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미 파이썬 0319 6일차

azureme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강의노트

s_list = ["한수창", "홍길동", ["김빛나", "김빛나라"]]

print(s_list[0:2])
print(s_list[0:1])
#문자열을 슬라이싱하면 가져온 값도 문자열이다.
#리스트에서 슬라이싱하면 리스트 형태로 가지고 온다

print("[리스트 연산하기]")
a=123
b=456
print("리스트 a+b : ", (a+b))
a1=1,2,3
b1=4,5,6
print("리스트 a1+b1 : ", (a1+b1))
#전체 요소를 합한 새로운 리스트 생성
c=a*3
c1=a1*3
print("c : ", c1)
print("c : ", c)
#전체 요소를 반복해서 생성한 뒤 새로운 리스트 생성

print()
a=[1, 2, 3, 4, 5, 6] #정수 123
print("최초  a: ", a)
a[1] = 10 #answkdufdptjsms dks ehlejs rjt
print("변경된 a1", a)
#연속된 범위(슬라이싱)을 변경하겠다)
#ㅁ[0:2]=0#0, 1인덱스의 값을 정수 0으로 변경하겠다.
#오류 발생! (슬라이싱을 하면 결과가 리스트였다.)
a[0:2]=[0]
print("변경된 a2 : ", a)
#2개였던 요소가 하나가 됐다. 두 칸이 한 칸으로 뭉쳐졌다.
a[0:2]=[1, 2, 3, 4]
print("변경된 a3 : ", a)

a[0]=[1, 2]
print("변경된 a4:", a)
#한 칸에 대입을 한 것과 연속된 범위를 한 칸에 대입하는것은 차이가 있다?? 인덱싱과 슬라이싱은 차이가 있다??

#리스트 요소 삭제
a[0] = []
print(a)
#엄밀히 말하면 삭제는 아님

del(a[0]) #인덱싱된 해당 요소를 통때로 제거
print("변경된 a5 : ", a)

a[0:2]=[] # 0, 1 인덱스 범위에 값을 넣지 않겠다.
print("변경된 a6 : ", a)
#슬라이싱으로 범위 요소 지정해서 리스트 요소 삭제는 편하다.

del(a[0:2])
print("변경된 a7 : ", a)
#슬라이싱으로 빈 리스트 댑입한 형태와 결과가 동일하다.

del(a) #a라는 변수를 제거(리스트도 변수니까)
#print("변경된 a7 : ", a) # 오류 ! 없는 변수

print()
print("[리스트 관련 함수]")
#리스트.~~로 사용(문자열과 동일)
a=[1, 2, 3]
print("a : ")

#append() : 리스트 가장 뒤에 요소 추가(덧붙이다, 첨부하다.)
a.append(4) #리스트 가장 뒤에 정수 4 추가
print("a :", a)
a.append([5, 6])
print("a :", a)# 한 번에 요소 하나만 추가할 수 있다. 

# sort : 리스트 정렬
a=[9, 2, 5, 7]
print("a :", a)
a.sort()#기본이 오름차순 정렬
print("a :", a)
print("오류남")##a.sort(reverse=ture) #reverse사용시 내림차순
##print("a :", a) #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후 뒤집은것

#sort()와 sorted()
#a.sort() ==>a리스트를 정렬해라>주체가 a
#a.sorted()==>a를 정렬한 새로운 리스트 생성
a=[3, 1, 2]
b=sorted(a) # b에는 새로 정렬된 리스트가 대입된다
print("a :", a)
print("b :", b)
print()
#reverse() : 리스트 뒤집기, 정렬하지 않고 현재 내용을 그대로
a=[9, 6, 3, 4]
a.reverse()
print("a :", a)
print()

#index(value) : 리스트에서 값을 찾고 그 인덱스 반환
a=[1, 2, 3]
print("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a.index(3))

#print(a.index(4)) # 오류! 없는 값을 찾는다

#insert(index, value) : 리스트의 원하는 위치에 값을 넣겠다.

a.insert(1, "파이썬")
print("a :", a)

#remove(value) : 리스트에서 벨류를 찾아서 제거
a=[1, 2, 3, 4]
a.remove(1)
print("remove(1)한 뒤 a : ", a)
#리스트에서 처음 찾은 값만 삭제

#a.remove(5) # 오류(리스트에 있는 값만 삭제할 수 있음)

#자꾸 없으면 오류가 나니까..코딩을 어떻게 하죠?

'''
a[0] = 0인 인덱스 값을 빈ㄹ 리스트로 변경
del(a[0])=0qjs dlseprtm rkqtdmf wprj
a.remove(0)=정수 0을 찾아서 제거
'''
print()
#pop(index) : 1. 인덱스의 값을 반환(인덱싱한것처럼) 2. 그 값을 리스트에서 제거(>>해당 위치의 값을 시트에서 뽑아냄)

a=[1, 2, 3, 4]
print("a.pop(2)의 결과 :", a.pop(2))
print("a :", a)

a=[1, 2, 3, 4]
print("a.pop()의 결과 :", a.pop())
print("a :", a)
#인덱스 값을 넣지 않으면 맨 마지막 값응ㄹ 뽑아낸다. 실재 리스트를 다룰 때 이 함수는 많이 쓰인다. 리스트에 값을 하나씩 뽑아와서 무언가를 처리할 때
#리스트에 값이 없을때까지 뽑아오고 리스트가 비면 새로 리스트를 구성

#count(value) : 리스트 안에서 벨류의 개수를 확인해서 반환
a=[1, 2, 3, 1, 2]
print("a에서 정수 1의 갯수 : ", a.count(1))

print(a.count(5))#없으면 0이 반환

#리스트에서 없는 값을 다루면 오류가 나지만 카운트는 값이 없어도 오류가 나지 않기 때문에 있는지 확인하고 다룬다.
#있을땐 다르고 없을땐 다루지 않음. >>>>조건문이 필요

#extend(list) : 원래의 리스트에 다른 리스트를 더한다.(확장)
a=[1, 2]
b=[3, 4]
a.extend([5, 6]) # extend 함수에에는 리스트를 넣어야 한다.
a.extend(b)
a+= [7, 8]
#덧셈과 연산 사용시 a리스트의 값을 활용하여 [7, 8]과 더해진 새로운 리스트가 만들어지고 a에 대입된다.
print(a)

print()

#len() : length ''요소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a=[1, 2, 3, 4] #리스트
b="hellos" #문자열
print("a의 len : ", len(a))
print("b의 len : ", len(b)) # 문자열은 문자열이 나열된 것
#len()함수는 자료들이 나열된 형태의 자료형에 쓰일 수 있다. 
#정수는 나열된 값이 아니라  하나의 값이므로 정수는 쓸 수 없음(len(10)은 오류)

#copy() : 리스트의 모든 값을 복제하여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
c=a.copy()
c[0]=999
print("a : ", a)
print("c : ", c)

d=a # d 변수에 리스트 a를 대입
d[0]=10
print("a : ", a)
print("d : ", d)
#d에 a를 대입했다. d와 a 리스트는 같은 리스트(a)를 가리킨다.
#그래서 d를 인덱싱하여 변경했을때 a도 변한다.(같기 때문에)

#clear() : fltmxmdml ahems rkqt wprj
a.clear()
print("a : ", a)
print()

#리스트의 요소들이 문자열로만 이뤄진 경우 문자열 함수 중 join()을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열을 만들 수 있다.
my_list=["대", "한", "민", "국"] #4rodml answkduffh dlfnjwls gkatn
my_str="".join(my_list) # 리스트 각 요소에 빈 문자열을 삽입, 결과는 문자열로 변환이 된다. (mystr에 ""이 들어간 이유는 삽입하고 싶은 문자가 없어서?)
print(my_list)
print(my_str)


'''
숫자 : 기본으로 깔고감
문자+리스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것
'''

'''
        리스트 연습하기
    1. 인덱싱
a=[2018, "입니다.", "새해", [" 내년", "가 밝았습니다."], "은 ", ["년 "], ]

    1)인덱싱하여 '새해가 밝았습니다. 내년은 2019년 입니다.' 출력하기

    2. 리스트 활용
my_list=["!", "요", "세", "하", "녕", "안"]

    1)안녕하세요 출력하기
    2)my_str 변수에 join과 활용하여 문자열로 저장 후 출력
'''

'''
        [4. 튜플(Tuple)자료형]
    -리스트와 비슷하다.
    -차이점 :
        1. 생성
            리스트[]
            튜플()
        2. 튜플은 한 번 생성되면 값을 바꿀 수 없다.
            프로그램 실행 중 값이 바뀌는게 걱정되면 튜플을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리스트를 사용
'''

print("="*20)
print("4. 튜플")
print("="*20)

print("츄플 만들기")
a=()#빈 튜플
b=(1, ) # 튜플의 요소가 하나일 때는 뒤에 콤마를 붙인다.
c=(1,2,3)
d=1,2,3,4 # ()생략가능
#소괄호가 생략되고 값이 나열되면 튜플

print(a)
print(b)
print(c)
print(d)

print("[튜플은 변경 불가능]")
print("a 의 타입 : ",type(a))

a=1, 2, 3, 4
#a[0]=10 # 오류! 튜플의 값은 변경 불가능
#del(a[0]) # 오류!
print(a[0]) # 리스트처럼 사용 가능
#a.remove(1) # 오류! 튜플에는 리무브와 같은 변경하는 함수가 없다.

b=5, 6, 7, 8
c=a+b # 기존의 ab튜플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퓨틀을 생성하는 것
print("c : ", c)
print("c*2 : ", c*2) #곱셈연산도 새로운 튜플이 아니므로 괜춘

출력창

Python 3.6.4 (v3.6.4:d48eceb, Dec 19 2017, 06:04:45) [MSC v.1900 32 bit (Intel)] on win32
Type "copyright", "credits" or "license()" for more information.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369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1, 2, 3, 1, 2, 3, 1, 2, 3)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김선미/dddd.py", line 18, in <module>
    print("c : ", c1)
NameError: name 'c1' is not defined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김선미/dddd.py", line 18, in <module>
    print("c : ", c1)
NameError: name 'c1' is not defined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김선미/dddd.py", line 18, in <module>
    print("c : ", c1)
NameError: name 'c1' is not defined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qusrudehls a [1, 10, 3, 4, 5, 6]
변경된 a :  [0, 3, 4, 5, 6]
변경된 a :  [1, 2, 3, 4, 4, 5, 6]
변경된 a:a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qusrudehls a [1, 10, 3, 4, 5, 6]
변경된 a :  [0, 3, 4, 5, 6]
변경된 a :  [1, 2, 3, 4, 4, 5, 6]
변경된 a: [[1, 2], 2, 3, 4, 4, 5, 6]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qusrudehls a [1, 10, 3, 4, 5, 6]
변경된 a :  [0, 3, 4, 5, 6]
변경된 a :  [1, 2, 3, 4, 4, 5, 6]
변경된 a: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qusrudehls a [1, 10, 3, 4, 5, 6]
변경된 a :  [0, 3, 4, 5, 6]
변경된 a :  [1, 2, 3, 4, 4, 5, 6]
변경된 a: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 :  [2, 3, 4, 4, 5, 6]
>>> 
>>> 
>>> 
>>> 
>>> 
>>> 
>>> 
>>> 
>>> 
>>> 
>>> 
>>> 
>>> 
>>> 
>>> 
>>> 
>>> 
>>> 
>>> 
>>> 
>>> 
>>> 
>>> 
>>>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qusrudehls a [1, 10, 3, 4, 5, 6]
변경된 a :  [0, 3, 4, 5, 6]
변경된 a :  [1, 2, 3, 4, 4, 5, 6]
변경된 a: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 :  [2, 3, 4, 4, 5, 6]
변경된 a :  [4, 4, 5, 6]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 
>>> 
>>> 
>>> 
>>> 
>>> 
>>>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김선미/dddd.py", line 76, in <module>
    a.sort(reverse=ture)#reverse사용시 내림차순
NameError: name 'ture' is not defined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a.pop()의 결과 : 4
a : [1, 2, 3]
a에서 정수 1의 갯수 :  2
0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a.pop()의 결과 : 4
a : [1, 2, 3]
a에서 정수 1의 갯수 :  2
0
[1, 2, 5, 6, 3, 4, 7, 8]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a.pop()의 결과 : 4
a : [1, 2, 3]
a에서 정수 1의 갯수 :  2
0
[1, 2, 5, 6, 3, 4, 7, 8]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김선미/dddd.py", line 155, in <module>
    print("a의 len : ". len(a))
AttributeError: 'str' object has no attribute 'len'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a.pop()의 결과 : 4
a : [1, 2, 3]
a에서 정수 1의 갯수 :  2
0
[1, 2, 5, 6, 3, 4, 7, 8]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김선미/dddd.py", line 155, in <module>
    print("a의 len : ". len(a))
AttributeError: 'str' object has no attribute 'len'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a.pop()의 결과 : 4
a : [1, 2, 3]
a에서 정수 1의 갯수 :  2
0
[1, 2, 5, 6, 3, 4, 7, 8]

a의 len :  4
b의 len :  6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김선미/dddd.py", line 161, in <module>
    c=a.capy
AttributeError: 'list' object has no attribute 'capy'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a.pop()의 결과 : 4
a : [1, 2, 3]
a에서 정수 1의 갯수 :  2
0
[1, 2, 5, 6, 3, 4, 7, 8]

a의 len :  4
b의 len :  6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김선미/dddd.py", line 161, in <module>
    c=a.capy()
AttributeError: 'list' object has no attribute 'capy'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a.pop()의 결과 : 4
a : [1, 2, 3]
a에서 정수 1의 갯수 :  2
0
[1, 2, 5, 6, 3, 4, 7, 8]

a의 len :  4
b의 len :  6
a :  [1, 2, 3, 4]
c :  [999, 2, 3, 4]
a :  [10, 2, 3, 4]
d :  [10, 2, 3, 4]
a :  []

>>> 
>>> 
>>> 
>>> 

>>> 



>>> 

>>> 



>>>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a.pop()의 결과 : 4
a : [1, 2, 3]
a에서 정수 1의 갯수 :  2
0
[1, 2, 5, 6, 3, 4, 7, 8]

a의 len :  4
b의 len :  6
a :  [1, 2, 3, 4]
c :  [999, 2, 3, 4]
a :  [10, 2, 3, 4]
d :  [10, 2, 3, 4]
a :  []

['대', '한', '민', '국']
대한민국
>>> 
>>> 
>>> 
>>> 
>>> 
>>>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a.pop()의 결과 : 4
a : [1, 2, 3]
a에서 정수 1의 갯수 :  2
0
[1, 2, 5, 6, 3, 4, 7, 8]

a의 len :  4
b의 len :  6
a :  [1, 2, 3, 4]
c :  [999, 2, 3, 4]
a :  [10, 2, 3, 4]
d :  [10, 2, 3, 4]
a :  []

['대', '한', '민', '국']
대한민국
====================
4. 튜플
====================
츄플 만들기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a.pop()의 결과 : 4
a : [1, 2, 3]
a에서 정수 1의 갯수 :  2
0
[1, 2, 5, 6, 3, 4, 7, 8]

a의 len :  4
b의 len :  6
a :  [1, 2, 3, 4]
c :  [999, 2, 3, 4]
a :  [10, 2, 3, 4]
d :  [10, 2, 3, 4]
a :  []

['대', '한', '민', '국']
대한민국
====================
4. 튜플
====================
츄플 만들기
()
(1,)
(1, 2, 3)
(1, 2, 3, 4)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a.pop()의 결과 : 4
a : [1, 2, 3]
a에서 정수 1의 갯수 :  2
0
[1, 2, 5, 6, 3, 4, 7, 8]

a의 len :  4
b의 len :  6
a :  [1, 2, 3, 4]
c :  [999, 2, 3, 4]
a :  [10, 2, 3, 4]
d :  [10, 2, 3, 4]
a :  []

['대', '한', '민', '국']
대한민국
====================
4. 튜플
====================
츄플 만들기
()
(1,)
(1, 2, 3)
(1, 2, 3, 4)
[튜플은 변경 불가능]
a 의 타입 :  <class 'tuple'>
1
c :  (1, 2, 3, 4, 5, 6, 7, 8)
>>> 
========================== RESTART: C:/김선미/dddd.py ==========================
['한수창', '홍길동']
['한수창']
[리스트 연산하기]
리스트 a+b :  579
리스트 a1+b1 :  (1, 2, 3, 4, 5, 6)
c :  (1, 2, 3, 1, 2, 3, 1, 2, 3)
c :  369

최초  a:  [1, 2, 3, 4, 5, 6]
변경된 a1 [1, 10, 3, 4, 5, 6]
변경된 a2 :  [0, 3, 4, 5, 6]
변경된 a3 :  [1, 2, 3, 4, 4, 5, 6]
변경된 a4: [[1, 2], 2, 3, 4, 4, 5, 6]
[[], 2, 3, 4, 4, 5, 6]
변경된 a5 :  [2, 3, 4, 4, 5, 6]
변경된 a6 :  [4, 4, 5, 6]
변경된 a7 :  [5, 6]

[리스트 관련 함수]
a : 
a : [1, 2, 3, 4]
a : [1, 2, 3, 4, [5, 6]]
a : [9, 2, 5, 7]
a : [2, 5, 7, 9]
오류남
a : [3, 1, 2]
b : [1, 2, 3]

a : [4, 3, 6, 9]

a 리스트에서 정수 3의 위치: 2
a : [1, '파이썬', 2, 3]
remove(1)한 뒤 a :  [2, 3, 4]

a.pop(2)의 결과 : 3
a : [1, 2, 4]
a.pop()의 결과 : 4
a : [1, 2, 3]
a에서 정수 1의 갯수 :  2
0
[1, 2, 5, 6, 3, 4, 7, 8]

a의 len :  4
b의 len :  6
a :  [1, 2, 3, 4]
c :  [999, 2, 3, 4]
a :  [10, 2, 3, 4]
d :  [10, 2, 3, 4]
a :  []

['대', '한', '민', '국']
대한민국
====================
4. 튜플
====================
츄플 만들기
()
(1,)
(1, 2, 3)
(1, 2, 3, 4)
[튜플은 변경 불가능]
a 의 타입 :  <class 'tuple'>
1
c :  (1, 2, 3, 4, 5, 6, 7, 8)
c*2 :  (1, 2, 3, 4, 5, 6, 7, 8, 1, 2, 3, 4, 5, 6, 7,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