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문학기본 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KHS DH wiki

문학기본 (류학생용)

제1장. 문학의 본성
제1절. 문학의 개념
(1) 문학은 언어예술




no id text
N00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1-S01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문학은 언어예술이라는 고전적인 정식화를 주시였다.
N00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2-S01 문학은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예술적형상을 창조하는 언어예술이다.
N00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2-S02 언어로써 형상을 창조하게 되면서 《문학》이라는 형상적인 글형식이 생겨나고 력사기록이나 정사체, 일반글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언어예술분야가 발전하게 되였다.
N00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2-S03 다시말하여 말과 글로써 생활화폭을 창조하는 언어예술이 왕성하게 발전하고 그것이 예술발전을 적극 추동하게 되면서 문학은 예술령역에서 독자적인 지위를 차지하게 되였을뿐아니라 예술과 구별하여 《문장》, 《문학》으로 명명되게 되였다.
N005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3-S01 오늘날 예술적형상을 창조하는 분야를 문학예술분야로 통칭하거나 예술과 구별하여 문학을 독자적인 분야로 명명하게 되는것도 그것이 언어예술, 문장예술이라는 본질적인 내용과 관련되여있다.
N006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4-S01 하기에 문학을 언어예술로 정식화하여주신 위대한 장군님의 명언은 문학에 대한 심오한 과학적분석에 기초하여 문학의 개념을 독창적으로 정립시킨 력사적공헌으로 된다.
N007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5-S01 력사적으로 보면 《문학》이란 말은 글을 공부하거나 글쓰는 일을 하는 분야를 포괄하여 범박하게 씌여졌으며 《문과》(文科), 《문인》, 《문장가》와 어울려 쓰이기도 하였다.
N008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5-S02 글쓰는 분야가 발전하고 력사기록적인 글이나 정사체, 론리적인 글형식과 함께 야사체글, 시가와 예술적산문들이 나오게 되면서 형상적인 글을 적지 않게 《문장》이라고 명명하였으며 그 창작자를 《문인》 또는 《문장가>라고 부르게 되였다.
N009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6-S01 성현은 《용재총화》에서 문장에 대하여 론한다(論文章)고 하면서 우리 나라의 문장은 맨 처음에 최치원으로부터 유명하여져 이웃나라에까지 명성을 떨치였다고 하였고 문장을 시와 산문으로 갈라보았다.
N010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7-S01 김춘택은 문집 《북헌집》에서 문장을 시와 가사, 소설 등으로 갈라서 이야기하였으며 송강 가사와 서포 김만중의 소설에 대하여 평가를 주었다.
N01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8-S01 중세문인들은 문학을 《文》(글) 또는 《文章》으로 명명하고 문장이 어떤것으로 되여야 하는가를 일찍부터 론의하였으며 자기나름의 견해를 표명하였다.
N01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9-S01 리인로는 《파한집》에서 이 세상 모든 사물중에서 귀천과 빈부를 기준으로 하여 높고낮음을 정하지 않는것은 오직 문장뿐이라고 하였으며 최자는 《보한집》에서 문장의 기백은 호매하고 장중하며 풍격은 굳세고 맑아야 한다고 하였다.(9:12, 27~28)
N01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0-S01 중세문인들이 《문장》이란 명명을 문학을 염두에 두고 써왔다는것은 중세말기 정약용의 《여유당전서》에 비교적 석연하게 밝혀져있다.
N01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0-S02 그는 문학작품을 쓰거나 익히는 일을 《문장지학》(文章之學) 즉《문장학》이라고 제목화하면서 문장이란 어떤것인가(夫所謂文章何者)하는것을 비유적으로 설명하였다.
N015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0-S03 그는 옛사람들은 고전으로 문장을 익히고 배웠다는것을 시사하면서 문장학을 《문》을 익히고 배우는 학문분야, 《문학》으로 새롭게 리해하였다.(9: 96~100)
N016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1-S01 《문장》을 글재주, 언어예술과 결부시켜 《문학》으로 명명한것은 근대에 들어와서이다.
N017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1-S02 형상적인 글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가 깊어지면서 언어예술분야를 《문학》으로 명명하여왔지만 문학의 개념에 대한 정확한 리해는 주어지지 못하였다.
N018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2-S01 지난 시기 《문학》에 대한 범박한 리해는 세계적인 범위에서 보더라도 마찬가지였다.
N019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2-S02 형상창조, 미창조의 령역이라는데서는 리해를 같이하였지만 그 명명이 각이하고 대상에 대한 리해와 표현도 달라 문학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세우지 못한채 오랜 세월이 흘러왔다.
N020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3-S01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관념론적인 모방설을 반대하여 예술은 실제적인 현실과 그 미를 모방한다고 주장하면서 문학과 예술을 다 포괄하여 미창조, 형상창조의 분야로 보고 비극과 희극, 시 등을 각기 설명하였지만 《문학》을 갈라보지 못하고 《시학》이라는 범주안에서 해석하였다.
N02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4-S01 문학과 예술을 포괄하여 《시학》으로 본것은 문예부흥기 인문주의미학을 거쳐 17세기 고전주의미학에 와서도 마찬가지였다.
N02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5-S01 부알로는 시예술과 함께 극예술을 포괄하여 문학예술에 대한 론의를 《시론》으로 범박하게 표제함으로써 문학을 《시》의 테두리안에서 해석하였다.
N02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6-S01 문학이 초창기 《가요》, 《가사》, 《시》로부터 나오고 표상된것은 세계적인 범위에서도 공통하며 《시문》을 본래의 의미에서의 《문장》으로 리해해온것도 사실이다.
N02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6-S02 이것은 문학이란 명명이 퍽 후에 와서 나오게 되였을뿐아니라 그 개념이 범박한 뜻으로 씌여져왔다는것을 말하여준다.
N025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7-S01 18세기 계몽주의미학에 와서도 문학과 예술을 통털어 미창조의 분야로 보고 미학의 범주안에서 문학을 론의하였다.
N026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7-S02 이것은 디드로의 《미학론》에서 집중적으로 보게 되며 칸트나 헤겔의 관념론미학과 포이에르바흐의 유물론미학에 와서도 범박한 해석을 피하지 못하였다.
N027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8-S01 로씨야의 민주주의미학자나 평론가인 경우에도 문학과 예술을 갈라서 종류, 형태, 쟝르별로 론의하였지만 그것도 미창조, 형상창조의 견지에서 문학작품을 평가하고 론의하였을뿐 문예학적개념을 밝히는 데는 주의를 돌리지 못하였다.
N028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9-S01 맑스주의미학에 이르러 문학을 예술적형상을 창조하는 특수한 사회적의식의 한 형태로 규정하고 그것의 교양적역할을 높이기 위한 창작실천적문제들을 적지 않게 론의하였다.
N029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9-S02 례하면 문학작품창작에서 성격을 살리고 구성과 장면의 생동성과 진실성을 보장하며 사실주의적전형화를 실현하는 문제, 문학의 사상성과 계급성을 높이고 예술성을 강화하여 사상교양적기능을 높일데 대한 문제 등에 대하여서는 적지 않게 론의되였다.(8: 127~165)
N030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0-S01 《문학》에 대한 가장 정확한 개념의 과학적정립은 주체문학예술의 대전성기를 마련하기 위한 위대한 령도의 나날에 《문학》에 담겨진 깊은 뜻을 력사적으로 깊이 통찰하신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 《문학은 언어의 예술이다.》라는 고전적인 정식화를 주심으로써 비로소 이루어지게 되였다.
N03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1-S01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N03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2-S01 《문학은 언어를 통하여 인간과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하는 예술입니다.》(《김정일선집》 증보판 제10권 110폐지)
N03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3-S01 문학은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인간과 그 생활을 화폭으로 그려내는 언어예술이다.
N03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3-S02 다시말하여 인간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하여 언어로써 형상을 창조하는 문장예술이다.
N035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3-S03 음악이나 춤이 인간생활을 선률이나 률동으로 형상적으로 반영하는 예술이라면 문학은 언어로써 인간생활화폭을 창조해내는 언어예술이다.
N036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4-S01 문학이 언어를 통하여 인간과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하는 예술이라는 정식화에는 문학의 묘사대상과 형상방법, 형상수단의 세 측면이 뚜렷이 밝혀져있다.
N037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5-S01 문학은 우선 인간과 그 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한다. 인간과 그 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한다는것은 문학에서 그리는 대상이 다름아닌 인간생활이며 그자체가 인간형상을 창조하는데 바쳐진다는것을 의미한다.
N038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6-S01 문학은 사람의 미학적요구를 반영하여 생활과정에서 나왔으며 생활의 문화적표현으로 창조되였다.
N039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6-S02 생활은 문학의 내용으로 들어올뿐아니라 표현형식으로 된다.
N040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7-S01 문학은 인간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함으로써 인간학으로서의 내용과 표현형식을 갖추게 되였으며 생활의 교과서로서의 사상인식교양의 역할을 원만히 수행할수 있게 되였다.
N04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8-S01 문학은 인간생활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여러 측면에서 다양하고 풍부하게 반영한다.
N04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8-S02 다시말하여 정치생활, 경제생활, 문화생활 등 여러 생활령역을 폭넓고 풍부하게 그려내여 형상의 폭과 깊이를 다같이 보장한다.
N04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8-S03 인간의 자주적이며 창조적인 생활과 살고있는 생활환경과 사회적관계 등 사회생활령역을 자료로 하여 그것을 폭넓게 종합적으로 반영한다.
N04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1 문학은 인간생활이 미치는 모든 분야를 대상으로 하며 현재뿐아니라 미래와 과거생활도 자유롭게 그려낸다.
N045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2 하나의 작품에도 주인공의 생활로정과 함께 일정한 력사적시기의 여러 생활분야가 들어오게 된다.
N046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3 작품의 주제사상적내용에 따라 생활이 취사선택되여진다는 점에서는 제한이 있지만 문학이 묘사대상으로 하는 인간생활령역은 제한되여있지 않다.
N047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4 문학은 그릴수 있는 인간생활의 모든 령역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생활을 다양하고 폭넓고 풍부하게 그려내여 생활의 참된 교과서로 적극 복무하게 된다.
N048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0-S01 문학은 또한 인간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한다.
N049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0-S02 인간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한다는것은 생활을 론리적형식으로 보여주는것이 아니라 생활그대로의 형식으로 보여줌으로써 예술적형상을 창조한다는것을 의미한다.
N050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1-S01 문학은 인간생활을 현실그대로 느끼고 받아들일수 있게 생동하게 그려냄으로써 예술적화폭을 창조할뿐아니라 형상을 창조하는 방법으로 생활을 반영한다.
N050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2-S01 문학은 생활반영에서 형상적인 형식과 방법에 의거함으로써 론리적인 형식이나 추상화의 방법과 달리 구체적이며 생동한 인간생활모습을 화폭으로 보여준다.
N05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2-S02 인간과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하여 예술적화폭을 창조한다는데 문학이 다른 사회적의식형태, 교양수단과 구별되는 차이도 있다.
N05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3-S01 과학이 론리적인 형식, 추상화의 방법으로 설정된 모든 문제를 풀어나간다면 문학은 생활그대로의 형식, 형상화의 방법으로 설정된 인간문제를 예술적으로 풀어나간다.
N05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3-S02 전자가 론리적형식에 의거한 과학적인 방법이라면 후자는 생활형식에 의거한 예술적방법, 형상창조의 형식과 방법이다.
N05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3-S03 생활형식에 의거하여 형상을 창조하게 되면서 예술적형식과 방법이 탐구되고 문학과 예술이란 독특한 창조물이 생겨나게 되였다.
N055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3-S04 따라서 생활반영의 형상적형식과 방법을 떠나서 문학과 예술의 존재에 대하여 말할수 없다.
N056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4-S01 문학은 또한 언어를 기본수단으로 하여 형상을 창조한다.
N057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4-S02 문학에서 언어가 기본형상수단으로 되는것은 그것이 말과 글로써 화폭을 창조하는 언어예술이라는 사정과 관련된다.
N058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5-S01 문학은 력사적으로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인간과 그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함으로써 다른 예술형태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언어예술분야를 이루게 되였다.
N059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5-S02 예술의 넓은 령역에서 문학을 독자적인 문학예술로 갈라보게 된것도 그것이 다름아닌 언어를 기본형상수단으로 하는 언어예술이기때문이다.
N060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6-S01 언어를 떠나서 문학의 형상수단에 대하여 말할수 없으며 언어예술이라는 개념이 세워질수 없다.
N06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6-S02 형상수단에 의하여 해당 예술의 명명이나 개념이 밝혀지게 되는것은 음악이나 무용, 화면이나 무대예술에서도 공통하다.
N06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6-S03 형상수단을 무엇으로 하는가에 따라 예술령역에서 그 대상에 대한 개념도 형성되고 종이 나누어지게 된다.
N06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7-S01 문학은 예술령역에서 언어를 가지고 예술적화폭, 형상을 창조하는 것으로 하여 음악이나 무용예술과 구별되는 독특한 형상수단을 가진 언어예술로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