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송태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연구 목적)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div style="text-align:right;"><big>[[Knuch:송태림 | 보존과학과 송태림]] </big></div> | <div style="text-align:right;"><big>[[Knuch:송태림 | 보존과학과 송태림]] </big></div> | ||
− | ==연구 목적== | + | ==연구 목적== |
목적: 지식탐구, 습득한 지식 내용 시각화<br> | 목적: 지식탐구, 습득한 지식 내용 시각화<br> | ||
복식 보존처리는 고학년 혹은 석사학위를 취득할 때 배우는 경우가 많다. 평소 옛날 장신구 혹은 복식에 관해 관심이 있지만, 2학년이기 때문에 관련 수업을 듣는 데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흥미가 식는 걸 방지하기 위해, 청송심씨 묘 출토 복식유물 보존처리 과정 및 방법을 알아보고 관련 지식을 탐구하고자 한다, 보존처리 이외에도 옷의 제작 기법과 재질별 특성을 조사하고, 시멘틱 데이터 관리기와 위키문서를 통해 지식을 총망라, 시각화하고자 한다. | 복식 보존처리는 고학년 혹은 석사학위를 취득할 때 배우는 경우가 많다. 평소 옛날 장신구 혹은 복식에 관해 관심이 있지만, 2학년이기 때문에 관련 수업을 듣는 데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흥미가 식는 걸 방지하기 위해, 청송심씨 묘 출토 복식유물 보존처리 과정 및 방법을 알아보고 관련 지식을 탐구하고자 한다, 보존처리 이외에도 옷의 제작 기법과 재질별 특성을 조사하고, 시멘틱 데이터 관리기와 위키문서를 통해 지식을 총망라, 시각화하고자 한다. |
2024년 12월 14일 (토) 15:36 판
목차
연구 목적
목적: 지식탐구, 습득한 지식 내용 시각화
복식 보존처리는 고학년 혹은 석사학위를 취득할 때 배우는 경우가 많다. 평소 옛날 장신구 혹은 복식에 관해 관심이 있지만, 2학년이기 때문에 관련 수업을 듣는 데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흥미가 식는 걸 방지하기 위해, 청송심씨 묘 출토 복식유물 보존처리 과정 및 방법을 알아보고 관련 지식을 탐구하고자 한다, 보존처리 이외에도 옷의 제작 기법과 재질별 특성을 조사하고, 시멘틱 데이터 관리기와 위키문서를 통해 지식을 총망라, 시각화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내용
연구 방법
내용
연구 추진 공정표
내용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획 및 주제 선택 | ||||||||
개체 탐색, 온톨로지 설계 | ||||||||
데이터 수집 및 핵심항목, 문맥항목 선정 | ||||||||
데이터베이스 구축 | ||||||||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 |
연구 결과
온톨로지
Class
Class | Sub Class | Description |
---|---|---|
Time | 시간과 관계된 모든 단어 | |
Actor | 인물과 관계된 모든 단어 | |
Place | 장소와 관련된 모든 단어 | |
Record | 논문, 기록과 관련된 모든 단어 | |
Concept | 기법, 개념 등 일반인에게 생소한 단어 | |
Clothing | 복식 유물 | |
Object | 보존처리에 사용된 도구 등 문화유산을 제외한 사물 | |
Material | 재질 | |
Substance | 화학물질, 화학반응과 관련된 모든 단어 | |
Situation | 상황, 출토된 유물의 상황 혹은 출토 유물의 오염 상태를 나타냄 |
Relation
Relation | Domain | Range | Description | sample |
---|---|---|---|---|
A에_B가_발간되었다 | Time | Record | 2015 - 논문 | |
A는_B와_부부이다 | Actor | Actor | 민명혁 - 청송심씨 | |
A에서_B를_보존처리했다 | Place | Place | 인천대학교_한국문화_컨텐츠실 | |
A는_B에_속한다 | Process | Process | 1차_세척 - 건식세척 | |
A는_B에_속한다 | Record | Record | 제천출토_청송심씨_출토유물의_보존처리(2015) - 논문 | |
A는_B에_속한다 | Clothing | Clothing | No1_겉저고리 - No1_겉저고리 | |
A는_B에_속한다 | Material | Clothing | 겉감_추사 - No2_겉저고리 | |
A는_B에_속한다 | Material | Substance | 오리나무_열매와_황철나무 - 매염제 | |
A는_B와_관련되었다 | Concept | Concept | 직물 - 직물_문화유산 | |
A는_B와_관련되었다 | Actor | Place | 청송심씨 - 청송심씨_묘 | |
A는_B와_관련되었다 | Concept | Place | 직물_문화유산 - 청송심씨_묘 | |
A는_B와_관련되었다 | Clothing | Place | 청송심씨_묘_출토유물 - 청송심씨_묘 | |
A는_B와_관련되었다 | Record | Clothing | 제천출토_청송심씨_출토유물의_보존처리(2015) - 청송심씨_묘_출토유물 | |
A는_B에_위치한다 | Place | Place | 청송심씨_묘 - 충청북도_제천시_백운면_원월리산_39-3번지 | |
A로_B를_알_수_있다 | Clothing | Time | 청송심씨_묘_출토유물 - 18세기_말_19세기_초_복식 | |
A로_B를_알_수_있다 | Object | Process | 현미경 - 보존처리_전후_상태비교 | |
A로_B를_알_수_있다 | Object | Concept | 현미경 - 오염정도 | |
A는_B의_보존처리_과정이다 | Process | Record | 건식세척- 제천출토_청송심씨_출토유물의_보존처리(2015) | |
A는_B의_보존처리_과정이다 | Process | Concept | 처리_전_조사_및_분석 - 직물_문화유산 | |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 Clothing | Place | 청송심씨_묘_출토유물 - 청송심씨_묘 | |
A는_B의_판단기준이다 | Concept | Process | 오염정도 - 보존처리_전후_상태비교 | |
A는_B의_검사결과이다 | Process | Object | 색차_변화율 - 색차기 | |
A는_B와_포개져있었다 | Clothing | Clothing | No3_겉저고리 - No3_속저고리 | |
A는_B의_구성직물이다 | Material | Clothing | 공단 - 공단_겹_삼회장저고리_No1 | |
A는_B의_부분이다 | Clothing | Clothing | No2_소매 - 갈색_추사_겹_삼화장저고리_No2 | |
A는_B에서_나타난다 | Situation | Clothing | 금박의_박락현상 - 금장복식_유물_2점 | |
A는_B에_사용된_도구이다 | Object | Process | 붓과_핀셋 - 1차_세척 | |
A는_B에_사용된_도구이다 | Substance | Process | 물 - 3차_세척 | |
A는_B단계에_지운다 | Situation | Process | 일부_오염 - 클리닝_및_원형회복 | |
A는_B를_예방하기_위한_도구이다 | Object | Situation | 유물망 - 유물의_쏠림현상 | |
A는_B로_고친다 | Object | Process | 섬유의_잔주름_제거 - 스티밍 | |
A는_B가_살았던_시대이다 | Time | Actor | 조선후기 - 청송심씨 | |
A는_B이다 | Actor | Actor | 청송심씨 - 상류층_여성 | |
A는_B의_제작기법이다 | Concept | Clothing | 부금기법 - 부금원삼_No9 | |
A는_B의_일부분이다 | Clothing | Clothing | No10_치마허리_말기 - 직금치마_No10 | |
A는_B에_사용된_기법이다 | Concept | Process | 홈질 - 보강재_및_손상부_보수 |
연구 데이터
Nodes
class | count |
---|---|
Actor | 3 |
Clothing | 37 |
Concept | 9 |
Material | 12 |
Object | 18 |
Place | 4 |
Process | 39 |
Record | 3 |
Situation | 11 |
Substance | 23 |
Time | 4 |
id | class | label | infoUrl | iconUrl | |
---|---|---|---|---|---|
2015년 | Time | 시간 | 2015년 | ||
민명혁 | Actor | 인물 | 민명혁(閔命爀, 1753~1818) | ||
인천대학교_한국문화_컨텐츠실 | Place | 장소 | 인천대학교 한국문화 컨텐츠실 | ||
충청북도_제천시_백운면_원월리산_39-3번지 | Place |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원월리산 39-3번지 | |||
제천출토_청송심씨_출토유물의_보존처리(2015) | Record | 논문,기록 | 제천출토 청송심씨 출토유물의 보존처리(2015) | https://www.riss.kr/link?id=A102253051 | |
직물 | Concept | 생소한 개념 | 직물 | ||
청송_심씨 | Actor | 청송 심씨 | |||
청송심씨_묘 | Place | 청송심씨 묘 | |||
추사직물 | Concept | 추사직물 | |||
청송심씨_묘_출토유물 | Clothing | 청송심씨 묘 출토유물 | |||
직물_문화유산 | Concept | 직물 문화유산 | |||
처리_전_조사_및_분석 | Process | 보존처리 과정 | 처리 전 조사 및 분석 | ||
형태_보정 | Process | 형태 보정 | |||
세척 | Process | 세척 | |||
강화_및_보강 | Process | 강화 및 보강 | |||
처리_후_기록 | Process | 처리 후 기록 | |||
저고리_6점 | Clothing | 저고리 6점 | |||
멱목_1점 | Clothing | 멱목 1점 | |||
여모_1점 | Clothing | 여모 1점 | |||
과두_1점 | Clothing | 과두 1점 | |||
보존처리_전후_상태비교 | Process | 보존처리 전후 상태비교 | |||
오염정도 | Concept | 오염정도 | |||
현미경 | Object | 사용도구 | 현미경 | ||
색차기 | Object | 색차기 | |||
잔류_오염물의_유무 | Process | 잔류 오염물의 유무 | |||
탈색 | Process | 탈색 | |||
세척결과 | Process | 세척결과 | |||
공단_겹_삼회장저고리_No1 | Clothing | 공단 겹 삼회장저고리 No1 | https://dh.aks.ac.kr/~hyunseung/2024/knuch202/icon/공단_겹_삼화장저고리_No1.png | ||
No1_겉저고리 | Clothing | No1 겉저고리 | |||
No1_중간저고리 | Clothing | No1 중간저고리 | |||
공단 | Material | 공단 | |||
No1_속저고리 | Clothing | No1 속저고리 | |||
명주 | Material | 소재 | 명주 | ||
No1_소매 | Clothing | No1 소매 | |||
흰색_덩어리_오염물 | Substance | 화학반응과 관련 | 흰색 덩어리 오염물 | ||
갈색_추사_겹_삼화장저고리_No2 | Clothing | 갈색 추사 겹 삼화장저고리 No2 | https://dh.aks.ac.kr/~hyunseung/2024/knuch202/icon/갈색_추사_겹_삼화장저고리_No2.png | ||
No2_겉저고리 | Clothing | No2 겉저고리 | |||
겉감_추사 | Material | 겉감 추사 | |||
안감_명주 | Material | 안감 명주 | |||
No2_소매 | Clothing | No2 소매 | |||
여지문단_겹_삼회장저고리_No3 | Clothing | 여지문단 겹 삼회장저고리 No3 | https://dh.aks.ac.kr/~hyunseung/2024/knuch202/icon/여지문단_겹_삼화장저고리_No3.png | ||
No3_겉저고리 | Clothing | No3 겉저고리 | |||
문단 | Material | 문단 | |||
No3_속저고리 | Clothing | No3 속저고리 | |||
No3_소매 | Clothing | No3 소매 | |||
노란색_고형물 | Substance | 노란색 고형물 | |||
No3_곁마기 | Clothing | No3 곁마기 | |||
갈색_추사_겹_민저고리_No4 | Clothing | 갈색 추사 겹 민저고리 No4 | https://dh.aks.ac.kr/~hyunseung/2024/knuch202/icon/갈색_추사_겹_민저고리_No4.png | ||
No4_겉저고리 | Clothing | No4 겉저고리 | |||
추사 | Material | 추사 | |||
No4_속저고리 | Clothing | No4 속저고리 | |||
No4_길과_소매 | Clothing | No4 길과 소매 | |||
항라_겹_삼회장저고리_No5 | Clothing | 항라 겹 삼회장저고리 No5 | https://dh.aks.ac.kr/~hyunseung/2024/knuch202/icon/항라_겹_삼회장저고리_No5.png | ||
No5_겉저고리 | Clothing | No5 겉저고리 | |||
항라 | Material | 항라 | |||
No5_속저고리 | Clothing | No5 속저고리 | |||
멱목_No6 | Clothing | 멱목 No6 | https://dh.aks.ac.kr/~hyunseung/2024/knuch202/icon/멱목_No6.png | ||
여모_No6 | Clothing | 여모 No6 | https://dh.aks.ac.kr/~hyunseung/2024/knuch202/icon/여모_No6.png | ||
일부_유실 | Situation | 일부 유실 | |||
삼회장저고리_No7 | Clothing | 삼회장저고리 No7 | https://dh.aks.ac.kr/~hyunseung/2024/knuch202/icon/삼회장저고리_No7.png | ||
No7_겉저고리 | Clothing | No7 겉저고리 | |||
능직물 | Material | 능직물 | |||
No7_속저고리 | Clothing | No7 속저고리 | |||
명주겹_과두_No8 | Clothing | 명주겹 과두 No8 | https://dh.aks.ac.kr/~hyunseung/2024/knuch202/icon/명주겹_과두_No8.png | ||
일부_오염 | Situation | 상황 | 일부 오염 | ||
건식세척 | Process | 건식세척 | |||
1차_세척 | Process | 1차 세척 | |||
2차_세척 | Process | 2차 세척 | |||
펌프 | Object | 펌프 | |||
오염부위 | Situation | 오염부위 | |||
세액 | Substance | 세액 | |||
유기용매 | Substance | 유기용매 | |||
노멀_헥산 | Substance | 노멀 헥산 | |||
유물의_쏠림현상 | Situation | 유물의 쏠림현상 | |||
유물망 | Object | 유물망 | |||
습식세척 | Process | 습식세척 | |||
3차_세척 | Process | 3차 세척 | |||
물 | Substance | 물 | |||
형태복원 | Process | 형태복원 | |||
자연건조 | Process | 자연건조 | |||
스티밍 | Process | 스티밍 | |||
섬유의_잔주름_제거 | Process | 섬유의 잔주름 제거 | |||
구김_및_광택_복원 | Process | 구김 및 광택 복원 | |||
한지 | Material | 한지 | |||
증류수_분무 | Process | 증류수 분무 | |||
붓과_핀셋 | Object | 붓과 핀셋 | |||
원위치_조정 | Process | 원위치 조정 | |||
건조 | Process | 건조 | |||
마무리 | Process | 마무리 | |||
보존처리_이후 | Process | 보존처리 이후 | |||
색차_변화율 | Process | 색차 변화율 | |||
논문 | Record | 논문 | |||
2023년 | Time | 2023년 | |||
충북대학교박물관 | Place | 충북대학교박물관 | |||
청송심씨_묘_출토_금장복식_보존처리에_관한_연구_부금원삼_및_직금치마_중심으로(2023) | Record | 청송심씨 묘 출토 금장복식 보존처리에 관한 연구 부금원삼 및 직금치마 중심으로(2023) | https://www.riss.kr/link?id=A108791188 | ||
조선후기 | Time | 조선후기 | |||
상류층_여성 | Actor | 상류층 여성 | |||
부금기법 | Concept | 부금기법 | |||
직금기법 | Concept | 직금기법 | |||
금장복식_유물_2점 | Clothing | 금장복식 유물 2점 | |||
금박의_박락현상 | Situation | 금박의 박락현상 | |||
파손 | Situation | 파손 | |||
오염 | Situation | 오염 | |||
원형_유지 | Situation | 원형 유지 | |||
처리_전_조사 | Process | 처리 전 조사 | |||
SEM | Object | SEM | |||
FT_IR | Object | FT IR | |||
정색반응 | Object | 정색반응 | |||
XRF | Object | XRF | |||
부금원삼_No9 | Clothing | 부금원삼 No9 | https://dh.aks.ac.kr/~hyunseung/2024/knuch202/icon/부금원삼_No9.png | ||
No9_깃_고대_부분 | Clothing | No9 깃 고대 부분 | |||
갈변 | Substance | 갈변 | |||
충해 | Situation | 충해 | |||
흰색과_검은색_오염물 | Substance | 흰색과 검은색 오염물 | |||
직금치마_No10 | Clothing | 직금치마 No10 | https://dh.aks.ac.kr/~hyunseung/2024/knuch202/icon/직금치마_No10.png | ||
No10_치마허리_말기 | Clothing | No10 치마허리 말기 | |||
찢김 | Situation | 찢김 | |||
No10_허리끈 | Clothing | No10 허리끈 | |||
구김 | Situation | 구김 | |||
보존처리_전_강화처리 | Process | 보존처리 전 강화처리 | |||
건식클리닝 | Process | 건식클리닝 | |||
분무클리닝 | Process | 분무클리닝 | |||
면봉과_붓 | Object | 면봉과 붓 | |||
n_decane | Substance | n decane | |||
유기용제 | Substance | 유기용제 | |||
증류수 | Substance | 증류수 | |||
강화처리 | Process | 강화처리 | |||
10%_우교 | Substance | 10% 우교 | |||
2%로_희석 | Substance | 2%로 희석 | |||
2회_도포 | Process | 2회 도포 | |||
클리닝_및_원형회복 | Process | 클리닝 및 원형회복 | |||
핀셋 | Object | 핀셋 | |||
진공청소기 | Object | 진공청소기 | |||
분사식_습식클리닝 | Process | 분사식 습식클리닝 | |||
분무기 | Object | 분무기 | |||
습식클리닝 | Process | 습식클리닝 | |||
측백나무_추출_천연_세척액 | Substance | 측백나무 추출 천연 세척액 | |||
천연계면활성제 | Substance | 천연계면활성제 | |||
측백_나뭇잎_분말 | Substance | 측백 나뭇잎 분말 | |||
증류수_70%_메탄올_및_에탄올_70%_용매 | Substance | 증류수 70% 메탄올 및 에탄올 70% 용매 | |||
측백_추출액 | Substance | 측백 추출액 | |||
오일 | Substance | 오일 | |||
손다림질 | Process | 손다림질 | |||
흡수포 | Object | 흡수포 | |||
유리문진 | Object | 유리문진 | |||
보강재_및_손상부_보수 | Process | 보강재 및 손상부 보수 | |||
보강직물 | Material | 보강직물 | |||
실과_바늘 | Object | 실과 바늘 | |||
크레플린_정련 | Material | 크레플린 정련 | |||
오리나무_열매와_황철나무 | Material | 오리나무 열매와 황철나무 | |||
염색 | Process | 염색 | |||
매염제 | Substance | 매염제 | |||
황산칼륨 | Substance | 황산칼륨 | |||
우교_2% | Substance | 우교 2% | |||
홈질 | Concept | 홈질 | |||
공그르기 | Concept | 공그르기 | |||
장금수_기법 | Concept | 장금수 기법 | |||
보수처리_후_조사 | Process | 보수처리 후 조사 | |||
유물_포장_및_보관 | Process | 유물 포장 및 보관 | |||
중성지 | Substance | 중성지 | |||
완충재_솜포 | Object | 완충재 솜포 | |||
오동나무_상자 | Object | 오동나무 상자 | |||
18세기_말_19세기_초_복식 | Time | 18세기 말 19세기 초 복식 | |||
충청북도_청주시_흥덕구_산남동산_22-30번지 | Place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산남동산 22-30번지 | |||
김원택 | Actor | 김원택(金元澤, 1683∼1766) | |||
청송_심씨1 | Actor | 청송 심씨1 | |||
청송_심씨2 | Actor | 청송 심씨2 |
Links
Relation | count |
---|---|
A에_B가_발간되었다 | 2 |
A는_B와_부부이다 | 2 |
A에서_B를_보존처리했다 | 2 |
A는_B에_속한다 | 37 |
A는_B와_관련되었다 | 5 |
A는_B에_위치한다 | 2 |
A로_B를_알_수_있다 | 7 |
A는_B의_보존처리_과정이다 | 16 |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 5 |
A는_B의_판단기준이다 | 2 |
A는_B의_검사결과이다 | 2 |
A는_B와_포개져있었다 | 12 |
A는_B의_구성직물이다 | 13 |
A는_B의_부분이다 | 5 |
A는_B에서_나타난다 | 23 |
A는_B에_사용된_도구이다 | 36 |
A는_B단계에_지운다 | 1 |
A는_B를_예방하기_위한_도구이다 | 1 |
A는_B로_고친다 | 3 |
A는_B가_살았던_시대이다 | 1 |
A는_B이다 | 2 |
A는_B의_제작기법이다 | 2 |
A는_B의_일부분이다 | 3 |
A는_B에_사용된_기법이다 | 3 |
Semantic Network Graph
Digital Curation
Timeline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