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외리 문양전 일괄
KHS DH wiki
부여 외리 문양전 일괄 (扶餘 外里 文樣塼 一括) |
|
한글 | 부여 외리 문양전 일괄 |
---|---|
한자 | 扶餘 外里 文樣塼 一括 |
영어 | Patterned Tiles from Oe-ri, Buyeo |
이칭 | 백제 무늬벽돌 |
시대 | 백제시대(7세기 초기) |
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
유형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와전 |
크기 | 한 변의 길이 29cm 내외, 두께 약 4cm의 사각형 |
국가유산 종목 | 보물 |
국가유산 지정일 | 1963.01.21 |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외리에 있는 옛 절터에서 출토된 흙에 다양한 문양과 형상을 새긴 후 구워서 만든 백제 무늬벽돌(전)이다.
내용
부여 외리 문양전 일괄은 산수문전, 산수봉황문전, 산수귀문전, 연대귀문전, 반용문전, 봉황문전, 와운문전, 연화문전 총 8매의 벽돌을 일컫는다. 다시 분류하면, 산수무늬벽돌 2종, 귀신무늬벽돌 2종, 반룡무늬벽돌, 봉황무늬벽돌, 연꽃무늬벽돌, 연꽃구름무늬벽돌 등이 있다. 정사각형에 가까운 부여 외리 문양전은 크기와 두께가 일정하며 네 모서리에 각각 사각형의 홈이 파여있어 각 벽돌을 연결하여 건물의 바닥이나 벽면을 장식했을 것이라 추정된다.
산수문전은 상단의 상서로운 구름 아래로 3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이 있고, 하단에는 물이 있다. 전체적으로 규칙적인 배열로 좌우가 대칭을 이루는 균형 잡힌 구도이다. 이러한 구도는 신선이 사는 세계의 이상적인 모습을 유려하게 그리며 서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구름과 봉황이 있으며 삼산형 봉우리가 솟아있고, 하단에는 산수풍경이 펼쳐지는 산수봉황문전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춤추듯 일렁이며 중첩되어 있는 산악의 모습은 백제금동대향로 뚜껑에 표현된 신선 세계와 매우 닮았다.
산수귀문전은 산수를 배경으로 상단에 물결무늬, 구름 위에 둥근 바위를 딛고 서 있는 도깨비 무늬이다. 반면, 연대귀문전은 연꽃 모양으로 만든 대좌 위에 도깨비가 서있는 형상이다.
반용문전은 구슬을 꿰어서 이은 타원형의 띠 안에 S자형으로 머리와 몸을 휘감아서 온 몸을 비틀고 있는 용이 새겨져 있다. 봉황문전은 봉황의 머리와 몸통, 날개와 꼬리를 측면에서 보고 새긴 모습이며 백제금동대향로 가장 위에 있는 봉황의 표현과 같다. 와운문전은 연꽃무늬의 작은 원을 중심으로 8개의 구름무늬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연화문전은 구슬을 이은 타원형에 연봉무늬가 있고, 10개의 꽃잎이 있으며 꽃잎마다 덩굴무늬를 새겨 놓았다.
특징과 제작 방법을 보아 부여 외리 문양전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며, 일본 오사카에서 출토된 봉황문전 등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부여 외리 문양전은 백제시대 회화에서 많이 쓰인 도상과 공예기술을 짐작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 백제금동대향로와 유사한 무늬 계통과 사상적 배경의 거의 같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데이터(Data)
노드(Node) 정보
id | class | label | infoUrl | iconUrl |
---|---|---|---|---|
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 유물(공예품) | 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 https://dh.aks.ac.kr/~hyunseung/icon/백제_무늬벽돌.png |
백제_무늬벽돌 | 유물(공예품) | 백제_무늬벽돌 |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ndex.php/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 https://dh.aks.ac.kr/~hyunseung/icon/백제_무늬벽돌.png |
참고문헌
Web Resource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사전 | 부여 외리 문양전 일괄(扶餘 外里 文樣塼 一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585 |
해설 | 부여 외리 문양전 일괄(扶餘 外里 文樣塼 一括)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3430000 |
해설 | 백제인의 심성이 스며 있는 여덟 가지 무늬 벽돌 | 국립중앙박물관 |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16914 |
사진 | 문양전 군집 | 국립부여박물관 | https://buyeo.museum.go.kr/rprsPsn/view.dorprsPsnCmdtyMngSn=2001010162&key=2302150017&sc_detailAt=&pageIndex=1&orderBy=regYmd+desc&sw=&recordCountPerPage=8 |
Bibliography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논문 | 조원교, 「부여 외리 출토 백제 문양전에 관한 연구」, 『미술자료』74, 국립중앙박물관, 2006. | DB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601104 |
논문 | 박대남, 「부여 규암면 외리 출토 백제문양전 고찰」 『신라사학보』14, 신라사학회, 2008. | DBpia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442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