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박서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Relation)
(Relation)
73번째 줄: 73번째 줄: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font-size:12px;"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font-size:12px;"
 
! Relation !! Domain !! Range !! Description  !! sample
 
! Relation !! Domain !! Range !! Description  !! sample
|-
 
|  ||  ||  ||  ||
 
 
|-
 
|-
 
| A는_B로_지정되었다 || 유적, 유구, 유물 || 국보, 사적, 시도문화유산자료, 시도기념물 ||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A는_B로_지정되었다 || 유적, 유구, 유물 || 국보, 사적, 시도문화유산자료, 시도기념물 ||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2024년 12월 11일 (수) 10:23 판

디지털유산프로젝트

시기로 보는 백제의 이야기

연구 목적

백제의 시기 구분은 도읍을 기준으로 한다. 한성기(서울), 웅진기(공주), 사비기(부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기에 따라 관련한 인물이나 유물, 관련 문화유산들이 각기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이미 2015년 백제왕도를 대상으로 한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나, 이들의 관계성을 한 눈에 보기 위해 정리한 자료나 시각화 된 내용은 그리 많지 않다. 이에 백제왕도를 중심으로 한 문화유산들에 대해 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제작하여 관람객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연구 내용

  • 고분 및 왕성 출토 유물에 대한 메타데이터 or 위키문서를 작성해 정보 전달
  • 백제왕도 지역 내 진행되는 관련 행사나 축제 등 문화 콘텐츠와 실제 역사적 인물, 사건에 대한 관계망 제작
  • 작성된 관계망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혹은 다른 디지털 콘텐츠 제작


연구 방법

기존에 존재하는 백제의 도읍별 대표 문화유산 현황 혹은 현대에 이루어지는 행사에 대해 조사하고 그래프로 나타낸다.



연구 추진 공정표

내용 9월 10월 11월 12월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획 및 주제 선택
개체 탐색, 온톨로지 설계
데이터 수집 및 핵심항목, 문맥항목 선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



연구 결과

온톨로지



Class

Class Sub Class Description
Actor 인물 역사적으로 관련 있는 인물 등이 해당한다.
Concept 국보, 사적, 시도문화유산자료, 시도기념물 현대에 유물, 유구를 나누는 기준 등이 해당한다.
Event 행사 역사적 내용을 기반으로 현대에 이루어지는 축제, 전시 등이 해당한다.
Nation 국가 과거 경제, 사회적 지위를 갖추고 어떠한 권역을 다스린 사회체제가 해당한다.
Object 유구, 유물 석탑, 비석 등 이동이 불가능하나 유적보다 작은 개념을 유구에 해당하고, 유적에서 출토된 이동이 가능한 것들은 유물에 해당한다.
Place 박물관, 유적, 도읍 과거 도읍의 역할을 한 지역이나 유물을 소장한 전시관이나 박물관, 유적 등이 해당한다.
Time 시대 키워드와 관련한 시점이나 시대명에 해당한다.



Relation

Relation Domain Range Description sample
A는_B로_지정되었다 유적, 유구, 유물 국보, 사적, 시도문화유산자료, 시도기념물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A는_B를_다스린다 국가 인물 백제 동성왕은 백제를 다스린다
A는_B에_위치한다 유적, 유구, 유물, 박물관 국가, 지역 공주 공산성은 공주에 위치한다
A는_B에_해당한다 국가 시대 백제는 삼국시대에 해당한다
A는_B에서_개최된다 행사 지역, 박물관 공주 국가유산 미디어아트는 공주에서 개최된다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유물, 유구 유적 무령왕릉 석수는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에서 출토되었다.
A는_B의_도읍이다 지역 국가 공주는 백제의 도읍이다
A는_B의_아들이다 인물 인물 백제 문주왕은 백제 개로왕의 아들이다
A는_B의_딸이다 인물 인물 신라 선화공주는 신라 진평왕의 딸이다
A는_B의_아버지다 인물 인물 백제 개로왕은 백제 문주왕의 아버지다
A는_B의_왕이다 인물 국가 백제 무령왕은 백제의 왕이다



연구 데이터

Nodes

class count
id class label infoUrl iconUrl



Links

Relation count



Semantic Network Graph




Digital Curation




Timeline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