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실습1

KHS DH wiki

단락구성

입력 내용 결과 (목차) 결과 (문서)
=제목=
내용
==제목==
내용
===제목===
내용
====제목====
내용
위키문법1-1.png
위키문법1-2.png

줄 넘김

  • 문단을 구분하거나 줄을 바꿀 때에는
Enter 키를 두 번 입력하거나
② 줄바꿈 태그인 <br/>(break 의 약자) 태그를 입력(권장)
추가: <p>(paragraph 의 약자)도 가능
입력 내용 결과
안녕하세요. 김현승입니다.<br/>
저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자이고<br/>
한복덕후입니다.<br/>
잘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현승입니다.
저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자이고
한복덕후입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글자모양

  • 2개의 작은따옴표를 양쪽에 입력하면 글자가 이탤릭체로 표시
  • 3개의 작은따옴표를 양쪽에 입력하면 진한 글씨체로 표시
  • 5개의 작은따옴표를 양쪽에 입력하면 진한 이탤릭체로 표시
  • <del></del>를 양쪽에 입력하면 취소선 표시
  • <ins></ins>를 양쪽에 입력하면 밑줄 표시
입력 내용 결과
''이탤릭체''
'''진한 글씨체'''
'''''진한 이탤릭체'''''
<del>취소선</del> 
<ins>밑줄</ins>

이탤릭체
진한 글씨체
진한 이탤릭체
취소선
밑줄


글자 색

  • 글자 색을 지정하려면
    • <font color="색상코드 또는 색상이름">...</font>
입력 내용 결과
<font color="tomato">디지털 인문학</font>

디지털 인문학

https://ko.wikipedia.org/wiki/X11_색_이름


목록 표시

  • 순번 목록: #
  • 점 목록: *
  • 순번 목록과 점 목록을 같이 사용할 수 있음
입력 내용 결과
#일
#이
##이의 일
##이의 이
#삼
##삼의 일
###삼의 이 
    1. 이의 일
    2. 이의 이
    1. 삼의 일
      1. 삼의 이
*봄
*여름
*가을
**추석
*겨울
**크리스마스
***산타클로스 
  • 여름
  • 가을
    • 추석
  • 겨울
    • 크리스마스
      • 산타클로스
#작품
#*소설
#*시
#*수필
#인물
##작가
##등장인물
##*소설 속 등장인물
  1. 작품
    • 소설
    • 수필
  2. 인물
    1. 작가
    2. 등장인물
      • 소설 속 등장인물


표 만들기

{| 표의 시작을 의미
! 표의 머리말 작성
|- 표의 행 구분
| 표의 열 구분
|} 표의 끝을 의미
이름 관계 첫 만남
김인문 동네친구 2000년 유치원
이정보 학교선배 2021년 성균관대학교
최복식 학교동기 2022년 카레집

내부 링크

  • 문서의 제목 양쪽에 대괄호를 두 개씩 입력하여 자유롭게 링크 생성 [[ ]]
  • 붉은색 글씨는 존재하지 않는 문서일 경우에 나타남
  • A문서 내에서 A문서를 가리키는 링크는 단순히 굵은 글씨체로 나타남
  • | (파이프 문자) 를 사용하여 링크의 제목을 변경할 수 있음
입력 내용 결과
[[김현승]]

김현승

[[김현승|자기소개]]

자기소개

[[실습1]]

실습1


외부링크

  • "http://", "https://"로 시작하는 주소를 링크로 인식
  • 외부 사이트 링크는 URL 양쪽에 대괄호를 입력하여 생성 [ ]
  • 링크에 이름을 부여할 경우, URL 뒤에 한 칸을 띄운 뒤 이름 입력
입력 내용 결과
URL 보이기
http://dh.aks.ac.kr/wiki/index.php

http://dh.aks.ac.kr/wiki/index.php

이름이 없는 링크
[http://www.aks.ac.kr]

[1]

이름이 부여된 링크
[http://www.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미지 넣기

  • 위키 sidebar > 파일 올리기 페이지 or 검색창에 특수:올리기를 검색하여 나타나는 페이지에서 파일을 업로드
    • 위키 계정을 가진 사용자만 파일 업로드 가능
  • 파일이 업로드되면 파일마다 파일 페이지가 생성됨
  • 위키 페이지에서 [[파일:파일이름.확장자]]를 입력하여 업로드한 파일의 하이퍼링크 제시
  • 확장자명은 반드시 대소문자를 구별하여 정확히 기재 (jpg, JPG, png, PNG)
입력 내용 결과
이미지 파일을 원본 크기 그대로 사용

[[파일:고임음식.png]]

고임음식.png

이미지 크기 지정
(픽셀 대신 px 입력 가능)

[[파일:고임음식.png|100픽셀]]

고임음식.png


동영상 삽입

  • 위키 페이지에 HTML <iframe> 태그 사용
  • 영상 화면 우클릭 > 소스 코드 복사 선택
  • <html></html> 태그 사이에 붙여 넣기
  • width(영상 폭)와 height(영상 높이)에 원하는 수치를 입력하여 영상 크기 조절
입력 내용 결과
  • 유투브

<html>
<iframe width="360" height="200" src="https://www.youtube.com/embed/ysalYk9R_RU" title="SUB) 계절의 시작 K-culture daily life / 한옥, 살림 / Korean-style house Han-ok, living"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html>


출처 표기하기

  • '각주 표시'와 '각주 목록'으로 이루어짐
  • 각주 표시: <ref></ref>사이에 각주 내용을 기술
  • 각주 목록: 문서의 원하는 부분에 <references/>를 삽입하여 각주 목록 생성
  • 기본적으로 각주 목록은 위키 문서 제일 하단에 생성됨
입력 내용 결과

*개요
조선시대의 왕과 왕비, 왕세자,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가 종묘제례, 사직제례, 책례, 가례, 정월 초하루ㆍ동짓날ㆍ경축일 등의 의례를 시행할 때 발에 신는 붉은 색 버선.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2쪽.</ref>
*각주
<references/>
*참고문헌

  1. 국립고궁박물관(엮음),『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2. 국립고궁박물관,『왕실문화도감』,국립고궁박물관, 2013.
  3. 金鎭玖,「背戍의 硏究」,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복식문화학회, 1997.
  • 개요

조선시대의 왕과 왕비, 왕세자, 대한제국 황제와 황태자가 종묘제례, 사직제례, 책례, 가례, 정월 초하루ㆍ동짓날ㆍ경축일 등의 의례를 시행할 때 발에 신는 붉은 색 버선. [1]

  • 각주
  1. 이동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2쪽.
  • 참고문헌
  1. 국립고궁박물관(엮음),『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2. 국립고궁박물관,『왕실문화도감』,국립고궁박물관, 2013.
  3. 金鎭玖,「背戍의 硏究」, 『복식문화연구』 5권 4호, 복식문화학회, 1997.


문서 분류하기

  • 특정 맥락의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길잡이 역할
  • "분류"를 클릭하면 해당 분류와 관련된 문서의 집합이 자동적으로 생성됨
  • 새로 작성하는 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류"를 명기함으로써, 해당 문서의 맥락이 무엇인지 정리해두는 것이 필요함
  • 위키 문서에 [[분류:분류명]] 기입 - 분류명에는 문서와 관련된 주제를 입력
  • 특수:분류에서 전체 분류 목록 확인 가능
입력 내용 결과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Clothing]] [[분류:2022:김현승]]

위키문법자료-009.png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2 에 속하는 위키 문서들을 확인 가능
위키문법자료-010.png


틀 만들기

  • 여러 문서들 간에 공통적인 부분이 있을 때, 그 부분을 따로 모아 틀로 작성하고 삽입하면 어느 문서에서나 일관된 형식을 유지할 수 있음
  • 틀을 정의하는 문서를 작성하고, 원하는 문서에서 해당 틀을 불러와 사용
① 검색창에 틀:틀제목 문서 검색(예:틀:형광펜)
② 해당 문서에 틀로 보이고자 하는 문서 작성하여 저장
③ 틀을 삽입하고 싶은 문서에 해당 틀을 복사하여 삽입
틀 정의 틀 사용 결과

{{#if:{{{2|}}}|<span style="background-color:{{{1}}};">{{{2}}}</span>|{{#if:{{{1|}}}|<span style="background-color:#ffffcc;">{{{1}}}</span>}}}}

  • 아래의 부분만 복사하여 틀을 삽입하고자 하는 문서에 붙여 넣음
{{형광펜|안녕하세요}}
{{형광펜|#ffcccc|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지도 만들기

수업자료 1-4 나의 지도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