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SKKU2025:Min-Story"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Episode 2 Korean Narrative:)
10번째 줄: 10번째 줄:
 
===Episode 1 Korean Narrative:===
 
===Episode 1 Korean Narrative:===
 
1968년 {{형광펜|[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8564한국브리태니커회사 한국브리태니커회사]}}를 설립한 {{형광펜|[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265739.html한창기 한창기]}}(1936-1997)는 1976년 잡지 {{형광펜|[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330뿌리깊은나무 «뿌리깊은 나무»]}}를 창간한다. 당시 출판계 및 지식인 사회에서 마당발<ref>[https://www.changbi.com/BookDetail?bookid=1629 강운구 외, 『특집! 한창기』 30권, 창비, 2008, 135쪽.]</ref>로 유명했던 그가 구축한 필진 네트워크의 중심은 단연 {{형광펜|[https://www.snu.ac.kr/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였다. 1961년 서울대 법학과에 입학한 한창기는 한국브리태니커회사 직원이자 «뿌리깊은 나무»의 2대 편집장을 맡게 될 김형윤(1946-)을 비롯해 {{형광펜|[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731«문학과지성» «문학과지성»]}}의 창간인이자 당대의 유력한 비평가였던 {{형광펜|[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1035김현 김현]}}(1942-1990), 작가 {{형광펜|[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310이청준 이청준]}}(1939-2008), 사회학자 {{형광펜|[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2049801한완상 한완상]}}(1936-), 영화감독 {{형광펜|[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8552하길종 하길종]}}(1941-1979), 화가 {{형광펜|윤명로}}(1936-) 등 60, 61학번의 서울대 동문들을 위시로 한 필진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들 대부분은 «뿌리깊은 나무»의 고정 필진에 가깝게 활동하며 잡지의 중심에서 담론 형성을 주도해나가게 된다.
 
1968년 {{형광펜|[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8564한국브리태니커회사 한국브리태니커회사]}}를 설립한 {{형광펜|[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265739.html한창기 한창기]}}(1936-1997)는 1976년 잡지 {{형광펜|[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330뿌리깊은나무 «뿌리깊은 나무»]}}를 창간한다. 당시 출판계 및 지식인 사회에서 마당발<ref>[https://www.changbi.com/BookDetail?bookid=1629 강운구 외, 『특집! 한창기』 30권, 창비, 2008, 135쪽.]</ref>로 유명했던 그가 구축한 필진 네트워크의 중심은 단연 {{형광펜|[https://www.snu.ac.kr/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였다. 1961년 서울대 법학과에 입학한 한창기는 한국브리태니커회사 직원이자 «뿌리깊은 나무»의 2대 편집장을 맡게 될 김형윤(1946-)을 비롯해 {{형광펜|[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731«문학과지성» «문학과지성»]}}의 창간인이자 당대의 유력한 비평가였던 {{형광펜|[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1035김현 김현]}}(1942-1990), 작가 {{형광펜|[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310이청준 이청준]}}(1939-2008), 사회학자 {{형광펜|[https://store.kyobobook.co.kr/person/detail/1002049801한완상 한완상]}}(1936-), 영화감독 {{형광펜|[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8552하길종 하길종]}}(1941-1979), 화가 {{형광펜|윤명로}}(1936-) 등 60, 61학번의 서울대 동문들을 위시로 한 필진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들 대부분은 «뿌리깊은 나무»의 고정 필진에 가깝게 활동하며 잡지의 중심에서 담론 형성을 주도해나가게 된다.
 +
  
 
=='''에피소드 2: 서울대 출신 필진들의 글과 그 경향'''==
 
=='''에피소드 2: 서울대 출신 필진들의 글과 그 경향'''==
19번째 줄: 20번째 줄:
 
한편 {{형광펜|김형윤}} 등에 의해 주도된 {{형광펜|숨어사는 외톨박이}} 코너는 르포 시리즈로서 꾸준히 연재되었으며, 근대화와 민족 문화 개발이라는 국가 시책에서 소외된 이들을 재현<ref>[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72028 서은주, 「소외의 재현: 『뿌리깊은 나무』의 「숨어사는 외톨박이」 시리즈를 중심으로」, 『구보학보』 26, 구보학회, 2020.]</ref>해내고 있었다. 직접적인 현실 참여 및 비판 의식이 드러나는 비평과는 달리 은유와 전시로 작동하는 재현의 정치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형광펜|이청준}}의 {{형광펜|서편제}} 등 서울대 출신 작가들의 소설들 역시 이러한 흐름에 일조하고 있었다.
 
한편 {{형광펜|김형윤}} 등에 의해 주도된 {{형광펜|숨어사는 외톨박이}} 코너는 르포 시리즈로서 꾸준히 연재되었으며, 근대화와 민족 문화 개발이라는 국가 시책에서 소외된 이들을 재현<ref>[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72028 서은주, 「소외의 재현: 『뿌리깊은 나무』의 「숨어사는 외톨박이」 시리즈를 중심으로」, 『구보학보』 26, 구보학회, 2020.]</ref>해내고 있었다. 직접적인 현실 참여 및 비판 의식이 드러나는 비평과는 달리 은유와 전시로 작동하는 재현의 정치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형광펜|이청준}}의 {{형광펜|서편제}} 등 서울대 출신 작가들의 소설들 역시 이러한 흐름에 일조하고 있었다.
 
   
 
   
 +
 +
=='''에피소드 3: '비평가' 하길종의 영화와 문지와의 거리'''==
 +
 +
{{StoryGraph | db =Class2024 | project =skku2025Min | title =SKKU2025:Min-Ep03 }}
 +
 +
===Episode 3 Korean Narrative:===
 +
 +
 +
 +
=='''에피소드 4: 비서울대 출신 필진들의 글과 한창기'''==
 +
 +
{{StoryGraph | db =Class2024 | project =skku2025Min | title =SKKU2025:Min-Ep04 }}
 +
 +
===Episode 4 Korean Narrative:===
 +
 +
 +
 +
=='''에피소드 5: 윤명로와 예용해의 활동 시기 차이'''==
 +
 +
{{StoryGraph | db =Class2024 | project =skku2025Min | title =SKKU2025:Min-Ep05 }}
 +
 +
===Episode 5 Korean Narrative:===
 +
 +
 
[[분류:SKKU:김경민]] [[분류:SKKU2025 김경민의 디지털큐레이션]] [[분류:SKKU 2025-1 디지털한국어문학연구방법론2]]
 
[[분류:SKKU:김경민]] [[분류:SKKU2025 김경민의 디지털큐레이션]] [[분류:SKKU 2025-1 디지털한국어문학연구방법론2]]

2025년 6월 21일 (토) 21:50 판

스토리라인: «뿌리깊은 나무» 주요 필진 네트워크와 글의 경향성



Storyline Narrative

에피소드 1: 서울대 네트워크의 구축



Episode 1 Korean Narrative:

1968년 한국브리태니커회사를 설립한 한창기(1936-1997)는 1976년 잡지 «뿌리깊은 나무»를 창간한다. 당시 출판계 및 지식인 사회에서 마당발[1]로 유명했던 그가 구축한 필진 네트워크의 중심은 단연 서울대학교였다. 1961년 서울대 법학과에 입학한 한창기는 한국브리태니커회사 직원이자 «뿌리깊은 나무»의 2대 편집장을 맡게 될 김형윤(1946-)을 비롯해 «문학과지성»의 창간인이자 당대의 유력한 비평가였던 김현(1942-1990), 작가 이청준(1939-2008), 사회학자 한완상(1936-), 영화감독 하길종(1941-1979), 화가 윤명로(1936-) 등 60, 61학번의 서울대 동문들을 위시로 한 필진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들 대부분은 «뿌리깊은 나무»의 고정 필진에 가깝게 활동하며 잡지의 중심에서 담론 형성을 주도해나가게 된다.


에피소드 2: 서울대 출신 필진들의 글과 그 경향



Episode 2 Korean Narrative:

서울대 출신 필진들은 «뿌리깊은 나무»에서 당대의 사회 현실과 긴밀히 호흡하는 글을 제출했다. 특히 김현환상과 현실(1977년 6월호)와 하길종더 트였으면 좋았을 숨통(1978년 2월호) 등 서울대 출신 필자들이 전개해나간 비평란의 지속적인 연재는 이 경향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창간인 한창기 역시 검은 사람과 흰 사람(1976년 9월호) 등으로 비평에 참여했다. 한편 김형윤 등에 의해 주도된 숨어사는 외톨박이 코너는 르포 시리즈로서 꾸준히 연재되었으며, 근대화와 민족 문화 개발이라는 국가 시책에서 소외된 이들을 재현[2]해내고 있었다. 직접적인 현실 참여 및 비판 의식이 드러나는 비평과는 달리 은유와 전시로 작동하는 재현의 정치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이청준서편제 등 서울대 출신 작가들의 소설들 역시 이러한 흐름에 일조하고 있었다.


에피소드 3: '비평가' 하길종의 영화와 문지와의 거리



Episode 3 Korean Narrative:

에피소드 4: 비서울대 출신 필진들의 글과 한창기



Episode 4 Korean Narrative:

에피소드 5: 윤명로와 예용해의 활동 시기 차이



Episode 5 Korean Narr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