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KU:박건후 연구기획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연구 데이터) |
(→연구 데이터)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연구 데이터== | ==연구 데이터== | ||
*데이터 목록(Core) | *데이터 목록(Core) | ||
− | ** | + | **위키문헌의 '저자:이상' 항목에 있는 텍스트들<ref>(이상 텍스트를 온라인 상에서 가장 빠르고 편리하게 복사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음. 그러나 텍스트의 오류나 누락된 텍스트가 있을 가능성을 감안해, 아래 저서를 보충 자료로 이용함.)</ref> |
**이상문학대사전(권영민 저, 문학사상, 2017.) | **이상문학대사전(권영민 저, 문학사상, 2017.) | ||
2025년 4월 19일 (토) 21:45 판
서론
연구 배경 및 목적
이상(李箱)의 문학은 주로 식민지기 도시 공간을 배경으로 삼아, 근대적 주체의 내면 분열, 신체 감각, 그리고 도시 경험을 실험적 언어로 형상화해왔다. 그의 작품에는 '방', '다방', '병원', '거리', '기차역' 등 다양한 물리적 공간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이는 단순히 공간적 배경으로 작용하는 것을 넘어 정동을 촉발하는 주요 기제로 작동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상 문학 속 물리적 공간이 어떻게 '정동(affect)'을 생성하고, 인물의 신체 감각과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양상을 규명하고 이를 온톨로지 분석을 통해 구조화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를 네트워크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고, 그 중 일부가 특정한 실제 도시 공간(경성)을 지목하는 경우, 이를 실제 지도 위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시각화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근대 문학 속 물리적 공간의 정동적 의미를 양적 연구의 방법론으로 체계화하고,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의 새로운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
선행 연구 내용, 연구 대상은 무엇이었는지, 유사한 방법론 등
연구 내용
연구 질문(Research Questions) 및 가설
1. 이상의 문학 텍스트에서 특정한 물리적 공간은 어떤 정동을 어떻게 유발하며, 이는 어떤 신체 및 감각적 반응으로 표현되는가?
2. 동일 작가의 텍스트 내에서 '완전히 다른 종류의 공간 유형(도시/시골)'에서의 정동은 어떻게 대비적으로 묘사되는가?
3. 특정 정동을 어떤 기준으로 정리 및 체계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것을 양적으로 리스트화할 수 있는가?
4. 물리적 공간에서의 정동 규명은 '근대 식민지 지식인이자 도시인'이라는 역사적 조건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가?
연구 데이터
- 데이터 목록(Core)
- 위키문헌의 '저자:이상' 항목에 있는 텍스트들[1]
- 이상문학대사전(권영민 저, 문학사상, 2017.)
- 데이터 선택의 이유
- 데이터 수집 과정(검색 조건 등)
- 데이터 범위(크기)
- 실제 연구 데이터 파일 첨부
참고 문헌
- 이동 ↑ (이상 텍스트를 온라인 상에서 가장 빠르고 편리하게 복사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음. 그러나 텍스트의 오류나 누락된 텍스트가 있을 가능성을 감안해, 아래 저서를 보충 자료로 이용함.)
- 권영민, 이상문학대사전, 문학사상, 2017.
- 이름, 문서명, 책명, 출판사, 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