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Knuch2024-2:TeamA 회의록

KHS DH wiki

소록소록 조 회의록입니다.

회의록

저희 조는 성이 다 다르기 때문에 성_(토의내용) 이러한 형식으로 회의를 진행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남_이번 조별 회의는 국가유산과 연관하여 아카이브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는 것입니다. 교수님이 주신 예시로는 드라마나 영화 등이 있습니다. 자유롭게 의견 주시면 되겠습니다.

남_역사적 장소 아카이브 한국사에서 중요한 사건이 일어났던 장소들을 중심으로 아카이빙 하는것을 생각해봤습니다. 예시로 3·1 운동 기념지, 임시정부 청사, 병인양요 당시의 강화도 유적 등 역사적 장소와 사건을 연결해 아카이브화하고, 이렇게 되면 범위가 너무 넓으니 특정 시대(일제강점기 등)나 특정 주제(역사문화공원이 조성된 역사적 장소) 등으로 범위를 좁혀도 됩니다.

강_고흥 소록도를 배경으로 하는 방안을 생각했습니다.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한센병 강제이주라는 스토리텔링이 미리 깔려있고, 관련하여 건축유산이나 기록유산이 적당히 남아있어 스토리텔링과 국가유산 둘 다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남_소록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자료도 양이나 질적인 부분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윤_관련 유물이나 이야기가 많을 것 같아서 '조선왕실의궤' 생각해보았는데, 소록도도 좋은 주제인 것 같습니다!

박_저도 소록도 좋은 것 같습니다!

차_저도 평소에 궁금했던 장소여서 좋은 주제인 것 같습니다!

회의록 2주차시

남_우리 주제가 꽤 넓어서, 범위를 지정하고 어느 유형까지 아카이빙을 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면 좋겠습니다.

박_소록도 자료관, 수탄장 같이 소록도에 있는 역사적 장소를 선별하고, 그 장소와 관련된 인물, 역사를 연결해 나가는건 어떨까요?

윤_좋은 것 같아요...! 각 장소에 얽힌 사건, 인물, 그리고 당시의 사회적 상황을 드러내는 요소들을 선택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차_좋습니다! 말씀해 주신 것에 덧붙여 관련 자료를 전시한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에 관한 내용을 언급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회의록 3주차시

박_ 그럼 장소는 몇 곳 정도 선정하는게 좋을까요? 저는 4-5곳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한 명당 한 장소씩 담당할까요?

윤_한 명당 한 장소씩 어떨까요? 말해주신 소록도 자료관, 수탄장,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 소록도 중앙공원, 소록도 갱생원 신사, 병사성당 등에서 고르거나 더 찾아보면 될 것 같습니다.

차_저도 한 명당 한 장소를 맡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각자 관심 있는 장소를 한 번 생각해 보고, 강의 시간에 만나서 역할 분담을 해도 좋을 것 같아요!

박_ 좋아요!!

남_일단 국가유산이 17건 지정되어 있는데, 이 유산을 기본 노드로 지정하고 이 노드를 배경으로 뻗어나가는게 쉬울 것 같습니다. 팀 과제여서 오히려 장소를 적게 하면 더 조사할게 많아지고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 차라리 기본 노드끼리 연결하고, 추가적인 연결고리를 하는 노드들을 같이 생각하는 것이 빠를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소록도에 방문한 요한 바오로 2세나, 간호사 마리안느와 마가렛을 추가 노드로 이용하여 노드들을 연결하는 것이 스토리텔링에 더욱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회의록 4주차시

남_일단 노드 중에서 인물 관련한 것들 좀 채워넣었습니다. 그리고 탑이나 동상 같은것을 조형물이라고 class 명칭해놨는데 더 좋은 의견 있으시면 의견 부탁드립니다. 박_조형물 좋은 거 같습니다!

남_class를 대분류로 기록물로 지정하고 소분류(groupname)으로 도서, 그림 등으로 지정하는것은 어떨까요?

박_오! 그렇게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강_사건이랑 소장 유물 등등을 묶을 노드가 필요할 것 같아서 연혁이랑 국립소록도병원같은 노드를 추가하였습니다. 각 노드들이랑 연관성이 있을지는 모르겠는데 연관이 있다면 링크로 연결해주세요...!

윤_ 넵!

박_ 네네!


회의록 N주차시

남_일단 설명 보시고 확인 바랍니다! 1. 노드에 설명 url 붙여야 합니다! 2. 관계어 정리를 위해서 관계어 재설정합니다! 저희 시간대 중심 아카이브이기 때문에 번거롭지만 정리해주세요! 시간대 기반으로 온톨로지 재설정 강민우 학우님이 해 놓으셨습니다

~는 ~에 위치해 있다 ~는 ~을 기반으로 한다 ~는 ~으로 지정되었다 ~는 ~에 일어났다 ~는 ~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기록물 노드 -> 000책, 000 그림은 기록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type)) 이럴려면 대분류인 기록물 노드를 만들어야 합니다!!!! 기록물 관련 노드 작성하신 학우님은 써주세요!!! ~는 ~과 관련된다. (나머지 노드용입니다. is related to relation인데 전에 교수님이 최대한 지양하라 하시긴 하셨습니다만 현재 연결들이 너무 지저분하여 지저분해지지 않는 선에서 써주세요...)

추가로 이 관계어는 무조건 있어야 한다 하면 의견 주세요! 3. link 만드는데 필요한(또는 없는) 노드들 추가적으로 생성/삭제 바랍니다!

남_추가로 과거형 수정했습니다. 위에 적은 것 중에서도 _위치한다. _기반한다 등으로 현재형으로 일괄 수정했습니다. relation은 10개 정도로만 하고 필요한 경우 세부(하위) 노드를 만들어서 link하는 것으로 하는 방향으로 하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소록도와 link된 노드가 너무 많습니다... 말이 안되는것은 아닌데 너무 기초적인 링크여서 신경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차_네! 참고해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회의록 N주차시

차_ 1) 소록도 100년사 필독 -> 전반적인 스토리 및 각 시대 간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작업입니다. 전체를 다 읽기 힘들다면, 본인이 맡은 시대와 전후 시대 정도까지만 읽어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에 pdf 파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https://www.sorokdo.go.kr/museum/board/boardView.do;jsessionid=1BJPHrmRCva1XqM0fqvsfHO03kDmPIWzP9ui2OaTP4yD91qevHSzzXS7cwEarDan.mohwwas1_servlet_engine9?seq=4495&board_id=056&menu_cd=03_03_02_01&bn=galleryView&search_item=&search_content=&pageIndex=1 -> 향후 스토리텔링을 위해 시대별로 정리한 노드를 아래와 같이 소록도 100년사 단행본 목차를 중심으로 재구성했습니다. 아직 본격적인 link 작성 전이고, 원래 맡았던 시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기에 아래 목차로 노드와 링크 작성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소목차는 소록도 100년사 단행본과 박물관 사이트의 내용을 절충해서 각자 재구성하면 될 것 같습니다.) -> 소록도자혜의원의 설립과 운영 (1916~1932):윤지우 / 소록도갱생원과 절대격리체제(1933~1945):차다빈 / 광복 후의 혼란과 요양소 체제의 불안장(1945~1960):남현준 / 국립병원체제의 정비와 관리의 체계화(1960~1981):강민우 / 국립소록도병원으로의 전환과 인원 회복을 위한 노력(1982~2016):박소연

2) 소록소록팀 내 Story 파일이 추가되었습니다. 강의에 참여 못하신 분들은 다른 팀원 파일 확인하시고 양식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11월 27일 강의) 소록소록ep01: 박소연 / 소록소록ep02: 강민우 / 소록소록ep03: 차다빈 / 소록소록ep04: 남현준 /소록소록ep05: 윤지우

3) 아직 써놓은 Node보다 link수가 부족합니다. 남현준 학우님께서 언급하셨던 내용 확인하시고, 관계어에 유의해서 link 작성해주세요!

4) Node 작성 후, lst도 꼭 업로드 해주세요! Relation은 최대한 기존에 있는 거 쓰시고, 나머지 부분은 앞서 적어놓은 node와 link를 정리해서 작업 부탁드립니다. (오류가 생기는지 확인하면서 작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차로 적은 노드명과 시대를 분류한 이후에 적은 노드들이 섞여서 겹치는 일(같은 내용이지만 띄어쓰기나 이름만 다른 노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류가 생긴다면 띄어쓰기나 노드명을 꼭 확인해주세요!

박_네! 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