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여우여우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작품 속 도깨비) |
|||
59번째 줄: | 59번째 줄: | ||
===<[[구미호]]>=== | ===<[[구미호]]>=== | ||
<전설의 고향> 구미호 는 여름 납량특집의 단골 메뉴이었고, 영화 <구미호>, 드라마 <구미호 외전> 등은 구미호라는 소재로 인해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이들 작품은 ‘사람이 되고 싶은 구미호’, ‘인간의 간을 빼먹는 구미호’, ‘금기로 인해 좌절하는 구미호’라는 구미호를 부정적 타자로 인식하는 상상력에 기반하였다. <천년여우 여우비> 역시 구미호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서사적 전통에 기대어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천년여우 여우비>는 기존에 재현된 부정적 구미호의 모습과는 달리 인간과 구미호가 공존하던 신화적 상상력을 재현하려고 한다. | <전설의 고향> 구미호 는 여름 납량특집의 단골 메뉴이었고, 영화 <구미호>, 드라마 <구미호 외전> 등은 구미호라는 소재로 인해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이들 작품은 ‘사람이 되고 싶은 구미호’, ‘인간의 간을 빼먹는 구미호’, ‘금기로 인해 좌절하는 구미호’라는 구미호를 부정적 타자로 인식하는 상상력에 기반하였다. <천년여우 여우비> 역시 구미호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서사적 전통에 기대어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천년여우 여우비>는 기존에 재현된 부정적 구미호의 모습과는 달리 인간과 구미호가 공존하던 신화적 상상력을 재현하려고 한다. | ||
− | <천년여우 여우비>에서는 우선 구미호에 대한 형상화가 달라졌다. 전통적인 구미호의 모습은 남성을 홀리는 매력적인 외모의 여성이지만, <천년여우 여우비>에서는 이제 막 사춘기에 접어 든 귀여운 여자 아이의 모습이다. 아름다운 여성으로 변신한 구미호는 인간 세계의 질서를 위협하고 남성을 파멸로 이끄는 팜므 파탈(femme fatale)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러한구미호의 형상화는 남성이라는 질서의 중심을 파괴할 수 있는 낯선 존재에 대한 거부감의 증표이다. 이에 비해 앳된 소녀의 모습인 여우비는 아직 미숙하고 불완전해서 위협이 느껴지지 않는다. 여우비는 요괴라는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구미호라는 자체의 삶의 방식 속에서 성장 중에 있는 생명체로 형상화되었다 | + | <천년여우 여우비>에서는 우선 구미호에 대한 형상화가 달라졌다. 전통적인 구미호의 모습은 남성을 홀리는 매력적인 외모의 여성이지만, <천년여우 여우비>에서는 이제 막 사춘기에 접어 든 귀여운 여자 아이의 모습이다. 아름다운 여성으로 변신한 구미호는 인간 세계의 질서를 위협하고 남성을 파멸로 이끄는 팜므 파탈(femme fatale)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러한구미호의 형상화는 남성이라는 질서의 중심을 파괴할 수 있는 낯선 존재에 대한 거부감의 증표이다. 이에 비해 앳된 소녀의 모습인 여우비는 아직 미숙하고 불완전해서 위협이 느껴지지 않는다. 여우비는 요괴라는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구미호라는 자체의 삶의 방식 속에서 성장 중에 있는 생명체로 형상화되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노드관계표== | ==노드관계표== |
2017년 6월 13일 (화) 23:31 기준 최신판
개요
2007.01.25 개봉
판타지, 가족, 애니메이션
한국
85분
감독 이성강
출연 손예진(여우비), 공형진(강 선생), 류덕환(황금이), 이향숙(구릉영혼), 김소형(그림자 탐정), 등
줄거리
100년을 넘게 살았지만 인간의 나이로 10살 정도 밖에 되지 않은 어린 구미호인 여우비는 100년 전 지구에 불시착한 외계인 '요요'들과 함께 숲 속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마침내 요요들은 고장난 우주선을 고쳤으나 말썽요의 실수로 비행에 실패하고, 상심한 요요들은 말썽요를 쫓아낸다. 쫓겨난 말썽요는 마을로 내려가다 왕따 극복 훈련을 받고 있던 아이들에게 잡히게 된다. 말썽요를 구하기 위해 여우비는 어른으로 둔갑해 강선생을 속이고 학교에 자신을 편입시킨다. 이 과정에서 여우비는 남자 주인공 황금이와 친해지게 되고 서로 호감을 느낀다. 어느 날 구미호 사냥꾼이 여우비를 사냥하기 위해 마을에 내려오고, 사나운 개들을 풀어 여우비를 쫓는다. 사냥꾼 때문에 위험에 빠진 여우비를 정체불명의 그림자 탐정이 구해준다. 그는 여우비를 돕고 싶다며 여우비에게 영혼을 흡수해 인간으로 만들어 준다는 수상한 상자를 건넨다. 한편 여우비가 위험에 처했던 것이 자신의 탓이라 생각한 황금이는 여우비에게 사과를 하기 위해 찾아가지만, 여우비의 의도와는 달리 그림자 탐정이 건넨 상자가 황금이의 영혼을 흡수하려 한다. 이를 발견한 사냥꾼은 황금이의 영혼 분리를 막고 상자를 가지고 있던 여우비를 구미호라 여겨 공격하고, 황금이는 여우로 변해버린 여우비를 끌어안고 도망을 친다. 그러나 도망치던 도중 절벽에서 떨어져 황금이는 영혼의 호수 카바나에 빠지게 되고, 황금이를 구하기 위해 여우비는 호수로 뛰어들지만 이미 황금이의 몸과 영혼은 분리되어 호수 속에 갇혀버린다. 여우비는 수많은 새장들 중 황금이의 영혼의 새가 들어 있는 것을 찾아내고 데에 성공하지만, 여우비를 뒤쫓아온 그림자 탐정이 황금이의 영혼을 뺏어버린다. 그러나 영혼을 흡수한 그림자탐정을 삼바바가 소멸시키고 이 틈을 타 여우비는 다시 황금이의 영혼과 새장을 되찾는데 성공한다. 삼바바는 여우비에게 빈 새장을 가지고 있으면 영혼이 흡수 당하니 황금이의 영혼을 다시 돌려 놓으라고 충고했으나 여우비는 새장을 놓지 않는다. 결국 황금이의 영혼을 원래의 세계로 돌려보내나 자신의 영혼이 대신 새장 속에 갇히게 된다. 그 후 오랜 시간이 지나 삼바바는 여우비의 영혼을 풀어주고 여우비는 인간으로 환생하게 된다.
등장인물
<천년여우 여우비>는 지구에 불시착한 외계인들과 함께 살고 있는 구미호 소녀 (여우비)가 산 속에서 또래의 인간 아이들을 만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루고 있는 애니메이션이다.
이 작품은 구미호의 한(恨)과 공포라는 요소 대신 구미호 소녀인 ‘여우비’의 정체성 탐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작품에서 ‘여우비’는 숲 속에서 버려져 홀로 살고 있는 어린 구미호로 설정되어 있다.
여우비는 지구에 불시착한 외계인 요요들을 만나 숲 속에서 함께 살아간다. 버려진 구미호와 불시착한 외계인은 인간의 관점에서 보면 일상적 삶의 공간에서 벗어난 타자들이다.
여우비는 인간을 유혹하고 사람이 되기 위해 간을 빼먹는 이전의 구미호와 달리 고립을 극복하고 인간과 화합하기를 소망하는 타자로 그려진다.
구미호의 흔적을 쫓는 사냥꾼이 등장하여 인간과 소통을 꿈꾸는 여우비를 인간의 영역에서 몰아내려고 한다. 구미호 사냥꾼은 구미호와 인간을 구분하는 기존의 관념을 상징하는 인물로 사람들과 소통을 꿈꾸는 여우비를 인간사회와 단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우비의 희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구미호와 인간이 공존하던 신화적 세계가 재현되어야 하지만 현실은 인간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구미호를 멸종시키려는 인간의 독선적 사고가 지배하고 있다.
또한 인간과 소통하려는 여우비를 이용해 영혼을 얻으려는 그림자 탐정이 존재 한다. 그림자 탐정은 이름 그대로 사람의 그림자로 형상화되는데, 그림자처럼 실체가 아닌 이미지로만 나타난다. 그림자 탐정이 영혼을 훔치려는 것은 그림자라는 분열된 존재가 아니라 영혼과 육신을 가진 실체하는 주체로서의 삶을 욕망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영혼을 훔치기 위해서는 인간의 영혼이 푸른색으로 빛날 때를 기다려야 한다. 인간의 영혼이 푸른색을 띨 때 는 누군가를 진심으로 사랑할 때이다. 즉, 누군가와 가장 완벽하게 소통하는 순간에 그 대상을 배신해야만 자기 정체성을 벗어던지고 인간으로 변하는 것이다.
여우비가 사람이 되고 싶은 것은 고립된 단절을 극복하고 소통하는 주체로 거듭나고 싶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우비는 진정한 소통을 느낀 친구 황금이의 영혼을 훔치려 하지 않고, 오히려 자신을 희생해서라도 황금이의 영혼을 돌려주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우비의 행위는 그림자 탐정과 대조를 이룬다. 자신의 욕망을 위해 인간의 영혼을 훔치려 한 그림자 탐정은 끝내 응징을 받고 존재가 소멸하지만, 인간과 소통하기 위해 카바나에서 자신을 희생한 여우비는 인간으로 환생한다.
- 여우비
- 황금이
- 요요들
- 그림자탐정
- 사냥꾼
작품 속 도깨비
<구미호>
<전설의 고향> 구미호 는 여름 납량특집의 단골 메뉴이었고, 영화 <구미호>, 드라마 <구미호 외전> 등은 구미호라는 소재로 인해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이들 작품은 ‘사람이 되고 싶은 구미호’, ‘인간의 간을 빼먹는 구미호’, ‘금기로 인해 좌절하는 구미호’라는 구미호를 부정적 타자로 인식하는 상상력에 기반하였다. <천년여우 여우비> 역시 구미호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서사적 전통에 기대어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천년여우 여우비>는 기존에 재현된 부정적 구미호의 모습과는 달리 인간과 구미호가 공존하던 신화적 상상력을 재현하려고 한다. <천년여우 여우비>에서는 우선 구미호에 대한 형상화가 달라졌다. 전통적인 구미호의 모습은 남성을 홀리는 매력적인 외모의 여성이지만, <천년여우 여우비>에서는 이제 막 사춘기에 접어 든 귀여운 여자 아이의 모습이다. 아름다운 여성으로 변신한 구미호는 인간 세계의 질서를 위협하고 남성을 파멸로 이끄는 팜므 파탈(femme fatale)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러한구미호의 형상화는 남성이라는 질서의 중심을 파괴할 수 있는 낯선 존재에 대한 거부감의 증표이다. 이에 비해 앳된 소녀의 모습인 여우비는 아직 미숙하고 불완전해서 위협이 느껴지지 않는다. 여우비는 요괴라는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구미호라는 자체의 삶의 방식 속에서 성장 중에 있는 생명체로 형상화되었다.
노드관계표
노드 | 관계 | 노드 |
---|---|---|
천년여우여우비 | 은 -의 애니메이션이다. | 한국 |
천년여우여우비 | 은 -이 감독했다. | 이성강 |
천년여우여우비 | 는 -를 소재로 했다. | 구미호 |
여우비 | 는 -캐릭터이다. | 구미호 |
여우비 | 는 -의 주인공이다. | 천년여우여우비 |
황금이 | 는 -의 주인공이다. | 천년여우여우비 |
각주
이명현, 구미호에 대한 전통적 상상력과 애니메이션으로의 재현- 〈천년여우 여우비〉를 중심으로, 2007, 문학과 영상학회
기여
- 김정서 : 최초 작성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Class
클래스 | 노드 |
---|---|
도깨비 |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
공간 |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
작품 |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
문헌 |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
문콘 |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
캐릭터 |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
시대 | 현대, 에도시대 |
Relation