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KU2025:Seung-Ep02
KHS DH wiki
#Link SKKU2025:Seung-Ep02 석승서 hasContextualElement SKKU2025:Seung-Ep02 김의식 hasContextualElement SKKU2025:Seung-Ep02 석주명 hasContextualElement SKKU2025:Seung-Ep02 석주선 hasContextualElement SKKU2025:Seung-Ep02 미우라_타마키 hasContextualElement SKKU2025:Seung-Ep02 일본_주식회사_주부의친구 hasContextualElement SKKU2025:Seung-Ep02 오페라_무대의상 hasContextualElement SKKU2025:Seung-Ep02 일본_갱생복_디자인_공모전 hasContextualElement SKKU2025:Seung-Ep02 평양시 hasContextualElement SKKU2025:Seung-Ep02 명륜여자보통학교 hasContextualElement SKKU2025:Seung-Ep02 일본_도쿄_고등양재학원 hasContextualElement SKKU2025:Seung-Ep02 일본_도쿄 hasContextualElement #End
Episode Data Upload
Story 》 Ep 02. 석주선, 일본 유학 생활에서 더욱 깊어진 우리 옷 사랑
Korean Narrative:
김의식(金毅植)은 석승서(石承瑞)와의 사랑의 결실로 석주명(石宙明, 1908~1950)과 석주선(石宙善, 1911~1996)이라는 훌륭한 자녀를 두었다. 석주명은 그의 부모님이 보여준 지혜와 사랑을 받으며 성장했다. 한편, 그의 여동생 석주선은 어머니 김의식의 따뜻한 보살핌 속에서 자라며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다.
석주선은 1934년에 명륜여자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그녀의 학업과 예술적 열정을 일본으로 옮겼다. 1938년, 석주선은 일본 도쿄로 이사하여,[1] 그곳에 위치한 고등양재학원에 입학하였다. 1940년, 이곳을 졸업[2]한 그녀는 일본에서 열린 갱생복 디자인 공모전에 참가하여 1등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이 공모전은 일본 주식회사 주부의 친구가 주관한 것이었다.[3]
석주선은 오페라 무대의상 창작에 있어서도 탁월한 재능을 발휘하였고, 이는 그녀의 예술적 성취를 더욱 빛나게 하였다. 그녀의 작품은 미우라 타마키(三浦 環, Miura Tamaki, 1884~1946) 같은 유명한 오페라 가수들에 의해 입혀졌다.[4]
그녀의 형 석주명 역시 그의 아버지 석승서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으며, 가족 간의 끈끈한 유대 속에서 성장했다. 김의식과 석승서 부부의 지혜와 사랑은 자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들의 삶과 선택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이처럼 김의식 가족의 이야기는 가족 간의 사랑과 영향이 어떻게 자녀들의 삶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지를 보여준다. 각기 다른 길을 걸어간 이들 모두는 서로의 성공과 행복을 위해 지속적으로 응원하며, 그들의 이야기를 계속 써 내려갔다.
- 이동 ↑ 1938년 동경제국대학에서 열리는 국제에스페란토 대회에 참가하는 석주명을 따라 일본으로 가게 된다.(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조선 마지막 공주 덕온가의 유물』, 단국대학교출판부, 2012, 221쪽.)
- 이동 ↑ 일본 동경 고등양재학원 졸업연도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이 보인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 2012년에 발간한 『조선 마지막 공주 덕온가의 유물』(221쪽)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편찬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석주선" 기사)에서는 석주선이 1940년에 졸업했다고 하고 있으나, 『위키백과』("석주선" 기사)에서는 1941년에 졸업했다고 표기하고 있다.
- 이동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석주선 박사의) 우리옷 나라 : 1900년~1960년대 신여성 한복 best collection』, 단국대학교출판부, 2016, 16쪽.
- 이동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 『(석주선 박사의) 우리옷 나라 : 1900년~1960년대 신여성 한복 best collection』, 단국대학교출판부, 2016, 1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