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와 인사의 관계성 관련 자료 고증

김바로 온톨로지 위키(ddokbaro's Ontology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학교의 명칭과 변화 샘플

■ 한성사범학교부속소학교(漢城師範學校附屬小學校)[1], 관립한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官立漢城師範學校附屬普通學校) : 한성사범학교부속소학교는 1895년 4월 16일 칙령 제79호 한성사범학교관제(漢城師範學校官制)[2]에 의거하여 1895년 5월 1일부로 1894년 9월 18일에 개교한 관립교동왕실학교[3]를 대체하며 설치되었다. 1895년 7월 23일 학부령 제1호 한성사범학교병부속소학교규칙(漢城師範學校竝附屬小學校規則)에 의거하여 한성사범학교 학생들의 교육법 실습을 위하여 설치됨을 다시 강조하였다. 1906년 8월 27일 칙령 제41호 사범학교령(師範學校令)[4]에 의거하여, 1906년 9월 1일부로 관립한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로 개편하였다. 그리고 1906년 8월 27일 칙령 제44호 보통학교령(普通學校令)[5] 및 1906년 9월 1일 학부령 제24호 학부직할보통학교명칭(學部直轄普通學校名稱)[6]에 의거하여 개교한 관립교동보통학교(官立校洞普通學校)를 1906년 9월 1일 학부령 제25호 “관립교동보통학교의 관립한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 대용건”[7]에 의거하여 1906년 9월 1일부로 관립한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로 대용하였다. 1907년 8월 30일 학부령 제2호 “관립안동보통학교의 관립한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 대용 및 광무 10년 학부령 제25호 폐지건"[8]에 의거하여 1907년 9월 1일부로 1906년 9월 1일 학부령 제24호 학부직할보통학교명칭(學部直轄普通學校名稱)[9]에 의거하여 설치된 관립안동보통학교를 관립한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로 대용하였다. 1907년 12월 31일 학부령 제6호 “관립안동보통학교를 관립한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로 개칭건”[10]에 의해서, 1908년 1월 1일부로 관립안동보통학교가 관립한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로 개편하였다. 1894년 9월 18일에 설치된 관립교동왕실학교로부터 이어진 관립교동보통학교는 현재의 서울교동초등학교[11]에 위치하였다.[12] 다만 1907년 9월 1일까지 관립한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로 대용되다가 1908년 1월 1일부로 관립한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로 개명한 관립안동보통학교의 명확한 위치는 미상이지만, 현재의 연합뉴스빌딩 근처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3]


제도의 명칭과 변화 샘플

직위 샘플

■ 교관(敎官) : 교관은 1895년 4월 16일 칙령 제79호 한성사범학교관제(漢城師範學校官制)[14]에 의거하여 한성사범학교에 2명 이하의 주임관 혹은 판임관으로 편성된 직책이다. 교관의 직무는 학생의 교육을 담당하는 것이다.[15] 1899년 4월 4일 칙령 제11호 중학교관제(中學校官制)[16]에 의거하여 7명 이하의 주임관 혹은 판임관으로 편성하고, 필요에 따라서 학부 주임관이 겸임하도록 하였다. 1906년 8월 27일 칙령 제40호 학부직할학교급공립학교관제(學部直轄學校及公立學校官制)[17]에 의거하여, 주임관인 교관은 3명 이하로 하였다. 1906년 9월 3일 칙령 제45호 학부직할학교직원정원령(學部直轄學校職員定員令)[18]에 의거하여 한성사범학교는 교관과 부교관 모두 합쳐서 7명, 관립한성고등학교는 교관과 부교관 모두 합쳐서 8명으로 편성하였다. 1907년 12월 13일 칙령 제55호 학부직할학교급공립학교관제(學部直轄學校及公立學校官制)[19]에 의거하여, 교수로 직책명이 변경되었다.


직급 샘플

■ 소학교(小學校), 보통학교(普通學校) : 1895년 7월 19일 칙령 제145호 소학교령(小學校令)[20]에 의거하여, 학교장은 1명으로 교원이 겸직하거나 때에 따라서 학부 혹은 지방청 주사가 겸직하였다. 학교장은 판임관에, 교원은 인원수의 제약 없이 판임관에 임명하였다. 부교원은 법령에서 언급되지 않으며, 공립학교에서 필요에 따라서 임명하였다. 1906년 8월 27일 칙령 제44호 보통학교령(普通學校令)[21]에 의거하여 소학교는 보통학교로 개편되었다.

1906년 8월 27일 칙령 제44호 보통학교령(普通學校令)[22]에 의거하여, 학교장은 1명으로 교원이 겸직하거나 특별한 경우에 전임직으로 하였다. 교원은 인원수의 제한 없이 판임관에, 부교원은 인원수의 제한 없이 판임관에 임명하였다. 1907년 12월 30일 칙령 제83호 보통학교령중개정건(普通學校令中改正件)[23]에 의거하여, 학교장은 1명으로 본과훈도의 겸임직으로, 교감은 1명으로 본과훈도가 겸임하거나 특별한 경우에 전임직으로 하였다. 본과훈도, 본과부훈도, 전과훈도, 전과부훈도는 인원수의 제한 없이 법령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판임관에 임명하였다. 1908년 6월 22일 학부훈령 제66호 학무위원규정준칙(學務委員規程準則)[24]에 의거하여, 학교장은 1명으로 본과훈도의 겸임직으로, 교감은 1명으로 본과훈도가 겸임하거나 특별한 경우에 전임직으로 하였다. 본과훈도, 본과부훈도, 전과훈도, 전과부훈도는 인원수의 제한 없이 법령이 명확히 규정되지 않았지만 판임관에, 학무위원을 명예직에 임명하였다.


직봉 샘플

학교 교원을 제외한 다른 직위는 기본적으로 1895년 3월 27일 칙령 제57호 관등봉급령(官等俸給令)에 의거하여 직봉을 수령하였다. 그러나 학교 교원은 1905년 6월 23일 칙령 제34호 관등봉급령(개정)(官等俸給令(改正))[25]이 발효되기까지 독립적인 직봉 체계를 유지하였다.

1895년 4월 16일 칙령 제80호 한성사범학교직원관등봉급령(漢城師範學校職員官等俸給令)[26]에 따르면, 직위에 관계없이 한성사범학교의 주임관 1등은 1,600원을, 주임관 2등은 1,400원을, 주임관 3등은 1,200원을, 주임관 4등은 1,000원을, 주임관 5등은 800원을, 주임관 6등은 600원을, 판임관 1등은 500원을, 판임관 2등은 420원을, 판임관 3등은 360원을, 판임관 4등은 300원을, 판임관 5등은 240원을, 판임관 6등은 180원을, 판임관 7등은 150원을, 판임관 8등은 120원을 연봉으로 수령하였다.


인사운영의 용어용례 샘플

■ 임(任) : 임은 일반적인 임명을 의미한다.


(이름)(任)(조직명)(직위명)(敍)(직급명)(직위명)(직봉명)

洪性天 任 官立小學校 敎員 敍 判任官 六等 給二級俸[27]


(任)(조직명)(직위명)(敍)(직위)(직위명)(직봉명)(이름)

任 金浦郡公立小學校 敎員 敍 判任官 六等 趙寬增[28]


(이름)(이름)(이름)(이름)(任)(조직명)(직위명)(敍)(직급명)(직위명)(직봉명)

元泳義 洪性天 任 官立小學校 敎員 敍 判任官 六等 給二級俸[29]


(이전조직)(이전관직명)(이름)(任)(조직명)(직위명)(敍)(직급명)(직위명)

漢城師範學校 敎員 朴之陽 任 官立小學校 敎員 敍 判任官 六等[30]


(이전조직)(이전관직명)(이름)(이전조직)(이전관직명)(이름)(이전조직)(이전관직명)(이름)(任)(조직명)(직위명)(敍)(직급명)(직위명)

漢城師範學校 敎員 朴之陽 漢城師範學校 敎員 朴之陽 漢城師範學校 敎員 朴之陽 任 官立小學校 敎員 敍 判任官 六等[31]


(任)(조직명)(직위명)(敍)(직급명)(직위명)(이전조직 혹은 前)(이전관직명)(이름)

任 官立小學校 敎員 敍 判任官 三等 前 敎員 韓明敎[32]


(前)(이전관직명)(이름)(任)(조직명)(직위명)(敍)(직급명)(직위명)

前 敎員 鄭奎鍾 任 豐德郡公立小學校 敎員 敍 判任官 六等[33]


(이전조직)(이전관직명)(이름)(이전관직명)(이름)(任)(조직명)(직위명)(敍)(직급명)(직위명)

開城府公立小學校 敎員 尹輔榮 仁川府公立小學校 敎員 趙寬增 任 官立小學校 敎員 敍 判任官 四等[34]



주석

  1. 한성사범학교의 전신은 1894년 9월 14일 개교한 관립사범학교부속소학교이다(우용제·안홍선, 「근대적 교원양성제도의 변천과 사범대학의 설립」, 『아시아교육연구』, 제7권, 제4호, 2006, 190~191쪽.). 그러나 본 논문의 대상 범위가 아니기에 소략한다.
  2. 勅令第七十九號, 開國五百四年四月十六日, 法規類編 元(온라인 참조 :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yoksa.aks.ac.kr/jsp/aa/PopupVolView.jsp?mode=&page=&fcs=f&fcsd=&cf=a&cd=&gb=&aa10up=&aa10no=kh2_je_a_vsu_25097_001&aa15no=001&aa20no=25097_001_0054 ) 및 조선왕조실록 1245년 4월 16일 2번째기사(온라인 참조 : 조선왕조실록DB,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za_13204016_002 ).
  3. 교동초등학교[Kyodong Elementary School,校洞初等學校],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6434
  4. 勅令第四十一號, 光武十年八月二十七日, 왕실자료 칙령②(온라인 참조 : 왕실자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DS/GDS_VIEW.jsp?setid=473446%5epos=0%5eptype=list%5esubtype=wg%5ebookid=GK17706_00IB%5evolnum=0017%5earticleid=001%5edtype=2 ).
  5. 勅令第四十四號, 光武十年八月二十七日, 구한말 관보, 第三千五百四十六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469377%5eptype=list%5esubtype=02%5elclass=17289%5emclass=0132%5exmlfilename=GK17289_00I0132_0043.xml ).
  6. 學部令第二十四號, 光武十年九月一日, 구한말 관보, 第三千五百四十九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479290%5eptype=list%5esubtype=02%5elclass=17289%5emclass=0133%5exmlfilename=GK17289_00I0133_0005.xml ).
  7. 學部令第二十五號, 光武十年九月一日, 구한말 관보, 第三千五百四十九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872135%5eptype=list%5esubtype=02%5elclass=17289%5emclass=0133%5exmlfilename=GK17289_00I0133_0005.xml ).
  8. 學部令第二號, 隆熙元年八月三十日, 구한말 관보, 第三千八百八十一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479665%5eptype=list%5esubtype=02%5elclass=17289%5emclass=0145%5exmlfilename=GK17289_00I0145_0049.xml ).
  9. 學部令第二十四號, 光武十年九月一日, 구한말 관보, 第三千五百四十九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479290%5eptype=list%5esubtype=02%5elclass=17289%5emclass=0133%5exmlfilename=GK17289_00I0133_0005.xml, http://lod.nl.go.kr/resource/CNTS-00048560571 ).
  10. 學部令第六號, 隆熙元年十二月三十一日, 구한말 관보, 第三千九百八十號(온라인 참조 : 구한국 관보,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48560571 ).
  11. 교동초등학교 경위도 좌표 : 37.5747, 126.98774
  12. 관립교동초등학교는 지금까지 몇 번의 개명을 거쳐서 현재와 같은 서울교동초등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에 본 위치는 서울교동초등학교의 연혁(온라인 참조 : 서울교동초등학교 홈페이지, http://www.skyodong.es.kr/custom/custom.do?dcpNo=156555 )을 토대로 비정하였다.
  13. 관립한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는 1910년 8월 경성고등보통학교부속보통학교로 변경된다. 그리고 재단법인 한강문화재연구원의 『연합뉴스 사옥 재건축부지 내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2011, 34쪽, http://www.hich.or.kr/UpLoad/study/지표조사보고%20제%20124책%20연합뉴스%20사옥%20재건축부지%20내%20문화재%20지표조사%20보고서[2].pdf)에서는 1917년 제작된 “경성지도”의 고등보통학교 명칭과, “수송동 경성고등보통학교부속교원양성소부지” 평면도를 비교하여 현재의 연합뉴스빌딩 위치에 경성고등보통학교에 있었다고 비정하였다. 이에 따라서 경성고등보통학교가 경성고등보통학교부속고등학교에서 멀지 않을 것을 감안하면, 현재의 연합뉴스빌딩(37.57438, 126.98043)을 중심으로 500m 안쪽에 있었을 것으로 보이며, 보수적으로 추정하여도 1km 안쪽에 위치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14. 勅令第七十九號, 開國五百四年四月十六日, 法規類編 元(온라인 참조 :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yoksa.aks.ac.kr/jsp/aa/PopupVolView.jsp?mode=&page=&fcs=f&fcsd=&cf=a&cd=&gb=&aa10up=&aa10no=kh2_je_a_vsu_25097_001&aa15no=001&aa20no=25097_001_0054 ).
  15. 敎官은生徒의敎育을掌홈.
  16. 勅令第十一號, 光武三年四月六日, 구한말 관보, 第一千二百二十八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473129%5eptype=list%5esubtype=02%5elclass=17289%5emclass=0045%5exmlfilename=GK17289_00I0045_0006.xml ).
  17. 勅令第四十號, 光武十年八月卅一日, 구한말 관보, 第三千五百四十六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469377%5eptype=list%5esubtype=02%5elclass=17289%5emclass=0132%5exmlfilename=GK17289_00I0132_0043.xml ).
  18. 勅令第四十五號, 光武十年九月三日, 구한말 관보, 第三千五百五十三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snu.ac.kr/home/GAN/GAN_SEOJILST.jsp?ptype=list%5esubtype=01%5elclass=1906%5emclass=9%5exmlfilename=GK17289_00I0133_0011.xml%5enav=8 ).
  19. 勅令第五十五號, 隆熙元年十二月十三日, 구한말 관보, 號外, 隆熙元年十二月十八日(온라인 참조 : 구한국 관보,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48465650 ).
  20. 勅令第一百四十五號, 開國五百四年七月十九日, 구한말 관보, 第一百十九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474954%5eptype=list%5esubtype=02%5elclass=17289%5emclass=0002%5exmlfilename=GK17289_00I0002_0020.xml ).
  21. 勅令第四十四號, 光武十年八月二十七日, 구한말 관보, 第三千五百四十六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469377%5eptype=list%5esubtype=02%5elclass=17289%5emclass=0132%5exmlfilename=GK17289_00I0132_0043.xml ).
  22. 勅令第四十四號, 光武十年八月二十七日, 구한말 관보, 第三千五百四十六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469377%5eptype=list%5esubtype=02%5elclass=17289%5emclass=0132%5exmlfilename=GK17289_00I0132_0043.xml ).
  23. 勅令第八十三號, 隆熙元年十二月三十日, 구한말 관보, 第三千九百七十四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snu.ac.kr/home/GAN/GAN_SEOJILST.jsp?ptype=list%5esubtype=01%5elclass=1908%5emclass=1%5exmlfilename=GK17289_00I0149_0012.xml%5enav=18 ).
  24. 學部訓令第六十六號, 隆熙二年六月二十二日, 구한말 관보, 第四千百十五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953227%5eptype=list%5esubtype=02%5elclass=16042%5emclass=0001%5exmlfilename=GK16042_00I0001_0093.xml ).
  25. 勅令第三十四號, 光武九年六月二十三日, 구한말 관보, 號外, 光武九年六月二十六日(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988704%5eptype=list%5esubtype=02%5elclass=17289%5emclass=0118%5exmlfilename=GK17289_00I0118_0035.xml ).
  26. 勅令第八十號, 開國五百四年四月十六日, 法規類編 元(온라인 참조 :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yoksa.aks.ac.kr/jsp/aa/PopupVolView.jsp?mode=&page=&fcs=f&fcsd=&cf=a&cd=&gb=&aa10up=&aa10no=kh2_je_a_vsu_25097_001&aa15no=001&aa20no=25097_001_0148 ).
  27. 구한말 관보, 第一百三十五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1426331^ptype=list^subtype=02^lclass=17289^mclass=0003^xmlfilename=GK17289_00I0003_0011.xml ).
  28. 구한말 관보, 第七百三十八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1426381^ptype=list^subtype=02^lclass=17289^mclass=0027^xmlfilename=GK17289_00I0027_0012.xml ).
  29. 구한말 관보, 第一百三十五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1426331^ptype=list^subtype=02^lclass=17289^mclass=0003^xmlfilename=GK17289_00I0003_0011.xml ).
  30. 구한말 관보, 第三百廿一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1426269^ptype=list^subtype=02^lclass=17289^mclass=0011^xmlfilename=GK17289_00I0011_0009.xml ).
  31. 구한말 관보, 第三百五十一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1426269^ptype=list^subtype=02^lclass=17289^mclass=0012^xmlfilename=GK17289_00I0012_0012.xml ).
  32. 구한말 관보, 第一千四十二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ptype=list%5esubtype=01%5elclass=1898%5emclass=8%5exmlfilename=GK17289_00I0037_0041.xml%5enav=31 ).
  33. 구한말 관보, 第一千四百六十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setid=1427512^ptype=list^subtype=02^lclass=17289^mclass=0053^xmlfilename=GK17289_00I0053_0003.xml ).
  34. 구한말 관보, 第一千六百六十二號(온라인 참조 : 관보DB,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GAN/GAN_SEOJILST.jsp?ptype=list%5esubtype=01%5elclass=1900%5emclass=8%5exmlfilename=GK17289_00I0060_0055.xml%5enav=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