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DH 교육용 위키
KU주재연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5년 6월 10일 (화) 12:1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폭력이라는 범죄 유형과 학교라는 장소의 개념이 합쳐진 용어이다. 이는 단순히 학교 내에서 발생된 폭력행위뿐만 아니라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심리적, 신체적, 물질적 피해 등 다양한 형태의 괴롭힘을 말한다.[1]

내용

<더 글로리> 속 학교폭력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는 주인공 문동은이 고등학교 시절 지속적으로 겪는 학교폭력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가해자 박연진과 그 일당은 다리미와 고데기로 화상을 입히는 신체폭력, 조롱과 모욕을 반복하는 언어폭력, 그리고 교사와 학교가 이를 방관하는 제도적 방치를 통해 피해자를 철저히 고립시킨다. 특히 박연진은 상류층인 배경을 바탕으로 어떠한 처벌도 받지 않는다. 이는 학교폭력이 특정 계층에 의해 묵인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드라마는 단순한 학교폭력을 넘어 그것이 계층간의 불평등과 결합했을 때 피해자에게 얼마나 큰 고통을 주는지를 조명한다.

<더글로리>의 학교폭력과 유사한 실제사례

<더 글로리> 속에서 가해자 박연진이 피해자 문동은의 팔과 다리에 고데기를 눌러 화상을 입히는 장면의 모티브라고 추측되는 일명 청주 여중 고데기 사건은 학교폭력에서 일어나는 신체폭력의 잔혹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2006년 충북 청주의 한 중학교에서는 세 명의 여학생이 한 한생을 옷핀,고데기로 지속적으로 괴롭혔다. 이로 인해 피해자는 심각한 외상과 내상을 입었지만, 가해자는 소년법에 따라 처벌되어 전과기록조차 남지 않은채 마무리 되었다.[2]

계층갈등이 드러나는 학교폭력 실제사례

전검사의 아들인 가해 학생은 2017년 명문 고등학교에서 장기간 동급생을 향해 "돼지", "좌파 빨갱이" 등의 언어폭력을 가하며 피해자는 결국 극단적 선택을 하는 등 심각한 정신 피해를 입었다. 가해자는 평소 "아빠는 아는 사람이 많다. 판사랑 친하면 무조건 승소한다"라고 말하며 아버지의 권력을 과시했다. 이는 자신과 다른 학생의 계층간의 위계를 인식했던 발언으로 보인다. 하지만 결국 가해자는 강제전학 처분을 피할 수 없었다. [3]

그러나 가해자의 생활기록부에 학교폭력 기록이 전학 간 학교의 동의를 받아 삭제되었다. 학교폭력 기록을 삭제하기 위해 가해자와 상담후 작성된 일지에는 '장난으로 한 행동을 학교폭력으로 몰았다'고 발언한 것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전혀 반성하지 않는 가해자의 태도를 보여준다. 재발의 여지가 없어야 삭제할 수 있는 학교폭력 기록을 반성하지 않는 태도를 보였음에도 삭제했다는 점에서 상류층의 가해가 현실에서 어떻게 무마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4]

시맨틱 스토리텔링


멀티미디어

이미지

  • <더글로리> 속 학교폭력 장면

동영상

  • 드라마 영상[7]


  • 실제사례

▲청주여중 고데기 사건[8]


▲전검사 아들 학교폭력 사건[9]

참고 문헌

  1. 두산백과 검색
  2. 대전일보, 2025.04.27, [N년전 오늘] "실제는 드라마보다 더 잔혹"… 청주 여중생 고데기 학폭 사건
  3. KBS 뉴스,2023.05.04, [단독] 정순신 '학폭 가해 아들' 소송에 가처분까지
  4. JTBC 뉴스,2023.03.27,정순신 아들 상담일지 보니 "장난을 학폭으로 몰아"…담임은 "깊은 반성"
  5. 넷플릭스 <더 글로리> 1화 장면 캡처
  6. 넷플릭스 <더 글로리> 1화 장면 캡처
  7. Netflix Korea 넷플릭스 코리아, 2023.01.23, 더 글로리 | 스페셜 영상: 그리운 연진에게 | 넷플릭스
  8. JTBC News, 2023.01.25, [단독] '더글로리' 실제사건 가해자들…현실에선 전과도 안 남았다
  9. KBS News, 2023.02.24, [단독] 정순신‘학폭 가해 아들’ 소송에 가처분까지 [9시뉴스] / KBS 2023.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