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RC2 010 Work
KHS DH wiki
- 금척: 자(尺)에는 '천사금척 수명지상'이라는 8자를 새겼다. 그리고 생초로 족자를 만들어서 유황사를 쓰고, 위아래에 홍릉과 백릉으로 장식하고 유소를 드리워서 붉게 칠한 장대에 건다. 여기(女妓) 2인이 죽간자를 받들고 1인이 족자를 받들고서 앞으로 나아가 나란히 선다. 1인이 금척을 받들고, 1인이 황개를 받들고, 뒤에 차례로 선다. 12인이 좌우로 나누어 두 줄을 마들고, 나아가고 물러서거나 돌면서 춤춘다.(111쪽)
- 하황은: 족자를 쓰는 것은 몽금척과 같다. 여기 2인이 죽간자를 받들고, 1인이 족자를 받들어 앞으로 나아가 나란히 선다. 2인이 앞에, 1인이 좌측에, 1인이 우측에, 1인이 가운데에, 2인이 뒤에 서서 서로 변화를 주며 춤춘다.(116쪽)
- 장춘보연지무: 여기 2인이 죽간자를 받들고, 좌우에 나눠 서고, 1인이 앞에, 1인이 중앙에, 1인이 뒤에, 1인이 좌측에, 1인이 우측에 서서 서로 변화를 주며 춤춘다.(119쪽)
- 헌선도: 복숭아는 모두 3개로 나무를 다듬어서 만들고, 가지와 잎은 구리와 쇠로 만들어서 은반에 담는다. 헌도탁을 앞에 설치하고, 탁자의 좌우에 여기 2인이 나누어 서서 서로 향한다. 1인이 도반을 받들고 나아간다. 1인이 동쪽에, 1인이 서쪽에, 1인이 뒤에 자리하고 있다가 모두 북향하여 춤춘다. 또 2인은 죽간자를 받들고 그 뒤에 나누어 선다.(123-124쪽)
- 포구락: 주칠을 한 나무로 구문을 만들어 용과 봉황을 그리고, 문채 있는 비단으로 장식하며, 문 위에 한 구멍을 내어서 풍류안을 만들고, 채구를 던져 올린다. 여기 2인이 죽간자를 받들고 앞으로 나아가 서로 향한다. 1인이 꽃을 받들고 구문 동쪽에 서고, 1인이 붓을 받들고 구문 서쪽에 선다. 6인이 3대로 나뉘는데, 전대 2인이 각기 채구를 잡고 춤추면서 던져 올린다. 중대와 후대는 전대가 춤추며 물러가면 차례차례 나와 춤춘다.(131-132쪽)
- 향발: 놋쇠를 써서 향발을 만들어 좌우의 손에 매고, 서로 부딪히며 춤의 절주로 삼는다. 여기 2인이 각각 향발을 좌우 손에 매고, 악절에 맞추어 향발을 치면서 춤춘다.(135쪽)
- 아박: 박(拍)은 육판(六板)으로 쓰며, 그것을 쳐서 춤의 절주로 삼는다. 여기 2인이 각각 아박을 잡고, 박 소리에 맞추어 아박을 치면서 춤춘다.(136-137쪽)
- 향령무: 금령(金鈴) 10매를 좌우 손에 나누어 묶어 매달고, 박에 맞추어 치면 소리가 나는데, 이를 '향령'이라 한다. 여기 4인이 각기 방울을 좌우 손가락에 매달고 모두 북향하여 악절에 따라 방울을 울리며 춤춘다.(137-138쪽)
- 보상무: 보상반을 설치하고, 반 가운데 연꽃 항아리를 놓는다. 무기(舞妓) 6인이 3대로 나뉘어 전대 2인이 각기 채구를 잡고 춤추면서 몸을 굽혀 항아리에 던지는데, 마치 포구락의 모습과 같다. 중대와 후대는 전대가 춤추며 물러가면 차례차례 나와 춤춘다.(140쪽)
- 가인전목단: 목단화준을 반에 설치하고, 무기 8인이 화준 주변에 둘러서서 각각 꽃 한 가지를 취하여 진퇴하고 빙빙 돌며 춤춘다.(142쪽)
- 무고: 여기 4인이 각각 북채를 잡고서 악절에 맞추어 북을 치며 춤춘다. 4인이 그 바깥에 둘러서서, 나누어 협무를 춘다.(143쪽)
- 춘앵전: 돗자리를 펴고 무기 1인이 자리 위에 서서 진퇴하고 돌되 자리 위를 벗어나지 않고 춤춘다.(144쪽)
- 선유락: 채선을 설치하여 여러 기녀들이 나누어 서서 배를 띄우는 모습을 하고, 닻줄을 당기며 배에 둘러서서 춤춘다. 두 동기가 배에 올라 돛의 앞뒤에 나누어 서고, 여기 2인이 새 깃을 꽂은 주립을 쓰고, 철릭을 입고, 검·활·화살을 차고, 배 앞에 늘어서서 호령집사의 역할을 한다. 무기 6인이 배 가장자리의 좌우에 나누어 서서 각각 배의 줄을 잡고서 내무(內舞)를 춘다. 24인이 빙 둘러서서 외무를 춘다.(146쪽)
- 관동무: 여기 8인이 2대로 나누어 관동곡을 같이 부르고 진퇴하고 돌며 춤춘다.(146쪽)
- 처용무: 춤은 다섯 사람이 추고, 옷은 오방색을 좇아 입는다. 무기 5인이 처용의 가면과 사모를 갖추고, 오방으로 나누어 서서 춤춘다.(146쪽)
- 검기무: 여기 4인이 전립을 쓰고 전복을 입은 채 각각 검 2자루를 쥐고 2대로 나누어 서로 맞대하며 춤을 춘다.(146-14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