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KHS DH wiki

문학기본 (류학생용)

제1장. 문학의 본성
제1절. 문학의 개념
(2) 문학과 예술의 공통성과 차이




no id text
N00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1-S01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N00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2-S01 《예술은 구체적이며 감성적인 형상을 통하여 인간과 그의 생활을 반영하는 사회의식의 한 형태이다.》(《김정일선집》 증보판 제15권 328폐지)
N00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3-S01 언어예술을 비롯한 모든 예술형태들은 사회적의식의 한 형태로서 인간과 그의 생활을 구체적이며 감성적인 형상을 통하여 반영한다.
N00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4-S01 문학과 예술은 다같이 인간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하여 예술적형상을 창조한다는데서 공통성을 가진다.
N005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5-S01 문학과 예술은 우선 묘사대상의 공통성을 가진다.
N006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5-S02 문학과 예술은 다같이 사람의 미학적요구를 반영하여 나오면서부터 력사적으로 인간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하여 창조되였다.
N007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1 물론 인간생활을 반영하는것은 비단 문학과 예술만이 아니다.
N008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2 사회과학의 적지 않은 분야들이 인민대중의 자주적이며 창조적인 생활과 투쟁을 대상으로 한다.
N009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3 력사과학은 력사의 창조자인 인민대중의 자주적이며 창조적인 생활과 투쟁을 대상으로 하여 력사발전의 합법칙성을 밝혀낸다.
N010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4 사회정치학과 경제학은 사회정치생활과 경제생활령역을 대상으로 하여 거기에 작용하는 법칙과 원리, 합법칙성을 밝혀낸다.
N01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7-S01 그러나 사회과학에서는 인간생활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그 대상령역이 국한되여있을뿐아니라 생활 그자체를 직접 보여주거나 화폭으로 펼쳐주지 못한다.
N01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8-S01 이와는 달리 문학과 예술은 인간생활이 미치는 모든 령역을 직접 대상으로 하여 인간문제를 밝혀내며 생활그대로의 형식으로 생활화폭을 펼쳐간다.
N01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9-S01 문학과 예술은 또한 형상창조의 방법에서 공통성을 가진다.
N01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9-S02 문학과 예술은 다같이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하며 형상을 창조하는 형식과 방법에 의거하게 된다.
N015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9-S03 형상을 창조하는 형식과 방법에 의거하고있다는데 문학과 예술에 공통성이 있으며 과학과 구별되는 본질적차이가 있다.(1:15)
N016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0-S01 과학이 론리적형식에 의거한다면 문학과 예술은 다같이 형상적형식에 의거한다.
N017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0-S02 과학이 론리를 세우고 추리, 판단하는 추상화의 방법을 쓴다면 문학과 예술은 다같이 생활그대로를 펼쳐보여주는 생활형식에 의거하여 구체적이며 생동한 형상을 창조해내는 예술적방법을 쓰게 된다.
N018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0-S03 형상적형식, 예술적방법은 론리적형식, 과학적방법과 구별되는 문학예술에서만 있게 되는 고유한 형상창조의 형식과 방법이다.
N019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1-S01 문학과 예술은 원래 형상을 창조하게 되면서 독자적인 분야로 생겨나고 발전하였으며 생활반영에서 자기 고유의 형식과 방법을 부단히 완성시켜나갔다.
N020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1-S02 예술적형상을 창조하는 과정에 문학과 예술은 공통성을 가지고 다같이 형상창조의 원리와 방법을 구현하게 되였으며 서로 의존하고 통일되는 관계에 놓여있게 되였다.
N02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2-S01 문학과 예술은 묘사대상과 형상창조의 방법에서 공통성을 따지만 기본형상수단에서는 차이를 가진다.
N02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2-S02 예술이 여러 형태로 나뉘어지는것도 많은 경우에 형상수단, 수법과 관련된다.
N02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3-S01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N02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4-S01 《예술이 여러가지 형태로 구분되는것은 주로 생활을 반영하는 형상수단과 수법이 다른것과 관련된다.》(《김정일선집》 증보판 제14권 13폐지)
N025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5-S01 형상수단과 수법을 어떻게 쓰는가 하는데 따라 예술은 여러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N026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6-S01 문학이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인간생활화폭을 그려낸다면 예술의 여러 형태들은 각기 자기 고유의 형상수단을 가지고 인간생활화폭을 창조한다.
N027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7-S01 음악과 무용, 미술과 무대예술인 연극, 가극 그리고 화면예술인 영화 등은 그 대표적인 실례이다.
N028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7-S02 물론 예술에는 형태간의 결합과 침투로 하여 이외에도 다양한 형식과 양상을 가진것들이 있다.
N029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7-S03 예술이 여러 종으로 갈라지게 된것은 다같이 인간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하여 예술적형상을 창조함에 있어서 그 형상수단을 각기 다르게 쓰고있는것과 많이 관련되여있다.
N030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8-S01 미술은 색과 선을 기본형상수단으로 하여 인간생활의 생동한 모습을 직접 볼수 있게 조형적형상을 창조한다.
N03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8-S02 다시말하여 문학이 언어를 가지고 생활화폭을 그려낸다면 미술은 선과 색을 가지고 직접 그림을 그려가며 인간생활의 미를 살려낸다.
N03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9-S01 음악은 음률로써 조화롭게 결합시킨 선률을 수단으로 하여 인간생활을 정서적으로 밝혀내며 무용은 춤가락, 률동을 수단으로 하여 인간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한다.
N03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0-S01 무대예술인 연극과 가극은 무대조건에서 배우의 연기로써 인간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한다.
N03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0-S02 연극에서는 배우의 대사와 행동으로, 가극에서는 노래와 약간의 대사, 행동으로 형상을 창조하며 무대미술과의 결합속에서 예술성을 높여나간다.
N035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1-S01 화면예술인 영화는 움직이는 그림을 비쳐서 인간생활화폭을 얻어내는 예술로서 화면이 기본형상수단이다.
N036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1-S02 기록영화는 현실생활을 직접 촬영하여 화면을 얻어내며 만화영화는 그림을 그려내여 그것으로써 영화화면을 얻어낸다.
N037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1-S03 예술영화일 때는 생활환경과 함께 배우의 연기 행동과 대사가 화면형상의 기본을 담당하게 된다.
N038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2-S01 문학과 예술은 이처럼 기본형상수단에서 본질적인 차이를 가진다.
N039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2-S02 이것은 기본형상수단에 의하여 그 예술의 특성, 명명까지 규정되게 된다는것을 보여준다.
N040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3-S01 문학과 예술은 다같이 인간과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하는데서 공통성을 가지지만 기본형상수단리용에서 본질적인 차이를 가지고있는것으로 하여 자기 고유의 형태와 독자적인 분야를 이루게 되였을뿐아니라 서로 교호하고 침투되면서 새로운 형태, 양식을 낳게 되였다.
N04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4-S01 문학이야말로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예술적형상을 창조해냄으로써 언어예술로서의 독자성을 살려냈을뿐아니라 영화와 가극, 연극을 비롯한 여러 예술형태들의 사상예술적기초를 마련하여 주체의 인간학으로 발전시키는데서 적극적인 역할을 놀게 되였으며 예술전반을 힘있게 추동해나가게 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