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2 010 Actor
KHS DH wiki
목차
[숨기기]무신년진찬 》 무신년진찬:참여자
왕실인원 | 내빈 | 종친 | 의빈 | 척신 |
---|---|---|---|---|
헌종 | ||||
순원왕후 (순조의 비) |
동녕위 김현근 (명온공주의 남편) |
|||
공인 정씨 (김도균의 처) |
창녕위 김병주 (복온공주의 남편) |
돈녕참봉 김도균 (창녕위 김병주의 아들) | ||
남녕위 윤의선 (덕온공주의 남편) |
||||
신정왕후 (익종의 비) |
||||
효정왕후 (헌종의 계비) |
||||
경빈 김씨 (헌종의 후궁) |
||||
흥완군부인 박씨 (상중 불참) |
흥완군 이정응 (서거) |
|||
흥선군부인 민씨 (상중 불참) |
흥선군 이하응 (상중 불참) |
|||
흥인군 이최응 (상중 불참) |
||||
이재원 (흥녕군 이창응의 아들, 상중 불참) |
||||
정경부인 윤씨 (김좌근의 처) |
수원유수 김좌근 (영안부원군의 아들) | |||
정부인 조씨 (김학성의 처) |
||||
정부인 오씨 (조병준의 처) |
||||
숙인 남씨 (김병기의 처) |
사복정 김병기 (김좌근의 아들) | |||
숙인 이씨 (정해상의 처) |
종묘령 정해상 (정의의 아들) | |||
숙인 이씨 (김윤현의 처) |
의빈도사 김윤현 (고 김재삼의 아들) | |||
숙인 서씨 (김병지의 처) |
장악주부 김병지 (고 김원근의 아들) | |||
업유 김병완 (고 김원근의 서자) | ||||
업유 김병육 (고 김원근의 서자) | ||||
공인 조씨 (김병삼의 처) |
돈녕참봉 김병삼 (김현근의 아들) | |||
유인 신씨 (김병주의 처) |
유학 김병주 (고 김유근의 아들) | |||
순천감목관 김병도 (고 김유근의 서자) | ||||
유인 홍씨 (김수현의 처) |
유학 김수현 (김재창의 아들) | |||
영명위 홍현주 (숙선옹주의 남편) |
부호군 홍우철 (영명위 홍현주의 아들) | |||
유인 남씨 (홍승간의 처) |
유학 홍승간 (홍우철의 아들) | |||
동몽 홍정력 (홍우철의 아들) | ||||
판돈녕 김난순 (고 김이유의 아들) | ||||
제용판관 김응근 (고 김명순의 아들) | ||||
예조판서 김흥근 (고 김명순의 아들) | ||||
장령현감 김칭근 (고 김명순의 서자) | ||||
전 목사 김초순 (고 김이현의 아들) | ||||
부호군 김신근 (김난순의 아들) | ||||
인릉참봉 김성근 (고 김내순의 아들) | ||||
진사 김석근 (고 김내순의 아들) | ||||
검열 김덕근 (고 김내순의 아들) | ||||
전 목사 김영근 (고 김복순의 아들) | ||||
전 현령 김문근 (고 김인순의 아들) | ||||
유학 김호근 (김시순의 아들) | ||||
유학 김병연 (고 김홍근의 아들) | ||||
대교 김병덕 (고 김홍근의 아들) | ||||
유학 김병시 (김응근의 아들) | ||||
부사과 김경진 (고 김대균의 아들) | ||||
경기감사 이정신 (고 이요헌의 아들) | ||||
무안현감 이정민 (고 이요헌의 아들) | ||||
부호군 남병철 (전 남구순의 아들) | ||||
유학 남병길 (전 남구순의 아들) | ||||
부호군 홍설모 (고 홍희명의 아들) | ||||
전 목사 심의부 (고 심능적의 아들) | ||||
용강현령 심경택 (심의복의 아들) | ||||
진사 심성택 (심의복의 아들) | ||||
유학 심영택 (고 심의신의 아들) | ||||
부사과 김원식 (고 김익철의 아들) | ||||
유학 이승서 (이겸재의 아들) | ||||
유학 이승위 (이겸재의 아들) | ||||
유학 이순익 (고 이긍우의 아들) | ||||
유학 이정익 (고 이긍우의 아들) |
참여자
왕실인원 및 내외빈
왕실인원
내빈(內賓)
- 군부인 박씨(郡夫人 朴氏): 흥완군 이정응 처 --> 상중 불참
- 군부인 민씨(郡夫人 閔氏): 흥선군 이하응 처 --> 상중 불참
- 정경부인 윤씨(貞敬夫人 尹氏): 수원유수 김좌근 처
- 정부인 조씨(貞夫人 趙氏): 한성판윤 김학성 처
- 정부인 오씨(貞夫人 呉氏): 개성유수 조병준 처
- 숙인 남씨(淑人 南氏): 사복정 김병기 처
- 숙인 이씨(淑人 李氏): 종묘령 정해상 처
- 숙인 이씨(淑人 李氏): 의빈도사 김윤현 처
- 숙인 서씨(淑人 徐氏): 장악주부 김병지 처
- 공인 조씨(恭人 趙氏): 돈녕참봉 김병삼 처
- 공인 정씨(恭人 鄭氏): 돈녕참봉 김도균 처
- 유인 신씨(孺人 申氏): 유학 김병주 처
- 유인 홍씨(孺人 洪氏): 유학 김수현 처
- 유인 남씨(孺人 南氏): 유학 홍승간 처
외빈(外賓)
종친(宗親)
-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 서거
- 흥인군 이최응(興寅君 李最應) --> 상중 불참
- 흥선군 이하응(興宣君 李昰應) --> 상중 불참
- 유학 이재원(幼學 李載元): 흥녕군 이창응의 아들 --> 상중 불참
의빈(儀賓)
- 영명위 홍현주(永明尉 洪顯周)
- 동녕위 김현근(東寧尉 金賢根)
- 창녕위 김병주(昌寧尉 金炳疇)
- 남녕위 윤의선(南寧尉 尹宜善)
척신(戚臣)
- 판돈녕 김난순(判敦寧 金蘭淳): 고(故) 군수(郡守) 김이유(金履裕) 아들
- 수원유수 김좌근(水原留守 金左根):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아들
- 제용판관 김응근(濟用判官 金應根): 고 참판(參判) 김명순(金明淳) 아들
- 예조판서 김흥근(禮曹判書 金興根): 고 참판 김명순 아들
- 전 목사 김초순(前 牧使 金初淳): 고 부사(府使) 김이현(金履顯) 아들
- 부호군 김신근(副護軍 金愼根): 김난순(金蘭淳) 아들
- 인릉참봉 김성근(仁陵參奉 金性根): 고 군수 김내순(金來淳) 아들
- 진사 김석근(進士 金奭根): 고 군수 김내순 아들
- 검열 김덕근(檢閱 金德根): 고 군수 김내순 아들
- 전 목사 김영근(前 牧使 金泳根): 고 목사(牧使) 김복순(金復淳) 아들
- 전 현령 김문근(前 縣令 金汶根): 고 부사 김인순(金麟淳) 아들
- 유학 김호근(幼學 金灝根): 학생(學生) 김시순(金蓍淳) 아들
- 장령현감 김칭근(長連縣監 金偁根): 김명순(金明淳) 서자(庶子)
- 사복정 김병기(司僕正 金炳冀): 김좌근(金左根) 아들
- 유학 김병연(幼學 金炳溎): 고 좌의정(左議政) 김홍근(金弘根) 아들
- 유학 김병주(幼學 金炳㴤): 고 판돈녕(判敦寧) 김유근(金逌根) 아들
- 대교 김병덕(待敎 金炳德): 김홍근(金興根) 아들
- 장악주부 김병지(掌樂主簿 金炳地): 고 참판(參判) 김원근(金元根) 아들
- 유학 김병시(幼學 金炳始): 김응근(金應根) 아들
- 돈녕참봉 김병삼(敦寧參奉 金炳三): 김현근(金賢根) 아들
- 돈녕참봉 김도균(敦寧參奉 金道均): 김병주(金炳疇) 아들
- 순천감목관 김병도(順天監牧官 金炳陶): 김유근(金逌根) 서자
- 업유 김병완(業儒 金炳阮): 김원근(金元根) 서자
- 업유 김병육(業儒 金炳陸): 김원근(金元根) 서자
- 부사과 김경진(副司果 金敬鎭): 고 현령(縣令) 김대균(金大均) 아들
- 경기감사 이정신(京畿監司 李鼎臣): 고 판서(判書) 이요헌(李堯憲) 아들
- 무안현감 이정민(務安縣監 李鼎民): 고 판서(判書) 이요헌(李堯憲) 아들
- 부호군 홍우철(副護軍 洪祐喆): 홍현주(洪顯周) 아들
- 부호군 남병철(副護軍 南秉哲): 전(前) 판관(判官) 남구순(南久淳) 아들
- 유학 남병길(幼學 南秉吉): 전(前) 판관(判官) 남구순(南久淳) 아들
- 부호군 홍설모(副護軍 洪說謨): 고 감역(監役) 홍희명(洪羲命) 아들
- 전 목사 심의부(前 牧使 沈宜復): 고 주서(注書) 심능적(沈能迪) 아들
- 용강현령 심경택(龍崗縣令 沈敬澤): 심의복(沈宜復) 아들
- 진사 심성택(進士 沈誠澤): 심의복(沈宜復) 아들
- 유학 심영택(幼學 沈英澤): 고 참판(參判) 심의신(沈宜臣) 아들
- 종묘령 정해상(宗廟令 鄭海尙): 고 참판 정의(鄭漪) 아들
- 유학 김수현(幼學 金壽鉉): 지사(知事) 김재창(金在昌) 아들
- 의빈도사 김윤현(儀賓都事 金胤鉉): 고 참판 김재삼(金在三) 아들
- 부사과 김원식(副司果 金元植): 고 군수(郡守) 김익철(金益哲) 아들
- 유학 이승서(幼學 李承緖): 전 승지(承旨) 이겸재(李謙在) 아들
- 유학 이승위(幼學 李承緯): 전 승지(承旨) 이겸재(李謙在) 아들
- 유학 이순익(幼學 李純翼): 고 승지 이긍우(李肯愚) 아들
- 유학 이정익(幼學 李正翼): 고 승지 이긍우(李肯愚) 아들
- 유학 홍승간(幼學 洪承榦): 홍우철(洪祐喆) 아들
- 동몽 홍정력(童蒙 洪鼎曆): 홍우철(洪祐喆) 아들
문안제신(問安諸臣)
여관(女官)
- 권3 의위(儀衛)
- 내진찬시 시위 각 차비
- 야진찬시 시위 각 차비
- 익일회작시 시위 각 차비
- 익일야연시 시위 각 차비
![]() |
왕비인 효정왕후에게는 계청(啓請), 전도(前導), 시위(侍衛), 어찬(御饌), 승교(承敎)라는 용어를 쓰고, 경빈에게는 찬청(贊請), 전인(前引), 배위(陪衞), 찬(饌), 승령(承令)이라는 용어를 써서, 정비(正妃)와 후궁의 존비를 구분하였지만, 시위차비(侍衛差備)의 규모는 왕비와 경빈이 똑같았다. |
![]() |
출처: 의궤로 본 조선시대 궁중연향 문화, 171쪽. |
악대(樂隊)
여령(女伶)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원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헌종무신)진찬의궤』 권3, 내외빈(원문008) | 청구기호:K2-2874 | https://jsg.aks.ac.kr/viewer/viewIMok?dataId=K2-2874%7C004%7C008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ISBN:9788956384238 | 단행본 | 전통예술원,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 권3, 민속원, 2007.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