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이수현

KHS DH wiki

이수현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8일 (수) 04:58 판 (연구 목적)

디지털유산프로젝트

백제시대 공예품과 무형유산

연구 목적

백제시대 공예품을 살펴보면 백제인들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당시 공예 기술의 우수성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제금동대향로에 새겨진 다양한 도상을 통해 백제인들이 꿈꾼 이상적인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고,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제작 당시 수은 아말감 기법을 활용하여 백제금동대향로를 제작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백제금동대향로가 금속 재료로 만들어졌음을 알아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더 나아가 현재 해당 재료, 공예 기술 관련 무형유산과 접목하여 살펴보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다. 무형유산학을 전공하면서 과거에 만들어진 공예품을 살펴보는 동시에 현재 전승되고 있는 무형유산과 연결 지어 본다는 것이 매우 어렵고 힘든 일임을 느꼈던 경험이 여러 번 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하여 무형유산 분야에서 보다 넓은 시야로 백제시대 공예품을 접하고 살펴볼 수 있도록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백제시대 주요 공예품과 현재 전승되고 있는 공예 분야 무형유산, 장인과 연결 짓는 시도를 해보고자 한다.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주요 유물(공예품)의 출토지, 용도, 문양, 연관된 종교 및 유물 등과 같은 특징을 살펴본 뒤, 해당 유물은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고, 어떤 공예 기술을 사용해 제작하였는지, 더 나아가 그 재료와 관련된 공예 기술은 현재 어떤 무형유산 장인이 전승하고 있는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관계망을 구축하고자 한다.

크게 '공예품-재료-공예기술-무형유산 장인'으로 연결 짓고자 하며, 단순히 공예품과 무형유산, 무형유산 장인만 이어서 살펴보는 데 그치지 않고 무형유산 장인이 관련 공예기술로 제작한 작품 또한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연구 방법

주제 선정 과정 국립부여박물관, 국가유산포털 등을 통해 유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정보로 유물의 특징을 연결시켰다. 해당 유물은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지 알아보며 무형유산 중 그 재료와 관련된 공예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장인과 연결 지으며 유물-공예기술-장인을 잇고자 했다.

연구 추진 공정표

내용 9월 10월 11월 12월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획 및 주제 선택
개체 탐색, 온톨로지 설계
데이터 수집 및 핵심항목, 문맥항목 선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



연구 결과

온톨로지



Class

Class Sub Class Description
Actor 왕실인물, 장인 유물(공예품)과 관련되어 있는 역사적 인물, 공예기술을 전승하고 있는 보유자 및 전승교육사
Craft 유물(공예품)을 제작할 때 사용된 공예 관련 기술
Event 유물(공예품)이 사용된 생활, 의례 등 문화적인 쓰임
Heritage 국보, 보물, 국가무형유산 국가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등록 정보
Material 유물(공예품)을 만들 때 사용한 주재료, 주재료의 특성
Object 유물, 작품 장인이 공예기술을 사용하여 제작한 그 시대의 역사, 문화를 보이는 물품들
Pattern 유물(공예품)을 제작할 때 사용된 동물, 식물, 자연의 형상
Place 유적, 지역 유물(공예품)이 발견 및 발굴된 장소(유적, 지역), 유물(공예품)을 소장하고 있는 기관
Religion 불교, 도교 등 초인간적인 세계에 대한 신앙을 둔 문화현상
Time 유물(공예품)이 만들어진 역사적 시대, 상황



Relation

Relation Domain Range Description sample
A는_B(으)로_만들어졌다
A로_B를_제작하다
A는_B로_지정되었다
A는_B문양이_있다
A는_B시대에_만들어졌다
A는_B에_쓰인다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A는_B와_같다
A는_B와_관계가_있다
A는_B의_전승교육사다
A는_B의_보유자다
A는_B의_부분이다
A의_소장처는_B다
A와_B는_형제다
A는_B의_아버지다
A는_B를_제작했다



연구 데이터

Nodes

class count
Actor 18
Craft 18
Event 3
Heritage 15
Material 4
Material 4
Object 12
Pattern 12
Place 6
Religion 2
Time 1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infoUrl iconUrl note
백제금동대향로 Object 백제금동대향로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백제금동대향로 https://dh.aks.ac.kr/~hyunseung/icon/백제금동대향로.png 이수현
백제 Time 백제 이수현
부여군_부여읍_능산리사지 Place 유적 부여군_부여읍_능산리사지 이수현
금속 Material 금속 이수현
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Object 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https://buyeo.museum.go.kr/rprsPsn/view.do?rprsPsnCmdtyMngSn=2001010002&key=2302150017 https://dh.aks.ac.kr/~hyunseung/icon/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png 이수현
국립부여박물관 Place 국립부여박물관 https://buyeo.museum.go.kr https://dh.aks.ac.kr/~hyunseung/icon/국립부여박물관.png 이수현
봉황문 Pattern 봉황문 이수현
의례 Event 의례 이수현
장식 Event 장식 이수현
생활 Event 생활 이수현
박산향로 Object 박산향로 https://dh.aks.ac.kr/~hyunseung/icon/박산향로.png 이수현
도교 Religion 도교 이수현
불교 Religion 불교 이수현
국보_백제금동대향로 Heritage 국보 국보_백제금동대향로 이수현
국보_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Heritage 국보 국보_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이수현
국보_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 Heritage 국보 국보_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 이수현
국보_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Heritage 국보 국보_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이수현
보물_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Heritage 보물 보물_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이수현
보물_부여_석조 Heritage 보물 보물_부여_석조 이수현
국가무형유산_금박장 Heritage 국가무형유산 국가무형유산_금박장 이수현
국가무형유산_두석장 Heritage 국가무형유산 국가무형유산_두석장 이수현
국가무형유산_유기장 Heritage 국가무형유산 국가무형유산_유기장 이수현
국가무형유산_금속활자장 Heritage 국가무형유산 국가무형유산_금속활자장 이수현
국가무형유산_석장 Heritage 국가무형유산 국가무형유산_석장 이수현
국가무형유산_제와장 Heritage 국가무형유산 국가무형유산_제와장 이수현
국가무형유산_사기장 Heritage 국가무형유산 국가무형유산_사기장 이수현
금박장 Craft 공예기술 금박장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금박장 https://dh.aks.ac.kr/~hyunseung/icon/금박장.png 이수현
도다익장 Craft 공예기술 도다익장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금박장 이수현
부금장 Craft 공예기술 부금장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금박장 이수현
두석장 Craft 공예기술 두석장 https://dh.aks.ac.kr/~hyunseung/icon/두석장.png 이수현
유기장 Craft 공예기술 유기장 https://dh.aks.ac.kr/~hyunseung/icon/유기장.png 이수현
금속활자장 Craft 공예기술 금속활자장 https://dh.aks.ac.kr/~hyunseung/icon/금속활자장.png 이수현
석장 Craft 공예기술 석장 https://dh.aks.ac.kr/~hyunseung/icon/석장.png 이수현
제와장 Craft 공예기술 제와장 https://dh.aks.ac.kr/~hyunseung/icon/제와장.png 이수현
사기장 Craft 공예기술 사기장 https://dh.aks.ac.kr/~hyunseung/icon/사기장.png 이수현
석재 Material 석재 이수현
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 Object 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 https://dh.aks.ac.kr/~hyunseung/icon/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png 이수현
부여군_규암면_규암리 Place 지역 부여군_규암면_규암리 이수현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Object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https://dh.aks.ac.kr/~hyunseung/icon/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png 이수현
부여군_규암면_신리 Place 지역 부여군_규암면_신리 이수현
청동제_사리함 Object 청동제_사리함 https://dh.aks.ac.kr/~hyunseung/icon/청동제_사리함.png 이수현
은제_사리호 Object 은제_사리호 https://dh.aks.ac.kr/~hyunseung/icon/은제_사리호.png 이수현
금제_사리병 Object 금제_사리병 https://dh.aks.ac.kr/~hyunseung/icon/금제_사리병.png 이수현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공양구 Object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공양구 https://dh.aks.ac.kr/~hyunseung/icon/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공양구.png 이수현
유리 Material 유리 이수현
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Object 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https://dh.aks.ac.kr/~hyunseung/icon/백제_무늬벽돌.png 이수현
백제_무늬벽돌 Object 백제_무늬벽돌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이수현
부여_외리_절터 Place 유적 부여_외리_절터 이수현
Material 이수현
산수문 Pattern 산수문 이수현
귀신문 Pattern 귀신문 이수현
연꽃문 Pattern 연꽃문 이수현
부여군_부여읍_관북리_추정왕궁터 Place 유적 부여군_부여읍_관북리_추정왕궁터 이수현
부여_석조 Object 부여_석조 https://dh.aks.ac.kr/~hyunseung/icon/부여_석조.png 이수현
백제_매형공주 Actor 왕실인물 백제_매형공주(妹兄公主) 이수현
방짜유기 Craft 공예기술 방짜유기 이수현
주물유기 Craft 공예기술 주물유기 이수현
김기호 Actor 장인 김기호(金基昊, 1968~)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금박장_김기호 이수현
김극천 Actor 장인 김극천(金克千, 1951~) 이수현
박문열 Actor 장인 박문열(朴文烈, 1950~) 이수현
이봉주 Actor 장인 이봉주(李鳳周, 1926~) 이수현
김수영 Actor 장인 김수영(金壽榮, 1949~) 이수현
이형근 Actor 장인 이형근(李亨根, 1983~) 이수현
임인호 Actor 장인 임인호(林仁鎬, 1964~) 이수현
임규헌 Actor 장인 임규헌(林奎憲, 1992~) 이수현
이의상 Actor 장인 이의상(李義祥, 1942~) 이수현
이재순 Actor 장인 이재순(李在珣, 1956~) 이수현
김창대 Actor 장인 김창대(金蒼大, 1972~) 이수현
김정옥 Actor 장인 김정옥(金正玉, 1942~) 이수현
김경식 Actor 장인 김경식(金瓊植, 1968~) 이수현
수은아말감기법 Craft 공예기술 수은아말감기법 이수현
밀랍주조법 Craft 공예기술 밀랍주조법 이수현
옹기장 Craft 공예기술 옹기장 이수현
국가무형유산_옹기장 Heritage 국가무형유산 국가무형유산_옹기장 이수현
김일만 Actor 장인 김일만(金一萬, 1941~) 이수현
정윤석 Actor 장인 정윤석(鄭允石, 1942~) 이수현
장도장 Craft 공예기술 장도장 이수현
국가무형유산_장도장 Heritage 국가무형유산 국가무형유산_장도장 이수현
박종군 Actor 장인 박종군(朴鍾君, 1964~) 이수현
한상봉 Actor 장인 한상봉(韓相鳳, 1961~) 이수현
봉화유기장 Craft 공예기술 봉화유기장 이수현
번와장 Craft 공예기술 번와장 이수현
개장 Craft 공예기술 개장 이수현
문자문 Pattern 문자문 이수현
과실문 Pattern 과실문 이수현
새·곤충문 Pattern 새·곤충문 이수현
화문 Pattern 화문 이수현
금원문 Pattern 금원문 이수현
잡보문 Pattern 잡보문 이수현
팔길상문 Pattern 팔길상문 이수현
암팔선문 Pattern 암팔선문 이수현



Links

Relation count



Semantic Network Graph




Digital Curation




Timeline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