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ch2024-2:TeamC 기말 발표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Digital Curation 1 : 주제) |
(→가야금산조 : 가야금 산조를 알아보자) |
||
824번째 줄: | 824번째 줄: | ||
{{StoryGraph | db=knuch2024 | project=afternoon2024 | title=가야금산조 }} | {{StoryGraph | db=knuch2024 | project=afternoon2024 | title=가야금산조 }} | ||
<br/> | <br/> | ||
+ | 옛날 옛적, 한국의 음악 세계에는 특별한 악기, 거문고가 있었습니다. 거문고는 국악기 중에서도 향부악기와 현악기에 속하며, 국악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습니다. | ||
+ | |||
+ | 거문고는 다양한 형태로 연주되었습니다. 거문고병창은 이 악기로 연주되는 병창의 한 종류로, 판소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거문고산조 또한 이 악기로 연주되었으며, 산조라는 독특한 국악 장르에 속했습니다. 특히, 거문고산조는 엇모리장단을 사용하여 그 특유의 리듬과 정서를 표현했습니다. | ||
+ | |||
+ | 악보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거문고정악보는 이 악기의 연주를 기록한 귀중한 문서였습니다. 이러한 기록들은 악학궤범과 같은 문헌에 의해 향부악기로 구분되기도 했습니다. | ||
+ | |||
+ | 거문고의 선율은 정대업과 같은 곡에서도 활용되었습니다. 정대업은 거문고를 통해 연주될 때, 그 아름다움과 깊이를 더했습니다. | ||
+ | |||
+ | 이렇듯, 거문고는 국악의 다양한 분야와 깊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그 멜로디는 옛날부터 오늘날까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습니다. 국악기의 하위 분류인 향부악기와 현악기로서의 역할을 넘어서, 거문고는 한국 음악의 중요한 유산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
+ | |||
+ | 이 이야기는 단순히 하나의 악기에 대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세대를 이어온 전통과 그 안에서 피어난 다양한 음악적 형태에 대한 찬사이기도 합니다. 거문고를 통해 우리는 국악의 풍부한 세계를 다시금 느낄 수 있습니다. | ||
+ | |||
<br/> | <br/> | ||
2024년 12월 11일 (수) 14:01 판
연구 목적
내용
연구 내용
내용
연구 방법
내용
온톨로지 설계
Class
Class | Sub Class | Description |
---|---|---|
Relation
Relation | Domain | Range | Description | sample |
---|---|---|---|---|
연구 데이터
Nodes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note |
---|---|---|---|---|---|
국악 | 키워드 | 국악 | |||
국악기 | 국악 | 국악기 | |||
연희 | 국악 | 연희 | |||
민속악 | 국악 | 민속악 | |||
정악 | 국악 | 정악 | |||
무용 | 국악 | 무용 | |||
행진곡 | 국악 | 행진곡 | |||
창극 | 국악 | 창극 | |||
인물 | 국악 | 인물 | |||
광대굿놀이 | 전통연희 | 광대굿놀이 | |||
인형놀이 | 전통연희 | 인형놀이 | |||
줄타기 | 전통연희 | 줄타기 | |||
탈놀이 | 전통연희 | 탈놀이 | |||
장대장내굿 | 광대굿놀이 | 장대장내굿 | |||
호상놀음 | 광대굿놀이 | 호상놀음 | |||
꼭두각시놀음 | 인형놀이 | 꼭두각시놀음 | |||
발탈 | 인형놀이 | 발탈 | |||
별신굿 | 탈놀이 | 별신굿 | |||
산대놀이 | 탈놀이 | 산대놀이 | |||
야류 | 탈놀이 | 야류 | |||
오광대 | 탈놀이 | 오광대 | |||
노래극 | 창작연희 | 노래극 | |||
마당놀이 | 창작연희 | 마당놀이 | |||
민요 | 민속악 | 민요 | |||
판소리 | 민속악 | 판소리 | |||
병창 | 민속악 | 병창 | |||
농악 | 민속악 | 농악 | |||
산조 | 민속악 | 산조 | |||
향토민요 | 민요 | 향토민요 | |||
통속민요 | 민요 | 통속민요 | |||
신세타령 | 향토민요 | 신세타룡 | |||
동요 | 향토민요 | 동요 | |||
유희요 | 향토민요 | 유희요 | |||
노동요 | 향토민요 | 노동요 | |||
의례요 | 향토민요 | 의례요 | |||
과부신세타령 | 신세타령 | 과부신세타령 | |||
나무꾼신세타령 | 신세타령 | 나무꾼신세타령 | |||
사촌성님 | 신세타령 | 사촌성님 | |||
저꿩잡아 | 신세타령 | 저꿩잡아 | |||
친정편지 | 신세타령 | 친정편지 | |||
놀리는소리 | 동요 | 놀리는소리 | |||
육아동요 | 동요 | 육아동요 | |||
동작유희요 | 유희요 | 동작유희요 | |||
언어유희요 | 유희요 | 언어유희요 | |||
세시유희요 | 유희요 | 세시유희요 | |||
가사요 | 노동요 | 가사요 | |||
광업요 | 노동요 | 광업요 | |||
운수요 | 노동요 | 운수요 | |||
임업요 | 노동요 | 임업요 | |||
토건요 | 노동요 | 토건요 | |||
농요 | 노동요 | 농요 | |||
결성농요 | 농요 | 결성농요 | |||
순창농요_금과들소리 | 농요 | 순창농요_금과들소리 | |||
우수영부녀농요 | 농요 | 우수영부녀농요 | |||
예천통명농요 | 농요 | 예천통명농요 | |||
예천공처농요 | 농요 | 예천공처농요 | |||
안동저전동농요 | 농요 | 안동저전동농요 | |||
고성농요 | 농요 | 고성농요 | |||
제주농요 | 농요 | 제주농요 | |||
기타의례요 | 의례요 | 기타의례요 | |||
세시의례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
장례요 | 의례요 | 장례요 | |||
제주민요 | 통속민요 | 제주민요 | |||
경기민요 | 통속민요 | 경기민요 | |||
남도민요 | 통속민요 | 남도민요 | |||
동부민요 | 통속민요 | 동부민요 | |||
서도민요 | 통속민요 | 서도민요 | |||
개구리타령 | 제주민요 | 개구리타령 | |||
계화타령 | 제주민요 | 계화타령 | |||
관덕정 | 제주민요 | 관덕정 | |||
봉지가 | 제주민요 | 봉지가 | |||
산천초목 | 제주민요 | 산천초목 | |||
서우제소리 | 제주민요 | 서우제소리 | |||
오돌또기 | 제주민요 | 오돌또기 | |||
이야흥 | 제주민요 | 이야흥 | |||
이어도사나 | 제주민요 | 이어도사나 | |||
중타령 | 제주민요 | 중타령 | |||
군밤타령 | 경기민요 | 군밤타령 | |||
긴아리랑 | 경기민요 | 긴아리랑 | |||
노들강변 | 경기민요 | 노들강변 | |||
노래가락 | 경기민요 | 노래가락 | |||
는실타령 | 경기민요 | 는실타령 | |||
닐니리야 | 경기민요 | 닐니리야 | |||
도라지타령 | 경기민요 | 도라지타령 | |||
박연폭포 | 경기민요 | 박연폭포 | |||
방아타령 | 경기민요 | 방아타령 | |||
범벅타령 | 경기민요 | 범벅타령 | |||
베틀가 | 경기민요 | 베틀가 | |||
사발가 | 경기민요 | 사발가 | |||
아리랑 | 경기민요 | 아리랑 | |||
양산도 | 경기민요 | 양산도 | |||
오돌독 | 경기민요 | 오돌독 | |||
오봉산타령 | 경기민요 | 오봉산타령 | |||
자진방아타령 | 경기민요 | 자진방아타령 | |||
창부타령 | 경기민요 | 창부타령 | |||
천안삼거리 | 경기민요 | 천안삼거리 | |||
양류가 | 경기민요 | 양류가 | |||
강강술래 | 남도민요 | 강강술래 | |||
금강산타령 | 남도민요 | 금강산타령 | |||
날개타령 | 남도민요 | 날개타령 | |||
남원산성 | 남도민요 | 남원산성 | |||
널뛰기 | 남도민요 | 널뛰기 | |||
농부가 | 남도민요 | 농부가 | |||
달맞이 | 남도민요 | 달맞이 | |||
진도아리랑 | 남도민요 | 진도아리랑 | |||
추천놀이 | 남도민요 | 추천놀이 | |||
강원도아리랑 | 동부민요 | 강원도아리랑 | |||
궁초댕기 | 동부민요 | 궁초댕기 | |||
긴아라리 | 동부민요 | 긴아라리 | |||
담바구타령 | 동부민요 | 담바구타령 | |||
밀양아리랑 | 동부민요 | 밀양아리랑 | |||
보리타작소리 | 동부민요 | 보리타작소리 | |||
애원성 | 동부민요 | 애원성 | |||
어랑타령 | 동부민요 | 어랑타령 | |||
엮음아라리 | 동부민요 | 엮음아라리 | |||
울산아가씨 | 동부민요 | 울산아가씨 | |||
자진아라리 | 동부민요 | 자진아라리 | |||
쾌지나칭칭나네 | 동부민요 | 쾌지나칭칭나네 | |||
배따라기 | 서도민요 | 배따라기 | |||
병신난봉가 | 서도민요 | 병신난봉가 | |||
사리원난봉가 | 서도민요 | 사리원난봉가 | |||
산염불 | 서도민요 | 산염불 | |||
수심가 | 서도민요 | 수심가 | |||
숙천난봉가 | 서도민요 | 숙천난봉가 | |||
술타령 | 서도민요 | 술타령 | |||
엮음수심가 | 서도민요 | 엮음수심가 | |||
아필청춘가 | 서도민요 | 아필청춘가 | |||
자진난봉가 | 서도민요 | 자진난봉가 | |||
자진배따라기 | 서도민요 | 자진배따라기 | |||
자진염불 | 서도민요 | 자진염불 | |||
자진아리 | 서도민요 | 자진아리 | |||
장타령 | 서도민요 | 장타령 | |||
타령 | 서도민요 | 타령 | |||
평양독경 | 서도민요 | 평양독경 | |||
화용도 | 서도민요 | 화용도 | |||
간지타령 | 서도민요 | 간지타령 | |||
개성난봉가 | 서도민요 | 개성난봉가 | |||
개타령 | 서도민요 | 개타령 | |||
관음세기 | 서도민요 | 관음세기 | |||
굼배타령 | 서도민요 | 굼배타령 | |||
기밀경 | 서도민요 | 기밀경 | |||
긴난봉가 | 서도민요 | 긴난봉가 | |||
긴아리 | 서도민요 | 긴아리 | |||
돈타령 | 서도민요 | 돈타령 | |||
목금포타령 | 서도민요 | 목금포타령 | |||
고법 | 판소리 | 고법 | |||
단가 | 판소리 | 단가 | |||
수궁가 | 판소리 | 수궁가 | |||
심청가 | 판소리 | 심청가 | |||
적벽가 | 판소리 | 적벽가 | |||
춘향가 | 판소리 | 춘향가 | |||
홍보가 | 판소리 | 홍보가 | |||
가야금병창 | 병창 | 가야금병창 | |||
거문고병창 | 병창 | 거문고병창 | |||
강원도농악 | 농악 | 강원도농악 | |||
경상도농악 | 농악 | 경상도농악 | |||
경기도농악 | 농악 | 경기도농악 | |||
충청도농악 | 농악 | 충청도농악 | |||
호남우도농악 | 농악 | 호남우도농악 | |||
호남좌도농악 | 농악 | 호남좌도농악 | |||
강릉농악 | 강원도농악 | 강릉농악 | |||
동해망상농악 | 강원도농악 | 동해망상농악 | |||
원주매지농악 | 강원도농악 | 원주매지농악 | |||
평창둥전평농악 | 강원도농악 | 평창둥전평농악 | |||
경산보인농악 | 경상도농악 | 경산보인농악 | |||
구미무을농악 | 경상도농악 | 구미무을농악 | |||
김천금릉빗내농악 | 경상도농악 | 김천금릉빗내농악 | |||
부산농악 | 경상도농악 | 부산농악 | |||
진주삼천포농악 | 경상도농악 | 진주삼천포농악 | |||
청도차산농악 | 경상도농악 | 청도차산농악 | |||
함안화천농악 | 경상도농악 | 함안화천농악 | |||
합천대평군물농악 | 경상도농악 | 합천대평군물농악 | |||
갑비고차농악 | 경기도농악 | 갑비고차농악 | |||
광명농악 | 경기도농악 | 광명농악 | |||
양주농악 | 경기도농악 | 양주농악 | |||
평택농악 | 경기도농악 | 평택농악 | |||
웃다리농악 | 충청도농악 | 웃다리농악 | |||
청주농악 | 충청도농악 | 청주농악 | |||
고창농악 | 호남우도농악 | 고창농악 | |||
광산농악 | 호남우도농악 | 광산농악 | |||
김제농악 | 호남우도농악 | 김제농악 | |||
부안농악 | 호남우도농악 | 부안농악 | |||
이리농악 | 호남우도농악 | 이리농악 | |||
곡성죽동농악 | 호남좌도농악 | 곡성죽동농악 | |||
구례잔수농악 | 호남좌도농악 | 구례잔수농악 | |||
금산농악 | 호남좌도농악 | 금산농악 | |||
남원농악 | 호남좌도농악 | 남원농악 | |||
익산성당포구농악 | 호남좌도농악 | 익산성당포구농악 | |||
임실필봉농악 | 호남좌도농악 | 임실필봉농악 | |||
화순한천농악 | 호남좌도농악 | 화순한천농악 | |||
해금산조 | 산조 | 해금산조 | |||
아쟁산조 | 산조 | 아쟁산조 | |||
대금산조 | 산조 | 대금산조 | |||
가야금산조 | 산조 | 가야금산조 | |||
거문고산조 | 산조 | 거문고산조 | |||
제례악 | 정악 | 재례악 | |||
경모궁제례악 | 제례악 | 경모궁제례악 | |||
문묘제례악 | 제례악 | 문묘제례악 | |||
종묘제례악 | 제례악 | 종묘제례악 | |||
사직제례악 | 제례악 | 사직제례악 | |||
오휴곡 | 경모궁제례악 | 오휴곡 | |||
재명곡 | 경모궁제례악 | 재명곡 | |||
제권곡 | 경모궁제례악 | 제권곡 | |||
진색곡 | 경모궁제례악 | 진색곡 | |||
유길곡 | 경모궁제례악 | 유길곡 | |||
독경곡 | 경모궁제례악 | 독경곡 | |||
휴운곡 | 경모궁제례악 | 휴운곡 | |||
휘유곡 | 경모궁제례악 | 휘유곡 | |||
혁우곡 | 경모궁제례악 | 혁우곡 | |||
유분곡 | 경모궁제례악 | 유분곡 | |||
아례곡 | 경모궁제례악 | 아례곡 | |||
응안지악 | 문묘제례악 | 응안지악 | |||
명안지악 | 문묘제례악 | 명안지악 | |||
풍안지악 | 문묘제례악 | 풍안지악 | |||
성안지악 | 문묘제례악 | 성안지악 | |||
서안지악 | 문묘제례악 | 서안지악 | |||
오안지악 | 문묘제례악 | 오안지악 | |||
보태평 | 종묘제례악 | 보태평 | |||
정대업 | 종묘제례악 | 정대업 | |||
가곡 | 정악 | 가곡 | |||
여창 | 가곡 | 여창 | |||
남창 | 가곡 | 남창 | |||
타악기 | 악기종류 | 타악기 | |||
건고 | 국악기 | 건고 | |||
꽹과리 | 국악기 | 꽹과리 | |||
노고 | 국악기 | 노고 | |||
노도 | 국악기 | 노도 | |||
뇌고 | 국악기 | 뇌고 | |||
뇌도 | 국악기 | 뇌도 | |||
바라 | 국악기 | 바라 | |||
박 | 국악기 | 박 | |||
북 | 국악기 | 북 | |||
어 | 국악기 | 어 | |||
장구 | 국악기 | 장구 | |||
부 | 국악기 | 부 | |||
진고 | 국악기 | 진고 | |||
징 | 국악기 | 징 | |||
편종 | 국악기 | 편종 | |||
축 | 국악기 | 축 | |||
편경 | 국악기 | 편경 | |||
현악기 | 악기종류 | 현악기 | |||
거문고 | 국악기 | 거문고 | |||
가야금 | 국악기 | 가야금 | |||
비파 | 국악기 | 비파 | |||
해금 | 국악기 | 해금 | |||
아쟁 | 국악기 | 아쟁 | |||
관악기 | 악기종류 | 관악기 | |||
나각 | 국악기 | 나각 | |||
단소 | 국악기 | 단소 | |||
대금 | 국악기 | 대금 | |||
생황 | 국악기 | 생황 | |||
소금 | 국악기 | 소금 | |||
태평소 | 국악기 | 태평소 | |||
피리 | 국악기 | 피리 | |||
훈 | 국악기 | 훈 | |||
약 | 국악기 | 약 | |||
슬 | 국악기 | 슬 | |||
지 | 국악기 | 지 | |||
소 | 국악기 | 소 | |||
아악기 | 악기종류 | 아악기 | |||
궁중무용 | 무용 | 궁중무용 | |||
당악정재 | 궁중무용 | 당악정재 | |||
향악정재 | 궁중무용 | 향악정재 | |||
곡파 | 당악정재 | 곡파 | |||
구장기별기 | 당악정재 | 구장기별기 | |||
근천정 | 당악정재 | 근천정 | |||
몽금척 | 당악정재 | 몽금척 | |||
성택 | 당악정재 | 성택 | |||
수명명 | 당악정재 | 수명명 | |||
수보록 | 당악정재 | 수보록 | |||
수연장 | 당악정재 | 수연장 | |||
연백복지무 | 당악정재 | 연백복지무 | |||
연화대 | 당악정재 | 연화대 | |||
오양선 | 당악정재 | 오양선 | |||
왕모대가무 | 당악정재 | 왕모대가무 | |||
육화대 | 당악정재 | 육화대 | |||
장생보연지무 | 당악정재 | 장생보연지무 | |||
제수창 | 당악정재 | 제수창 | |||
최화무 | 당악정재 | 최화무 | |||
포구락 | 당악정재 | 포구락 | |||
하성명 | 당악정재 | 하성명 | |||
하황은 | 당악정재 | 하황은 | |||
헌선도 | 당악정재 | 헌선도 | |||
가인전목단 | 향악정재 | 가인전목단 | |||
검기무 | 향악정재 | 검기무 | |||
경풍도 | 향악정재 | 경풍도 | |||
고구려무 | 향악정재 | 고구려무 | |||
공막무 | 향악정재 | 공막무 | |||
관동무 | 향악정재 | 관동무 | |||
광수무 | 향악정재 | 광수무 | |||
교방가요 | 향악정재 | 교방가요 | |||
만수무 | 향악정재 | 만수무 | |||
망선문 | 향악정재 | 망선문 | |||
무고 | 향악정재 | 무고 | |||
무산향 | 향악정재 | 무산향 | |||
무애무 | 향악정재 | 무애무 | |||
무합설 | 향악정재 | 무합설 | |||
문덕곡 | 향악정재 | 문덕곡 | |||
박접무 | 향악정재 | 박접무 | |||
보상무 | 향악정재 | 보상무 | |||
봉래의 | 향악정재 | 봉래의 | |||
사선무 | 향악정재 | 사선무 | |||
사자무 | 향악정재 | 사자무 | |||
선유락 | 향악정재 | 선유락 | |||
아박무 | 향악정재 | 아박무 | |||
영지무 | 향악정재 | 영지무 | |||
처용무 | 향악정재 | 처용무 | |||
첨수무 | 향악정재 | 첨수무 | |||
첩승무 | 향악정재 | 첩승무 | |||
초무 | 향악정재 | 초무 | |||
춘광호 | 향악정재 | 춘광호 | |||
춘대옥촉 | 향악정재 | 춘대옥촉 | |||
춘앵전 | 향악정재 | 춘앵전 | |||
침향춘 | 향악정재 | 침향춘 | |||
학무 | 향악정재 | 학무 | |||
학연화대처용 | 향악정재 | 학연화대처용 | |||
항장무 | 향악정재 | 항장무 | |||
향령무 | 향악정재 | 향령무 | |||
향발무 | 향악정재 | 향발무 | |||
헌천화 | 향악정재 | 헌천화 | |||
민속무용 | 무용 | 민속무용 | |||
검무 | 민속무용 | 검무 | |||
교방굿거리 | 민속무용 | 교방굿거리 | |||
승전무 | 민속무용 | 승전무 | |||
살풀이 | 민속무용 | 살풀이 | |||
승무 | 민속무용 | 승무 | |||
입춤 | 민속무용 | 입춤 | |||
진도북춤 | 민속무용 | 진도북춤 | |||
태평무 | 민속무용 | 태평무 | |||
한량무 | 민속무용 | 한량무 | |||
취타 | 정악 | 취타 | |||
관현악취타 | 취타 | 관현악취타 | |||
대취타 | 취타 | 대취타 | |||
삼현육각취타 | 취타 | 삼현육각취타 | |||
민파정식 | 관현악취타 | 민파정식 | |||
수요남극 | 관현악취타 | 수요남극 | |||
길군악 | 삼현육각취타 | 길군악 | |||
길타령 | 삼현육각취타 | 길타령 | |||
별우조타령 | 삼현육각취타 | 별우조타령 | |||
군악 | 삼현육각취타 | 군악 | |||
기록 | 기록 | 기록 | |||
세종실록 | 기록 | 세종실록 | |||
악보 | 국악 | 악보 | |||
대금정악보 | 악보 | 대금정악보 | |||
아쟁정악보 | 악보 | 아쟁정악보 | |||
해금정악보 | 악보 | 해금정악보 | |||
가야금정악보 | 악보 | 가야금정악보 | |||
거문고정악보 | 악보 | 거문고정악보 | |||
피리정악보 | 악보 | 피리정악보 | |||
전승악보 | 악보 | 전승악보 | |||
편종정악보 | 악보 | 편종정악보 | |||
편경정악보 | 악보 | 편경정악보 | |||
악학궤범 | 기록 | 악학궤범 | |||
취타내취 | 연주자 | 취타내취 | |||
취고수 | 연주자 | 취고수 | |||
희문 | 보태평 | 희문 | |||
기명 | 보태평 | 기명 | |||
귀인 | 보태평 | 귀인 | |||
형기 | 보태평 | 형기 | |||
집녕 | 보태평 | 집녕 | |||
융화 | 보태평 | 융화 | |||
현미 | 보태평 | 현미 | |||
용광 | 보태평 | 용광 | |||
정명 | 보태평 | 정명 | |||
대유 | 보태평 | 대유 | |||
역성 | 보태평 | 역성 | |||
소무 | 정대업 | 소무 | |||
독경 | 정대업 | 독경 | |||
탁정 | 정대업 | 탁정 | |||
선위 | 정대업 | 선위 | |||
신정 | 정대업 | 신정 | |||
분웅 | 정대업 | 분웅 | |||
순응 | 정대업 | 순응 | |||
총유 | 정대업 | 총유 | |||
정세 | 정대업 | 정세 | |||
혁정 | 정대업 | 혁정 | |||
영관 | 정대업 | 영관 | |||
등가 | 악대 | 등가 | |||
헌가 | 악대 | 헌가 |
시맨틱 데이터 기반 디지털 큐레이션
거문고 : 거문고를 통해 알아보는 국악의 미
가야금산조 : 가야금 산조를 알아보자
옛날 옛적, 한국의 음악 세계에는 특별한 악기, 거문고가 있었습니다. 거문고는 국악기 중에서도 향부악기와 현악기에 속하며, 국악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습니다.
거문고는 다양한 형태로 연주되었습니다. 거문고병창은 이 악기로 연주되는 병창의 한 종류로, 판소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거문고산조 또한 이 악기로 연주되었으며, 산조라는 독특한 국악 장르에 속했습니다. 특히, 거문고산조는 엇모리장단을 사용하여 그 특유의 리듬과 정서를 표현했습니다.
악보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거문고정악보는 이 악기의 연주를 기록한 귀중한 문서였습니다. 이러한 기록들은 악학궤범과 같은 문헌에 의해 향부악기로 구분되기도 했습니다.
거문고의 선율은 정대업과 같은 곡에서도 활용되었습니다. 정대업은 거문고를 통해 연주될 때, 그 아름다움과 깊이를 더했습니다.
이렇듯, 거문고는 국악의 다양한 분야와 깊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그 멜로디는 옛날부터 오늘날까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습니다. 국악기의 하위 분류인 향부악기와 현악기로서의 역할을 넘어서, 거문고는 한국 음악의 중요한 유산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단순히 하나의 악기에 대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세대를 이어온 전통과 그 안에서 피어난 다양한 음악적 형태에 대한 찬사이기도 합니다. 거문고를 통해 우리는 국악의 풍부한 세계를 다시금 느낄 수 있습니다.
제주민요 : 삼다도의 민요
경기민요 : 한반도 중심의 민요
Digital Curation 5 : 주제
Digital Curation 6 : 주제
Digital Curation 7 : 주제
Digital Curation 8 : 주제
References
- 참고자료
- 참고자료
Comments
- 내용
- 내용
- 내용
- 내용
-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