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착 이론

DH 교육용 위키
KU조영은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5년 6월 20일 (금) 20:05 판

(비교) ← 이전 판 | 최신판 (비교) | 다음 판 → (비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애착이론(Attachment Theory)은 인간이 어린 시절 양육자와 맺는 정서적 유대가 이후 삶 전반의 대인관계와 감정 조절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이다. 존 볼비(John Bowlby)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고, 메리 에인스워스(Mary Ainsworth)의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해 구체적인 네 가지 애착 유형이 도출되었다.

내용

핵심 유형

애착 유형 비교 표 (Attachment Styles)
스타일 아동기 특징 양육자 특성 성인기 특징 관계 패턴
안정 애착 (Secure) 보호자 떠나면 불안, 돌아오면 기쁨과 안정 일관되고 반응적인 돌봄 제공 감정 표현이 자유롭고 친밀감 형성에 능함 신뢰 기반의 안정적 관계 유지
회피 애착 (Avoidant) 보호자 부재에 무반응, 귀환 시에도 무관심 정서적으로 차갑고 거리를 두는 양육 태도 감정 억제, 거리 유지, 독립적 태도 강조 친밀감 회피, 감정적 거리 유지
불안-양가 애착 (Anxious / Ambivalent) 보호자 귀환 시 매달림과 분노를 동시에 보임 반응이 일관되지 않아 예측 어려움 관계에 대한 불안, 집착, 낮은 자존감 과잉 의존, 버림에 대한 두려움 큼
혼란 애착 (Disorganized) 보호자를 두려워하면서도 매달리는 이중 행동 학대, 방임 등으로 인해 공포의 대상이 되기도 함 감정 기복, 자아 경계 불안정, 자기 파괴적 행동 사랑–공포–거절이 반복되는 불안정한 관계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이론과 관계

양가감정과 분열을 주장한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이론은 애착 이론의 모태가 되었다. 대상(object)이란, 주로 어머니나 주요 보호자와 같은 정서적 관계 대상을 뜻하는데, 아이는 출생 직후부터 내면에 외부 대상을 내사하여 자아를 형성한다. 이 내면 대상은 항상 감정(사랑/미움)과 얽혀 있다.

멜라니 클라인 이론 요소와 애착 유형 간의 관계
클라인 이론 요소 관련 애착 유형 설명
양가감정 불안-양가 애착 (Anxious-Ambivalent) 보호자에 대한 사랑과 미움을 동시에 경험하지만, 이를 통합하지 못해 갈등이 반복됨
분열 (Splitting) 불안-회피 애착 (Avoidant) 감정과 대상을 분리해 감정을 억압하거나 외면하며 거리두기를 선택함
투사적 동일시 (Projective Identification) 혼란 애착 (Disorganized) 내면의 불안이나 공격성을 타인에게 투사하고, 타인이 실제 그 역할을 하도록 유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