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9년 5월 20일 (월) 02:32 (비교 | 역사) . . (+1,857) . . 새글 186. 목장(牧場) (새 문서: 186. 목장(牧場) 三百年前設牧場삼백년 이전에 목장이 설치되어, 古稱此地馬多良좋은 말이 많은 곳으로 오래 전부터 불려왔네. 盖聞伐代驄...)
- 2019년 5월 20일 (월) 02:32 (비교 | 역사) . . (+960) . . 새글 185. 진강산(鎭江山) (새 문서: 185. 진강산 귀운(鎭江山歸雲) 鎭江山色碧如屛진강산 산색은 푸른 병풍을 친 듯 하고, 片片歸雲錦繡形흐르는 조각구름 비단에 수놓은 듯하...)
- 2019년 5월 20일 (월) 02:31 (비교 | 역사) . . (+753) . . 새글 184. 장지포(長池浦) (새 문서: 184. 장지포(長池浦416)) 長池春水漲東西장지포 봄물은 동서로 넘쳐나고, 井浦乾坪築兩堤정포와 건평에는 두 둑을 쌓았구나. 欹笠何翁投釣...)
- 2019년 5월 20일 (월) 02:29 (비교 | 역사) . . (+520) . . 새글 183. 건평동(乾坪洞) (새 문서: 183. 건평동(乾坪洞415)) 名是乾坪卽水坪이름은 건평이지만 물 많은 수평인가, 滿堰春波灌稻粳뚝에 가득 봄물 차니 논에 물을 대기 좋다. 且...)
- 2019년 5월 20일 (월) 02:29 (비교 | 역사) . . (+642) . . 새글 182. 존강동(存江洞) (새 문서: 182. 존강동(存江洞414)) 存江洞口久停鞭존강동 입구에서 오래토록 머물다가, 因坐南宮舊榻筵남궁씨 옛 터전에 잠시나마 앉아보네. 溪柳庭...)
- 2019년 5월 20일 (월) 02:28 (비교 | 역사) . . (+722) . . 새글 181. 산문동(山門洞) (새 문서: 181. 산문동(山門洞413)) 山門洞倚碧山松산문동은 푸른 소나무 숲에 의지하고 있는데, 漸覺泉聲瀉兩峯양 봉우리 솟아나는 샘물소리 차츰 들...)
- 2019년 5월 20일 (월) 02:27 (비교 | 역사) . . (+589) . . 새글 180. 흥천동(興川洞) (새 문서: 180. 흥천동(興川洞412)) 岐巖山下是興川기암산 아래에 흥천 마을 있는데, 短竹疎松繞宅邊작은 대와 성근 소나무가 집 주위에 둘러있네. 大...)
- 2019년 5월 20일 (월) 02:26 (비교 | 역사) . . (+1,978) . . 새글 179. 낙인동(樂仁洞) (새 문서: 179. 낙인동(樂仁洞409)) 國賜峯前王訪村국사봉 앞쪽에 왕방촌이 있는데, 世居全氏向陽門전씨들이 양지쪽에 대대로 살고 있네. 丹花仙籍黃...)
- 2019년 5월 20일 (월) 02:26 (비교 | 역사) . . (-8,040) . . 178. 항주동(項州洞) (문서 내용을 " 178. 항주(項州408)) 項州洞口問星田항주동 입구에서 별밭을 방문하니, 牟麥春光上下連보리가 봄볕 속에 위아래로 연이었네..."으로 바꿈)
- 2019년 5월 20일 (월) 02:25 (비교 | 역사) . . (+599) . . 새글 199. 가릉포(嘉陵浦) (새 문서: 199. 가릉포(嘉陵浦445)) 嘉陵春水晩來生가릉벌의 봄물이 늦게야 고여서, 荷鍤紛紛灌稻坪가래질 바삐하여 논에다 물을 대네. 靜聽老農桑下...)
- 2019년 5월 20일 (월) 02:24 (비교 | 역사) . . (+809) . . 새글 198. 추포정(秋浦亭) (새 문서: 198. 추포정(秋浦亭443)) 秋浦亭墟摠緲然추포정 옛터는 아련하기만 하니, 一坪水色一空烟온 들에는 물빛이요 온 하늘에는 연기일세. 堤頭香...)
- 2019년 5월 20일 (월) 02:23 (비교 | 역사) . . (+443) . . 새글 197. 장두동(場頭洞) (새 문서: 197. 장두동(場頭洞442)) 場頭洞在野中間장두동은 들판의 가운데에 있는데, 低麓如籬四面環낮은 기슭 울타리처럼 사면을 둘렀네. 列屋東南...)
- 2019년 5월 20일 (월) 02:23 (비교 | 역사) . . (+1,181) . . 새글 196. 석릉(碩陵) (새 문서: 196. 석릉(碩陵439)) 碩陵知在鎭江巒석릉이 진강산에 자리함을 아노니, 獨閉空林月影寒빈숲에 홀로 문 닫고 있자니 달그림자 차갑구나. 猗...)
- 2019년 5월 20일 (월) 02:21 (비교 | 역사) . . (+787) . . 새글 195. 장하동 평해황씨 (새 문서: 195. 평해황씨(平海黃氏) 欲問荷軒正悄然하헌 댁을 방문하려니 정녕 숙연하여지네, 穉蘭小屋兩三椽어린 난초 있는 작은 집에 서까래 두세...)
- 2019년 5월 20일 (월) 02:20 (비교 | 역사) . . (+548) . . 새글 194. 장하동 청주한씨 (새 문서: 194. 청주한씨(淸州韓氏) 鎭江山下列韓門진강산 아래에 한씨 가문 모여 사니, 認是槐亭裕後昆이들은 모두가 삼괴정의 후손이네. 入室眞工...)
- 2019년 5월 20일 (월) 02:19 (비교 | 역사) . . (+810) . . 새글 193. 장하동(場下洞) (새 문서: 193. 장하동(場下洞437)) 古木春深荷麓村하록촌의 고목에도 봄기운이 완연한데, 權公舊第逈開門권 선생 옛집엔 저 멀리 문 열렸네. 追思四...)
- 2019년 5월 20일 (월) 02:18 (비교 | 역사) . . (+537) . . 새글 192. 조산동(造山洞) (새 문서: 192. 조산동(造山洞436)) 造洞來尋李石翁조산동에 이르러 이석 옹을 찾아가니, 梅蘭菊竹屋西東매란국죽 사군자가 집 주위에 둘러있네. 四時...)
- 2019년 5월 20일 (월) 02:17 (비교 | 역사) . . (+703) . . 새글 191. 가릉(嘉陵) (새 문서: 191. 가릉(嘉陵434)) 一片鎭江碧幾層진강산 한쪽 편에 겹겹의 푸른 기운 감돌고, 白雲多處是嘉陵흰 구름 많은 곳에 가릉이 있다네. 年年杜宇...)
- 2019년 5월 20일 (월) 02:17 (비교 | 역사) . . (+803) . . 새글 190. 능내동(陵內洞) (새 문서: 190. 능내동(陵內洞432)) 陵內村中草結廬능내촌 가운데에 풀을 엮어 집을 짓고, 金申坐讀古人書김씨와 신씨가 고전을 읽고 있네. 蔭郎庠士...)
- 2019년 5월 20일 (월) 02:16 (비교 | 역사) . . (+480) . . 새글 189. 묵와선생(黙窩先生) (새 문서: 189. 묵와선생(黙窩先生*) 春風來拜黙窩翁봄바람 쐬면서 묵와선생께 절을 하네, 世世家聲學業崇학업 숭상 가문 명성 대대로 이어온 때문....)
- 2019년 5월 20일 (월) 02:15 (비교 | 역사) . . (+738) . . 새글 188. 하촌(霞村) (새 문서: 188. 하촌(霞村*) 霞村卜築幾人基하촌에 집을 짓고 누구 누구 터 잡았나, 南望貂皮一筆奇남쪽의 초피산은 붓끝처럼 기이하다. 閔朴許同三...)
- 2019년 5월 20일 (월) 02:13 (비교 | 역사) . . (+4,061) . . 새글 187. 하일동(霞逸洞) (새 문서: 상도면(上道面421)) 187. 하일동(霞逸洞) 霞峴西南谷谷幽 하현의 서남쪽은 골짝마다 그윽한데, 山中宰相古今留 재상이 예로부터 이 산중에...)
- 2019년 5월 20일 (월) 02:12 (비교 | 역사) . . (+8,521) . . 새글 178. 항주동(項州洞) (새 문서: 178. 항주(項州408)) 項州洞口問星田항주동 입구에서 별밭을 방문하니, 牟麥春光上下連보리가 봄볕 속에 위아래로 연이었네. 申老閑眠桑樹...)
- 2019년 5월 20일 (월) 02:11 (비교 | 역사) . . (-21,050) . . 177. 외주동(外州洞)
- 2019년 5월 20일 (월) 02:10 (비교 | 역사) . . (+1,501) . . 새글 216. 선평만가(船坪晩稼) (새 문서: 216. 선평만가(船坪晩稼) 東到船坪聽野謳동쪽의 선두평엔 들노래가 들리나니, 年年晩稼早登秋해마다 늦게 심지만 일찍이 추수하네. 閔堤...)
- 2019년 5월 20일 (월) 02:09 (비교 | 역사) . . (+801) . . 새글 215. 덕포동(德浦洞) (새 문서: 215. 덕포동(德浦洞478)) 貂皮山下聽黃鸝초피산 아래에서 꾀꼬리 소리 듣노라니, 列柳家門479)一色齊유씨네 집들이 가지런히 자리했네. 白...)
- 2019년 5월 20일 (월) 02:09 (비교 | 역사) . . (+2,186) . . 새글 214. 사기동(沙器洞) (새 문서: 214. 사기동(沙器洞473)) 沙器洞前水向東사기동 마을 물은 동쪽으로 흐르고, 李公節義弟兄同이공의 절개심은 형제가 한 가지네. 家園喬木葱...)
- 2019년 5월 20일 (월) 02:07 (비교 | 역사) . . (+3,811) . . 새글 213. 정수사(淨水寺) (새 문서: 213. 정수사(淨水寺468)) 淨水幽深地不凡정수사 그윽하고 그 터도 비범하니, 法華金字匣中緘법화경 금자 사경 서갑 속에 봉해 있네. 浮屠前...)
- 2019년 5월 20일 (월) 02:06 (비교 | 역사) . . (+683) . . 새글 212. 해산정(海山亭) (새 문서: 212. 해산정(海山亭467)*) 遲遲來坐海山亭천천히 해산정에 올라와 앉으니, 亭古人歸水不停정자는 낡고 사람은 가고 없어도 파도는 멈추질...)
- 2019년 5월 20일 (월) 02:05 (비교 | 역사) . . (+603) . . 새글 211. 동막동(東幕洞) (새 문서: 211. 동막동(東幕洞466)) 東幕村前水拍堤동막촌 앞쪽에는 물막이 뚝이 있고, 碁巖隨勢自高低바둑바위 물때 따라 높아지고 낮아지네. 年年三...)
- 2019년 5월 20일 (월) 02:04 (비교 | 역사) . . (+1,714) . . 새글 210. 화포지(花浦址) (새 문서: 210. 화포선생집터(花浦址464)) 花浦舊基問在何화포선생 옛 집터가 어디냐고 물어보니, 居人尙指一雲坡구름 낀 언덕을 그곳 주민이 가리키...)
- 2019년 5월 20일 (월) 02:03 (비교 | 역사) . . (+881) . . 새글 209. 흥왕동(興旺洞) (새 문서: 209. 흥왕동(興王洞463)) 興王村裡列韓基흥왕촌 마을에는 한씨 집안이 자리 잡아, 山石撑墻水拍籬산돌로 담 두르고 개울물로 울타리 쳤네....)
- 2019년 5월 20일 (월) 02:02 (비교 | 역사) . . (+510) . . 새글 208. 여차동(如此洞) (새 문서: 208. 여차동(如此洞462)) 如此洞開海一濱여차동은 바닷가에 펼쳐져 있는데, 李高窓下各逢春이씨 고씨네 창문에는 봄기운이 가득하네. 白鷗...)
- 2019년 5월 20일 (월) 02:01 (비교 | 역사) . . (+755) . . 새글 207. 장곶동(長串洞) (새 문서: 207. 장곶동(長串洞460)) 尼嶽西停長串村마니산 서쪽의 장곶촌에 머무니, 鎭墩無迹海雲飜진과 돈대 흔적 없고, 바다 구름만 피어나네. 樞官...)
- 2019년 5월 20일 (월) 02:00 (비교 | 역사) . . (+3,098) . . 새글 206. 망도서(望島嶼) (새 문서: 206. 망도서(望島嶼) 回首西南海色長고개 돌려 서남쪽 보니 바다 넓게 펼쳐있고, 浮浮島嶼摠環疆떠 있는 섬들도 모두다 우리 강토. 列星半...)
- 2019년 5월 20일 (월) 01:58 (비교 | 역사) . . (+543) . . 새글 205. 성단청조(星壇淸眺) (새 문서: 205. 성단청조(星壇淸眺) 星壇淸眺遠無迷참성단 밝게 보여 멀지만 흐릿하지 않고, 東峽南湖又海西동쪽은 산 남쪽은 호수, 서쪽은 바다라...)
- 2019년 5월 20일 (월) 01:57 (비교 | 역사) . . (+362) . . 새글 204. 천재암(天齋庵) (새 문서: 204. 천재암(天齋庵) 天齋庵後一壇嵬천재암 뒤에는 높은 단이 우뚝하니, 上帝監臨下八垓상제가 강림하여 팔방을 내려 보네. 昔我太宗昭事...)
- 2019년 5월 20일 (월) 01:54 (비교 | 역사) . . (+7,297) . . 새글 203. 마니산(摩尼山) (새 문서: 203. 마리산(摩尼山) 來坐摩尼最上頭마니산 최상봉에 올라가 앉아 보니, 江州一片泛如舟강화섬 한 조각이 배를 띄운 듯하구나. 檀君石迹撑...)
- 2019년 5월 20일 (월) 01:52 (비교 | 역사) . . (+527) . . 새글 202. 내동(內洞) (새 문서: 202. 내동(內洞450)) 內洞水石最云奇내동은 수석이 기이하다 말들하고, 柿棗千株列作籬수많은 감나무와 대추나무로 울타리를 둘렀네. 宦客...)
- 2019년 5월 20일 (월) 01:52 (비교 | 역사) . . (+537) . . 새글 201. 상방리(上坊里) (새 문서: 201. 상방동(上坊洞448)) 東風吹到上坊村동풍이 일어나서 상방촌에 불어오니, 李柳春光闢兩門이씨와 유씨가 문을 열고 봄빛 맞네. 耕讀漁樵...)
- 2019년 5월 20일 (월) 01:50 (비교 | 역사) . . (+803) . . 새글 200. 문산동(文山洞) (새 문서: 하도면(下道面446)) 200. 문산동(文山洞447)) 摩尼東北是文山마니산 동북쪽이 문산리 마을인데, 某某家門在此間이런 저런 가문들이 이곳에...)
- 2019년 5월 20일 (월) 01:49 (비교 | 역사) . . (+21,907) . . 새글 177. 외주동(外州洞) (새 문서: 177. 외주동(外州洞406)) 幽谷橫斜是外州깊은 골짝 비스듬히 외주(外州) 마을 있는데, 門前南出一貂頭문 앞에 남쪽으로 초피산이 솟아 있네....)
- 2019년 5월 20일 (월) 01:47 (비교 | 역사) . . (+2,291) . . 새글 176. 정포동(井浦洞) (새 문서: 176. 정포동(井浦洞401)) 客馬來尋井浦樓말을 탄 나그네가 정포 누각 찾아가니, 鎭雲散盡海長流진보 구름 흩어지고 바다는 멀리 흐르네. 却...)
- 2019년 5월 20일 (월) 01:01 (비교 | 역사) . . (+543) . . 새글 169. 동래정씨 (새 문서: 169. 동래정씨(東萊鄭氏*) 谷谷幽居谷谷村골골이 그윽하여 골골에 마을 있어, 管領春風鄭一門정씨네 가문이 봄바람을 거느렸네. 文詞德行...)
- 2019년 5월 20일 (월) 01:01 (비교 | 역사) . . (+432) . . 새글 168. 창원황씨 (새 문서: 168. 창원황씨(昌原黃氏*) 遠上雲山石逕斜저 멀리 구름 낀 산에 돌길이 비껴 있고, 鸎聲忽覺有人家꾀꼬리 소리 문득 들려 인가 있음을 알려...)
- 2019년 5월 20일 (월) 01:00 (비교 | 역사) . . (+442) . . 새글 167. 백씨산소(伯氏山所) (새 문서: 167. 백씨산소(伯氏山所*) 穴山西北谷縈回혈구산 서북쪽 감아 도는 골짜기에, 巖下封塋一土坮바위 아래 무덤과 자그마한 둔덕 있네. 瞻拜...)
- 2019년 5월 20일 (월) 00:59 (비교 | 역사) . . (+660) . . 새글 166. 조계동(皂溪洞) (새 문서: 166. 조계동(皂溪洞386)) 皂溪猶白碧山嵬거무내는 오히려 희고 청산은 우뚝한데, 知是韓門次第開한씨들이 차례차례 가문을 일으켰네. 中有...)
- 2019년 5월 20일 (월) 00:58 (비교 | 역사) . . (+406) . . 새글 165. 옥계(玉溪) (새 문서: 165. 옥계(玉溪) 玉溪一曲繞靑山옥계는 한번 굽어 청산을 감아 돌고, 樹色如眠白日閑나무는 졸린 듯 대낮인데 한가롭다. 有二兪生迎我語유...)
- 2019년 5월 20일 (월) 00:52 (비교 | 역사) . . (+411) . . 새글 164. 구포촌동(舊浦村洞) (새 문서: 164. 구포촌동(舊浦村洞385)) 舊浦村前大海連구 포촌 앞쪽은 큰 바다에 이어져, 南商北賈往來船남북의 상인들이 배를 타고 드나드네. 滿盤...)
- 2019년 5월 20일 (월) 00:51 (비교 | 역사) . . (+846) . . 새글 163. 황청동(黃淸洞) (새 문서: 163. 황청동(黃淸洞382)) 黃淸水色一千年황청리의 물색은 천 년 동안 한결같으니, 聖運乾坤海屋連나라 운세 천지 간에 끝없이 이어지리. 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