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

KHS DH wiki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
(扶餘龍井里喪輿)
용정리 상여소리.jpeg
한글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
한자 扶餘龍井里喪輿
유형 무형유산




정의

부여군 부여읍 용정리에 전승하는 행상(行喪)소리이다.

내용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는 호상소리라 하는데, 호상이란 복을 누리며 오래 살던 사람이 죽은 일을 뜻한다. 호상소리가 시작된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선소리꾼인 하운(호상놀이 예능보유자)씨를 통해 오래 전부터 전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용정리 상여소리는 진소리, 짝수소리, 두마디소리, 자진소리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중에서 상여꾼들이 나뉘어져 서로 다른 소리를 주고받는 짝수소리가 특징이다. 상여가 나갈 때는 가장 느린 진소리를 하다가 짝수소리가 시작된다. 짝수소리는 한 소리가 끝나면 후렴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소리가 시작된다. 즉 주고받는 형식에 겹쳐지는 소리 부분이 있어서 겹상여소리가 된다. 다른 두 가사를 노래하기 때문에 고도의 가창력이 발휘되며, 슬프고 장엄한 음악성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짝수소리는 부여와 공주 일부지방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소리로 백제문화권을 대표하는 특징적인 소리이다.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는 죽음에 대한 슬픔을 온 동네주민이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장엄한 소리로 독특함을 지니고 있다.[1]

데이터(Data)

노드(Node) 정보

id class label infoUrl iconUrl
용정리_상여소리 Event 용정리_상여소리

공간 정보

  •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 보존회 위치
위도 경도 주소
36.2901566 126.9439061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용정리




시각자료

갤러리

참고문헌

  1.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
  3.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