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내지리단잡기

KHS DH wiki

내지리단잡기
(內地里 丹잡기)
내지리단잡기.jpg
한글 내지리단잡기
한자 內地里 丹잡기
유형 무형유산




정의

충청남도 부여 세도면 동사리 일대에서 김매기를 할 때 치는 풍물놀이이다.

내용

이란 단독(丹毒)이라고도 하는데, 피부에 붉은 반점 또는 흰반점이 생기고 얼굴이 벌겋게 부어오르는 괴질로 알려진 질병이다. 이병은 마을과 집안에 부정이 있거나 잡귀나 잡신이 침범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단은 남녀노소 불문하고 발병하며 단이 발병한 부위는 42도정도 고열이 오르기도 한다.


단의 생김과 형태에 따라 청단, 태단, 황단, 홍단, 팥단, 풍단, 띠단, 녹두단, 토단, 메밀단, 백단, 구목 광솔단 등 12단으로 나뉜다. 단이 발병하는 것을 "단이 들었다"라고 하는데 발병하면 침을 놓거나, 백반, 자라피 등을 바르는 민간요법이나 부정 퇴치법으로 단을 잡는 의식을 하게 되는데 이를 "단잡기"라 한다.


내지리 단잡기는 사람이 많이 참가해서 소리가 내지리 세동네에 울려퍼져야 효과가 있다하여 마을사람들이 대부분 참여하여 단결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독특한 치병의식이다.


사설내용중 단귀신을 물리치며 "당나라로 속거천리 하라"는 표현이 있어 이 놀이가 백제의 멸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백제유민의 한과 심성이 함축성 있게 표출되어 오랜 전통과 역사의식이 뛰어난 민속놀이로 제 36회 전국민속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1]

데이터(Data)

노드(Node) 정보

id class label infoUrl iconUrl
내지리단잡기 Event 내지리단잡기

공간 정보

  • 세도 두레풍장이 이루어지는 일대 공간
위도 경도 주소
36.280999 126.8242396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내지리



시각자료

갤러리

참고문헌

  1. 이동 "내지리단잡기",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이동 "내지리단잡기", 부여군청 홈페이지
  3. 이동 "내지리단잡기", 부여군청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