라하니라
 +
</div>
 +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新增][[養心吳氏]]曰 [[孔明]]은 三代之遺才니 王猛이 豈其儔匹哉아 若論[[劉玄德]]之信任이면 則[[]]實無愧之矣리라
 
</div>
 
</div>
 
</div>
 
</div>
788번째 줄: 767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義熙 4년(무신 408) - 秦나라 弘始 10년이고, 魏나라 天賜 5년이고, 南涼의 嘉平 元年이다. -
+
升平 元年(정사 357) - [[秦主]][[苻堅]]의 永興 元年이다. ○ 燕나라 光壽 元年이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禿髮傉檀<font color="#0054FF" size="2">【傉은 음이 力沃切(녹)이니 禿髮利鹿孤의 아들이다.】</font>이 [[涼王]]을 칭하였다.
+
[[秦主]][[苻生]]이 밤낮없이 술을 마셔서 술김에 살육을 많이 자행하니, 群臣들이 하루 동안 목숨을 보전하는 것을 십 년처럼 여겼다. [[東海王]][[苻堅]]<font color="#0054FF" size="2">【東海王 苻堅은 蒲洪의 손자이고 苻雄의 아들이다.】</font>이 평소에 당시 사람들의 칭찬이 있어서 薛讚‧權翼<font color="#0054FF" size="2">【薛讚과 權翼은 옛날에 姚襄의 參軍이었다.】</font>과 친하였는데, [[薛讚]]과 [[權翼]]이 은밀히 [[苻堅]]을 설득하기를 “주상이 잔인하고 포학무도하여 中外의 마음이 떠났으니, 현재 秦나라의 제사를 주관해야 할 자는 전하가 아니고 누구이겠습니까. 바라건대 일찍 계책을 세워서 他姓으로 하여금 나라를 얻게 하지 마소서.” 하였다. [[苻堅]]이 尙書尙書[[呂婆樓]]에게 묻자, [[呂婆樓]]가 말하기를 “저희 마을에 사는 사람 중에 [[王猛]]이라는 자가 있어 그 사람의 모략이 좀처럼 세상에 나타나지 않을 만큼 뛰어나니, 전하께서는 그를 초청하여 자문하소서.” 하였다. [[苻堅]]이 [[呂婆樓]]를 통하여 [[王猛]]을 초대해서 한 번 만나 보고는 오래된 친구처럼 여겼으며, 당세의 일을 언급하자 [[苻堅]]이 크게 기뻐하여 스스로 [[劉玄德]]이 [[諸葛孔明]]을 만난 것과 같다고 여겼다.
 
</div>
 
</div>
 +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新增][[養心吳氏]]가 말하였다.
 
</div>
 
</div>
|}</div><div class="clsB">
+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己酉]五年=====
+
“[[孔明]]은 三代 시대의 遺才(후세의 뛰어난 인재)이니, [[王猛]]이 어찌 그에게 匹敵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만약 [[劉玄德]]의 신임을 가지고 논한다면 [[苻堅]]이 실로 [[劉玄德]]에게 부끄럽지 않을 것이다.”
</div><div class="contData">
+
</div>
 +
</div>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己酉]五年이라 〈秦弘始十一이요 [[魏太宗]][[拓跋嗣]]永興元年이라 ○ [[燕王]][[馮跋]]太平元年이요 西秦更始元年이라 ○ 舊大國二요 南涼, 北涼, 南燕, 西涼, 燕, 夏小國六이요, 新小國一이니 凡九僭國이라〉
+
梁平老<font color="#0054FF" size="2">【御史中丞也라】</font>等이 謂[[]]曰 主上失德하야 上下嗷嗷하야 人懷異志하니 燕, 晉二方이 伺隙而動이면 恐禍發之日에 家國俱亡일까하노니 此는 殿下之事也니 宜早圖之하소서 [[]]然之하다 堅이 與[[呂婆樓]]로 帥麾下三百人하야 鼓譟而進하니 宿衛<font color="#0054FF" size="2">【宿은 守也라】</font>將士 皆舍仗<font color="#0054FF" size="2">【仗은 五兵總名이니 五兵은 謂矛戟弓劍戈라】</font>歸堅호되 生猶醉寐라 堅兵이 引生置別室하고 廢爲越王이러니 尋殺之하다 堅이 乃去皇帝號하고 稱大秦天王이라하다
 
</div>
 
</div>
 
</div>
 
</div>
814번째 줄: 793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義熙 5년(기유 409) - 秦나라 弘始 11년이고, 魏나라 [[太宗]][[拓跋嗣]]의 永興 元年이다. [[燕王]][[馮跋]]의 太平 元年이고, 西秦의 更始 元年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둘이고, 南涼‧北涼‧南燕‧西涼‧燕‧夏 등 小國이 여섯이고, 새로운 小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아홉이다.-
+
梁平老<font color="#0054FF" size="2">【梁平老는 御史中丞이다.】</font> 등이 [[苻堅]]에게 이르기를 “주상이 德을 잃어 上下가 원망하여 사람들이 딴 마음을 품고 있으니, 燕나라와 晉나라 두 방면이 틈을 엿보아 출동하면 禍亂이 일어났을 때에 집안과 나라가 함께 망할까 두렵습니다. 이는 전하의 일이니, 빨리 도모하셔야 합니다.” 하니, [[苻堅]]이 이 말을 옳게 여겼다. [[苻堅]][[呂婆樓]]와 함께 휘하 300명을 거느리고서 북을 치고 함성을 지르며 진격하니, 궁궐을 宿衛<font color="#0054FF" size="2">【宿은 지킴이다.】</font>하던 장병들이 모두 병장기<font color="#0054FF" size="2">【仗은 다섯 가지 병기의 총칭이니, 다섯 가지 병기는 矛‧戟‧弓‧劍‧戈를 이른다.】</font>를 버리고 [[苻堅]]에게 歸附하였는데, [[苻生]]은 오히려 취하여 자고 있었다. [[苻堅]]의 군사들이 [[苻生]]을 끌어다가 別室에 유치하고 폐출하여[[越王]]으로 삼았다가 오래지 않아 그를 죽였다. [[苻堅]]이 마침내 [[皇帝]]의 칭호를 없애고[[大秦天王]]이라고 칭하였다.
 
</div>
 
</div>
 
</div>
 
</div>
824번째 줄: 802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劉裕]]抗表<font color="#0054FF" size="2">【抗은 擧也라】</font>伐南燕할새 帥舟師하고 自淮入泗하니 或謂[[]]曰 燕人이 若塞大峴<font color="#0054FF" size="2">【山名이니 其地險固하니 在琅邪郡陽都縣이라】</font>之險하고 或堅壁淸野면 大軍深入하야 不唯無功이요 將不能自歸하리니 奈何오 [[裕]]曰 吾慮之熟矣로라 鮮卑貪婪하야 不知遠計하야 進利虜獲하고 退惜禾苗라 謂我孤軍遠入하야 不能持久라하야 不過進據臨朐<font color="#0054FF" size="2">【東莞郡邑이니 屬靑州라 今益都府臨朐縣이라】</font>하고 退守廣固요 必不能守險淸野하리니 敢爲諸君保之하노라 [[裕]]過大峴호되 燕兵不出이라 [[裕]]擧手指天하야 喜形于色이어늘 左右曰 公이 未見敵而先喜는 何也잇고 [[裕]]曰 兵已過險하야 士有必死之志하고 餘粮棲畝하야 人無匱乏之憂하니 虜已入吾掌中矣로다 進與燕兵戰于臨朐하니 燕衆이 大敗라 斬[[段暉]]等大將十餘人하니 [[超]]遁還廣固하다 [[裕]]乘勝逐北<font color="#0054FF" size="2">【北은 乃陰方이니 軍敗曰北라 】</font>하야 至廣固하야 克其大城하니 [[超]]收衆入保小城이어늘 [[裕]]築長圍守之하니 北方之民이 執兵負粮하고 歸裕者日以千數러라
+
○ 十一月에 [[秦王]][[]]이 行至尙書하야 以文案不治라하야 免左丞{相}程卓官하고 以王猛代之하다 堅이 擧異才하고 修廢職하며 課農桑하고 恤困窮하며 禮百神하고 立學校하며 旌節義하고 繼絶世하니 秦民이 大悅이러라
 
</div>
 
</div>
 
</div>
 
</div>
833번째 줄: 810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劉裕]]가 表文을 올리고<font color="#0054FF" size="2">【抗은 들어 올리는 것이다.】</font>南燕을 정벌할 때에 舟師(水軍)를 거느리고 淮水로부터 泗水에 들어가니, 혹자가 [[劉裕]]에게 이르기를 “燕나라 사람이 만약 大峴山<font color="#0054FF" size="2">【大峴은 山의 이름이니 지역이 험고하다. 琅琊郡 陽都縣에 있다.】</font>의 험한 요새를 막고 혹 성벽을 굳게 지키고 〈적에게 먹을 것을 주지 않기 위해〉 들의 곡식을 깨끗이 없앤다면 큰 군대를 이끌고 깊이 쳐들어가서 공을 세우지 못할 뿐 아니라 장차 스스로 돌아오지 못할 것이니, 어찌합니까?” 하니, [[劉裕]]가 말하기를 “내가 이미 심사숙고해 보았다. 鮮卑(慕容超)는 탐욕스러워서 장구한 계책을 알지 못하여, 전진하면 노획하는 것을 이롭게 여기고 후퇴하면 벼싹을 아까워한다. 내가 고립된 군대를 이끌고 깊숙이 쳐들어 와서 지구전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저들은 전진하면 臨朐<font color="#0054FF" size="2">【臨朐는 東莞郡의 邑이니, 靑州에 속하였다. 지금의 益都府 臨朐縣이다.】</font>를 점거하고 후퇴하면 廣固를 지킴에 지나지 않을 것이요, 반드시 험한 곳을 지키고 들의 곡식을 말끔히 없애지 못할 것이니, 감히 諸君에게 보장하겠다.” 하였다.
+
○ 11월에 [[秦王]][[苻堅]]이 巡視巡視하다가 尙書臺尙書臺에 이르러서 文案文案이 제대로 다스려지지 못했다 하여 左丞左丞[[程卓]]을 직위에서 면직시키고[[王猛]]으로 대신하게 하였다. [[苻堅]]이 특이한 재능이 있는 자를 천거하고 폐지된 정사를 닦으며, 농업과 양잠을 권장하고 곤궁한 자들을 구휼하며, 여러 神들에게 제사를 올리고 학교를 세우며, 節義가 있는 인물을 표창하고 後嗣가 없는 賢者의 代를 이어주니, 秦나라 백성들이 크게 기뻐하였다.
 
</div>
 
</div>
 
+
</div>
 
+
|}</div><div class="clsB">
 +
=====[戊午]二年=====
 +
</div><div class="contData">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劉裕]]가 大峴山을 지났는데도 燕나라 군대가 나오지 않자, [[劉裕]]가 손을 들어 하늘을 가리키며 기뻐하는 기색이 얼굴에 완연하였다. 좌우가 말하기를 “公이 적을 보기도 전에 먼저 기뻐함은 어째서입니까?” 하니, [[劉裕]]가 대답하기를 “군대가 이미 험한 곳을 빠져나와서 군사들이 필사의 각오가 있을 것이요, 그들이 남겨 놓은 양식이 밭에 있어서 우리들이 궁핍할 우려가 없으니, 적은 이미 내 수중에 들어왔다.” 하였다. 전진하여 燕나라 군대와 臨朐에서 싸웠는데, 燕나라 군대가 크게 패하였다. [[段暉]] 등 大將大將 십여 명의 목을 베니, [[慕容超]]가 도망하여 廣固로 돌아갔다. [[劉裕]]가 승세를 타고 도망하는 자들<font color="#0054FF" size="2">【北은 바로 陰方이니, 군대가 패한 것을 北라 한다.】</font>을 추격하여 廣固에 이르러 큰 성(外城)을 함락하니, [[慕容超]]가 군사들을 거두어 작은 성(內城)에 들어가 지켰다. [[劉裕]]가 긴 포위망을 구축하고 지키니, 북방의 백성들이 병기를 쥐고 양식을 짊어지고 [[劉裕]]에게 귀의하는 자가 하루에 천 명으로 헤아릴 정도였다.
+
[戊午]二年이라 〈秦永興二年이요 燕光壽二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九月에 秦大旱이어늘 堅이 減膳徹樂하고 命后妃以下하야 悉去羅紈하고 開山澤之利하야 公私共之하고 息兵養民하니 旱不爲災라 [[王猛]]이 日親幸用事러라
 
</div>
 
</div>
 
</div>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升平 2년(무오 358) - 秦나라 永興 2년이고, 燕나라 光壽 2년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9월에 秦나라에 크게 가뭄이 들자, [[苻堅]]이 음식의 가짓수를 줄이고 음악을 연주하지 않고 后妃 이하에게 명하여 모두 비단옷을 입지 못하게 하였으며, 山林과 川澤의 이로움을 개방하여 公私가 함께 이용하게 하고 전투를 중지하고 백성들을 기르니, 가뭄이 들었으나 재앙이 되지 않았다. [[王猛]]이 날로 더욱 친애와 총애를 받아 用事하였다.
 +
</div>
 +
</div>
 +
|}</div><div class="clsB">
 +
=====[庚申]四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魏[[淸河王]][[紹]]<font color="#0054FF" size="2">【珪之庶子라】</font> 弑[[魏主]][[珪]]어늘 [[齊王]][[嗣]]<font color="#0054FF" size="2">【珪之長子也니 是爲太宗明元皇帝라】</font>聞變而出하니 大臣이 翕然奉迎이라 [[]][[]]하고 卽皇帝位하다
+
[庚申]四年이라 〈秦甘露二年이라 ○ 燕幽帝慕容暐建熙元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正月에 [[燕主]][[]]이 疾篤하야 召大司馬大司馬, [[太原王]][[]]하야 受遺詔輔政而卒하니 太子暐卽位하다
 
</div>
 
</div>
 
</div>
 
</div>
857번째 줄: 857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魏나라 [[淸河王]] 拓跋紹<font color="#0054FF" size="2">【淸河王 拓跋紹는 拓跋珪의 庶子이다.】</font>가 [[魏主]][[拓跋珪]]를 시해하였다. [[齊王]] 拓跋嗣<font color="#0054FF" size="2">【拓跋嗣는 拓跋珪의 長子이니, 이가 바로 太宗 明元皇帝이다.】</font>가 변고를 듣고 출동하니,大臣大臣들이 翕然히 받들어 맞이하였다. [[拓跋嗣]][[拓跋紹]]를 죽이고 황제에 즉위하였다.
+
升平 4년(경신 360) - 秦나라 甘露 2년이다. 燕나라 [[幽帝]][[慕容暐]]의 建熙 元年이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정월에 [[燕主]][[慕容雋]]이 병이 위독해지자, 大司馬大司馬‧[[太原王]][[慕容恪]]을 불러서 遺詔를 받아 정사를 보필하게 하고 죽으니, 太子太子[[慕容暐]]즉위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
|}
=====[庚戌]六年=====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庚戌]六年이라 〈秦弘始十二요 魏永興二年이라 ○ 是歲에 南燕亡하니 大二, 小六이니 凡八僭國이라〉
+
○ 朝廷이 初聞[[燕主]][[雋]]卒하고 皆以爲中原可圖라호되 [[桓溫]]曰 慕容恪이 尙在하니 憂方大耳라하더라
 
</div>
 
</div>
 
</div>
 
</div>
878번째 줄: 877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義熙 6년(경술 410) - 秦나라 弘始 12년이요,魏나라 永興 2년이다. ○ 이해에 南燕이 망하였다. 大國이 둘이요 小國이 여섯이니, 僭國이 모두 여덟이다.-
+
○ 晉나라 조정에서 처음에 [[燕主]][[慕容雋]]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는 모두 中原을 수복할 수 있다고 여겼으나 [[桓溫]]이 말하기를 “[[慕容恪]]이 아직 살아 있으니, 우환이 한창 크다.” 하였다.
 
</div>
 
</div>
 
</div>
 
</div>
888번째 줄: 88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謝安]]이 少有<font color="#0054FF" size="2">【少는 言自少라】</font>重名하야 前後徵辟에 皆不就하고 寓居會稽하야 以山水文籍自娛하니 雖爲布衣나 時人이 皆以公輔期之라 士大夫至相謂曰 [[安石]]이 不出하니 當如蒼生何오하니라 年四十餘에 [[桓溫]]이 請爲司馬司馬한대 安이 乃赴召하니 [[]]이 大喜하야 深禮重之러라
南燕尙書尙書[[悅壽]]<font color="#0054FF" size="2">【姓名也라】</font> 開門納晉師하니 [[超]]與左右數十騎로 踰城하야 突圍出走어늘 追獲之하다 [[]]忿廣固久不下하야 欲阬之하고 以妻女賞將士러니 [[韓範]]諫曰 晉室南遷에 中原鼎沸라 士民이 無援하야 彊則附之하니 旣爲君臣이면 必須爲之盡力이라 彼皆衣冠舊族이요 先帝遺民이라 今王師弔伐이어늘 而盡阬之<font color="#0054FF" size="2">【阬은 塹也, 陷也니 謂陷之於阬而殺之라】</font>면 使安所歸乎잇가 竊恐西北之人이 無復來蘇之望<font color="#0054FF" size="2">【書曰 徯我后하노니 后來하시면 其蘇라한대 蔡傳曰 蘇는 復生也니 謂后來면 我其復生也라】</font>矣일까하노이다 [[裕]]改容謝之라 然이나 猶斬王公以下三千人하고 沒入家口萬餘하고 夷其城隍<font color="#0054FF" size="2">【夷는 平之也요 城隍은 外塹也라 有水曰池요 無水曰隍이라】</font>하고 送[[]]詣建康하야 斬之하다
 
 
</div>
 
</div>
 
</div>
 
</div>
897번째 줄: 894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 [[謝安]]이 젊어서부터<font color="#0054FF" size="2">【少는 젊어서부터라는 뜻이다.】</font> 두터운 명망이 있어서 전후의 부름에 모두 나아가지 않고 會稽에 우거하여 山水와 文籍을 스스로 즐기니, 비록 포의의 신분이었으나 세상 사람들이 모두 公卿과 宰輔로 기대하였다. 사대부들이 심지어 서로 이르기를 “[[安石(謝安)]]이 세상에 나오지 않으니, 천하의 백성을 어찌해야 한단 말인가.” 하였다. 나이 40여 세에 [[桓溫]]이 司馬司馬가 될 것을 청하자 [[謝安]]이 마침내 부름에 달려가니, [[桓溫]]이 크게 기뻐하여 매우 예우하고 소중히 여겼다.
南燕의 尙書尙書 悅壽<font color="#0054FF" size="2">【悅壽는 姓名이다.】</font>가 성문을 열고 晉나라 군대를 받아들이니, [[慕容超]]가 좌우에서 따르던 騎兵 수십 명과 함께 성을 넘어 포위망을 뚫고 도망했는데 추격하여 사로잡았다. [[劉裕]]는 廣固가 오랫동안 항복하지 않은 것을 분하게 여겨서 성 안의 병사들을 묻어 죽이고 그들의 아내와 딸을 晉나라 장병들에게 상으로 주고자 하였는데, [[韓範]]이 간하기를 “晉나라 황실이 남쪽으로 천도하자, 中原이 물 끓듯 소란하였습니다. 선비와 백성들이 의지할 곳이 없어서 누구든 강대하면 그에게 歸附한 것이니, 이미 군신간이 되었으면 반드시 이들을 위하여 힘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저들은 모두 의관을 차려입은 舊族(예부터 내려온 지체 높은 집안)이요, 先帝의 遺民들입니다. 지금 王의 군대가 죄 있는 자를 정벌하여 불쌍한 백성들을 위로해야 할 터인데, 모조리 묻어 죽인다면<font color="#0054FF" size="2">【阬은 구덩이(참호)이고 빠지는 것이니, 구덩이에 빠뜨려 죽이는 것을 이른다.】</font> 백성들로 하여금 어디로 돌아가게 하겠습니까. 생각건대 西北 사람들이 다시는 의로운 군대가 와서 소생하게 해줄 것이라 희망<font color="#0054FF" size="2">【≪書經≫ 〈仲虺之誥〉에 이르기를 “우리 임금께서 오시기를 기다리니, 임금께서 오시면 소생할 것이다.” 하였는데, 蔡氏의 傳에 이르기를 “蘇는 다시 살아나는 것이니, 임금님이 오시면 우리들이 다시 살아남을 이른다.” 하였다.】</font>을 갖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하니, [[劉裕]]가 낯빛을 고치고 사례하였다. 그러나 오히려 王公 이하 관원 3천 명을 목 베고 그들의 家屬 1만여 명을 籍沒하여 노비로 삼고 廣固의 城隍을 깎아서 평평하게 만들었으며,<font color="#0054FF" size="2">【夷는 평평하게 하는 것이요, 城隍은 바깥 참호이다. 물이 있는 곳을 池라 하고 물이 없는 곳을 隍이라 한다.】</font>[[慕容超]]를 建康으로 압송하여 목을 베었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辛酉]五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辛酉]五年이라 〈秦甘露三年이라 ○ 燕建熙二年이라 ○ 是歲에 涼奉升平之號하니라〉
[[溫公]]曰 晉自濟江以來로 威靈不競하니 戎狄橫騖하야 虎噬中原이라 [[劉裕]]始以王師로 翦平東夏어늘 不於此際에 旌禮賢俊하고 慰撫疲民하야 宣愷悌之風하고 滌殘穢之政하야 使群士嚮風하고 遺黎企踵하고 而更恣行屠戮하야 以快忿心하니 迹其施設하면 曾[[]], [[]]<font color="#0054FF" size="2">【苻堅與姚萇이라】</font>之不如라 宜其不能蕩壹四海하야 成莫大之業이니 豈非雖有智勇이나 而無仁義하야 使之然哉아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五月에 帝崩하니 無嗣라 [[琅邪(琊)王]][[]] 卽皇帝位<font color="#0054FF" size="2">【帝崩하니 無嗣라 皇太后令曰 琅琊王丕는 中興正統이니 義望情地 莫與爲比라 其以爲王하야 奉大統하라하다】</font>하다
 
</div>
 
</div>
 
</div>
 
</div>
916번째 줄: 91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升平 5년(신유 361) 〈秦나라 甘露 3년이다. ○ 燕나라 建熙 2년이다. ○ 이해에 涼나라가 東晉[[穆帝]]의 연호인 升平을 받들어 사용하였다.
[[溫公]]이 말하였다.
 
 
</div>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5월에 황제가 崩하니, 후사가 없었다. [[琅琊王]][[司馬丕]]가 황제에 즉위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穆帝가 崩하니 후사가 없었다. 皇太后가 명령하기를 “琅琊王 司馬丕는 中興 후의 正統이니, 의리와 명망, 인정과 지위로 볼 때 비길 만한 자가 없다. 그를 황제로 삼아 大統을 받들게 하라.” 하였다.】</font>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晉나라가 남쪽으로 揚子江을 건너온 뒤로부터 국가의 威勢가 떨쳐지지 못하니, 오랑캐들이 횡행하여 범처럼 中原을 집어 삼켰다. [[劉裕]]가 처음에 王의 군대로 東夏(齊나라 지역)를 평정했는데, 이러한 때에 어진 이와 준걸스런 이를 표창하고 예우하며 지친 백성들을 위무하여, 화락한 풍속을 펴며 잔학하고 더러운 정사를 씻어서, 여러 선비들로 하여금 風聞만 듣고도 향하게 하고 오랑캐의 통치하에 있던 백성들로 하여금 발돋움하고 기다리게 하지 않고는 도리어 살육을 자행하여 분한 마음을 쾌하게 하였으니, 그의 행적을 살펴보면 일찍이 [[苻氏]]와 姚氏<font color="#0054FF" size="2">【苻와 姚는 前秦의 苻堅과 後秦의 姚萇이다.】</font>만도 못하다. 그가 四海를 통일하여 위대한 기업을 이루지 못한 것이 당연하니, 지모와 용맹은 있었으나 仁義가 없어서 그렇게 된 것이 아니겠는가.”
 
 
</div>
 
</div>
 
</div>
 
</div>
931번째 줄: 928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初에 [[徐道覆]]이 聞[[劉裕]]北伐하고 勸[[盧循]]<font color="#0054FF" size="2">【徐道覆은 廣州刺史盧循之妹夫也요 循은 乃孫恩之黨而恩之妹夫也니 見上己亥年이라】</font>하야 乘虛襲建康하니 [[]]이 從之하다 朝廷이 急徵[[劉裕]]하니 [[]]方議留鎭下邳하야 經營司, 雍<font color="#0054FF" size="2">【二州名이니 司州는 洛陽이요 雍州는 長安이라】</font>이러니 會得詔書하고 引兵還할새 以船載輜重하고 自帥精銳步歸라 至山陽하야 聞[[何無忌]]敗死<font color="#0054FF" size="2">【無忌引兵討[[盧循]]이라가 遇道覆하야 戰敗死之라】</font>하고 慮京邑失守하야 卷甲兼行하다
+
[[范寗]]이 好儒學하고 性質直이라 常(嘗)謂王弼, 何晏<font color="#0054FF" size="2">【魏人이니 見二十五卷己巳年이요 晏은 又見二十六卷丁巳年이라】</font>之罪가 深於[[]], [[]]<font color="#0054FF" size="2">【諡法에 賊人多殺曰桀이요 殘義損善曰紂라】</font>라 或以爲貶之太過라한대 [[]]曰 王, 何가 蔑棄典文하고 幽沈仁義하야 游辭浮說로 波蕩後生하야 使搢紳<font color="#0054FF" size="2">【搢은 揷也요 紳은 大帶也니 謂揷笏於紳也라 周禮註에 搢은 讀作薦이니 謂揷之於紳帶之間也라】</font>之徒로 翻然改轍하야 以至禮壞樂崩하고 中原傾覆하니 遺風餘俗이 至今爲患이라 [[]], [[紂]]는 縱暴一時나 適足以喪身覆國하야 爲後世戒하니 豈能迴百姓之視聽哉리오 故로 吾以爲一世之禍는 輕하고 歷代之患은 重하며 自喪之惡은 小하고 迷衆之罪는 大也라하노라
 
</div>
 
</div>
 
</div>
 
</div>
940번째 줄: 93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처음에 [[徐道覆]][[劉裕]]가 북쪽을 정벌한다는 말을 듣고 [[盧循]]에게 권하여<font color="#0054FF" size="2">【徐道覆은 廣州刺史 盧循의 妹夫이고, 盧循은 바로 孫恩의 黨이면서 孫恩의 妹夫이니, 앞의 己亥年條(399)에 보인다.】</font> 빈틈을 타서 建康을 습격하게 하니, [[盧循]]이 그 말을 따랐다. 朝廷에서 급히 [[劉裕]]를 부르니, [[劉裕]]가 막 下邳에 주둔해서 司州와 雍州<font color="#0054FF" size="2">【司州와 雍州는 두 州의 이름이니, 司州는 洛陽이고 雍州는 長安이다.】</font>를 경영할 것을 의논하고 있었는데, 마침 詔書를 받게 되자, 군대를 인솔하여 돌아올 적에 배에다 輜重을 싣고 자신은 정예병을 거느리고 도보로 돌아왔다. 山陽에 이르러 [[何無忌]]가 패전하여 죽었다<font color="#0054FF" size="2">【何無忌가 군대를 이끌고 盧循을 토벌하다가 徐道覆을 만나 전투에 패하여 죽었다.】</font>는 말을 듣고 京邑이 제대로 지켜지지 못할까 염려해서 갑옷을 벗어서 말아 짊어지고 행군 속도를 배가하였다.
+
[[范寗]]은 儒學을 좋아하며 성질이 질박하고 정직하였는데, 일찍이 말하기를 “[[王弼]][[何晏]]<font color="#0054FF" size="2">【王弼과 何晏은 魏나라 사람이니, 25권 己巳年條(249)에 보인다. 何晏은 또 26권 丁巳年條(297)에 보인다.】</font>의 죄가 [[]][[]]<font color="#0054FF" size="2">【諡法에 “사람을 해치고 많이 죽이는 것을 桀이라 하고, 의로운 사람을 해치고 선한 사람을 손상시키는 것을 紂라 한다.” 하였다.】</font>보다도 심하다.” 하였다. 혹자가 말하기를 “폄하하기를 너무 지나치게 한다.” 하자, [[范寗]]이 말하기를 “[[王弼]]과 [[何晏]]은 經典과 文獻을 멸시하며 仁義를 인멸시켜 근거 없는 말과 부화한 말로 후생들을 미혹시켰다. 그리하여 士大夫<font color="#0054FF" size="2">【搢은 꽂음이고 紳은 큰 띠이니, 搢紳은 笏을 큰 띠에 꽂는 것을 이른다. ≪周禮≫ 註에 “搢은 천(진)으로 읽으니, 紳帶의 사이에 꽂는 것을 이른다.” 하였다.】</font>들로 하여금 번연히 발자취를 고치게 하여 禮樂이 붕괴되고 中原이 전복되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으며 남은 풍속이 지금까지도 폐해가 되고 있다. [[桀]]‧[[紂]]비록 한 때에 방종하고 포학하였으나 다만 자기 몸을 죽이고 나라를 전복시켜서 후세의 경계가 될 뿐이니, 어찌 백성들의 보고 들음을 바꿀 수 있었겠는가. 그러므로 나는 생각건대 한 대의 禍患은 가볍고 역대의 禍患은 중하며, 자기 몸을 망치는 죄악은 작고 무리를 미혹시키는 죄악은 크다고 여긴다.” 하였다.
 
</div>
 
</div>
 
</div>
 
</div>
950번째 줄: 94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五月에 [[劉毅]]與[[循]]으로 戰于桑落(州)[洲]하야 [[]]兵이 大敗라 乙丑에 [[盧循]]이 至淮口하니 中外戒嚴이라 [[裕]]謂將佐曰 賊이 若於新亭直進이면 其鋒을 不可當이니 宜且迴避어니와 若回泊西岸이면 此成擒爾니라 十二月에 裕帥衆軍하고 齊力擊[[循]]하니 [[循]]兵이 大敗라 走趣豫章이라가 收散卒하야 徑還番禺<font color="#0054FF" size="2">【番는 音波라】</font>하다
+
十二月에 [[秦王]][[]]이 命牧伯守宰하야 各擧孝悌廉直과 文學政事호되 察其所擧하야 得人者는 賞之하고 非其人者는 罪之하니 由是로 人莫敢妄擧하고 而請託不行이라 當是之時하야 內外之官이 率皆稱職하야 田疇修闢하니 倉庫充實하고 盜賊이 屛息<font color="#0054FF" size="2">【屛은 蔽也요 息은 鼻息也라 屛藏其氣息은 言懼甚也라】</font>이러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史略 史評]史斷曰 [[康帝]]는 降年不永하니 無足多者요 [[穆帝]]는 襁褓之資로 母后稱制하야 中外無事 十有餘年이라 維時에 石虎死하야 胡中大亂이어늘 朝廷이 乃用殷浩하야 蕩平關河라 然이나 用違其才하야 卒致山桑之敗하니 晉之威權이 自此로 一歸[[桓溫]]矣라 蓋[[溫]]與浩 少而齊名하니 晉人之用浩는 本圖抗溫이라 故로 其敗也에 溫之勢浸以熾焉하니라
 
</div>
 
</div>
 
</div>
 
</div>
959번째 줄: 95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5월에 [[劉毅]][[盧循]]과 桑落洲에서 싸워 [[劉毅]]의 군대가 대패하였다. 乙丑日(14일)[[盧循]]이 淮口에 이르니, 中外가 삼엄하게 경계하였다. [[劉裕]]가 장수와 보좌들에게 이르기를 “적이 만약 新亭에서 곧바로 밀고 들어오면 그들의 銳鋒(날카롭게 공격하는 기세)을 당해낼 수 없으니 마땅히 우선 회피해야 하겠지만, 만약 진로를 바꾸어 西岸에 정박한다면 우리에게 사로잡히게 될 뿐이다.” 하였다.
+
12월에 [[秦王]][[苻堅]]이 牧牧‧伯伯‧守守‧宰宰에게 명하여 각각 孝悌와 廉直과 文學과 政事 등의 科目으로 인재를 천거하게 하되 천거된 사람을 살펴서 적임자인 경우에는 천거한 사람에게 상을 내리고 적임자가 아닌 경우에는 죄를 주니, 이로 말미암아 사람들이 감히 망령되이 천거하지 못하고 청탁이 행해지지 않았다. 이때를 당하여 內外의 관직이 모두 잘 수행되어 田野가 닦여지고 개간되니, 창고가 충실하고 도적들이 숨을 죽였다.<font color="#0054FF" size="2">【屛은 가리는 것이요 息은 코로 숨을 쉬는 것이다. 숨을 죽였다는 것은 두려움이 심함을 말한다.】</font>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康帝康帝는 수명이 길지 못하였으니 칭찬할 만한 점이 없고, [[穆帝]]는 포대기에 싸인 어린 아이로 母后母后가 稱制하여 나라 안팎이 무사한 것이 십여 년이었다. 이때에 [[石虎]]가 죽어 오랑캐가 크게 어지러웠는데, 조정에서 [[殷浩]]를 등용하여 關河(요해처)를 완전히 평정하였다. 그러나 인재를 잘못 등용하여 끝내 山桑의 패배를 불러 왔으니, 晉나라의 위세와 권력이 이로부터 한결같이 [[桓溫]]에게로 돌아갔다. [[桓溫]]과 [[殷浩]]는 젊어서부터 명성이 대등하였으니, 晉나라에서 [[殷浩]]를 등용한 것은 본래 [[桓溫]]에게 대적하려 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殷浩]]가 패배하자 [[桓溫]]의 세력이 점차 강성해진 것이다.”
 +
</div>
 +
</div>
 +
|}</div><div class="clsB">
 +
====哀皇帝====
 +
</div><div class="clsB">
 +
=====哀皇帝 名丕요 字千齡이니 成帝長子라 在位四年이요 壽二十五라=====
 +
</div><div class="contData">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哀皇帝]]<font color="#0054FF" size="2">【恭仁短折曰哀라】</font> 名[[丕]]요 字[[千齡]]이니 [[成帝]]長子라 在位四年이요 壽二十五라
 +
</div>
 
</div>
 
</div>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12월에 [[劉裕]]가 많은 군대를 거느리고 힘을 합하여 [[盧循]]을 공격하니, [[盧循]]의 군대가 대패하였다. 도망하여 豫章으로 향했다가 흩어진 군대를 수합하여 곧바로 番禺<font color="#0054FF" size="2">【番는 음이 파이다.】</font>로 돌아갔다.
+
哀皇帝<font color="#0054FF" size="2">【공손하고 어질지만 일찍 죽은 것을 哀라 한다.】</font>는 이름이 [[丕]]요 字가 [[千齡]]이니, [[成帝]]의 長子이다. 재위가 4년이고 壽가 25세이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辛亥]七年=====
+
=====[壬戌]隆和元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976번째 줄: 994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辛亥]七年이라 〈秦弘始十三이요 魏永興三年이라〉
+
[壬戌]隆和元年이라 〈秦甘露四年이요 燕建熙三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四月에 [[盧循]]이 奔交州어늘 刺史刺史[[杜慧度]]斬之<font color="#0054FF" size="2">【循至龍編津하니 杜慧度 悉散家財以賞軍士하고 與循合戰할새 擲雉尾炬하야 焚其艦하고 以步兵俠岸射之하니 衆潰하야 自投于水어늘 慧度取尸斬首하야 函送建康하니라】</font>하야 送首建康하다
+
正月에 [[桓溫]]이 上疏하야 請遷都洛陽하고 自永嘉之亂<font color="#0054FF" size="2">【懷帝爲劉聰所執이라】</font>으로 播流江表<font color="#0054FF" size="2">【播流는 播越流離也요 江表는 中原以江南爲江表라】</font>者를 請一切北徙하야 以實河南한대 朝廷이 畏溫하야 不敢爲異나 而北土蕭條하야 人情이 疑懼하니 雖竝知不可나 莫敢先諫이러라 散騎常侍孫綽이 上疏曰 昔에 中宗<font color="#0054FF" size="2">【元帝廟號라】</font>龍飛에 非惟信順<font color="#0054FF" size="2">【易大傳曰 天之所助者順也요 人之所助者信也라】</font>協於天人이요 實賴萬里長江하야 畫而守之耳러니 今自喪亂已來로 六十餘年<font color="#0054FF" size="2">【自賈后之廢하고 趙王倫之誅로 繼而諸王交兵하고 胡羯乘之而起하야 天下大亂이 至是六十餘年이라】</font>에 河, 洛丘墟하고 函夏<font color="#0054FF" size="2">【函은 謂函谷關이니 關之東爲中夏也라 故曰函夏也라 又函은 容也요 夏는 大也니 言中原之地 所函容者大也라】</font>蕭條하야 士民이 播流江表하야 已經數世라 存者는 老子長孫하고 亡者는 丘隴成行하니 雖北風之思<font color="#0054FF" size="2">【詩北風篇曰 北風其喈하니 雨雪其霏로다 惠而好我로 携手同歸라하니라[頭註]胡馬는 每北風則翹首北望이라】</font>가 感其素心이나 目前之憂 實爲交切이라 植根江外<font color="#0054FF" size="2">【中原以江南爲江外라】</font> 數十年矣어늘 一朝에 頓欲拔之하야 驅踧於空荒之地<font color="#0054FF" size="2">【頓은 遽也라 踧은 音祝이니 至也요 又行謹敬也라】</font>하니 提挈萬里에 踰險浮深하야 離墳墓, 棄生業이면 田宅을 不可復售<font color="#0054FF" size="2">【售는 賣物去手라】</font>요 舟車를 無從而得이라 捨安樂之國하고 適習亂之鄕은 國家之所宜深慮也니이다 [[王述]]曰 [[溫]]이 欲以虛聲威朝廷耳요 非實事也니 但從之면 自無所至리이다 事果不行하다 [[溫]]이 又議移洛陽鍾虡<font color="#0054FF" size="2">【虡는 音巨니 鍾鼓之跗에 以猛獸爲飾이라 又作鐻하니 樂器所懸이니 橫曰筍이요 植曰虡라】</font>어늘 述曰 永嘉不競<font color="#0054FF" size="2">【競은 疆也라 懷帝永嘉五年에 爲劉聰所獲이라 故云永嘉不競也라니라】</font>하야 暫都江左하니 方當蕩平區宇하고 旋軫舊京이요 若其不爾면 宜改遷園陵이니 不應先事鍾虡니라 [[溫]]이 乃止하다
 
</div>
 
</div>
 
</div>
 
</div>
990번째 줄: 1,00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義熙 7년(신해 411) - 秦나라 弘始 13년이고, 魏나라 永興 3년이다. -
+
隆和 元年(임술 362) - 秦나라 甘露 4년이고, 燕나라 建熙 3년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정월에 [[桓溫]]이 上疏하여 洛陽으로 천도할 것을 청하고, 永嘉의 난리<font color="#0054FF" size="2">【永嘉의 亂은 晉 懷帝가 漢나라(前趙)의 劉聰에게 사로잡힌 일을 가리킨다.】</font>로부터 江外(江南)로 옮겨 온<font color="#0054FF" size="2">【播流는 피난하여 이곳저곳으로 떠돌아다니는 것이요, 江表는 中原에서 揚子江 남쪽 지역을 江表라 하였다.】</font> 자들을 일체 북쪽으로 옮겨서 河南을 충실히 할 것을 청하였는데, 조정에서 [[桓溫]]을 두려워하여 감히 異見을 말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북쪽 지방이 황량하여 민심이 의심하고 두려워하니 비록 모두들 옮기는 것이 불가함을 알았으나 감히 먼저 간하지 못하였다. 散騎常侍散騎常侍[[孫綽]]이 상소하기를 “옛날 [[中宗(元帝)]]<font color="#0054FF" size="2">【中宗은 元帝의 廟號이다.】</font>이 즉위하자 誠信과 和順함<font color="#0054FF" size="2">【≪周易≫ 〈繫辭傳〉에 이르기를 “하늘이 돕는 것은 順함이요(하늘은 이치를 순히 따르는 자를 도와주고), 사람이 돕는 것은 誠信이다.(사람은 성실한 자를 도와준다)” 하였다.】</font>이 天意와 民心에 합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로 萬里의 長江에 의지해서 경계로 삼아 지켰습니다. 이제 국가에 난리가 있은 이래로 60여 년인데,<font color="#0054FF" size="2">【[頭註]今自喪亂已來 六十餘年:賈后가 폐출되고 趙王 司馬倫이 죽임을 당함으로부터 계속하여 諸王이 서로 交戰하고 胡와 羯이 이 틈을 타고 일어나 천하가 크게 어지러웠는데, 이때에 이르러 60여 년이 되었다.】</font>黃河와 洛陽 일대가 빈 터가 되고 函夏(中原 지역)<font color="#0054FF" size="2">【函은 函谷關을 이르니, 함곡관의 동쪽이 中夏이므로 函夏라고 이른 것이다. 또 函은 용납하는 것이고 夏는 큼이니, 中原 지역은 포용하는 것이 큼을 말한 것이다.】</font>가 쓸쓸하여 관리와 백성들이 江外로 옮겨 온 지 이미 몇 대가 지났습니다. 그리하여 생존한 자는 자식이 이미 늙고 손자가 장성했으며 죽은 자는 무덤이 행렬을 이루고 있으니, 비록 北方에 대한 그리움<font color="#0054FF" size="2">【[釋義]≪詩經≫ 〈北風篇〉에 이르기를 “北風이 차갑게 부니 함박눈이 펄펄 내리도다. 사랑하여 나를 좋아하는 이와 손을 잡고 함께 돌아가리라.” 하였다.[頭註]胡馬는 매양 北風이 불면 머리를 들고 북쪽을 바라본다.】</font>이 평소 그들의 마음을 흔들리게 하지만 目前의 우환이 실로 더욱 절박합니다. 江外<font color="#0054FF" size="2">【江外는 中原에서 揚子江 남쪽 지역을 江外라고 한다.】</font>에 뿌리를 내린 지가 수십 년인데 하루아침에 갑자기 뽑아다가 텅 비고 황량한 땅에 내몰고자 하니,<font color="#0054FF" size="2">【[頭註]頓欲拔之 驅踧於空荒之地:頓은 갑자기이다. 踧은 音이 축이니 이르는 것이요, 또 행실을 삼가고 공경하는 것이다.】</font> 가솔들을 이끌고 만 리를 감에 험한 산을 넘고 깊은 물을 건너서 先塋을 떠나고 生業을 버리게 되면 田地와 집을 다시 살<font color="#0054FF" size="2">【售는 물건을 팔아서 手中을 떠난 것이다.】</font> 수가 없고 배와 수레를 얻을 길이 없습니다. 안락한 나라를 버리고 오랫동안 전란을 겪었던 고향으로 가는 것은 국가가 깊이 염려해야 할 바입니다.” 하였다. [[王述]]이 말하기를 “[[桓溫]]이 큰소리쳐서 조정을 위협하고자 한 것일 뿐이지 실제의 일이 아니니, 다만 그대로 따르면 저절로 이르는 바가 없을 것입니다.” 하였는데, 일이 과연 행해지지 않았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4월에 [[盧循]]이 交州로 도망하자, 交州刺史交州刺史[[杜慧度]]가 그의 목을 베어<font color="#0054FF" size="2">【盧循이 龍編津에 이르니, 杜慧度가 家財를 다 털어 軍士들에게 상을 주고 盧循과 맞붙어 싸울 때에 雉尾炬를 던져서 戰艦을 불태우고 步兵을 거느리고서 강 언덕을 끼고 활을 쏘니, 盧循의 무리가 궤멸되었다. 盧循이 강물 속으로 뛰어들어 죽자, 杜慧度가 盧循의 시체를 건져서 목을 베어 함에 넣어 建康으로 보냈다.】</font> 首級을 建康으로 보내었다.
+
[[桓溫]]이 또 洛陽의 종과 종틀<font color="#0054FF" size="2">【虡는 音이 거이니 종과 북의 받침에 猛獸를 붙여서 장식한 것이다. 또 鐻로도 쓰니 樂器를 매다는 것이다. 가로로 된 것을 筍이라 하고 세로로 된 것을 虡라 한다.】</font>을 옮겨 올 것을 의논하자, [[王述]]이 말하기를 “永嘉年間에 강성하지 못하여<font color="#0054FF" size="2">【競은 강함이다. 懷帝 永嘉 5년(311)에 劉聰에게 사로잡혔으므로 ‘永嘉 年間에 강성하지 못했다’고 말한 것이다.】</font> 잠시 江左(江南)에 도읍하고 있으니, 바야흐로 區宇(온 천하)를 평정하고 곧바로 옛 서울로 돌아가야 할 것이요, 만약 그렇게 하지 못한다면 先帝의 陵墓를 옮겨 와야 할 것이니, 먼저 종과 종틀을 옮겨 오는 것은 마땅하지 않습니다.” 하니, [[桓溫]]이 이에 중지하였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癸丑]九年=====
+
=====[癸亥]興寧元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1,007번째 줄: 1,022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癸丑]九年이라 〈秦弘始十五요 魏永興五年이요 夏鳳翔元年이라〉
+
[癸亥]興寧元年이라 〈秦甘露五年이요 燕建熙四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夏王]][[勃勃]]이 以[[叱(于)[干]阿利]]<font color="#0054FF" size="2">【叱干은 代北複姓也요 阿利는 其名이라】</font>로 領將作大匠將作大匠하야 發嶺北夷, 夏十萬人하야 築都城於朔方水北, 黑水之南<font color="#0054FF" size="2">【朔方水北은 資治에 水作郡이라 [通鑑要解]勃勃曰 朕方統一天下하야 君臨萬邦하니 新城宜名統萬이라하다】</font>하다 [[阿利]]性巧而殘忍하야 蒸土築城할새 錐入一寸이면 卽殺作者而幷築之어늘 [[勃勃]]이 以爲忠이라하야 委任之하니 凡造兵器成에 呈之하면 工人이 必有死者라 射甲不入則斬弓人하고 入則斬甲匠하니 由是로 器物이 皆精利러라 [[勃勃]]이 謂古人氏族無常이라하야 改姓[[赫連氏]]<font color="#0054FF" size="2">【言其徽赫與天連也라】</font>하다
+
五月에 加[[桓溫]]侍中, 大司馬, 都督中外諸軍, 錄尙書事<font color="#0054FF" size="2">【錄은 總也라】</font>하다 溫이 以王坦之로 爲長史하니 坦之는 述之子也요 又以郗超로 爲參軍하고 王珣으로 爲主簿하야 每事를 必與二人謀之하니 府中이 爲之語曰 [[髥參軍]], [[短主簿]]<font color="#0054FF" size="2">【以超多髥하고 而珣體短也일새라】</font>는 能令公喜하고 能令公怒라하더라 珣與謝玄이 皆爲溫掾이러니 溫이 俱重之하야 曰 謝掾은 年四十에 必擁旄杖節<font color="#0054FF" size="2">【旄節은 見三卷庚辰下의 旌旄節旗注하니라 [通鑑要解]言當方面也라】</font>이요 王掾은 當作黑頭公이니 皆未易才<font color="#0054FF" size="2">【未易는 言難得也라】</font>也라하니 玄은 奕之子也러라
 
</div>
 
</div>
 
</div>
 
</div>
1,021번째 줄: 1,033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義熙 9년(계축 413) - 秦나라 弘始 15년이고, 魏나라 永興 5년이고, 夏나라 鳳翔 元年이다. -
+
興寧 元年(계해 363) - 秦나라 甘露 5년이고, 燕나라 建熙 4년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夏王]][[劉勃勃]]이 叱干阿利<font color="#0054FF" size="2">【叱干은 代北 지방의 複姓이고, 阿利는 이름이다.】</font>로 將作大匠將作大匠을 겸하게 하여 嶺北에서 오랑캐와 漢族 10만 명을 징발해서 朔方水 이북과 黑水 이남에 都城을 쌓게 하였다.<font color="#0054FF" size="2">【[頭註]朔方水北은 ≪資治通鑑≫에 水字가 郡字로 되어 있다. [通鑑要解]赫連勃勃이 말하기를 “朕이 비로소 天下를 통일하여 萬邦에 군림하였으니, 새로 쌓은 城은 마땅히 統萬이라 이름해야 한다.” 하였다.】</font>[[叱干阿利]]는 성품이 아첨을 잘하고 잔인하여 진흙을 쪄서 성을 쌓을 때에 송곳이 한 치 깊이만 들어가면 즉시 그 담장을 쌓은 자를 죽여서 그 시체를 진흙과 함께 쌓았다. [[劉勃勃]]이 이것을 충성이라 여겨서 그에게 위임하니, 무릇 병기를 만들어 올리면 工人 중에 반드시 죽임을 당하는 자가 있었다. 갑옷을 활로 쏘아서, 화살이 들어가지 않으면 활을 만든 사람을 목 베고 화살이 들어가면 갑옷을 만든 자를 목 베니, 이로 말미암아 기물이 모두 정교하고 예리했다. [[劉勃勃]]이 古人의 姓氏에 일정한 규정이 없다 하여 姓을 赫連氏<font color="#0054FF" size="2">【赫連은 아름다움과 밝게 빛남이 하늘과 이어져 있음을 이른다.】</font>로 고쳤다.
+
5월에 [[桓溫]]에게 侍中‧大司馬‧都督中外諸軍‧錄尙書事侍中‧大司馬‧都督中外諸軍‧錄尙書事<font color="#0054FF" size="2">【錄은 총괄함이다.】</font>를 가하였다. [[桓溫]]이 [[王坦之]]를 長史長史로 삼으니 [[王坦之]]는 [[王述]]의 아들이다. 또 [[郗超]]를 參軍으로 삼고 [[王珣]]을 主簿主簿로 삼아서 매사를 반드시 두 사람과 상의하니, 府中 사람들이 말하기를 “수염이 긴 參軍과 키가 작은 主簿主簿<font color="#0054FF" size="2">【[頭註]髥參軍 短主簿:수염이 긴 參軍과 키가 작은 主簿라고 한 것은 郗超는 수염이 많고 王珣은 체구가 왜소하였기 때문이다.】</font>가 [[令公(桓溫)]]을 기쁘게도 하고 [[令公]]을 노여워하게도 한다.” 하였다. [[王珣]][[謝玄]]이 모두 [[桓溫]]의 掾屬掾屬이 되었는데, [[桓溫]]이 모두 소중히 여겨 말하기를 “[[謝掾]]은 나이 40에 반드시 깃발을 끼고 節을 잡을 것이요<font color="#0054FF" size="2">【[頭註]旄와 節은 3권의 庚辰年條(B.C.221) 아래의 旌旄節旗 注에 보인다. [通鑑要解]깃발을 끼고 節을 잡는다는 것은 方面을 담당할 것임을 말한다.】</font>[[王掾]]은 마땅히 黑頭 相公相公이 될 것이니, 모두 쉽게 얻을 수 있는 인재가 아니다.<font color="#0054FF" size="2">【쉽지 않다는 것은 얻기 어려움을 말한다.】</font>” 하였다. [[謝玄]]은 [[謝奕]]의 아들이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乙卯]十一年=====
+
=====[甲子]二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1,038번째 줄: 1,047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乙卯]十一年이라 〈秦弘始十七이요 魏神瑞二年이라〉
+
[甲子]二年이라 〈秦甘露六年이라 ○ 燕建熙五年이라 ○ 涼西平博公張天錫一年이라〉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秦王]][[]]이 卒하고 [[太子]][[泓]]이 卽帝位하다
+
正月에 以揚州刺史揚州刺史[[王述]]로 爲尙書令尙書令하다 [[王述]]이 每授職에 不爲虛讓하고 其所辭는 必於所不受러니 及爲尙書令하야 子坦之白述호되 故事當讓이라한대 [[]]曰 汝謂我不堪耶아 坦之曰 非也라 但克讓이 自美事耳니이다 述曰 旣爲堪之어니 何爲復讓이리오 人言汝勝我라호되 定不及也로다
 
</div>
 
</div>
 
</div>
 
</div>
1,052번째 줄: 1,058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義熙11년(을묘 415) - 秦나라 弘始 17년이고, 魏나라 神瑞 2년이다. -
+
興寧 2년(갑자 364) - 秦나라 甘露 6년이다. ○ 燕나라 建熙 5년이다. ○ 涼나라 [[西平博公]][[張天錫]] 1년이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정월에 [[秦王(後秦)]][[姚興]]이 죽고태자태자[[姚泓]]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
정월에 揚州刺史揚州刺史[[王述]]을 尙書令尙書令으로 삼았다. [[王述]]이 벼슬에 제수될 때마다 겉으로만 사양하는 체하지 않고, 사양할 때는 반드시 받지 않을 경우에만 사양하였다. [[王述]]이 尙書令尙書令이 되자 아들[[王坦之]]가 [[王述]]에게 아뢰기를 “故事에 비춰 보건대 마땅히 사양하여야 합니다.” 하니, [[王述]]이 말하기를 “너는 내가 이 벼슬을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느냐?” 하였다. [[王坦之]]가 말하기를 “아닙니다. 다만 사양하는 것이 본래 아름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하니, [[王述]]이 말하기를 “이미 감당할 수 있으니 어찌 다시 사양하겠느냐. 사람들은 네가 나보다 낫다고 말하나 너는 참으로 나에게 미치지 못한다.” 하였다.
 
</div>
 
</div>
 
</div>
 
</div>
1,067번째 줄: 1,070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三月에 太尉太尉[[裕]]戒嚴하야 將伐秦할새 [[裕]]以[[劉穆之]]爲左僕射左僕射하야 入居東府<font color="#0054FF" size="2">【東府城은 安帝所築이라】</font>하야 總攝內外하니 [[穆之]]內總朝政하고 外供軍旅할새 決斷如流라 賓客輻湊<font color="#0054FF" size="2">【輻은 輪中木之直指轂者니 凡輪有三十輻하야 共湊於一轂일새 以諭四方皆來라】</font>하야 求訴百端하고 內外諮稟이 盈堦滿室호되 目覽辭訟하고 手答牋書하며 耳行聽受하고 口竝酬應하야 不相參涉하고 悉皆贍擧러라
+
三年에 帝崩<font color="#0054FF" size="2">【帝信方士하야 斷穀餌藥이러니 藥發하야 崩하다】</font>하고 琅琊王奕이 卽皇帝位하다
 
</div>
 
</div>
 
</div>
 
</div>
1,076번째 줄: 1,078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3월에 太尉太尉[[劉裕]]가 삼엄하게 경계하여 秦나라(後秦)를 정벌하려 할 적에 [[劉裕]]가 [[劉穆之]]를 尙書左僕射尙書左僕射로 삼아 東府<font color="#0054FF" size="2">【東府城은 安帝가 쌓은 것이다.】</font>에 들어가 있으면서 조정 안팎의 일을 總攝하게 하니, [[劉穆之]]가 안으로는 조정의 정사를 총괄하고 밖으로는 군대에 군수품을 공급할 적에 일을 물 흐르듯 막힘없이 처리하였다. 賓客들이 사방에서 몰려들어<font color="#0054FF" size="2">【輻은 수레바퀴 가운데의 나무가 곧게 바퀴통으로 향한 것이니, 수레바퀴에는 30개의 바퀴살이 있어서 모두 한 바퀴통으로 집중되므로 이로써 사방에서 모두 몰려옴을 비유한 것이다.】</font> 요구하고 소송하는 것이 천만 가지이고, 내외에서 자문하고 보고하는 자들이 뜰에 가득하고 방 안에 가득하였으나, 눈으로는 글과 訟辭를 보고 손으로는 牋書에 답을 하며 귀로는 남의 말을 듣고 입으로는 함께 수응(응대)하되 서로 뒤섞임 없이 모두 여유 있게 행하였다.
+
興寧 3년(을축 365)에 황제가 崩하고,<font color="#0054FF" size="2">【황제가 方士의 말을 믿어 穀類를 끊고 藥을 먹었는데, 藥毒이 나와 崩하였다.】</font>[[琅琊王]][[司馬奕]]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div>
 
</div>
 
</div>
 
</div>
1,086번째 줄: 1,087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八月丁巳에 [[]]發建康할새 遣[[王鎭惡]], [[檀道濟]], [[沈田子]]等하야 數道竝進하다
+
三月에 燕太宰太宰[[]][[吳王]][[]]<font color="#0054FF" size="2">【[[慕容皝]]第五子也니 雋立하야 封垂爲吳王이라】</font> 共攻洛陽克之하고 引兵略河南諸城<font color="#0054FF" size="2">【略은 與掠通이라】</font>하야 盡下之하다
 
</div>
 
</div>
 
</div>
 
</div>
1,095번째 줄: 1,09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8월 丁巳日(12일)에 [[劉裕]]가 建康을 출발할 때에 [[王鎭惡]][[檀道濟]]‧[[沈田子]] 등을 보내어 여러 길로 일제히 진군하게 하였다.
+
3월에 燕나라 太宰太宰[[慕容恪]][[吳王]][[慕容垂]]<font color="#0054FF" size="2">【吳王 慕容垂는 慕容皝의 다섯째 아들이니, 慕容雋이 즉위한 다음 慕容垂를 봉하여 吳王으로 삼았다.】</font>가 함께 洛陽을 공격하여 이긴 다음 군대를 이끌고 河南의 여러 성을 공격하여<font color="#0054FF" size="2">【略은 掠字와 통용한다.】</font> 모두 항복시켰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帝奕====
 +
</div><div class="clsB">
 +
=====帝奕 字延齡이니 成帝次子也라=====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九月에 [[王鎭惡]]<font color="#0054FF" size="2">【王猛孫也라】</font>, [[檀道濟]]入秦境하야 所向皆捷이라 進逼洛陽하야 克之하다
+
帝奕 字[[延齡]]이니 [[成帝]]次子也라 後爲[[桓溫]]廢하야 爲[[海西公]]하니 史曰 廢帝라 在位六年이요 壽四十五라
 
</div>
 
</div>
 
</div>
 
</div>
1,114번째 줄: 1,11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9월에 王鎭惡<font color="#0054FF" size="2">【王鎭惡은 王猛의 손자이다.】</font>과 [[檀道濟]]가 秦나라 경내에 들어가서 향하는 곳마다 모두 승리하였다. 전진하여 洛陽을 압박하여 점령하였다.
+
황제 [[司馬奕]]은 字가 [[延齡]]이니, [[成帝]]의 次子이다. 뒤에 [[桓溫]]에게 폐위당하여[[海西公]]이 되니, 역사책에는 [[廢帝]]라 하였다. 재위가 6년이고 壽가 45세이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丁巳]十三年=====
+
=====[丁卯]太和二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1,126번째 줄: 1,127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丁巳]十三年이라 〈秦永和二요 魏泰常二年이라 ○ [[西涼公]][[李歆]]嘉興元年이라 ○ 是歲에 秦亡하니 大一, 小五니 凡六僭國이라〉
+
[丁卯]太和二年이라 〈秦建元三年이요 燕建熙八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太原王]][[]]<font color="#0054FF" size="2">【皝之第四子라】</font>이 疾病이어늘 暐<font color="#0054FF" size="2">【皝之第二子雋之子라】</font>親視之하고 問以後事한대 恪曰 吳王이 文武兼資하야 管, 蕭之亞니 陛下若任以大政이면 國家可安이어니와 不然이면 秦, 晉이 必有窺窬<font color="#0054FF" size="2">【窬는 音由니 門邊小竇也라】</font>之計하리이다 言終而卒하다 [[秦王]][[堅]]이 聞恪卒하고 陰有圖燕之計러라
 
</div>
 
</div>
 
</div>
 
</div>
1,135번째 줄: 1,138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義熙13년(정사 417) - 秦나라 永和 2년이고, 魏나라 泰常 2년이다. [[西涼公]][[李歆]]의 嘉興 元年이다. ○ 이해에 秦(後秦)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하나이고 小國이 다섯이니, 僭國이 모두 여섯이다.-
+
太和 2년(정묘 367) - 秦나라 建元 3년이고, 燕나라 建熙 8년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燕나라 [[太原王]] 慕容恪<font color="#0054FF" size="2">【太原王 慕容恪은 慕容皝의 넷째 아들이다.】</font>이 병이 심해지자, 慕容暐<font color="#0054FF" size="2">【慕容暐는 慕容皝의 둘째 아들인 慕容雋의 아들이다.】</font>가 친히 가서 병을 살펴보고 그가 죽은 뒤의 일을 물었는데, [[慕容恪]]이 말하기를 “[[吳王]]이 文武를 겸비하여 [[管仲]]과 [[蕭何]]에 버금가니, 폐하께서 만약 그에게 큰 정사를 맡기신다면 국가가 평안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秦나라와 晉나라가 반드시 틈<font color="#0054FF" size="2">【窬는 音이 유이니, 문 옆의 작은 구멍이다.】</font>을 엿보아 동하려는 계책이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慕容恪]]이 말을 마치고 죽었다. [[秦王]][[苻堅]]이 [[慕容恪]]이 죽었다는 소문을 듣고 은밀히 燕나라를 도모할 계책을 세웠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己巳]四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五月에 [[魏主]][[嗣]]<font color="#0054FF" size="2">【拓跋珪長子라】</font>問於[[崔浩]][[劉裕]][[姚泓]]하니 果能克乎아 對曰 克之니이다 [[]][[]]才何如[[慕容垂]]오 對曰 勝之니이다 [[垂]]는 藉父兄之資하야 修復舊業하니 國人歸之를 若夜蟲之就火하야 少加倚仗이면 易以立功이니이다 [[劉裕]]는 奮起寒微하야 不階尺土하야 討滅[[桓玄]]하고 興復晉室하고 北禽[[慕容超]]하고 南梟[[盧循]]하야 所向無前하니 非其才之過人이면 安能如是乎잇가 [[裕]]克秦而歸면 必簒其主하리이다 關中은 華, 戎雜錯하야 風俗勁悍하니 [[裕]]欲以荊, 揚之化로 施之函秦<font color="#0054FF" size="2">【秦地에 有函谷關하니 秦人恃之하야 以爲險固라 故曰函秦이라】</font>이면 此는 無異解衣包火하고 張羅捕虎니 雖留兵守之라도 人情未(治)[洽]하고 趨向不同하야 適足爲寇敵之資爾리니 願按兵<font color="#0054FF" size="2">【按은 止也라】</font>息民하야 以觀其變이면 秦地는 終爲國家之有하야 可坐而守也리이다 [[]]笑曰 卿이 料之審矣로다 [[]]曰 臣이 嘗私論近世將相之臣컨대 若王猛之治國은 苻堅之管仲也요 慕容恪之輔幼主는 慕容暐之霍光也요 [[劉裕]]之平禍亂은 司馬德宗<font color="#0054FF" size="2">【安帝之諱라】</font>之[[曹操]]也니이다
+
[己巳]四年이라 〈秦建元五年이요 燕建熙十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四月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이 帥步騎五萬하고 伐燕할새 時에 恪已死하니 諸將이 不能抗이라 [[燕王]][[]] 乃求救于秦이어늘 [[王猛]]이 密言於[[]]曰 燕雖彊大나 慕容評은 非溫敵也니 若溫擧山東하야 進屯洛邑하고 收幽, 冀之兵하고 引幷, 豫之粟하야 觀兵<font color="#0054FF" size="2">【觀은 音貫이라 觀은 示요 兵은 威也니 謂陳兵䝱之也라】</font>崤, 澠<font color="#0054FF" size="2">【崤는 山名이요 澠은 水名이니 {澠池縣}皆在弘農하니라】</font>이면 則陛下大事去矣리이다 今不如與燕合兵以退溫이니 溫退면 燕亦病矣라 然後에 我承其敝而取之면 不亦善乎잇가 堅從之하야 遣洛州刺史洛州刺史[[鄧羌]]하야 帥步騎二萬하야 以救燕하다 溫이 數戰不利<font color="#0054FF" size="2">【數은 不一也라】</font>하고 糧儲復竭이라 又聞秦兵將至하고 乃焚舟棄輜重鎧仗<font color="#0054FF" size="2">【鎧는 甲也요 仗은 刀戟總名이라】</font>하고 自陸道奔還이어늘 [[吳王]][[]] 自帥八千騎하고 追之하야 及溫於襄邑하야 大破之하고 斬首三萬級하다 秦將苟池 邀擊溫於譙하야 又破之하니 死者復以萬計라 溫收散卒하야 屯于山陽<font color="#0054FF" size="2">【山陽은 揚州域이니 晉分廣陵하야 置山陽郡하고 隋置楚州하고 宋爲淮安軍하니라 括地志에 楚州山陽縣은 本漢射陽縣也니 射는 食夜反이라】</font>하다 溫이 深恥喪敗하야 乃歸罪於袁眞하야 奏免眞爲庶人<font color="#0054FF" size="2">【袁眞은 豫州刺史也라 溫이 使眞攻譙, 梁할새 開石門하야 以通水運이러니 不克하니 乃歸罪하야 奏免爲庶人이라 眞이 不伏하고 表溫罪狀이어늘 朝廷不報하니 遂據壽春하고 叛降于燕하니라】</font>하다
 
</div>
 
</div>
 
</div>
 
</div>
1,154번째 줄: 1,163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5월에 [[魏主]] 拓跋嗣<font color="#0054FF" size="2">【魏主 拓跋嗣는 拓跋珪의 長子이다.】</font>가 [[崔浩]]에게 묻기를 “[[劉裕]][[姚泓(後秦)]]을 정벌하니, 과연 이길 수 있겠는가?” 하니, 대답하기를 “이길 수 있습니다.” 하였다. [[拓跋嗣]]가 말하기를 “[[劉裕]]의 재주는 [[慕容垂(後燕)]]와 비교하여 어떠한가?” 하니, [[崔浩]]가 대답하기를 “[[劉裕]][[慕容垂]]보다 낫습니다. [[慕容垂]]는 父兄의 힘을 빌려서 옛 基業을 회복하니, 백성들이 그에게 歸附하는 것이 밤에 벌레들이 불빛에 달려드는 것과 같아서 그들에게 조금만 의뢰하면 쉽게 공을 세울 수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劉裕]]는 가난하고 미천한 신분에서 떨치고 일어나 한 자의 땅도 이용하지 않고서 [[桓玄]]을 토벌하고 晉나라 황실을 부흥하였으며, 북쪽에서 [[慕容超(南燕)]]를 사로잡고 남쪽에서 [[盧循]]을 효시하여 향하는 곳마다 앞을 막는 자가 없었으니, 그 재주가 보통 사람보다 뛰어나지 않다면 어찌 이와 같을 수 있겠습니까. [[劉裕]]가 秦나라를 이기고 돌아가면 반드시 황제의 자리를 찬탈할 것입니다. 關中은 漢族과 오랑캐가 뒤섞여 살아서 風俗이 굳세고 사나우니, [[劉裕]]가 荊州와 揚州를 다스렸던 방법을 函谷關 안의 秦나라 땅<font color="#0054FF" size="2">【秦나라 땅에 函谷關이 있으니, 秦나라 사람들이 이것을 믿고서 험고하다고 여겼기 때문에 函秦이라 한 것이다.】</font>에 시행한다면 이는 옷을 벗어서 불을 싸고 새그물을 펼쳐 범을 잡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비록 병력을 남겨 두어 그곳을 지키게 하더라도 人心이 흡족해하지 않고 趨向이 똑같지 않아서 다만 외적에게 이용당하고 말 것입니다. 원컨대 전쟁을 중지하고<font color="#0054FF" size="2">【按은 중지하는 것이다.】</font> 백성들을 휴식하게 하고서 사태의 변화를 관찰하면 秦나라 땅은 결국 우리나라 소유가 되어서 가만히 앉아서도 지킬 수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拓跋嗣]]가 웃으며 말하기를 “경이 잘 헤아렸다.” 하였다. [[崔浩]]가 말하기를 “신이 일찍이 근세 將相의 신하를 사사로이 논하건대 [[王猛]]이 나라를 다스림은 [[苻堅(前秦)]][[管仲]]이고, [[慕容恪]]이 어린 군주를 보필함은 [[慕容暐(前燕)]][[霍光]]이고, [[劉裕]]가 禍亂을 평정함은 司馬德宗(安帝)<font color="#0054FF" size="2">【司馬德宗은 安帝의 諱이다.】</font>의 [[曹操]]입니다.” 하였다.
+
太和 4년(기사 369) - 秦나라 建元 5년이고, 燕나라 建熙 10년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4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이 步兵과 騎兵 5만 명을 거느리고 燕나라를 정벌하였다. 이때 [[慕容恪]]이 이미 죽으니 여러 장수들이 항거하지 못하였다. [[燕王]][[慕容暐]]가 마침내 秦나라에 구원을 요청하니, [[王猛]]이 은밀히 [[苻堅]]에게 말하기를 “燕나라가 비록 강대하나 [[慕容評]][[桓溫]]의 적수가 아니니, 만약 [[桓溫]]이 山東을 점령한 다음 進軍하여 洛邑에 주둔하고 幽州와 冀州의 군사를 거두고 幷州와 豫州의 곡식을 징발해서 崤山과 澠池<font color="#0054FF" size="2">【崤는 산 이름이고 澠은 물 이름이니, 모두 弘農郡에 있다.】</font>에서 군대를 열병<font color="#0054FF" size="2">【觀은 音이 관이다. 觀은 보이는 것이고 兵은 威勢이니, 觀兵은 군대를 정렬하여 위협함을 이른다.】</font>한다면 폐하의 대사가 틀어질 것입니다. 이제 燕나라와 병력을 규합하여 [[桓溫]]을 물리치는 것만 못하니, [[桓溫]]이 후퇴하면 燕나라도 병들 것입니다. 그런 뒤에 우리가 그 피폐한 틈을 타서 취한다면 또한 좋지 않겠습니까.” 하였다. [[苻堅]]이 그의 말을 따라 洛州刺史洛州刺史[[鄧羌]]을 보내어 보병과 기병 2만 명을 거느리고 가서 燕나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桓溫]]이 여러 번<font color="#0054FF" size="2">【數은 번 만이 아닌 것이다.】</font> 싸워 승리하지 못하고 비축했던 양식이 다시 고갈되었는데, 또 秦나라 군대가 올 것이라는 말을 듣고 마침내 배를 불태우고 輜重과 갑옷과 병기<font color="#0054FF" size="2">【鎧는 갑옷이고, 仗은 칼과 창의 총칭이다.】</font>를 버리고 육로를 따라서 달아나 돌아왔다. [[吳王]][[慕容垂]]가 스스로 8천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이들을 추격하여 襄邑에서 [[桓溫]]을 따라잡아 크게 격파하고3만 명의 首級을 베었다. 秦나라 장수 [[苟池]][[桓溫]]을 譙에서 맞아 싸워서 또다시 격파하니, 죽은 자가 다시 만 명으로 헤아려졌다. [[桓溫]]이 흩어진 병졸을 수습하여 山陽<font color="#0054FF" size="2">【山陽은 揚州 지역이니, 晉나라가 廣陵을 분할하여 山陽郡을 두었고, 隋나라는 楚州를 두었고, 宋나라는 淮安軍을 만들었다. ≪括地志≫에 “楚州의 山陽縣은 본래 漢나라 射陽縣이니, 射는 食夜反(사)이다.” 하였다.】</font>에 주둔하였다. [[桓溫]]이 패망한 것을 깊이 부끄러워하여 마침내 [[袁眞]]에게 죄를 씌워서 [[袁眞]]을 면직시킬 것을 아뢰어 庶人으로 삼았다.<font color="#0054FF" size="2">【袁眞은 豫州刺史였다. 桓溫이 袁眞으로 하여금 譙와 梁을 공격하게 할 적에 石門을 열어 水運을 통하게 하였는데, 이기지 못하자 마침내 죄를 씌워 袁眞을 면직시킬 것을 아뢰어 庶人으로 삼았다. 袁眞이 복종하지 않고 表文을 올려 桓溫의 죄상을 아뢰었으나 조정에서 회답하지 않자, 마침내 壽春을 점거하고 배반하여 燕나라에 항복하였다.】</font>
 
</div>
 
</div>
 
</div>
 
</div>
1,164번째 줄: 1,178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七月辛丑에 [[]]至潼關하니 [[秦主]][[]]이 使[[姚丕]]로 守渭橋어늘 [[王鎭惡]]이 大破[[]]於渭橋하니 [[泓]]兵이 不戰而潰라 單馬로 還宮하야 癸亥에 將妻子群臣하고 詣[[王鎭惡]]壘門降이어늘 [[鎭惡]]이 撫慰하고 號令嚴肅하니 百姓이 安堵러라
+
○ [[燕吳王]][[]] 還鄴하니 威名益振이라 太傅太傅[[]]이 忌之어늘 垂與子弟姪로 俱奔秦하다 初에 [[秦王]][[]]이 聞太宰恪卒하고 陰有圖燕之志호되 憚垂威名하야 不敢發이러니 及聞垂至하고 大喜하야 郊迎執手하고 曰 天生賢傑은 必相與共成大功이니 此는 自然之數也라 要當與卿共定天下하리니 然後에 還卿本鄕하야 世封幽州 不亦美乎아 [[王猛]]이 言於堅曰 慕容垂父子 譬如龍虎하야 非可馴之物이라 若借以風雲이면 將不可復制니 不如早除之니이다 [[]]曰 吾方收攬英雄하야 以淸四海어니 奈何殺之리오하고 乃以垂爲冠軍將軍하다
 
</div>
 
</div>
 
</div>
 
</div>
1,173번째 줄: 1,18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7월 辛丑日(2일)에 [[劉裕]]가 潼關에 이르니, [[秦主]](後秦) [[姚泓]][[姚丕]]로 하여금 渭橋를 지키게 하였다. [[王鎭惡]]이 渭橋에서 [[姚丕]]를 대파하니, [[姚泓]]의 군대가 싸우지도 않고 궤멸되었다. [[姚泓]]이 한 필의 말로 궁중에 돌아와서 癸亥日(24일)에 처자와 군신들을 거느리고 [[王鎭惡]]의 軍門軍門에 나와 항복하였다. [[王鎭惡]]이 백성들을 위무하고 호령이 엄숙하니, 백성들이 안도하였다.
+
燕나라 [[吳王]][[慕容垂]]가 鄴으로 돌아오니, 위엄과 명망이 더욱 떨쳐졌다. 太傅太傅[[慕容評]]이 그를 시기하자[[慕容垂]]가 아들, 아우, 조카들과 함께 秦나라로 달아났다. 처음에 [[秦王]][[苻堅]]은 太宰太宰[[慕容恪]]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 은밀히 燕나라를 도모할 마음이 있었으나 [[慕容垂]]의 위엄과 명성을 두려워하여 감히 군대를 일으키지 못하였는데, [[慕容垂]]가 왔다는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여 교외로 나가 맞이하고 손을 잡고 말하기를 “하늘이 어진 영걸을 냄은 반드시 서로 더불어 큰 공을 이루게 하려고 해서이니, 이는 자연의 운수이다. 요컨대 卿과 함께 천하를 평정할 것이니, 그런 뒤에 卿을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가게 해서 대대로 幽州에 봉해 주는 것이 또한 아름답지 않겠는가.” 하였다. [[王猛]]이 [[苻堅]]에게 말하기를 “[[慕容垂]] 父子는 비유하면 용과 범 같아서 길들일 수 있는 물건이 아닙니다. 만약 바람과 구름을 빌려 주면 장차 다시는 제재할 수 없을 것이니 일찍 제거하는 것만 못합니다.” 하니, [[苻堅]]이 말하기를 “내가 막 영웅들을 거두어 모아서 四海를 깨끗이 하려 하니, 어찌 죽이겠는가.” 하고는 마침내 [[慕容垂]]를 冠軍將軍冠軍將軍으로 삼았다.
 
</div>
 
</div>
 
</div>
 
</div>
1,183번째 줄: 1,19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九月이라 始에 太尉裕 欲留長安하야 經略<font color="#0054FF" size="2">【疆理也라】</font>西北이러니 而諸將士 皆久役思歸라 會에 [[劉穆]]之卒이어늘 [[裕]]以根本無託이라하야 遂決意東還할새 乃以次子[[桂陽公]][[義眞]]으로 爲都督雍, 梁, 秦三州諸軍事하니 [[義眞]]時年十二라 以[[王鎭惡]]으로 爲司馬司馬하다 [[鎭惡]]功多라 由是로 南人이 皆忌之러라 [[沈田子]]自以嶢柳之捷<font color="#0054FF" size="2">【是年七月에 擊秦兵하야 斬萬餘級하야 泓奔還霸上하니 威振三輔하니라】</font>이라하야 與[[鎭惡]]爭功不平이러니 [[裕]]將還할새 [[田子]]及[[傅弘之]] 屢言於[[裕]]曰 [[鎭惡]]이 家在關中하니 不可保信이니이다 [[裕]]曰 今留卿文武將士精兵萬人하노니 彼若欲爲不善이면 正足自滅爾니 勿復多言하라 [[裕]]私謂[[田子]]曰 [[鍾會]]不得遂其亂者는 以有[[衛瓘]]<font color="#0054FF" size="2">【鍾會, 衛瓘은 曹魏人이라】</font>故也라 語曰 猛獸不如群狐라하니 卿等十餘人이 何懼[[王鎭惡]]이리오
+
○ [[秦王]][[]]이 遣[[王猛]], [[梁成]], [[鄧羌]]하야 帥步騎三萬하고 伐燕하야 十二月에 進攻洛陽하다
 
</div>
 
</div>
 
</div>
 
</div>
1,192번째 줄: 1,203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9월이다. 처음에 太尉太尉[[劉裕]]가 長安에 머물면서 서북 지역을 경략<font color="#0054FF" size="2">【經略은 경계를 구획하고 다스리는 것이다.】</font>하려 하였는데, 여러 장수와 장병들이 모두 오랫동안 부역하였으므로 돌아갈 것을 생각하였다. 마침 [[劉穆之]]가 죽자, [[劉裕]]는 근본(후방)을 의탁할 곳이 없다 하여 마침내 결심하고 동쪽으로 돌아갈 적에 次子인 [[桂陽公]][[劉義眞]]을 都督雍‧梁‧秦三州諸軍事로 삼으니, [[劉義眞]]의 이때 나이가 12세였다. [[王鎭惡]]을 [[司馬]]로 삼았다. 〈長安을 수복할 때〉 [[王鎭惡]]이 공이 많으니, 이로 말미암아 남쪽(東晉) 사람들이 모두 그를 시기하였다. [[沈田子]]가 스스로 嶢柳의 승리<font color="#0054FF" size="2">【이해 7월에 東晉의 군대가 秦나라 군대를 공격하여 만여 명의 首級을 베어서 姚泓이 달아나 霸上으로 돌아가니, 위세가 三輔 지방에 진동하였다.】</font>에 공로가 있다 하여 [[王鎭惡]]과 공을 다투어 불평하였다. [[劉裕]]가 장차 돌아가려 할 적에 [[沈田子]]와 [[傅弘之]]가 여러 번 [[劉裕]]에게 말하기를 “[[王鎭惡]]은 집안이 關中에 있으니, 보장하고 믿을 수가 없습니다.” 하니, [[劉裕]]가 말하기를 “지금 卿과 文武 관원과 정예병 만여 명을 남겨 두었으니, 저가 만일 나쁜 짓을 하고자 한다면 바로 자멸할 뿐이다. 다시 여러 말 하지 말라.” 하였다. [[劉裕]]가 은밀히 [[沈田子]]에게 이르기를 “[[鍾會]]가 난을 일으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것은 [[衛瓘]]<font color="#0054FF" size="2">【[頭註]鍾會不得遂其亂者 以有衛瓘:鍾會와 衛瓘은 曹操의 魏나라 사람이다.】</font>이 있었기 때문이다. 속담에 이르기를 ‘맹수 한 마리가 여러 여우만 못하다.’ 하였으니, 卿들 십여 명이 어찌 [[王鎭惡]]을 두려워하는가.” 하였다.
+
○ [[秦王]][[苻堅]][[王猛]][[梁成]][[鄧羌]]을 보내어 보병과 기병 3만 명을 거느리고 燕나라를 정벌한 다음 12월에 진군하여 洛陽을 공격하였다.
 
</div>
 
</div>
 
</div>
 
</div>
1,202번째 줄: 1,212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 大司馬大司馬[[]]이 發徐, 兗州民하야 築廣陵城하고 徙鎭之하니 時에 征役旣頻하고 加之疫癘<font color="#0054FF" size="2">【癘鬼爲災曰疫이요 四時不和之疾曰癘라】</font>하야 死者什四五라 百姓이 嗟怨이러라 秘書監孫盛이 作晉春秋할새 直書時事하니 大司馬大司馬[[]]이 見之하고 怒하야 謂盛子曰 枋頭는 誠爲失利<font color="#0054FF" size="2">【穆帝永和五年에 時桓溫及燕人으로 戰于枋頭하야 不利而還하니라[附註]史略에 帝奕時에 溫及燕人戰於枋頭하야 不利而還이라하고 其下曰 吳王垂 旣破晉軍에 威名大振이라하니 枋頭失利는 似指上己巳之戰이어늘 而釋義與此相背하니 未詳이라】</font>어니와 何至乃如尊君<font color="#0054FF" size="2">【晉人은 於人子前에 稱其父爲尊君尊公이라】</font>所言이리오 若此史遂行이면 自是關君門戶事<font color="#0054FF" size="2">【言欲滅其門也라】</font>니라 其子遽拜謝<font color="#0054FF" size="2">【遽는 急也, 疾也니 戰慄也라】</font>하고 請改之하다 時에 盛이 年老家居할새 性이 方嚴有軌度하니 子孫이 雖班()白이나 待之愈峻이러니 至是하야 諸子乃共號泣稽顙하고 請爲百口計호되 盛이 大怒不許하니 諸子遂私改之<font color="#0054FF" size="2">【盛이 先已寫別本하야 傳之外國이라 及孝武帝購求異書할새 得之於遼東人한대 與見本不同하니 遂兩存焉하니라】</font>하다
[[溫公]]曰 古人有言호되 疑則勿任하고 任則勿疑라하니 [[]]旣委[[鎭惡]]以關中이어늘 而復與[[田子]]有後言은 是鬪之하야 使爲亂也라 惜乎라 百年之寇와 千里之土를 得之艱難하고 失之造次<font color="#0054FF" size="2">【急遽也라】</font>하야 使豐, ()之都로 復輸寇手로다 [[荀子]]曰 兼幷은 易能也요 堅凝之難이라하니 信哉로다
 
 
</div>
 
</div>
 
</div>
 
</div>
1,211번째 줄: 1,220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
○ 大司馬大司馬[[桓溫]]이 徐州와 兗州의 백성들을 징발하여 廣陵城을 쌓고 옮겨서 鎭駐하니, 이때에 부역이 이미 빈번하고 역병<font color="#0054FF" size="2">【癘鬼(역병을 일으키는 귀신)가 재앙을 만든 것을 疫이라 하고, 四時가 순조롭지 못하여 병이 생긴 것을 癘라 한다.】</font>까지 겹쳐서 죽는 자가 10에 4, 5나 되므로 백성들이 크게 원망하였다. 秘書監秘書監[[孫盛]]이 《晉春秋》를 지을 적에 당시의 일을 隱諱하지 않고 곧바로 쓰니, 大司馬大司馬[[桓溫]]이 이것을 보고 노하여 [[孫盛]]의 아들에게 이르기를 “枋頭에서는 내가 참으로 불리하였지만<font color="#0054FF" size="2">【[釋義]穆帝 永和 5년(349)에 당시 桓溫이 燕나라 사람과 枋頭에서 싸워서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왔다.[附註]≪史略≫에 “廢帝 司馬奕의 때에 桓溫이 燕나라 사람과 枋頭에서 싸워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왔다.” 하고, 그 아래에 이르기를 “吳王 慕容垂가 이미 晉나라 군대를 격파하자, 위엄과 명망이 크게 떨쳐졌다.” 하였으니, ‘枋頭에서 불리하였다’는 것은 앞의 기사년(369)의 전투를 가리킨 듯한데 釋義의 내용은 이와 서로 배치되니, 자세하지 않다.】</font> 어찌 마침내 尊君(부친)<font color="#0054FF" size="2">【晉人은 아들 앞에서 아버지를 칭하여 尊君, 尊公이라 하였다.】</font>이 말한 것 같은 지경에까지 이르렀겠는가. 만약 이 역사책이 마침내 세상에 행해진다면 이는 자연 그대 가문의 존망에 관계되는 일<font color="#0054FF" size="2">【그대 가문의 存亡에 관계된다는 것은 孫盛의 가문을 멸망시키고자 함을 말한다.】</font>일 것이다.” 하였다. [[孫盛]]의 아들이 급히<font color="#0054FF" size="2">【遽는 급함이고 빠름이니, 두려워서 떠는 것이다.】</font> 이마를 조아리며 절하여 사죄하고 내용을 고칠 것을 청하였다. 이때 [[孫盛]]이 연로하여 집에 거처할 때에 성품이 방정하고 엄격하여 법도가 있으니, 자손들이 비록 斑白이 되었으나 [[孫盛]]은 그들을 대함에 더욱 준엄하게 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여러 아들들이 마침내 함께 울부짖으며 이마를 조아리고 많은 식구의 목숨을 위하여 고려할 것을 청하였으나 [[孫盛]]이 크게 노하고 허락하지 않으니, 여러 아들들이 마침내 몰래 고쳤다.<font color="#0054FF" size="2">【孫盛이 먼저 이미 별도로 한 본을 베껴서 外國에 전하였다. 東晉의 孝武帝(司馬曜)가 진귀한 책을 찾아 구할 때에 遼東 사람에게서 이 別本을 얻었는데, 현재의 本과 같지 않으니 마침내 두 가지 본이 있게 되었다.】</font>
[[溫公]]이 말하였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옛사람의 말에 ‘의심하면 맡기지 말고, 맡겼으면 의심하지 말라.’ 하였으니, [[劉裕]]가 이미 [[王鎭惡]]에게 關中을 맡기고는 다시 [[沈田子]]와 뒷말을 한 것은 이들을 싸우게 하여 난리를 일으키게 한 것이다. 애석하다. 백년을 끌어온 적과 천리의 땅을 어렵게 얻고 순식간에<font color="#0054FF" size="2">【造次는 몹시 급작스러운 모양이다.】</font> 잃어서, 豐과 鄗의 옛 도읍을 다시 적의 손아귀에 바치게 되었다. [[荀子]]가 말하기를 ‘겸병하기는 쉽고 단단히 지키기는 어렵다.’ 하였으니, 그 말이 맞다.”
 
 
</div>
 
</div>
</div>
+
|}</div><div class="clsB">
|}
+
=====[庚午]五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三秦父老 聞[[裕]]將還하고 詣門流涕訴曰 殘民이 不霑王化가 於今百年이러니 始覩衣冠하니 人人相賀라 長安十陵은 是公家墳墓요 咸陽宮殿은 是公家室宅이니 捨此欲何之乎<font color="#0054FF" size="2">【十陵은 漢高帝長陵, 惠帝安陵, 文帝霸陵, 景帝陽陵, 武帝茂陵, 昭帝平陵, 宣帝杜陵, 元帝渭陵, 成帝延陵, 哀帝義陵, 平帝康陵이니 皆在關中이라 凡十一陵이어늘 言十者는 擧大數也라 長安宮殿이 皆漢故跡이요 〈裕는〉 劉氏子孫이라 故父老以此爲言而留之하니라】</font>잇가 [[裕]]爲之愍然<font color="#0054FF" size="2">【愍은 悲也, 憐也라】</font>하야 慰諭之曰 受命朝廷하니 不得擅留라 誠多諸君懷本之志하야 今以次息<font color="#0054FF" size="2">【義眞也니 長曰義符요 次曰義眞이요 次曰義隆이라】</font>與文武賢才로 共鎭此境하니 勉與之居하라하다 十二月에 [[裕]]發長安하야 自洛入河할새 開汴渠以歸하다
+
[庚午]五年이라 〈秦建元六年이라 ○ 燕建熙十一年이라 ○是歲에 燕亡하니 大一, 小二니 凡三僭國이라〉
 
</div>
 
</div>
 
</div>
 
</div>
1,235번째 줄: 1,239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三秦의 父老들이 [[劉裕]]가 돌아가려 한다는 말을 듣고 [[劉裕]]의 집 문 앞에 와서 눈물 흘리며 하소연하기를 “遺民들이 조정의 교화를 입지 못한 지가 지금껏 백년이 되었는데, 이제야 비로소 中原의 衣冠을 보고는 사람들마다 서로 경하하였습니다. 長安의 열 개 陵은 公의 집안의 墳墓이고 咸陽의 宮殿은 公의 집안의 住宅이니, 이곳을 버리고 어디로 가려 하십니까?”<font color="#0054FF" size="2">【[附註]長安十陵……捨此欲何之乎:十陵은 漢나라 高帝의 長陵, 惠帝의 安陵, 文帝의 霸陵, 景帝의 陽陵, 武帝의 茂陵, 昭帝의 平陵, 宣帝의 杜陵, 元帝의 渭陵, 成帝의 延陵, 哀帝의 義陵, 平帝의 康陵이니 모두 關中에 있다. 모두 11陵인데 10이라고 말한 것은 큰 수를 든 것이다. 長安의 宮殿이 모두 漢나라의 故跡이었고 劉裕는 劉氏의 자손이었다. 그러므로 父老들이 이것을 말하여 머물게 한 것이다.】</font> 하였다. [[劉裕]]가 민망히 여겨<font color="#0054FF" size="2">【愍은 슬퍼하고, 불쌍히 여기는 것이다.】</font> 그들을 위로하고 타이르기를 “내 조정에서 명령을 받았으니, 마음대로 머물 수가 없다. 진실로 諸君들이 근본(조상의 뿌리)을 그리워하는 뜻을 고맙게 여겨서 이제 둘째 자식<font color="#0054FF" size="2">【둘째 자식은 劉義眞이니, 첫째는 劉義符이고, 그 다음은 劉義眞이고, 그 다음은 劉義隆이다.】</font>과 어질고 재주 있는 문무 관원을 보내어 함께 이 지역을 鎭守鎭守하게 하였으니, 이들과 잘 지내기를 힘쓰라.” 하였다. 12월에 [[劉裕]]가 長安을 출발하여 洛水로부터 黃河로 들어올 적에 汴渠를 개통한 뒤에 돌아왔다.
+
太和 5년(경오 370) - 秦나라 建元 6년이다. ○ 燕나라 建熙 11년이다. ○ 이해에 燕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하나이고 小國이 둘이니, 僭國이 모두 셋이다.-
 
</div>
 
</div>
 
</div>
 
</div>
1,245번째 줄: 1,248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閏月에 [[夏王]][[勃勃]]이 聞太尉太尉[[裕]]東還하고 大喜하야 問[[王買德]]曰 朕欲取關中하노니 卿이 試言其方略하라 [[買德]]曰 關中은 形勢之地어늘 而[[]]以幼子守之하고 狼狽而歸하니 正欲急成簒事爾라 不暇復以中原爲意하리니 此는 天以關中賜我니 不可失也니이다 [[勃勃]]이 乃使其子[[璝]]<font color="#0054FF" size="2">【璝는 瑰라】</font>로 帥騎二萬하야 向長安하고 [[勃勃]]은 自將大軍하고 爲後繼하다
+
正月에 燕荊州刺史荊州刺史[[武威王]]筑이 以洛陽降秦하다 六月에 秦王堅이 復遣王猛하야 督鎭南將軍楊安等하야 將步騎六萬하고 以伐燕하다 八月에 燕主暐 命太傅上庸王評하야 將中外精兵三十萬하고 以拒秦하다 猛이 克壺關하니 所過郡縣이 皆望風降附라 燕人이 大震이러라 黃門侍郞封孚 問司徒長史申胤曰 事將何如오 胤歎曰 鄴必亡矣니 吾屬이 今玆將爲秦虜로다 然이나 越得歲而吳伐之하야 卒受其禍<font color="#0054FF" size="2">【左傳昭三十二年에 吳伐越한대 史墨曰 不及四十年하야 越其有吳乎인저 越得歲而吳伐之하니 必受其凶이라하니라 杜預註曰 此年에 歲在星紀하니 星紀는 吳, 越之分也라 歲星所在에 其國有福이어늘 吳先用兵故로 反受其殃이라하더니 哀二十二年에 越果滅吳하니라 索隱曰 天官占云 歲星은 一曰應星이요 一曰經星이요 一曰紀星이라 歲星은 東方木之精이니 蒼帝之象也라 所在之國은 不可伐이요 可以伐人이라하니라】</font>하니 今福德이 在燕<font color="#0054FF" size="2">【福德은 一曰德星이니 出於有道之國이라 索隱曰 德星은 卽歲星이니 歲星所在에 其國有福이니라】</font>하니 秦雖得志나 而燕之復建이 不過一紀耳라하더라 九月에 秦王猛이 進兵潞川하니 太傅評이 以猛縣(懸)軍<font color="#0054FF" size="2">【縣은 與懸同이니 孤軍遠征하야 其勢懸絶하야 不能相及故로 懸軍也라】</font>深入이라하야 欲以持久制之어늘 猛이 陳於渭源而誓之하니 衆皆踊躍하야 破釜棄糧하고 大呼競進이라 燕兵이 大敗하야 俘斬五萬餘人하고 乘勝追擊하니 所殺及降者 又十萬餘人이라 評이 單騎走還鄴하니 秦兵이 長驅而東하야 丁卯에 圍鄴하다 十一月에 [[秦王]][[]]이 自帥精銳十萬하고 赴鄴하다 戊寅에 燕散騎侍郞餘蔚이 夜開鄴北門하고 納秦兵하니 燕主暐 與上庸王評等으로 奔龍城이어늘 [[秦王]][[]]이 使遊擊將軍郭慶으로 追及於高陽하야 執以詣秦王堅하다 [[]]이 哀而釋之하고 令還宮하니 帥文武出降하고 諸州牧守及六夷<font color="#0054FF" size="2">【胡, 羯, 鮮卑, 氐, 羌, 巴蠻也니 或曰 [[烏桓]]이요 非巴蠻也라】</font>渠帥 盡降於秦하다
 
</div>
 
</div>
 
</div>
 
</div>
1,254번째 줄: 1,25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閏月(윤12월)에 [[夏王]][[赫連勃勃]]이 太尉太尉[[劉裕]]가 동쪽으로 돌아갔다는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여 [[王買德]]에게 묻기를 “朕이 關中 지방을 점령하고자 하니, 卿이 한번 그 방략을 말해 보라.” 하니, [[王買德]]이 말하기를 “關中關中 지방은 지형이 뛰어난 곳인데, [[劉裕]]가 어린 아들에게 이곳을 지키게 하고 바삐 서둘러 돌아갔으니, 바로 찬탈하는 일을 급히 이루고자 해서입니다. 다시는 中原에 뜻을 둘 겨를이 없을 것이니, 이는 하늘이 關中關中 지방을 우리에게 주는 것입니다.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됩니다.” 하였다. [[赫連勃勃]]이 아들인 赫連璝<font color="#0054FF" size="2">【璝는 瑰이다.】</font>로 하여금 기병 2만 명을 거느리고 長安으로 향하게 하고, 자신은 직접 대군을 거느리고 後繼(후원군)가 되었다.
+
정월에 燕나라 荊州刺史荊州刺史[[武威王]][[慕容筑]]이 洛陽을 가지고 秦나라에 항복하였다.
 
</div>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6월에 [[秦王]][[苻堅]]이 다시 [[王猛]]을 보내어 鎭南將軍鎭南將軍[[楊安]] 등을 독려해서 보병과 기병 6만 명을 거느리고 燕나라를 치게 하였다. 8월에 [[燕主]][[慕容暐]]가 太傅太傅[[上庸王]][[慕容評]]에게 명하여 中外의 정예병 30만 명을 거느리고 秦나라를 맞아 싸우게 하였다. [[王猛]]이 壺關을 함락시키니, 지나는 곳의 郡縣들이 모두 기세만 보고도 항복하여 붙었으므로 燕나라 사람들이 크게 동요하였다. 黃門侍郞黃門侍郞[[封孚]]가 司徒長史司徒長史[[申胤]]에게 묻기를 “일이 장차 어떻게 되겠는가?” 하니, [[申胤]]이 탄식하며 말하기를 “鄴都가 반드시 망할 것이니, 우리들은 이제 秦나라의 포로가 될 것이다. 그러나 越나라가 歲星을 얻었는데 吳나라가 정벌하여 끝내 그 禍를 받았다.<font color="#0054FF" size="2">【≪春秋左傳≫ 昭公 32年條에 吳나라가 越나라를 정벌하자, 史墨이 말하기를 “40년이 못 되어 越나라가 吳나라를 소유할 것이다. 越나라가 歲星을 얻었는데 吳나라가 정벌하니, 반드시 禍를 받을 것이다.” 하였다. 杜預의 註에 이르기를 “이해에 歲星이 星紀에 있으니, 星紀는 吳‧越의 분야이다. 歲星이 있는 곳에는 그 나라에 福이 있는데, 吳나라가 먼저 군대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도리어 그 殃禍를 받은 것이다.” 하였는데, 哀公 22年條에 越나라가 과연 吳나라를 멸망시켰다. ≪史記索隱≫에 말하였다. “≪天官占≫에 이르기를 ‘歲星은 일명 應星이요, 일명 經星이요, 일명 紀星이다. 歲星은 東方 木의 精氣이니, 蒼帝의 象이다. 이 별이 있는 나라는 정벌할 수 없고, 이 나라가 다른 나라를 정벌할 수는 있다.’ 하였다.”】</font> 지금 福德星이 燕나라에 있으니,<font color="#0054FF" size="2">【福德星은 일명 德星이니, 道가 있는 나라에 출현한다. ≪史記索隱≫에 이르기를 “福德星은 곧 歲星이니, 歲星이 있는 곳에는 그 나라에 福이 있다.” 하였다.】</font>秦나라가 비록 뜻을 얻더라도 燕나라의 重建은 1紀(12년)를 넘기지 못할 것이다.” 하였다.
 
</div>
 
</div>
|}</div><div class="clsB">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戊午]十四年=====
+
9월에 秦나라 [[王猛]]이 潞川으로 진군하자, 太傅太傅[[慕容評]]은 [[王猛]]이 懸軍(외로운 군대)<font color="#0054FF" size="2">【縣은 懸과 같으니, 고립된 군대가 멀리 싸우러 가서 그 형세가 현격하여 서로 미칠 수가 없으므로 懸軍이라 한 것이다.】</font>을 이끌고 적지에 깊이 들어왔다 하여 지구전으로 제압하고자 하였는데, [[王猛]]이 渭源에서 군대를 진열하고 맹세하니, 군사들이 모두 기뻐서 날뛰며 결사의 각오로 가마솥을 부수고 양식을 버리고서 크게 고함치며 함께 진격했다. 燕나라 군대를 대패시켜 5만여 명을 포로로 사로잡고 목을 베었으며 승세를 타고 추격하니, 죽인 자와 항복받은 자가 또 10만여 명이었다. [[慕容評]]이 單騎로 달아나鄴都로 돌아오니, 秦나라 군대가 승승장구하여 동쪽으로 와서 정묘일(10월 26일)에 鄴都를 포위하였다.
</div><div class="contData">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11월에 [[秦王]][[苻堅]]이 스스로 정예병 10만 명을 거느리고 鄴城으로 달려갔다. 무인일(11월 7일)에 燕나라 散騎侍郞散騎侍郞[[餘蔚]]이 밤중에 鄴城의 北門을 열고 秦나라 병사를 받아들이니, [[燕主]][[慕容暐]]가 [[上庸王]][[慕容評]] 등과 함께 龍城으로 달아났다. [[秦王]][[苻堅]]이 遊擊將軍遊擊將軍[[郭慶]]으로 하여금 추격하게 하여 [[郭慶]]이 高陽에서 이들을 사로잡아 [[秦王]][[苻堅]]에게 보냈다. [[苻堅]]이 가엾게 여겨 이들을 놓아주고 궁으로 돌아가게 하니 文武官을 거느리고 나와서 항복하였고, 여러 州의 牧守와 여섯 오랑캐족<font color="#0054FF" size="2">【六夷는 胡‧羯‧鮮卑‧氐‧羌‧巴蠻이니, 혹자가 이르기를 “烏桓이고 巴蠻이 아니다.”라고 한다.】</font>의 渠帥(추장)들이 모두 秦나라에 항복하였다.
 +
</div>
 +
</div>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戊午]十四年이라 〈魏泰常三年이요 夏昌武元年이라〉
+
○ 十二月에 秦王堅이 遷慕容暐及王公百官과 幷鮮卑四萬餘戶于長安한대 燕故太史黃泓이 歎曰 燕必中興이니 其在吳王<font color="#0054FF" size="2">【吳王은 慕容垂라】</font>乎인저 恨吾老하야 不及見耳라하더라 汲郡趙秋曰 天道在燕이어늘 而秦滅之하니 不及十五年하야 必復爲燕有하리라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夏[[赫連璝]] 至渭하니 關中民降之者 屬路라 [[沈田子]]將兵拒之하다 [[田子]]與[[王鎭惡]]으로 素有相圖之志러니 俱出北地하야 以拒夏兵할새 [[田子]]請[[鎭惡]]至[[傅弘之]]營하야 計事라가 [[田子]]求屛人語하고 使其宗人<font color="#0054FF" size="2">【官名이라 周禮에 有都宗人, 家宗人하니 家宗人은 掌家禮라 此는 猶田單宗人이니 乃田子之族人이라】</font>[[沈敬仁]]斬之하다 [[弘之]]奔告[[劉義眞]]한대 [[義眞]]이 與[[王脩]]로 被甲登撗門<font color="#0054FF" size="2">【撗은 音光이니 長安城門名也라】</font>하야 以察其變이러니 脩執[[田子]]하야 數以專戮하야 斬之하다 [[弘之]]大破[[赫連璝]]하니 夏兵이 乃退하다
 
 
</div>
 
</div>
 
</div>
 
</div>
1,280번째 줄: 1,282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義熙 14년(무오 418) - 魏나라 泰常 3년이고, 夏나라 昌武 元年이다. -
+
○ 12월에 [[秦王]][[苻堅]]이 [[慕容暐]]와 燕나라의 王公과 百官과 鮮卑族 4만여 가호를 長安으로 옮겼다. 燕나라 옛 太史太史인 [[黃泓]]이 탄식하기를 “燕나라가 반드시 중흥할 것이니, [[吳王(慕容垂)]]<font color="#0054FF" size="2">【吳王은 慕容垂이다.】</font>에게 있을 것이다. 내가 늙어서 미처 보지 못하는 것이 한스럽다.” 하였다. 汲郡 사람 [[趙秋]]가 말하기를 “天道가 燕나라에 있는데 秦나라가 멸망시켰으니, 15년이 못 되어 秦나라는 반드시 다시 燕나라의 소유가 될 것이다.” 하였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正月에 夏나라 [[赫連璝]]가 渭水에 이르니, 關中의 백성들 중에 항복하는 자가 길에 이어졌다. [[沈田子]]가 군대를 거느리고 이들을 막았다. [[沈田子]]는 [[王鎭惡]]과 평소에 서로 상대방을 도모하려는 뜻이 있었는데, 함께 북쪽 지방에 나가서 夏나라 군대를 막게 되자 [[王鎭惡]]에게 [[傅弘之]]의 진영에 이르러 일을 의논할 것을 청하였다가 〈[[王鎭惡]]이 이르자〉 사람을 물리치고 조용히 말할 것을 요구하고는 宗人<font color="#0054FF" size="2">【宗人은 官名이다. ≪周禮≫에 都宗人과 家宗人이 있으니, 家宗人은 家禮를 맡는다. 이것은 田單宗人과 같으니, 바로 沈田子의 族人이다.】</font>인 [[沈敬仁]]으로 하여금 [[王鎭惡]]의 목을 베게 하였다. [[傅弘之]]가 [[劉義眞]]에게 이 사실을 알리자, [[劉義眞]]이 [[王脩]]와 함께 갑옷을 입고 撗門<font color="#0054FF" size="2">【撗은 音이 광이니, 撗門은 長安의 城門 이름이다.】</font>에 올라서 사태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王脩]]가 [[沈田子]]를 잡아서 將領을 제멋대로 죽인 죄를 물어 목을 베었다. [[傅弘之]]가 [[赫連璝]]를 대파하니, 夏나라 군대가 마침내 후퇴하였다.
 
 
</div>
 
</div>
</div>
+
|}</div><div class="clsB">
|}
+
=====太宗簡文皇帝=====
 +
</div>太宗簡文皇帝 名昱이요 字道萬이니 元帝少子也라 在位二年이요 壽五十三이라<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六月에 [[宋公]][[裕]] 始受相國相國, 九錫之命<font color="#0054FF" size="2">【太尉裕 始受相國, 宋公, 九錫之命이라】</font>하다
+
[[太宗簡文皇帝]]<font color="#0054FF" size="2">【一德不懈曰簡이요 平易不訾曰簡이라】</font> 名[[昱]]이요 字[[道萬]]이니 [[元帝]]少子也라 在位二年이요 壽五十三이라
 
</div>
 
</div>
 
</div>
 
</div>
1,304번째 줄: 1,301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6월에 [[宋公]][[劉裕]]가 비로소 相國相國과 九錫의 命을 받았다.<font color="#0054FF" size="2">【太尉 劉裕가 비로소 相國‧宋公‧九錫의 명을 받은 것이다.】</font>
+
[[太宗]] 簡文皇帝<font color="#0054FF" size="2">【德을 한결같이 하여 게으르지 않은 것을 簡이라 하고, 평이하여 헐뜯지 않는 것을 簡이라 한다.】</font>는 이름이 [[昱]]이요 字가 [[道萬]]이니, [[元帝]]의 작은 아들이다. 재위가 2년이고 壽가 53세이다.
 
</div>
 
</div>
 
</div>
 
</div>
|}
+
|}</div><div class="clsB">
 +
=====[辛未]咸安元年=====
 +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十月에 [[夏王]][[勃勃]]이 進據咸陽<font color="#0054FF" size="2">【山南曰陽이요 水北曰陽이니 在渭水北, 九峻諸山之南이라 故로 名咸陽이라】</font>하니 長安樵采路絶이라 [[裕]]聞之하고 召[[義眞]]東歸하고 以[[朱齡石]]으로 代鎭長安하다 [[赫連璝]]帥衆三萬하고 追[[義眞]]하야 力戰連日에 晉兵大敗라 [[義眞]]이 僅得免歸하다
+
[辛未]咸安元年이라 〈秦建元七年이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正月에 [[秦王]][[]]이 徙關東豪傑及雜夷十五萬戶於關中하고 處[[烏桓]]於馮翊, 北地<font color="#0054FF" size="2">【北地는 郡名이라】</font>하고 丁零翟斌<font color="#0054FF" size="2">【丁零은 北狄種名이니 漢匈奴傳註에 地名이라 翟은 本音狄이니 後人姓音宅이라】</font>於新安, 澠池하다
 
</div>
 
</div>
 
</div>
 
</div>
1,323번째 줄: 1,323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10월에 [[夏王]][[赫連勃勃]]이 전진하여 咸陽<font color="#0054FF" size="2">【山의 남쪽을 陽이라 하고 물의 북쪽을 陽이라 하니, 咸陽(長安)은 渭水의 북쪽과 九峻山 등 諸山의 남쪽에 있으므로 咸陽이라고 이름한 것이다.】</font>을 점거하니, 長安의 나무 채취하는 길이 끊겼다. [[劉裕]]가 이 말을 듣고 [[劉義眞]]을 불러 동쪽으로 돌아오게 하고 [[朱齡石]]을 長安에 대신 진주하게 하였다. [[赫連璝]]가 군대 3만 명을 거느리고 [[劉義眞]]을 추격하여 연일 힘써 싸우니, 晉나라 군대가 대패하였다. [[劉義眞]]이 겨우 죽음을 면하고 돌아왔다.
+
咸安 元年(신미 371) - 秦나라 建元 7년이다. -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정월에 [[秦王]][[苻堅]]이 關東의 호걸과 여러 오랑캐 족속 15만 가호를 關中으로 옮겼으며, [[烏桓]]을 馮翊과 北地<font color="#0054FF" size="2">【北地는 고을 이름이다.】</font>에 安置시키고 [[丁零]] 사람 翟斌<font color="#0054FF" size="2">【丁零은 북쪽 오랑캐의 종족 이름이니, ≪漢書≫ 〈匈奴傳〉 註에는 地名이라고 하였다. 翟은 本音이 적이니, 후인들이 姓으로 쓸 때에는 音이 택(책)이다.】</font>을 新安과 澠池에 安置시켰다.
 
</div>
 
</div>
 
</div>
 
</div>
1,333번째 줄: 1,33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十一月에 [[齡石]]<font color="#0054FF" size="2">【相國右司馬라】</font>이 奔潼關이라가 爲人執送長安하니 [[勃勃]]이 殺之하다 [[勃勃]]이 卽皇帝位于灞上하고 都統萬<font color="#0054FF" size="2">【勃勃이 築城於朔方郡北黑水之南하고 朕方統一天下하야 君臨萬邦하니 新城宜名統萬이라하다】</font>하다
+
十月에 大司馬大司馬[[]]이 恃其材略位望<font color="#0054FF" size="2">【地位聞望이라】</font>하고 陰蓄不臣之志하야 嘗撫枕歎曰 男子不能流芳百世어든 亦當遺臭萬年이라하더라 [[溫]]欲先立功河朔하야 以收時望하고 還受九錫이러니 及枋頭之敗에 威名頓挫라 旣克壽春에 謂參軍參軍[[郗超]]曰 足以雪枋頭之恥乎아 [[超]]曰 未也니이다 久之요 超就溫宿할새 中夜에 謂[[]]曰 明公이 當天下重任하야 今以六十之年으로 敗於大擧하니 不建不世之勳이면 不足以鎭愜<font color="#0054FF" size="2">【愜은 伏也라】</font>民望이리이다 [[溫]]然則奈何오 超曰 明公이 不爲伊, 霍之擧<font color="#0054FF" size="2">【超知溫心而迎合之라】</font>者면 無以立大威權하야 鎭壓四海하리이다 溫素有心이러니 深以爲然하야 遂與之定議하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史略 史評][[番(鄱)陽石氏]]曰 [[伊尹]]이 放[[太甲]]하고 [[霍光]]이 廢昌邑王은 爲宗社計라 其心이 公也어늘 小人이 妄以爲擬하니 不亦異哉아
 
</div>
 
</div>
 
</div>
 
</div>
1,342번째 줄: 1,34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11월에 朱齡石<font color="#0054FF" size="2">【朱齡石은 相國 劉裕의 右司馬이다.】</font>이 潼關으로 도망했다가 사람에게 사로잡혀 長安으로 보내지니, [[赫連勃勃]]이 그를 죽였다. [[赫連勃勃]]이 灞上에서 황제에 즉위하고 統萬<font color="#0054FF" size="2">【赫連勃勃이 朔方郡 북쪽과 黑水 남쪽에 都城을 쌓고 말하기를 “朕이 비로소 天下를 통일하여 萬邦에 군림하였으니, 새로 쌓은 城은 마땅히 統萬이라 이름해야 한다.” 하였다.】</font>에 도읍하였다.
+
10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은 자신의 재주와 지략과 지위와 명망<font color="#0054FF" size="2">【位望은 지위와 명망이다.】</font>을 믿고 은밀히 신하 노릇 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품고서 일찍이 베개를 어루만지며 탄식하기를 “남자가 아름다운 명성을 百代에 남길 수 없으면 또한 더러운 이름이라도 만년토록 남겨야 한다.” 하였다. [[桓溫]]먼저 河朔(河北) 지방에서 공을 세워 당대의 명망을 거두고 돌아와 九錫을 받고자 하였는데, 枋頭에서 패하자 위엄과 명성이 크게 꺾였다. 壽春을 점령한 뒤에 參軍參軍[[郗超]]에게 이르기를 “枋頭의 치욕을 씻을 수 있겠는가?” 하니, [[郗超]]가 대답하기를 “안 됩니다.” 하였다. 얼마 후 [[郗超]]가 [[桓溫]]을 찾아가 함께 잠을 잤는데, 한밤중에 [[桓溫]]에게 이르기를 “明公이 천하의 重任을 담당하여 이제 60의 나이로 크게 군대를 동원하여 출정함에 실패하였으니, 좀처럼 세상에 나타나지 않을 큰 공업을 세우지 않는다면 백성들의 바람을 진정시키고 복종<font color="#0054FF" size="2">【愜은 복종함이다.】</font>시킬 수 없습니다.” 하였다. [[桓溫]]이 대답하기를 “그렇다면 어찌해야 하는가?” 하니, [[郗超]]가 말하기를 “明公이 [[伊尹]]과 [[霍光]]의 일<font color="#0054FF" size="2">【郗超가 桓溫의 속마음을 알고 영합한 것이다.】</font>을 하지 않는다면 큰 위엄과 권력을 세워서 四海를 진압할 수 없습니다.” 하였다. [[桓溫]]이 평소 배반할 마음이 있었는데, 이 말을 깊이 옳게 여겨서 마침내 [[郗超]]와 더불어 의논을 결정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史略 史評][[鄱陽石氏]]가 말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伊尹]]이 [[太甲]]을 추방하고[[霍光]]이 [[昌邑王]]을 폐위한 것은 종묘사직을 위한 계책이었다. 그 마음이 공정하였는데, 小人이 함부로 이에 비견하였으니, 이상하지 않은가.”
 
</div>
 
</div>
 
</div>
 
</div>
1,352번째 줄: 1,361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宋公]][[]] 以讖<font color="#0054FF" size="2">【符命之書니 說文에 驗也라 凡讖, 緯는 皆言將來之驗이니 釋名曰 纖也니 其義纖微라】</font>云昌明<font color="#0054FF" size="2">【簡文帝子武帝曜之字라 [通鑑要解]晉書帝紀曰 初에 簡文帝見讖하니 云 晉祚盡於昌明이라 及孝武帝之在孕也하야 李太后夢神人謂之曰 汝生男하리니 以昌明爲名하라 及産에 東方始明하니 因以爲名이라 簡文이 後悟流涕하니라】</font>之後에 尙有二帝라하야 乃使中書侍郞中書侍郞[[王韶之]]하야 與帝左右로 密謀弑帝하고 而立[[琅琊王]][[德文]]하니 戊寅에 [[德文]]이 卽皇帝位하다
+
十一月에 [[]]이 自廣陵으로 詣建康하야 宣太后令하야 廢帝爲東海王하고 以[[會稽王]][[昱]]으로 統承皇極하야 卽皇帝位하니 [[溫]]이 威勢翕赫<font color="#0054FF" size="2">【翕은 盛也라】</font>이러라 侍中侍中[[謝安]]이 見溫遙拜어늘 [[]]驚曰 安石아 卿이 何事乃爾오 [[]]曰 未有君拜於前하고 臣揖於後니이다 於是에 詔進溫丞相, 大司馬하야 留京師輔政하니 [[]]이 固辭하고 仍請還鎭姑孰하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史略 史評]史斷曰 [[安帝]]弗辨寒燠하고 口不能言이어늘 [[道子]], [[元顯]]이 幷傾朝政하야 納賄窮奢가 不知紀極하니 主昏臣亂이 莫熾於斯라 [[桓玄]]乘釁하야 遂行簒奪이어늘 [[劉裕]]擧兵誅[[玄]]하고 再安宗社라 自時厥後로 伐南燕, 斬[[盧循]], 滅[[姚泓]]하야 晉之威令이 雖伸이나 而[[裕]]之權勢 駸駸乎非復前日[[劉下邳]]矣니 晉欲安이나 可得乎아
+
[史略 史評]史斷曰 哀帝以及廢帝히 政出桓溫하야 太阿倒持하고 虛器徒擁하야 卒被廢黜하니 哀哉라
 
</div>
 
</div>
 
</div>
 
</div>
1,366번째 줄: 1,372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宋公]][[劉裕]]가 圖讖書<font color="#0054FF" size="2">【讖은 符命의 글이니, ≪說文解字≫에 “징험(예언)하는 것이다.” 하였다. 무릇 讖과 緯는 모두 장래의 일을 징험하는 것이니, ≪釋名≫에 이르기를 “讖은 섬세함이니 그 뜻이 纖微한 것이다.” 하였다.】</font>에 “昌明(司馬曜)<font color="#0054FF" size="2">【[頭註]昌明은 簡文帝의 아들인 武帝 司馬曜의 字이다. [通鑑要解]≪晉書≫ 〈孝武帝紀〉에 이르기를 “처음에 簡文帝가 圖讖書를 보니, 도참서에 ‘晉나라의 국통이 昌明에서 다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孝武帝가 어머니의 뱃속에 잉태되어 있을 때에 李太后의 꿈에 神人이 이르기를 ‘너는 아들을 낳을 것이니, 昌明으로 이름을 삼으라.’ 하였다. 해산할 때에 東方이 비로소 밝아오니, 인하여 昌明이라고 이름하였다. 簡文帝가 뒤에 깨닫고는 눈물을 흘렸다.” 하였다.】</font>의 뒤에 아직도 두 황제가 있다.”고 말했다 하여 마침내 中書侍郞中書侍郞[[王韶之]]를 시켜서 황제의 좌우 사람들과 함께 은밀히 모의하여 황제를 시해하고[[琅琊王]][[司馬德文]]을 세우니, 戊寅日(12월 17일)에 [[司馬德文]]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
11월에 [[桓溫]]이 廣陵으로부터 建康에 나가서 [[太后]]의 명령을 선포하여 황제를 폐위시켜[[東海王]]으로 삼고, [[會稽王]][[司馬昱]]으로 皇極의 대통을 이어서 황제에 즉위하게 하니, [[桓溫]]의 위엄과 권세가 대단히 혁혁<font color="#0054FF" size="2">【翕은 성대함이다.】</font>하였다. 侍中侍中[[謝安]]이 [[桓溫]]을 보고 멀리서 절하자, [[桓溫]]이 놀라며 말하기를 “[[安石(謝安의 字)]]아! 卿이 무슨 일로 이와 같이 하는가?” 하니, [[謝安]]이 말하기를 “군주가 앞에서 절하고 신하가 뒤에서 읍하는 경우는 있지 않습니다.” 하였다. 이에 조서를 내려 [[桓溫]]을 丞相丞相‧大司馬大司馬로 승진시켜京師에 머물면서 정사를 보필하게 하니, [[桓溫]]이 한사코 사양하고 그대로 돌아가 姑孰에 鎭駐할 것을 청하였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安帝]]는 추위와 더위도 분별하지 못하고 입으로 말도 제대로 하지 못하였는데, [[司馬道子]][[司馬元顯]]이 함께 朝廷의 정사를 위태롭게 하여 뇌물을 받고 극도로 사치하여 끝을 알지 못하였으니, 군주가 어리석고 신하가 어지러움이 이때보다 더 심한 적이 없었다. [[桓玄]]이 이 틈을 타서 찬탈하자, [[劉裕]]가 군대를 일으켜 [[桓玄]]을 주벌하고 다시 종묘사직을 안정시켰다. 이 뒤로부터 南燕(慕容超)을 정벌하고 [[盧循]]을 목 베고 [[姚泓(後秦)]]을 멸망시켜 晉나라의 위엄과 명령이 비록 베풀어졌으나 [[劉裕]]의 권세가 점점 더해져 더 이상 전날의 下邳太守下邳太守인 [[劉裕]]가 아니었으니, 晉나라가 편안하고자 하나 될 수 있었겠는가.”
+
“[[哀帝]]로부터 [[廢帝]]에 이르기까지 정사가 [[桓溫]]에게서 나와 황제는 칼날을 쥐고 거꾸로 칼자루를 [[桓溫]]에게 내주어 이름뿐인 빈 자리[虛器]만 끼고 있다가 마침내 폐출당하였으니, 슬프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
|}
====恭皇帝====
 
</div><div class="clsB">
 
=====恭皇帝 名德文이요 安帝母弟라 在位二年이요 壽三十七이니 傳于宋하니라=====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恭皇帝]] [[德文]]이요 字[[德文]]이니 [[安帝]]母弟라 在位二年이요 壽三十七이니 傳于宋하니라
+
[[十二月]]에 大司馬大司馬[[]]이 奏東海王이 宜依昌邑故事<font color="#0054FF" size="2">【漢昭帝崩에 迎昌邑王하야 卽帝位러니 有罪被廢하야 歸于昌邑하니라】</font>라하야 乃封海西縣公하다 [[]]이 威振內外하니 帝雖處尊位나 拱黙而已러라
 
</div>
 
</div>
 
</div>
 
</div>
1,399번째 줄: 1,395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恭皇帝]]는 이름이 [[德文]]이고 자가 [[德文]]이니, [[安帝]]의 同母弟이다. 재위가 2년이고 壽가 37세이니, 宋나라에 전위하였다.
+
○ 12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東海王(廢帝)]]은 마땅히 [[昌邑王]]의 故事<font color="#0054FF" size="2">【漢나라 昭帝가 崩함에 昌邑王(劉賀)을 맞이하여 황제에 즉위하였는데, 죄가 있어 폐출당하여 昌邑으로 돌아갔다.】</font>를 따라야 한다고 아뢰어 마침내 [[海西縣公]]에 봉하였다. [[桓溫]]의 위엄이 내외에 떨쳐지니, 황제가 비록 지존의 자리에 있었으나 팔짱을 끼고 침묵만 할 뿐이었다.
 
</div>
 
</div>
 
</div>
 
</div>
 
|}</div><div class="clsB">
 
|}</div><div class="clsB">
=====[己未]元熙元年=====
+
=====[壬申]二年=====
 
</div><div class="contData">
 
</div><div class="contData">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 class="wikitable" style="width:800px;"
1,411번째 줄: 1,406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己未]元熙元年이라 〈魏泰常四年이요 夏眞興元年이라〉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七月에 [[宋公]][[裕]] 進爵爲王하다
+
[壬申]二年이라 〈秦建元八年이라〉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歷年圖曰 晉室旣衰에 中原雲擾하니 戎狄腥羶之氣 瀰漫河, 洛하고 薰蒸岱, 華하야 宮闕蕪沒하고 陵廟隳焚이라 [[元帝]]<font color="#0054FF" size="2">【琅琊王睿라】</font>以宗室疎屬으로 遯居江表하니 天下士民有思晉者 皆裹糧而歸之하야 國於荊揚之間하야 子孫相承하야 不絶如線이라 獨明帝<font color="#0054FF" size="2">【紹니 元帝長子라】</font>英武하야 克淸大憝<font color="#0054FF" size="2">【憝는 惡也니 謂王敦이라】</font>러니 不幸享國不永하고 自餘는 孱弱孤危하야 外陵內叛하야 寄命於虎狼之口하야 幾遇呑食者數矣라 然이나 卒能保其位號하야 宗廟血食이 百有餘年은 何哉오 有[[王導]], [[卞壼]], [[溫嶠]], [[陶侃]], [[謝安]], [[謝幼度]]<font color="#0054FF" size="2">【玄字라】</font>爲之臣也일새라 群賢旣沒에 而[[道子]], [[元顯]]之徒輔之하니 敗亡이 不亦宜乎아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史略 史評]史斷曰 [[劉裕]]弑[[安帝]]而立[[恭帝]]러니 卒爲[[裕]]所簒하니 而昌明後二帝之讖이 應矣로다
+
七月에 帝崩<font color="#0054FF" size="2">【遺詔에 溫依周公居攝故事하라하고 又曰 少子可輔어든 輔之하고 如爲不可어든 君可自取하라하니 侍中王坦之 持詔入하야 於帝前에 毁之라 帝曰 天下儻來之運이어늘 卿何所嫌고하니 云云하다 】</font>하고 太子卽皇帝位하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史略 史評]胡氏曰 [[元帝]]는 忘國大讐하야 無恢復之志하고 惟[[明帝]]는 才略最優호되 又降年不永하고 餘皆碌碌하야 不足算也라 嘗怪[[王敦]], [[蘇峻]]構亂하고 [[桓溫]]廢立하야 屢起逆謀하고 [[桓玄]]已簒이라 然이나 猶綿歷百有餘年之久者는 尙賴[[王導]], [[祖逖]], [[溫嶠]], [[謝安]], [[謝玄]], [[王坦]]之諸賢이 忠義奮發하야 平內難하고 却强秦하야 以扶持之也일새라 然而卒莫能恢拓中原者는 蓋以[[導]]知寬簡植國하야 而不能從[[祖逖]]雍丘益兵之語하고 安知和靜鎭國하야 而不能從[[謝玄]]乘勝自往彭城之謀故也라 群賢旣沒에 而[[道子]], [[元顯]]之徒輔之하니 敗亡이 不亦宜乎아
 
 
</div>
 
</div>
 
</div>
 
</div>
1,440번째 줄: 1,417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元熙 元年(기미 419) - 魏나라 泰常 4년이고, 夏나라 眞興 元年이다. -
+
咸安 2년(임신 372) - 秦나라 建元 8년이다. -
 
</div>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7월에 [[宋公]][[劉裕]]가 작위가 승진되어 [[宋王]]이 되었다.
+
7월에 황제가 崩하고,<font color="#0054FF" size="2">【簡文帝가 崩할 때 遺詔에 “桓溫은 周公이 居攝한 故事를 따르라.” 하고, 또 말하기를 “少子가 보좌할 만하거든 보좌하고 만약 보좌할 수 없으면 그대가 스스로 취해도 된다.” 하니, 侍中 王坦之가 詔書를 가지고 대궐에 들어가 황제의 앞에서 이것을 찢어 버렸다. 황제가 말하기를 “天下를 뜻하지 않게 갑자기 얻었는데, 卿은 어찌하여 의혹하는가?” 하니, 王坦之가 云云하였다.】</font>太子太子가 황제에 즉위하였다.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歷年圖》에 말하였다.
 
</div>
 
 
 
 
 
<div class="para" style="padding:10px;">
 
“晉나라 황실이 이미 쇠약해지자 中原이 소란하니, 오랑캐의 비린내 나는 기운(야만스러운 풍속)이 黃河와 洛水 지역에 가득히 퍼지고 岱山과 華山까지 올라가서 궁궐이 황폐해지고 능묘가 무너지고 불탔다. 元帝<font color="#0054FF" size="2">【元帝는 琅琊王 司馬睿이다.】</font>가 종실의 먼 친족으로 도망하여 江東 지방에 거주하니, 晉나라를 그리워하는 천하의 선비와 백성들이 모두 양식을 싸가지고 그에게 귀부하여荊州와 揚州의 사이에 나라를 세워서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여 실낱같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왔다. 오직 明帝<font color="#0054FF" size="2">【明帝는 司馬紹이니, 元帝의 장남이다.】</font>만이 英明하고 武勇이 있어서 악의 원흉인 王敦<font color="#0054FF" size="2">【憝는 악이니, 大憝는 王敦을 이른다.】</font>을 깨끗이 제거하였으나 불행히도 국가를 소유한 햇수가 길지 못하였고, 그 밖에는 잔약하고 외롭고 위태로워서 밖에서는 능멸하고 안에서는 배반하여 호랑이의 입에 목숨을 맡겨서 거의 먹힐 뻔한 것이 여러 번이었다. 그러나 마침내 지위와 명호를 보전하여 宗廟에 血食을 올린 것이 백여 년이나 이어진 것은 어째서인가? 王導‧卞壼‧溫嶠‧陶侃‧謝安‧謝幼度(謝玄)<font color="#0054FF" size="2">【幼度는 謝玄의 字이다.】</font>가 신하가 되었기 때문이다. 여러 현자들이 죽자 [[司馬道子]]와 [[司馬元顯]]의 무리가 보필하였으니, 패망함이 또한 당연하지 않은가.”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劉裕]]가 [[安帝]]를 시해하고[[恭帝]]를 세웠는데, 끝내 [[劉裕]]에게 찬탈당하였으니, [[昌明]]의 뒤에 두 황제가 있다는 讖言이 맞은 것이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史略 史評][[胡氏]]가 말하였다.
 
</div>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元帝]]는 국가의 큰 원수를 잊어 中原을 회복할 뜻이 없었고, [[明帝]]는 재주와 지략이 가장 넉넉하였으나 또 하늘이 내려 준 수명이 길지 못하였으며, 그 밖에는 모두 碌碌하여 따질 것이 못 된다. 내 일찍이 [[王敦]]과 [[蘇峻]]이 난리를 일으키고 [[桓溫]]이 자기 마음대로 군주를 폐위하고 세워서 여러 번 역모를 일으켰으며 [[桓玄]]이 이미 찬탈하였는데도 오히려 晉나라의 國統이 백여 년 동안이나 면면히 이어진 것을 괴이하게 여겼으니, 이는 [[王導]]‧[[祖逖]]‧[[溫嶠]]‧[[謝安]]‧[[謝玄]]‧[[王坦之]] 등 여러 賢人들이 忠義心을 분발하여 내란을 평정하고 강한 秦나라를 물리쳐서 晉나라를 부지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끝내 中原을 회복하지 못한 것은 [[王導]]는 너그러움과 간략함으로 나라를 세울 줄만 알아서 雍丘에 병력을 더 증원해 달라는 [[祖逖]]의 말을 따르지 못하였고, [[謝安]]은 온화함과 고요함으로 나라를 鎭定할 줄만 알아서 승세를 타고 직접 彭城으로 가겠다는 [[謝玄]]의 계책을 따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러 현자들이 죽자 [[司馬道子]]와 [[司馬元顯]]의 무리가 보필하였으니, 패망함이 당연하지 않은가.”
 
 
</div>
 
</div>
 
</div>
 
</div>
1,485번째 줄: 1,429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20px;backgroubd-color:gray;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
+
○ 八月에 秦이 以王猛으로 爲丞相하다 猛이 爲相에 [[堅]]이 端拱<font color="#0054FF" size="2">【端은 正也요 拱은 拱手也니 言無爲라】</font>於上하고 百官이 總己於下하니 軍國內外之事 無不由之러라 [[猛]]이 剛明<font color="#0054FF" size="2">【不屈於欲之謂剛이요 不惑於物之謂明이라】</font>淸肅하야 善惡이 著白하고 放黜尸素<font color="#0054FF" size="2">【尸位素餐이라】</font>하고 顯拔幽滯하며 勸課農桑하고 練習軍旅<font color="#0054FF" size="2">【見一卷一旅注하니라】</font>하며 官必當才하고 刑必當罪하니 由是로 國富兵彊하야 戰無不克이라 秦國이 大治러라
右東西二晉은 合一百五十六年이니 凡一十五帝라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史略 史評]史斷曰 簡文이 爲桓溫所立하야 雖處尊位나 恭黙守道而已요 嘗懼廢黜하야 泣下沾襟하니 帝雖神識恬暢이나 而乏濟世大略이라 故로 謝安이 稱其爲惠帝之流에 淸談差勝耳라하고 [[謝靈運]]이 謂迹其行事하면 以爲[[赧]], [[獻]]之輩라하니 從可知矣니라
 
</div>
 
</div>
 
</div>
 
</div>
1,494번째 줄: 1,440번째 줄:
 
|-
 
|-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div style="font-family:맑은고딕;font-size:15px;text-align:left;">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div class="para" style="">
+
○ 8월에 秦나라가 [[王猛]]을 丞相丞相으로 삼았다. [[王猛]]이 丞相丞相이 되자, [[苻堅]]은 위에서 몸을 단정히 하고 손을 모아 無爲로써 다스리고<font color="#0054FF" size="2">【端은 바름이고 拱은 拱手하는 것이니, 端拱은 無爲(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를 말한다.】</font> 백관들은 아래에서 자신의 직책을 총괄하니, 軍國軍國 안팎의 정사가 [[王猛]]을 거치지 않는 것이 없었다. [[王猛]]은 굳세고 밝고<font color="#0054FF" size="2">【욕심에 굴복당하지 않는 것을 剛이라 하고, 외물에 미혹되지 않는 것을 明이라 한다.】</font> 깨끗하고 엄숙하여 善惡이 분명하며, 자리를 차지하고 녹만 받아먹는 자들<font color="#0054FF" size="2">【尸素는 직책을 다하지 못하면서 자리만 차지하고 祿만 받아먹는 것을 이른다.】</font>을 추방하여 내쫓고 숨어서 세상에 나오지 않는 자들을 드러내어 발탁하며, 농업과 양잠을 권장하고 군대<font color="#0054FF" size="2">【軍旅는 1권의 ‘一旅’ 注에 보인다.】</font>를 훈련시키며, 관직은 반드시 재주에 걸맞게 하고 형벌은 반드시 죄에 마땅하게 하니, 이로 말미암아 나라가 부유하고 군대가 강성해져서 싸우면 승리하지 않음이 없었다. 秦國이 크게 다스려졌다.
이상 東晉과 西晉은 합하여 156년이니, 모두 15帝이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
</div>
 +
<div class="para" style="text-indent:0px;">
 +
“[[簡文帝]]가 [[桓溫]]에 의해 옹립되어 비록 지존의 자리에 있었으나 공손하고 침묵하여 道를 지킬 뿐이었고, 항상 폐출당할까 두려워하여 눈물을 흘려 옷깃을 적셨다. [[簡文帝]]는 비록 정신이 평안하고 지식이 通暢하였으나 세상을 구제할 큰 智略이 없었다. 그러므로 [[謝安]]은 칭하기를 ‘晉나라 [[惠帝]]의 부류인데 淸談이 조금 나을 뿐이다.’ 하였고, 謝靈運謝靈運은 이르기를 ‘행한 일을 살펴보면 周나라 [[赧王]]과 漢나라 [[獻帝]]의 무리이다.’라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그의 인품을 알 만하다.
 
</div>
 
</div>
 
</div>
 
</div>
 
|}</div>
 
|}</div>

2017년 5월 25일 (목) 22:51 기준 최신판

晉紀

康皇帝

康皇帝 名岳이요 字世同이니 成帝母弟也라

康皇帝【溫柔好樂曰康】이요 字世同이니 成帝母弟也라 在位二年이요 壽二十二라

康皇帝【온화하고 유순하여 좋아하고 즐거워할 만한 것을 康이라 한다.】는 이름이 이요 字가 世同이니, 成帝의 同母弟이다. 재위가 2년이고 壽가 22세이다.

[癸卯]建元元年

[癸卯]建元元年이라 〈趙建武九年이라〉

庾翼【亮之弟니 亮卒에 翼代之라】이 薦桓溫成帝桓溫이 有英雄之才하니 願陛下勿以常人遇之, 常壻畜之【桓彛之子也니 尙明帝女南康公主하니라】하시고 宜委以方面【本文則方邵(召)하니 方叔, 召虎라 周宣王이 用之하야 以中興也라】之任이면 必有弘濟艱難之勳하리이다 時에 杜乂, 殷浩 才名冠世호되 翼獨弗之重也하고 曰 此輩는 宜束之高閣하야 俟天下太平然後에 徐議其任耳라하니라 浩累辭徵辟하고 屛居墓所하야 幾將十年하니 時人이 擬之管, 葛【管은 謂夷吾요 葛은 謂孔明이라】이라 江夏相謝尙【相은 漢志에 每國置相一人하니 主治民하야 如令, 長하고 不臣也라하니라 謝尙은 鯤之子라】長山令王濛이 常伺其出處하야 以卜江左興亡하고 常(嘗)相與省之러니 知浩有確然【守志堅固하야 不移也라】之志하고 旣返에 相謂曰 深源【殷浩字也라】不起하니 當如蒼生何오 이 請爲司馬司馬【請於國하니 詔除爲侍中, 安平軍司馬也라】한대 不應이어늘 이 遺浩書曰 王夷甫立名非眞【非眞은 不實也니 翼意言浩不可如王衍이라 夷甫는 衍字라】하니 雖云談道나 實長華競이라 明德君子 遇會處際【遇風雲之會하고 處功名之際라】에 寧可然乎아호되 猶不起러라

建元 元年(계묘 343) - 趙나라(後趙) 建武 9년이다. -

庾翼庾翼庾亮의 아우이니, 庾亮이 죽자 庾翼이 대신하였다.】桓溫成帝에게 천거하기를 “桓溫은 영웅의 재주가 있으니,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그를 보통 사람으로 대우하시거나 보통의 사위로 기르지 마시고【桓溫은 桓彛의 아들이니, 明帝의 딸인 南康公主에게 장가들었다.】 方面【≪資治通鑑≫ 本文에는 ‘方面’이 ‘方邵’로 되어 있으니, 方邵는 方叔과 召虎이다. 周나라 宣王이 이들을 등용하여 中興하였다.】의 임무를 맡긴다면 반드시 어려움을 크게 구제하는 功이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이때 杜乂殷浩가 재주 있다는 명성이 세상에 으뜸이었으나 庾翼만은 홀로 이들을 중시하지 않고 말하기를 “이런 무리들은 〈亂世에는 쓸데가 없으니〉 높은 다락에 묶어 두었다가 천하가 태평해지기를 기다린 뒤에 천천히 그 임무를 의논해야 한다.” 하였다. 殷浩가 여러 번 나라의 부름을 사양하고 물러나 묘소에 은거하여 거의 10년에 이르니, 당시 사람들이 管仲諸葛孔明【管은 管夷吾(管仲)를 이르고, 葛은 諸葛孔明을 이른다.】에게 견주었다. 江夏相江夏相謝尙【相은 ≪後漢書≫ 〈百官志〉에 “각 諸侯國마다 相 한 명을 두니, 백성들을 다스리는 것을 주관하여 縣令이나 縣長과 같고, 제후왕에게 신하 노릇 하지 않는다.” 하였다. 謝尙은 謝鯤의 아들이다.】과 長山令長山令王濛은 항상 그의 出處를 살펴 江左(江東)의 흥망을 점쳤다. 한번은 함께 殷浩를 문안하였는데, 殷浩에게 확고한【確然은 뜻을 지킴이 견고하여 변치 않는 것이다.】 뜻이 있음을 알고서 돌아온 뒤에 서로 말하기를 “深源【深源은 殷浩의 字이다.】이 나오지 않으니, 이 蒼生들을 어찌한단 말인가?” 하였다. 庾翼殷浩司馬로 삼을 것을 청하자,【庾翼이 殷浩를 司馬로 삼을 것을 국가에 청하자, 황제가 명하여 殷浩에게 侍中‧安平軍司馬를 제수한 것이다.】 〈황제가 명하여 司馬로 삼았는데〉 殷浩가 응하지 않으니, 庾翼殷浩에게 편지를 보내기를 “王夷甫(王衍)가 명성을 세운 것은 진짜가 아니니,【진짜가 아니라는 것은 진실하지 못한 것이니, 庾翼의 뜻은 殷浩가 王衍과 같아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 夷甫는 王衍의 字이다.】 비록 道를 말했다고 하나 실로 浮華함을 다투는 氣風을 助長하였다. 재주와 德을 겸비한 君子가 좋은 때를 당하여 만남【風雲의 기회를 만나고, 功名의 즈음에 처한 것이다.】에 어찌 그렇게 할 수 있겠는가?” 하였으나 殷浩는 여전히 나오지 않았다.

[甲辰]二年

[甲辰]二年이라 〈趙建武十年이요 漢主李勢太和元年이라〉

九月에 帝崩하고 太子卽位하니 時方二歲라 太后太后褚氏【裒女라】臨朝稱制하고 何充을 加侍中侍中, 錄尙書事錄尙書事하다

建元 2년(갑진 344) - 趙나라 建武 10년이고, 漢主李勢의 太和 元年이다. -

9월에 황제가 崩하고태자가 즉위하니, 이때 막 2세였다. 太后 褚氏【褚氏는 褚裒의 딸이다.】가 조정에 臨御하여 制를 칭하고 何充에게 侍中侍中‧錄尙書事錄尙書事를 가하였다.

孝宗穆皇帝

孝宗穆皇帝 名聃이 字彭祖니 康帝太子也라 在位十七年이요 壽十九라

孝宗穆皇帝【布德執義曰穆이라】이요 字彭祖康帝太子也라 在位十七年이요 壽十九라

孝宗 穆皇帝【德을 베풀고 義를 지키는 것을 穆이라 한다.】는 이름이 이고 字가 彭祖이니, 康帝康帝의 太子太子이다. 재위가 17년이고 壽가 19세이다.

[乙巳]永和元年

[乙巳]永和元年이라 〈趙建武十一年이라 ○ 燕王慕容皝十二年이라 ○ 舊大國一이요 漢, 涼, 代小國三이요 新小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永和 元年(을사 345) - 趙나라 建武 11년이다. ○ 燕王慕容皝 12년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漢‧涼‧代 등 小國이 셋이며 새로운 小國이 하나이니, 모두 僭國이 다섯이다.-

會稽王【昱은 音育이라 晉元帝少子니 是爲簡文帝라】으로 爲撫軍大將軍撫軍大將軍, 錄尙書事錄尙書事하고 以徐州刺史徐州刺史桓溫으로 爲安西將軍安西將軍, 荊州刺史荊州刺史하다

會稽王 司馬昱【昱은 音이 육(욱)이다. 司馬昱은 晉 元帝의 少子이니, 이가 바로 簡文帝이다.】을 撫軍大將軍‧錄尙書事撫軍大將軍‧錄尙書事로 삼고, 徐州刺史徐州刺史桓溫을 安西將軍‧荊州刺史安西將軍‧荊州刺史로 삼았다.

[丙午]二年

[丙午]二年이라 〈趙建武十二年이요 漢嘉寧元年이라〉

殷浩로 爲揚州刺史揚州刺史하니 固辭어늘 會稽王이 遺書曰 足下去就 卽時之廢興이니 若深存挹退하야 苟遂本懷면 吾恐天下之事去矣라한대 乃就職하다

永和 2년(병오 346) - 趙나라 建武12년이고, 漢나라 嘉寧 元年이다. -

殷浩를 揚州刺史揚州刺史로 삼으니, 殷浩가 한사코 사양하였는데, 會稽王司馬昱殷浩에게 편지를 보내어 이르기를 “足下의 거취에 바로 時運이 폐하느냐 흥하느냐가 달려 있으니, 만약 겸양하는 마음을 깊이 보존하여 〈세속의 일을 돌아보지 않고〉 다만 본래의 마음을 이루려 한다면 나는 천하의 일이 글러 버릴까 두렵다.” 하자, 殷浩가 마침내 부임하였다.

○ 五月에 西平公張駿張軌及二子, 保據河右러니 及駿勤修庶政하야 民富兵强하니 遠近稱爲賢君이라하다】이 薨커늘 世子重華 自稱涼州牧涼州牧, 西平公西平公, 假涼王假涼王이라하다

○ 5월에 前涼의 西平公張駿【張軌와 두 아들인 張寔‧張茂가 河右(河西)를 점거하였는데, 張駿이 庶政을 부지런히 닦아서 백성들이 풍족하고 군대가 강해지자, 遠近에서 칭송하여 賢君이라 하였다.】이 薨하자, 世子世子張重華涼州牧西平公假涼王이라 자칭하였다.

○ 安西將軍安西將軍桓溫이 伐漢【李氏據蜀稱漢하니라[頭註]戊戌年에 成李壽弑其君하고 自立하야 改國號漢이라하다 李壽之子也라】할새 拜表卽行【謂拜上表하고 而不及聞詔命而輒行也라】하다

○ 安西將軍安西將軍桓溫이 漢나라를 정벌【[原註]李氏가 蜀을 점거하고 漢이라고 칭하였다.[頭註]무술년(338)에 成나라 李壽가 그 군주 李期를 죽이고 자신이 왕위에 서서 國號를 成에서 漢으로 고쳤다. 李壽는 李特의 아우인 李驤의 아들이다.】할 때에 表文을 올리고는 즉시 출발하였다.【表文을 올리고는 미처 詔命을 듣기도 전에 곧바로 길을 떠남을 이른다.】

[丁未]三年

[丁未]三年이라 〈趙建武十三年이라 ○ 是歲에 漢亡하니 大一, 小三이니 凡四僭國이라〉

永和 3년(정미 347) - 趙나라 建武13년이다. ○ 이해에 漢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하나이고 小國이 셋이니, 僭國이 모두 넷이다.-

二月에 이 自將步卒하고 直指成都한대 漢主【壽長子라】 悉衆出戰이어늘 이 乘勝長驅하야 至成都하야 縱火燒其城門하니 漢人이 惶懼하야 無復鬪志라 勢送降文於하고 尋輿櫬面縛하고 詣軍門이어늘 이 解縛焚櫬하고 送勢及宗室十餘人於建康하고 擧賢旌善하니 蜀人이 悅之러라

2월에 桓溫이 직접 보병을 거느리고 곧바로 成都로 향하자, 漢主李勢【永和 漢主 李勢는 李壽의 長子이다.】가 병력을 총동원하여 나와서 싸웠다. 桓溫이 승승장구하여 成都에 이르러서 불을 놓아 城門을 태우니, 漢나라 사람들이 두려워하여 다시는 싸울 마음이 없었다. 李勢가 항복문을 桓溫에게 보내고 얼마 뒤에 관을 수레에 싣고 두 손을 등 뒤로 돌려 묶고 얼굴을 사람들에게 보이도록 앞으로 쳐들고 軍門軍門에 나오자, 桓溫이 포박을 풀어 주고 관을 불태웠으며 李勢와 宗室 10여 명을 建康으로 보내고 어진 사람을 천거하고 선한 사람을 표창하니, 蜀 지방 사람들이 기뻐하였다.

[戊申]四年

[戊申]四年이라 〈趙建武十四年이라〉

四月에 朝廷이 論平蜀之功하야 乃加征西大將軍征西大將軍하고 封臨賀郡公臨賀郡公하다 旣滅蜀에 威名大振하니 朝廷이 憚之러라 會稽王이 以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有盛名하야 朝野推服이라하야 乃引爲心膂하야 與參綜【謂參錯綜核也라】朝權하야 欲以抗溫하니 由是로 與浸相疑貳러라

永和 4년(무신 348) - 趙나라 建武14년이다. -

4월에 조정에서 蜀의 漢나라를 평정한 공을 논하여 마침내 桓溫에게 征西大將軍征西大將軍을 가하고臨賀郡公에 봉하였다. 桓溫이 蜀을 멸망시킨 뒤로 위엄과 명망이 크게 떨쳐지니, 조정이 두려워하였다. 會稽王司馬昱이 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가 훌륭한 명성이 있어 朝野가 추대하고 복종한다 하여, 마침내 그를 나오게 하여 심복으로 삼아서 함께 조정의 권력에 참여하고 총괄【參綜은 參錯하고 綜核(政事에 하나하나 참여하여 자세하게 밝힘)함을 이른다.】하게 함으로써 桓溫에게 대항하고자 하니, 이로 말미암아 桓溫과 점점 서로 의심하게 되었다.

○ 十一月에 燕王이 卒하고 世子이 卽位하다

○ 11월에 燕王慕容皝이 죽고, 世子世子慕容雋이 즉위하였다.

[己酉]五年

[己酉]五年이라 〈趙太寧元年이라〉

正月에 趙王卽皇帝位【虎荒耽酒色하고 喜怒無常이라 窮奢極侈하야 聚斂無極하고 悉發前代陵墓하야 取其金寶라 作大武宮於襄國하고 東西宮於鄴都할새 皆甃以文石하고 以漆灌瓦하며 金(鐺)[璫]銀楹하고 珠簾玉壁하야 窮極工巧라 選士民之女하야 服珠玉하고 被綺縠이 萬餘人이요 以女騎千人으로 爲鹵簿하야 皆著紫綸巾, 熟錦袴하고 執羽鳴鼓吹以游宴이라 投石於河하야 以作飛橋하니 功費數千萬億이요 又作臺觀四十餘所하고 又營長安, 洛陽(一)[二]宮하니 作者四十餘萬人이라 又發男女十六萬하야 築華林苑及長墻于鄴北할새 燃燭夜作하니 死者太半이라 濟南平陵城北에 石虎一夕에 自移城東南하니 狼狐千餘隨之成蹊어늘 虎喜曰 石虎者는 朕也니 天欲使朕平蕩江南也라하고 於是에 制征士五人에 出車一乘, 牛二頭, 米十斛, 絹十匹호되 不辦者斬하니 民鬻子以供이로되 猶不能給하야 自經於道者相望이라 命太子遊獵하니 太子宣이 乘大輅하고 羽葆華蓋하고 建天子旌旗하고 戍卒十八萬이라 虎望之하고 笑曰 我家父子如是하니 自非天崩地陷이면 復何愁리오하다 復命秦公韜繼遊한대 亦如是하니 宣이 怒其與己敵하야 使刺客殺韜하고 又謀不軌라가 事覺伏誅하다】라가 旣而病卒하니 太子世卽位하다 彭城王遵이 廢世爲譙王이라가 尋殺之하고 遵卽位【虎之子也라 遵이 與丞相燕王斌과 大將軍張豺로 竝受遺詔輔政이러니 劉后恐斌不利於太子하야 矯詔免歸第한대 張豺矯詔殺斌하다 虎卒에 世卽位하고 劉氏臨朝한대 征虜將軍石閔이 說遵曰 殿下長且賢하시니 先帝亦意以爲嗣러니 末年에 爲張豺所誤라 今若聲豺之惡하야 鼓而討之면 其誰不從이리오 遵從之하야 遂趣鄴하니 耆舊士民이 皆迎之하다 豺惶怖하야 亦出迎이어늘 遵命執豺하야 斬于市하다 假劉氏令하야 以遵嗣位하니 封世爲譙王하고 廢劉氏라가 皆殺之하다 於是에 鄴中暴風拔樹하고 震雷雨雹하야 大如盂斗요 太武暉華殿災하고 及諸門觀閣이 蕩然無餘하고 金石皆盡이라 火月餘乃滅하니라】하야 以武興公【虎之養子라】으로 爲都督中外諸軍事하다 言於蒲洪【苻堅之祖니 略陽臨渭氐人이라】은 人傑也라 今以洪鎭關中이면 臣恐秦, 雍之地가 非復國家之有라한대 遵從之하야 罷洪都督하니 이 怒하야 歸枋頭【曹操於淇水(江)[口]에 下大枋木以成堰하야 遏其水하야 東入白溝하야 以通漕運하고 因號其處曰枋頭라하니라】하야 遣使來降【秦雍流民이 立洪爲主라】하다

永和 5년(기유 349) - 趙나라 太寧 元年이다. -

정월에 趙王石虎가 황제에 즉위하였다가【石虎는 酒色에 빠지고 기뻐하고 노여워함이 일정함이 없었다. 극도로 사치하여 세금을 거둠이 끝이 없었으며, 前代 帝王의 陵墓를 모두 발굴하여 금은보화를 취하였다. 襄國에 太武宮을 짓고 鄴都에 東宮과 西宮을 지을 적에 모두 무늬 있는 돌로 섬돌을 만들고 기와 틈에 옻칠을 부었으며, 金으로 서까래를 만들고 銀으로 기둥을 장식하며, 진주 주렴에 玉으로 벽을 만들어서 공교함을 지극히 하였다. 士民의 딸을 뽑아 珠玉으로 꾸미고 얇은 비단옷을 입힌 것이 만여 명이요, 여자 騎兵 천 명을 鹵簿(儀仗隊)로 삼았는데, 모두 자주색 綸巾을 씌우고 精製한 비단으로 만든 바지를 입힌 다음, 깃털로 장식한 깃발을 잡고 북을 울리고 나팔을 불며 뒤따르게 하여 놀고 잔치하였다. 돌을 黃河에 쏟아 부어서 飛橋를 만드니, 공력과 비용이 수천만억이었다. 또 樓觀을 40여 곳에 만들고 長安과 洛陽에 두 궁궐을 만드니 일하는 자가 40여만 명이었다. 또 남녀 16만 명을 징발하여 華林苑과 長墻을 鄴都 북쪽에 쌓을 적에 횃불을 밝히고 밤에도 일하니, 죽은 자가 태반이었다. 濟南의 平陵城 북쪽에 돌로 만든 호랑이[石虎]가 하룻밤 사이에 저절로 城의 동남쪽으로 옮겨 가니, 이리와 여우 천여 마리가 뒤를 따라가서 길이 이루어지자, 石虎가 기뻐하며 말하기를 “돌로 만든 호랑이는 바로 朕이다. 하늘이 아마도 나로 하여금 江南 지방을 평정하게 하려는가 보다.” 하였다. 이에 명을 내려 출정하는 군사 5명마다 兵車 1대와 소 2頭, 쌀 10斛, 비단 10필을 내게 하되 마련하지 못하는 자는 목을 베니, 백성들이 자식을 팔아 비용을 대었으나 오히려 충분하지 못하여 길에서 스스로 목을 매어 죽는 자가 서로 이어졌다. 太子에게 명하여 나가서 사냥하게 하니, 太子 石宣이 황제가 타는 大輅를 타고 華蓋를 새의 깃털로 장식하며 天子의 깃발을 꽂았으며, 병졸이 18만 명이었다. 石虎가 이것을 바라보고 웃으며 말하기를 “우리 집 父子가 이와 같으니, 만일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지 않는다면 다시 무엇을 근심하겠는가.” 하였다. 다시 秦公 石韜에게 명하여 자신이 놀러 나갈 때 뒤를 따르도록 하였는데 그가 또한 이와 똑같이 하니, 石宣은 그가 자신과 대등하게 맞선 것에 노하여 자객을 시켜 石韜를 죽이고 또 반역을 도모하다가 일이 발각되어 죽었다.】 얼마 후 병들어죽으니, 太子太子石世가 즉위하였다. 彭城王石遵石世를 폐위하여譙王으로 삼았다가 얼마 뒤 시해하고 자신이 즉위하여【石遵은 石虎의 아들이다. 石遵이 丞相인 燕王 石斌, 大將軍 張豺와 함께 石虎의 遺詔를 받아 정사를 보필하였는데, 劉后는 石斌이 정사를 보필하면 太子에게 불리할까 염려해서 조서를 위조하여 면직하고 집으로 돌아가게 하니, 張豺가 조서를 위조하여 石斌을 죽였다. 石虎가 죽자 石世가 즉위하고 劉氏가 조정에 임어하였는데, 征虜將軍 石閔이 石遵을 설득하기를 “전하가 나이가 많고 또 어지시니, 先帝께서 또한 意中에 후사를 삼으려 하였는데, 말년에 張豺 때문에 잘못되었습니다. 이제 만약 張豺의 惡行을 성토하여 북을 울리고 진군하여 토벌한다면 그 누가 따르지 않겠습니까.” 하였다. 石遵이 그의 말을 따라 마침내 鄴都로 달려가니, 耆老들과 士民들이 모두 환영하였다. 張豺가 두려워하여 또한 나와서 맞이하자, 石遵이 명하여 張豺를 잡아서 시장에서 목 베게 하였다. 劉氏의 명령을 가탁하여 石遵으로 황제의 지위를 잇게 하니, 石遵이 石世를 봉하여 譙王을 삼고 劉氏를 폐위하였다가 모두 죽였다. 이때 鄴中에 폭풍이 불어 나무가 뽑히고 천둥 벼락이 치며 크기가 사발과 말[斗]만한 우박이 내렸다. 太武暉華殿에 불이 나고 여러 문과 觀閣이 다 불타 버려 남은 것이 없었으며 금은보화도 모두 없어졌다. 화재가 한 달이 넘어서야 비로소 꺼졌다.】武興公 石閔【武興公 石閔은 石虎의 養子이다.】을 都督中外諸軍事都督中外諸軍事로 삼았다. 石閔石遵에게 말하기를 “蒲洪(前秦을 세움)【蒲洪은 苻堅의 조부이니, 略陽郡 臨渭縣 사람으로 氐族이다.】은 인걸입니다. 이제 蒲洪으로 하여금 關中을 鎭撫鎭撫하게 하면 신은 秦州와 雍州 지역이 다시는 우리나라의 소유가 못 될까 두렵습니다.” 하자, 石遵이 그의 말을 따라 蒲洪을 都督都督에서 파면하였다. 蒲洪이 노하여 枋頭로 돌아가【曹操가 淇水 어귀에서 큰 통나무를 내려 보내어 제방을 만들어 물길을 막아서 동쪽으로 白溝로 들어가게 하여 漕運을 통하게 하고 인하여 그곳을 이름하기를 枋頭라고 하였다.】使者使者를 보내어 晉나라에 와서 항복하였다.【秦州와 雍州 지역의 流民들이 蒲洪을 세워 군주로 삼았다.】

○ 六月에 桓溫이 聞趙亂하고 出屯安陸하고 遣諸將하야 經營北方할새 趙揚州刺史揚州刺史王浹이 擧壽春降이어늘 征北大將軍褚裒 上表請伐趙하고 卽日戒嚴하야 直指泗口하다 徑赴彭城하니 北方士民降附者 日以千計러라 朝野皆以爲中原을 指期可復이라호되 蔡謨獨謂所親曰 胡滅이 誠爲大慶이나 然恐更貽朝廷之憂로라 其人曰 何謂也오 謨曰 夫能順天乘時하야 濟群生於艱難者는 非上聖與英雄이면 不能爲也니 自餘則莫若度德量力이라 觀今日之事컨대 殆非時賢所及이라 必將經營分表【分은 劑요 表는 外라[頭註]分은 量也요 表는 外也니 言經營過於分量之外라】하야 疲民以逞하리니 旣而材略疎短하야 不能副心하고 財殫力竭하야 智勇俱困이면 安得不憂及朝廷乎아 魯郡民五百餘家 相與起兵附晉하고 求援於褚裒라 裒遣(步)[部]將王龕, 李邁하야 將銳卒三千迎之하니 趙李農이 帥騎二萬하고 與龕等으로 戰於代陂러니 龕等이 大敗하야 皆沒於趙하다 八月에 裒退屯廣陵이러니 詔命裒하야 還鎭京口하다 時에 河北大亂하야 遺民二十餘萬口가 渡河〈欲〉來歸러니 會에 裒已還하니 威勢不接하야 不能自拔하고 死亡略盡하니라

○ 6월에 桓溫이 趙나라가 혼란하다는 말을 듣고 나가서 安陸에 주둔하고 諸將을 보내어 北方을 경영하였다. 이때 趙나라 揚州刺史揚州刺史王浹이 壽春을 가지고 항복하자, 征北大將軍征北大將軍褚裒가 表文을 올려 趙나라를 칠 것을 청하고 그날로 삼엄하게 경계하여 곧바로 泗口로 향하였다. 지름길을 따라 彭城으로 달려가니, 北方의 士民 중에 항복하고 따르는 자가 하루에 천 명으로 헤아려졌다. 朝野에서 모두 머지않아 中原을 회복할 수 있다고 말하였으나 蔡謨만은 홀로 친한 사람에게 이르기를 “오랑캐가 멸망하는 것은 진실로 크게 경하할 일이나 다시 조정에 근심을 끼칠까 두렵노라.” 하였다. 그 사람이 말하기를 “무슨 말인가?” 하니, 蔡謨가 말하기를 “하늘에 순응하고 기회를 타서 生民들을 어려움에서 구제하는 것은 至聖과 英雄豪傑이 아니면 하지 못하니, 그 밖의 사람은 德을 헤아리고 힘을 헤아리는 것만 못하다. 일을 살펴보건대 자못 지금의 현자들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틀림없이 제 분수 이상으로【[釋義]分은 劑(분량)요, 表는 벗어남이다.[頭註]分은 분량이고 表는 벗어남이니, 經營함이 分量의 밖에 넘침을 이른다.】 경영해서 백성들을 피곤하게 하여 욕심을 부릴 것이니, 이윽고 재주와 지략이 엉성하고 부족하여 마음에 부응하지 못하고 재물이 다하고 힘이 고갈되어 지혜와 용맹이 모두 궁해지면 어찌 우환이 조정에 미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하였다.

魯郡의 백성 5백여 가호가 서로 군대를 일으켜 晉나라에 붙고 褚裒에게 구원을 청하였다. 褚裒가 部將部將王龕李邁를 보내어 정예병 3천 명을 거느리고 맞이하게 하니, 趙나라 李農이 騎兵 2만 명을 거느리고 王龕 등과 代陂에서 싸웠는데, 王龕 등이 대패하여 모두 趙나라에서 죽었다. 8월에 褚裒가 후퇴하여 廣陵에 주둔하였는데, 조서를 내려 褚裒에게 명해서 돌아와 京口에 鎭駐하게 하였다. 이때 河北 지방이 크게 혼란하여 遺民 20여만 명이 黃河를 건너와 歸附하고자 하였는데, 마침 褚裒가 돌아오자 위엄과 기세가 이어지지 못해서 遺民들이 스스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거의 다 죽었다.

○ 十一月에 趙武興公閔이 執趙主遵하야 殺之하다

○ 11월에 趙나라 武興公石閔趙主石遵을 잡아서죽였다.

○ 秦, 雍流民이 相率西歸【秦, 雍流民은 卽石虎所從者니 今因趙亂故로 西歸라】할새 路由枋頭하야 共推蒲洪爲主하니 衆이 十餘萬이라 洪子이 在鄴斬關하고 出奔枋頭하다

○ 秦州와 雍州 지역의 流民들이 서로 이끌고 서쪽으로 돌아갈 적에【秦州와 雍州 지역의 流民들은 곧 石虎를 따르던 자들이니, 지금 趙나라가 어지럽기 때문에 서쪽으로 돌아간 것이다.】 길이 枋頭를 경유하므로 함께 蒲洪을 추대하여 군주로 삼으니, 무리가 10여만 명이었다. 蒲洪의 아들蒲健이 鄴에 있다가 관문을 지키는 장수를 베고 나와 枋頭로 달아났다.

[庚戌]六年

[庚戌]六年이라 〈趙主石祗永寧元年이라 ○ 魏主冉閔永興元年이라 ○ 舊大國一이요 涼, 代, 燕小國三이요 新大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正月에 趙大將軍大將軍이 卽皇帝位하고 改國號魏라하고 復姓冉氏【閔은 本姓冉氏이니 魏郡內黃人이라 石勒이 獲之하고 命石虎하야 養以爲子라】【八年에 爲燕所滅하니라】하다

永和 6년(경술 350) - 趙主石祗의 永寧 元年이다. ○ 魏主冉閔의 永興 元年이다. ○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涼‧代‧燕 등 小國이 셋이며 새로운 大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다섯이다.-

정월에 趙나라 大將軍大將軍石閔이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魏라고 고치고 冉氏姓을 회복하였다.【石閔은 본래 姓이 冉氏이니, 魏郡 內黃 사람이다. 石勒이 〈石閔의 아버지 石瞻을〉 사로잡고 石虎에게 명하여 石閔을 길러서 養子로 삼게 하였다.】【魏나라는 永和 8년(352)에 燕나라에게 멸망당하였다.】

姚弋仲【石虎時에 累遷하야 至冠軍大將軍이라】, 蒲洪이 各有據關右之志라 弋仲이 遣其子襄하야 帥衆五萬擊洪이어늘 洪이 迎擊破之하다 洪이 自稱大都督, 三秦王이라하고 改姓苻氏【晉載記曰 其家池中蒲生하니 長五丈五요 節如竹形이라 時咸謂之蒲家라하니 因爲氏焉하다 又隴右大雨어늘 謠曰 雨若不止면 洪水必起라하니 因名曰洪이라 後以讖文에 有艸付應王하고 又以孫堅背有艸付字라하야 遂改姓苻하니라】하다

○ 姚弋仲【姚弋仲은 石虎 때에 여러 번 승진하여 冠軍大將軍에 이르렀다.】蒲洪이 각각 關西 지방을 점령할 뜻이 있었다. 姚弋仲이 아들姚襄을 보내어 5만 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蒲洪을 공격하자, 蒲洪이 맞아 싸워 격파하였다. 蒲洪이 大都督大都督‧三秦王三秦王이라 자칭하고 姓을 苻氏로 고쳤다.【≪晉書≫ 〈苻洪載記〉에 이르기를 “집의 연못에서 부들[蒲]이 자랐는데 길이가 5丈 5尺이며 마디가 대나무 모양과 같으니 당시에 모두 蒲家라고 일렀으므로 인하여 姓氏로 삼았다.” 하였다. 또 隴右에 큰비가 내렸는데, 동요에 이르기를 “비가 만약 그치지 않으면 홍수가 반드시 일어난다.” 하니 인하여 이름을 洪이라 하였다. 뒤에 圖讖書에 “艸付가 응당 왕 노릇 할 것이다.” 하였고, 또 손자인 苻堅의 등에 艸付라는 글자가 있다 하여 마침내 성을 苻氏로 고쳤다.】

○ 三月에 이 卒하니 世子이 代領其衆하다

○ 3월에 蒲洪이 죽으니, 世子世子苻健이 대신 그 무리를 거느렸다.

○ 十一月에 苻健이 入長安하야 以民心思晉이라하야 乃遣使詣建康하야 獻捷하고 幷修好於桓溫하니 於是에 秦, 雍夷, 夏 皆附之러라

○ 11월에 苻健이 長安에 들어와서 民心이 晉나라를 생각한다 하여 마침내 使者使者를 보내어 建康에 와서 포로와 전리품을 바치고 아울러 桓溫과 우호 관계를 맺으니, 이에 秦州와 雍州 지역의 오랑캐와 漢族들이 모두 따랐다.

[辛亥]七年

[辛亥]七年이라 〈趙永寧二요 魏永興二年이라 ○ 秦主苻健皇始元年이라 ○是歲에 趙亡하니 舊大國一이요 涼, 代, 燕小國三이요 新大國一이니 凡五僭國이라〉

正月에 苻健이 卽天王位하야 國號를 大秦이라하고 凡趙之苛政不便於民者를 皆除之하다

永和 7년(신해 351) - 趙나라 永寧 2년이고, 魏나라 永興 2년이다. ○ 秦主苻健의 皇始 元年이다. ○ 이해에 趙나라가 망하였다. 예전에 있던 大國이 하나이고 涼‧代‧燕 등 小國이 셋이며 새로운 大國이 하나이니, 僭國이 모두 다섯이다.-

정월에 苻健이 天王天王에 즉위하여 국호를 大秦이라 하고, 백성들에게 불편한 모든 趙나라의 까다로운 정사를 모두 제거하였다.

○ 初에 桓溫이 聞石氏亂하고 上疏請出師하야 經略中原호되 事久不報라 이 知朝廷仗殷浩하야 以抗己하고 甚忿之나 然이나 素知之爲人하야 亦不之憚也라 以國無他釁이라하야 遂得相持彌年【久也라】하니 雖有君臣之跡이나 覊縻而已요 八州이 都督荊, 司, 雍, 益, 梁, 寧, 交, 廣八州하니라】士衆資調【謂資財調賦라】 殆不爲國家用이러라 屢求北伐호되 詔書不聽하다 十二月에 이 拜表輒行할새 帥衆四五萬하고 順流而下하야 軍于武昌하니 朝廷이 大懼라 司馬高崧이 言於會稽王曰 王宜致書하야 諭以禍福이면 自當返旆요 如其不爾면 便六軍整駕하리니 逆順이 於玆判矣리이다하고 乃於坐에 爲草書【書曰 寇難宜平이요 時會宜接이니 此實爲國遠圖요 經略大算이라 能弘斯會는 非足下而誰리오 然이나 異常之擧는 衆之所駭니 苟或望風振擾하야 一時竝散이면 則望實竝喪하고 社稷之事去矣云云하니 見書하고 卽上疏하야 謝之也라】하니 卽上疏하야 惶恐謝罪하고 回軍還鎭하다

○ 처음에 桓溫石氏가 혼란하다는 말을 듣고 上疏하여 출병해서中原을 經略經略할 것을 청하였으나 朝廷에서는 이 일에 대해 오랫동안 답을 내리지 않았다. 桓溫은 조정이 殷浩에게 기대어 자신에게 항거함을 알고 매우 분해 하였지만 평소 殷浩의 사람됨을 알았으므로 또한 두려워하지 않았다. 나라에 별다른 일이 없다 하여 마침내 1년이 되도록【彌年은 오램이다.】 서로 대치만 하니, 비록 겉으로는 君臣間의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매여 있기만 할 뿐이었고, 〈桓溫이 관할하는〉 8州桓溫이 荊州‧司州‧雍州‧益州‧梁州‧寧州‧交州‧廣州의 8州를 도독하였다.】의 군사와 재물과 貢物【資調는 資財(資産)와 調賦(해마다 바치는 공물)를 이른다.】이 거의 국가를 위해 쓰여지지 않았다. 桓溫이 여러 번 北伐을 청하였으나 윤허하는 詔書가 내려지지 않았다.

12월에 桓溫이 表文을 올리고 곧바로 떠날 적에 병력 4, 5만 명을 거느리고 물길을 따라 내려와서 武昌에 군대를 주둔하니, 朝廷이 크게 두려워하였다. 司馬高崧會稽王司馬昱에게 말하기를 “왕이 桓溫에게 글을 보내어 禍福(出兵의 利害)으로 타이른다면 스스로 군대를 이끌고 돌아갈 것이요, 만일 이렇게 하지 않으면 곧바로 六軍六軍을 정돈하여 토벌해야 할 것이니, 반역과 순종함이 여기에서 판명이 날 것입니다.” 하고, 마침내 그 자리에서 司馬昱을 위해 편지를 초하니,【高崧이 초한 편지에 이르기를 “적의 禍難은 평정해야 하고 좋은 기회는 꼭 잡아야 하니, 이는 실로 국가를 다스리는 원대한 계책이요 천하를 經略하는 중대한 계획이다. 이렇게 좋은 기회를 넓힐 수 있는 것은 足下가 아니면 그 누구이겠는가. 그러나 이번의 이상한 행동은 사람들이 놀라는 바이니, 만일 혹 소문을 듣고 소요를 일으켜 足下의 군대가 일시에 모두 흩어져 버린다면 足下의 명성과 실제는 모두 수포로 돌아가고 國家의 大事는 글러 버릴 것이다.……” 하니, 桓溫이 편지를 보고 즉시 상소하여 사죄하였다.】桓溫이 〈편지를 받고는〉 즉시 上疏하여 황공해하며 사죄하고 군대를 돌려 鎭으로 돌아갔다.

[壬子]八年

[壬子]八年이라 〈魏永興三年이요 秦皇始二年이라 ○ 燕主慕容雋元璽元年이라 ○是歲에 魏亡하니 大二, 小二니 凡四僭國이라〉

正月에 秦王이 卽皇帝位하다

永和 8년(임자 352) - 魏나라 永興 3년이고, 秦나라 皇始 2년이다. ○ 燕主慕容雋元璽 元年이다. ○ 이해에 魏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둘이고 小國이 둘이니, 僭國이 모두 넷이다.-

정월에 秦王苻健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殷浩上疏하야 請出師許, 洛【許昌, 洛陽이니 俱在河南이라】이어늘 詔許之하다 之北伐也에 王羲之以書止之호되 不聽이러니 旣而無功이라 復謀再擧어늘 羲之書曰 今以區區江左로 天下寒心【寒心者는 恐不能自保라 是人寒甚則心戰이요 恐懼亦戰일새 以懼比寒하야 言可爲戰也라】이 固已久矣라 力爭武功이 非所當作이라호되 不聽이러라

殷浩가 上疏하여 許昌과 洛陽【許, 洛은 許昌과 洛陽이니, 모두 河南에 있다.】으로 출병할 것을 청하자, 황제가 조서를 내려 허락하였다. 殷浩가 北伐할 때에 王羲之가 편지를 보내어 만류하였으나 듣지 않았는데, 이윽고 功이 없었다. 다시 재차 거병할 것을 도모하자, 王羲之殷浩에게 편지를 보내어 이르기를 “이제 구구한 江東 지방을 가지고 천하가 두려워한【寒心은 스스로 보전하지 못할까 두려워하는 것이다. 사람이 추위가 심하면 마음이 떨리고 두려움을 느껴도 떨리므로 두려움을 추위에 견주어 떨린다고 말한 것이다.】 지가 진실로 이미 오래되었다. 武功을 다투기를 힘쓰는 것은 그대가 응당 해야 할 바가 아니다.”라고 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 四月에 燕滅魏燕王이 遣慕容恪하야 擊魏하야 執其主閔以歸하야 殺之하다】하다

○ 4월에 燕나라가 魏를 멸망시켰다.燕王慕容雋慕容恪을 보내어 魏나라를 공격해서 魏主冉閔을 잡아 가지고 돌아와서 죽였다.】

○ 十一月에 燕王이 卽皇帝位하고 徙都鄴하다

○ 11월에 燕王慕容雋이 황제에 즉위하고鄴으로 도읍을 옮겼다.

姚弋仲이 卒하니 子이 帥衆來歸하다 이 博學善談論하니 江東人士 皆重之러라

姚弋仲이 죽으니, 아들姚襄(羌族)이 군대를 거느리고 와서 歸附하였다. 姚襄이 박학하고 담론을 잘하니, 江東의 인사들이 모두 그를 중하게 여겼다.

[癸丑]九年

[癸丑]九年이라 〈秦皇始三年이요 燕元璽二年이라〉

姚襄이 屯歷陽이어늘 殷浩惡其强盛하야 屢遣刺客刺之러니 十月에 北伐할새 以爲前驅한대 이 反攻於山桑하니 大敗하다

永和 9년(계축 353) - 秦나라 皇始 3년이고, 燕나라 元璽 2년이다. -

姚襄이 歷陽에 주둔하자, 殷浩가 그의 강성함을 미워하여 여러 번 자객을 보내어 찔러 죽이게 하였다. 10월에 殷浩가 북벌할 때에 姚襄을 前驅로 삼았는데, 姚襄이 山桑에서 도리어 殷浩를 공격하니殷浩가 대패하였다.

[甲寅]十年

[甲寅]十年이라 〈秦皇始四年이요 燕元璽三年이요 涼王張祚和平元年이라〉

正月에 張祚自稱涼王【張祚는 涼州牧이라 , , 駿, 駿重華, 重華曜靈이니 涼人이 廢之하고 立하니 重華之庶兄이라】하다 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 連年北伐할새 師徒屢敗하야 糧械都盡이라 桓溫이 因朝野之怨하야 上疏數之罪하고 請廢之하니 朝廷이 不得已免爲庶人恒書空作咄咄怪事字하다 久之에 將以爲尙書令尙書令한대 欣然將答書할새 慮有誤하야 開閉十數라가 竟達空函하니 大怒하야 遂絶하니라 [通鑑要解]少與齊名하니 而心競不相下하야 常輕之라 旣被黜에 雖愁怨不形辭色이나 常書空作咄咄怪事字라 久之에 爲尙書令尙書令하야 書告之러니 竟達空函이라 故로 遂絶之하니 卒於徙所하니라】하다 自此로 內外大權이 一歸於矣러라

永和 10년(갑인 354) - 秦나라 皇始 4년이고, 燕나라 元璽 3년이고, 涼王張祚의 和平 元年이다. -

정월에 張祚涼王이라 자칭하였다.張祚는 涼州牧이다. 張軌의 아들이 張寔이고, 張寔의 아우가 張茂이고, 張寔의 아들이 張駿이고, 張駿의 아들이 張重華이고, 張重華의 아들이 張曜靈이다. 涼州 사람들이 張曜靈을 폐하고 張祚를 세웠으니, 張祚張重華의 庶兄이다.】揚州刺史揚州刺史殷浩가 여러 해를 계속하여 북벌할 때에 군사들이 여러 번 패하여 군량과 병기가 모두 떨어졌다. 桓溫이 朝野가 원망하는 틈을 타서 上疏하여 殷浩의 죄를 열거하고 폐출할 것을 청하니, 조정이 부득이 殷浩를 면직하여 庶人庶人으로 삼았다.【[附註]殷浩를 면직하여 庶人으로 삼으니, 殷浩가 항상 허공에 咄咄怪事라는 글자를 쓰곤 하였다. 오랜 뒤에 桓溫이 장차 殷浩를 尙書令尙書令으로 삼으려 하자, 殷浩가 기뻐하여 장차 답서를 보내려 할 적에 오류가 있을까 우려하여 뜯어보고 봉함하기를 십수 번 하다가 끝내 빈 봉투를 보내니, 桓溫이 크게 노하여 마침내 殷浩와 절교하였다. [通鑑要解]殷浩가 젊었을 적에 桓溫과 명성이 똑같으니, 桓溫은 마음속으로 다투고 서로 낮추지 아니하여 항상 殷浩를 경시하였다. 殷浩는 축출당한 뒤에 비록 근심과 원망을 말과 안색에 드러내지 않았으나 항상 허공에 咄咄怪事라는 글자를 썼다. 오랜 뒤에 桓溫이 장차 殷浩를 尙書令尙書令으로 삼고자 하여 이를 편지로 알렸는데, 〈殷浩가 답서를 보낼 적에〉 마침내 빈 봉투를 보냈으므로 크게 노하여 끝내 절교하니, 殷浩는 유배지에서 죽었다.】 이로부터 내외의 큰 권력이 모두 桓溫에게로 돌아갔다.

桓溫이 統步騎四萬하고 伐秦하야 進至霸上하니 三輔郡縣이 皆來降이라 이 撫諭居民하야 使安堵復業하니 民이 爭持牛酒迎勞라 男女는 夾路觀之하고 耆老는 有垂泣者하야 曰 不圖今日에 復覩官軍이라하더라

桓溫이 보병과 기병 4만 명을 거느리고 秦나라를 정벌할 적에 진격하여 霸上에 이르니, 三輔三輔의 郡縣이 모두 와서 항복하였다. 桓溫이 거주하는 백성들을 어루만지고 타일러서, 백성들로 하여금 사는 곳을 편안히 여기고 生業으로 돌아가게 하니, 백성들이 다투어 쇠고기와 술을 가지고 와서 맞이하고 위로하였다. 이에 남녀들은 길의 좌우에 늘어서서 이것을 구경하였고, 耆老들은 눈물을 흘리면서 말하기를 “오늘날 다시 官軍官軍을 보게 될 줄은 생각지도 못했다.” 하였다.

北海王이 少好學하고 倜儻【不羈貌요 高遠貌라】有大志하야 不屑細務하니 人皆輕之호되 은 悠然自得하야 隱居華陰이러니 聞桓溫入關하고 披褐【披는 通作被라 平聲이니 (褐)[裮]被衣帶也라 〈褐은〉 以毛毳織之라】詣之하야 捫蝨而談當世之務호되 旁若無人이라 異之하야 問曰 吾奉天子之命하야 將銳兵十萬하고 爲百姓除殘賊이어늘 而三秦豪傑이 未有至者는 何也오 曰 公이 不遠數千里하고 深入敵境하야 今長安咫尺이어늘 而不度(渡)霸水하니 百姓이 未知公心桓溫이 破秦入關而不渡者는 恐官軍知難而退也라 又史註云 疑有異志也라하니라】하야 所以不至니이다 이 嘿然無以應하고 徐曰 江東엔 無卿比也라하고 乃署【署는 除也니 謂除官이라】猛軍謀祭酒하다

○ 北海의 王猛이 젊어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의기가 드높아【倜儻은 매이지 않는 모양이요, 高遠한 모양이다.】 큰 뜻이 있어서 소소한 일을 좋아하지 않으니, 사람들이 모두 그를 경시하였으나 王猛은 悠然히 自得하여 華陰에 은거하였는데, 桓溫이 關中으로 들어왔다는 말을 듣고 짧은 갈옷을 입고【披는 被와 통용된다. 平聲(헤치다)이니, 옷에 띠를 매지 않은 것이다. 갈옷은 털로 짜서 만든다.】 찾아가서 이를 잡으며 당세의 일을 말하되 옆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거리낌이 없었다. 桓溫이 기이하게 여겨 묻기를 “내가 天子의 命을 받들어 정예병 10만 명을 거느리고 백성을 위해 잔당들을 제거하는데, 三秦의 호걸 중에 찾아오는 자가 없음은 어째서인가?” 하니, 王猛이 말하기를 “公이 수천 리를 멀다 하지 않고 적의 국경에 깊숙이 들어와서 이제 長安이 지척에 있는데도 霸水를 건너가지 않으니, 백성들이 公의 마음을 알지 못하여【[通鑑要解]不度霸水……未知公心:桓溫이 秦나라를 격파하고 關中에 들어갔는데도 霸水를 건너가지 않은 것은 官軍이 상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후퇴할까 해서였다. 또 史註에 이르기를 “桓溫이 딴 뜻이 있다고 의심한 것이다.” 하였다.】 이 때문에 이르지 않는 것입니다.” 하였다. 桓溫이 묵묵히 대답이 없다가 천천히 말하기를 “江東 지방에는 卿에게 비교할 사람이 없다.” 하고, 마침내 王猛을 軍謀祭酒軍謀祭酒로 서용하였다.【署는 제수함이니, 관직을 제수하는 것을 이른다.】

○ 初에 이 指秦麥以爲粮이러니 旣而요 秦人이 悉芟麥하니 溫軍이 乏食이라 六月에 徙關中【東有函谷關하고 南有嶢關, 武關하고 西有散關하고 北有蕭關故로 名關中이라】三千餘戶而歸할새 秦兵이 追擊之한대 軍이 屢敗하다

○ 처음에 桓溫이 意中에 秦나라 지방의 보리를 군량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겼는데, 이윽고 秦나라 사람이 보리를 모두 베어 가니 桓溫의 군대가 식량이 부족하였다. 6월에 關中【동쪽에는 函谷關, 남쪽에는 嶢關과 武關, 서쪽에는 散關, 북쪽에는 蕭關이 있으므로 關中이라고 이름하였다.】의 3천여 가호를 옮기고 돌아올 적에, 秦나라 군대가 추격하자 桓溫의 군대가 여러 번 패하였다.

[乙卯]十一年

[乙卯]十一年이라 〈秦主苻生壽光元年이라 ○ 燕元璽四年이라 ○ 涼去年號하다〉

六月에 秦主이 卒하고 太子이 卽位하다

永和 11년(을묘 355) - 秦主苻生의 壽光 元年이다. ○ 燕나라 元璽 4년이다. ○ 涼나라가 和平이란 年號를 없앴다.-

6월에 秦主苻健이 죽고, 태자 苻生이 즉위하였다.

[丙辰]十二年

[丙辰]十二年이라 〈秦壽光二年이요 燕元璽五年이라〉

桓溫이 自江陵北伐할새 與寮屬으로 登平乘樓하야 望中原하고 歎曰 遂使神州陸沈【神州는 中國也니 註見懷帝永嘉五年하니라 陸은 高平地요 沈은 溺也라 神州陸沈은 謂中原淪沒也니 猶王道陵夷之義라 [通鑑要解]中國名曰 赤縣神州라 內有九州하니 禹之序九州 是也라 陸沈은 謂無水而沈이라】하야 百年丘墟는 王夷甫諸人이 不得不任其責【謂王衍等이 尙淸談하고 而不恤王事하야 以致夷狄亂華也라】이라하더라

永和12년(병진 356) - 秦나라 壽光 2년이고, 燕나라 元璽 5년이다. -

桓溫이 江陵에서 北伐할 적에 동료들과 함께 큰 배 위의 누각에 올라가서 中原을 바라보고 한탄하기를 “마침내 中原을 매몰시켜【[釋義]神州는 中國이니, 註가 懷帝 永嘉 5年條(311)에 보인다. 陸은 높고 평평한 곳이요 沈은 빠짐이다. 神州가 陸沈했다는 것은 中原이 쇠퇴함을 이르니, 王道가 陵夷(쇠퇴)하였다는 뜻과 같다. [通鑑要解]中國을 이름하기를 赤縣神州라 한다. 중국 안에 九州가 있으니, 禹王이 九州를 차서한 것이 이것이다. 陸沈은 물이 없이 육지가 가라앉은 것과 같음을 이른다.】 百年의 基業이 폐허가 되게 한 것은 王夷甫(王衍) 등 여러 사람이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다.【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은 王衍 등이 淸談을 숭상하고 國事를 돌보지 않아서 夷狄들이 中華를 어지럽히게 만들었음을 이른다.】” 하였다.

○ 八月에 至伊水하니 姚襄이 撤圍拒之어늘 이 結陳(陣)而前하야 親被甲督戰하니 襄衆이 大敗하야 死者數千人이라 襄이 帥麾下數千騎하고 奔于洛陽北山하니 周成이 帥衆出降하다 溫이 屯故太極殿前이러니 旣而요 徙屯金墉城하다 謁諸陵하고 有毁壞者면 修復之하고 以二千人戍洛陽하야 衛山陵하고 執周成以歸하니 姚襄【姓名이니 弋仲子라】이 奔平陽【襄이 後欲圖關中하야 帥衆伐秦이라가 兵敗하야 爲秦所殺하니 弟萇이 帥其衆降秦하니라】하다

○ 8월에 桓溫이 伊水에 이르니, 姚襄이 洛陽의 포위를 풀고 와서 桓溫을 막았다. 桓溫이 陣을 치고 전진하여 직접 갑옷을 입고 싸움을 독려하니, 姚襄의 무리가 크게 패하여 죽은 자가 수천 명이었다. 姚襄이 휘하의 騎兵 수천 명을 거느리고 洛陽의 北山으로 달아나니, 周成이 무리를 거느리고 나와서 항복하였다. 桓溫이 옛 太極殿 앞에 주둔하였는데, 이윽고 金墉城으로 옮겨 주둔하였다. 여러 陵에 배알하였고 허물어져 파괴된 곳이 있으면 수리하여 복구하였으며, 2천 명을 洛陽에 주둔시켜 山陵을 호위하게 하고 周成을 사로잡아 돌아오니, 姚襄【姚襄은 姓名이니, 姚弋仲의 아들이다.】이 平陽으로 달아났다.【姚襄이 뒤에 關中을 도모하고자 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秦나라를 정벌했다가 군대가 패하여 秦나라에게 죽임을 당하니, 아우 姚萇이 군대를 거느리고 秦나라에 항복하였다.】

○ 十月에 燕大司馬恪이 圍段龕【龕은 音堪이라 初에 鮮卑段蘭이 領其衆하고 徙廣固러니 辛亥年에 來降하니 以爲鎭北將軍하고 封齊公이라】於廣固하니 十一月에 龕이 面縛出降이어늘 恪이 撫安新民하고 悉定齊地하다

○ 10월에 燕나라 大司馬大司馬慕容恪이 段龕【龕은 音이 감이다. 처음에 鮮卑族인 段蘭이 무리를 끌고서 廣固로 옮겨 갔는데, 신해년(351)에 晉나라에 와서 항복하니 그를 鎭北將軍으로 삼고 齊公에 봉하였다.】을 廣固에서 포위하니, 11월에 段龕이 두 손을 등 뒤로 돌려 묶고 얼굴을 사람들에게 보이도록 앞으로 향하고 나와서 항복하였다. 慕容恪이 새로 歸附한 백성들을 어루만져 위로하고 齊나라 지역을 다 평정하였다.

[丁巳]升平元年

[丁巳]升平元年이라 〈秦主苻堅永興元年이라 ○ 燕光壽元年이라〉

秦主이 飮酒無晝夜하야 乘醉多所殺戮하니 群臣이 得保一日을 如度十年이라 東海王堅【洪之孫이요 雄之子라】이 素有時譽하야 與薛讚, 權翼【故姚襄參軍이라】善이러니 , 이 密說曰 主上이 猜忌暴虐하야 中外離心하니 方今에 宜主秦祀者 非殿下而誰오 願早爲計하야 勿使他姓得之하소서 이 以問尙書尙書呂婆樓한대 婆樓曰 僕里舍에 有王猛者하니 其人謀略이 不世出이니 殿下宜請而咨之하소서 堅이 因婆樓以招猛하야 一見如舊友하고 語及時事에 堅大悅하야 自謂如劉玄德之遇諸葛孔明也라하니라

[新增]養心吳氏孔明은 三代之遺才니 王猛이 豈其儔匹哉아 若論劉玄德之信任이면 則實無愧之矣리라

升平 元年(정사 357) - 秦主苻堅의 永興 元年이다. ○ 燕나라 光壽 元年이다.-

秦主苻生이 밤낮없이 술을 마셔서 술김에 살육을 많이 자행하니, 群臣들이 하루 동안 목숨을 보전하는 것을 십 년처럼 여겼다. 東海王苻堅【東海王 苻堅은 蒲洪의 손자이고 苻雄의 아들이다.】이 평소에 당시 사람들의 칭찬이 있어서 薛讚‧權翼【薛讚과 權翼은 옛날에 姚襄의 參軍이었다.】과 친하였는데, 薛讚權翼이 은밀히 苻堅을 설득하기를 “주상이 잔인하고 포학무도하여 中外의 마음이 떠났으니, 현재 秦나라의 제사를 주관해야 할 자는 전하가 아니고 누구이겠습니까. 바라건대 일찍 계책을 세워서 他姓으로 하여금 나라를 얻게 하지 마소서.” 하였다. 苻堅이 尙書尙書呂婆樓에게 묻자, 呂婆樓가 말하기를 “저희 마을에 사는 사람 중에 王猛이라는 자가 있어 그 사람의 모략이 좀처럼 세상에 나타나지 않을 만큼 뛰어나니, 전하께서는 그를 초청하여 자문하소서.” 하였다. 苻堅呂婆樓를 통하여 王猛을 초대해서 한 번 만나 보고는 오래된 친구처럼 여겼으며, 당세의 일을 언급하자 苻堅이 크게 기뻐하여 스스로 劉玄德諸葛孔明을 만난 것과 같다고 여겼다.

[新增]養心吳氏가 말하였다.

孔明은 三代 시대의 遺才(후세의 뛰어난 인재)이니, 王猛이 어찌 그에게 匹敵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만약 劉玄德의 신임을 가지고 논한다면 苻堅이 실로 劉玄德에게 부끄럽지 않을 것이다.”

梁平老【御史中丞也라】等이 謂曰 主上失德하야 上下嗷嗷하야 人懷異志하니 燕, 晉二方이 伺隙而動이면 恐禍發之日에 家國俱亡일까하노니 此는 殿下之事也니 宜早圖之하소서 然之하다 堅이 與呂婆樓로 帥麾下三百人하야 鼓譟而進하니 宿衛【宿은 守也라】將士 皆舍仗【仗은 五兵總名이니 五兵은 謂矛戟弓劍戈라】歸堅호되 生猶醉寐라 堅兵이 引生置別室하고 廢爲越王이러니 尋殺之하다 堅이 乃去皇帝號하고 稱大秦天王이라하다

梁平老【梁平老는 御史中丞이다.】 등이 苻堅에게 이르기를 “주상이 德을 잃어 上下가 원망하여 사람들이 딴 마음을 품고 있으니, 燕나라와 晉나라 두 방면이 틈을 엿보아 출동하면 禍亂이 일어났을 때에 집안과 나라가 함께 망할까 두렵습니다. 이는 전하의 일이니, 빨리 도모하셔야 합니다.” 하니, 苻堅이 이 말을 옳게 여겼다. 苻堅呂婆樓와 함께 휘하 300명을 거느리고서 북을 치고 함성을 지르며 진격하니, 궁궐을 宿衛【宿은 지킴이다.】하던 장병들이 모두 병장기【仗은 다섯 가지 병기의 총칭이니, 다섯 가지 병기는 矛‧戟‧弓‧劍‧戈를 이른다.】를 버리고 苻堅에게 歸附하였는데, 苻生은 오히려 취하여 자고 있었다. 苻堅의 군사들이 苻生을 끌어다가 別室에 유치하고 폐출하여越王으로 삼았다가 오래지 않아 그를 죽였다. 苻堅이 마침내 皇帝의 칭호를 없애고大秦天王이라고 칭하였다.

○ 十一月에 秦王이 行至尙書하야 以文案不治라하야 免左丞{相}程卓官하고 以王猛代之하다 堅이 擧異才하고 修廢職하며 課農桑하고 恤困窮하며 禮百神하고 立學校하며 旌節義하고 繼絶世하니 秦民이 大悅이러라

○ 11월에 秦王苻堅이 巡視巡視하다가 尙書臺尙書臺에 이르러서 文案文案이 제대로 다스려지지 못했다 하여 左丞左丞程卓을 직위에서 면직시키고王猛으로 대신하게 하였다. 苻堅이 특이한 재능이 있는 자를 천거하고 폐지된 정사를 닦으며, 농업과 양잠을 권장하고 곤궁한 자들을 구휼하며, 여러 神들에게 제사를 올리고 학교를 세우며, 節義가 있는 인물을 표창하고 後嗣가 없는 賢者의 代를 이어주니, 秦나라 백성들이 크게 기뻐하였다.

[戊午]二年

[戊午]二年이라 〈秦永興二年이요 燕光壽二年이라〉

九月에 秦大旱이어늘 堅이 減膳徹樂하고 命后妃以下하야 悉去羅紈하고 開山澤之利하야 公私共之하고 息兵養民하니 旱不爲災라 王猛이 日親幸用事러라

升平 2년(무오 358) - 秦나라 永興 2년이고, 燕나라 光壽 2년이다. -

9월에 秦나라에 크게 가뭄이 들자, 苻堅이 음식의 가짓수를 줄이고 음악을 연주하지 않고 后妃 이하에게 명하여 모두 비단옷을 입지 못하게 하였으며, 山林과 川澤의 이로움을 개방하여 公私가 함께 이용하게 하고 전투를 중지하고 백성들을 기르니, 가뭄이 들었으나 재앙이 되지 않았다. 王猛이 날로 더욱 친애와 총애를 받아 用事하였다.

[庚申]四年

[庚申]四年이라 〈秦甘露二年이라 ○ 燕幽帝慕容暐建熙元年이라〉

正月에 燕主이 疾篤하야 召大司馬大司馬, 太原王하야 受遺詔輔政而卒하니 太子暐卽位하다

升平 4년(경신 360) - 秦나라 甘露 2년이다. ○ 燕나라 幽帝慕容暐의 建熙 元年이다.-

정월에 燕主慕容雋이 병이 위독해지자, 大司馬大司馬‧太原王慕容恪을 불러서 遺詔를 받아 정사를 보필하게 하고 죽으니, 太子太子慕容暐가 즉위하였다.

○ 朝廷이 初聞燕主卒하고 皆以爲中原可圖라호되 桓溫曰 慕容恪이 尙在하니 憂方大耳라하더라

○ 晉나라 조정에서 처음에 燕主慕容雋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는 모두 中原을 수복할 수 있다고 여겼으나 桓溫이 말하기를 “慕容恪이 아직 살아 있으니, 우환이 한창 크다.” 하였다.

謝安이 少有【少는 言自少라】重名하야 前後徵辟에 皆不就하고 寓居會稽하야 以山水文籍自娛하니 雖爲布衣나 時人이 皆以公輔期之라 士大夫至相謂曰 安石이 不出하니 當如蒼生何오하니라 年四十餘에 桓溫이 請爲司馬司馬한대 安이 乃赴召하니 이 大喜하야 深禮重之러라

謝安이 젊어서부터【少는 젊어서부터라는 뜻이다.】 두터운 명망이 있어서 전후의 부름에 모두 나아가지 않고 會稽에 우거하여 山水와 文籍을 스스로 즐기니, 비록 포의의 신분이었으나 세상 사람들이 모두 公卿과 宰輔로 기대하였다. 사대부들이 심지어 서로 이르기를 “安石(謝安)이 세상에 나오지 않으니, 천하의 백성을 어찌해야 한단 말인가.” 하였다. 나이 40여 세에 桓溫이 司馬司馬가 될 것을 청하자 謝安이 마침내 부름에 달려가니, 桓溫이 크게 기뻐하여 매우 예우하고 소중히 여겼다.

[辛酉]五年

[辛酉]五年이라 〈秦甘露三年이라 ○ 燕建熙二年이라 ○ 是歲에 涼奉升平之號하니라〉

五月에 帝崩하니 無嗣라 琅邪(琊)王 卽皇帝位【帝崩하니 無嗣라 皇太后令曰 琅琊王丕는 中興正統이니 義望情地 莫與爲比라 其以爲王하야 奉大統하라하다】하다

升平 5년(신유 361) 〈秦나라 甘露 3년이다. ○ 燕나라 建熙 2년이다. ○ 이해에 涼나라가 東晉穆帝의 연호인 升平을 받들어 사용하였다.〉

5월에 황제가 崩하니, 후사가 없었다. 琅琊王司馬丕가 황제에 즉위하였다.【穆帝가 崩하니 후사가 없었다. 皇太后가 명령하기를 “琅琊王 司馬丕는 中興 후의 正統이니, 의리와 명망, 인정과 지위로 볼 때 비길 만한 자가 없다. 그를 황제로 삼아 大統을 받들게 하라.” 하였다.】

范寗이 好儒學하고 性質直이라 常(嘗)謂王弼, 何晏【魏人이니 見二十五卷己巳年이요 晏은 又見二十六卷丁巳年이라】之罪가 深於, 【諡法에 賊人多殺曰桀이요 殘義損善曰紂라】라 或以爲貶之太過라한대 曰 王, 何가 蔑棄典文하고 幽沈仁義하야 游辭浮說로 波蕩後生하야 使搢紳【搢은 揷也요 紳은 大帶也니 謂揷笏於紳也라 周禮註에 搢은 讀作薦이니 謂揷之於紳帶之間也라】之徒로 翻然改轍하야 以至禮壞樂崩하고 中原傾覆하니 遺風餘俗이 至今爲患이라 , 는 縱暴一時나 適足以喪身覆國하야 爲後世戒하니 豈能迴百姓之視聽哉리오 故로 吾以爲一世之禍는 輕하고 歷代之患은 重하며 自喪之惡은 小하고 迷衆之罪는 大也라하노라

范寗은 儒學을 좋아하며 성질이 질박하고 정직하였는데, 일찍이 말하기를 “王弼何晏【王弼과 何晏은 魏나라 사람이니, 25권 己巳年條(249)에 보인다. 何晏은 또 26권 丁巳年條(297)에 보인다.】의 죄가 【諡法에 “사람을 해치고 많이 죽이는 것을 桀이라 하고, 의로운 사람을 해치고 선한 사람을 손상시키는 것을 紂라 한다.” 하였다.】보다도 심하다.” 하였다. 혹자가 말하기를 “폄하하기를 너무 지나치게 한다.” 하자, 范寗이 말하기를 “王弼何晏은 經典과 文獻을 멸시하며 仁義를 인멸시켜 근거 없는 말과 부화한 말로 후생들을 미혹시켰다. 그리하여 士大夫【搢은 꽂음이고 紳은 큰 띠이니, 搢紳은 笏을 큰 띠에 꽂는 것을 이른다. ≪周禮≫ 註에 “搢은 천(진)으로 읽으니, 紳帶의 사이에 꽂는 것을 이른다.” 하였다.】들로 하여금 번연히 발자취를 고치게 하여 禮樂이 붕괴되고 中原이 전복되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으며 남은 풍속이 지금까지도 폐해가 되고 있다. 는 비록 한 때에 방종하고 포학하였으나 다만 자기 몸을 죽이고 나라를 전복시켜서 후세의 경계가 될 뿐이니, 어찌 백성들의 보고 들음을 바꿀 수 있었겠는가. 그러므로 나는 생각건대 한 대의 禍患은 가볍고 역대의 禍患은 중하며, 자기 몸을 망치는 죄악은 작고 무리를 미혹시키는 죄악은 크다고 여긴다.” 하였다.

○ 十二月에 秦王이 命牧伯守宰하야 各擧孝悌廉直과 文學政事호되 察其所擧하야 得人者는 賞之하고 非其人者는 罪之하니 由是로 人莫敢妄擧하고 而請託不行이라 當是之時하야 內外之官이 率皆稱職하야 田疇修闢하니 倉庫充實하고 盜賊이 屛息【屛은 蔽也요 息은 鼻息也라 屛藏其氣息은 言懼甚也라】이러라

[史略 史評]史斷曰 康帝는 降年不永하니 無足多者요 穆帝는 襁褓之資로 母后稱制하야 中外無事 十有餘年이라 維時에 石虎死하야 胡中大亂이어늘 朝廷이 乃用殷浩하야 蕩平關河라 然이나 用違其才하야 卒致山桑之敗하니 晉之威權이 自此로 一歸桓溫矣라 蓋與浩 少而齊名하니 晉人之用浩는 本圖抗溫이라 故로 其敗也에 溫之勢浸以熾焉하니라

○ 12월에 秦王苻堅이 牧牧‧伯伯‧守守‧宰宰에게 명하여 각각 孝悌와 廉直과 文學과 政事 등의 科目으로 인재를 천거하게 하되 천거된 사람을 살펴서 적임자인 경우에는 천거한 사람에게 상을 내리고 적임자가 아닌 경우에는 죄를 주니, 이로 말미암아 사람들이 감히 망령되이 천거하지 못하고 청탁이 행해지지 않았다. 이때를 당하여 內外의 관직이 모두 잘 수행되어 田野가 닦여지고 개간되니, 창고가 충실하고 도적들이 숨을 죽였다.【屛은 가리는 것이요 息은 코로 숨을 쉬는 것이다. 숨을 죽였다는 것은 두려움이 심함을 말한다.】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康帝康帝는 수명이 길지 못하였으니 칭찬할 만한 점이 없고, 穆帝는 포대기에 싸인 어린 아이로 母后母后가 稱制하여 나라 안팎이 무사한 것이 십여 년이었다. 이때에 石虎가 죽어 오랑캐가 크게 어지러웠는데, 조정에서 殷浩를 등용하여 關河(요해처)를 완전히 평정하였다. 그러나 인재를 잘못 등용하여 끝내 山桑의 패배를 불러 왔으니, 晉나라의 위세와 권력이 이로부터 한결같이 桓溫에게로 돌아갔다. 桓溫殷浩는 젊어서부터 명성이 대등하였으니, 晉나라에서 殷浩를 등용한 것은 본래 桓溫에게 대적하려 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殷浩가 패배하자 桓溫의 세력이 점차 강성해진 것이다.”

哀皇帝

哀皇帝 名丕요 字千齡이니 成帝長子라 在位四年이요 壽二十五라

哀皇帝【恭仁短折曰哀라】요 字千齡이니 成帝長子라 在位四年이요 壽二十五라

哀皇帝【공손하고 어질지만 일찍 죽은 것을 哀라 한다.】는 이름이 요 字가 千齡이니, 成帝의 長子이다. 재위가 4년이고 壽가 25세이다.

[壬戌]隆和元年

[壬戌]隆和元年이라 〈秦甘露四年이요 燕建熙三年이라〉

正月에 桓溫이 上疏하야 請遷都洛陽하고 自永嘉之亂【懷帝爲劉聰所執이라】으로 播流江表【播流는 播越流離也요 江表는 中原以江南爲江表라】者를 請一切北徙하야 以實河南한대 朝廷이 畏溫하야 不敢爲異나 而北土蕭條하야 人情이 疑懼하니 雖竝知不可나 莫敢先諫이러라 散騎常侍孫綽이 上疏曰 昔에 中宗【元帝廟號라】龍飛에 非惟信順【易大傳曰 天之所助者順也요 人之所助者信也라】協於天人이요 實賴萬里長江하야 畫而守之耳러니 今自喪亂已來로 六十餘年【自賈后之廢하고 趙王倫之誅로 繼而諸王交兵하고 胡羯乘之而起하야 天下大亂이 至是六十餘年이라】에 河, 洛丘墟하고 函夏【函은 謂函谷關이니 關之東爲中夏也라 故曰函夏也라 又函은 容也요 夏는 大也니 言中原之地 所函容者大也라】蕭條하야 士民이 播流江表하야 已經數世라 存者는 老子長孫하고 亡者는 丘隴成行하니 雖北風之思【詩北風篇曰 北風其喈하니 雨雪其霏로다 惠而好我로 携手同歸라하니라[頭註]胡馬는 每北風則翹首北望이라】가 感其素心이나 目前之憂 實爲交切이라 植根江外【中原以江南爲江外라】 數十年矣어늘 一朝에 頓欲拔之하야 驅踧於空荒之地【頓은 遽也라 踧은 音祝이니 至也요 又行謹敬也라】하니 提挈萬里에 踰險浮深하야 離墳墓, 棄生業이면 田宅을 不可復售【售는 賣物去手라】요 舟車를 無從而得이라 捨安樂之國하고 適習亂之鄕은 國家之所宜深慮也니이다 王述이 欲以虛聲威朝廷耳요 非實事也니 但從之면 自無所至리이다 事果不行하다 이 又議移洛陽鍾虡【虡는 音巨니 鍾鼓之跗에 以猛獸爲飾이라 又作鐻하니 樂器所懸이니 橫曰筍이요 植曰虡라】어늘 述曰 永嘉不競【競은 疆也라 懷帝永嘉五年에 爲劉聰所獲이라 故云永嘉不競也라니라】하야 暫都江左하니 方當蕩平區宇하고 旋軫舊京이요 若其不爾면 宜改遷園陵이니 不應先事鍾虡니라 이 乃止하다

隆和 元年(임술 362) - 秦나라 甘露 4년이고, 燕나라 建熙 3년이다. -

정월에 桓溫이 上疏하여 洛陽으로 천도할 것을 청하고, 永嘉의 난리【永嘉의 亂은 晉 懷帝가 漢나라(前趙)의 劉聰에게 사로잡힌 일을 가리킨다.】로부터 江外(江南)로 옮겨 온【播流는 피난하여 이곳저곳으로 떠돌아다니는 것이요, 江表는 中原에서 揚子江 남쪽 지역을 江表라 하였다.】 자들을 일체 북쪽으로 옮겨서 河南을 충실히 할 것을 청하였는데, 조정에서 桓溫을 두려워하여 감히 異見을 말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북쪽 지방이 황량하여 민심이 의심하고 두려워하니 비록 모두들 옮기는 것이 불가함을 알았으나 감히 먼저 간하지 못하였다. 散騎常侍散騎常侍孫綽이 상소하기를 “옛날 中宗(元帝)【中宗은 元帝의 廟號이다.】이 즉위하자 誠信과 和順함【≪周易≫ 〈繫辭傳〉에 이르기를 “하늘이 돕는 것은 順함이요(하늘은 이치를 순히 따르는 자를 도와주고), 사람이 돕는 것은 誠信이다.(사람은 성실한 자를 도와준다)” 하였다.】이 天意와 民心에 합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로 萬里의 長江에 의지해서 경계로 삼아 지켰습니다. 이제 국가에 난리가 있은 이래로 60여 년인데,【[頭註]今自喪亂已來 六十餘年:賈后가 폐출되고 趙王 司馬倫이 죽임을 당함으로부터 계속하여 諸王이 서로 交戰하고 胡와 羯이 이 틈을 타고 일어나 천하가 크게 어지러웠는데, 이때에 이르러 60여 년이 되었다.】黃河와 洛陽 일대가 빈 터가 되고 函夏(中原 지역)【函은 函谷關을 이르니, 함곡관의 동쪽이 中夏이므로 函夏라고 이른 것이다. 또 函은 용납하는 것이고 夏는 큼이니, 中原 지역은 포용하는 것이 큼을 말한 것이다.】가 쓸쓸하여 관리와 백성들이 江外로 옮겨 온 지 이미 몇 대가 지났습니다. 그리하여 생존한 자는 자식이 이미 늙고 손자가 장성했으며 죽은 자는 무덤이 행렬을 이루고 있으니, 비록 北方에 대한 그리움【[釋義]≪詩經≫ 〈北風篇〉에 이르기를 “北風이 차갑게 부니 함박눈이 펄펄 내리도다. 사랑하여 나를 좋아하는 이와 손을 잡고 함께 돌아가리라.” 하였다.[頭註]胡馬는 매양 北風이 불면 머리를 들고 북쪽을 바라본다.】이 평소 그들의 마음을 흔들리게 하지만 目前의 우환이 실로 더욱 절박합니다. 江外【江外는 中原에서 揚子江 남쪽 지역을 江外라고 한다.】에 뿌리를 내린 지가 수십 년인데 하루아침에 갑자기 뽑아다가 텅 비고 황량한 땅에 내몰고자 하니,【[頭註]頓欲拔之 驅踧於空荒之地:頓은 갑자기이다. 踧은 音이 축이니 이르는 것이요, 또 행실을 삼가고 공경하는 것이다.】 가솔들을 이끌고 만 리를 감에 험한 산을 넘고 깊은 물을 건너서 先塋을 떠나고 生業을 버리게 되면 田地와 집을 다시 살【售는 물건을 팔아서 手中을 떠난 것이다.】 수가 없고 배와 수레를 얻을 길이 없습니다. 안락한 나라를 버리고 오랫동안 전란을 겪었던 고향으로 가는 것은 국가가 깊이 염려해야 할 바입니다.” 하였다. 王述이 말하기를 “桓溫이 큰소리쳐서 조정을 위협하고자 한 것일 뿐이지 실제의 일이 아니니, 다만 그대로 따르면 저절로 이르는 바가 없을 것입니다.” 하였는데, 일이 과연 행해지지 않았다.

桓溫이 또 洛陽의 종과 종틀【虡는 音이 거이니 종과 북의 받침에 猛獸를 붙여서 장식한 것이다. 또 鐻로도 쓰니 樂器를 매다는 것이다. 가로로 된 것을 筍이라 하고 세로로 된 것을 虡라 한다.】을 옮겨 올 것을 의논하자, 王述이 말하기를 “永嘉年間에 강성하지 못하여【競은 강함이다. 懷帝 永嘉 5년(311)에 劉聰에게 사로잡혔으므로 ‘永嘉 年間에 강성하지 못했다’고 말한 것이다.】 잠시 江左(江南)에 도읍하고 있으니, 바야흐로 區宇(온 천하)를 평정하고 곧바로 옛 서울로 돌아가야 할 것이요, 만약 그렇게 하지 못한다면 先帝의 陵墓를 옮겨 와야 할 것이니, 먼저 종과 종틀을 옮겨 오는 것은 마땅하지 않습니다.” 하니, 桓溫이 이에 중지하였다.

[癸亥]興寧元年

[癸亥]興寧元年이라 〈秦甘露五年이요 燕建熙四年이라〉

五月에 加桓溫侍中, 大司馬, 都督中外諸軍, 錄尙書事【錄은 總也라】하다 溫이 以王坦之로 爲長史하니 坦之는 述之子也요 又以郗超로 爲參軍하고 王珣으로 爲主簿하야 每事를 必與二人謀之하니 府中이 爲之語曰 髥參軍, 短主簿【以超多髥하고 而珣體短也일새라】는 能令公喜하고 能令公怒라하더라 珣與謝玄이 皆爲溫掾이러니 溫이 俱重之하야 曰 謝掾은 年四十에 必擁旄杖節【旄節은 見三卷庚辰下의 旌旄節旗注하니라 [通鑑要解]言當方面也라】이요 王掾은 當作黑頭公이니 皆未易才【未易는 言難得也라】也라하니 玄은 奕之子也러라

興寧 元年(계해 363) - 秦나라 甘露 5년이고, 燕나라 建熙 4년이다. -

5월에 桓溫에게 侍中‧大司馬‧都督中外諸軍‧錄尙書事侍中‧大司馬‧都督中外諸軍‧錄尙書事【錄은 총괄함이다.】를 가하였다. 桓溫王坦之를 長史長史로 삼으니 王坦之王述의 아들이다. 또 郗超를 參軍으로 삼고 王珣을 主簿主簿로 삼아서 매사를 반드시 두 사람과 상의하니, 府中 사람들이 말하기를 “수염이 긴 參軍과 키가 작은 主簿主簿【[頭註]髥參軍 短主簿:수염이 긴 參軍과 키가 작은 主簿라고 한 것은 郗超는 수염이 많고 王珣은 체구가 왜소하였기 때문이다.】令公(桓溫)을 기쁘게도 하고 令公을 노여워하게도 한다.” 하였다. 王珣謝玄이 모두 桓溫의 掾屬掾屬이 되었는데, 桓溫이 모두 소중히 여겨 말하기를 “謝掾은 나이 40에 반드시 깃발을 끼고 節을 잡을 것이요【[頭註]旄와 節은 3권의 庚辰年條(B.C.221) 아래의 旌旄節旗 注에 보인다. [通鑑要解]깃발을 끼고 節을 잡는다는 것은 方面을 담당할 것임을 말한다.】王掾은 마땅히 黑頭 相公相公이 될 것이니, 모두 쉽게 얻을 수 있는 인재가 아니다.【쉽지 않다는 것은 얻기 어려움을 말한다.】” 하였다. 謝玄謝奕의 아들이다.

[甲子]二年

[甲子]二年이라 〈秦甘露六年이라 ○ 燕建熙五年이라 ○ 涼西平博公張天錫一年이라〉

正月에 以揚州刺史揚州刺史王述로 爲尙書令尙書令하다 王述이 每授職에 不爲虛讓하고 其所辭는 必於所不受러니 及爲尙書令하야 子坦之白述호되 故事當讓이라한대 曰 汝謂我不堪耶아 坦之曰 非也라 但克讓이 自美事耳니이다 述曰 旣爲堪之어니 何爲復讓이리오 人言汝勝我라호되 定不及也로다

興寧 2년(갑자 364) - 秦나라 甘露 6년이다. ○ 燕나라 建熙 5년이다. ○ 涼나라 西平博公張天錫 1년이다.-

정월에 揚州刺史揚州刺史王述을 尙書令尙書令으로 삼았다. 王述이 벼슬에 제수될 때마다 겉으로만 사양하는 체하지 않고, 사양할 때는 반드시 받지 않을 경우에만 사양하였다. 王述이 尙書令尙書令이 되자 아들王坦之王述에게 아뢰기를 “故事에 비춰 보건대 마땅히 사양하여야 합니다.” 하니, 王述이 말하기를 “너는 내가 이 벼슬을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느냐?” 하였다. 王坦之가 말하기를 “아닙니다. 다만 사양하는 것이 본래 아름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하니, 王述이 말하기를 “이미 감당할 수 있으니 어찌 다시 사양하겠느냐. 사람들은 네가 나보다 낫다고 말하나 너는 참으로 나에게 미치지 못한다.” 하였다.

三年에 帝崩【帝信方士하야 斷穀餌藥이러니 藥發하야 崩하다】하고 琅琊王奕이 卽皇帝位하다

興寧 3년(을축 365)에 황제가 崩하고,【황제가 方士의 말을 믿어 穀類를 끊고 藥을 먹었는데, 藥毒이 나와 崩하였다.】琅琊王司馬奕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 三月에 燕太宰太宰吳王慕容皝第五子也니 雋立하야 封垂爲吳王이라】 共攻洛陽克之하고 引兵略河南諸城【略은 與掠通이라】하야 盡下之하다

○ 3월에 燕나라 太宰太宰慕容恪吳王慕容垂【吳王 慕容垂는 慕容皝의 다섯째 아들이니, 慕容雋이 즉위한 다음 慕容垂를 봉하여 吳王으로 삼았다.】가 함께 洛陽을 공격하여 이긴 다음 군대를 이끌고 河南의 여러 성을 공격하여【略은 掠字와 통용한다.】 모두 항복시켰다.

帝奕

帝奕 字延齡이니 成帝次子也라

帝奕 字延齡이니 成帝次子也라 後爲桓溫廢하야 爲海西公하니 史曰 廢帝라 在位六年이요 壽四十五라

황제 司馬奕은 字가 延齡이니, 成帝의 次子이다. 뒤에 桓溫에게 폐위당하여海西公이 되니, 역사책에는 廢帝라 하였다. 재위가 6년이고 壽가 45세이다.

[丁卯]太和二年

[丁卯]太和二年이라 〈秦建元三年이요 燕建熙八年이라〉

太原王【皝之第四子라】이 疾病이어늘 暐【皝之第二子雋之子라】親視之하고 問以後事한대 恪曰 吳王이 文武兼資하야 管, 蕭之亞니 陛下若任以大政이면 國家可安이어니와 不然이면 秦, 晉이 必有窺窬【窬는 音由니 門邊小竇也라】之計하리이다 言終而卒하다 秦王이 聞恪卒하고 陰有圖燕之計러라

太和 2년(정묘 367) - 秦나라 建元 3년이고, 燕나라 建熙 8년이다. -

燕나라 太原王 慕容恪【太原王 慕容恪은 慕容皝의 넷째 아들이다.】이 병이 심해지자, 慕容暐【慕容暐는 慕容皝의 둘째 아들인 慕容雋의 아들이다.】가 친히 가서 병을 살펴보고 그가 죽은 뒤의 일을 물었는데, 慕容恪이 말하기를 “吳王이 文武를 겸비하여 管仲蕭何에 버금가니, 폐하께서 만약 그에게 큰 정사를 맡기신다면 국가가 평안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秦나라와 晉나라가 반드시 틈【窬는 音이 유이니, 문 옆의 작은 구멍이다.】을 엿보아 동하려는 계책이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慕容恪이 말을 마치고 죽었다. 秦王苻堅慕容恪이 죽었다는 소문을 듣고 은밀히 燕나라를 도모할 계책을 세웠다.

[己巳]四年

[己巳]四年이라 〈秦建元五年이요 燕建熙十年이라〉

四月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이 帥步騎五萬하고 伐燕할새 時에 恪已死하니 諸將이 不能抗이라 燕王 乃求救于秦이어늘 王猛이 密言於曰 燕雖彊大나 慕容評은 非溫敵也니 若溫擧山東하야 進屯洛邑하고 收幽, 冀之兵하고 引幷, 豫之粟하야 觀兵【觀은 音貫이라 觀은 示요 兵은 威也니 謂陳兵䝱之也라】崤, 澠【崤는 山名이요 澠은 水名이니 {澠池縣}皆在弘農하니라】이면 則陛下大事去矣리이다 今不如與燕合兵以退溫이니 溫退면 燕亦病矣라 然後에 我承其敝而取之면 不亦善乎잇가 堅從之하야 遣洛州刺史洛州刺史鄧羌하야 帥步騎二萬하야 以救燕하다 溫이 數戰不利【數은 不一也라】하고 糧儲復竭이라 又聞秦兵將至하고 乃焚舟棄輜重鎧仗【鎧는 甲也요 仗은 刀戟總名이라】하고 自陸道奔還이어늘 吳王 自帥八千騎하고 追之하야 及溫於襄邑하야 大破之하고 斬首三萬級하다 秦將苟池 邀擊溫於譙하야 又破之하니 死者復以萬計라 溫收散卒하야 屯于山陽【山陽은 揚州域이니 晉分廣陵하야 置山陽郡하고 隋置楚州하고 宋爲淮安軍하니라 括地志에 楚州山陽縣은 本漢射陽縣也니 射는 食夜反이라】하다 溫이 深恥喪敗하야 乃歸罪於袁眞하야 奏免眞爲庶人【袁眞은 豫州刺史也라 溫이 使眞攻譙, 梁할새 開石門하야 以通水運이러니 不克하니 乃歸罪하야 奏免爲庶人이라 眞이 不伏하고 表溫罪狀이어늘 朝廷不報하니 遂據壽春하고 叛降于燕하니라】하다

太和 4년(기사 369) - 秦나라 建元 5년이고, 燕나라 建熙 10년이다. -

4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이 步兵과 騎兵 5만 명을 거느리고 燕나라를 정벌하였다. 이때 慕容恪이 이미 죽으니 여러 장수들이 항거하지 못하였다. 燕王慕容暐가 마침내 秦나라에 구원을 요청하니, 王猛이 은밀히 苻堅에게 말하기를 “燕나라가 비록 강대하나 慕容評桓溫의 적수가 아니니, 만약 桓溫이 山東을 점령한 다음 進軍하여 洛邑에 주둔하고 幽州와 冀州의 군사를 거두고 幷州와 豫州의 곡식을 징발해서 崤山과 澠池【崤는 산 이름이고 澠은 물 이름이니, 모두 弘農郡에 있다.】에서 군대를 열병【觀은 音이 관이다. 觀은 보이는 것이고 兵은 威勢이니, 觀兵은 군대를 정렬하여 위협함을 이른다.】한다면 폐하의 대사가 틀어질 것입니다. 이제 燕나라와 병력을 규합하여 桓溫을 물리치는 것만 못하니, 桓溫이 후퇴하면 燕나라도 병들 것입니다. 그런 뒤에 우리가 그 피폐한 틈을 타서 취한다면 또한 좋지 않겠습니까.” 하였다. 苻堅이 그의 말을 따라 洛州刺史洛州刺史鄧羌을 보내어 보병과 기병 2만 명을 거느리고 가서 燕나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桓溫이 여러 번【數은 한 번 만이 아닌 것이다.】 싸워 승리하지 못하고 비축했던 양식이 다시 고갈되었는데, 또 秦나라 군대가 올 것이라는 말을 듣고 마침내 배를 불태우고 輜重과 갑옷과 병기【鎧는 갑옷이고, 仗은 칼과 창의 총칭이다.】를 버리고 육로를 따라서 달아나 돌아왔다. 吳王慕容垂가 스스로 8천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이들을 추격하여 襄邑에서 桓溫을 따라잡아 크게 격파하고3만 명의 首級을 베었다. 秦나라 장수 苟池桓溫을 譙에서 맞아 싸워서 또다시 격파하니, 죽은 자가 다시 만 명으로 헤아려졌다. 桓溫이 흩어진 병졸을 수습하여 山陽【山陽은 揚州 지역이니, 晉나라가 廣陵을 분할하여 山陽郡을 두었고, 隋나라는 楚州를 두었고, 宋나라는 淮安軍을 만들었다. ≪括地志≫에 “楚州의 山陽縣은 본래 漢나라 射陽縣이니, 射는 食夜反(사)이다.” 하였다.】에 주둔하였다. 桓溫이 패망한 것을 깊이 부끄러워하여 마침내 袁眞에게 죄를 씌워서 袁眞을 면직시킬 것을 아뢰어 庶人으로 삼았다.【袁眞은 豫州刺史였다. 桓溫이 袁眞으로 하여금 譙와 梁을 공격하게 할 적에 石門을 열어 水運을 통하게 하였는데, 이기지 못하자 마침내 죄를 씌워 袁眞을 면직시킬 것을 아뢰어 庶人으로 삼았다. 袁眞이 복종하지 않고 表文을 올려 桓溫의 죄상을 아뢰었으나 조정에서 회답하지 않자, 마침내 壽春을 점거하고 배반하여 燕나라에 항복하였다.】

燕吳王 還鄴하니 威名益振이라 太傅太傅이 忌之어늘 垂與子弟姪로 俱奔秦하다 初에 秦王이 聞太宰恪卒하고 陰有圖燕之志호되 憚垂威名하야 不敢發이러니 及聞垂至하고 大喜하야 郊迎執手하고 曰 天生賢傑은 必相與共成大功이니 此는 自然之數也라 要當與卿共定天下하리니 然後에 還卿本鄕하야 世封幽州 不亦美乎아 王猛이 言於堅曰 慕容垂父子 譬如龍虎하야 非可馴之物이라 若借以風雲이면 將不可復制니 不如早除之니이다 曰 吾方收攬英雄하야 以淸四海어니 奈何殺之리오하고 乃以垂爲冠軍將軍하다

○ 燕나라 吳王慕容垂가 鄴으로 돌아오니, 위엄과 명망이 더욱 떨쳐졌다. 太傅太傅慕容評이 그를 시기하자慕容垂가 아들, 아우, 조카들과 함께 秦나라로 달아났다. 처음에 秦王苻堅은 太宰太宰慕容恪이 죽었다는 말을 듣고 은밀히 燕나라를 도모할 마음이 있었으나 慕容垂의 위엄과 명성을 두려워하여 감히 군대를 일으키지 못하였는데, 慕容垂가 왔다는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여 교외로 나가 맞이하고 손을 잡고 말하기를 “하늘이 어진 영걸을 냄은 반드시 서로 더불어 큰 공을 이루게 하려고 해서이니, 이는 자연의 운수이다. 요컨대 卿과 함께 천하를 평정할 것이니, 그런 뒤에 卿을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가게 해서 대대로 幽州에 봉해 주는 것이 또한 아름답지 않겠는가.” 하였다. 王猛苻堅에게 말하기를 “慕容垂 父子는 비유하면 용과 범 같아서 길들일 수 있는 물건이 아닙니다. 만약 바람과 구름을 빌려 주면 장차 다시는 제재할 수 없을 것이니 일찍 제거하는 것만 못합니다.” 하니, 苻堅이 말하기를 “내가 막 영웅들을 거두어 모아서 四海를 깨끗이 하려 하니, 어찌 죽이겠는가.” 하고는 마침내 慕容垂를 冠軍將軍冠軍將軍으로 삼았다.

秦王이 遣王猛, 梁成, 鄧羌하야 帥步騎三萬하고 伐燕하야 十二月에 進攻洛陽하다

秦王苻堅王猛梁成鄧羌을 보내어 보병과 기병 3만 명을 거느리고 燕나라를 정벌한 다음 12월에 진군하여 洛陽을 공격하였다.

○ 大司馬大司馬이 發徐, 兗州民하야 築廣陵城하고 徙鎭之하니 時에 征役旣頻하고 加之疫癘【癘鬼爲災曰疫이요 四時不和之疾曰癘라】하야 死者什四五라 百姓이 嗟怨이러라 秘書監孫盛이 作晉春秋할새 直書時事하니 大司馬大司馬이 見之하고 怒하야 謂盛子曰 枋頭는 誠爲失利【穆帝永和五年에 時桓溫及燕人으로 戰于枋頭하야 不利而還하니라[附註]史略에 帝奕時에 溫及燕人戰於枋頭하야 不利而還이라하고 其下曰 吳王垂 旣破晉軍에 威名大振이라하니 枋頭失利는 似指上己巳之戰이어늘 而釋義與此相背하니 未詳이라】어니와 何至乃如尊君【晉人은 於人子前에 稱其父爲尊君尊公이라】所言이리오 若此史遂行이면 自是關君門戶事【言欲滅其門也라】니라 其子遽拜謝【遽는 急也, 疾也니 戰慄也라】하고 請改之하다 時에 盛이 年老家居할새 性이 方嚴有軌度하니 子孫이 雖班(斑)白이나 待之愈峻이러니 至是하야 諸子乃共號泣稽顙하고 請爲百口計호되 盛이 大怒不許하니 諸子遂私改之【盛이 先已寫別本하야 傳之外國이라 及孝武帝購求異書할새 得之於遼東人한대 與見本不同하니 遂兩存焉하니라】하다

○ 大司馬大司馬桓溫이 徐州와 兗州의 백성들을 징발하여 廣陵城을 쌓고 옮겨서 鎭駐하니, 이때에 부역이 이미 빈번하고 역병【癘鬼(역병을 일으키는 귀신)가 재앙을 만든 것을 疫이라 하고, 四時가 순조롭지 못하여 병이 생긴 것을 癘라 한다.】까지 겹쳐서 죽는 자가 10에 4, 5나 되므로 백성들이 크게 원망하였다. 秘書監秘書監孫盛이 《晉春秋》를 지을 적에 당시의 일을 隱諱하지 않고 곧바로 쓰니, 大司馬大司馬桓溫이 이것을 보고 노하여 孫盛의 아들에게 이르기를 “枋頭에서는 내가 참으로 불리하였지만【[釋義]穆帝 永和 5년(349)에 당시 桓溫이 燕나라 사람과 枋頭에서 싸워서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왔다.[附註]≪史略≫에 “廢帝 司馬奕의 때에 桓溫이 燕나라 사람과 枋頭에서 싸워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왔다.” 하고, 그 아래에 이르기를 “吳王 慕容垂가 이미 晉나라 군대를 격파하자, 위엄과 명망이 크게 떨쳐졌다.” 하였으니, ‘枋頭에서 불리하였다’는 것은 앞의 기사년(369)의 전투를 가리킨 듯한데 釋義의 내용은 이와 서로 배치되니, 자세하지 않다.】 어찌 마침내 尊君(부친)【晉人은 아들 앞에서 아버지를 칭하여 尊君, 尊公이라 하였다.】이 말한 것 같은 지경에까지 이르렀겠는가. 만약 이 역사책이 마침내 세상에 행해진다면 이는 자연 그대 가문의 존망에 관계되는 일【그대 가문의 存亡에 관계된다는 것은 孫盛의 가문을 멸망시키고자 함을 말한다.】일 것이다.” 하였다. 孫盛의 아들이 급히【遽는 급함이고 빠름이니, 두려워서 떠는 것이다.】 이마를 조아리며 절하여 사죄하고 내용을 고칠 것을 청하였다. 이때 孫盛이 연로하여 집에 거처할 때에 성품이 방정하고 엄격하여 법도가 있으니, 자손들이 비록 斑白이 되었으나 孫盛은 그들을 대함에 더욱 준엄하게 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여러 아들들이 마침내 함께 울부짖으며 이마를 조아리고 많은 식구의 목숨을 위하여 고려할 것을 청하였으나 孫盛이 크게 노하고 허락하지 않으니, 여러 아들들이 마침내 몰래 고쳤다.【孫盛이 먼저 이미 별도로 한 본을 베껴서 外國에 전하였다. 東晉의 孝武帝(司馬曜)가 진귀한 책을 찾아 구할 때에 遼東 사람에게서 이 別本을 얻었는데, 현재의 本과 같지 않으니 마침내 두 가지 본이 있게 되었다.】

[庚午]五年

[庚午]五年이라 〈秦建元六年이라 ○ 燕建熙十一年이라 ○是歲에 燕亡하니 大一, 小二니 凡三僭國이라〉

太和 5년(경오 370) - 秦나라 建元 6년이다. ○ 燕나라 建熙 11년이다. ○ 이해에 燕나라가 망하였다. 大國이 하나이고 小國이 둘이니, 僭國이 모두 셋이다.-

正月에 燕荊州刺史荊州刺史武威王筑이 以洛陽降秦하다 六月에 秦王堅이 復遣王猛하야 督鎭南將軍楊安等하야 將步騎六萬하고 以伐燕하다 八月에 燕主暐 命太傅上庸王評하야 將中外精兵三十萬하고 以拒秦하다 猛이 克壺關하니 所過郡縣이 皆望風降附라 燕人이 大震이러라 黃門侍郞封孚 問司徒長史申胤曰 事將何如오 胤歎曰 鄴必亡矣니 吾屬이 今玆將爲秦虜로다 然이나 越得歲而吳伐之하야 卒受其禍【左傳昭三十二年에 吳伐越한대 史墨曰 不及四十年하야 越其有吳乎인저 越得歲而吳伐之하니 必受其凶이라하니라 杜預註曰 此年에 歲在星紀하니 星紀는 吳, 越之分也라 歲星所在에 其國有福이어늘 吳先用兵故로 反受其殃이라하더니 哀二十二年에 越果滅吳하니라 索隱曰 天官占云 歲星은 一曰應星이요 一曰經星이요 一曰紀星이라 歲星은 東方木之精이니 蒼帝之象也라 所在之國은 不可伐이요 可以伐人이라하니라】하니 今福德이 在燕【福德은 一曰德星이니 出於有道之國이라 索隱曰 德星은 卽歲星이니 歲星所在에 其國有福이니라】하니 秦雖得志나 而燕之復建이 不過一紀耳라하더라 九月에 秦王猛이 進兵潞川하니 太傅評이 以猛縣(懸)軍【縣은 與懸同이니 孤軍遠征하야 其勢懸絶하야 不能相及故로 懸軍也라】深入이라하야 欲以持久制之어늘 猛이 陳於渭源而誓之하니 衆皆踊躍하야 破釜棄糧하고 大呼競進이라 燕兵이 大敗하야 俘斬五萬餘人하고 乘勝追擊하니 所殺及降者 又十萬餘人이라 評이 單騎走還鄴하니 秦兵이 長驅而東하야 丁卯에 圍鄴하다 十一月에 秦王이 自帥精銳十萬하고 赴鄴하다 戊寅에 燕散騎侍郞餘蔚이 夜開鄴北門하고 納秦兵하니 燕主暐 與上庸王評等으로 奔龍城이어늘 秦王이 使遊擊將軍郭慶으로 追及於高陽하야 執以詣秦王堅하다 이 哀而釋之하고 令還宮하니 帥文武出降하고 諸州牧守及六夷【胡, 羯, 鮮卑, 氐, 羌, 巴蠻也니 或曰 烏桓이요 非巴蠻也라】渠帥 盡降於秦하다

정월에 燕나라 荊州刺史荊州刺史武威王慕容筑이 洛陽을 가지고 秦나라에 항복하였다.

6월에 秦王苻堅이 다시 王猛을 보내어 鎭南將軍鎭南將軍楊安 등을 독려해서 보병과 기병 6만 명을 거느리고 燕나라를 치게 하였다. 8월에 燕主慕容暐가 太傅太傅上庸王慕容評에게 명하여 中外의 정예병 30만 명을 거느리고 秦나라를 맞아 싸우게 하였다. 王猛이 壺關을 함락시키니, 지나는 곳의 郡縣들이 모두 기세만 보고도 항복하여 붙었으므로 燕나라 사람들이 크게 동요하였다. 黃門侍郞黃門侍郞封孚가 司徒長史司徒長史申胤에게 묻기를 “일이 장차 어떻게 되겠는가?” 하니, 申胤이 탄식하며 말하기를 “鄴都가 반드시 망할 것이니, 우리들은 이제 秦나라의 포로가 될 것이다. 그러나 越나라가 歲星을 얻었는데 吳나라가 정벌하여 끝내 그 禍를 받았다.【≪春秋左傳≫ 昭公 32年條에 吳나라가 越나라를 정벌하자, 史墨이 말하기를 “40년이 못 되어 越나라가 吳나라를 소유할 것이다. 越나라가 歲星을 얻었는데 吳나라가 정벌하니, 반드시 禍를 받을 것이다.” 하였다. 杜預의 註에 이르기를 “이해에 歲星이 星紀에 있으니, 星紀는 吳‧越의 분야이다. 歲星이 있는 곳에는 그 나라에 福이 있는데, 吳나라가 먼저 군대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도리어 그 殃禍를 받은 것이다.” 하였는데, 哀公 22年條에 越나라가 과연 吳나라를 멸망시켰다. ≪史記索隱≫에 말하였다. “≪天官占≫에 이르기를 ‘歲星은 일명 應星이요, 일명 經星이요, 일명 紀星이다. 歲星은 東方 木의 精氣이니, 蒼帝의 象이다. 이 별이 있는 나라는 정벌할 수 없고, 이 나라가 다른 나라를 정벌할 수는 있다.’ 하였다.”】 지금 福德星이 燕나라에 있으니,【福德星은 일명 德星이니, 道가 있는 나라에 출현한다. ≪史記索隱≫에 이르기를 “福德星은 곧 歲星이니, 歲星이 있는 곳에는 그 나라에 福이 있다.” 하였다.】秦나라가 비록 뜻을 얻더라도 燕나라의 重建은 1紀(12년)를 넘기지 못할 것이다.” 하였다.

9월에 秦나라 王猛이 潞川으로 진군하자, 太傅太傅慕容評王猛이 懸軍(외로운 군대)【縣은 懸과 같으니, 고립된 군대가 멀리 싸우러 가서 그 형세가 현격하여 서로 미칠 수가 없으므로 懸軍이라 한 것이다.】을 이끌고 적지에 깊이 들어왔다 하여 지구전으로 제압하고자 하였는데, 王猛이 渭源에서 군대를 진열하고 맹세하니, 군사들이 모두 기뻐서 날뛰며 결사의 각오로 가마솥을 부수고 양식을 버리고서 크게 고함치며 함께 진격했다. 燕나라 군대를 대패시켜 5만여 명을 포로로 사로잡고 목을 베었으며 승세를 타고 추격하니, 죽인 자와 항복받은 자가 또 10만여 명이었다. 慕容評이 單騎로 달아나鄴都로 돌아오니, 秦나라 군대가 승승장구하여 동쪽으로 와서 정묘일(10월 26일)에 鄴都를 포위하였다.

11월에 秦王苻堅이 스스로 정예병 10만 명을 거느리고 鄴城으로 달려갔다. 무인일(11월 7일)에 燕나라 散騎侍郞散騎侍郞餘蔚이 밤중에 鄴城의 北門을 열고 秦나라 병사를 받아들이니, 燕主慕容暐上庸王慕容評 등과 함께 龍城으로 달아났다. 秦王苻堅이 遊擊將軍遊擊將軍郭慶으로 하여금 추격하게 하여 郭慶이 高陽에서 이들을 사로잡아 秦王苻堅에게 보냈다. 苻堅이 가엾게 여겨 이들을 놓아주고 궁으로 돌아가게 하니 文武官을 거느리고 나와서 항복하였고, 여러 州의 牧守와 여섯 오랑캐족【六夷는 胡‧羯‧鮮卑‧氐‧羌‧巴蠻이니, 혹자가 이르기를 “烏桓이고 巴蠻이 아니다.”라고 한다.】의 渠帥(추장)들이 모두 秦나라에 항복하였다.

○ 十二月에 秦王堅이 遷慕容暐及王公百官과 幷鮮卑四萬餘戶于長安한대 燕故太史黃泓이 歎曰 燕必中興이니 其在吳王【吳王은 慕容垂라】乎인저 恨吾老하야 不及見耳라하더라 汲郡趙秋曰 天道在燕이어늘 而秦滅之하니 不及十五年하야 必復爲燕有하리라

○ 12월에 秦王苻堅慕容暐와 燕나라의 王公과 百官과 鮮卑族 4만여 가호를 長安으로 옮겼다. 燕나라 옛 太史太史인 黃泓이 탄식하기를 “燕나라가 반드시 중흥할 것이니, 吳王(慕容垂)【吳王은 慕容垂이다.】에게 있을 것이다. 내가 늙어서 미처 보지 못하는 것이 한스럽다.” 하였다. 汲郡 사람 趙秋가 말하기를 “天道가 燕나라에 있는데 秦나라가 멸망시켰으니, 15년이 못 되어 秦나라는 반드시 다시 燕나라의 소유가 될 것이다.” 하였다.

太宗簡文皇帝
太宗簡文皇帝 名昱이요 字道萬이니 元帝少子也라 在位二年이요 壽五十三이라

太宗簡文皇帝【一德不懈曰簡이요 平易不訾曰簡이라】이요 字道萬이니 元帝少子也라 在位二年이요 壽五十三이라

太宗 簡文皇帝【德을 한결같이 하여 게으르지 않은 것을 簡이라 하고, 평이하여 헐뜯지 않는 것을 簡이라 한다.】는 이름이 이요 字가 道萬이니, 元帝의 작은 아들이다. 재위가 2년이고 壽가 53세이다.

[辛未]咸安元年

[辛未]咸安元年이라 〈秦建元七年이라〉

正月에 秦王이 徙關東豪傑及雜夷十五萬戶於關中하고 處烏桓於馮翊, 北地【北地는 郡名이라】하고 丁零翟斌【丁零은 北狄種名이니 漢匈奴傳註에 地名이라 翟은 本音狄이니 後人姓音宅이라】於新安, 澠池하다

咸安 元年(신미 371) - 秦나라 建元 7년이다. -

정월에 秦王苻堅이 關東의 호걸과 여러 오랑캐 족속 15만 가호를 關中으로 옮겼으며, 烏桓을 馮翊과 北地【北地는 고을 이름이다.】에 安置시키고 丁零 사람 翟斌【丁零은 북쪽 오랑캐의 종족 이름이니, ≪漢書≫ 〈匈奴傳〉 註에는 地名이라고 하였다. 翟은 本音이 적이니, 후인들이 姓으로 쓸 때에는 音이 택(책)이다.】을 新安과 澠池에 安置시켰다.

○ 十月에 大司馬大司馬이 恃其材略位望【地位聞望이라】하고 陰蓄不臣之志하야 嘗撫枕歎曰 男子不能流芳百世어든 亦當遺臭萬年이라하더라 이 欲先立功河朔하야 以收時望하고 還受九錫이러니 及枋頭之敗에 威名頓挫라 旣克壽春에 謂參軍參軍郗超曰 足以雪枋頭之恥乎아 曰 未也니이다 久之요 超就溫宿할새 中夜에 謂曰 明公이 當天下重任하야 今以六十之年으로 敗於大擧하니 不建不世之勳이면 不足以鎭愜【愜은 伏也라】民望이리이다 曰 然則奈何오 超曰 明公이 不爲伊, 霍之擧【超知溫心而迎合之라】者면 無以立大威權하야 鎭壓四海하리이다 溫素有心이러니 深以爲然하야 遂與之定議하다

[史略 史評]番(鄱)陽石氏伊尹이 放太甲하고 霍光이 廢昌邑王은 爲宗社計라 其心이 公也어늘 小人이 妄以爲擬하니 不亦異哉아

○ 10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은 자신의 재주와 지략과 지위와 명망【位望은 지위와 명망이다.】을 믿고 은밀히 신하 노릇 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품고서 일찍이 베개를 어루만지며 탄식하기를 “남자가 아름다운 명성을 百代에 남길 수 없으면 또한 더러운 이름이라도 만년토록 남겨야 한다.” 하였다. 桓溫이 먼저 河朔(河北) 지방에서 공을 세워 당대의 명망을 거두고 돌아와 九錫을 받고자 하였는데, 枋頭에서 패하자 위엄과 명성이 크게 꺾였다. 壽春을 점령한 뒤에 參軍參軍郗超에게 이르기를 “枋頭의 치욕을 씻을 수 있겠는가?” 하니, 郗超가 대답하기를 “안 됩니다.” 하였다. 얼마 후 郗超桓溫을 찾아가 함께 잠을 잤는데, 한밤중에 桓溫에게 이르기를 “明公이 천하의 重任을 담당하여 이제 60의 나이로 크게 군대를 동원하여 출정함에 실패하였으니, 좀처럼 세상에 나타나지 않을 큰 공업을 세우지 않는다면 백성들의 바람을 진정시키고 복종【愜은 복종함이다.】시킬 수 없습니다.” 하였다. 桓溫이 대답하기를 “그렇다면 어찌해야 하는가?” 하니, 郗超가 말하기를 “明公이 伊尹霍光의 일【郗超가 桓溫의 속마음을 알고 영합한 것이다.】을 하지 않는다면 큰 위엄과 권력을 세워서 四海를 진압할 수 없습니다.” 하였다. 桓溫이 평소 배반할 마음이 있었는데, 이 말을 깊이 옳게 여겨서 마침내 郗超와 더불어 의논을 결정하였다.

[史略 史評]鄱陽石氏가 말하였다.

伊尹太甲을 추방하고霍光昌邑王을 폐위한 것은 종묘사직을 위한 계책이었다. 그 마음이 공정하였는데, 小人이 함부로 이에 비견하였으니, 이상하지 않은가.”

○ 十一月에 이 自廣陵으로 詣建康하야 宣太后令하야 廢帝爲東海王하고 以會稽王으로 統承皇極하야 卽皇帝位하니 이 威勢翕赫【翕은 盛也라】이러라 侍中侍中謝安이 見溫遙拜어늘 驚曰 安石아 卿이 何事乃爾오 曰 未有君拜於前하고 臣揖於後니이다 於是에 詔進溫丞相, 大司馬하야 留京師輔政하니 이 固辭하고 仍請還鎭姑孰하다

[史略 史評]史斷曰 哀帝以及廢帝히 政出桓溫하야 太阿倒持하고 虛器徒擁하야 卒被廢黜하니 哀哉라

○ 11월에 桓溫이 廣陵으로부터 建康에 나가서 太后의 명령을 선포하여 황제를 폐위시켜東海王으로 삼고, 會稽王司馬昱으로 皇極의 대통을 이어서 황제에 즉위하게 하니, 桓溫의 위엄과 권세가 대단히 혁혁【翕은 성대함이다.】하였다. 侍中侍中謝安桓溫을 보고 멀리서 절하자, 桓溫이 놀라며 말하기를 “安石(謝安의 字)아! 卿이 무슨 일로 이와 같이 하는가?” 하니, 謝安이 말하기를 “군주가 앞에서 절하고 신하가 뒤에서 읍하는 경우는 있지 않습니다.” 하였다. 이에 조서를 내려 桓溫을 丞相丞相‧大司馬大司馬로 승진시켜京師에 머물면서 정사를 보필하게 하니, 桓溫이 한사코 사양하고 그대로 돌아가 姑孰에 鎭駐할 것을 청하였다.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哀帝로부터 廢帝에 이르기까지 정사가 桓溫에게서 나와 황제는 칼날을 쥐고 거꾸로 칼자루를 桓溫에게 내주어 이름뿐인 빈 자리[虛器]만 끼고 있다가 마침내 폐출당하였으니, 슬프다.”

十二月에 大司馬大司馬이 奏東海王이 宜依昌邑故事【漢昭帝崩에 迎昌邑王하야 卽帝位러니 有罪被廢하야 歸于昌邑하니라】라하야 乃封海西縣公하다 이 威振內外하니 帝雖處尊位나 拱黙而已러라

○ 12월에 大司馬大司馬桓溫東海王(廢帝)은 마땅히 昌邑王의 故事【漢나라 昭帝가 崩함에 昌邑王(劉賀)을 맞이하여 황제에 즉위하였는데, 죄가 있어 폐출당하여 昌邑으로 돌아갔다.】를 따라야 한다고 아뢰어 마침내 海西縣公에 봉하였다. 桓溫의 위엄이 내외에 떨쳐지니, 황제가 비록 지존의 자리에 있었으나 팔짱을 끼고 침묵만 할 뿐이었다.

[壬申]二年

[壬申]二年이라 〈秦建元八年이라〉

七月에 帝崩【遺詔에 溫依周公居攝故事하라하고 又曰 少子可輔어든 輔之하고 如爲不可어든 君可自取하라하니 侍中王坦之 持詔入하야 於帝前에 毁之라 帝曰 天下儻來之運이어늘 卿何所嫌고하니 云云하다 】하고 太子卽皇帝位하다

咸安 2년(임신 372) - 秦나라 建元 8년이다. -

7월에 황제가 崩하고,【簡文帝가 崩할 때 遺詔에 “桓溫은 周公이 居攝한 故事를 따르라.” 하고, 또 말하기를 “少子가 보좌할 만하거든 보좌하고 만약 보좌할 수 없으면 그대가 스스로 취해도 된다.” 하니, 侍中 王坦之가 詔書를 가지고 대궐에 들어가 황제의 앞에서 이것을 찢어 버렸다. 황제가 말하기를 “天下를 뜻하지 않게 갑자기 얻었는데, 卿은 어찌하여 의혹하는가?” 하니, 王坦之가 云云하였다.】太子太子가 황제에 즉위하였다.

○ 八月에 秦이 以王猛으로 爲丞相하다 猛이 爲相에 이 端拱【端은 正也요 拱은 拱手也니 言無爲라】於上하고 百官이 總己於下하니 軍國內外之事 無不由之러라 이 剛明【不屈於欲之謂剛이요 不惑於物之謂明이라】淸肅하야 善惡이 著白하고 放黜尸素【尸位素餐이라】하고 顯拔幽滯하며 勸課農桑하고 練習軍旅【見一卷一旅注하니라】하며 官必當才하고 刑必當罪하니 由是로 國富兵彊하야 戰無不克이라 秦國이 大治러라

[史略 史評]史斷曰 簡文이 爲桓溫所立하야 雖處尊位나 恭黙守道而已요 嘗懼廢黜하야 泣下沾襟하니 帝雖神識恬暢이나 而乏濟世大略이라 故로 謝安이 稱其爲惠帝之流에 淸談差勝耳라하고 謝靈運이 謂迹其行事하면 以爲, 之輩라하니 從可知矣니라

○ 8월에 秦나라가 王猛을 丞相丞相으로 삼았다. 王猛이 丞相丞相이 되자, 苻堅은 위에서 몸을 단정히 하고 손을 모아 無爲로써 다스리고【端은 바름이고 拱은 拱手하는 것이니, 端拱은 無爲(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를 말한다.】 백관들은 아래에서 자신의 직책을 총괄하니, 軍國軍國 안팎의 정사가 王猛을 거치지 않는 것이 없었다. 王猛은 굳세고 밝고【욕심에 굴복당하지 않는 것을 剛이라 하고, 외물에 미혹되지 않는 것을 明이라 한다.】 깨끗하고 엄숙하여 善惡이 분명하며, 자리를 차지하고 녹만 받아먹는 자들【尸素는 직책을 다하지 못하면서 자리만 차지하고 祿만 받아먹는 것을 이른다.】을 추방하여 내쫓고 숨어서 세상에 나오지 않는 자들을 드러내어 발탁하며, 농업과 양잠을 권장하고 군대【軍旅는 1권의 ‘一旅’ 注에 보인다.】를 훈련시키며, 관직은 반드시 재주에 걸맞게 하고 형벌은 반드시 죄에 마땅하게 하니, 이로 말미암아 나라가 부유하고 군대가 강성해져서 싸우면 승리하지 않음이 없었다. 秦國이 크게 다스려졌다.

[史略 史評]史斷에 말하였다.

簡文帝桓溫에 의해 옹립되어 비록 지존의 자리에 있었으나 공손하고 침묵하여 道를 지킬 뿐이었고, 항상 폐출당할까 두려워하여 눈물을 흘려 옷깃을 적셨다. 簡文帝는 비록 정신이 평안하고 지식이 通暢하였으나 세상을 구제할 큰 智略이 없었다. 그러므로 謝安은 칭하기를 ‘晉나라 惠帝의 부류인데 淸談이 조금 나을 뿐이다.’ 하였고, 謝靈運謝靈運은 이르기를 ‘행한 일을 살펴보면 周나라 赧王과 漢나라 獻帝의 무리이다.’라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그의 인품을 알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