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KU:송유진 연구기획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서론)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서론== | ==서론== | ||
− | 연구 | + |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br/> | <br/> | ||
<br/> | <br/> | ||
− | + |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인 『조선어.5: 류학생용』에 나타난 이념적 담화를 이념 어휘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조선)이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육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념적 메시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 | <br/> 이러한 이유에서 | + | <br/>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육(이하 조선어 교육)은 외국인들에 대한 조선어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 등에 대하여 연구하는 교육학의 한 분야이다.(허철호, 2015:39) 교재는 교육의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도구로써, 조선이 조선어 교육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념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재 분석을 통해 조선이 조선어 교육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 | + | <br/>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육는 통일 이후의 한국어 교육과의 통합을 고려할 때 이루어져야 할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김한근, 2023) 조선어 교육의 목표와 목적은 ‘혁명 인재 육성’이라는 ‘주체의 사회주의 교육학’의 원칙에 따라 당 중심으로 설정된 것이며 이는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교재에 반영되었기 때문이다.(김한근, 2023) 이러한 점에서 조선어 교재에 나타난 이념 분석은 추후 한국어 교육과 조선어 교육의 통합을 고려했을 때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기초 연구라고 할 수 있다. | |
+ | <br/>이러한 이유에서 본 고는 조선어 숙달도에 따라 사상교육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고려하고 현재 『조선어』교재 중 이와 관련된 내용이 수록된 『조선어.5: 류학생용』의 담화문을 중심으로 조선어 교육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념적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
==선행 연구== | ==선행 연구== |
2025년 4월 21일 (월) 11:35 판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대화문의 이념적 담화 분석 -『조선어.5: 류학생용』 중심으로-
서론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인 『조선어.5: 류학생용』에 나타난 이념적 담화를 이념 어휘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조선)이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육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념적 메시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육(이하 조선어 교육)은 외국인들에 대한 조선어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 등에 대하여 연구하는 교육학의 한 분야이다.(허철호, 2015:39) 교재는 교육의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도구로써, 조선이 조선어 교육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념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재 분석을 통해 조선이 조선어 교육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육는 통일 이후의 한국어 교육과의 통합을 고려할 때 이루어져야 할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김한근, 2023) 조선어 교육의 목표와 목적은 ‘혁명 인재 육성’이라는 ‘주체의 사회주의 교육학’의 원칙에 따라 당 중심으로 설정된 것이며 이는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교재에 반영되었기 때문이다.(김한근, 2023) 이러한 점에서 조선어 교재에 나타난 이념 분석은 추후 한국어 교육과 조선어 교육의 통합을 고려했을 때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기초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고는 조선어 숙달도에 따라 사상교육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고려하고 현재 『조선어』교재 중 이와 관련된 내용이 수록된 『조선어.5: 류학생용』의 담화문을 중심으로 조선어 교육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념적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는 기능 통합 교재인 『조선어』의 특성을 분석한 김중섭·조현용(1996)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장 최근 이루어진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는 김형직사범대학에서 출간한 『글쓰기1, 2(류학생용)』(2013)을 중심으로 글쓰기 교재를 분석한 오현아(2023)과『조선어:류학생용』(1982)와 (2022)를 분석한 김한근(2024) 등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관련하여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연구를 위한 조선어 교재 말뭉치 구축에 관한 연구(스가이 요시노리, 조현용 외 2024)도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 내용
1.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대화문에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이념적, 사상적 어휘는 무엇이며, 이들은 어떤 어휘들과 반복적으로 등장하는가?
2. 이 어휘는 교재 담화 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며, 어떤 교육적 메시지를 전달하는가?
연구 데이터
- 데이터 목록(Core)
사회주의와 관련하여 사회주의, 인민, 혁명의 빈도가 높을 것이며 주체 사상과 관련하여 주체 사상, 사상 등의 어휘의 빈도가 높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 데이터 수집 과정(검색 조건 등)
교재 분석
- 데이터 범위(크기)
교재 한 권 내 대화문 담화 분석
- 실제 연구 데이터 파일 첨부
참고 문헌
- 김한근, 조선의 외국어로서 조선어 교재 비교 분석 및 학문적 의의-『조선어:류학생용』(1982)와 (2022)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한말연구학회, 2024.
- 스가이 요시노리, 조현용,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연구를 위한 조선어 교재 말뭉치 구축에 관한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4.
- 오현아, 이북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글쓰기 교재 분석 - 김형직사범대학 출간 『글쓰기1, 2(류학생용)』(2013)을 중심으로, 한말연구, 한말연구학회, 2023
- 김한근, 북한에서의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