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KHS DH wiki

no id text
N00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2-S02 문학은 사상성을 가짐으로써 사상교양의 힘있는 수단으로 되며 예술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형상을 통한 교양을 가장 효과있게 실현한다.
N00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3-S01 사상성과 예술성은 형상창조과정에 결합되는 두 측면으로서 문학 예술작품의 존재방식과 특성, 그 가치를 규정해준다.
N00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5-S01 《훌륭한 문학예술작품의 특징은 시대의 요구와 인민의 지향에 맞는 높은 사상예술성에 있습니다.》
N00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6-S01 훌륭한 문학작품의 특징은 높은 사상예술성에 있다.
N005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7-S01 형상적 결실로 맺어지는 문학작품은 사상성과 예술성의 결합으로 존재하며 그 특징과 가치평가도 이 두 측면을 어떻게 결합시켜나가는가 하는데 달려있다.
N006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7-S02 사상성과 예술성을 확고히 결합시켜 나가는 창작 과정에 형상이 무르익고 결실되여 훌륭한 문학작품이 나오게 된다.
N007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7-S03 종자를 꽃 피워가는 형상창조과정이야말로 심오한 인간문제를 주제로 내세우고 그것을 형상으로 풀어 높은 사상성을 형상적 결론으로 얻어내는 창조적인 과정이며 높은 사상성을 고상한 예술성으로 풀어나가는 작품의 생리적 과정이다.
N008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8-S01 작품창작과정이 보여주는바와 같이 문학과 그 창조물은 사상성과 예술성의 결합으로 존재하며 그것을 본질적인 속성으로 하고있다.
N009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8-S02 문학에서 사상성이 없으면 사상교양을 실현할 수 없으며 예술성이 없으면 언어예술로 존재할 수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