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SKKU2022Kphilo Team6 연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네트워크 그래프)
102번째 줄: 102번째 줄:
 
=='''데이터 초안'''==
 
=='''데이터 초안'''==
 
[[파일:뇽.jpg|800픽셀|가운데]]
 
[[파일:뇽.jpg|800픽셀|가운데]]
 +
 +
 +
{{NetworkGraph | title=조선시대_그림_작품.lst}}
 +
{{button|[[조선시대 그림 작품.lst]]}}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그래프'''==
 +
<pre>
 +
#Project
 +
조선시대 그림 작품
 +
 +
#Class
 +
인물 blue circle
 +
작품 red box
 +
화풍 green star
 +
 +
#Relation
 +
belongsto 속한다 arrow
 +
created 창작했다 arrow
 +
 +
#Nodes
 +
001 작품 모견도
 +
002 작품 묵죽도
 +
003 인물 허난설헌
 +
004 작품 고사관수도
 +
005 인물 신사임당
 +
006 작품 묵죽도
 +
007 인물 장승업
 +
008 인물 두성령
 +
009 인물 정선
 +
010 작품 초충도
 +
011 인물 이황
 +
012 작품 팔경도
 +
013 작품 적벽도
 +
014 작품 군마도
 +
015 작품 팔준도
 +
016 작품 소상팔경도
 +
017 작품 금강전도
 +
018 작품 인왕제색도
 +
019 인물 안견
 +
020 화풍 진경산수화
 +
022 화가 사시팔경도
 +
023 인물 안견
 +
024 작품 몽유도원도
 +
025 인물 김홍도
 +
026 작품 보한재집
 +
027 작품 이마사산수도
 +
028 작품 입암도
 +
029 작품 단오풍정
 +
030 작품 산궁수진
 +
032 작품 입암도
 +
037 작품 단원도
 +
038 작품 농촌
 +
039 인물 김득신
 +
040 인물 신윤복
 +
041 작품 미인도
 +
042 작품 풍속도
 +
043 작품 씨름
 +
044 인물 김홍도
 +
045 작품 선녀도
 +
046 작품 작도
 +
047 작품 죽하맹호도
 +
050 인물 작자미상
 +
 +
 +
#Links
 +
009 017 created
 +
009 018 created
 +
025 043 created
 +
025 045created
 +
025 046 created
 +
040 041 created
 +
 +
#End
 +
</pre>
 +
 +
 +
==Visualization==
 
{{NetworkGraph | title=조선시대_그림_작품.lst}}
 
{{NetworkGraph | title=조선시대_그림_작품.lst}}
 
{{button|[[조선시대 그림 작품.lst]]}}
 
{{button|[[조선시대 그림 작품.lst]]}}

2022년 10월 12일 (수) 10:54 판

수업: 2022-2 디지털방법론으로 보는 한국문화와 철학


조선시대 그림 작품
【뇽 Team】 허유림, 증소소, 방윤태, 이원호

소개글

연구 목적: 1592년 임진왜란 이후 조선시대 전, 후기가 나뉘고 이를 기준으로 조선의 미술 작품들 또한 여러 회화 방식이나 소재들이 바뀌었기에 이를 통해 전기 회화 방식과 후기 회화 방식을 비교해보고자 하며 전, 후기 화가들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연구 대상: 몽유도원도, 고사관수도와 같은 전기 작품, 인왕제색도, 금강 전도와 같은 후기 작품, 전기 화가, 후기 화가, 북송대 화풍 & 남송대 화풍과 같은 조선 전기의 화풍, 진경산수화, 풍속화 같은 조선 후기의 화풍

연구 방법: <이야기 한국 미술사> 같은 참고도서를 활용하여 조선 전, 후기에 어떤 작품이 있는지 알아보고 여러 논문과 역사적 사료들을 조사하여 그 작품의 탄생배경은 무엇인지, 화가가 이 작품에 어떤 메세지를 담고자 했는지 등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온톨로지 설계

Class

Class Description
인물 조선시대의 화가
작품 조선시대의 그림작품
화풍 작품에 드러나는 특징

Relation

Relation Domain Range Description
창작하다 인물 작품 '인물'이 '작품'을 창작하다.
속하다 작품 화풍 '작품'이 '화풍'에 속하다.
속하다 인물 화풍 '인물'이 '화풍'에 속하다.

Nodes

id class label infoUrl iconUrl note
모견도 작품 모견도
미인도 작품 미인도
묵죽도 작품 묵죽도
고사관수도 작품 고사관수도
앙간비금도 작품 앙간비금도
팔준도 작품 팔준도
소상팔경도 작품 소상팔경도
보한재잡 작품 보한재잡
사시팔경도 작품 사시팔경도
팔경도 작품 팔경도
풍속도 작품 풍속도
몽유도원도 작품 몽유도원도
초충도 작품 초충도
금강전도 작품 금강전도
인왕제색도 작품 인왕제색도
송하맹호도 작품 송하맹호도
입암도 작품 입암도
단원도 작품 단원도
군마도 작품 군마도
모견도 작품 모견도
신윤복 화가 신윤복
강승업 화가 강승업
정선 화가 정선
이황 화가 이황
김득신 화가 김득신
김홍도 화가 김홍도
선안경 화가 선안경
허난설헌 화가 허난설헌

데이터 초안

뇽.jpg


조선시대 그림 작품.lst


네트워크 그래프

#Project
조선시대 그림 작품

#Class
인물 blue circle
작품 red box
화풍 green star

#Relation
belongsto 속한다 arrow
created 창작했다 arrow

#Nodes
001 작품 모견도
002 작품 묵죽도
003 인물 허난설헌
004 작품 고사관수도
005 인물 신사임당
006 작품 묵죽도
007 인물 장승업
008 인물 두성령
009 인물 정선
010 작품 초충도
011 인물 이황
012 작품 팔경도
013 작품 적벽도
014 작품 군마도
015 작품 팔준도
016 작품 소상팔경도
017 작품 금강전도
018 작품 인왕제색도
019 인물 안견
020 화풍 진경산수화
022 화가 사시팔경도
023 인물 안견
024 작품 몽유도원도
025 인물 김홍도
026 작품 보한재집
027 작품 이마사산수도
028 작품 입암도
029 작품 단오풍정
030 작품 산궁수진
032 작품 입암도
037 작품 단원도
038 작품 농촌
039 인물 김득신
040 인물 신윤복
041 작품 미인도
042 작품 풍속도
043 작품 씨름
044 인물 김홍도
045 작품 선녀도
046 작품 작도
047 작품 죽하맹호도
050 인물 작자미상


#Links
009 017 created
009 018 created
025 043 created
025 045created
025 046 created
040 041 created

#End


Visualization

조선시대 그림 작품.lst


연구 후기

허유림
느낀점


증소소
느낀점


방윤태
느낀점


이원호
느낀점

코멘트

이름
느낀점

※ "틀:둥근글상자" 양식을 복사해서 코멘트들을 추가해주세요!

참고자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