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KU2025 송유진 디지털큐레이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연구 내용) |
(→연구 내용)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연구 내용== | ==연구 내용== | ||
− | 『문학기본: 류학생용』(2017)의 내용을 문서화하였다. 그리고 이념이 드러난 문장을 기준으로 하여 Excel에 장, 절, 문단, 문장으로 시트를 분류하여 이념이 드러난 부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그 후, source와 target을 설정하고 문장 내에서 문맥을 고려하여 이념을 드러내는 단어쌍들 혹은 단어쌍을 | + | 『문학기본: 류학생용』(2017)의 내용을 문서화하였다. 그리고 이념이 드러난 문장을 기준으로 하여 Excel에 장, 절, 문단, 문장으로 시트를 분류하여 이념이 드러난 부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그 후, source와 target을 설정하고 문장 내에서 문맥을 고려하여 이념을 드러내는 단어쌍들 혹은 단어쌍을 추출하였고 이렇게 하여 추출된 단어쌍은 총 294개였다. 단어쌍을 추출한 뒤 어떠한 이념에 해당하는지 구분하였다. |
<br/> | <br/> | ||
Class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온톨로지 설계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Concept로 설정하였고, sub class는 국립통일교육원의 2025 북한이해의 통치이념을 참고하여 주체사상, 선군사상, 김일성-김정일주의로 분류하여 설정하였다. 각 Class의 분류는 문장을 기준으로 하였다. | Class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온톨로지 설계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Concept로 설정하였고, sub class는 국립통일교육원의 2025 북한이해의 통치이념을 참고하여 주체사상, 선군사상, 김일성-김정일주의로 분류하여 설정하였다. 각 Class의 분류는 문장을 기준으로 하였다. |
2025년 6월 23일 (월) 11:13 판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에 나타난 이념 분석
-『문학기본: 류학생용』(2017)을 중심으로-
저자 : 송유진 |
발행연월 : 2025.06. |
학과/전공 : 국어국문학과/한국어교육전공 |
학교 : 성균관대학교 |
연구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김일성종합대학의 유학생용 문학 교재인『문학기본: 류학생용』에 나타난 문장을 중심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조선)이 유학생을 대상으로 강조되는 이념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육(이하 조선어 교육)의 목적은 궁극적인 사회주의 혁명을 성취하고 공산주의 이념을 함양시키기 위한 수단이다.(김한근, 2023) 교재는 교육의 주체가 강조하는 교육 철학이나 교육의 목표, 교육의 내용을 반영하는 하나의 도구로써, 여러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연구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직접적으로 이념을 강조하고 남한에 대한 적대 관계를 드러내는 내용을 반영하고 있지 않는 추세이나, 의무교육에 해당하는 대학 교재에서는 여전히 조선의 의무교육이 추구하는 정치사상교양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단순히 공산주의 이념에서 그치지 않고 그보다 더 구체적인 이념을 확인하는 일은 통일 이후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현재 북한에서 교육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이념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유학생용 문학 교재인『문학기본: 류학생용』을 통해 조선이 유학생을 대상으로 어떠한 이념을 강조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문학기본: 류학생용』(2017)의 내용을 문서화하였다. 그리고 이념이 드러난 문장을 기준으로 하여 Excel에 장, 절, 문단, 문장으로 시트를 분류하여 이념이 드러난 부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그 후, source와 target을 설정하고 문장 내에서 문맥을 고려하여 이념을 드러내는 단어쌍들 혹은 단어쌍을 추출하였고 이렇게 하여 추출된 단어쌍은 총 294개였다. 단어쌍을 추출한 뒤 어떠한 이념에 해당하는지 구분하였다.
Class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온톨로지 설계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Concept로 설정하였고, sub class는 국립통일교육원의 2025 북한이해의 통치이념을 참고하여 주체사상, 선군사상, 김일성-김정일주의로 분류하여 설정하였다. 각 Class의 분류는 문장을 기준으로 하였다.
1980년 제6차 당대회에서 당의 '유일적 지도 사상'으로 규정됐다는 것을 고려하여 유일 지도 사상과 관련된 내용은 주체사상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국립통일교육원(2025)은 선군사상을 이처럼 군을 앞세워 혁명과 건설을 실현하고 체제를 유지해 나가는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고 정의하였는데, 본 연구도 이를 반영하여 이에 해당하는 내용을 선군사상으로 분류하였다. 북한이 김일성-김정일 주의를 통치 논리로 구현하는 실천담론으로서 '김정일 애국주의'를 제시했다는 것을 고려하여 이와 관련된 내용을 김일성-김정일 주의로 분류하였다.
시맨틱 DB 온톨로지 설계
본 연구의 온톨로지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에서 제정한 EKC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Class
Class | Sub Class | Description |
---|---|---|
Concept | 주체사상 | 북한의 모든 분야를 규정하고 지배하고 있는 이념체계 |
Concept | 선군사상 | 군사력 강화를 최우선을 목표로 군을 전면에 내세워 혁명과 건설의 어려운 난국을 타개해 나가는 통치 사상 |
Concept | 김일성-김정일 주의 |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실현하기 위한 혁명 사상, 사회변혁을 위한 구성 체계와 내용을 포함하는 동시에 사회 변혁의 주체인 인민대중의 이익을 옹호하기 위한 지도 방법을 내포 |
Relation
Data
데이터 보러가기 |
Semantic Data Network Graph
Semantic Storytelling
참고문헌
- 김병기(2021).남북한 교육 분야 법・제도의 통합 試論. 행정법연구. 행정법이론실무학회. 66.137-173
- 김한근(2023), 북한에서의 외국어로서 조선어 교육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국립통일교육원(2025). 2025 북한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