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9년 4월 15일 (월) 19:32 (비교 | 역사) . . (+4) . . 김은숙 AKS (→Questions)
- 2019년 4월 15일 (월) 19:30 (비교 | 역사) . . (+2) . . 김은숙 AKS (→Questions)
- 2019년 4월 15일 (월) 19:30 (비교 | 역사) . . (+38) . . 김은숙 AKS (→Questions)
- 2019년 4월 15일 (월) 19:03 (비교 | 역사) . . (+38) . . 관계1.lst
- 2019년 4월 15일 (월) 18:56 (비교 | 역사) . . (-14) . . 강화 불은면.lst
- 2019년 4월 15일 (월) 18:56 (비교 | 역사) . . (-40) . . 관계1.lst
- 2019년 4월 15일 (월) 18:54 (비교 | 역사) . . (-26) . . 강화 불은면.lst
- 2019년 4월 15일 (월) 18:46 (비교 | 역사) . . (+3,969) . . 관계1.lst
- 2019년 4월 15일 (월) 18:41 (비교 | 역사) . . (+128) . . 강화 불은면.lst
- 2019년 4월 15일 (월) 18:31 (비교 | 역사) . . (+124) . . 강화 불은면.lst
- 2019년 4월 15일 (월) 18:23 (비교 | 역사) . . (-14) . . 강화 불은면.lst
- 2019년 4월 15일 (월) 18:02 (비교 | 역사) . . (+40) . . 佛恩面
- 2019년 4월 15일 (월) 14:24 (비교 | 역사) . . (-6) . . 강화 불은면.lst
- 2019년 4월 15일 (월) 14:08 (비교 | 역사) . . (-16) . . 강화 불은면.lst
- 2019년 4월 15일 (월) 11:49 (비교 | 역사) . . (+104) . . 김은숙 AKS (→Questions)
- 2019년 4월 15일 (월) 11:47 (비교 | 역사) . . (-39) . . 佛恩面
- 2019년 4월 15일 (월) 11:45 (비교 | 역사) . . (+3) . . 강화 불은면 (최신)
- 2019년 4월 15일 (월) 11:43 (비교 | 역사) . . (+6,379) . . 새글 강화 불은면 (새 문서: <pre> #Project h1 심도기행1: #Class 인물 black circle 성씨 orange circle 지명 brown square 시간정보 blue ellipse 사건...)
- 2019년 4월 15일 (월) 11:39 (비교 | 역사) . . (+1) . . 강화 불은면.lst
- 2019년 4월 15일 (월) 11:37 (비교 | 역사) . . (+15) . . 강화 불은면.lst
- 2019년 4월 15일 (월) 11:33 (비교 | 역사) . . (-1) . . 강화 불은면.lst
- 2019년 4월 15일 (월) 11:32 (비교 | 역사) . . (-554) . . 강화 불은면.lst
- 2019년 4월 15일 (월) 11:30 (비교 | 역사) . . (+168) . . 강화 불은면.lst
- 2019년 4월 15일 (월) 11:05 (비교 | 역사) . . (+6,750) . . 새글 강화 불은면.lst (새 문서: <pre> #Project h1 심도기행1: #Class 인물 black circle 성씨 orange circle 지명 brown square 시간정보 blue ellipse 사건...)
- 2019년 4월 15일 (월) 10:51 (비교 | 역사) . . (0) . . 佛恩面
- 2019년 4월 15일 (월) 10:48 (비교 | 역사) . . (0) . . 佛恩面 (→기행 지도)
- 2019년 4월 15일 (월) 10:43 (비교 | 역사) . . (+86) . . 佛恩面
- 2019년 4월 15일 (월) 10:40 (비교 | 역사) . . (+345) . . 佛恩面
- 2019년 4월 15일 (월) 10:22 (비교 | 역사) . . (-1) . . 佛恩面
- 2019년 4월 15일 (월) 10:21 (비교 | 역사) . . (0) . . 佛恩面
- 2019년 4월 15일 (월) 10:19 (비교 | 역사) . . (-1,185) . . 佛恩面
- 2019년 4월 15일 (월) 09:35 (비교 | 역사) . . (+568) . . 새글 255.곶내동(串內洞) (새 문서: 255. 곶내동(串內洞536)) 世世崔居串內洞곶내동에 대대로 살고 있는 최씨 가문, 童蒙敎授兩旌門동몽교수 그 집안에 정려문이 두 개 섰네. 朝...)
- 2019년 4월 15일 (월) 09:34 (비교 | 역사) . . (+765) . . 새글 254.지천(芝川) (새 문서: 254. 지천(芝川535)) 芝川一曲向東流지천이 한 번 굽어 동쪽 향해 흐르는데, 羅列家基小洞幽작은 마을 그윽한 곳에 나씨 집들 모여 있네. 三...)
- 2019년 4월 15일 (월) 09:34 (비교 | 역사) . . (+920) . . 새글 253.고잔동(高盞洞) (새 문서: 253. 고잔동(高盞洞) 草堂村裡竹農家초당촌 안에 있는 죽농 선생 댁에서, 話舊談新日欲斜옛 이야기 요즘 이야기 하면서 해가 저물어가네....)
- 2019년 4월 15일 (월) 09:33 (비교 | 역사) . . (-2,309) . . 252.능촌(陵村)
- 2019년 4월 15일 (월) 09:32 (비교 | 역사) . . (+7,398) . . 새글 256.두두미(斗頭尾) (새 문서: 256. 두두촌(斗頭村*) 四月淸風返舊居4월의 맑은 바람 맞으며 옛집에 돌아오니, 終頭至尾摠如如머리(頭)부터 꼬리(尾)까지 모두가 한결같네...)
- 2019년 4월 15일 (월) 09:26 (비교 | 역사) . . (+3,187) . . 새글 252.능촌(陵村) (새 문서: 252. 능촌(陵村) 銀杏樹前532)細柳涯은행나무 아래 버들 늘어진 물가에, 三韓章甫舊居家 한씨 성의 세 선비가 옛집에 살고 있네. 逢言前日同...)
- 2019년 4월 15일 (월) 09:25 (비교 | 역사) . . (+663) . . 새글 251.능촌동(陵村洞) (새 문서: 251. 능촌동(陵村洞) 芳花山下古楸連방화산 아래에는 조상 무덤들 나란하여, 531) 구창서발문본에는 ʻ床ʼ이 ʻ窓ʼ으로 되어 있다. 省域三...)
- 2019년 4월 15일 (월) 09:22 (비교 | 역사) . . (+471) . . 새글 250.사복포(司僕浦) (새 문서: 250. 사복포(司僕浦) 司僕浦中水漲橋사복포 가운데에 물넘이 다리가 있는데, 早移秧色漸抽苗일찍이 모를 내고 뽑아 심는 곳이라네. 靜聽農...)
- 2019년 4월 15일 (월) 09:22 (비교 | 역사) . . (+470) . . 새글 249.오두동 평양조씨 (새 문서: 249. 오두동 평양조씨(平壤趙氏) 馬峯東走更回頭마봉이 동쪽으로 흐르다 다시 머리를 돌린 곳에, 趙友居之起小樓조씨 친구 거기 살며 작은...)
- 2019년 4월 15일 (월) 09:22 (비교 | 역사) . . (+1,107) . . 새글 248.오두어화(鼇頭漁火) (새 문서: 248. 오두어화(鰲頭漁火) 碧鰲頭上白鷗翩오두리 푸른 하늘에 백구가 날아오르고, 漁火如星海色鮮고기잡이불 별처럼 빛나니 바다색이 선명...)
- 2019년 4월 15일 (월) 09:21 (비교 | 역사) . . (+606) . . 새글 247.오두동(鼇頭洞) (새 문서: 247. 오두동(鰲頭洞527)) 一村花樹列成庄꽃나무로 동산 이룬 오두리 마을에선, 於讀於耕日月長글 읽기와 농사일로 세월을 보내네. 最愛此中...)
- 2019년 4월 15일 (월) 09:20 (비교 | 역사) . . (+677) . . 새글 246.둔랑촌(芚浪村) (새 문서: 246. 둔랑촌(芚浪村526)*) 芚浪村中朴列墻둔랑촌엔 박씨 담장이 열 지어 있는데, 勤耕餘暇對書床부지런히 밭을 갈고 시간 내어 책을 읽네....)
- 2019년 4월 15일 (월) 09:20 (비교 | 역사) . . (+1,224) . . 새글 245.넙성동(芿城洞) (새 문서: 245. 넙성동(芿城洞523)) 具門世築芿城中구씨 가문 넙성리에 대를 이어 사는데, 現使今人想古風오늘날 우리에게 옛 풍모를 생각게 하네. 楣...)
- 2019년 4월 15일 (월) 09:18 (비교 | 역사) . . (+569) . . 佛恩面
- 2019년 4월 15일 (월) 09:15 (비교 | 역사) . . (-4) . . 佛恩面 (→방문 지역)
- 2019년 4월 15일 (월) 09:09 (비교 | 역사) . . (+5,431) . . 새글 245.넙성동(城洞) (새 문서: 245. 넙성동(芿城洞523)) 具門世築芿城中구씨 가문 넙성리에 대를 이어 사는데, 現使今人想古風오늘날 우리에게 옛 풍모를 생각게 하네. 楣...) (최신)
- 2019년 4월 15일 (월) 09:08 (비교 | 역사) . . (+693) . . 새글 244.신현동(新峴洞) (새 문서: 244. 신현동(新峴洞522)) 新峴來聽韓友琴신현리에서 듣노라 친구 한씨의 거문고 소리, 521) 원문에는 어재순(魚在洵)으로 되어 있으나, 조선...)
- 2019년 4월 15일 (월) 09:06 (비교 | 역사) . . (+674) . . 새글 243.광성나루(廣城津) (새 문서: 243. 광성진(廣城津*) 春風來到廣城樓광성보 누각에 봄바람 불어오는데, 津吏迎吾指海洲나루지기 나를 맞으며 바다섬을 가리키네. 三兎三...)
- 2019년 4월 15일 (월) 09:05 (비교 | 역사) . . (+368) . . 새글 239.대모산(大母山) (새 문서: 239. 대모산(大母山) 大母一鬟氣積元대모산 꼭대기에 원기(元氣)가 쌓여서, 諸峯羅立似兒孫여러 봉우리 늘어선 모습 자손인 듯 하여라. 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