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SKKU:송유진 연구기획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참고 문헌)
(선행 연구)
21번째 줄: 21번째 줄:
 
<br/>
 
<br/>
 
<br/>
 
<br/>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는 기능 통합 교재인 『조선어』의 특성을 분석한 김중섭·조현용(1996)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장 최근 이루어진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는 『조선어:류학생용』(1982)와 (2022)를 분석한 김한근(2024)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연구를 위한 조선어 교재 말뭉치 구축에 관한 연구(스가이 요시노리, 조현용 외 2024)등이 있다.
+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는 기능 통합 교재인 『조선어』의 특성을 분석한 김중섭·조현용(1996)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장 최근 이루어진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는 김형직사범대학 출간 『글쓰기1, 2(류학생용)』(2013)을 중심으로 글쓰기 교재를 분석한 오현아(2023)과『조선어:류학생용』(1982)와 (2022)를 분석한 김한근(2024) 등이 있다.또한 이와 관련하여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연구를 위한 조선어 교재 말뭉치 구축에 관한 연구(스가이 요시노리, 조현용 외 2024)등이 있다.
  
 
==연구 내용==
 
==연구 내용==

2025년 4월 19일 (토) 23:25 판

수업 : 디지털한국어문학연구방법론2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대화문의 이념적 담화 분석 -『조선어.3: 류학생용』 중심으로-


이름
송유진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25.04.21.



서론

연구 배경 및 목적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연구는 통일 후 이루어질 한국어 교육과의 통합을 고려 했을 때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또한 통일의 관점을 배제하더라도 동일 언어를 사용한다는 민족적 관점에서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육 연구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김한근, 2023) 


이러한 이유에서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의 대화문을 분석하고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육에 반영된 이념적 요소와 사상적 메시지를 확인하여 언어 교육의 이면에 담긴 사회적·이념적 목적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재 내에서 높은 빈도로 사용되는 이념어와 사상적 키워드를 분석하고 주요 키워드 간의 시맨틱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에 반영된 이념적·사상적 메시지를 확인할 것이다.

선행 연구

선행 연구 내용, 연구 대상은 무엇이었는지, 유사한 방법론 등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는 기능 통합 교재인 『조선어』의 특성을 분석한 김중섭·조현용(1996)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장 최근 이루어진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는 김형직사범대학 출간 『글쓰기1, 2(류학생용)』(2013)을 중심으로 글쓰기 교재를 분석한 오현아(2023)과『조선어:류학생용』(1982)와 (2022)를 분석한 김한근(2024) 등이 있다.또한 이와 관련하여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연구를 위한 조선어 교재 말뭉치 구축에 관한 연구(스가이 요시노리, 조현용 외 2024)등이 있다.

연구 내용

연구 질문(Research Questions) 및 가설

1.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대화문에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이념적 키워드는 무엇이며, 이들은 어떤 키워드들과 반복적으로 등장하는가?
2. 이 키워드는 교재 담화 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며, 어떤 교육적 메시지를 전달하는가?

연구 데이터

  • 데이터 목록(Core)


이념어: 조국, 수령, 혁명 집단주의 관련 어휘: 단결, 동지

  • 데이터 선택의 이유: 북한의 이념적, 사회적 특성을 잘 드러내는 어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심 키워드는 교재를 분석해서 가장 빈도수가 높은 어휘로 설정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함.

  • 데이터 수집 과정(검색 조건 등)

교재 분석

  • 데이터 범위(크기)

교재 내 대화문 담화 분석

  • 실제 연구 데이터 파일 첨부



참고 문헌



  1. 김한근, 북한의 계승어로서 조선어 교재의 특징과 의의-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4
  2. 김한근, 조선의 외국어로서 조선어 교재 비교 분석 및 학문적 의의-『조선어:류학생용』(1982)와 (2022)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한말연구학회, 2024.
  3. 스가이 요시노리, 조현용,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연구를 위한 조선어 교재 말뭉치 구축에 관한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4.
  4. 김한근, 북한에서의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