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ch 송태림 연구 기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Links)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내용 == | + | == 부여 무량사 연구 기획 내용 == |
− | + | '''기획의도''' |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소속 특성상 답사를 갈 일이 많다. 답사는 보통 국가유산과 관련된 장소를 방문한다. 최근 1년 간 부여 무량사에 2번 방문했지만, 여전히 어떤 유산이 있고, 어떻게 관리가 되고 있는지, 유산의 자세한 특징은 무엇인지 알 수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무량사에 속한 문화유산 중 보물의 정보 및 특징(보존처리 경위,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정리해 시각화하고자 한다. <br>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소속 특성상 답사를 갈 일이 많다. 답사는 보통 국가유산과 관련된 장소를 방문한다. 최근 1년 간 부여 무량사에 2번 방문했지만, 여전히 어떤 유산이 있고, 어떻게 관리가 되고 있는지, 유산의 자세한 특징은 무엇인지 알 수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무량사에 속한 문화유산 중 보물의 정보 및 특징(보존처리 경위,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정리해 시각화하고자 한다. <br> | ||
<br> | <br> | ||
− | + | '''일정''' | |
밑의 일정은 Knuch 2024-2 디지털유산프로젝트의 일정을 참고해서 제작하였다.<br> | 밑의 일정은 Knuch 2024-2 디지털유산프로젝트의 일정을 참고해서 제작하였다.<br>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br> | |}<br> | ||
<br> | <br> | ||
− | + | '''대략적 개요''<br> | |
− | + | '''부여 무량사의 유형문화유산''' | |
− | +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보물)''' | |
-개요 및 연혁<br> | -개요 및 연혁<br> | ||
-특징<br> | -특징<br> | ||
− | + | '''부여 무량사 석등(보물)''' | |
-개요 및 연혁<br> | -개요 및 연혁<br> | ||
-특징<br> | -특징<br> | ||
− | + | '''부여 무량사 극락전(보물)''' | |
-개요 및 연혁<br> | -개요 및 연혁<br> | ||
-특징<br> | -특징<br> | ||
− | + |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상(보물)''' | |
-개요 및 연혁<br> | -개요 및 연혁<br> | ||
-특징<br> | -특징<br> | ||
− | + | '''부여 무량사 삼전패(보물)''' | |
-개요 및 연혁<br> | -개요 및 연혁<br> | ||
-특징<br> | -특징<br> | ||
− | +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보물)''' | |
-개요 및 연혁<br> | -개요 및 연혁<br> | ||
-특징<br> | -특징<br> | ||
<br> | <br> | ||
− | + | '''대상 자원'''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B%B6%80%EC%97%AC+%EB%AC%B4%EB%9F%89%EC%82%AC&searchCondition2=&ccbaKdcd=12&ccbaAsno=01850000&ccbaCtcd=34&ccbaCpno=112340185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2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 국가유산포털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br>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B%B6%80%EC%97%AC+%EB%AC%B4%EB%9F%89%EC%82%AC&searchCondition2=&ccbaKdcd=12&ccbaAsno=01850000&ccbaCtcd=34&ccbaCpno=112340185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2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 국가유산포털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br>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B%B6%80%EC%97%AC+%EB%AC%B4%EB%9F%89%EC%82%AC&searchCondition2=&ccbaKdcd=12&ccbaAsno=02330000&ccbaCtcd=34&ccbaCpno=112340233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2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 국가유산포털 부여 무량사 석등 (扶餘 無量寺 石燈)]<br>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B%B6%80%EC%97%AC+%EB%AC%B4%EB%9F%89%EC%82%AC&searchCondition2=&ccbaKdcd=12&ccbaAsno=02330000&ccbaCtcd=34&ccbaCpno=112340233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2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 국가유산포털 부여 무량사 석등 (扶餘 無量寺 石燈)]<br> |
2024년 11월 19일 (화) 17:53 판
부여 무량사 연구 기획 내용
기획의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소속 특성상 답사를 갈 일이 많다. 답사는 보통 국가유산과 관련된 장소를 방문한다. 최근 1년 간 부여 무량사에 2번 방문했지만, 여전히 어떤 유산이 있고, 어떻게 관리가 되고 있는지, 유산의 자세한 특징은 무엇인지 알 수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무량사에 속한 문화유산 중 보물의 정보 및 특징(보존처리 경위,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정리해 시각화하고자 한다.
일정
밑의 일정은 Knuch 2024-2 디지털유산프로젝트의 일정을 참고해서 제작하였다.
날짜 | 일정 |
---|---|
10/9~10/30 | 무량사 관련 참고자료 조사 및 요약 |
10/30~11/12 | 대략적인 순서 및 목차 기획, 구성 시 필요한 자료가 있다면 추가 조사 시행 |
11/13~11/19 | 온톨로지 설계 |
11/20~11/26 |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11/27~12/03 | 데이터 구조화 및 재가공 |
12/04~12/10 | 데이터 통합 |
12/11~12/17 | 관계망 시각화 |
12/18 | 발표 |
'대략적 개요
부여 무량사의 유형문화유산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보물)
-개요 및 연혁
-특징
부여 무량사 석등(보물)
-개요 및 연혁
-특징
부여 무량사 극락전(보물)
-개요 및 연혁
-특징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상(보물)
-개요 및 연혁
-특징
부여 무량사 삼전패(보물)
-개요 및 연혁
-특징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보물)
-개요 및 연혁
-특징
대상 자원
국가유산포털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국가유산포털 부여 무량사 석등 (扶餘 無量寺 石燈)
국가유산포털 부여 무량사 극락전 (扶餘 無量寺 極樂殿)
국가유산포털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扶餘 無量寺 塑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국가유산포털 부여 무량사 삼전패 부여 무량사 삼전패 (扶餘 無量寺 三殿牌)
국가유산포털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出土 金銅佛像 一括)
11월 6일 과제
Class
인물(Actor)
장소(Place)
사건(Event)
물건(Object)
시대(Period)
재질(Material)
관리(Management)
Realtion
A는 B가 보존처리했다.
A는 B의 영향을 받았다
A는 B에 위치한다
A는 B에 속해있다
A는 B에 의해 발생했다
A는 B에서 발견되었다
A는 B에 제작되었다
A는 B로 구성되어 있다
A는 B방식으로 관리되고 있다
개체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부여 무량사 석등
부여 무량사 극락전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상
부여 무량사 삼전패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
무량사
사리구
금동제 삼존상
금동보살상
고려시대
통일신라시대
석재
목재
조선시대 중기
김시습
소조불
복장발원문
묵서
불화승
조각승
금속
불교중앙박물
샘플:20241113:항목탐색
연구 데이터
Nodes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infoUrl | iconUrl | note |
---|---|---|---|---|---|---|---|
공주_공산성 | Place | 산성 | 공주 공산성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실습:공주_공산성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mages/9/99/공주_공산성_추정_왕궁지.jpg | 김현승 | |
공주산성 | Place | 산성 | 김현승 |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 Object | 송태림 | |||||
부여 무량사 석등 | Object | 송태림 | |||||
부여 무량사 극락전 | Place | 송태림 | |||||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상 | Object | 송태림 | |||||
부여 무량사 삼전패 | Object | 송태림 |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 | Object | 송태림 | |||||
무량사 | Place | 송태림 | |||||
사리구 | Object | 송태림 | |||||
금동제 삼존 | Object | 송태림 | |||||
금동보살상 | Object | 송태림 | |||||
고려시대 | Period | 송태림 | |||||
통일신라시대 | Period | 송태림 | |||||
석재 | Material | 송태림 | |||||
목재 | Material | 송태림 | |||||
조선시대 중기 | Period | 송태림 | |||||
김시습 | Actor | 송태림 | |||||
소조불 | Material | 송태림 | |||||
복장발원문 | Object | 송태림 | |||||
묵서 | Material | 송태림 | |||||
불화승 | Actor | 송태림 | |||||
조각승 | Actor | 송태림 | |||||
금속 | Material | 송태림 |
※ 주의: URL에 특수 문자 코드 사용시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 콜론(:) 등)
※ 노드의 아이콘 이미지는 컴퓨터 내 폴더에 모아두었다가 zip 파일로 만들어 메일 보내기.
Links
source | target | relation | description |
---|---|---|---|
공주산성 | 공주_공산성 | sameAs | |
공주산성 | 공주_공산성 | A는 B가 보존처리했다 | |
부여 무량사 극락전 | 통일신라시대, 조선시대 | A는 B의 영향을 받았다 | |
부여 무량사 석등 | 무량사 | A는 B에 위치한다 | |
부여 무량사 삼전패 | 묵서 | A는 B에 속해있다 | |
공주산성 | 공주_공산성 | A는 B에 의해 발생했다 | |
사리구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 A는 B에서 발견되었다 | |
부여 무량사 삼전패 | 불화승, 조각 | A는 B에 제작되었다 |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 | 금속 | A는 B로 구성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