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2025 콘텐츠 제작노트: 웹툰의 IP확장

DH 교육용 위키
KU정세라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5년 4월 22일 (화) 03:3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제

“웹툰, 하나의 이야기에서 확장되는 세계: IP 생태계와 디지털 2차 창작 네트워크”

부제: – 드라마, 팬덤, 플랫폼을 잇는 이야기의 확장성

기획의도

<하나의 웹툰 IP가 단순한 원작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로 확장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그 속에서 제작자, 플랫폼, 팬덤, 2차 창작자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디지털 큐레이션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 웹툰은 더 이상 ‘만화’에 그치지 않는다. → 드라마, 영화, 굿즈, OST, 게임 등으로 확장됨
  • 이러한 확장 과정은 단선적이지 않고 네트워크적이다. → 창작자, 제작사, 플랫폼, 수용자, 커뮤니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프로젝트를 통해 웹툰 IP 기반 콘텐츠 생태계의 작동 원리를 시각화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정의

IP (Intellectual Property, 지식재산권)

  • 이야기, 캐릭터, 세계관 등 창작물의 원형이 되는 지적 자산
  • 플랫폼과 제작사는 IP의 확장 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결정함

IP 확장

하나의 원천 콘텐츠를 기반으로 영화, 드라마, 게임, 굿즈 등 다양한 미디어로 재생산되는 과정

  • 시간 확장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야기를 확장하거나, 다른 시간대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추가함.

  • 공간 확장:

다른 장소를 배경으로 이야기를 펼치거나, 세계관을 확장함.

  • 플랫폼 확장:

다양한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제공하여 접근성을 높임.

  • 캐릭터 및 캐스팅 확장:

새로운 캐릭터를 등장시키거나, 기존 캐릭터를 다른 방식으로 활용함.

2차 창작

  • 원작 IP를 기반으로 한 팬 또는 제작자의 재해석 콘텐츠
  • 예: 팬아트, 패러디 영상, 드라마 짤, 밈, 굿즈, 코스프레
  • 팬덤이 콘텐츠 생산 주체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디지털 현상으로 인식됨.

콘텐츠 생태계

  • 창작자, 제작자, 플랫폼, 유통자, 소비자(팬덤)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콘텐츠 생산-소비 구조
  • 웹툰 IP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체가 관여하며 수익과 콘텐츠가 순환함

콘텐츠 IP 확장 사례

  1. 이태원 클라쓰 (네이버 웹툰)
요소 내용
IP 확장 유형
장르
타겟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